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145B1 -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145B1
KR102205145B1 KR1020180174118A KR20180174118A KR102205145B1 KR 102205145 B1 KR102205145 B1 KR 102205145B1 KR 1020180174118 A KR1020180174118 A KR 1020180174118A KR 20180174118 A KR20180174118 A KR 20180174118A KR 102205145 B1 KR102205145 B1 KR 102205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inner container
sp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978A (ko
Inventor
이치원
Original Assignee
이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원 filed Critical 이치원
Priority to KR102018017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1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45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for filling flexible containers having a filling and dispensing spout, e.g. containers of the "bag-in-box"-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 사이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외부용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액체를 저장 가능한 저장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저장공간에 액체가 저장될 경우에는 팽창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가 소모될 경우에는 상기 액체의 소모량에 비례하여 점차 수축되는 내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용기를 보호하는 외부용기를 통기성 소재로 적용함에 따라, 외용기가 플라스틱, 금속 혹은 유리 소재로 형성되는 종래의 저장용기에 비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외형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Liquid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liquid thereof}
본 발명은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를 저장 및 토출할 수 있고,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션, 샴푸, 세제, 화장품 등과 같은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저장용 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작용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이 중 토출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펌프와, 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고 펌프의 작동 시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펌프 측으로 공급하는 노즐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액체 저장용 용기는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일정량 이상 소진될 경우, 용기본체의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를 모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자세하게는, 종래의 액체 저장용 용기는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일정량 이상 소진될 경우, 점성에 의해 액체가 용기본체의 내벽에 달라붙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토출수단의 펌프를 작동하더라도 내벽에 붙어있는 액체가 용기본체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한 토출수단의 노즐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체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액체 저장용 용기를 버리거나, 용기본체에 잔존하는 액체를 사용하기 위하여 토출수단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본체를 뒤집은 후 용기본체에 충격을 가하여 용기본체의 내부에 잔존하는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의 경우 환경오염을 발생시킴은 물론, 잔존 액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이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리스 펌프(airless pump)가 적용된 액체 저장용 용기가 개발된 바 있다.
에어리스 펌프가 적용된 액체 저장용 용기는 토출수단을 작동시킬 때마다 용기본체의 내부압력을 증가시키는 팽창재를 구비하여, 팽창재의 팽창을 통해 용기의 내부공간을 점차 축소시키며 액체를 토출수단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액체를 완전히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종래에는 용기본체의 내부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한 풍선 형태의 파우치가 적용된 액체 저장용 용기가 개발된 바 있다.
풍선 형태의 파우치가 적용된 액체 저장용 용기는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체결되는 커플링 유닛과 커플링 유닛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신축 가능한 파우치를 구비하여, 파우치의 수축을 통해 파우치에 저장된 액체를 완전히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액체 저장용 용기들은 모두 외용기가 플라스틱, 금속 혹은 유리 소재 등과 같이 비통기성 소재로 제작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내용물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도 재활용률이 낮아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액체 저장용 용기의 외용기는 제조공정의 한계로 인하여 제조할 수 있는 외형의 형상이 제한적이고,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 가능함은 물론,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비용보다 외용기의 제작비용이 더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파우치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하여 외용기의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외용기의 일 측에 공기배출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거나, 외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파우치에 별도의 공기배출을 위한 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별도의 제조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제 액체를 주입할 경우, 파우치의 입구 측으로 주입되는 액체가 파우치의 하측부터 서서히 충전되지 못하고, 파우치의 중간 부분에서 집중되어 액체의 주입 중 파우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7212호 등록특허공보 제10-19308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용기가 플라스틱, 금속 혹은 유리 소재로 형성되는 종래의 저장용기에 비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외형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 사이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외부용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액체를 저장 가능한 저장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저장공간에 액체가 저장될 경우에는 팽창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가 소모될 경우에는 상기 액체의 소모량에 비례하여 점차 수축되는 내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토출부와 결합되는 관형의 목부, 및 상기 