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295B1 -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295B1
KR102609295B1 KR1020230098105A KR20230098105A KR102609295B1 KR 102609295 B1 KR102609295 B1 KR 102609295B1 KR 1020230098105 A KR1020230098105 A KR 1020230098105A KR 20230098105 A KR20230098105 A KR 20230098105A KR 102609295 B1 KR102609295 B1 KR 10260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material
unit
weight
silo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박혜진
양경근
Original Assignee
김상욱
박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욱, 박혜진 filed Critical 김상욱
Priority to KR102023009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02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Making slurries; Involving methodical aspects; Involving pretreatment of ingredients; Involving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61Storage contain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76Parts or details thereof, e.g. opening, closing or un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04Proportioning
    • B28C7/0418Proportioning 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22Weighing predetermined amounts of ingredients, e.g. for consecutive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16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 B28C7/162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by means of conveyors, other than those comprising skips or containers, e.g. endless belts, screws, air under pressure
    • B28C7/163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by means of conveyors, other than those comprising skips or containers, e.g. endless belts, screws, air under pressure using a pump
    • B28C7/165Discharge mean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of fresh concrete by means of conveyors, other than those comprising skips or containers, e.g. endless belts, screws, air under pressure using a pump using a fluid, e.g.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재를 자동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상 또는 분말상의 혼합재를 수용한 톤백의 하부를 해체하여 톤백에 수용된 혼합재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인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이송시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사일로와, 상기 사일로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일로로부터 배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기설정된 일정한 중량으로 계량하여 배출시키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계량부로부터 배출된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를 주 소재가 수용된 혼합조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시 자유롭게 현장 설비 부근에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Movable type automatic injection device for mixture}
본 발명은 혼합재를 자동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상 또는 분말상의 혼합재를 수용한 톤백의 하부를 해체하여 톤백에 수용된 혼합재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인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이송시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사일로와, 상기 사일로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일로로부터 배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기설정된 일정한 중량으로 계량하여 배출시키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계량부로부터 배출된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를 주 소재가 수용된 혼합조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시 자유롭게 현장 설비 부근에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혼합재는 주 소재에 혼합되어 주 소재만으로는 발현되지 못하는 물질적인 특성을 발현시키거나 특정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시멘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혼합재 또는 도로를 시공하기 위하여 주 소재인 골재에 혼합되는 아스콘(아스팔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혼합재는 주 소재의 중량 대비 일정한 중량 만큼 주 소재에 혼합되어 사용된다.
다만, 종래에는 혼합재를 주 소재와 혼합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일일히 일정 중량에 해당하는 혼합재를 계량하여 이를 주 소재와 수작업으로 혼합시키는 방식으로 혼합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다량의 혼합재를 주 소재와 혼합시키는 경우 혼합 작업의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공정상의 비효율을 초래함은 물론이고, 혼합재의 중량을 정확하게 계량하지 못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를 주 소재에 자동적으로 투입시켜 혼합 작업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지게차와 트럭 등을 이용하여 쉽게 이동하여 설비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는, 고상 또는 분말상의 혼합재를 수용한 톤백의 하부를 해체하여 톤백에 수용된 혼합재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로부터 인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이송시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사일로와, 상기 사일로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일로로부터 배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기설정된 일정한 중량으로 계량하여 배출시키는 계량부와, 상기 계량부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계량부로부터 배출된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를 주 소재가 수용된 혼합조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는, 톤백의 해체, 사일로로의 인출 및 혼합재의 계량과 이송의 모든 과정들이 자동적으로 수행됨으로써 혼합재의 투입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정량의 혼합재를 투입할 수 있어 혼합재가 사용되는 주 소재의 시공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는,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에 자동투입장치를 이루는 각 설비들이 장착되어 있어 지게차와 트럭 등을 이용하여 설비가 필요한 장소에 설치될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현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혼합재의 자동투입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혼합재의 자동투입장치의 정면 및 지게차 이송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투입부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투입조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사일로의 측면도,
