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289Y1 - 박스형 장식판 - Google Patents

박스형 장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289Y1
KR200457289Y1 KR2020110003611U KR20110003611U KR200457289Y1 KR 200457289 Y1 KR200457289 Y1 KR 200457289Y1 KR 2020110003611 U KR2020110003611 U KR 2020110003611U KR 20110003611 U KR20110003611 U KR 20110003611U KR 200457289 Y1 KR200457289 Y1 KR 200457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ox
groove
magn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직
Original Assignee
민경직
주식회사 코리아골드밸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직, 주식회사 코리아골드밸류 filed Critical 민경직
Priority to KR2020110003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2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8Stamping or bending
    • B44C3/085Stamping or bending st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념품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이 구비되는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을 덮는 투명 커버판과, 상기 투명 커버판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접착부와, 상기 투명 커버판의 타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대응 접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시 패널과; 상기 전시 패널을 수용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된 수용 박스와, 이 수용 박스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수용홈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시 박스와; 상기 전시 박스의 일측면에 구비된 가이드 홈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조 전시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장식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박스형 장식판{Box Type Plaque}
본 고안은, 상패 또는 기념패로 사용될 수 있는 박스형 장식판에 관한 것으로, 전시 패널 및 이 전시 패널을 수용하는 동시에 기립해서 설치할 수 있는 수용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박스형 장식판에 있어서, 상기 전시 패널에 기념품(예를 들어, 귀금속)을 탈착 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박스형 장식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수용 박스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문자 또는 도형이 형성된 보조 전시 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박스형 장식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표시판에 문자 또는 도형 등의 문양을 용이하게 기입할 수 있도록 된 음각층을 구비한 보조 전시 패널을 갖춘 장식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패나 기념패(이하, 장식판이라 함)는 전시 또는 진열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서, 소지자의 부 또는 명예에 관한 이력이 글씨 또는 다양한 문양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최근, 이러한 장식판을 이용해서 소지자의 부를 나타내려는 경향이 있음에 따라, 장식판 소지자의 부를 나타낼 수 있는 기념물(예를 들어, 귀금속)을 장식판에 추가로 설치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통상 귀금속은, 고가의 재질로 그 광체 및 표면 상태가 중요시됨에 따라, 상기 장식판에 설치하거나 또는 장식판으로부터 분리하는 일이 반복될 경우, 광체 및 표면 상태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장식판에 있어서는 귀금속을 명확히 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장식판 업계에 있어서는, 장식판의 다양한 위치에 문자 도는 도형을 표시하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문자 또는 도형을 신속히 인쇄함으로써, 소비자에 신속하고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시 패널 및 이 전시 패널을 수용하는 동시에 기립해서 설치할 수 있는 수용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박스형 장식판에 있어서, 상기 전시 패널에 기념품(예를 들어, 귀금속)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귀금속이 견고하게 수납될 수 있는 수납 구조를 갖춘 박스형 장식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수용 박스의 일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문자 또는 도형이 형성된 보조 전시 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박스형 장식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조 전시 패널에 문자 또는 도형 등의 문양을 용이하게 기입할 수 있도록 된 전시 패널을 갖춘 장식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박스형 장식판은
기념품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과 상기 기념품을 이탈하기 위해 제1수용홈에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덮는 투명 커버판을 포함하는 전시 패널;
상기 전시 패널을 수용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된 수용 박스와, 이 수용 박스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수용홈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시 박스; 및