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목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개부를 포함하고,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체; 및 상기 전개부에 접합되어 상기 상부체와 일체로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지류, 직물류, 목재류, 가죽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는 하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목부의 단부에 안착되는 고리형상의 안착부;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상기 안착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를 고리형상으로 유지시키는 고리부재; 및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신축 가능한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부에 밀착되어 상기 토출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재에는 인서트 사출 시 상기 고리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의 일부분 및 타부분의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 구멍 또는 유동제한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의 외면에는 타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고리 형상의 보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고, 내측에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부가 삽입 가능한 절개홈이 형성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는 탄성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결합 시 상기 개구부로 압입되고, 상기 내부용기를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방법은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용기의 수용공간에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내측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를 삽입한 후, 상기 내부용기에 형성된 개구부가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용기를 상기 금형의 내측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내부용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팽창시킨 후, 상기 내부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용기에 토출부를 결합한 후, 상기 외부용기로부터 상기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용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팽창시킨 후, 상기 내부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기주입수단에 구비된 공기주입노즐을 삽입한 후, 상기 공기주입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상기 외부용기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신장시키는 단계; 상기 공기주입수단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를 가압하고 있는 상기 공기주입노즐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공기를 주입함과 동시에, 상기 금형에 형성된 공기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공기흡입수단을 통해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 및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공기흡입수단을 제거한 후, 상기 공기배출공을 기밀하여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부용기로부터 상기 공기주입노즐을 제거한 후, 상기 개구부 측으로 액체주입수단에 구비된 액체주입노즐을 위치시키고, 팽창된 상기 저장공간으로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방법은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용기의 수용공간에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내측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를 삽입한 후, 상기 내부용기에 형성된 개구부에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되는 기밀부재를 압입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는 단계; 액체주입수단에 구비된 액체주입노즐을 상기 절개홈에 압입한 후 상기 저장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액체주입노즐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액체를 주입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용기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밀부재로부터 상기 액체주입노즐을 제거한 후, 상기 외부용기에 토출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용기를 보호하는 외부용기를 통기성 소재로 적용함에 따라, 외용기가 플라스틱, 금속 혹은 유리 소재로 형성되는 종래의 저장용기에 비하여, 가공성이 우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외형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을 경량화 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도가 높은 소재를 적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용기의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외용기의 일 측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구멍을 형성해야만 하는 플라스틱, 금속,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되는 종래의 저장 용기에 비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액체의 주입을 위하여 내부용기를 팽창시켜야 할 경우, 공기주입노즐을 이용하여 내부용기를 외부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신장시킨 후,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내부용기의 일 부위에서 과팽창이 발생하여 해당 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의 개구부에 탄성체 소재로 이루어진 기밀부재를 압입함에 따라, 금형을 이용하여 내부용기를 미리 팽창시키는 과정을 배제하여 공정을 단순화 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에서 내부용기의 안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에 기밀부재가 적용된 경우, 토출부와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에서 내부용기의 안착부 및 고리부재가 배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에서 내부용기의 안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에 기밀부재가 적용된 경우, 토출부와의 결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에서 내부용기의 안착부 및 고리부재가 배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100)(이하 '액체 저장용 용기(100)'라 함)는 외부용기(110)를 포함한다.
외부용기(110)는 내측에 수용공간(110a)을 형성하여 후술할 내부용기(120)를 수용한다.
더 자세하게는, 외부용기(110)는 내부용기(12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다. 그리고, 외부용기(110)의 내측에는 개구된 일 측과 연통되는 미리 설정된 크기의 수용공간(11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용기(110)는 개구된 일 측으로 삽입된 내부용기(120)를 내측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내부용기(120)를 보호하고, 외부용기(110)가 특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용기(12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용기(110)는 통기성 소재로 형성된다.
