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585B1 -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 Google Patents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585B1
KR102606585B1 KR1020210052417A KR20210052417A KR102606585B1 KR 102606585 B1 KR102606585 B1 KR 102606585B1 KR 1020210052417 A KR1020210052417 A KR 1020210052417A KR 20210052417 A KR20210052417 A KR 20210052417A KR 102606585 B1 KR102606585 B1 KR 10260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e
coupling
storage contai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971A (ko
Inventor
이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틀리스
이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틀리스, 이치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틀리스
Priority to US18/025,17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31453A1/en
Priority to EP21866935.6A priority patent/EP4212251A1/en
Priority to PCT/KR2021/005183 priority patent/WO2022055064A1/ko
Publication of KR2022003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Sealing arrangements around pump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튜브의 개구부에 결합된 밸브를 미리 절개하지 않고, 액체 주입 노즐이 튜브로 삽입될 때 절개되도록 하여 액체 주입 노즐과 밸브 사이의 간극을 완벽히 차단하여 액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저장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탄성체 재질의 튜브와, 튜브에 액체를 주입하기 전, 튜브의 상단에 결합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밸브는, 튜브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고리형상의 지지부와,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튜브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Storage container and its liquid injection method}
본 발명은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션, 샴푸, 세제, 화장품 등과 같은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저장용 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작용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액체 저장용 용기는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일정량 이상 소진될 경우, 용기본체의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를 모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체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액체 저장용 용기를 버리거나, 용기본체에 잔존하는 액체를 사용하기 위하여 토출수단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본체를 뒤집은 후 용기본체에 충격을 가하여 용기본체의 내부에 잔존하는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의 경우 환경오염을 발생시킴은 물론, 잔존 액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풍선 형태의 액체 저장 용기가 개발된 바 있다.
신축 가능한 풍선 형태의 액체 저장 용기는 액체의 소모량에 대응하여 수축되면서 액체가 저장된 내부공간을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압축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체 저장 용기는 외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탄성체 재질의 튜브와, 튜브의 상단에 결합되어 튜브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밸브와, 밸브를 관통하여 튜브의 내부와 연통되고, 펌핑작용을 수행하여 튜브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펌프로 구성된다.
한편, 탄성체 재질의 튜브는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어 팽창된 경우 스스로 수축되려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에는 튜브에 액체를 주입할 때 튜브가 수축되어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도록, 음압을 이용하여 튜브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튜브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고, 튜브의 상단에 밸브를 결합한 후, 음압을 해제하였다.
그러나, 이의 경우 튜브에 음압을 적용/해제하기 위한 장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고, 전체적인 공정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절개홈이 형성된 밸브를 미리 튜브의 상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액체를 공급하는 노즐을 절개홈으로 삽입하여 튜브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의 경우 노즐이 절개홈을 통해 밸브를 관통하여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액체를 주입한 후 밸브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밸브가 튜브에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여 절개홈의 일부분이 개방되고, 이로 인해 개방된 절개홈의 일부분으로 액체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즐이 밸브에 결합되거나, 밸브로부터 분리된 후, 밸브의 상단으로 누수된 액체를 제거 해야하는 후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의 개구부에 결합된 밸브를 미리 절개하지 않고, 액체 주입 노즐이 튜브로 삽입될 때 절개되도록 하여 밸브를 액체 주입 노즐의 외면에 완벽히 밀착시키고, 이를 통해 액체 주입 노즐과 밸브 사이의 간극을 완벽히 차단하여 액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탄성체 재질의 튜브; 및 상기 튜브에 액체를 주입하기 전, 상기 튜브의 상단에 결합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튜브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고리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막을 포함한다.
상기 튜브 및 상기 밸브를 수용하는 지지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은, 상기 튜브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튜브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링 바디; 및 상기 링 바디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튜브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링 바디에 수용되고 내부에 액체를 수용 가능한 튜브바디; 상기 튜브바디의 단부로부터 상기 튜브바디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 바디에 지지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지지되는 제1 지지턱; 및 상기 제2 걸림부 및 상기 링 바디에 지지되는 제2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지지턱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지지턱 사이에 압착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지지턱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간극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막은 상기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밸브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밸브의 하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막은 돌출된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막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막은 돌출된 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막을 절개하면서 상기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주입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주입 노즐은, 내부에 흐르는 액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관형상의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감소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막을 가압하여 절개하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는, 제1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고, 오목한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베벨면;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베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베벨면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내부에 액체가 흐르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토출바디; 상기 토출바디에 흐르는 액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토출공; 및 상기 토출바디에 흐르는 액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토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 상기 밸브 및 상기 지지링이 결합된 결합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결합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거나, 상기 결합체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지지링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지지링이 결합되면, 상기 튜브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링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링은, 상기 링 바디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결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판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 시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는 제1 결합판; 및 상기 링 바디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결합판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결합 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제2 결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일 측이 개구되고, 상기 결합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 측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 의해 상기 지지링에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상호 분리되는 과정에 의해 상기 지지링으로부터 분리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링에 결합될 경우, 상기 링 바디 및 상기 결합판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링의 중심축 방향과,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지지링의 유동을 제한하고, 상기 지지링의 일부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링 바디의 일 부분과, 상기 제1 결합판 및 상기 제2 결합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링 바디의 다른 일 부분과, 상기 제1 