도 6a 및 도 6b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사일로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계량부의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계량부의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이송부의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이송부의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제어반의 실시예의 사진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1)는, 고상 또는 분말상의 혼합재를 주 소재에 일정한 중량으로 투입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는 혼합재인 아스콘(아스팔트)을 주 소재인 골재에 일정한 중량 만큼 자동적으로 투입시키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1)는, 혼합재를 수용한 톤백의 하부를 해체시켜 혼합재를 사일로로 인출하고, 사일로에 인출된 혼합재를 일정한 중량으로 계량하여 주 소재가 수용된 혼합조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며, 톤백의 해체, 사일로로의 인출 및 혼합재의 계량과 이송의 모든 과정들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1)는, 프레임 구조체(60)의 내부에 자동투입장치를 이루는 각 설비들이 장착되어 있어, 지게차(L)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설치될 장소로 자동투입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의 전체 구성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1)는, 고상 또는 분말상의 혼합재를 수용한 톤백(10)의 하부를 해체하여 톤백에 수용된 혼합재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투입부(20)와, 상기 투입부(20)로부터 인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이송시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사일로(30)와, 상기 사일로(30)로부터 배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기설정된 일정한 중량으로 계량하여 배출시키는 계량부(40)와, 계량부(40)로부터 배출된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를 주 소재가 수용된 혼합조(미도시)로 이송하는 이송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입부(20)의 하측에 사일로(30)가 설치되어 투입부(20)로부터 인출되는 혼합재를 수용하게 되며, 상기 사일로(30)의 하측에 계량부(40)가 설치되어 사일로(30)의 배출구(34)로부터 배출되는 혼합재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계량부(40)의 하측에 이송부(50)가 설치되어 계량부(40)의 출구(43)로부터 배출되는 혼합재를 혼합조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20), 사일로(30), 계량부(40) 및 이송부(50)는 프레임 구조체(6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체(60)는 강철 소재의 바(bar)나 빔(beam) 등을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상호 결속시킨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구조체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프레임 구조체(60)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 블럭(61)과 직육면체 형상의 하부 블럭(64)을 상호 결합시킨 구조로서, 자동투입장치(1)를 이동시킬 경우 상부 블럭(61)과 하부 블럭(64)의 연결을 해체시켜 각각의 블럭으로 별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상부 블럭(61)의 상단에는 사일로(30)의 바디(31) 부분을 고정시키는 사일로 프레임(62)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블럭(64)의 하단에는 장치가 설치되는 지면과 접촉하는 바닥 프레임(63)이 결합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의 정면 및 지게차 이송상태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1)는 지체차(L)의 포크 부분을 하부 블럭(64)의 바닥 프레임(63)의 하측으로 내삽시켜 지게차(L)가 장치(1)를 리프트시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1)는, 작업자(W)가 장치(1) 상부의 투입부(20) 근방에서 톤백(10)의 해체 작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장치(1)의 일측으로 계단부(70)를 투입장치의 상부 블럭(61)의 사일로 프레임(62)과 하부 블럭(64)의 바닥 프레임(63)에 결합시켜 계단부(70)를 장치(1)와 일체로 구성하여 작업자(W)가 계단부(70)를 통하여 장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1)는 투입부(20)에 투입된 톤백(20)의 해체시 혼합재의 인출에 따른 비산 먼지를 흡입구(81)를 통하여 흡입하여 집진함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는 집진기(8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사일로(30), 계량부(40) 및 이송부(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90)이 장치(1)에 부설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1)의 각 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투입부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투입조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부(20)는 주로 1 톤 정도의 일정한 분량의 혼합재가 수용된 톤백(10)을 투입받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투입조(21)와, 상기 투입조(21)의 일측에 결합되어 투입조(21)의 상부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덮게(22)와, 상기 투입조(21)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톤백(10)의 하부를 찢어서 해체시키는 블레이드(blade)(23)와, 상기 블레이드(23)를 투입조(21)의 내부 공간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24)를 포함한다.
상기 톤백(10)은 대체로 마대와 같은 직물체로 이루어진 자루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블레이드(23)에 의하여 톤백(10)의 바닥면이 찢겨져 나갈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조(21)는 수용될 톤백(10)의 형상이나 부피에 따라서 제작되며, 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 또는 박스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되고, 투입조(21)의 내부 벽면상에 지지대(24)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24)는 수용될 톤백(1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결합 강도를 가지도록 투입조(21)의 내부 벽면상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게(22)는 톤백(10)을 미수용할 경우에는 투입부(20)의 하측에 설치된 사일로(30)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투입조(21)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블레이드(23)는 첨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톤백(10)이 투입조(21)에 수용될 경우 톤백(10)의 바닥면을 천공시켜 톤백(10)에 수용된 혼합재가 천공된 부분을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사일로의 측면도, 도 6a 및 도 6b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사일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각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일로(30)는, 사일로의 상측에 설치되는 투입조(21)에 수용된 톤백(10)으로부터 배출되는 혼합재가 유입되는 육면체 형상의 상부 바디(31)와, 상기 상부 바디(31)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면체 형상의 호퍼(hopper)(32)와, 상기 호퍼(32)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33)와, 상기 호퍼(32)의 중앙 부분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일로(30)의 상부 바디(31)의 상면은 투입조(21)에 수용된 톤백(10)으로부터 배출되는 혼합재가 유입되는 투입구(37)를 형성한 상판(36)이 설치된다.