더 자세하게는, 외부용기(110)는 수용공간(110a)과 외부공간 사이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통기성 소재로 형성된다. 예컨대, 외부용기(110)는 지류, 직물류, 목재 중 적어도 하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는 외부용기(110)를 지류, 직물류, 목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통기성 소재로 적용함에 따라, 외용기가 플라스틱, 금속 혹은 유리 소재로 형성되는 종래의 저장용기에 비하여, 가공성이 우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외형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재활용도가 높은 소재를 적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품을 경량화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플라스틱, 금속, 유리 등의 소재를 이용한 제조공정에 비하여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외부용기(110)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외부용기(110)는 이종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외부용기(110)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용기(120)를 지지하는 상부체(111)와, 지류, 직물류, 목재류, 가죽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용기(120)를 수용하는 하부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체(111)는 목부(1111) 및 전개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목부(1111)는 관(tube)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을 통하여 내부용기(12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목부(1111)는 상측 단부를 통하여 상기 상측 단부에 안착되는 내부용기(120)의 안착부(121)를 지지하여 내부용기(120)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목부(111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후크 등과 같은 체결구조가 형성될수 있다. 이에 따라, 목부(1111)는 후술할 토출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전개부(1112)는 목부(1111)의 하측 단부로부터 목부(1111)의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목부(1111)의 하측에 판(plate) 형상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개부(1112)의 단부에는 후술할 하부체(112)가 열실링, 본딩, 융착 등의 공정을 통하여 접합되거나, 별도의 체결수단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부체(111)는 반드시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시 소정의 형상을 유지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 중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하부체(112)는 상측이 개구된 일체형의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공간(110a)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부재가 상호 조립을 통해 내측에 수용공간(110a)을 형성하는 골조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112)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외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체(112)의 상부는 상부체(111)를 구성하는 전개부(1112)의 가장자리에 열실링, 본딩, 융착 등의 공정을 통해 접합되어 상부체(111)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체(112)는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되, 조립 혹은 천공 등의 가공을 통하여 통기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수 있다. 예컨대, 하부체(112)는 둘레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거나, 그물망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체(112)는 지류, 직물류, 목재류, 가죽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플라스틱, 유리 등의 소재에 비하여 재활용 비율이 높고, 폐기 및 가공이 용이하며,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다양한 소재 중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는 내부용기(1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부용기(120)는 외부용기(110)의 수용공간(110a)에 수용되고, 일 측에 액체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구부(120b)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용기(120)의 내측에는 개구부(120b)와 연통되는 저장공간(120a)이 형성되어, 액체를 저장이 가능하다.
한편, 내부용기(120)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다. 예컨대, 내부용기(120)는 실리콘, 고무, 라텍스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생성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용기(120)는,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120a)에 액체가 저장될 경우에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120a)에 저장된 액체가 소모될 경우에는 액체의 소모량에 비례하여 점차 수축된다.
즉, 내부용기(120)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액체가 소모될 경우 자동적으로 액체의 소모로 발생되는 저장공간(120a)의 빈 공간을 보상하여 저장공간(120a)에 위치한 노즐(133)의 단부를 항시 액체에 잠긴 상태로 유지시키고, 이를 통해 액체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내부용기(120)에 저장된 액체를 남김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내부용기(120)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부용기(120)는 안착부(121), 고리부재(122) 및 저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21)는 외부용기(110)를 구성하는 목부(1111)의 내경보다 더 넓은 폭의 크기를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121)는 내부용기(120)와 결합 시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의 상측 단부에 안착되어 외부용기(110)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내부용기(120)에 액체가 저장될 경우, 내부용기(120)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안착부(121)에는 토출부(130)와의 기밀을 위한 기밀돌기(12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기밀돌기(1211)는 토출부(130)의 하면에 대향하는 안착부(121)의 상면에 형성되고, 