결합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링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제2 결합판을 지지하는 제1 주 지지부재; 상기 제1 주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링 바디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1 주 지지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판의 일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제1 결합판을 상기 제1 주 지지부재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1 주 지지부재의 외면과 상기 제1 결합판 사이에 상기 제2 결합부가 수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보조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보조 지지부재에 안내되어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링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판의 다른 일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주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주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링 바디의 다른 일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체의 외형에 대응되는 안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링 바디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튜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다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은, 상기 링 바디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에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홈을 포함하며, 상기 장홈이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판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장홈이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결합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링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링 바디에 수용된 상기 밸브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캡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기 튜브에 저장된 액체를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결합체를 수용 가능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수용바디; 및 개방된 상기 수용바디의 상부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고, 상기 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수용바디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결합체와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체를 모두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결합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에 배치시키고 다른 일부는 외부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결합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지지링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링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부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결합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링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지지링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링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결합 지지부재와 상기 제2 결합 지지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튜브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결합 지지부재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링이 상기 제1 결합 지지부재에 결합될 경우 상기 디스펜서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액체 주입 방법은 상기 지지링에 결합된 상기 튜브에 상기 밸브를 결합하여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액체 주입 노즐을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상기 밸브를 절개하는 단계; 상기 튜브에 액체를 주입하여 상기 튜브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체 주입 노즐을 상기 저장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는, 상기 링 바디에 상기 튜브바디를 삽입하고, 상기 걸림턱에 상기 제1 걸림부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지지턱을 상기 제2 걸림부에 안착시켜 상기 탄성막을 상기 튜브의 개구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밸브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지지턱을 상기 제1 걸림부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탄성막을 상기 튜브바디의 내면에 압착시켜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를 절개하는 단계는, 상기 밸브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액체 주입 노즐과 상기 밸브를 동축 위치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액체 주입 노즐을 하향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성막을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를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토출공 및 상기 제2 토출공을 상기 튜브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의 개구부에 결합된 밸브를 미리 절개하지 않고, 액체 주입 노즐이 튜브로 삽입될 때 절개되도록 하여 밸브를 액체 주입 노즐의 외면에 완벽히 밀착시키고, 이를 통해 액체 주입 노즐과 밸브 사이의 간극을 완벽히 차단하여 액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에 미리 절개홈을 형성하는 밸브 절개 공정을 배제시켜 전체 공정을 단순화하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튜브에 액체가 주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액체 주입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에 결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에 지지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I-X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가 결합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지지링이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지지링이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에 결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에 지지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XX-XX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액체 주입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이하 '저장 용기(100)'라 함)는 튜브(110), 밸브(120) 및 지지링(130)을 포함한다.
튜브(110)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경우에는 팽창되고,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에는 수축되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튜브(110)는 액체가 저장되어 팽창된 상태에서 액체가 소모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액체가 소모된 만큼의 공간을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튜브(110)의 개구부(O)가 개방될 경우, 튜브(110)에 저장된 액체는 튜브(110)의 탄성력에 의해 남김없이 모두 튜브(1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110)는 실리콘, 고무, 라텍스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액체라 함은 점성을 가지거나, 점성을 가지지 않은 모든 액체 및 겔(gel)과 같이 반액체 상태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튜브(110)는 지지링(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튜브바디(111) 및 지지링(130)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바디(111)는 펌핑 작용을 통하여 튜브(110)에 수용된 액체를 토출시키는 디스펜서(미도시)와 결합 가능한 목부와, 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부로 구성되는 링 바디(131)에 수용될 수 있다.
튜브바디(111)는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바디(111)는 걸림부(112, 113)로부터 연장되어 링 바디(131)의 목부에 지지되는 제1 바디부와, 제1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링 바디(131)의 용기에 수용되고, 제1 바디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는 제1 바디부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팽창 시 내부 압력에 의한 터짐을 예방하고, 장시간 팽창되어 있는 경우에도 탄성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걸림부(112, 113)는 튜브바디(111)의 상단으로부터 튜브바디(111)의 반경방향 측으로 연장되어 링 바디(131)의 목부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걸림부는 튜브바디(111)의 상측 단부로부터 튜브바디(11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링 바디(131)에 마련된 걸림턱(132)에 지지되는 제1 걸림부(112)와, 제1 걸림부(112)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링 바디(131)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제2 걸림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바디(111)에 액체가 저장되어 걸림부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가 증가할 경우에도, 걸림부는 튜브바디(111)가 수용된 링 바디(131)의 내부로 말려 들어가거나, 변형되지 않고, 튜브바디(11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부(112)와, 제1 걸림부(112)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걸림부(113)에 의해, 링 바디(131)의 걸림턱(132)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걸림부(112)의 내부에는 제1 걸림부(112)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는 보강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튜브바디(111)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제1 걸림부(112)가 안정적으로 링 바디(131)의 걸림턱(132)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밸브(120)는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튜브(110)에 액체를 주입하기 전, 튜브(1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밸브(120)는 경도 50 내외의 값을 가지는 탄성체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의 경도 값은 쇼어 경도계를 통해 측정된 경도 값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밸브(120)의 소재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변경될 수 있다.