상기 호퍼(32)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면체 형상이므로 내부에 수용되는 혼합재가 호퍼(32)의 내부 공간에서 하방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호퍼(32)의 외측 벽면상에는 피스톤의 충격 작동을 수행하는 에어 노커(Air nocker)(35)를 설치하여, 호퍼(32)의 내부 벽면에 발생되는 혼합재의 적체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33)는 환봉의 외측으로 나선형으로 연속적인 평판의 날개를 부착시킨 통상의 스크류 컨베이어로서, 동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호퍼(32)로 유입된 혼합재를 배출구(34)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계량부의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계량부의 정면도이다.
각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계량부(40)는, 프레임구조체(60)의 바닥프레임(63)상에 설치되는 거치대(41)와, 상기 거치대(41)에 결합되며 내부에 혼합재가 유입되는 내구 공간부를 가지는 보조 호퍼(44)와, 상기 보조 호퍼(44)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호퍼(32)의 배출구(34)를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재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입구 유니트(42)와, 상기 보조 호퍼(44)의 하측으로 결합되어 혼합재를 하측의 이송부(50)로 배출시키는 출구가 형성된 출구 유니트(43)와, 상기 보조 호퍼(44)에 외측에 설치되어 보조 호퍼(44)에 수용된 혼합재의 중량을 센싱하는 로드셀(45)(Load cell)과, 제어반(9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입구 유니트(42)의 입구를 계폐하는 입구 밸브(46)와, 제어반(9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출구 유니트(43)의 출구를 계폐하는 출구 밸브(47)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 밸브(46)는 상기 사일로(30)의 스크류 컨베이어(33)의 작동이 개시되면 자동적으로 입구 유니트(42)의 입구를 개방시켜 사일로(30)의 배출구(34)를 통하여 혼합재를 보조 호퍼(44)로 유입시키고, 보조 호퍼(44)에 설치된 로드셀(45)에 의하여 측정된 보조 호퍼(44) 내의 혼합재의 중량이 기설정된 중량 만큼 유입되면 입구 밸브(46)가 입구 유니트(42)의 입구를 폐쇄시켜 혼합재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보조 호퍼(44)에 기설정된 일정한 중량 만큼의 혼합재가 충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출구 밸브(47)는 상기 입구 밸브(46)의 작동으로 보조 호퍼(44)에 일정한 중량 만큼의 혼합재가 충진되면 제어신호에 따라서 출구 유니트(43)의 출구를 개방시켜 보조 호퍼(44)에 충진된 혼합재를 출구 유니트(43)를 통하여 이송부(50)로 배출시키고, 보조 호퍼(44)에 설치된 로드셀(45)에 의하여 측정된 보조 호퍼(44)의 중량이 혼합재가 모두 배출된 상태의 중량으로 확인되면 출구 밸브(47)가 출구 유니트(43)의 출구를 폐쇄시켜 보조 호퍼(44)에 혼합재가 재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이송부의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이송부의 평면도이다.
각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50)는, 바닥 프레임(63)에 결합되어 혼합재를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51)와, 송풍기(51)에 결합되어 송풍기(51)로부터 발생된 풍력을 유동시키는 연결관(52)과, 바닥 프레임(63)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계량부(40)의 출구 유니트(43)와 연결된 진입구(55)가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연결관(52)과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51)로부터 연결관(52)을 통하여 유입되는 풍력의 공급을 개폐하는 이송밸브(53)와, 상기 이송밸브(53)에 연결되며 상기 송풍기(51)로부터 공급되는 풍력에 의하여 이송밸브(53)로 배출된 혼합재를 주 재료가 수용된 혼합조(미도시)로 배출하는 이송관로(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밸브(53)는 상기 출구 유니트(43)의 출구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것으로서, 출구 유니트(43) 개방시 이송밸브(53)를 개방하여 이송관로(54)에 풍력을 제공하여 출구 유니트(43)를 통하여 유입된 혼합재를 이송관로(54)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고, 출구 유니트(43)의 폐쇄시 이송밸브(53)를 폐쇄하여 이송관로(54)에 풍력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한편,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송풍기(51)도 이송밸브(53)의 개폐상태에 따라서 연동된다.