토출부(130)가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에 결합 시 토출부(130)의 하면에 밀착되어 토출부(130)와 안착부(121)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예컨대, 기밀돌기(1211)는 안착부(121)의 상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수 있으며, 토출부(130)와 접촉되는 기밀돌기(1211)의 단부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밀돌기(1211)는 내부용기(120)의 반경방향을 따라 내부용기(12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의 중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밀돌기(121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용기(120)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거나, 토출부(130)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기밀돌기(1211)의 두께 및 높이는 적용될 토출부(130)의 사양 및 토출부(130)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안착부(121)의 둘레에는 복수개의 사출홈(121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사출홈(1212)은 인서트 사출 시에 안착부(121)의 내부에 삽입된 후술할 고리부재(122)가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출금형(200)에 구비된 복수의 지지구조물(미도시)이 고리부재(122)에 대응되는 안착부(121)의 하면 혹은 측면을 지지할 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리부재(122)는 안착부(121)의 내측에서 유동하여 설정위치를 벗어나거나, 틀어지지 않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리부재(122)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안착부(121)의 내측에 배치되어, 안착부(121)를 고리형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리부재(122)는 소정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도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 안착부(121)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부재(122)는 내부용기(120)에 액체가 충전되어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에 지지되는 안착부(121)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가 증가할 경우에도, 안착부(121)의 내측에서 안착부(121)의 변형을 방지하여, 안착부(121)가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로부터 이탈되어 외부용기(110)의 수용공간(110a)으로 딸려 들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고리부재(122)는 반경방향을 따라 안착부(121)의 외경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외부용기(110)의 상단과 오버랩되고, 고리부재(122)의 외경과 안착부(121)의 외경 사이의 거리는, 고리부재(122)의 내경과 안착부(121)의 내경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고리부재(122)는 원형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SUS 등과 같이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고리부재(122)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 및 소재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고리부에는 인서트 사출 시 고리부재(122)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안착부(121)의 일부분 및 타부분의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 구멍(1221) 또는 유동제한 돌기(12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유동제한 구멍(1221)은 원주방향을 따라 고리부재(122)의 내측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고리부재(122)의 반경방향을 따라 고리부재(122)의 외주면 및 고리부재(122)의 내주면 사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사출 시 유동제한 구멍(1221)에는 안착부(121)를 형성하는 소재가 충전되고, 이로 인해 고리부재(122)를 중심으로 고리부재(122)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안착부(121)의 일부분 및 타부분은 유동제안 구멍에 충전된 소재와 일체로 연결되어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유동제한 돌기(1222)는 원주방향을 따라 고리부재(122)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고, 고리부재(122)의 반경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사출 시 고리부재(122)를 중심으로 고리부재(122)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안착부(121)의 일부분 및 타부분은 고리부재(122)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유동제한 돌기(1222)에 지지되어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123)는 안착부(121)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저장공간(120a)을 형성하고, 안착부(121)가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에 안착될 경우 수용공간(110a)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23)는 저장공간(120a)으로 액체가 주입될 경우 팽창되고, 액체가 소모될 경우 수축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23)의 외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타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고리 형상의 보강부(12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1231)는 저장부(12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저장부(123)와 함께 팽창 또는 수축되되, 사출 시 파팅라인(parting line)이 형성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장부(123)는 사출 시 타 부위에 비하여 강성이 취약한 파팅라인의 형성부위에 타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고리 형상의 보강부(1231)를 형성함에 따라, 내부용기(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의 충전 시 내부용기(120)의 파손을 예방하여 안정적인 액체의 주입이 가능함은 물론, 내부용기(120)의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보강부(1231)는 반드시 사출 방식을 통하여 제작되는 것은 아니며, 제작될 길이 및 형상에 따라 프레스 방식을 통해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는 토출부(13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토출부(130)는 외부용기(110)에 결합되고, 내부용기(120)에 저장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토출시킨다.
