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371B1 - 하드 코트 필름 - Google Patents

하드 코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371B1
KR102610371B1 KR1020187024966A KR20187024966A KR102610371B1 KR 102610371 B1 KR102610371 B1 KR 102610371B1 KR 1020187024966 A KR1020187024966 A KR 1020187024966A KR 20187024966 A KR20187024966 A KR 20187024966A KR 102610371 B1 KR102610371 B1 KR 10261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coat
film
optical adjustment
refractive index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465A (ko
Inventor
히로키 호시노
도모오 오루이
사토루 쇼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2464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6103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9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기재 필름 (2) 과, 기재 필름 (2) 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 적층된 광학 조정층 (3) 과, 광학 조정층 (3)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2) 측과는 반대의 주면측에 적층된 하드 코트층 (4) 을 구비하고, 기재 필름 (2) 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이고, 광학 조정층 (3) 의 두께가 30 nm 이상 700 nm 이하인 하드 코트 필름 (1). 이러한 하드 코트 필름 (1) 은, 반복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가짐과 함께, 간섭 무늬가 생기기 어렵다.

Description

하드 코트 필름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하드 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고,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의 사용에 바람직한 하드 코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LCD), 유기 EL 디스플레이 (OELD), 나아가서는 터치 패널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각종 디스플레이의 표면에는, 흠집 발생 방지를 위해서, 기재 필름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한 하드 코트 필름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최근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로서 굴곡 가능한 디스플레이, 이른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만곡시켜 원기둥상의 기둥에 설치하는 거치형 디스플레이용으로서, 혹은 절곡시키거나 말거나 하여 운반할 수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용으로서, 폭넓은 용도가 기대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의 하드 코트 필름으로는, 특허문헌 1 및 2 에 개시되어 있는 하드 코트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1 회만 곡면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문헌 3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복하여 굴곡시키는 (절곡시키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제54681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691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2764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도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종래의 하드 코트 필름을 사용하면, 반복 굴곡시킨 부분에 굴곡 자국이 생기거나 백화하거나 하여, 외관이 저하함과 함께, 디스플레이로서의 시인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하드 코트 필름에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간섭 무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하드 코트 필름에 간섭 무늬가 생기면, 역시 외관이 저하함과 함께, 디스플레이로서의 시인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복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가짐과 함께, 간섭 무늬가 생기기 어려운 하드 코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로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 적층된 광학 조정층과, 상기 광학 조정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필름측과는 반대의 주면측에 적층된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상기 광학 조정층의 굴절률이,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상기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 사이의 값이고, 상기 광학 조정층의 두께가, 30 nm 이상, 70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을 제공한다 (발명 1).
상기 발명 (발명 1) 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은,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임으로써, 내굴곡성이 우수하다. 또, 당해 하드 코트 필름은, 광학 조정층의 굴절률 및 두께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간섭 무늬가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발명 (발명 1) 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 조정층의 굴절률이, 1.45 이상 1.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2).
상기 발명 (발명 1, 2) 에 있어서는, 상기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이, 1.40 이상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3).
상기 발명 (발명 1 ∼ 3) 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 및 상기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의 중앙값과, 상기 광학 조정층의 굴절률의 차가, 절대값으로 0.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4).
상기 발명 (발명 1 ∼ 4) 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5 ㎛ 이상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5).
상기 발명 (발명 1 ∼ 5) 에 있어서는, 상기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0.5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6).
상기 발명 (발명 1 ∼ 6) 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 조정층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7).
상기 발명 (발명 1 ∼ 7) 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 조정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8).
상기 발명 (발명 1 ∼ 8) 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9).
상기 발명 (발명 1 ∼ 9) 에 있어서는,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 10).
본 발명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은, 반복의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을 가짐과 함께, 간섭 무늬가 생기기 어렵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은, 기재 필름 (2) 과, 기재 필름의 일방의 주면측 (도 1 에 있어서의 상측) 에 적층된 광학 조정층 (3) 과, 광학 조정층 (3)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2) 측과는 반대의 주면측 (도 1 에 있어서의 상측) 에 적층된 하드 코트층 (4) 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 기재 필름 (2) 은, 폴리이미드 필름이다. 기재 필름 (2) 이 폴리이미드 필름임으로써, 당해 하드 코트 필름 (1) 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여 반복 굴곡시켰을 때에, 기재 필름 (2) 에 굴곡 자국이 생기거나 백화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되어, 내굴곡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을 사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부분에서 반복 굴곡시켰을 때에, 당해 굴곡 부분에서 외관이 저하하거나, 시인성이 저하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은,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이고, 또한 광학 조정층 (3) 의 두께는, 30 nm 이상, 700 nm 이하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에서는, 광학 조정층 (3) 이 존재하고, 그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이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 (2) 의 굴절률과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의 차, 및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의 차가 각각 작아진다. 이로써, 각 계면에서의 광의 반사가 억제되어, 하드 코트층 (4) 의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광과의 간섭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임으로써, 기재 필름 (2) 의 굴절률 및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의 굴절률차와,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 및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의 굴절률차의 차는 작고, 또한 광학 조정층 (3) 의 두께가 상기와 같이 얇다. 이로써, 기재 필름 (2) 과 광학 조정층 (3) 의 계면에서 반사하는 광의 파동과, 광학 조정층 (3) 과 하드 코트층 (4) 의 계면에서 반사하는 광의 파동이, 상쇄되는 관계가 되기 쉽다. 이들의 작용에 의해,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굴절률의 측정 파장은 589 nm, 측정 온도는 25 ℃ 로 한다. 굴절률의 측정 방법의 자세한 것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광학 조정층 (3) 의 두께가 30 nm 미만이어도, 700 nm 를 초과해도, 상기 간섭 무늬의 발생 억제의 효과는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광학 조정층 (3) 의 두께는 상기 범위로 설정된다. 간섭 무늬의 발생 억제의 관점에서, 광학 조정층 (3) 의 두께는, 5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학 조정층 (3) 의 두께는, 6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찬가지로 간섭 무늬의 발생 억제의 관점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 및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의 중앙값과,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의 차는, 절대값으로 0.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기재 필름 (2) 의 굴절률과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의 차, 및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의 차가 보다 작아져, 반사광이 저감한다. 이것과 함께, 기재 필름 (2) 과 광학 조정층 (3) 의 계면에서 반사하는 광의 위상과, 광학 조정층 (3) 과 하드 코트층 (4) 의 계면에서 반사하는 광의 위상이 어긋나, 서로 광의 파동을 상쇄하는 관계가 되고, 따라서 간섭 무늬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1) 하드 코트 필름의 구성 부재
