KR20140044666A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666A
KR20140044666A KR1020120110917A KR20120110917A KR20140044666A KR 20140044666 A KR20140044666 A KR 20140044666A KR 1020120110917 A KR1020120110917 A KR 1020120110917A KR 20120110917 A KR20120110917 A KR 20120110917A KR 20140044666 A KR20140044666 A KR 20140044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frame
sheet
fixing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305B1 (ko
Inventor
오건희
Original Assignee
오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건희 filed Critical 오건희
Priority to KR102012011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3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그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방수력이 좋아,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사진이나 그림이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못을 박지 않더라도 벽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미지나 사진이 인쇄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가 안착되는 시트 수용부가 전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자{frame}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그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방수력이 좋아,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사진이나 그림이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못을 박지 않더라도 벽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액자 배면에 받침이 되는 베이스판 위로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위치시키고, 상부에 보호용 유리판이 설치된 액자 프레임에 베이스판을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서, 액자를 완성하여 전시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튜디오나 화실 등에서 제작된 사진 또는 그림을 제작한 뒤 이를 액자 가공전문점으로 이송하여, 액자 가공전문점에서 베이스판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완성하며, 상기 완성된 액자는 다시 스튜디오 또는 화실로 이송되어 고객에게 전달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사진 또는 그림과 액자가 이원화된 과정으로 제작됨으로써, 작업시간이 장기화되고, 운송물류비로 인한 액자의 가격이 상승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그리고, 액자 가공전문점에서 액자를 사진과 베이스판과 액자프레임을 일체형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사진을 교환할 수가 없고, 새로운 사진을 전시하기 위해서는 액자를 새로 주문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95736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박리지(14)가 부착된 베이스판(13)과 전면부에 상기 베이스판(13)이 돌출되도록 삽입 가능한 삽입부(12)가 형성된 액자프레임(11)이 구비되어, 상기 액자프레임(11)에 베이스판(13)을 삽입·고정한 액자를 구비하여, 상기 박리지(14)의 제거로 작품부착이 용이하며, 상기 액자프레임(11)은, 베이스판(13)과 일치하는 부분이 관통되고, 상기 삽입부(12)는, 단턱모양으로 형성되어 베이스판(13)을 안착시킴으로써, 액자프레임(11)의 관통된 부분에 노출된 베이스판(13)을 밀어내 액자프레임(11)에서 베이스판(13)을 간단하게 분리·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95736호에 기재된 기술은 베이스판(13)을 간단하게 분리 교체함으로써, 사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사진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베이스판(13)이 액자프레임(11)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이나 그림이 형성되는 이미지 시트의 전부에 투명한 전면커버를 구비하여 사진이나 그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착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그림이나 사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커버를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좋게 하여 액자를 떨어뜨리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타일, 유리, 나무, 대리석 또는 벽지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오링을 구비함으로써, 사진이나 그림으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수분이 많은 욕실 등에 설치하더라도, 사진 및 그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미지나 사진이 인쇄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가 안착되는 시트 수용부가 전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시트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 커버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제1,2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고정부재에는 상기 전면 커버의 가장자리가 삽입 고정되는 제1,2커버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의 측부에는 레버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시트 수용부의 외측에는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 수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시트의 가장자리와 겹치도록 코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 중심부에는 돌출부가 후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흡착부재의 삽입돌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설치홈에는 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재의 흡착부에는 중심부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양면 테이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홈에는 'ㄱ'자 형상의 지지대가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진이나 그림이 형성되는 이미지 시트의 전부에 투명한 전면커버를 구비하여 사진이나 그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착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그림이나 사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면커버를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좋게 하여 액자를 떨어뜨리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타일, 유리, 나무, 대리석 또는 벽지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오링을 구비함으로써, 사진이나 그림으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수분이 많은 욕실 등에 설치하더라도, 사진 및 