밸브(120)는 지지부(120A) 및 탄성막(121)을 포함한다.
지지부(120A)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튜브(110)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0A)는 제1 걸림부(112) 및 제2 걸림부(113)에 지지되는 제1 지지턱(122)과, 제2 걸림부(113) 및 링 바디(131)에 지지되는 제2 지지턱(123)과, 액체 주입 노즐(200)을 수용 가능한 노즐 수용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밸브(120)는 다단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지지턱(122, 123)을 구비하여, 제1 걸림부(112) 및 제2 걸림부(113)에 의해 1차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제2 걸림부(113) 및 링 바디(131)에 의해 2차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120)는 안정적으로 튜브(110)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막(121)은 지지부(120A)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튜브(110)의 개구부(O)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막(121)은 제1 지지턱(122)의 단부로부터 밸브(120)의 축 방향을 따라 밸브(120)의 하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튜브바디(11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탄성막(121)이 튜브(110)의 개구부(O)에 배치된 상태에서, 밸브(120)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지지턱(122)을 제1 걸림부(112)에 밀착시키면, 탄성막(121)이 튜브바디(111)의 내면에 압착되면서 튜브(110)의 개구부(O)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탄성막(121)은 돌출된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막(121)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막(121)의 표면에 가해지는 액체의 압력이 어느 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돌출된 탄성막(121)의 표면을 따라 고르게 분산되므로, 탄성막(121)이 액체 주입 노즐(200)에 의해 절개될 경우에도 액체의 압력이 절개된 부위로 집중되지 않고, 탄성막(121) 주변으로 고르게 작용하여 절개된 부위가 완벽히 밀착될 수 있다.
밸브(120)는 간극 차단 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극 차단 부재(125)는 제1 걸림부(112)에 대응되는 제1 지지턱(122)의 저면에 배치되고, 밸브(120)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제1 걸림부(112)와 제1 지지턱(122) 사이에 압착되면서 제1 걸림부(112)와 제1 지지턱(122)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걸림부(112)와 제1 지지턱(122) 사이를 완벽히 밀폐하여 튜브(110)의 개구부(O)를 폐쇄하고, 제1 걸림부(112)와 제1 지지턱(122) 사이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링(130)은 튜브(110) 및 밸브(1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링(130)은 튜브(110)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튜브(110)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링 바디(131)와, 튜브(11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걸림턱(1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 바디(131)는 튜브(110)의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튜브(110)의 상부만 수용하고, 튜브(110)의 하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패키징 용기(미도시) 혹은 케이스(미도시)에 결합 가능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튜브에 액체가 주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 용기(100)는 액체 주입 노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주입 노즐(200)은 밸브(120)의 상측에서 튜브(110)의 내측을 향하여 하향 이동하여 탄성막(121)을 절개하면서 튜브(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튜브(110)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막(121)은 탄성막(121)을 관통하고 있는 액체 주입 노즐(200)의 외면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액체 주입 노즐(20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가 저장되는 튜브(110)의 내부를 밀폐시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탄성막(121)은 액체 주입 노즐(200)에 의해 절개될 경우 절개 부위의 취약성을 고려하여 돌출된 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체 주입 노즐(200)에 의해 절개되는 탄성막(121)의 중앙부는 가장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막(121)을 절개한 액체 주입 노즐(200)이 탄성막(121)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탄성막(121)은 탄성력에 의해 탄성 복원되면서 절개된 부위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액체 주입 노즐(200)에 의해 절개된 부위가 타 부위에 비하여 더 두껍게 형성될 경우, 탄성 복원되는 구간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액체 주입 노즐(200)이 탄성막(121)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액체가 탄성막(121)의 절개된 틈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누수되기 전에 탄성막(121)이 탄성 복원되면서 절개된 부위를 폐쇄하여 누수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액체 주입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VI-V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액체 주입 노즐(200)은 토출부(210)와 블레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220)는 토출부(210)로부터 연장되어 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감소하는 웨지(wedge) 구조로 형성되고, 토출부(210)에 의해 이동되면서 밸브(120)를 가압하여 절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22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절개면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블레이드부(220)는 제1 방향(D1)을 따라 대향 배치되고, 오목한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베벨면(221)과, 제1 방향(D1)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베벨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 베벨면(221)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즉, 블레이드부(22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3개의 절개면을 포함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탄성막(121)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히 탄성막(121)을 절개할 수 있고, 탄성막(121)과의 밀착이 더 용이 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부(22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토출부(21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흐르는 액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토출부(210)는 내부에 액체가 흐르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토출바디(211)와, 토출바디(211)에 흐르는 액체를 제1 방향(D1)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토출공(212)과, 토출바디(211)에 흐르는 액체를 제2 방향(D2)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토출공(2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토출부(210)가 복수의 