(1-1) 기재 필름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의 기재 필름 (2) 은,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디스플레이용인 경우에는, 투명하고 황색감이 적은 폴리이미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클리어 또한 색재현성이 높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는, 투명성의 관점에서,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7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5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는, 황색감을 적게 하는 관점에서, 투과 측정법에 의한 L*a*b* 표색계의 b* 의 절대값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b* 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 필름이란, 폴리이미드, 즉 주사슬에 이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머를,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함유하는 필름을 말한다. 또한,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는, 주사슬에 이미드 결합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폴리이미드가 아니고, 그러한 폴리(메트)아크릴이미드 필름을 반복 굴곡시키면, 백화하여 버린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통상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과 디아민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아민) 을 용액 중에서 중합하여 폴리아미드산을 생성한 후, 그 폴리아미드산을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이어서 폴리아미드산 부위를 탈수 폐환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는, 변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에 통상 포함되는 방향 고리는, 지방족 탄화수소로 변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것에 의해 기재 필름 (2) 은, 하드 코트층 (4) 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은, 하한값으로서 통상 1.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이상이다. 또,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은, 상한값으로서 통상 1.8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이하이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형성되는 층 (하드 코트층 (4) 이나, 후술하는 점착제층 등) 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원하는 바에 따라 편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 산화법,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요철화법으로는, 예를 들어 샌드 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는, 하한값으로서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상기 이상임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 (1) 은,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발휘하여, 반복 굴곡시켰을 때에도 파단되거나 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한편,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는, 상한값으로서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 필름은 착색되기 쉽기 때문에,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상기 이하임으로써, 투명성이 확보되고, 또한 상기 b* 값도 낮게 억제되어, 광학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상기 이하이면, 하드 코트 필름 (1) 은, 소정의 유연성을 발휘하여, 굴곡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1-2) 광학 조정층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의 광학 조정층 (3) 은, 기재 필름 (2) 의 일방의 주면측 (도 1 에 있어서의 상측) 에 적층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간섭 무늬의 발생을 억제하는 작용을 발휘한다.
광학 조정층 (3) 의 재료는,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이, 기재 필름 (2) (폴리이미드 필름) 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광학 조정층 (3) 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거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느 조성물도, 굴절률 조정을 위하여, 금속 산화물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학 조정층 (3) 상에는 하드 코트층 (4) 이 형성되지만, 당해 하드 코트층 (4) 용의 도공액에 포함되는 용매가,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 양용매인 경우, 광학 조정층 (3) 과 하드 코트층 (4) 의 계면이 불명료해져, 간섭 무늬를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광학 조정층 (3)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금속 산화물 입자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2-1)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는, 기재 필름 (2)(폴리이미드 필름) 과의 밀착성 및 하드 코트층 (4) 과의 밀착성 (용착성) 이 우수하고, 그 자체가 이접착층 (易接着層) 과 동일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금속 산화물 미립자 등과의 관계에서 전술한 굴절률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밀착성 및 하드 코트층 (4) 과의 용착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하한값으로서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 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가소성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상한값으로서 10 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5 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 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이러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유기 용제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의 용해의 정도가 바람직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와 하드 코트층 (4) 의 용착성이 더욱 높아져, 광학 조정층 (3) 과 하드 코트층 (4) 의 밀착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수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1-2-2)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여, 금속 산화물 미립자 등과의 관계에서 전술한 굴절률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양자를 병용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양방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동일하다.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중에서도, 박막에서의 경화성의 관점에서, 1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3 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1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4 개 이상 갖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광학 조정층 (3) 은 충분히 경화하기 때문에, 그 후의 하드 코트층 (4) 형성 시에, 희석 용제 등에 의해 침식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광학 조정층 (3) 과 하드 코트층 (4) 의 계면에 있어서의 굴절률 구배가 완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광학 조정층 (3) 에 의한 광의 간섭 작용에 의해, 하드 코트층 (4) 표면의 간섭 무늬의 발생을 보다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관능기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이미드 필름과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1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20 개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 조정이 용이하고, 착색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관점에서, 지방족계의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등의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다가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혹은 다가 카르복실산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의 옥시란 고리에,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올리고머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트)아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상의 프리폴리머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1-2-3) 광 중합 개시제
광학 조정층 (3) 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조성물은,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중합시킬 수 있고, 또 중합 경화 시간 및 자외선의 조사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크산톤, 2-에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광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하한값으로서 0.0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한값으로서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2-4) 금속 산화물 미립자