그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액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전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액자의 설치홈에 삽입되어 액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전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의 후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액자의 설치홈에 삽입되어 액자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이미지나 사진이 인쇄되는 시트(300)와 상기 시트(300)가 안착되는 시트 수용부(110)가 전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부에 구비되는 전면 커버(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면 커버(200)는 폴리카보네이트(PC,Polycarbonate)와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상기 시트 수용부(110)에 안착된 시트의 전면에 인쇄된 이미지나 사진이 잘 보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나 사진이 보다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며, 시트(300)의 전면을 보호하여 줌으로써, 외부의 날카로운 물건이 시트(30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20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부재(23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걸림부재(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재(130)의 내면은 상기 고정부재(23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단부가 고정부재(230)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재(230)가 구비된 전면 커버(200)를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전면 커버(2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시트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시트(3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나 사진이 인쇄된 시트(300)로 교체하여 장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130)의 측부에는 레버(132)가 더 형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레버(132)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13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걸림부재(130)에 의해 고정된 고정부재(2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시트(30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30)는 제1고정부재(240)와 제2고정부재(25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2고정부재(240,250)에는 각각 제1,2커버 고정부(244,254)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200)의 가장자리가 삽입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고정부재(240,250)가 접하는 부분과 제1,2커버 고정부(244,254)와 전면 커버(200)가 접하는 부분은 열융착 방법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제1,2고정부재(240,250)가 접하는 부분에는 각각 고정홈(242)과 고정돌기(252)를 형성하여, 보다 용이하게 제1,2고정부재(240,250)를 결합 고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2고정부재(240,250)와 전면 커버(200)는 열융착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술한 고정돌기(252)와 고정홈(242)를 사용하여 억지 끼움으로만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200)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코팅부(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코팅부(210)는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되며, 시트(300)에 인쇄된 이미지나 사진에 따라 다양한 색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특별한 문양을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부(210)의 내측은 상기 시트(300)의 가장자리와 살짝 겹치도록 형성하여, 액자의 전면에서 시트(300)에 인쇄된 사진이나 이미지를 볼 때,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액자의 미려함을 높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시트 수용부(110)의 외측에는 오링 수용부(12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오링 수용부(120)에는 고무나 합성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오링(125)이 삽입된다.
그래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전면 커버(20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오링(125)이 전면 커버(200)의 후면에 밀착되게 되므로, 전면 커버(200)와 베이스 플레이트(100) 사이의 공간으로 외부의 습기가 침투하더라도, 상기 오링(125)에 의해 시트 수용부(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습기가 많은 장소에 본 발명의 액자를 장식하거나, 물에 빠지더라도 시트(300)가 젖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 수용부(110)와 오링 수용부(120) 사이에는 제1단턱(112)이 형성되고, 오링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제2단턱(1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2단턱(112,122)은 상기 전면 커버(200)의 후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액자를 전부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보더라도 상기 제1단턱(112)이 시야를 차단하여 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부가 보이지 않게 하여, 액자의 미려함을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돌출부(140)가 후부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면, 상기 돌출부(140)의 내측에는 설치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42)에는 흡착부재(400)의 삽입돌부(420)가 삽입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홈(142)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부로 관통되는 통공(144)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부재(400)의 삽입돌부(420)를 설치홈(142)에 삽입할 때, 삽입홈(142)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144)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흡착부재(4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흡착부재(400)의 흡착부(410)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액자를 타일이나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벽면이나, 거울의 표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돌출부(14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는 벽면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액자를 