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010B1 -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010B1
KR102607010B1 KR1020210093761A KR20210093761A KR102607010B1 KR 102607010 B1 KR102607010 B1 KR 102607010B1 KR 1020210093761 A KR1020210093761 A KR 1020210093761A KR 20210093761 A KR20210093761 A KR 20210093761A KR 102607010 B1 KR102607010 B1 KR 10260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d clay
mudflat
ceramic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912A (ko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최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석 filed Critical 최용석
Priority to KR102021009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0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를 이용해 도자기 타일 기와 유약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황토 원석을 건식상태에서 미분쇄후 얻어지는 미분말과 갯벌바닥에 쌓인 2차퇴적믈을 습식상태에서 미분쇄한 수세에서 얻어지는 겔(gel) 상태 상기 클로올링황토 40중량%, 갯벌토 40중량%, 바닷물 17중량%, 규산나트륨 3중량%로 구성되는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시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Crawling loess and mudflat nausea ceramic ownership a composit}
본 발명은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미분으로 분쇄 정제하여 도자기 타 일 기와 유약을 제조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자기 소지나 유약들은 천연자원료들로 무기재료를 이용하여 산업용 품과 가정용생활용기로 사용되고 있다
유약(glaze)이라함은 도자기류나 타일등을 재벌소성하기 전단계 표면을 도포 시키는 유리질 소재를 말하는 것으로 도자기 표면을 씌워서 색채 재질 광택을 만드 는 것으로 분말의 형태를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유리질의 원료를 말한다
유약을 바르는 목적은 도자기표면과 내부를 엷은 유리질의 피막으로 덮어 물이나 액체 화학약품을 담을때 밖으로 새 나오지 않도록 하고 산성이나 알카리성 화 학 작용이나 전기열등 물리적 작용에 대해 저항력을 높이며 여러 가지 색채를 냄으로써 아름답게 보이는 미적인 역할도 하고 있어 실용성의 역할과 표면을 아름답 게 표현하는 목적이다
유약의 종류로써는 투명유 매트유 결정유 색유 유백유 균열유 이러한 유약 의 조성은 소성용융점에 따라서 소지의 성분에 따라서 조성과 조합물에 다르며
주성분은 산성(RO2) 중성(R2O3) 염기성(RO) 성분으로 되어있고 일반적으로 자기류 도기류 토기류로 분류하고 자기질 1200℃~1400℃으로 소성하고 있으며 사용 원료는 장석 백운석 규석 카올린등이 있으며 도기질은 950℃~1100℃에서 소성하고 사용원료는 장석 도석 석회석 카올린등이 있다
도자기 타일 기와에 색채를 내기 위해서는 산화티탄윰(TiO2) 질코늄(ZrO2) 산화철(Fe2O3) 산화크롬(CrO) 산화안티몬(Sb2O3) 탄산칼슘(CaCo3) 산화아연(ZnO) 산화 코발트(Ca2Co3)등의 금속산화물 화합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유약조성물로 사용하면 금속산화믈은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조성물과 성형물표면과 자체열화학반응으로 신비로운 색상을 만들어 낸다
도자기타일 기와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성방법으로써는 산화염 중성염 환원염소성으로 구분되며 완전연소방식과 불완전연소방식에 따라서 소성을 소성로에서 이루어지는데 백자나 청자를 얻기 위한 방식을 불완전연소 방식의 환 원염 소성하는데 반면에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도자기 유약은 산화염 중 성염 환원염 구분없이 요변의 변화가 없으며 공해 오염발생도 없고 과다한 연료 소비도 없고 소성시간 단축도 되는 특징이 이루어진다
선행기술문헌특허문헌
(특허문헌000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04-0097876(2004 11 18공고)
본 발명은 건식 미분상태의 클로올링황토와 습식상태의 미분 갯벌토 바닷물 규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초벌구이된 도자기 표면에 도포하여 소성함으로써 자연에서 만 얻어낼 수 있는 홍시빛색으로 반투명표면 질감으로써 신비스럽고 아름다운 느 낌의 색을 나타내고자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를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발 명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로올링황토를 건식분쇄 후 150mesh표준체로 선별한 분말로 하고 갯벌토는 습식방법으로 150mesh 표준체로 통과시킨 후 도면 2와 같은 순서방법으로 제조 후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를 교반기에 넣고 바닷물로 충분히 혼련시킨 후 규산나트륨 투입 후 비중 40~45 농도로 맞춰 유약을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도면 2
클로올링 황토의 분석결과 과 원적외선 분광 방사율 비교도 표 1다음과 같다
표 1
상기의 유약을 이용한 도자기 타일 제조과정으로서 초벌구이를 마친 도자기 표면에 상기 제조된 유약을 도포하고 상기 유약이 도포된 도자기를 1200℃~1300℃ 로 재소성함으로써 도자기 타일 표면이 홍시빛색 반투명표면 질감을 얻을 수 있는 도자기 타일을 제조할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근례에는 주로 사용유약은 장석 규석 백운석 카올린 산화제2철 산화코발트 산화망간 산화티탄늄등을 조합하여 정해진 비율로 희석 상태에 물을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일정량의 금속산화물이 들어감으로써 비용부담도 커지고 용융점이 높아지고 환경오염에도 영향을끼치지만 본 발명의 시유제 조성물은 자연에서 쉽게 찾을 수 있고 제조공정도 그다지 어렵지 않아 비용절감이 좋으며 초벌기물에 시유도 담금법 분무법 흘림법을 통해 자연건조 후 색의 농도변화를 다양하게하고 소성온도 범위도 1250℃까지 낮춰 소성함으로 소성시간 절약 사용연료 절감 금속산화물 사용안하고 경비절감의 큰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시된 소성온도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최종제작된 도자기 타일 표면에 검붉은 밤색으로 표면질감 또한 무광 거칠음 나타남으로써 품질이 떨어지고 불량제품으로 나옴으로 상기온도까지 소성하는게 적정소성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원료를 수입 할 필요가 없고 자연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고 정제공정도 단순화 시켜 경비절감도 되었고 금속산화물도 낼 수가 없는 신비롭고 아름다운 홍시빛색 반투명 표면질감을 얻을 수 있었고 유약의 강도가 뛰어나고 색의 선명도가 뚜렷한 명품의 도자기 타일 기와를 제공 할 수가 있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갯벌토 조성의 분석결과를 나타내면 하기 표 2와 같다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의 결과
갯벌토의 분석한 조성물 결과표 표 2다음과 같다
표 2
(단위 : 중량 %)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을 이용한 소성하여 완성된 도자기 사진
실시 예 1
홍시빛색 반투명 표현질감 도자기 제조
본 발명의 도자기 유약 제조장법은 볼밀에서 미분쇄 후 150mesh 표준체를 통과시킨 클로올링황토 40중량%, 볼밀에서 미분쇄 후 150mesh 표준체를 통과시킨 갯벌토 40중량%, 바닷물 17중량%, 규산나트륨 3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약간의 물과 혼합하며 보메 비중 40~45 농도로 맞추고, 24시간 실온에서 숙성하여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를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정물을 제조하였다
삭제
삭제
실시 예 2
홍시빛색 반투명 표면질감의 타일 제조
본 발명의 타일 상기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과 가압 성형한 타일 성형물 기물에 도포한 후 완전 건조 후 완전연소방법으로 1230℃까지 8시간동안 소성하며 홍시빛색 반투명표면 질감의 선명한 타일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 1 실시 예 2를 참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같은 조건의 원료에 대한 중량비를 달리 실시해 본 결과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색상과 질감을 얻을 수 없었고 발명의 실시 예1 2와 같은 경우 한해서만 홍시빛색 반투명표면 질감이 신비롭고 아름다운 선명한 고유의 색상과 질감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2)