광학 조정층 (3) 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을,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탄탈, 산화아연, 산화인듐, 산화하프늄, 산화세륨, 산화주석, 산화니오브, 주석 도프 산화인듐 (ITO),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ATO) 등의 미립자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탄탈, 산화아연, 산화하프늄, 산화세륨, 산화니오브 등의 천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이들 금속 산화물 미립자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중에서도, 광학 조정층 (3) 에 높은 굴절률을 부여할 수 있음과 함께, 광학 조정층 (3) 의 헤이즈를 향상시키기 어려운, 제 4 족 원소의 산화물 미립자, 구체적으로는 산화지르코늄 미립자 및 산화티탄 미립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산화티탄 미립자의 결정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루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루틸형임으로써, 광 촉매 활성에 의한 광학 조정층 (3) 의 시간 경과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산화지르코늄 미립자 및 산화티탄 미립자는, 표면 처리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규소 등의 산화물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되고, 유기 화합물에 의해 수식되어 있어도 된다. 유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 알칸올아민, 스테아르산, 실란 커플링제, 티타네이트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로부터, 분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효과를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형상은, 구상이어도 되고, 비구상이어도 된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하한값으로서 1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 nm 이상임으로써, 분산성이 향상된다. 또,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상한값으로서 5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500 nm 이하임으로써, 얻어지는 광학 조정층 (3) 에 있어서 광의 산란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광학 조정층 (3) 의 투명성이 높아진다. 또한,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제타 전위 측정법에 의해 일차 입경을 측정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광학 조정층 (3) 에 있어서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은, 광학 조정층 (3) 에 있어서, 하한값으로서 1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2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이 15 질량% 이상임으로써,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을,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기 쉬워진다. 한편,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은, 광학 조정층 (3) 에 있어서, 상한값으로서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6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이 80 질량% 이하임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을,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기 쉬워짐과 함께,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사용한 층 형성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함유량은, 배합 비율로부터 구할 수 있지만, 배합 비율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즉, 하드 코트 필름 (1) 의 광학 조정층 (3) 의 일부를 기재 필름 (2) 으로부터 단편 등으로서 분리하고, 분리한 광학 조정층 (3) 의 단편을 JIS 7250-1 에 따라 유기 성분을 연소시킨다. 그리고, 얻어지는 회분으로부터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질량% 를 구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의 굴절률만으로 조정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첨가는 필요하지 않다. 굴절률이 높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단, 굴절률의 미묘한 조정은,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첨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도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분산제를 사용해도 된다. 분산제로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1-2-5) 기타 성분
본 실시형태의 광학 조정층 (3) 을 구성하는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각종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노화 방지제, 열 중합 금지제, 착색제, 계면 활성제, 보존 안정제, 가소제, 활제, 소포제, 유기계 충전재, 젖음성 개량제, 도면 (塗面) 개량제 등을 들 수 있다.
(1-2-6) 물성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은, 하한값으로서 1.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4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은, 상한값으로서 1.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7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이 되기 쉽다.
(1-3) 하드 코트층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의 하드 코트층 (4) 은, 하드 코트 필름 (1) 에 높은 표면 경도를 부여하여, 내찰상성을 우수한 것으로 한다. 이 하드 코트층 (4) 은,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 및 기재 필름 (2)(폴리이미드 필름) 의 굴절률과, 전술한 관계를 만족하고, 소정의 경도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하드 코트층 (4) 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는, 광학 조정층 (3) 에 사용되는 전술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찰상성의 관점에서, 3 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 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얻어지는 하드 코트 필름 (1) 을 내굴곡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을 가미하면,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분자 내에 함유하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이하 「알킬렌옥사이드 사슬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를 병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사이드 사슬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내굴곡성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 전체에 대한 알킬렌옥사이드 사슬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내찰상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당해 함유량은,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알킬렌옥사이드 사슬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는, 내굴곡성의 개선 효과를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분자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1 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 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병용하는 다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의 상용성을 고려하면, 알킬렌옥사이드 사슬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는, 분자 중에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30 몰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몰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 몰 이하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알킬렌옥사이드 사슬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의 경화를 위해서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은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중합 개시제로는, 광학 조정층 (3) 에 사용되는 전술한 광 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4) 은, 필러를 함유해도 된다. 이로써, 하드 코트층 (4) 에 보다 높은 표면 경도를 부여하여, 내찰상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필러로는, 유기계 필러, 무기계 필러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하드 코트층 (4) 에 보다 높은 표면 경도를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무기계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중합하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에 의해 화학 수식된 무기계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러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필러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게르마늄, 산화인듐, 산화주석, 인듐주석산화물 (ITO), 산화안티몬, 산화세륨 등의 금속 산화물 ; 불화마그네슘, 불화나트륨 등의 금속 불화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러를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광학 특성에 대한 영향이 적은 점에서 실리카 및 산화알루미늄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필러, 특히 실리카 필러의 표면은 화학 수식되어 있어도 되고, 특히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중합하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에 의해 화학 수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 수식의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되지 않고, 일례로서 실란 커플링제 등을 개재하여, 중합성 관능기가 부가된 구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필러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이 화학 결합하여, 그것들 양자 사이에 박리가 생기기 어려워지고, 하드 코트층 (4) 의 경도가 높아지기 쉽다. 이와 같이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에 의해 화학 수식된 필러를 반응성 필러라고 하고, 예를 들어 필러의 종류가 실리카이면, 반응성 실리카 필러라고 한다.