더 자세하게는, 토출부(130)는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에 체결되는 체결부(131), 내부용기(120)의 상면에 밀착되어 내부용기(120)의 개구부(120b)를 기밀시키고 승강운동을 통하여 압력차를 발생시켜 내부용기(120)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핑수단(132), 및 펌핑수단(132)에 결합되어 내부용기(120)의 저장공간(120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펌핑수단(132)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될 경우 내부용기(120)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수단(132)으로 공급하는 노즐(1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토출부(1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용기(120)의 개구부(120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내부용기(120)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는 기밀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밀부재(140)는 개구부(120b)에 결합되어 저장공간(120a)을 밀폐시키고, 내측에 토출부(130)가 압입 가능하도록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절개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밀부재(140)는 스펀지, 고무, 실리콘, 라텍스 등과 같이 외력을 가할 경우 압축되고, 외력을 해제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밀부재(140)는 개구부(120b)에 결합 시, 개구부(120b)로 압입되어 내부용기(120)를 외부용기(110)의 내면 측으로 가압하고, 이를 통해 내부용기(120)를 고정시켜 내부용기(120)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내부용기(120)의 저장공간(120a)을 밀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개홈(141)으로 토출부(130)의 노즐(133)이 삽입될 경우에도 기밀부재(140)는 탄성력에 의해 노즐(133)의 외면에 밀착되어 기밀부재(140)와 노즐(133)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음은 물론, 토출부(130)의 노즐(133)이 기밀부재(140)로부터 제거될 경우에도 기밀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절개홈(141)이 자동적으로 기밀됨에 따라 내부용기(120)에 저장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하면, 절개홈(141)의 일 측에는 노즐(133)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즐(133)의 삽입 방향을 따라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웨지(wedge) 구조의 삽입 가이드 홈(14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내부용기(120)는 기밀부재(140)를 통해 외부용기(110) 내에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안착부(121) 및 고리부재(122)를 배제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용기(120)의 안착부(121)를 제작하기 위해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내부용기(120)의 형상을 보다 단순화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100)의 액체 충전 방법(이하 '액체 저장용 용기(100)의 액체 충전 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의 액체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에 액체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용기(110)의 수용공간(110a)에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내측에 저장공간(120a)을 형성하는 내부용기(120)를 삽입한 후, 내부용기(120)에 형성된 개구부(120b)가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금형(200)을 이용하여 외부용기(110)를 금형(200)의 내측에 고정한다(S100).
더 자세하게는, 외부용기(110)의 수용공간(110a)으로 내부용기(120)의 저장부(123)를 삽입한 후, 내부용기(120)의 안착부(121)를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의 선단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내부용기(120)의 개구부(120b)가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외부용기(110)를 금형(200)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금형(200)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상호 결합을 통하여 내부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로 분할된 금형(200)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금형(200)의 내측에는 외부용기(110)에 구비된 목부(1111)의 외형의 절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용기(110)에 구비된 목부(1111)의 외형의 절반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홈부(200a) 및 제1 홈부(200a)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용기(110)의 전개부(1112) 및 하부체(112)의 절반을 수용할 수 있는 제2 홈부(20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로 분할된 금형(200) 중 어느 하나에는, 후술할 공기흡입수단(400)과 연통되어 금형(2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공기흡입수단(400)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기배출공(200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용기(120)의 개구부(120b)가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외부용기(110)를 금형(200)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내부용기(120)의 개구부(120b)가 금형(200)의 외부공간을 향하도록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를 복수개로 분할된 금형(200) 중 어느 하나의 제1 홈부(200a)에 안착시킨 후, 나머지 분할된 금형(200)의 제1 홈부(200a)가 외부 공간으로 노출된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의 나머지를 감싸 지지하도록 나머지 분할된 금형(200)을 상술한 어느 하나의 금형(200)에 합형 시킴으로써, 외부용기(110)를 금형(200)의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는 금형(200)에 지지된 상태에서 토출부(130)와의 결합을 위하여 금형(20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홈부(200b)를 통해 형성되는 금형(200)의 내부공간은,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외부용기(110)의 하부체(112) 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200)의 내부공간의 폭 및 길이는 외부용기(110)의 하부체(112)의 폭 및 길이에 비하여 더 큰 값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용기(110)의 형상 및 크기에 제약받지 않고, 금형(200)의 내부공간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외부용기(110)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공(200c)이 형성된 부위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공기흡입수단(400)과 결합 가능한 연결포트(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결포트에는 공기흡입수단(400)과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체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된 복수개의 금형(200) 중 공기배출공(200c)이 형성된 금형(200)은 공기흡입수단(400)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용기(110)를 금형(200)의 내측에 설치 시, 공기배출공(200c)이 형성되지 않은 금형(200)만을 미리 설정된 이동명령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 최소한의 공정으로 신속히 외부용기(110)를 금형(200)의 내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금형(200)에는 반드시 연결포트가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흡입수단(400)과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배출공(200c)이 형성된 금형(200)은 반드시 공기흡입수단(400)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공기흡입수단(4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내부용기(120)에 공기를 주입하여 내부용기(120)를 팽창시킨 후, 내부용기(120)에 액체를 주입한다(S200).