상기 전시 박스의 전방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조 전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시 패널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투명 커버판이 자석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투명 커버판 중 하나의 모서리부에 형성되고, 자석은 돌출되게 형성되고, 대응되는 부분은 홈이 형성되어 자석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조 전시 패널은 타측면에 문자 또는 도형이 음각되어 코팅된 음각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때, 상기 전시 패널의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투명 커버판은 네 개의 모서리부에서 자석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조 전시 패널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 홈은 상기 전시 박서의 전방면의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단부까지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시 패널에 의해 상기 기념품(예를 들어, 귀금속)이 보호됨에 따라, 기념품의 광택 또는 표면 상태가 손상되는 일 없이 전시 패널에 기념품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금속부 및 자석을 이용해서 베이스판과 투명 커버판를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음각층에 문자 또는 도형 등의 문양을 용이하게 기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신속하고 유연하게 장식판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장식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장식판의 결합 사시도로서, 전시 패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장식판의 결합 사시도로서, 전시 패널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도 4a는 베이스판과 투명커버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의 I-I선 단면도,
도 4b는 베이스판과 투명커버판이 다른 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의 I-I선의 단면도,
도 5는 베이스판의 수용홈의 구조를 명확히 나타내는 도 2의 II-II선 단면도,
도 6은 수용 박스에 보조 전시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장식판(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장식판(200)의 결합 사시도로서, 전시 패널(21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장식판(200)의 결합 사시도로서, 전시 패널(210)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금으로 만든 열쇠(240)를 기념품으로서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장식판(200)은, 기념품을 수용하는 전시 패널(210)과; 이 전시 패널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수용하거나(수납 상태) 또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기립 상태로 수용하는 전시 박스(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시 패널(210)은 판형의 사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각형상의 모서리는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시 박스(25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시 패널(210)은, 기념품이 수용되는, 예를 들어 열쇠 형상의 수용홈(221:제1수용홈)이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판(220)과; 이 베이스판(22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투명 커버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판(220)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면의 4개소의 모서리부에는 제1자석(223)이 매립되어 설치되고(접착부), 상기 베이스판(220)의 모서리부와 대향하는 투명커버판(230)의 타측면의 모서리부에는 제2자석(233:대응 접착부)이 매립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자석은 일극성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자석은 타극성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베이스판(220)과 투명커버판(230)을 근접시키면, 자석들은 상호 접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220)과 투명커버판(230)이 자석(223,233)을 매개로 상호 접합한 상태의 표시 패널(210)의 측면도인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패널(210)의 상부에 있어서는 베이스판의 자석 설치 홈(224)에 제1자석(223)이 함몰된 형태로 매립되고, 이와 대향하는 투명커버판(230)의 자석 설치 홈(234)에는 제2자석(233)이 돌출된 형태로 매립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판(220)과 투명커버판(230)이 접합할 때, 제2자석(233)은 제1자석(223)의 설치 홈(22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자석(223)과 접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합 구조에 의하면, i) 자석의 접합력에 더해서, ii) 자석 설치 홈에 자석이 끼워지는 구조가 동시에 채용됨에 따라, 베이스판(220)과 투명커버판(230)의 접합력이 향상된다. 이 경우, 도 4a 중 상하방향(화살표 방향) 또는 이 상하방향에 직교하는 측면방향(도면 중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베이스판(220)과 투명커버판(230)을 밀더라도, 이들 부재는 상호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a에 있어서, 전시 패널(210)의 하부에 있어서는 베이스판의 자석 설치 홈(224)에는 제1자석(223)이 돌출된 형태로 매립되고, 이와 대향하는 투명커버판(230)의 자석 설치 홈(234)에는 제2자석(233)이 함몰된 형태로 매립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자석(223,233)은 베이스판(220)의 일측면 및 투명커버판(230)의 타측면과 각각 동일 높이로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시 패널(210)의 각 개소마다 구비되는 자석의 설치 홈에 대한 설치 구조를 함몰형, 돌출형 또는 평탄형으로 달리 채용할 수 있다.
통상, 베이스판의 두께가 투명커버판(23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판쪽의 설치홈(224)을 깊게 형성하고, 제1자석(223)을 함몰형으로 형성하고, 투명커버판쪽의 설치홈(234)을 얇게 형성하는 동시에 제2자석(234)을 돌출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자석(233) 및 자석 설치홈(234)은 투명커버판(23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자석(233)은 투명커버판(230)의 일측면 상에서 상부로 돌출할 수 있도록 설치홈(234)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시 패널(210)이 수용 박스(260)에 수납되더라도, 덮개의 안쪽면과 투명커버판(230)의 일측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됨에 따라, 투명커버판(230)에 상처가 발생할 확률이 감소 된다.
도 4b에 있어서는, 상부에 있어서는, 제1자석(223)이 함몰형으로 형성되고, 제2자석(233)이 돌출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투명커버판에 관통형성되고; 하부에 있어서는, 제1자석(223)이 돌출형으로 형성되고, 제2자석(233)이 함몰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투명커버판에 관통형성되고 있다.
