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225B1 -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 - Google Patents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225B1
KR102610225B1 KR1020210089082A KR20210089082A KR102610225B1 KR 102610225 B1 KR102610225 B1 KR 102610225B1 KR 1020210089082 A KR1020210089082 A KR 1020210089082A KR 20210089082 A KR20210089082 A KR 20210089082A KR 102610225 B1 KR102610225 B1 KR 10261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flower
foliage
dried
cont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8942A (ko
Inventor
이유석
이선경
지수현
김표현
김명석
권오도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21008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225B1/ko
Publication of KR2023000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홍화 경엽이 가지고 있는 무기질 함량, 항산화 효과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홍화 경엽을 덖음 처리하는 단계; 및 덖음처리된 홍화 경엽을 수분 함량 20% 이하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Safflower leaf and stem dried herbs manufacturing method and dried herbs thereof}
본 발명은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에 관한 것이다.
홍화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safflower, 잇꽃, 잇나물이라고도 불리며 학명은 Carthamus tinctorius L. 이다. 홍화의 원산지는 이집트 또는 메소포타미아 지방이라고 추정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중국, 일본, 미국, 멕시코, 터키 등 많은 지역에서 경작하고 있다. 홍화는 따뜻한 기후에서 자라는 작물로서, 2월에 파종하여 6~7월경에 꽃이 피고 7~8월경에 씨가 익는다.
홍화 경엽은 골절 및 골다공증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홍화 씨 재배 부산물로 무기질이 풍부하고, 식감이 우수하나 현재 식소재로 사용 가능하나 이용되지 않고 있어, 이를 이용한 식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781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홍화 경엽이 가지고 있는 무기질 함량, 항산화 효과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홍화 경엽을 덖음 처리하는 단계; 및 덖음처리 된 홍화 경엽을 수분 함량 20% 이하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이다.
상기 홍화 경엽의 길이는 20~40cm일 수 있다.
상기 덖음 처리하는 단계는 90~110℃에서 1~4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40~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홍화 경엽 건나물은 홍화 경엽 대비 무기질 함량,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3,5-디-카페오일퀴닉산(3,5-di-caffeoylquinic acid)의 함량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 방법은, 홍화 경엽을 특정 온도에서 덖음 후, 건조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홍화 경엽을 덖음 처리하는 단계; 및 덖음처리 된 홍화 경엽을 수분 함량 20% 이하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이다.
상기 홍화 경엽은 골절 및 골다공증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홍화 씨 재배 부산물로서, 홍화의 잎과 식물을 일컫는다. 상기 홍화 경엽은 무기질이 풍부하고, 식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홍화 경엽의 길이는 20~40c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35cm일 수 있다. 상기 홍화 경엽의 길이가 20cm 미만이면, 경엽의 조직이 너무 약해 데치거나 덖음 처리 시 외관 및 품질이 저하되어 소비자 기호도가 저하되거나 탈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적을 수 있으며, 40cm를 초과하면 건나물로 제조 시 경화되어 질겨지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은 무기질 및 3,5-디-카페오일퀴닉산(3,5-di-caffeoylquinic acid)일 수 있으며, 상기 홍화 경엽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덖음은 홍화 경엽 내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수분 함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90~110℃에서 5~8분간, 1~4회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4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덖음 시 온도가 90℃ 미만 또는 5분 미만이거나, 덖음을 수행하지 않으면,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크게 증가되지 않거나, 건조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덖음처리로 인한 구수한 풍미를 느낄 수 없으며, 8분 초과 또는 110℃를 초과하거나, 횟수가 4회를 초과하면, 홍화 경엽이 타거나, 기능성 물질의 함량의 증진량이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는 덖음처리된 홍화 경엽의 수분 함량이 20%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15%가 될 때까지 수행될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는 40~80℃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건조 단계의 온도가 40℃ 미만이면,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크게 증가되지 않거나, 건조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80℃를 초과하면, 덖음처리된 홍화 경엽이 타거나, 기능성 물질의 함량의 증진량이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은 홍화 경엽 대비 무기질 함량 및 3,5-디-카페오일퀴닉산(3,5-di-caffeoylquinic acid)의 함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질은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및 아연(Zn)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의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로서, 홍화 경엽 대비 무기질 함량 및 3,5-디-카페오일퀴닉산(3,5-di-caffeoylquinic acid)의 함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9