상기 과정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개구부(120b)를 통하여 저장공간(120a)으로 공기주입수단(300)에 구비된 공기주입노즐(300a)을 삽입한 후, 공기주입노즐(300a)을 이용하여 내부용기(120)를 외부용기(11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신장시킨다(S210). 즉,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의 액체 충전 방법은, 내부용기(120)에 공기를 주입하기 전, 공기주입노즐(300a)을 이용하여 내부용기(120)를 외부용기(110)의 길이방향으로 신장시킴에 따라, 내부용기(120)를 신장시키지 않고 공기를 주입할 경우, 공기주입노즐(300a)과 인접한 부위에서 과팽창이 발생하여 해당 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주입수단(300)을 통해 내부용기(120)를 가압하고 있는 공기주입노즐(300a)에 공기를 공급하여 내부용기(120)에 공기를 주입함과 동시에, 금형(200)에 형성된 공기배출공(200c)을 통하여 금형(2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공기흡입수단(400)을 통해 금형(200)의 내부공간 및 금형(2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수용공간(110a)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용기(120)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금형(200)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한다(S220). 그리고, 금형(200)으로부터 공기흡입수단(400)을 제거한 후, 별도의 기밀수단(500)을 통해 공기배출공(200c)을 기밀하여 금형(200)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킨다(S230). 예컨대, 별도의 기밀수단(500)은 공기배출공(200c)에 끼워지는 별도의 캡 또는 공기배출공(200c)이 형성된 부위에 접착 가능한 기밀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밀수단(5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용기(120)로부터 공기주입노즐(300a)을 제거한 후, 개구부(120b) 측으로 액체주입수단(600)에 구비된 액체주입노즐(600a)을 위치시키고, 팽창된 저장공간(120a)으로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액체를 주입한다(S240).
다음으로,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외부용기(110)에 토출부(130)를 결합한 후, 외부용기(110)로부터 금형(200)을 제거한다(S300).
더 자세하게는, 내부용기(120)에 액체가 주입된 후, 내부용기(120)의 입구 측에 배치된 액체주입노즐(600a)을 내부용기(120)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리고, 토출부(130)의 노즐(133)을 액체가 저장된 내부용기(120)의 저장공간(120a)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토출부(130)의 펌핑수단(132)을 기밀돌기(1211)가 형성된 안착부(121)의 상면에 밀착시켜 내부용기(120)의 개구부(120b)를 기밀한 후, 금형(20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에 토출부(130)의 체결부(131)를 체결한다. 그리고, 토출부(130)를 외부용기(110)에 체결시키는 체결장치(미도시)를 통해 토출부(130)를 지지한 상태에서 외부용기(110)를 감싸고 있는 금형(200)을 외부용기(110)로부터 제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100)의 액체 충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100)의 액체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의 액체 충전 방법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액체 저장용 용기(100)에 액체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용기(110)의 수용공간(110a)에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내측에 저장공간(120a)을 형성하는 내부용기(120)를 삽입한 후, 내부용기(120)에 형성된 개구부(120b)에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절개홈(141)이 형성되는 기밀부재(140)를 압입하여 내부용기(12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저장공간(120a)을 밀폐시킨다(S100'). 여기서, 기밀부재(140)는, 반드시 내부용기(120)가 외부용기(110)에 삽입된 후 외부용기(110)의 개구부(120b)에 압입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내부용기(120)의 개구부(120b)에 먼저 삽입된 후, 내부용기(120)와 함께 외부용기(110)에 압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액체주입수단(600)에 구비된 액체주입노즐(600a)을 절개홈(141)에 압입한 후 저장공간(120a)으로 이동시키고, 액체주입노즐(600a)을 통해 저장공간(120a)으로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액체를 주입함과 동시에 내부용기(120)를 팽창시킨다(S200'). 여기서, 저장공간(120a)으로 이동한 액체주입노즐(600a)은 저장공간(120a)의 어느 한 위치에서 액체를 주입할 수 있음은 물론, 저장공간(120a)으로 이동하며 내부용기(120)를 외부용기(11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신장시킨 후 저장공간(120a)으로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기밀부재(140)로부터 액체주입노즐(600a)을 제거한 후, 외부용기(110)에 토출부(130)를 결합한다(S300').