필러의 형상은 구상이어도 되고, 비구상이어도 된다. 비구상인 경우에는, 부정형이어도 되고, 침상, 인편상과 같은 어스펙트비가 높은 형상이어도 된다. 하드 코트층 (4) 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필러는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평균 입경은, 하한값으로서 1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평균 입경이 1 nm 이상임으로써, 분산성이 향상된다. 또, 필러의 평균 입경은, 상한값으로서 5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5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평균 입경이 500 nm 이하임으로써, 얻어지는 하드 코트층 (4) 에 있어서 광의 산란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하드 코트층 (4) 의 투명성이 높아진다. 또한, 필러의 평균 입경은, 제타 전위 측정법에 의해 일차 입경을 측정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하드 코트층 (4) 이 필러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하한값으로서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4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상임으로써, 하드 코트층 (4) 의 경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필러의 함유량은, 하드 코트층 (4) 에 있어서, 상한값으로서 9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함유량이 90 질량% 이하임으로써, 층 형성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하드 코트층 (4) 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전술한 광학 조정층 (3) 에서 사용하는 각종 첨가제와 동일한 각종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은, 하한값으로서 1.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4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은, 상한값으로서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4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과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의 차, 나아가서는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과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의 차를 작게 할 수 있어, 간섭 무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는, 하한값으로서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7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는, 상한값으로서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4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가 0.5 ㎛ 이상이면, 하드 코트층 (4) 의 내찰상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한편, 하드 코트층 (4) 의 두께가 10 ㎛ 이하이면, 하드 코트 필름 (1) 이 굴곡하기 쉬운 것이 되어, 내굴곡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2)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에서는, 일례로서 하드 코트층 (4) 의 형성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처음으로, 광학 조정층 (3) 을 구성하는 조성물 (광학 조정층 (3) 용 조성물) 과, 원하는 바에 따라 추가로 용매를 함유하는 광학 조정층 (3) 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조제한다. 또 동일하게, 하드 코트층 (4) 을 구성하는 조성물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 과, 원하는 바에 따라 추가로 용매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조제한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2-펜탄온, 이소포론,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도공액의 농도·점도로는, 코팅 가능한 범위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기재 필름 (2) 의 일방의 주면에, 상기 광학 조정층 (3) 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광학 조정층 (3) 이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 시점에서 광학 조정층 (3) 이 형성된다. 한편, 광학 조정층 (3) 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포, 건조를 실시하고, 추가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광학 조정층 (3) 용 조성물의 도막이 경화하여, 광학 조정층 (3) 이 형성된다.
계속해서, 그 광학 조정층 (3) 상에 상기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막이 경화하여, 광학 조정층 (3) 의 기재 필름 (2) 과 접하는 측과 반대측에 하드 코트층 (4) 이 형성된다.
도공액의 도포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하면 되고, 예를 들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마이어 바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에 의해 실시하면 된다. 도막의 건조는, 예를 들어 40 ∼ 180 ℃ 에서 30 초 ∼ 5 분 정도 가열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자외선, 전자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 H 램프, 크세논 램프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 50 ∼ 1000 mW/㎠, 광량 50 ∼ 1000 mJ/㎠ 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 ∼ 1000 k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막이 산소로부터 차단된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산소에 의한 경화 저해를 받는 일 없이, 표면 경도가 높은 하드 코트층 (4) 이 효과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드 코트층 (4) 용 조성물의 도막을 산소로부터 차단하려면, 커버 시트를 상기 도막에 적층하거나, 산소 농도가 낮은 분위기하,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하드 코트 필름의 물성
(3-1) 최대 반사율차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는,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된다. 이것은, 육안에 의한 평가 이외에, 최대 반사율차의 측정값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최대 반사율차를 측정하려면, 먼저 필름 법선 방향을 0°로 하여, 입사각 8°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한 광을 적분구에 의해 집광함으로써 반사광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광의 조사는, 파장을 변화시켜 실시하고, 각각의 파장에 대응하는 반사광을 검출한다.
반사광은, 황산바륨 결정에 의한 반사광을 100 으로 한 상대값 (이하, 이것을 「반사율」이라고 한다) 으로서 각 측정 파장에 대응하여 검출된다. 즉, 가로축이 측정 파장이고, 세로축이 반사율인 차트를 얻을 수 있다. 당해 차트는, 복수의 극소값과 극대값을 갖는 물결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다.