홍화 경엽을 100℃에서 30초간 데친다. 이후, 데친 홍화 경엽을 차 덖음기를 이용하여, 덖음을 실시하고, 열풍건조기(C-DF2, Changsin, Lab, Korea)를 이용하여 건조한다. 홍화 경엽의 길이, 덖음 및 건조 조건과 수분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잎의 길이
(cm)
덖음회수
(회)
덖음 후 수분함량(%) 건조온도(℃) 건조 후
수분함량
(%)
건조시간
(min)
실시예 1 15 1 80.5±1.01 40 14.0±1.13 210
실시예 2 15 80.5±1.01 50 19.2±0.31 135
실시예 3 15 80.5±1.01 60 16.9±0.81 120
실시예 4 15 2 71.3±1.13 40 18.8±0.42 120
실시예 5 15 71.3±1.13 50 13.3±0.26 105
실시예 6 15 71.3±1.13 60 12.1±0.46 90
실시예 7 15 3 63.5±0.81 40 15.7±0.81 75
실시예 8 15 63.5±0.81 50 12.8±0.86 60
실시예 9 15 63.5±0.81 60 10.6±0.48 50
실시예 10 30 2회 62.5±1.3 40 13.2±1.67 120
실시예 11 30 62.5±1.3 50 12.5±2.25 105
실시예 12 30 62.5±1.3 60 9.3±1.24 90
실시예 13 30 3회 58.2±2.0 40 11.3±2.97 65
실시예 14 30 58.2±2.0 50 12.2±1.24 60
실시예 15 30 58.2±2.0 60 12.6±0.69 25
실시예 16 30 4회 36.0±2.4 40 12.3±2.29 50
실시예 17 30 36.0±2.4 50 11.6±1.33 35
실시예 18 30 36.0±2.4 60 10.1±0.75 20
비교예 1
약 30cm의 홍화 경엽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약 15cm의 홍화 경엽을 준비하였다.
통계처리
분석 결과는 모두 3회 반복 측정하며 XLSTAT-Base program(Ver. Perpetual, Addinsoft Inc., NY, USA)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한다. 실험군간 비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p<0.05, p<0.001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평균치 간의 유의성을 검정한다.
실험예 1: 홍화 경엽 덖음조건별 무기질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 따라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의 무기질 함량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측정방법]
무기질 함량 : 무기질 측정방법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습식분해 후 ICP-OES로 정량분석하였다. 이때 사용된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및 아연(Zn) 무기질의 표준 용액은 Wako 사의 1,000ppm의 표준용액을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홍화 경엽 건나물을 도가니에 담아 예비 탄화하고, 550℃에서 완전 회화(灰化)한 후 50% HCL 10㎖에 용해하고 수욕상에서 증발 건조시킨 후, 다시 25% HCL에 녹여 가열한 다음 0.5N HNO3 용액에 녹여 25㎖로 정용한 용액을 ICP-OES로 정량분석하였다.
구 분 무기질 (mg/100 g)
Ca K Mg Zn
실시예 1 918±1 2,194±2 235±1 2.7±0.05
실시예 2 916±5 2,312±8 239±2 2.6±0.01
실시예 3 906±1 2,261±3 238±0 2.6±0.01
실시예 4 880±2 2,140±6 231±1 2.6±0.01
실시예 5 904±1 2,245±9 234±1 2.9±0.01
실시예 6 964±4 2,298±12 260±2 2.9±0.02
실시예 7 863±2 2,226±8 228±1 2.6±0.00
실시예 8 966±12 2,295±2 251±1 2.5±0.01
실시예 9 1015±2 2,409±6 265±3 2.8±0.01
실시예 10 1,066±1 1,765±3 289±3 2.9±0.01
실시예 11 1,110±4 1,741±7 284±1 2.7±0.04
실시예 12 1,226±1 2,150±8 309±3 3.0±0.03
실시예 13 1,169±5 1,891±13 322±4 3.1±0.02
실시예 14 1,172±1 1,802±2 301±1 2.9±0.01
실시예 15 1,171±1 1,951±2 300±1 3.7±0.02
실시예 16 1,035±30 1,850±4 306±1 3.0±0.02
실시예 17 1,064±2 2,123±8 291±2 2.9±0.04
실시예 18 1,187±2 2,122±6 317±2 3.5±0.03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약 15cm의 홍화 경엽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9)보다 약 30cm의 홍화 경엽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0 내지 18)의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아연(Zn) 함량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건조 온도가 60℃일 때의 무기질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홍화 경엽 덖음조건별 녹색도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 따라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의 녹색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대조구로 비교예 1을 사용하였다.
[측정방법]
녹색도 측정방법 : 클로로필 함량은 비색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를 80% 아세톤(acetone)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엽록소 a: 663 nm, b: 646 nm, 총 엽록소: 652 nm에서 흡광도 측정 후 계산식에 의해 환산하였다.
Chlorophyll a = 12.7*663nm - 2.69*645nm
Chlorophyll b = 22.9*645nm - 4.68*663nm
Total Chlorophyll = 8.02*663nm + 20.20*645nm
녹색도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L, a, b 값을 측정하고 여기에서 측정된 a값의 절대값으로 표기하였다(즉, -a).