위치에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보다 신속히 액체를 주입할 수 있음은 물론, 액체가 튜브(110)의 내부에서 어느 한 부분으로 집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충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에 결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에 지지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저장 용기(100)는 케이스(140), 보호캡(150) 및 디스펜서(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캡(150)은 링 바디(131)에 결합되어 링 바디(131)에 수용된 밸브(1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밸브(120)의 상단에 지지된 디스펜서(160)의 일 부분을 밸브(120) 측으로 가압하여 디스펜서(16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캡(150)은 링 바디(13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링 바디(131)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디스펜서(160)는 보호캡(150)에 결합되어 밸브(120)의 상단에 지지되고, 펌핑 작용을 통하여 튜브(110)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펜서(160)는 승강운동에 의하여 압력차를 발생시켜 튜브(110)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핑부와, 펌핑부와 연통되어 튜브(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펌핑부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될 경우 튜브(110)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부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펜서(16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튜브(110)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140)는 튜브(110), 밸브(120), 지지링(130), 보호캡(150) 및 디스펜서(160)가 결합된 결합체(100A)를 내부에 수납 및 보관하거나, 결합체(100A)를 지면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로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면이라 함은 저장 용기(100)가 지지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케이스(140)는 결합체(100A)를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체(100A)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상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40)는 복수의 면을 포함하는 다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14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케이스(140)는 결합체(110A)와 결합되어 결합체(110A)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결합체(110A)의 다른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140)는 결합체(100A)의 지지링(130)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40)와 지지링(130)이 결합되면, 튜브(110)는 케이스(1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지지링(130)의 일부는 케이스(14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케이스(140)와 지지링(130)이 미결합되면, 튜브(110)와 지지링(130)은 모두 케이스(1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140)는 결합체(100A)를 수납할 수 있는 보관함의 용도뿐만 아니라, 결합체(100A)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결합체(100A)를 지지하여 결합체(100A)가 거치될 수 있는 하우징 혹은 스탠드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는 쓰레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40)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여 활용성이 증대되고,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140)는 지지링(130)에 결합되어 연질의 튜브(110)의 외측에 단단한 외피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파지 가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결합체(100A)를 바닥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직립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스(140)는 본체(141) 및 본체(141)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커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41)는 일 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개구된 일면과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체(100A)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41)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내부에 결합체(100A)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41)는 커버(142)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142)에 결합될 경우 커버(14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41)는 커버(142)에 결합되거나, 커버(142)로부터 분리될 경우에도 항상 커버(142)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케이스(140)에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도 본체(141)와 커버(142)는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지지링(130)의 일부가 케이스(140)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지지링(13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41)는 제작이 용이하도록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142)는 본체(141)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 즉, Y축 방향을 따라 본체(141)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커버(142)는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본체(141)가 수용 가능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42)는 본체(141)에 결합되거나, 본체(141)로부터 분리되어 본체(141)의 개구된 일 측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42)는 본체(141)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42)는 본체(141)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141)에 결합되거나, 본체(141)로부터 분리될 경우 항상 본체(14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42)는 종이 재질, 고무,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8의 XI-X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141) 및 커버(142)는 각각 지지링(130)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141A, 142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41A, 142A)는 본체(141)와 커버(142)가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 의해 지지링(130)에 결합되어 지지링(130)의 외면을 지지하거나, 본체(141)와 커버(142)가 상호 분리되는 과정에 의해 지지링(1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지지링(130)은 링 바디(131)의 외면에 배치되어 케이스(140)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결합판(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판(133)은 케이스(140)에 결합 시 케이스(140)의 외부에 배치되어 케이스(140)의 외면에 지지되는 제1 결합판(133A)과, 링 바디(131)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제1 결합판(133A)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케이스(140)에 결합 시 케이스(1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케이스(140)의 내면에 지지되는 제2 결합판(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부(141A, 142A)는 본체(141)와 커버(142)의 결합 시 지지링(130)에 결합되어 링 바디(131) 및 지지링(130)에 구비된 결합판(133)을 지지할 수 있다.