즉, 상기 이송밸브(53)가 개방되었을 경우 송풍기(51)를 작동시키고, 이송밸브(53)가 폐쇄되었을 경우에는 송풍기(51)의 작동을 중지시켜 혼합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풍력을 필요한 타이밍에만 공급하는 작동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자동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자동투입장치(1)의 작동을 개조식으로 설명한다.
1) 톤백의 해체 및 혼합재의 인출 과정(S1)
먼저, 크레인(미도시)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가 수용된 톤백(10)을 투입부(20)의 투입조(21)의 내부로 하강시킨다. 이때, 투입조(21)에 부설된 덮게(22)는 톤백(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이다.
그러면, 투입조(21)의 지지대(24) 상에 설치된 첨단부가 뾰족한 블레이드(23)에 의하여 톤백(10)의 바닥면이 찢어지면서 톤백(10)이 해체되고, 해제된 톤백(10)의 바닥면을 통하여 혼합재가 인출되어 투입조(21)의 하부 개구를 통하여 사일로(30)에 유입되게 된다.
이때, 투입부(20)의 근접하게 설치된 집진기(80)가 투입부(20)에 투입된 톤백(20)의 해체시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흡입구(81)를 통하여 흡입하여 집진함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게 된다.
2) 사일로를 통한 혼합재의 공급 과정(S2)
다음으로, 상기 투입부(20)를 통하여 유입되는 혼합재는 사일로(30)의 상부 바디(31)의 상판(36)상에 형성된 투입구(37)를 통하여 사일로(30)의 상부 바디(31) 및 호퍼(32)로 유입되어 사일로(30) 전체에 일정 중량의 혼합재가 수용되게 된다.
본 발명 실시예는 대략 4 개의 톤백(10)에 수용된 혼합재를 수용할 수 있는 부피를 가지는 사일로(30)를 채용한 것으로서, 대략 4000 Kg 의 혼합재를 사일로(30)의 상부 바디(31)와 호퍼(32)에 수용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반(9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호퍼(32)의 스크류 컨베이어(33)가 작동되면, 호퍼(32)에 수용된 혼합재는 스크류 컨베이어(33)의 회전력에 의하여 배출구(34)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구(34)와 연결된 계량부(40)의 입구 유니트(42)로 진입하게 된다.
3) 일정 중량의 혼합재 계량 과정(S3)
상기 호퍼(32)의 스크류 컨베이어(33)의 작동이 시작되면, 제어반(9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계량부(40)의 입구 유니트(42)에 설치된 입구 밸브(46)가 입구 유니트(42)의 입구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입구 유니트(42)의 입구를 통하여 입구 유니트(42) 하측에 연결된 보조 호퍼(44)의 내부 공간으로 혼합재가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 호퍼(44)에 부설된 로드셀(45)이 보조 호퍼(44)에 수용된 혼합재의 중량을 센싱하여 제어반(90)으로 입력되고, 센싱된 혼합재의 중량이 기설정된 중량 만큼 유입되면 제어반(9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구 밸브(46)가 입구 유니트(42)의 입구를 폐쇄시켜 혼합재의 유입을 차단시켜 보조 호퍼(44)에 기설정된 일정한 중량 만큼의 혼합재가 충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구 밸브(46)에 의한 입구 유니트(42)의 입구 폐쇄와 동시에 제어반(9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호퍼(32)의 스크류 컨베이어(33)의 작동도 정지시켜 호퍼(32)의 배출구(34)를 통한 혼합재의 배출을 중지시키게 된다.
4) 혼합재 외부 이송 과정(S4)
다음으로, 상기 계량부(40)의 보조 호퍼(44)에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가 충진되면, 제어반(9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송풍기(51)가 작동하여 혼합재의 외부로의 이송을 위한 풍력이 연결관(52)을 통하여 이송밸브(53)로 제공되고, 상기 송풍기(51)의 작동 직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풍기 작동 직후 5 초 정도), 제어반(9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출구 밸브(47)을 작동시켜 보조 호퍼(44)의 하측에 연결된 출구유니트(43)의 출구를 개방시켜 출구유니트(43)와 연결된 진입구(55)를 통하여 혼합재가 이송밸브(53)로 배출되고, 이송밸브(53)로 배출된 혼합재는 송풍기(51)로부터 공급되는 풍력에 의하여 이송관로(54)를 따라서 장치 외부에 설치된 주 소재가 수용된 혼합조(미도시)로 이송되게 된다.