  1. 클로올링황토 40중량%, 갯벌토 40중량%, 바닷물 17중량%, 규산나트륨(Na2SiO3) 3중량%를 포함하는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를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2. 볼밀에서 미분쇄 후 150mesh 표준체를 통과시킨 클로올링황토 40중량%, 볼밀에서 미분쇄 후 150mesh 표준체를 통과시킨 갯벌토 40중량%, 바닷물 17중량%, 규산나트륨 3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약간의 물과 혼합하며 보메 비중 40~45 농도로 맞추고, 24시간 실온에서 숙성한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를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KR1020210093761A 2021-07-16 2021-07-16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KR10260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61A KR102607010B1 (ko) 2021-07-16 2021-07-16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61A KR102607010B1 (ko) 2021-07-16 2021-07-16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912A KR20230012912A (ko) 2023-01-26
KR102607010B1 true KR102607010B1 (ko) 2023-11-29

Family

ID=8511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761A KR102607010B1 (ko) 2021-07-16 2021-07-16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0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9589A (zh) 2020-12-24 2021-03-12 湖州海程塑业有限公司 淡粉色釉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821B1 (ko) * 2001-09-28 2004-07-21 김현규 토청(土靑) 유약의 조성물
KR100542733B1 (ko) * 2003-05-13 2006-01-20 최용석 클로올링(물방울)황토 시유제 제조방법
KR101635440B1 (ko) * 2014-03-28 2016-07-01 이종근 메탈실리콘이 함유된 염전타일용 유약 및 그를 이용한 염전타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79589A (zh) 2020-12-24 2021-03-12 湖州海程塑业有限公司 淡粉色釉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912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77089B (zh) 一种透光砖及其制备方法
CN102351508B (zh) 利用废瓷制得彩色陶瓷透水砖的生产方法
CN105884197A (zh) 一种利用铁矿渣制备系列铁系色釉的方法及基于该色釉的装饰方法
CN108484114B (zh) 一种高掺量抛光废料的釉面瓷质砖及其制备方法
CN107915480A (zh) 一种喷墨渗透透光砖及其制备方法
CN106746670A (zh) 一种无铅无铋低锆的低温珠光釉料及其制作方法
CN107010922B (zh) 窑变釉紫砂精陶器的制备方法
KR100759053B1 (ko) 결정체를 형성시키는 유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lomban Glazes and enamels
KR100885391B1 (ko) 천연 청자기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도자기
CN100522886C (zh) 一种陶瓷开光釉制作方法及其釉料
CN106746649A (zh) 高温亮光嫩黄釉及其陶瓷制品和制备方法
CN107415024B (zh) 一种白陶瓷工艺品的制备工艺
KR102607010B1 (ko) 클로올링황토와 갯벌토 이용한 세라믹 시유제 조성물
KR101994272B1 (ko) 유약 및 컬러유약 및 이를 이용한 아트타일의 제조 방법
CN106277792A (zh) 一种翡翠青釉料及其烧制方法
CN108530027A (zh) 回收废弃瓷土生产的窑变艺术釉陶瓷
CN108996906B (zh) 一种艺术黑釉银花瓷及其制备方法与烧成工艺
KR100387919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CN101987791A (zh) 一种类色彩瓷器原材料制作方法
CN101407434A (zh) 使用珠光云母颜料制造墙地砖方法
KR20090099023A (ko) 우 분뇨를 이용한 청자 유약 조성물
US2902739A (en) Methods of changing or altering the color of building bricks, tile, or other ceramic units
Colomban Glaze and enamels
KR100387920B1 (ko) 도자기용 유약의 제조 및 도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