여기서, 측정 파장 500 ∼ 600 nm 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차트에 있어서, 인접하는 극대값과 극소값의 차 중, 가장 큰 차를 「최대 반사율차」로서 측정한다. 당해 최대 반사율차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율이 1.5 이하임으로써,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3-2) 최소 맨드릴 직경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는, 반복의 굴곡에 견딜 수 있는 내굴곡성이 우수한 것이지만, 그 굴곡의 정도에 대해서는, 최소 맨드릴 직경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은, JIS K5600-5-1 에 준거한 원 통형 맨드릴법에 의한 내굴곡성 시험에 있어서, 하드 코트층 (4) 에 크랙이나 박리가 일어나지 않았던 맨드릴 중 직경이 최소의 맨드릴의 직경 (최소 맨드릴 직경) 이 14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서는 4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3) 이미지 선명도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은, 간섭 무늬 방지를, 마이크로오더의 미립자를 첨가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 광학 조정층 (3) 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해결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은, 마이크로오더의 미립자를 첨가함으로써 간섭 무늬를 방지하는 경우보다, 이미지 선명도가 우수한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이미지 선명도가 우수한 하드 코트 필름을 디스플레이에 적용한 경우,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미지 선명도는, 4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3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50 %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선명도는, JIS K7374 에 준거하여, 5 종류의 슬릿 (슬릿폭 : 0.125 mm, 0.25 mm, 0.5 mm, 1 mm 및 2 mm) 에서 측정되는 각 이미지 선명도의 합계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3-4) 헤이즈값
디스플레이에 적용했을 때, 보다 선명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관점에서, JIS K7136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하드 코트 필름 (1) 의 헤이즈값을 1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8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5 %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3-5) 60°광택도
디스플레이에 적용했을 때, 보다 선명한 화상을 표시시키는 관점에서,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3) 의 JIS Z8741-1997 에 준거한 60°광택도 (글로스값) 를, 100 %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 %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0 %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4) 다른 실시형태-1
상기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2) 의 타방의 주면측 (상기 광학 조정층 (3) 및 하드 코트층 (4) 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측)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드 코트 필름 (1) 과 동일하게, 광학 조정층 (3) 및 하드 코트층 (4) 이 그 순서로 적층되어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하드 코트 필름의 부호를 「1A」로 기재한다). 이와 같이, 기재 필름 (2) 의 타방의 주면측에도 광학 조정층 (3) 및 하드 코트층 (4) 이 적층됨으로써, 간섭 무늬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기재 필름 (2) 의 타방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내찰상성이 향상된다. 또, 기재 필름 (2) 의 타방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4)(및 광학 조정층 (3)) 의 경화 수축에 의해, 기재 필름 (2) 의 일방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4)(및 광학 조정층 (3)) 의 경화 수축을 상쇄하여, 하드 코트 필름 (1A) 의 컬을 억제할 수 있다.
기재 필름 (2) 의 타방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광학 조정층 (3) 및 하드 코트층 (4) 은, 기재 필름 (2) 의 일방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광학 조정층 (3) 및 하드 코트층 (4) 과 동일한 재료 또는 두께로 되어도 되고, 상이한 재료 또는 두께로 되어도 된다. 단, 기재 필름 (2) 의 타방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광학 조정층 (3) 의 굴절률은,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하드 코트층 (4) 의 굴절률 사이의 값이고, 또한 광학 조정층 (3) 의 두께는, 30 nm 이상 7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A) 은,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하드 코트 필름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 기재 필름 (2) 의 일방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4)(및 광학 조정층 (3)) 의 경화와, 기재 필름 (2) 의 타방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4)(및 광학 조정층 (3)) 의 경화는, 동시에 실시해도 되고, 따로따로 실시해도 된다.
(5) 다른 실시형태-2
하드 코트 필름 (1) 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 (2) 의 타방의 주면측 (광학 조정층 (3) 및 하드 코트층 (4) 이 적층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측) 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 (5) 이 적층되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하드 코트 필름의 부호를 「1B」로 기재한다). 이와 같은 점착제층 (5) 이 적층됨으로써, 하드 코트 필름 (1B) 을 원하는 피착체에 간이하게 첩부 (貼付)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하게 하드 코트 필름 (1A) 의 일방의 주면측 및/또는 타방의 주면측에 있어서의 하드 코트층 (4) 의 광학 조정층 (3) 측과는 반대측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도 된다.
점착제층 (5) 을 구성하는 점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 공지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 (5)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 ∼ 100 ㎛, 바람직하게는 10 ∼ 60 ㎛ 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B) 은, 기본적으로는 전술한 하드 코트 필름 (1) 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층 (5) 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형성하면 된다.
또한, 점착제층 (5) 의 노출면 (기재 필름 (2) 측과는 반대측의 면) 에는, 박리 시트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6) 다른 실시형태-3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에는, 다른 층, 예를 들어 점접착제층, 배리어층, 도전층, 저반사층, 이인쇄층 (易印刷層), 방오층 등이 적층되어도 된다.
(7) 하드 코트 필름의 용도
이상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드 코트 필름 (1, 1A, 1B) 은, 예를 들어 각종 전자기기, 특히 모바일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체적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 유기 EL 디스플레이 (OELD), 전자 페이퍼 모듈 (필름상 전자 페이퍼) 등의 각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표층 (보호 필름) 또는 중간층의 플렉시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어, 하드 코트 필름 (1, 1A, 1B) 에 있어서의 각 층의 사이에는,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다른 층이 개재되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기재 필름의 제작 1)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매 중에서,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및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산 2 무수물을, 냉각하에서 혼합 용해하고, 그 후 상온에서 10 시간 교반함으로써, 폴리아미드산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아미드산 용액에, 무수 아세트산 및 피리딘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유리판 상에 도공하고, 상온으로부터 180 ℃ 까지 천천히 승온시켰다. 180 ℃ 도달 후, 일정 시간 가열하고, 그 후 진공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휘발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진공하에서 상온까지 냉각함으로써, 막두께 25 ㎛ 의 폴리이미드 필름 A 를 얻었다. 당해 폴리이미드 필름 A 에 대해 측정한 바, b* 는 0.61, 굴절률은 1.62,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90 % 였다.