이후, 상기 보조 호퍼(44)에 설치된 로드셀(45)에 의하여 측정된 보조 호퍼(44)의 중량이 혼합재가 모두 배출된 상태의 중량으로 확인되면 제어반(9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출구 밸브(47)가 출구 유니트(43)의 출구를 폐쇄시켜 이송밸브(53)로의 혼합재의 배출을 중지하게 되고, 동시에 송풍기(51)의 작동 및 이송밸브(53)의 폐쇄 작동을 개시하여 이송관로(54)로의 풍력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계량부(40)의 보조 호퍼(44)에 수용되어 있던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가 주 소재로 공급되게 되고, 이후, 상술한 전 과정의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투입부(20)를 통하여 공급된 모든 혼합재를 일정한 중량 만큼 주소재로 투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모든 작동 과정이 제어반(9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혼합재의 투입을 위한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 의 제어반의 실시예의 사진 도면과 같이, 상기 제어반(90)에 프린터(91) 및 LED 인디케이터나 LCD 등의 디스플레이(92)를 설치하고, 상기 계량부(40)의 보조 호퍼(44)에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가 충진되면, 해당 중량 및 충진된 시각을 프린터(91)에 의하여 기록지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92)에 해당 중량 및 충진된 시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재가 이송밸브(53)를 통하여 모두 배출되었을 경우에도 보조호퍼(44)의 해당 중량 및 배출된 시각을 프린터(91)에 의하여 기록지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92)에 해당 중량 및 배출된 시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후, 상술한 혼합재의 보조 호퍼(44)로의 충진 및 배출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되면, 해당 반복 횟수를 상기 프린터(91)를 이용하여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92)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자동투입장치(1)는 덮개(22)의 상면에 도포되는 방수물질(GS) 및 상기 방수물질(GS)에 혼합되는 첨가물질(G)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물질(GS)는 상기 덮개(22)의 상면(덮개(22)가 투입조(21)를 덮은 상태를 기준)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루 구성(후술하는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될 수 있다. 방수물질(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상기 덮개(22)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우레탄은 방수 재료로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액상 형태로 도포 대상체에 도포된 후 경화되는 것이다. 상기한 첨가물질(G)은 입자 형태로서 액상 상태의 우레탄에 혼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라텍스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섬유상인 내측필름(G1); 상기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 헵타데칸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필름(G1) 내측에 배치되는 완충재(G2); 상기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 폴리에틸렌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필름(G1)을 감싸고, 판 형상인 외피재(G3); 상기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 반타블랙(VantaBlack)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필름(G1)과 상기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재(G4); 상기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 마그네슘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판 형상이고, 상기 외피재(G3)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중량체(G5); 상기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 에어로그래파이트 0.3 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G3)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부유체(G6); 상기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G3) 양측 내측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7); 및 상기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 알루미늄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G3) 측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향 경사지고, 상기 양이온성 물질(G7)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반사판(G8);을 포함한다.
첨가물질(G)의 상기한 헵타데칸, 폴리에틸렌, 반타블랙, 마그네슘, 에어로그래파이트, 폴리에틸렌이민, 알루미늄 그리고 우레탄은 상기한 라텍스 0.1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내측필름(G1)은 라텍스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섬유상이다. 내측필름(G1)은 내측에 후술하는 완충재(G2)가 채워지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첨가물질(G)을 도 13과 같이 단면도 상에서 봤을 때 중심측(완충재(G2) 중심측)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 측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동일하기로 한다.
완충재(G2)는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 헵타데칸(heptadecane)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필름(G1)의 내측(내측공간)에 배치되어 수용된다.
상기한 헵타데칸은 융점이 약 22℃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완충재(G2)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헵타데칸(Heptadecane)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테트라데케인(Tetr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재(G2)의 융점은 상온인 1~30℃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재(G2)를 감싸는 내측필름(G1)은 섬유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되는 완충재(G2)와 함께 첨가물질(G)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한 내측필름(G1)은 라텍스 0.1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한 완충재(G2)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완충재(G2)가 소실될 위험이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첨가물질(G)의 자체 중량을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외피재(G3)는 내측필름(G1)을 감싸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내측필름(G1) 등이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판 형상 또는 섬유상일 수 있다.
상기한 외피재(G3) 내측에는 상기한 내측필름(G1)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반타블랙으로 구성되는 흡수재(G4)가 수용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흡수재(G4)에 빛을 공급할 수 있도록 외피재(G3)가 투명한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어 빛이 투과된다.