또한, 제1자석(223) 또는 제2자석(233) 중 한쪽을 금속으로 구성하고 다른쪽을 자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220)의 일측면 상에는 문자 또는 문양이 인쇄되는 문자판(225)이 추가적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문자판(225)은 투명커버판의 후방면인 타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220)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된 수용홈(221)에 있어서는 기념품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수용홈(221)과 베이스판의 후방면인 타측면을 연통하는 관통공(221a)이 형성되는 한편, 측면 확대 홈(221b)이 구비된다. 이러한 관통공(221a)에는 손가락 또는 막대 등을 삽입할 수 있음에 따라, 기념품을 수용홈(221)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수용홈(221)의 테두리에는 경사면(221c:테이핑면)을 형성함으로써, 수용홈(221)에 대한 기념품의 설치 및 탈착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5에 있어서는, 열쇠 형상으로 기념품 수용홈(221)을 형성하고, 그 수용홈의 길이방향 연장부를 따라 관통공(221a)이 형성되며, 관통공(221a)의 일측면쪽 테두리부에 경사면(221c)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시 박스(250)는, 상기 전시 패널(210)을 수납하는 수용홈(261: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수용 박스(260)와; 이 수용 박스(260)의 테두리부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전시 패널(210)의 수납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261)을 덮고, 상기 전시 패널(210)의 설치 상태에서 수용 박스(260)에 대해서 힌지 회전하여 기립하는 덮개(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있어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수용 박스(250)의 상부가 개구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부인 수용홈(261)이 형성되고, 수용 박스의 상부 표면(261)의 후방측 테두리부에 설치된 경첩(251)를 매개로 수용 박스(260)에 대해서 덮개(270)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덮개(270)는 수용 박스(260)의 일측면인 전방면을 향해 힌지 회전함에 따라 수용홈(261)을 덮고, 타측면인 후방면을 향해 힌지 회전함에 따라 기립되도록 상기 경첩(251)에 의해 수용 박스(260)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다. 한편, 상기 수용홈(261)의 테두리부에는 수용홈에 수납된 전시 패널(21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손가락 또는 막대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이탈홈(2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270)의 내부 표면에는 전시 패널(21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길이방향 연장홈(27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설치 상태의 전시 패널(210)은 상단부가 덮개(270)의 연장홈(271)에 끼워지고, 하단부가 수용홈(261) 내에 지지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박스(260)의 일측면에는, 보조 전시 패널(280)을 탈착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홈(26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시 패널(210)이 수용 박스(250)에 기립되어 설치될 때, 전시 패널의 일측면이 향하는 방향과 보조 전시 패널이 향하는 방향이 동일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가이드홈(265)은, 수용 박스(260)의 전방면에서 도면 중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 단부까지 홈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 전시 패널(280)은, 반투명 재질 또는 일측면에서 볼 때 타측면이 보이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투명한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타측면에는 음각층(283)이 구비된다. 이러한 음각층(283)은 전시 패널(280)의 타측면에 코팅되는, 예를 들어 비닐 또는 아크릴 재질의 불투명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문자 또는 도형 형상으로 상기 불투명 시트층을 절개해서 음각함으로써, 전시 패널의 일측면으로부터 볼 때, 타측면의 음각층(283)의 절개에 의해 형성된 문자 또는 도형을 볼 수 있게 된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음각층(283)에 "GOLD STORE"란 문자가 음각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6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 박스(260)의 전방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65)에 보조 전시 패널(280)이 끼워진 상태가 도시되는 바, 가이드 홈(265)을 둘러싸는 상하부 돌출단(266)의 가이드 홈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 h1가 보조 전시 패널(28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보조 전시 패널(280)이 삽입된 수용 박스의 전방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200 - 장식판, 210 - 전시 패널,
220 - 베이스판, 230 - 투명커버판,
223 - 제1자석, 233 - 제2자석,
240 - 기념품, 250 - 전시 박스.

Claims (5)

  1. 기념품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과 상기 기념품을 이탈하기 위해 제1수용홈에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을 덮는 투명 커버판을 포함하는 전시 패널;
    상기 전시 패널을 수용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된 수용 박스와, 이 수용 박스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수용홈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시 박스; 및
    상기 전시 박스의 전방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조 전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시 패널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투명 커버판이 자석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자석은 상기 베이스판 또는 상기 투명 커버판 중 하나의 모서리부에 형성되고, 자석은 돌출되게 형성되고, 대응되는 부분은 홈이 형성되어 자석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조 전시 패널은 타측면에 문자 또는 도형이 음각되어 코팅된 음각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장식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패널의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투명 커버판은 네 개의 모서리부에서 자석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장식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시 패널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가이드 홈은 상기 전시 박서의 전방면의 좌측 단부로부터 우측단부까지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장식판.