구 분 Chlorophyll(mg/100 g) 녹색도
a b Total
비교예 1 118 184 302±0.9 0.54±0.02
실시예 1 95 300 395±1.6 0.40±0.03
실시예 2 92 297 389±0.8 0.89±0.11
실시예 3 95 303 398±1.5 1.29±0.14
실시예 4 80 247 326±1.2 -1.07±0.05
실시예 5 98 294 392±1.3 0.25±0.03
실시예 6 93 285 379±0.9 0.06±0.02
실시예 7 84 272 356±0.7 -0.51±0.15
실시예 8 117 357 474±0.6 1.54±0.06
실시예 9 107 332 439±0.7 0.87±0.10
실시예 10 168 439 607±0.9 1.72±0.10
실시예 11 168 440 608±1.4 1.58±0.05
실시예 12 168 436 604±0.9 3.49±0.09
실시예 13 171 443 614±0.6 1.90±0.08
실시예 14 170 443 614±1.1 1.74±0.05
실시예 15 169 438 608±1.8 2.15±0.04
실시예 16 170 442 613±1.2 1.95±0.10
실시예 17 164 439 603±1.3 0.71±0.03
실시예 18 176 444 620±1.5 2.54±0.02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약 15cm의 홍화 경엽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9)보다 약 30cm의 홍화 경엽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0 내지 18)의 녹색도 수치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건조 온도가 60℃일 때의 녹색도 수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홍화 경엽 덖음조건별 항산화효능 및 기능성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 따라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의 항산화 효능(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3,5-디-카페오일퀴닉산(3,5-di-caffeoylquinic acid)의 함량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대조구로 비교예 1을 사용하였다.
[측정방법]
항산화 효능(ABTS 라디칼 소거 활성) : ABTS radical scavenging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시료를 에탄올로 추출하고 ABTS 시약을 넣고 암소에 방치 후 spectrophotometer로 7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표준품은 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측정값을 ascorbic acid 함량으로 환산하였다.
3,5-디-카페오일퀴닉산(3,5-di-caffeoylquinic acid)의 함량 : 시료 1 g을 70% ethanol로 환류추출(70℃, 4 hr)하여 No.2 여과지로 여과 후 0.45 um syringe filter 후 HPLC로 분석하였다.
구 분 항산화효능
(ABTS cation radical scavening activity, VitC.eq mg/100 g)
3,5-di-caffeoylquinic acid
(㎎/100 g)
비교예 1 105±4.9 128±0.59
실시예 1 229±5.6 262±1.54
실시예 2 315±4.3 279±3.88
실시예 3 313±2.7 256±2.10
실시예 4 190±3.1 149±2.69
실시예 5 173±3.3 156±1.82
실시예 6 199±7.89 174±3.60
실시예 7 310±3.5 303±4.08
실시예 8 336±5.9 304±3.31
실시예 9 326±4.3 280±3.66
실시예 10 358±8.6 342±2.41
실시예 11 362±8.9 352±11.08
실시예 12 353±9.2 347±4.51
실시예 13 366±5.1 352±5.77
실시예 14 367±4.2 356±2.47
실시예 15 353±6.9 352±5.24
실시예 16 373±8.3 323±6.46
실시예 17 376±8.2 357±3.89
실시예 18 355±6.6 347±9.74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약 15cm의 홍화 경엽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9)보다 약 30cm의 홍화 경엽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0 내지 18)의 항산화 효능 및 3,5-디-카페오일퀴닉산(3,5-di-caffeoylquinic acid)의 함량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건조 온도가 60℃일 때의 항산화 효능 및 3,5-디-카페오일퀴닉산(3,5-di-caffeoylquin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홍화 경엽 덖음조건별 기호도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 따라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의 소비자 기호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대조구로 비교예 1 및 2를 사용하였다.
[측정방법]
소비자 기호도 : 8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평가 전에 각 평가 항목에 대한 관능 평가 교육을 실시한 후 시제품 1개에 대해 열수 70~100mL를 가하여 5분 방치 후 색(Color), 향(Flavor), 맛(Taste), 복원력 및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를 7점 척도법으로 조사하였다.