상기한 외피재(G3)는 판 형상 또는 섬유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빛이 조사되는 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외피재(G3)는 폴리에틸렌 0.1 중량부로 구성되는데, 폴리에틸렌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후술하는 흡수재(G4)와 내측필름(G1)을 충분히 감싸지 못하며,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빛의 투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흡수재(G4)는 반타블랙(VantaBlack) 0.1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한 외피재(G3) 내측에 수용되어 외피재(G3)와 내측필름(G1)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한 흡수재(G4)는 내측필름(G1)을 감쌀 수 있다.
반타블랙이란 빛을 비추면 99.965% 흡수하는 물질이다. 상기한 반타블랙은 미세한 탄소나노튜브를 세워 튜브와 튜브 사이에 서로 수없이 반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들어온 빛들이 대부분 흡수된다.
상기한 반타블랙은 안료의 형태로 상기한 외피재(G3)와 내측필름(G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첨가물질(G)과 방수물질(GS)가 혼합된 혼합물질이 덮개(22)에 도포되어 경화된 후, 빛이 조사되면 상기한 빛은 외피재(G3)를 통과되어 흡수재(G4)에 흡수된다.
상기한 반타블랙을 통해 빛이 흡수됨에 따라 첨가물질(G)의 온도는 일시적으로 상승하는데, 상기한 열이 라텍스를 통해 상기한 완충재(G2)로 전달되고, 상기한 완충재(G2)는 반타블랙의 열을 흡수하여 첨가물질(G)의 온도를 다시 하락시킨다.
이와 같이, 반타블랙이 덮개(22)에서 반사되는 빛을 최소화 하여 주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동시에, 반타블랙이 흡수하여 발생되는 열을 완충재(G2)가 흡열하여 첨가물질(G)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방수물질(GS)의 온도 변화를 억제하여 방수물질(GS)의 열팽창 등을 최소화함으로써 방수물질(GS)의 손상을 억제하여 방수성을 장시간 유지하며, 덮개(22)의 온도와 덮개(22) 주변 온도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중량체(G5)는 마그네슘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판 형상이며 상기 외피재(G3)의 외측 하부에 구비된다.
여기에서 하부(하측 등)는 후술하는 부유체(G6)가 상기한 중량체(G5) 보다 상측에 배치된 상태의 첨가물질(G)을 단면도 상에서 봤을 때(도 13 참조) 하부(하측 등)를 의미하고, 상부(상측 등)은 부유체(G6)가 상기한 중량체(G5) 보다 상측에 배치된 상태의 첨가물질(G)을 단면도 상에서 봤을 때 상부(상측 등)을 의미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한 중량체(G5)는 통상의 접착제 등을 매개로 상기한 외피재(G3)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중량체(G5)는 외피재(G3) 하부에 구비되되 상하 방향과 평행한 그 중심선이 외피재(G3)의 상하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외피재(G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부유체(G6)는 에어로그래파이트 0.3 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G3) 외측 상부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부유체(G6)는 상하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이 외피재(G3)의 상하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외피재(G3)에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부유체(G6)는 통상의 접착제 등을 매개로 상기한 외피재(G3)와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에어로그래파이트(Aero-graphite)는 산화아연을 처리해 얻은 것으로, 현미경으로 보면 아주 가는 탄소 튜브가 얽히고 설킨 스펀지 모양, 즉 공기구멍 벽(porous walls) 구조로 돼 있다.
상기한 에어로그래파이트는 비중이 약 0.18로서 우레탄의 비중(약 1.13) 등과 비교하여 크게 작아, 첨가물질(G)이 방수물질(GS)에서 부유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량체(G5)와 부유체(G6)가 각각 상하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이 외피재(G3)의 상하 방향과 평행한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하여 판 형상의 첨가물질(G)이 세워지지 않고 도 13과 같이 누워지는 형태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첨가물질(G)의 가능한 넓은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빛이 조사되는 면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부유체(G6)는 에어로그래파이트 0.3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첨가물질(G)이 충분히 부유되지 못할 수 있고, 0.3 중량부를 외피재(G3)의 공간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부유체(G6)는 상기한 외피재(G3)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내측필름(G1)과 외피재(G3)를 이격 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측필름(G1) 상부로 상기 흡수재(G4)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유체(G6)는 외피재(G3) 내측에 배치되어 외피재(G3)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상기한 중량체(G5)는 상기한 외피재(G3)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어 반타블랙을 통과한 빛을 다시금 반사시켜 반타블랙으로 이동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피재(G3)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중량체(G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중이 비교적 작은 마그네슘(비중약 1.74)으로 구성되는데, 마그네슘이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첨가물질(G)의 자체 중량이 지나치게 증대되고,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통과되는 빛을 충분히 반사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사판(G8)은 상기 라텍스 0.1 중량부 대비, 알루미늄 0.1 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재(G3) 측부(도 13을 기준으로 좌측부 및 우측부)에서 측방향(도 13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향 경사진 것이다.