  4. 삭제
  5. 삭제
KR2020110003611U 2011-04-27 2011-04-27 박스형 장식판 KR200457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11U KR200457289Y1 (ko) 2011-04-27 2011-04-27 박스형 장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11U KR200457289Y1 (ko) 2011-04-27 2011-04-27 박스형 장식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289Y1 true KR200457289Y1 (ko) 2011-12-19

Family

ID=4556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611U KR200457289Y1 (ko) 2011-04-27 2011-04-27 박스형 장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28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143B1 (ko) * 2015-02-13 2016-06-20 엔케이골드주식회사 상패
KR200487530Y1 (ko) * 2017-09-29 2018-11-07 주식회사 신우 친환경 화장품 케이스
US10188232B2 (en) 2015-10-16 2019-01-29 Hee Kyung LEE Decorative article with receiving member
KR20220067096A (ko) * 2020-11-17 2022-05-24 반용태 개폐형 액자
KR102448402B1 (ko) * 2022-04-23 2022-09-28 주식회사 글로벌아토 접이식 상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742Y1 (ko) 2002-01-11 2002-04-10 범양산업진흥 주식회사 기념주화 및 메달 진열케이스
KR200378118Y1 (ko) 2004-07-19 2005-03-11 강희인 문구경사각액자
KR200384598Y1 (ko) * 2005-01-07 2005-05-17 정영란 부상품이 내장되는 서랍을 가지는 기념패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742Y1 (ko) 2002-01-11 2002-04-10 범양산업진흥 주식회사 기념주화 및 메달 진열케이스
KR200378118Y1 (ko) 2004-07-19 2005-03-11 강희인 문구경사각액자
KR200384598Y1 (ko) * 2005-01-07 2005-05-17 정영란 부상품이 내장되는 서랍을 가지는 기념패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143B1 (ko) * 2015-02-13 2016-06-20 엔케이골드주식회사 상패
US10188232B2 (en) 2015-10-16 2019-01-29 Hee Kyung LEE Decorative article with receiving member
KR200487530Y1 (ko) * 2017-09-29 2018-11-07 주식회사 신우 친환경 화장품 케이스
KR20220067096A (ko) * 2020-11-17 2022-05-24 반용태 개폐형 액자
KR102610922B1 (ko) * 2020-11-17 2023-12-27 주식회사 생기의집 개폐형 액자
KR102448402B1 (ko) * 2022-04-23 2022-09-28 주식회사 글로벌아토 접이식 상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7289Y1 (ko) 박스형 장식판
KR101865000B1 (ko) 전시물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액자
KR200459793Y1 (ko) 광고용 장식구
KR200458956Y1 (ko) 지지대를 이용한 장식판
KR20120126938A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커버체
USD496689S1 (en) Magnetic display board with transparent and label educational overlays
KR101168934B1 (ko) 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데코레이션 바디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USD577769S1 (en) Double-sided clear writing slate and base
KR20100000881U (ko) 메모지 홀더
KR200466101Y1 (ko) 다기능 메모장
KR200447446Y1 (ko) 인쇄물포켓이 구비된 안경케이스
JP3107285U (ja) 指輪スタンド
KR200383602Y1 (ko) 출석부
KR200286461Y1 (ko) 자석수납필통
KR20100004121U (ko) 부착형 장식구
KR200185136Y1 (ko) 탁상용 카렌다
KR200177874Y1 (ko) 스틸 패치 스티커
KR200393894Y1 (ko) 플라스틱 거울이 부착된 교통카드
KR200290919Y1 (ko) 앨범
JP4697766B2 (ja) 表示窓付きマグネットホルダ
KR20060104674A (ko) 다용도 디스플레이 보드
KR200441765Y1 (ko) 필름보드
KR200385225Y1 (ko) 자동차 번호판의 기입이 가능토록 된 포켓툴로 이루어진 키홀더
KR200423730Y1 (ko) 판지 필통
JP2006051630A (ja) 台紙並びに書籍の表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