결합부(141A, 142A)는 지지링(130)의 중심축 방향, 즉, Z축 방향과, 지지링(130)의 반경방향, 즉, X축 및 Y축 방향으로 지지링(130)의 유동을 제한하고, 지지링(130)의 일부를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결합부(141A, 142A)에 지지된 지지링(130)은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케이스(140)에 완벽히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41A, 142A)는 제1 결합부(141A) 및 제2 결합부(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41A)는 본체(141)에 마련되어 본체(141)와 커버(142)가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 의해 지지링(130)의 일 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링(130)을 지지하여 지지링(130)의 중심축 방향(Z축 방향)과, 지지링(130)의 반경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지지링(13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지지링(130)의 일 측에 결합된 제1 결합부(141A)는 링 바디(131)의 일 부분과, 링 바디(131)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링 바디(131)외면에 이격 배치된 제1 결합판(133A) 및 제2 결합판(133B)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42A)는 케이스(111B)에 마련되어 본체(141)와 커버(142)가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 의해 지지링(130)의 타 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위치에서 지지링(130)을 지지하여 지지링(130)의 중심축 방향(Z축 방향)과, 지지링(130)의 반경방향(X축 및 Y축 방향)으로 지지링(130)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지지링(130)의 타 측에 결합된 제2 결합부(142A)는 링 바디(131)의 다른 일 부분과, 링 바디(131)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링 바디(131)외면에 이격 배치된 제1 결합판(133A)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41A)는 제1 주 지지부재(141A1), 제1 수용홈(141A2) 및 보조 지지부재(141A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 지지부재(141A1)는 다면체 구조로 형성된 본체(141)의 일 면을 형성하고, 본체(141)와 커버(142)의 결합 시 지지링(130)의 중심축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본체(141)의 내부에 수용된 지지링(130)의 제2 결합판(133B)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수용홈(141A2)은 제1 주 지지부재(141A1)에 형성되고, 본체(141)와 커버(142)의 결합 시 링 바디(131)의 외면에 접하여 지지링(130)의 반경방향, 즉 X축 및 Y축 방향으로 링 바디(131)의 일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수용홈(141A2)은 본체(141)와 커버(142)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링 바디(131)가 출입 가능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홈(141A2)은 링 바디(131)에 접촉 시 링 바디(131)의 외면을 적어도 1/2 이상 감쌀 수 있도록 링 바디(131)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부재(141A3)는 제1 주 지지부재(141A1)의 외면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본체(141)와 커버(142)의 결합 시 지지링(130)의 중심축 방향(Z축 방향)으로 지지링(130)의 제1 결합판(133A)의 일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재(141A3)는 지지링(130)의 중심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제1 결합판(133A)을 제1 주 지지부재(141A1)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제1 주 지지부재(141A1)의 외면과 제1 결합판(133A) 사이에 제2 결합부(142A)가 수용되는 결합홈(141A4)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지지부재(141A3)는 본체(141)와 커버(142)의 결합 또는 분리 시 제2 결합부(142A)를 본체(141)와 커버(142)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42A)는 제2 주 지지부재(142A1) 및 제2 수용홈(142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주 지지부재(142A1)는 다면체 구조로 형성된 커버(142)의 일 면을 형성하고, 본체(141)와 커버(142)의 결합 시 지지링(130)의 중심축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보조 지지부재(141A3)에 안내되어 결합홈(141A4)에 수용될 수 있다.
결합홈(141A4)에 수용된 제2 주 지지부재(142A1)는 지지링(130)의 중심축 방향으로 본체(141)의 외부에 배치된 지지링(130)의 제1 결합판(133A)의 다른 일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 지지부재(142A1)의 두께, 보조 지지부재(141A3)의 두께 및 결합홈(141A4)의 높이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수용홈(142A2)은 제2 주 지지부재(142A1)에 형성되고, 본체(141)와 커버(142)의 결합 시 링 바디(131)의 외면에 접하여 지지링(130)의 반경방향, 즉 X축 및 Y축 방향으로 링 바디(131)의 다른 일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수용홈(142A2)은 본체(141)와 커버(142)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링 바디(131)가 출입 가능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홈(142A2)은 링 바디(131)에 접촉 시 링 바디(131)의 외면을 적어도 1/2 이상 감쌀 수 있도록 링 바디(131)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케이스(140)는 지지 몰드(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몰드(143)는 본체(141)의 내부에 배치되고, 결합체(100A)의 외형에 대응되는 안착홈(143A)을 구비하여 본체(141)에 수용된 결합체(100A)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몰드(143)에 마련된 안착홈(143A)은, 결합체(100A)의 튜브(110)를 수용하여 튜브(110)의 외면을 지지하는 제1 홈부, 결합체(100A)의 지지링(130)을 수용하여 지지링(130)의 외면을 지지하는 제2 홈부 및 결합체(100A)의 보호캡(150) 및 디스펜서(160)를 수용하여 디스펜서(160)의 외면을 지지하는 제3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몰드(143)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몰드(143)는 케이스(140) 내에서 결합체(100A)의 유동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결합체(100A)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결합체(100A)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가 결합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케이스(140)에 결합체(100A)를 거치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체(141)로부터 커버(142)를 분리한 후, 결합체(100A)를 본체(141)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본체(141) 및 커버(142)에 각각 마련된 결합부(141A, 142A)가 결합체(100A)를 향하도록 본체(141)와 커버(142)를 상하 반전되도록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141)에 마련된 제1 결합부(141A)를 지지링(130)의 일 측에 결합한 후, 본체(141)와 커버(142)를 결합하여 커버(142)에 마련된 제2 결합부(142A)를 지지링(130)의 타 측에 결합한다.
