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331A - 액자형 문양형성 문 - Google Patents

액자형 문양형성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331A
KR20110005331A KR1020090062790A KR20090062790A KR20110005331A KR 20110005331 A KR20110005331 A KR 20110005331A KR 1020090062790 A KR1020090062790 A KR 1020090062790A KR 20090062790 A KR20090062790 A KR 20090062790A KR 20110005331 A KR20110005331 A KR 20110005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plate
image
scul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4218B1 (ko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황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성 filed Critical 황인성
Priority to KR102009006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2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관한 것으로서, 중간이 개방된 문틀, 상기 문틀의 바깥둘레 사면에서 정면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끝단의 일부가 절곡되어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는 절곡부를 이루면서 문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이미지 고정틀, 상기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져 다양한 이미지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이미지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문틀의 후면에 끼워지는 문양 조형물; 및 상기 문양 조형물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져, 문 자체를 액자로 구성하면서 이미지판을 통해 그림이나 사진 등을 보거나 문양 조형물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문, 액자, 문틀, 이미지 고정틀, 투명판, 이미지판, 문양 조형물, 고정판

Description

액자형 문양형성 문{PATTERN DOOR OF PICTURE FRAME TYPE}
본 발명은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문틀의 자체가 액자식으로 되어 정면에는 이미지판이 끼워지고 후면에는 문양 조형물이 끼워져, 상기 이미지판으로는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이미지판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문양 조형물을 보여주도록 한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중앙부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제공된 공간에 사진 또는 그림 등이 투명한 판과 함께 끼워지며, 상기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백보드가 마련되고, 상기 백보드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액자는 대부분 주로 장식용으로 사용하게 되나, 가구와 같은 수납장치의 문에 액자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바 그 일례로써 다음과 같은 종래 액자형 이미지 도어(한국공개특허 2006-0025413호)가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개의 철판(110) 위에 액자(101)가 착탈하 는 방식으로 형성하되, 금속문(100)의 소정부위에 액자(101)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프레스로 압력을 가하여 상하좌우 절곡부(111)를 형성한 후, 철판(110)과 액자(101)를 피스나 나사로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액자형 이미지 도어는 문 자체와는 상관없이 상기 문의 일정부위에만 단순히 액자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문 자체의 디자인을 독특하게 구성하는 것과는 상관이 없으며, 오로지 그림이나 사진이 들어가는 액자만 문에 설치하고 있어 액자 이외에 다른 심미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구 등과 같은 수납장치에 설치되는 문 자체가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이 설치되는 액자로 구성되고, 액자인 문에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의 이미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다양한 형상의 문양 조형물을 액자인 문에 설치함으로써 이미지가 설치된 액자의 형태가 아닌 또 다른 형태의 심미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디자인할 수 있으면서, 액자인 상기 문에 설치되는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의 이미지 또는 문양 조형물에 따라 상기 문 자체를 다양한 형태로 독특하게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 액자형 문양형성 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은, 중간이 개방된 문틀; 상기 문틀의 바깥둘레 사면에서 앞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끝단의 일부가 절곡되어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는 절곡부를 이루면서 문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이미지 고정틀; 상기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져 다양한 이미지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이미지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문틀의 후면에 끼워지는 문양 조형물; 및 상기 문양 조형물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이미지판과 문양 조형물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미지판을 고정하는 종이틀; 및 상기 문양 조형물과 고정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문양 조형물의 형상과 함께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보조 이미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투명판은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문양 조형물은 조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의하면, 문 자체가 액자로 구성되어 있어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의 평면의 이미지 또는 입체적인 문양 조형물에 의해 상기 문을 독특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그림 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의 평면 이미지가 설치된 액자로 된 문이나 다양한 형상의 입체적인 문양 조형물이 설치된 문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문 자체를 실내를 장식하는 액자로 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은, 문틀(1), 이미지 고정틀(2), 투명판(3), 이미지판(4), 문양 조형물(5) 및, 고정판(6)으로 구성된다.