더 자세하게는, 기밀부재(140)로부터 액체주입노즐(600a)을 제거한 후, 기밀부재(140)의 절개홈(141)에 토출부(130)의 노즐(133)을 압입하여 토출부(130)의 노즐(133)을 액체가 저장된 내부용기(120)의 저장공간(120a)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토출부(130)의 펌핑수단(132)을 기밀부재(140) 및 외부용기(110)의 상면에 밀착시킨 후, 외부용기(110)의 목부(1111)에 토출부(130)의 체결부(131)를 체결한다. 여기서, 액체주입노즐(600a)이 기밀부재(140)로부터 제거되면, 기밀부재(140)에 형성된 절개홈(141)은 내부용기(120)의 개구부(120b)에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 기밀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기밀됨에 따라, 내부용기(120)에 저장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용기(120)를 보호하는 외부용기(110)를 통기성 소재로 적용함에 따라, 외용기가 플라스틱, 금속 혹은 유리 소재로 형성되는 종래의 저장용기에 비하여, 가공성이 우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은 물론, 다양한 형상의 외형을 구현 가능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을 경량화 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도가 높은 소재를 적용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용기의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하여, 외용기의 일 측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구멍을 형성해야만 하는 플라스틱, 금속,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되는 종래의 저장 용기에 비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액체의 주입을 위하여 내부용기(120)를 팽창시켜야 할 경우, 공기주입노즐(300a)을 이용하여 내부용기(120)를 외부용기(110)의 길이방향으로 신장시킨 후,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내부용기(120)의 일 부위에서 과팽창이 발생하여 해당 부위가 파손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내부용기(120)의 개구부(120b)에 탄성체 소재로 이루어진 기밀부재(140)를 압입함에 따라, 금형(200)을 이용하여 내부용기(120)를 미리 팽창시키는 과정을 배제하여 공정을 단순화 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액체 저장용 용기
110. 외부용기
110a. 수용공간
111. 상부체
1111. 목부
1112. 전개부
112. 하부체
120. 내부용기
120a. 저장공간
120b. 개구부
121. 안착부
1211. 기밀돌기
1212. 사출홈
122. 고리부재
1221. 유동제한 구멍
1222. 유동제한 돌기
123. 저장부
1231. 보강부
130. 토출부
131. 체결부
132. 펌핑수단
133. 노즐
140. 기밀부재
141. 절개홈
141a. 삽입 가이드 홈
200. 금형
200a. 제1 홈부
200b. 제2 홈부
200c. 공기배출공
300. 공기주입수단
300a. 공기주입노즐
400. 공기흡입수단
500. 기밀수단
600. 액체주입수단
600a. 액체주입노즐
L. 액체

Claims (11)

  1.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공간 사이에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외부용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액체를 저장 가능한 저장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저장공간에 액체가 저장될 경우에는 팽창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가 소모될 경우에는 상기 액체의 소모량에 비례하여 점차 수축되는 내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는,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는 고리형상의 안착부;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상기 안착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를 고리형상으로 유지시키는 고리부재; 및
    상기 안착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신축 가능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재는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의 외경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과 오버랩되고,
    상기 고리부재의 외경과 상기 안착부의 외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리부재의 내경과 상기 안착부의 내경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게 마련되며,
    상기 고리부재에는 인서트 사출 시 상기 고리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의 일부분 및 타부분의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 구멍 또는 유동제한 돌기가 더 형성되는 액체 저장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상기 내부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토출부와 결합되는 관형의 목부, 및 상기 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목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개부를 포함하고,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체; 및
    상기 전개부에 접합되어 상기 상부체와 일체로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지류, 직물류, 목재류, 가죽류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는 하부체;
    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용 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부에 밀착되어 상기 토출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를 기밀하는 기밀돌기가 더 형성되는 액체 저장용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외면에는 타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고리 형상의 보강부가 더 형성되는 액체 저장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고, 내측에 중심축 방향을 따라 상기 토출부가 삽입 가능한 절개홈이 형성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체 저장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탄성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결합 시 상기 개구부로 압입되고, 상기 내부용기를 상기 외부용기의 내면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액체 저장용 용기.