이를 통해, 지지링(130)이 케이스(14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튜브(110)는 케이스(140)의 내부에 수용되고, 보호캡(150) 및 디스펜서(160)는 케이스(140)의 외부에 배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지지링이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지지링이 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케이스(140)는 링 바디(131)의 중심축 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40)는 링 바디(131)의 중심축 방향으로 튜브(1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본체(141)와, 본체(141)의 상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커버(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41)와 커버(142)는 다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링(130)에 구비된 결합판(133)은 링 바디(131)의 중심축 방향으로 본체(141)의 상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결합판(133)은 본체(14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개구된 본체(141)의 상부를 개폐하는 캡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본체(141)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단순한 구조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141)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144)를 포함하고, 결합판(133)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144)에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판(133)은 본체(141)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장홈(134)은 결합판(133)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134)이 결합부재(144)에 결합되면, 결합판(133)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본체(141)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134)이 결합부재(144)로부터 분리되면, 결합판(133)은 각 변이 본체(141)의 내면에 대응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본체(14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체(141)의 내부에 수용된 결합판(133)은, 본체(141)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본체(141)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에 결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케이스에 지지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18의 XX-XX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케이스(140)는 수용바디(145) 및 지지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바디(145)는 내부에 결합체(100A)를 수용 가능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수용바디(145)는 내부에 수용된 결합체(100A)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수용바디(145)는 지면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바디(145)의 상단부에는 개구된 수용바디(145)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용바디(1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수용바디(145)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1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지지대(146)는 개방된 수용바디(145)의 상부를 통해 수용바디(145)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고, 결합체(100A)에 결합되어 결합체(100A)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대(146)는 결합체(100A)의 유동을 방지하고, 결합체(100A)로 전달되는 충격을 분산시켜 결합체(100A)의 변형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지지대(146)는 베이스 부재(1461)와, 복수의 결합 지지부재(1462, 146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461)는 수용바디(145)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461)는 수용바디(145)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수용바디(145)에 수용된 베이스 부재(1461)는 수용바디(145)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461)의 내부에는 결합체(100A)가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461)는 단면이 ‘ㄷ’ 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지지부재(1462, 1463)는 베이스 부재(1461)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체(100A)와 결합되면서 결합체(100A)를 모두 베이스 부재(1461)의 내부에 배치시키거나, 결합체(100A)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에 배치시키고 다른 일부는 외부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결합 지지부재(1462, 1463)는 결합체(100A)에 결합되어 결합체(100A)의 외면을 지지함으로써, 특정 방향으로 결합체(100A)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지지부재(1462, 1463)는 제1 결합 지지부재(1462)와, 제2 결합 지지부재(14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지지부재(1462)는 베이스 부재(1461)의 내부에 배치되어 베이스 부재(1461)의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이에, 지지대(146)의 내부에는 복수의 수용공간(1464, 1465)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46)의 내부에는 제1 결합 지지부재(1462)와 제2 결합 지지부재(1463)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용공간(1464)과, 제1 결합 지지부재(146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1465)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 지지부재(1462)는 지지링(130)에 결합되어 결합체(100A)를 베이스 부재(1461)의 내부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지지부재(1463)는 베이스 부재(1461)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지지링(130)에 결합되어 튜브(110)는 베이스 부재(1461)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디스펜서(160)는 베이스 부재(1461)의 외부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 지지부재(1462)와 제2 결합 지지부재(1463)는 각각, 지지링(130)을 내부에 수용하고, 지지링(13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링 수용홈(RG1, RG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체(100A)의 지지링(130)이 제1 결합 지지부재(1462)에 결합되면, 제1 수용공간(1464)에 튜브(110)가 배치되고, 지지대(146)의 외부에 디스펜서(1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체(100A)의 지지링(130)이 제2 결합 지지부재(1463)에 결합되면, 제1 수용공간(1464)에 튜브(110)가 배치되고, 제2 수용공간(1465)에 디스펜서(16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대(146)는 결합체(100A)와의 결합구조를 달리하여, 디스펜서(160)가 외부로 노출되는 사용 상태 또는 디스펜서(160)가 내부에 수용되는 보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바디(145) 및 지지대(146)는 제작이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수용바디(145) 및 지지대(146)의 소재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의 액체 주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의 액체 주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 내지 도 2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액체 주입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3을 참조하면, 액체 주입 장치(미도시)가 지지링(130)에 결합된 튜브(110)에, 밸브(120)를 결합하여 튜브(110)의 개구부(O)를 폐쇄한다(S110).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24를 참조하면, 액체 주입 장치가 링 바디(131)에 튜브바디(111)를 삽입하고, 걸림턱(132)에 제1 걸림부(112)를 안착시킨다(S111).
걸림턱(132)에 제1 걸림부(112)를 안착되면, 액체 주입 장치가 제2 지지턱(123)을 제2 걸림부(113)에 안착시켜 탄성막(121)을 튜브(110)의 개구부(O)에 배치한다(S112).
탄성막(121)이 튜브(110)의 개구부(O)에 배치되면, 액체 주입 장치가 밸브(120)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지지턱(122)을 제1 걸림부(112)에 밀착시키면서 탄성막(121)을 튜브바디(111)의 내면에 압착시켜 튜브(110)의 개구부(O)를 폐쇄한다(S113).
도 3 및 도 23을 참조하면, 튜브(110)의 개구부(O)가 폐쇄되면, 액체 주입 장치가 액체 주입 노즐(200)을 저장 용기(100)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밸브(120)를 절개한다(S120).
구체적으로, 도 25을 참조하면, 튜브(110)의 개구부(O)가 폐쇄되면, 액체 주입 장치가 밸브(120)의 상부에 배치된 액체 주입 노즐(200)과 밸브(120)를 동축 위치로 정렬한다(S121).
도 3 및 도 25을 참조하면, 액체 주입 노즐(200)과 밸브(120)가 동축 위치로 정렬되면, 액체 주입 노즐(200)이 하향 이동되면서 탄성막(121)을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를 점진적으로 확장시킨다(S122).
도 5, 도 6 및 도 25을 참조하면, 절개된 부위가 확장되면, 액체 주입 노즐(200)이 더 하향 이동되며 제1 토출공(212) 및 제2 토출공(213)을 튜브(110)의 내부에 배치시킨다(S123).
도 23을 참조하면, 액체 주입 노즐(200)이 저장 용기(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튜브(110)에는 설정된 용량만큼 액체가 주입되며 튜브(110)가 팽창된다(S130).