반사판(G8)은 빛을 반사시켜 첨가물질(G) 상부로 모이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반타블랙의 빛 흡수량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판(G8) 또한 통상의 접착제 등을 매개로 외피재(G3)와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양이온성 물질(G7)은 외피재(G3)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0.1 중량부로 구성된다.
양이온성 물질(G7) 또한 통상의 접착제나 열융착 방식 등에 의해 외피재(G3)와 부착될 수 있다.
양이온성 물질(G7)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은 에틸렌이민을 중합한 폴리머로 현존하는 소재 중 양이온 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수물질(GS)에 첨가물질(G)의 단위체(GU)가 다수 혼합될 수 있는데, 양이온성 물질(G7)은 이웃하는 단위체(GU)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양이온성 물질(G7)은 반사판(G8)보다 하부에 구비되어 반사판(G8)의 빛 반사 기능의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자동투입장치
10; 톤백
20; 투입부
21; 투입조
22; 덮게
23; 블레이드
24; 지지대
30; 사일로
31; 바디
32; 호퍼
33; 스크류 컨베이어
34; 배출구
35; 에어 노커
36; 상판
37; 투입구
40; 계량부
41; 거치대
42; 입구
43; 출구
44; 보조 호퍼
45; 로드셀
46; 입구 밸브
47; 출구 밸브
50; 이송부
51; 송풍기
52; 연결관
53; 이송밸브
54; 이송관로
55; 진입구
60; 프레임 구조체
61; 상부 블럭
62; 사일로 프레임
63; 바닥 프레임
64; 하부 블럭
70; 계단부
80; 집진기
81; 흡입구
90; 제어반
91; 프린터
92; 디스플레이
L; 지게차
W; 작업자

Claims (4)

  1. 고상 또는 분말상의 혼합재를 주 소재에 일정한 중량으로 투입시키는 자동투입장치에 있어서,
    혼합재를 수용한 톤백(10)의 하부를 해체하여 톤백에 수용된 혼합재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투입부(20)와,
    상기 투입부(20)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20)로부터 인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이송시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사일로(30)와,
    상기 사일로(30)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일로(30)로부터 배출된 혼합재를 수용하고 수용된 혼합재를 기설정된 일정한 중량으로 계량하여 배출시키는 계량부(40)와,
    상기 계량부(40)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계량부(40)로부터 배출된 일정한 중량의 혼합재를 주 소재가 수용된 혼합조로 이송시키는 이송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20)는,
    톤백(10)을 투입받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투입조(21)와, 상기 투입조(21)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톤백(10)의 하부를 찢어서 해체시키는 블레이드(23)와, 상기 블레이드(23)를 투입조(21)의 내부 공간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일로(30)는,
    상기 톤백(10)으로부터 배출되는 혼합재가 유입되어 수용되는 상부 바디(31) 및 호퍼(32)와, 상기 호퍼(32)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33)와, 상기 호퍼(32)에 형성되어 스크류 컨베이어(33)에 의하여 이송된 혼합재를 배출시키는 배출구(3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톤백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주 내부 변면상에 고정되고,
    상기 계량부(40)는,
    거치대(41)와, 상기 거치대(41)에 결합되며 내부에 혼합재가 유입되는 내구 공간부를 가지는 보조 호퍼(44)와, 상기 보조 호퍼(44)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호퍼(32)의 배출구(34)를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재가 유입되는 입구가 형성된 입구 유니트(42)와, 상기 보조 호퍼(44)의 하측으로 결합되어 혼합재를 하측의 이송부(50)로 배출시키는 출구가 형성된 출구 유니트(43)와, 상기 보조 호퍼(44)에 외측에 설치되어 보조 호퍼(44)에 수용된 혼합재의 중량을 센싱하는 로드셀(45)(Load cell)과, 제어반(9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입구 유니트(42)의 입구를 계폐하는 입구 밸브(46)와, 제어반(9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출구 유니트(43)의 출구를 계폐하는 출구 밸브(4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구 밸브는, 상기 사일로의 스크류 컨베이어의 작동이 개시되면 자동적으로 입구 유니트의 입구를 개방시켜 상기 사일로의 배출구를 통하여 혼합재를 상기 보조 호퍼로 유입시키고, 상기 로드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보조 호퍼 내의 혼합재의 중량이 기 설정된 중량 만큼 유입되면 상기 입구 유니트의 입구를 폐쇄시키고,
    상기 이송부(50)는,
    혼합재를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51)와,
    송풍기(51)에 결합되어 송풍기(51)로부터 발생된 풍력을 유동시키는 연결관(52)과,