구 분 관능평가 선호도(순위)
외관 복원력
비교예 1 2.7e 2.6e 2.6e 3.0b 10.0h
실시예 1 3.2d 3.1d 3.3d 6.2a 8.4g
실시예 2 4.3c 4.2c 4.1c 6.2a 6.6f
실시예 3 5.8a 5.6a 4.8b 6.2a 3.9c
실시예 4 4.2c 3.8cd 4.1c 6.2a 6.9f
실시예 5 4.4bc 4.3c 4.3c 6.2a 5.6e
실시예 6 5.7a 5.7a 5.3a 6.2a 2.4b
실시예 7 4.1c 4.2c 4.4c 6.2a 4.8d
실시예 8 4.7b 4.9b 5.1ab 6.2a 4.0c
실시예 9 5.9a 5.4a 5.6a 6.2a 1.7a
비교예 2 2.7d 2.6c 2.6c 3.0c 10.0g
실시예 10 4.9c 4.5ab 4.0b 6.1a 8.0f
실시예 11 5.1b 4.8a 4.1b 5.8a 6.1e
실시예 12 5.6a 4.9a 5.3a 5.0b 3.1b
실시예 13 5.3ab 4.5ab 4.3b 6.1a 7.5f
실시예 14 5.3ab 4.8a 4.3b 5.8a 5.5d
실시예 15 5.9a 5.0a 5.6a 5.0b 2.0a
실시예 16 5.1a 4.4b 4.4b 6.0a 6.8e
실시예 17 5.3ab 4.5ab 4.5b 5.8a 4.6c
실시예 18 5.9a 4.8a 5.6a 5.0b 1.4a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건조 온도가 60℃일 때의 소비자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덖음 및 건조 단계를 거친 경우(실시예 1 내지 18)가 덖음 및 건조를 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및 2)보다 소비자의 기호도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 방법은, 홍화 경엽을 특정 온도에서 덖음 후, 건조함으로써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기호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홍화 경엽을 90~110℃에서 2~4회 반복 덖음 처리하는 단계; 및
    덖음처리 된 홍화 경엽을 수분 함량 8~15%로 40~60℃에서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홍화 경엽 건나물은 홍화 경엽 대비 무기질 함량,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3,5-디-카페오일퀴닉산(3,5-di-caffeoylquinic acid)의 함량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화 경엽의 길이는 20~4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
KR1020210089082A 2021-07-07 2021-07-07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 KR102610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082A KR102610225B1 (ko) 2021-07-07 2021-07-07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082A KR102610225B1 (ko) 2021-07-07 2021-07-07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942A KR20230008942A (ko) 2023-01-17
KR102610225B1 true KR102610225B1 (ko) 2023-12-07

Family

ID=8511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082A KR102610225B1 (ko) 2021-07-07 2021-07-07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2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9674A (ja) 2014-04-04 2015-1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1,3,4,5−テトラカフェオイルキナ酸の製造方法および中間体化合物
KR101952695B1 (ko) 2017-10-19 2019-02-27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819A (ko) 2013-10-25 2015-05-06 산청기능성콩 영농조합법인 홍화씨 가공방법
KR20210019163A (ko) * 2019-08-12 2021-02-22 강다영 홍삼꽃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9674A (ja) 2014-04-04 2015-1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1,3,4,5−テトラカフェオイルキナ酸の製造方法および中間体化合物
KR101952695B1 (ko) 2017-10-19 2019-02-27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9, pp. 399-405 (2010.)*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2, pp. 414-419 (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942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eniasz et al. The effect of storage and processing on vitamin C content in Japanese quince fruit
Mainla et al. The effect of genotype and rootstock on polyphenol composition of selected apple cultivars in Estonia.
KR101857573B1 (ko) 마카, 꾸지뽕, 와송 및 개복숭아를 이용한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추출물
KR102610225B1 (ko) 홍화 경엽 건나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홍화 경엽 건나물
RU2543143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фиточая
KR101258275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흑마늘 콩나물
KR100811463B1 (ko) 녹차꽃차의 제조 방법
Sharma et al. In-Vitro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in Green Chilli (Capsicum annuum) and Yellow Lantern Chilli (Capsicum chinense)
KR102396974B1 (ko) 혼합 건나물 제조 방법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19771B1 (ko)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
KR102010551B1 (ko) 시설 재배로 연중 생산된 황칠나무 산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증진된 황칠 분말의 제조방법
KR101620288B1 (ko) 단감나무 신초 차의 제조방법
Simea et al. The importance and use of the species Dracocepahlum moldavica.
KR102308123B1 (ko) 기능성이 향상된 메밀싹 및 새싹채소의 재배방법
Nurzyńska-Wierdak et al. Ontogenetic variability 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inter savory (Satureja montana L.) herb yield
KR100842808B1 (ko) 참취 백김치의 제조방법
Aidi Wannes et 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wo wild Tunisian myrtle (Myrtus communis L.) populations
RU273735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леного чая
Ierna et al. Ascorbic acid and total phenolics content in early potatoes as affected by growing season, genotype and harvest time
KR102009412B1 (ko) 작두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작두콩나물을 이용한 장아찌
Rasheed et al. The Blackberry: A Review on its Composition and Chemistry, Uses and Bioavailability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KR102601904B1 (ko) 에틸렌 처리를 이용한 새싹보리의 사포나린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Sharma et al. Influence of planting time and fruit maturity stage on antioxidant activity, phenols and anthocyanin contents in sweet pepper
KR100844458B1 (ko) 더덕 통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