튜브(110)에 설정된 용량만큼 액체가 충전되면, 액체 주입 장치가 액체의 주입을 중단하고, 액체 주입 노즐(200)을 상향 이동시켜 액체 주입 노즐(200)을 저장 용기(100)로부터 분리한다(S140).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110)의 개구부(O)에 결합된 밸브(120)를 미리 절개하지 않고, 액체 주입 노즐(200)이 튜브(110)로 삽입될 때 절개되도록 하여 밸브(120)를 액체 주입 노즐(200)의 외면에 완벽히 밀착시키고, 이를 통해 액체 주입 노즐(200)과 밸브(110) 사이의 간극을 완벽히 차단하여 액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120)에 미리 절개홈을 형성하는 밸브 절개 공정을 배제시켜 전체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저장 용기
100A. 결합체
110. 튜브
O. 개구부
111. 튜브바디
112. 제1 걸림부
113. 제2 걸림부
120. 밸브
120A. 지지부
121. 탄성막
122. 제1 지지턱
123. 제2 지지턱
124. 노즐 수용홈
125. 간극 차단 부재
130. 지지링
131. 링 바디
132. 걸림턱
133. 결합판
133A. 제1 결합판
133B. 제2 결합판
134. 장홈
140. 케이스
141. 본체
141A. 제1 결합부
141A1. 제1 주 지지부재
141A2. 제1 수용홈
141A3. 보조 지지부재
141A4. 결합홈
142. 커버
142A. 제2 결합부
142A1. 제2 주 지지부재
142A2. 제2 수용홈
143. 지지 몰드
143A. 안착홈
144. 결합부재
145. 수용바디
146. 지지대
1461. 베이스 부재
1462. 제1 결합 지지부재
RG1. 링 수용홈
1463. 제2 결합 지지부재
RG2. 링 수용홈
1464. 제1 수용공간
1465. 제2 수용공간
150. 보호캡
160. 디스펜서
200. 액체 주입 노즐
210. 토출부
211. 토출바디
212. 제1 토출공
213. 제2 토출공
220. 블레이드부
221. 제1 베벨면
222. 제2 베벨면

Claims (36)

  1.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탄성체 재질의 튜브;
    상기 튜브에 액체를 주입하기 전, 상기 튜브의 상단에 결합되는 밸브;
    상기 튜브 및 상기 밸브를 수용하는 지지링; 및
    상기 튜브, 상기 밸브 및 상기 지지링이 결합된 결합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결합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거나, 상기 결합체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링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튜브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고리형상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막;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에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홈이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판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장홈이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결합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저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은,
    상기 튜브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튜브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링 바디; 및
    상기 링 바디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튜브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링 바디에 수용되고 내부에 액체를 수용 가능한 튜브바디;
    상기 튜브바디의 단부로부터 상기 튜브바디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1 걸림부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 바디에 지지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걸림부 및 상기 제2 걸림부에 지지되는 제1 지지턱; 및
    상기 제2 걸림부 및 상기 링 바디에 지지되는 제2 지지턱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1 걸림부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지지턱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지지턱 사이에 압착되면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지지턱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간극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저장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막은 상기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밸브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밸브의 하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는, 저장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막은 돌출된 방향을 따라 내경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저장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막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저장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막은 돌출된 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저장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막을 절개하면서 상기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튜브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주입 노즐을 더 포함하는, 저장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 노즐은,
    내부에 흐르는 액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관형상의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로부터 연장되어 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감소하는 웨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부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막을 가압하여 절개하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제1 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고, 오목한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베벨면; 및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베벨면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베벨면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저장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내부에 액체가 흐르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토출바디;
    상기 토출바디에 흐르는 액체를 상기 제1 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토출공; 및
    상기 토출바디에 흐르는 액체를 상기 제2 방향으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토출공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15. 삭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지지링이 결합되면, 상기 튜브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링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저장 용기.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은, 상기 링 바디의 외면에 배치되는, 저장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 시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는 제1 결합판; 및
    상기 링 바디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결합판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결합 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제2 결합판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 측이 개구되고, 상기 결합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일 측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상호 결합되는 과정에 의해 상기 지지링에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가 상호 분리되는 과정에 의해 상기 지지링으로부터 분리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링에 결합될 경우, 상기 링 바디 및 상기 결합판을 지지하여 상기 지지링의 중심축 방향과,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지지링의 유동을 제한하고, 상기 지지링의 일부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시키는, 저장 용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링 바디의 일 부분과, 상기 제1 결합판 및 상기 제2 결합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링 바디의 다른 일 부분과, 상기 제1 결합판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지지링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제2 결합판을 지지하는 제1 주 지지부재;
    상기 제1 주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링 바디의 일 부분을 지지하는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1 주 지지부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판의 일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제1 결합판을 상기 제1 주 지지부재의 외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1 주 지지부재의 외면과 상기 제1 결합판 사이에 상기 제2 결합부가 수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보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보조 지지부재에 안내되어 상기 결합홈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링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제1 결합판의 다른 일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주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주 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링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링 바디의 다른 일 부분을 지지하는 제2 수용홈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체의 외형에 대응되는 안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결합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몰드를 더 포함하는, 저장 용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링 바디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튜브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다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은, 상기 링 바디의 중심축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저장 용기.