    상부에 상기 계량부(40)의 출구 유니트(43)와 연결된 진입구(55)가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연결관(52)과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51)로부터 연결관(52)을 통하여 유입되는 풍력의 공급을 개폐하는 이송밸브(53)와,
    상기 이송밸브(53)에 연결되며 상기 송풍기(51)로부터 공급되는 풍력에 의하여 이송밸브(53)로 배출된 혼합재를 배출하는 이송관로(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투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98105A 2023-07-27 2023-07-27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 KR10260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105A KR102609295B1 (ko) 2023-07-27 2023-07-27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8105A KR102609295B1 (ko) 2023-07-27 2023-07-27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295B1 true KR102609295B1 (ko) 2023-12-04

Family

ID=8916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8105A KR102609295B1 (ko) 2023-07-27 2023-07-27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546B1 (ko) * 2024-01-22 2024-05-24 강창호 이동식 사일로의 원료 배출 성능 개선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식 사일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95Y1 (ko) * 2001-10-08 2002-03-18 주식회사 서원 첨가제 계량 투입장치
KR200395689Y1 (ko) * 2005-06-13 2005-09-14 백성혁 첨가제 정량 공급장치
KR100979556B1 (ko) * 2010-02-11 2010-09-02 (주)포크리트 바닥재 연속혼합 믹서기
KR20140131407A (ko) * 2013-05-02 2014-11-13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일줄눈 시멘트 제조장치
KR102172498B1 (ko) * 2020-06-23 2020-10-30 쏘일텍 주식회사 함수비저감용 고화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0509A (ko) * 2021-03-18 2022-09-27 안용복 정량 계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495Y1 (ko) * 2001-10-08 2002-03-18 주식회사 서원 첨가제 계량 투입장치
KR200395689Y1 (ko) * 2005-06-13 2005-09-14 백성혁 첨가제 정량 공급장치
KR100979556B1 (ko) * 2010-02-11 2010-09-02 (주)포크리트 바닥재 연속혼합 믹서기
KR20140131407A (ko) * 2013-05-02 2014-11-13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일줄눈 시멘트 제조장치
KR102172498B1 (ko) * 2020-06-23 2020-10-30 쏘일텍 주식회사 함수비저감용 고화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0509A (ko) * 2021-03-18 2022-09-27 안용복 정량 계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9546B1 (ko) * 2024-01-22 2024-05-24 강창호 이동식 사일로의 원료 배출 성능 개선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식 사일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64780T3 (es) Instalación de prototipado rápido que comprende una unidad de mezcla
PL193467B1 (pl) Betonownia przewoźna
US11186454B2 (en) Dust control systems for discharge of bulk material
KR102609295B1 (ko) 이동식 혼합재 자동투입장치
KR101803157B1 (ko) 벌크차량의 분립체 화물 적재 시스템
CN104906994A (zh) 锆质密封料自动配料生产线系统
CN103465379A (zh) 砂浆搅拌站和砂料供给系统
ITVR960045A1 (it) Impianto di betonaggio mobile trasportabile su veicoli
CN204891791U (zh) 锆质密封料自动配料生产线系统
CN217349947U (zh) 储砂装置、输砂装置和储砂车
CN111891423A (zh) 粉料配送系统以及粉料配送方法
KR101531928B1 (ko) 합성섬유 계량 공급 장치
CN212100257U (zh) 一种砂石储料仓
CN104191522B (zh) 混凝土原材料集装箱及混凝土原材料存储混合输出一体机
ITPG20090061A1 (it) Impianto mobile per la produzione di calcestruzzo
CN109720889A (zh) 一种用于粉末原料运输转移的装置
CN208171405U (zh) 一种全自动电子计量配料补料设备
CN201023276Y (zh) 小型多功能搅拌站
CN213198248U (zh) 路面砖原料上料装置
CN210679419U (zh) 一种预发机的辅助上料装置
JP6230615B2 (ja) 動作材料を移送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111267232A (zh) 钢渣混凝土一体式生产设备
CN211941489U (zh) 钢渣混凝土一体式生产设备
CN221070182U (zh) 一种砂石自动装料装置
CN217707704U (zh) 一种用于散装水泥装车机的出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