벽면이나 거울의 표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일이나 유리와 같은 벽면이 아니라, 일반적인 종이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본 발명의 액자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흡착부재(400)의 흡착부(410)에 양면 테이프(430)를 설치하여 벽면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면 테이프(430)의 중심부에는 절개부(432)가 형성되어, 오목한 형태의 흡착부(410)에 의해 양면 테이프(430)의 중심부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벽면에 부착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액자는 일반적인 벽면에 설치할 때, 별도로 못을 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나 타일로 이루어진 벽면 뿐만 아니라, 거울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면 테이프(430)를 설치할 경우, 상기 흡착부재(400)의 단면의 형상이 오목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양면 테이프(43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지지대(150)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 발명의 액자를 세운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 탁자나 책상에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부에는 삽입부(152)가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설치홈(142)에 삽입 고정되고, 지지부(154)는 바닥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액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그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고, 방수력이 좋아,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사진이나 그림이 손상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못을 박지 않더라도 벽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시트 수용부
112 : 제1단턱 120 : 오링 수용부
125 : 오링
130 : 걸림부재 132 : 레버
140 : 도출부 142 : 설치홈
144 : 통공 150 : 지지대
152 : 삽입부 154 : 지지부
200 : 전면 커버
210 : 코팅부 220 : 테두리부
230 : 고정부재 240 : 제1고정부재
242 : 고정홈 244 : 제1커버 고정부
250 : 제2고정부재 252 : 고정돌부
254 : 제2커버 고정부 300 : 시트
400 : 흡착부재

Claims (11)

  1. 이미지나 사진이 인쇄되는 시트와,
    상기 시트가 안착되는 시트 수용부가 전면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2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고정부재에는 상기 전면 커버의 가장자리가 삽입 고정되는 제1,2커버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측부에는 레버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수용부의 외측에는 오링이 삽입되는 오링 수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시트의 가장자리와 겹치도록 코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 중심부에는 돌출부가 후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흡착부재의 삽입돌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에는 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의 흡착부에는 중심부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양면 테이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에는 'ㄱ'자 형상의 지지대가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1020120110917A 2012-10-05 2012-10-05 액자 KR101446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17A KR101446305B1 (ko) 2012-10-05 2012-10-05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17A KR101446305B1 (ko) 2012-10-05 2012-10-05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666A true KR20140044666A (ko) 2014-04-15
KR101446305B1 KR101446305B1 (ko) 2014-10-06

Family

ID=50652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17A KR101446305B1 (ko) 2012-10-05 2012-10-05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36U (ko) * 2015-09-03 2017-03-13 (주)세화피앤씨 부착식 거울
CN107898234A (zh) * 2017-10-30 2018-04-13 安徽省恒益工艺品有限公司 一种用于纸质工艺品的放置框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566A (ko) 2021-07-12 2023-01-19 주식회사 생기의집 금장 액자 및 그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9323A (en) * 1988-10-13 1990-12-25 Uniek Plastics, Inc. Front-loading display frame
JP3043560U (ja) 1997-05-20 1997-11-28 株式会社花信 額縁用の飾り枠
KR100721795B1 (ko) 2006-01-26 2007-05-25 민은홍 물기의 유입이 방지된 액자 프레임
KR200440732Y1 (ko) 2007-07-13 2008-06-27 김영태 슬라이드 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36U (ko) * 2015-09-03 2017-03-13 (주)세화피앤씨 부착식 거울
CN107898234A (zh) * 2017-10-30 2018-04-13 安徽省恒益工艺品有限公司 一种用于纸质工艺品的放置框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305B1 (ko) 201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15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50005494A1 (en) Combination display frame
US898478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446305B1 (ko) 액자
TWI621109B (zh) Display device
KR101631134B1 (ko) 광고용 조명장치
JP3217877U (ja) スマートフォン用ケース
KR20100026520A (ko) 물기의 유입이 방지된 슬림형 라이트 박스
KR101074717B1 (ko) 측면조사방식의 엘이디를 이용한 라이트패널
KR200398626Y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액자
KR20150097900A (ko) 액자
KR101186757B1 (ko) 엘이디 액자
WO2011029382A1 (zh) 可更换图片的挂壁式空调器
KR20110005331A (ko) 액자형 문양형성 문
KR101874854B1 (ko) 후렉스 원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신형 채널 led 조명식 간판 프레임 시스템
KR101702443B1 (ko) 다용도 액자
KR20150097899A (ko) 액자
JP2004094147A (ja) スクリーン固定方法及び透過型リアクションスクリーンテレビ並びにスクリーン
KR200481017Y1 (ko) 돌출형 액자
CN215117123U (zh) 一种相机
KR200494633Y1 (ko) 벽걸이형 라이트 배너 거치대
CN216069271U (zh) 一种便携式热敏打印机
KR20160006505A (ko) 옥외 광고패널 구조
KR200440731Y1 (ko) 기능성 액자
JPH10276877A (ja) 額縁及び装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