또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막두께는, JIS K7130 에 준거하여, 정압 두께 측정기 (텍록사 제조, 제품명 「PG-02」)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b* 에 대해서는, JIS Z8722 에 따라, 측정 장치로서 동시 측정 방식 분광식 색차계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SQ-2000」), 광원으로서 C 광원 2°시야 (C/2) 를 이용하고, 투과 측정법에 의해 L*a*b* 표색계의 b* 를 측정하였다.
상기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투과율은, 자외선 가시 근적외 분광 투과율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제품명 「UV360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예 2〕(기재 필름의 제작 2)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용매 중에서,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및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산 2 무수물의 배합 비율을 변경함과 함께, 얻어진 폴리이미드 도공액의 농도를 조정하는 이외, 제조예 1 과 동일한 제작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막두께가 15 ㎛, b* 가 2.25, 굴절률이 1.70,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87 % 인 폴리이미드 필름 B 를 얻었다 (측정 방법은 상기와 같음).
〔실시예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서의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00 질량부 (고형분 환산 ; 이하 동일) 와, 금속 산화물 미립자로서의 표면 수식 산화 지르코늄 미립자 (CIK 나노텍사 제조, 제품명 「ZRMIBK15WT%-F85」, 평균 입경 : 15 nm) 85 질량부와, 광 중합 개시제로서의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5 질량부를,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시클로헥산온을 1 : 1 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 중에서 교반 혼합하여, 광학 조정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얻었다.
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으로서의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40 질량부와, 필러로서의 반응성 실리카 필러 (평균 입경 : 15 nm) 60 질량부와, 광 중합 개시제로서의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0 질량부의 혼합물을,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시클로헥산온을 1 : 1 의 질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 중에서 교반하여,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얻었다.
이어서, 기재 필름으로서의 폴리이미드 필름 A 의 편면에, 마이어 바를 사용하여 상기 광학 조정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공하고, 50 ℃ 에서 1 분간 가열 건조시켰다. 그 후, 상기 광학 조정층용 조성물의 도막측으로부터 이하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광학 조정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경화시켜, 두께 327 nm 의 광학 조정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형성된 광학 조정층 상에, 마이어 바를 사용하여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공액을 도공하고, 70 ℃ 에서 1 분간 가열 건조시켰다. 그 후, 상기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측으로부터 이하의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경화시켜, 두께 5 ㎛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얻었다.
<자외선 조사 조건>
·자외선 조사 장치 : 지에스유아사 코포레이션사 제조 자외선 조사 장치
·광원 : 고압 수은등
·램프 전력 : 1.4 kW
·조도 : 100 mW/㎠
·광량 : 240 mJ/㎠
·컨베이어 스피드 : 1.2 m/min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 조사 (산소 농도 1 % 이하)
〔실시예 2 ∼ 7, 비교예 1 ∼ 5〕
광학 조정층용 조성물 및 하드 코트층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종류 및 배합 비율, 광학 조정층 및 하드 코트층의 두께, 그리고 기재 필름의 종류 및 두께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하드 코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 실시예 3 및 7 에 있어서의 광학 조정층의 형성 시에는, 자외선 조사는 실시하지 않았다.
또한, 표 1 에 기재된 약호 등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A :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B : 폴리에스테르 수지 (열가소성 수지)(토요보사 제조, 제품명 「바이론 200」, 수평균 분자량 : 17000)
C : 표면 수식 산화지르코늄 미립자 (CIK 나노텍사 제조, 제품명 「ZRMIBK15WT%-F85」, 평균 입경 : 15 nm)
D :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E :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40 질량부, 반응성 실리카 필러 (평균 입경 : 15 nm) 60 질량부 및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0 질량부의 혼합물
F :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12 몰 도입)
PI-25 : 폴리이미드 필름 A
PI-15 : 폴리이미드 필름 B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미츠비시 수지사 제조, 제품명 「다이아포일 T-60」, 두께 : 50 ㎛)
〔시험예 1〕(굴절률의 측정)
(1) 기재 필름의 굴절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기재 필름의 굴절률을, 측정 파장 589 nm, 측정 온도 25 ℃ 의 조건으로, 아베 굴절률계 (아타고사 제조, 제품명 「다파장 아베 굴절률계 DR-M2」) 를 사용하여, JIS K7142 (2008) 에 준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2) 광학 조정층 및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
편면이 이접착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토요보사 제조, 제품명 「코스모샤인 A4100」, 두께 : 50 ㎛) 의 미처리면에, 실시예 및 비교예와 동일하게 하여, 두께 200 nm 의 광학 조정층 또는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이접착 처리면을 사포로 문지르고, 유성 펜 (제브라사 제조, 제품명 「맥키흑」) 으로 흑색으로 전체면 칠하였다.