가구인 씽크대, 장식장 등과 같은 수납장치에 문으로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문틀(1)은 알루미늄 재질로 각 모서리에서 안쪽으로 삽입되어 나사로 고정되는 ㄱ자형 조립판(1a)에 의해 사각의 틀로 조립되어 중심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 루고 있다.
알루미늄 재질로 된 상기 이미지 고정틀(2)은 상기 문틀(1)의 바깥둘레의 사면에 각각 밀착되어 문틀(1)의 앞쪽으로 돌출시킨 후 끝단을 일부를 약간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2a)가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하고, 각각의 이미지 고정틀(2)을 상기 문틀(1)의 바깥둘레 사면에 고정나사(b)로 각각 고정함으로써,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2)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두는 틈을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문틀(1)의 바깥둘레면 사면에 설치되는 이미지 고정틀(2) 각각은 상기 고정나사(b)에 의해 문틀(1)로부터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의 재질로 된 상기 투명판(3)과 다양한 형상의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이 그려진 이미지판(4)은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상기 이미지 고정틀(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미지 고정틀(2) 중 어느 한쪽의 이미지 고정틀(2b)을 분리한 후, 서로 포개어진 상기 투명판(3)과 이미지판(4)을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2)의 절곡부(2a)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끼워넣고, 분리되어 있던 한쪽의 상기 이미지 고정틀(2b)을 문틀(1)에 고정나사(b)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문틀(1)에 투명판(3)과 이미지판(4)을 설치하는 것을 완료하게 된다. 한쪽의 상기 이미지 고정틀(2b)에는 문손잡이(12)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2)의 절곡부(2a)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간격은 거의 서로 포개어진 상기 투명판(3)과 이미지판(4)의 두 께에 해당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문틀(1)과 이 문틀(1)에 설치되는 투명판(3) 및 이미지판(4)에 의해 만들어진 문 자체가 상기 투명판(3)을 통해 이미지판(4)의 그림이나 사진 등이 보이는 액자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판(4)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해 중간이 개방된 사각의 종이틀(7)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종이틀(7)의 각 모서리에 끼움홈(7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홈(7a)을 통해 이미지판(4)을 끼운 상태에서 투명판(3)과 함께 문틀(1)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이틀(7)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문틀(1)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2)의 절곡부(2a) 사이에 형성되는 틈의 간격은 거의 서로 포개어진 상기 투명판(3)과 이미지판(4) 및 종이틀(7)의 두께에 해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판(4)은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 이외에도 신생아의 발 모양을 본뜬 것이나 다양한 형상을 본뜬 입체적인 동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격자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문양 조형물(5)은 사각의 틀 형태로써 나무나 플라스틱 또는 기타 여러 가지의 재질의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문틀(1)의 후면을 통해 끼워넣도록 하며, 상기 문양 조형물(5)을 보조하기 위해 그림이나 디자인이 도안된 예컨대 한지와 같은 보조 이미지판(8)을 후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판(6)은 문양 조형물(5)과 보조 이미지판(8)이 문틀(1)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를 고정해 주도록 상기 문틀(1)의 후면에 부착되어 고정나사(b)에 의해 상기 문틀(1)에 고정하게 되며, 재질로는 아크릴이나 합판 등의 여러 가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틀(1) 내에 설치되는 이미지판(4) 및 문양 조형물(5)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미지판(4)을 설치한 경우에는 문양 조형물(5)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문양 조형물(5)을 설치한 경우에는 이미지판(4)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문 자체를 이미지판(4)이 보이는 액자형태의 문으로 사용하거나 문양 조형물(5)이 보이는 액자형태의 문으로 사용하는 것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문양 조형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문양 조형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격자형태로 된 상기 문양 조형물(5)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문양으로 변경할 수 있는데, 일례로 도 3에 도시한 바아 같이 마름모꼴 형태의 격자형상으로 된 문양 조형물(5a)을 사용하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틀 내에 조화가 설치된 문양 조형물(5b)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문양을 문양 조형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설치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9)은 경첩(10)에 의해 가구인 씽크대나 장식장 등과 같은 수납장치(11)에 설치하여 문으로 사용하게 되나, 단순히 문의 역할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판(4)에 의해 그림이나 사진 또는 디자인 도안이 보이거나 문양 조형물(5)이 보이는 액자로써의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자형 문양형성 문(9)을 수납장치(11)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지판(4)이나 문양 조형물(5)의 교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문양 조형물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문양 조형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형 문양형성 문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틀 1a : ㄱ자형 조립판
2,2b : 이미지 고정틀 2a : 절곡부
3 : 투명판 4 : 이미지판
5,5a,5b : 문양 조형물 6 : 고정판
7 : 종이틀 7a : 끼움홈
8 : 보조 이미지판 9 : 액자형 문양형성 문
10 : 경첩 11 : 수납장치
12 : 문손잡이 b : 고정나사