  26. 삭제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링 바디에 수용된 상기 밸브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저장 용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기 튜브에 저장된 액체를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를 더 포함하는, 저장 용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결합체를 수용 가능한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수용바디; 및
    개방된 상기 수용바디의 상부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고, 상기 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수용바디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결합체와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체를 모두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결합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에 배치시키고 다른 일부는 외부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결합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 지지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지지링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링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외부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결합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링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지지링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링 수용홈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결합 지지부재와 상기 제2 결합 지지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튜브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결합 지지부재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링이 상기 제1 결합 지지부재에 결합될 경우 상기 디스펜서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34.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장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 주입 방법으로서,
    상기 밸브를 수용하는 지지링에 결합된 상기 튜브에 상기 밸브를 결합하여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튜브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주입 노즐을 상기 저장 용기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상기 밸브를 절개하는 단계;
    상기 튜브에 액체를 주입하여 상기 튜브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체 주입 노즐을 상기 저장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튜브, 상기 밸브 및 상기 지지링이 결합된 결합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결합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거나, 상기 결합체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다른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링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재에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홈이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판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장홈이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결합판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지지되는, 저장 용기의 액체 주입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링의 링 바디에 상기 튜브의 튜브바디를 삽입하고, 상기 상기 튜브의 상단을 지지하는 걸림턱에 상기 튜브의 제1 걸림부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부의 제2 지지턱을 상기 튜브의 제2 걸림부에 안착시켜 상기 탄성막을 상기 튜브의 개구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밸브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의 제1 지지턱을 상기 튜브의 제1 걸림부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탄성막을 상기 튜브바디의 내면에 압착시켜 상기 튜브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의 액체 주입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를 절개하는 단계는,
    상기 밸브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액체 주입 노즐과 상기 밸브를 동축 위치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액체 주입 노즐을 하향 이동시키면서 상기 탄성막을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를 점진적으로 확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액체 주입 노즐에 형성된 제1 토출공 및 상기 액체 주입 노즐에 형성된 제2 토출공을 상기 튜브의 내부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의 액체 주입 방법.


KR1020210052417A 2020-09-10 2021-04-22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KR10260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25,178 US20230331453A1 (en) 2020-09-10 2021-04-23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injecting liquid thereinto
EP21866935.6A EP4212251A1 (en) 2020-09-10 2021-04-23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injecting liquid thereinto
PCT/KR2021/005183 WO2022055064A1 (ko) 2020-09-10 2021-04-23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408 2020-09-10
KR20200116408 2020-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971A KR20220033971A (ko) 2022-03-17
KR102606585B1 true KR102606585B1 (ko) 2023-11-29

Family

ID=8093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17A KR102606585B1 (ko) 2020-09-10 2021-04-22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5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538A (ja) * 2001-05-25 2002-12-03 Shinko Pantec Co Ltd 穿孔針およびこれを用いた絶縁油回収装置、ならびに絶縁油回収方法
KR102079144B1 (ko) * 2019-11-19 2020-02-19 한도씨앤씨 주식회사 용기 포장용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102139458B1 (ko) * 2019-11-19 2020-08-11 이치원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505643SA (en) * 2013-02-04 2015-08-28 Mark Anthony Bradley Container with irremovable closure to facilitate dispensation of contents
KR102072172B1 (ko) * 2018-05-17 2020-01-31 (주)이너보틀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102290185B1 (ko) * 2019-02-21 2021-08-17 (주)이너보틀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538A (ja) * 2001-05-25 2002-12-03 Shinko Pantec Co Ltd 穿孔針およびこれを用いた絶縁油回収装置、ならびに絶縁油回収方法
KR102079144B1 (ko) * 2019-11-19 2020-02-19 한도씨앤씨 주식회사 용기 포장용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102139458B1 (ko) * 2019-11-19 2020-08-11 이치원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971A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4871B1 (en) Discharge container
US4909416A (en) Device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flowable materials
JP6437369B2 (ja) 二重容器
KR100992310B1 (ko) 주출용기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JP2002540019A (ja) 包装および分配用のポケットおよびアセンブリ
KR200492256Y1 (ko) 에코 펌프 및 이를 이용하는 에코 펌프 방식의 용기
KR102606585B1 (ko)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KR102014617B1 (ko)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그 제작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
KR102197493B1 (ko) 내측 주머니 복합 용기용 분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9144B1 (ko) 용기 포장용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102139458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20040071484A (ko) 에어로졸용기의 과압안전장치
EP4212251A1 (en)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injecting liquid thereinto
KR20100136279A (ko) 압력분사용기의 에어졸 밸브와 파우치를 연결하는 어댑터
KR20230048653A (ko) 유체 펌프디스펜서
CN113329950B (zh) 袋组件及使用该袋组件的容器装置
KR101122274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KR102205145B1 (ko)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
KR102022445B1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JP6887266B2 (ja) 吐出容器
KR20080076121A (ko) 유체용기
KR200455745Y1 (ko) 가압에 의해 토출되는 화장품 용기
JP6446238B2 (ja) 吐出容器
CN111417582A (zh) 能够储存液体的容器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