그 후, 상기 광학 조정층 및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을, 측정 파장 589 nm, 측정 온도 25 ℃ 의 조건으로, 분광 엘립소미터 (J. A. WOOLLAM 사 제조, 제품명 「M-2000」」) 를 사용하여, JIS K7142 (2008) 에 준해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3) 굴절률차의 산출
상기에서 측정한 기재 필름의 굴절률 및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의 중앙값 (= (기재 필름의 굴절률 +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2) 을 산출하고, 얻어진 중앙값으로부터 광학 조정층의 굴절률을 빼, 굴절률차를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2〕(간섭 무늬의 평가)
(1) 육안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을, 양면 점착 시트 (린텍사 제조, 제품명 「OPTERIA MO-3006C」, 두께 : 25 ㎛) 를 개재하여 흑색의 아크릴판 (미츠비시 레이온사 제조, 제품명 「아크릴라이트 L502」) 에 첩부하였다. 이때, 하드 코트 필름의 기재 필름이 아크릴판에 접촉하도록 첩부하였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 3 파장 형광등 하에서 하드 코트층측으로부터 육안에 의해 간섭 무늬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양호 (◎) : 간섭 무늬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대체로 양호 (○) : 간섭 무늬가 잘 보이지 않는다
약간 불량 (△) : 간섭 무늬가 보인다
불량 (×) : 간섭 무늬가 분명히 보인다
(2) 최대 반사율차의 측정
(1) 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대해, 이하의 조건으로, 분광 광도계로 반사율 스펙트럼의 파장 500 ∼ 600 nm 사이에서의 최대 반사율차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측정 조건>
·분광 광도계 :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제품명 「자외 가시 근적외 분광 광도계 UV-3600」
·시료 폴더 :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제품명 「대형 시료실 MPC-3100」
·적분구 :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제품명 「적분구 부속 장치 ISR-3100」
·입사각 : 8°
〔시험예 3〕(내찰상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 표면에 대해, #0000 의 스틸울을 사용하여, 125 g중/㎠ 의 하중으로 10 왕복 문지르고, 길이 100 mm, 폭 20 mm 의 범위를 시험 범위로 하였다. 그 시험 범위에 있어서의 흠집 갯수를, 3 파장 형광등 하에서 육안에 의해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내찰상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흠집 갯수가 20 개 미만이었다.
× : 흠집 갯수가 20 개 이상이었다.
〔시험예 4〕(맨드릴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원통형 맨드릴 굴곡 시험기 (코테크사 제조) 를 사용하여, JIS K5600-5-1 에 준거한 맨드릴 시험을 실시하였다. 당해 맨드릴 시험은, 하드 코트 필름의 하드 코트층을 외측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하드 코트층 및 광학 조정층에 크랙이나 박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던 맨드릴 중 직경이 최소인 맨드릴의 직경 (최소 맨드릴 직경) 을 구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5〕(내굴곡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내구 시험기 (유아사시스템 기기사 제조, 제품명 「면상체 무부하 U 자 신축 시험기 DLDMLH-FS」) 를 이용하고, 하드 코트층을 외측으로 하여, 시험 속도 60 mm/s 로, 시험 횟수 (왕복수) 및 굴곡 직경을 여러 가지 변경하여, 반복 굴곡시켰다. 그리고, 하드 코트층 및 광학 조정층의 크랙·박리나, 하드 코트 필름의 백화·굴곡 자국의 발생 등의 불량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내굴곡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굴곡 직경 5 mm 이하, 또한 시험 횟수 2 만회 이상에서도 불량의 발생이 없었다.
○ : 굴곡 직경 10 mm 이하, 또한 시험 횟수 2 만회 이상에서도 불량의 발생이 없었다.
× : ○ 의 기준에 미달이었다.
〔시험예 6〕(이미지 선명도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사상성 (寫像性) 측정기 (스가 시험기사 제조, 제품명 「ICM-10P」) 를 사용하고, JIS K7374 에 준거해, 5 종류의 슬릿 (슬릿폭 : 0.125 mm, 0.25 mm, 0.5 mm, 1 mm 및 2 mm) 의 합계값을 이미지 선명도 (%) 로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이미지 선명도 400 % 미만을 ×, 400 % 이상 450 % 미만을 ○, 450 % 이상을 ◎ 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7〕(헤이즈값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헤이즈 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제품명 「NDH5000」) 를 이용하고, JIS K7136 에 준거하여 헤이즈값 (%) 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헤이즈값 1 % 초과를 ×, 1 % 이하 0.5 % 초과를 ○, 0.5 % 이하를 ◎ 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8〕(60°광택도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하드 코트 필름에 대해, 글로스미터 (닛폰 전색 공업사 제조) 를 사용하고, JIS Z8741-1997 에 준거해 60°광택도 (글로스값) 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에 근거하여, 60°광택도 100 % 미만을 ×, 100 % 이상 140 % 미만을 ○, 140 % 이상을 ◎ 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8085851752-pct00001
Figure 112018085851752-pct00002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하드 코트 필름은, 내찰상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함과 함께,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간섭 무늬가 생기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의 하드 코트 필름은, 반복 굴곡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부재, 특히 표층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1, 1A, 1B : 하드 코트 필름
2 : 기재 필름
3 : 광학 조정층
4 : 하드 코트층
5 : 점착제층

Claims (11)

  1.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 적층된 광학 조정층과, 상기 광학 조정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필름측과는 반대의 주면측에 적층된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상기 광학 조정층의 굴절률이,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상기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 사이의 값이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이, 1.40 이상 1.60 이하이고,
    상기 광학 조정층의 두께가, 30 nm 이상 700 nm 이하이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0.5 ㎛ 이상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조정층의 굴절률이, 1.45 이상 1.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 및 상기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의 중앙값과, 상기 광학 조정층의 굴절률의 차가, 절대값으로 0.0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두께가, 5 ㎛ 이상 3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조정층이,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조정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플렉시블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10.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11.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주면측에 적층된 광학 조정층과, 상기 광학 조정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필름측과는 반대의 주면측에 적층된 하드 코트층 (수성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을 제외한다) 을 구비한 하드 코트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이미드 필름이고,
    상기 광학 조정층의 굴절률이,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굴절률과 상기 하드 코트층의 굴절률 사이의 값이고,
    상기 광학 조정층의 두께가, 30 nm 이상 700 nm 이하이고,
    상기 하드 코트층의 두께가, 0.5 ㎛ 이상 1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코트 필름.