Claims (4)

  1. 중간이 개방된 문틀;
    상기 문틀의 바깥둘레 사면에서 앞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끝단의 일부가 절곡되어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는 절곡부를 이루면서 문틀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이미지 고정틀;
    상기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지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의 테두리 정면과 이미지 고정틀의 절곡부 사이에 끼워져 다양한 이미지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이미지판;
    다양한 문양이 형성되어 상기 문틀의 후면에 끼워지는 문양 조형물; 및
    상기 문양 조형물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문양형성 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판과 문양 조형물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미지판을 고정하는 종이틀;
    및 상기 문양 조형물과 고정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문양 조형물의 형상과 함께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보조 이미지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문양형성 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은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문양형성 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 조형물은 조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문양형성 문.
KR1020090062790A 2009-07-10 2009-07-10 액자형 문양형성 문 KR10110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90A KR101104218B1 (ko) 2009-07-10 2009-07-10 액자형 문양형성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790A KR101104218B1 (ko) 2009-07-10 2009-07-10 액자형 문양형성 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31A true KR20110005331A (ko) 2011-01-18
KR101104218B1 KR101104218B1 (ko) 2012-01-09

Family

ID=4361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790A KR101104218B1 (ko) 2009-07-10 2009-07-10 액자형 문양형성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4638A (zh) * 2016-01-29 2016-04-13 浙江新伍鑫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防火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79B1 (ko) 2012-09-17 2014-07-31 박서정 무늬부를 포함하는 반투명 창호
KR101542318B1 (ko) 2014-01-13 2015-08-06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테두리보강 도어를 구비한 로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539B1 (ko) * 2001-12-26 2008-05-06 삼성토탈 주식회사 에틸렌 중합 또는 공중합용 고체 착물 바나듐 티타늄촉매의 제조방법
EP1394787A3 (en) * 2002-08-28 2006-11-22 Kabushiki Kaisha Toshiba Optical disc and optical disc apparatus
JP3973209B2 (ja) * 2002-08-29 2007-09-12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液状物質滴下装置及び方法
KR200355507Y1 (ko) 2004-03-19 2004-07-07 송재승 도어 전면의 장식구조
KR200419946Y1 (ko) * 2006-04-14 2006-06-26 주식회사 백조씽크 액자형 문짝
KR200419963Y1 (ko) * 2006-04-19 2006-06-26 우명래 장식살이 개재된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4638A (zh) * 2016-01-29 2016-04-13 浙江新伍鑫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防火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218B1 (ko) 201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218B1 (ko) 액자형 문양형성 문
KR20140121579A (ko) 액자프레임이 부설된 칠판
US20090019753A1 (en) Picture Frame
US20040261307A1 (en) Shadow box having multiple display surfaces and shadow box kit
KR200475280Y1 (ko) 슬라이딩 결합식 백보드를 갖는 장식용 액자
KR101446305B1 (ko) 액자
KR200477021Y1 (ko) 종이액자
KR20150097900A (ko) 액자
US20050117330A1 (en) Light illuminated photo frame
CN200987542Y (zh) 一种广告画边框装置
KR20130022006A (ko) 아크릴 액자
CN215852394U (zh) 一种展示盒
KR20150097899A (ko) 액자
KR200188498Y1 (ko) 장식용 사진틀 액자
JP6742211B2 (ja) 装飾パネルセット
KR200382696Y1 (ko) 액자형 기념패
JP3238466U (ja) アクリル用ラバーフレーム
JP7157442B2 (ja) 叙勲用額縁
CN201410847Y (zh) 一种可以发光发音的壁画
KR20160000721U (ko) 서로 다른 느낌을 부여하는 양면사용이 가능한 액자
JP2005143956A (ja) 炊飯器
KR200339442Y1 (ko) 광고대
KR200329359Y1 (ko) 누름분리식 투명판을 갖는 액자
KR20150145494A (ko) 윈도우리스형 사진 액자 및 이에 착탈되는 사진판
KR200387202Y1 (ko) 입체감을 가지는 이중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