KR1020187024966A 2016-08-23 2016-08-23 하드 코트 필름 KR102610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4568 WO2018037490A1 (ja) 2016-08-23 2016-08-23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465A KR20190039465A (ko) 2019-04-12
KR102610371B1 true KR102610371B1 (ko) 2023-12-05

Family

ID=6124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966A KR102610371B1 (ko) 2016-08-23 2016-08-23 하드 코트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07205B1 (ko)
KR (1) KR102610371B1 (ko)
CN (1) CN109073788B (ko)
TW (1) TWI787182B (ko)
WO (1) WO2018037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0701B2 (ja) * 2017-04-13 2022-0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30171478A (ko) 2017-10-27 2023-12-2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시블 커버 렌즈 막들
KR20200142594A (ko) 2018-05-10 2020-12-22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교체가능한 커버 렌즈
JP2021536030A (ja) 2018-08-14 2021-12-23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 Incorporated フレキシブルカバーレンズのための多層乾湿ハードコート
KR20200040137A (ko) 2018-10-08 2020-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 필름, 및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173748A (ko) 2019-06-26 2023-12-27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폴더블 디스플레이들을 위한 플렉서블 다층 커버 렌즈 스택들
WO2021010159A1 (ja) * 2019-07-12 2021-01-21 東洋紡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ディスプレイ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とその用途
CN111086307A (zh) * 2020-01-03 2020-05-01 湖南中天碧水膜科技有限公司 一种消影膜及其贴合保护膜的方法
JP7366285B2 (ja) * 2020-03-26 2023-10-20 コーロ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ク フォルディング後の復元力に優れた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4529A (ja) * 2004-01-21 2005-09-02 Seiko Epson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
WO2016076243A1 (ja) * 2014-11-10 2016-05-19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光学部材、表示部材、前面板、及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402A (ja) * 1989-06-23 1991-02-04 Nippon Zeon Co Ltd 防眩フィルター
KR100944920B1 (ko) * 2001-09-03 2010-03-03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이를 사용한 투명 터치패널
JP2005234528A (ja) * 2004-01-21 2005-09-02 Seiko Epson Corp 光学素子およ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05275391A (ja) * 2004-02-27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20060134400A1 (en) * 2004-12-17 2006-06-22 Nitto Denko Corporation Hard-coated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526126B2 (ja) * 2004-12-17 2010-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3392A (ja) * 2005-07-25 2007-09-13 Hitachi Maxell Ltd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用パネル
TW200717016A (en) * 2005-07-25 2007-05-01 Hitachi Maxell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panel using the same
CN101680968A (zh) * 2008-03-21 2010-03-24 木本股份有限公司 光学用薄膜、层叠体及触摸面板
US8611010B2 (en) * 2008-09-30 2013-12-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bstrate comprising unmatched refractive index primer at optically significant thickness
JP5555082B2 (ja) * 2010-07-20 2014-07-23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透明被膜形成用塗布液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
JP5703187B2 (ja) * 2010-10-14 2015-04-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973442B2 (ja) * 2011-08-08 2016-08-23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透明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太陽電池及び表示装置
JP5468167B1 (ja) 2013-05-20 2014-04-09 尾池工業株式会社 積層体
JP2015069197A (ja) 2013-10-01 2015-04-13 Dic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6002764A (ja) * 2014-06-19 2016-01-12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体及びその用途、並びに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6090728A (ja) * 2014-10-31 2016-05-23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4529A (ja) * 2004-01-21 2005-09-02 Seiko Epson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
WO2016076243A1 (ja) * 2014-11-10 2016-05-19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光学部材、表示部材、前面板、及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465A (ko) 2019-04-12
CN109073788B (zh) 2023-09-01
JP6307205B1 (ja) 2018-04-04
WO2018037490A1 (ja) 2018-03-01
CN109073788A (zh) 2018-12-21
TW201807435A (zh) 2018-03-01
TWI787182B (zh) 2022-12-21
JPWO2018037490A1 (ja)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371B1 (ko) 하드 코트 필름
KR102619222B1 (ko) 하드 코트 필름
KR102610461B1 (ko) 하드코트 필름
JP6345894B1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
JP6532929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3862941B2 (ja) 高精細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7182080A (ja)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486840B2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07127823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04086196A (ja) 減反射材料用低屈折率層、それを備えた減反射材料及びその用途
JP4432544B2 (ja) ハードコート多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建材窓ガラス、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KR20220066829A (ko) 방현성 반사 방지 시트 및 반사 방지층 적층용 방현성 시트
JP4543609B2 (ja) 反射型ディスプレイ
JP7067900B2 (ja) コートフィルム
KR20090035233A (ko) 반사외관이 우수한 디스플레이용 하드코팅필름
JP2022079918A (ja) 成形用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