  9.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용기의 수용공간에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내측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를 삽입한 후, 상기 내부용기에 형성된 개구부가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용기를 상기 금형의 내측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내부용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팽창시킨 후, 상기 내부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용기에 토출부를 결합한 후, 상기 외부용기로부터 상기 금형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팽창시킨 후, 상기 내부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저장공간으로 공기주입수단에 구비된 공기주입노즐을 삽입한 후, 상기 공기주입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상기 외부용기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신장시키는 단계;
    상기 공기주입수단을 통해 상기 내부용기를 가압하고 있는 상기 공기주입노즐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내부용기에 공기를 주입함과 동시에, 상기 금형에 형성된 공기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공기흡입수단을 통해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 및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팽창시킴과 동시에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공기흡입수단을 제거한 후, 상기 공기배출공을 기밀하여 상기 금형의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부용기로부터 상기 공기주입노즐을 제거한 후, 상기 개구부 측으로 액체주입수단에 구비된 액체주입노즐을 위치시키고, 팽창된 상기 저장공간으로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액체를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방법.
  11. 통기성 소재로 형성되는 외부용기의 수용공간에 신축성 소재로 형성되어 내측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용기를 삽입한 후, 상기 내부용기에 형성된 개구부에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절개홈이 형성되는 기밀부재를 압입하여 상기 내부용기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저장공간을 밀폐시키는 단계;
    액체주입수단에 구비된 액체주입노즐을 상기 절개홈에 압입한 후 상기 저장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액체주입노즐을 통해 상기 저장공간으로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액체를 주입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용기를 팽창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밀부재로부터 상기 액체주입노즐을 제거한 후, 상기 외부용기에 토출부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용 용기의 액체 충전 방법.
KR1020180174118A 2018-12-31 2018-12-31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 KR102205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118A KR102205145B1 (ko) 2018-12-31 2018-12-31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118A KR102205145B1 (ko) 2018-12-31 2018-12-31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978A KR20200082978A (ko) 2020-07-08
KR102205145B1 true KR102205145B1 (ko) 2021-01-19

Family

ID=7160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118A KR102205145B1 (ko) 2018-12-31 2018-12-31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1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11A (ja) * 2001-03-21 2002-10-03 Ricoh Co Ltd インクボトル用キャップ
JP2008114859A (ja) * 2006-10-31 2008-05-22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3829A (en) * 1980-08-28 1984-01-03 Container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fluids under press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387212Y1 (ko) 2005-03-23 2005-06-20 주식회사 태평양 풍선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GB0524789D0 (en) * 2005-12-05 2006-01-11 Myerscough Martin Container
KR20100136183A (ko) * 2009-06-18 2010-1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에어리스 펌프를 구비한 용기
KR20170002761U (ko) *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아가프라 음식물 보관용 실리콘 용기
KR101930811B1 (ko) 2017-11-20 2018-12-19 (주)이너보틀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11A (ja) * 2001-03-21 2002-10-03 Ricoh Co Ltd インクボトル用キャップ
JP2008114859A (ja) * 2006-10-31 2008-05-22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噴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978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1430B2 (en) Components for aerosol dispenser
CN109562886A (zh) 具有带有一体式袋的阀座的气溶胶容器
JP7079796B2 (ja) 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プリフォームのセット、容器、および方法
JP6730095B2 (ja) 二重容器
KR102290185B1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KR102205145B1 (ko) 액체 저장용 용기 및 이의 액체 충전 방법
KR100509305B1 (ko) 액체 용기, 액체 용기 제조 방법 및 액체 용기 제조방법을 위한 금속 주형
KR102079144B1 (ko) 용기 포장용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US20060243741A1 (en) Aerosol can
US6152190A (en) Actuator with resilient annular skirt for improved seal during button-on-filling process
KR102072172B1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GB2564851A (en) A reusable, recyclable dispensing package for flowable materials
JP2020522444A (ja) 飲料用容器および対応する製造方法
JP2002326605A (ja) デラミボトルへの液充填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詰替容器
JP6762133B2 (ja) 吐出容器、それを用いた吐出製品および吐出容器の製造法
US11332293B2 (en) Container device capable of storing liqu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39458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102022445B1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CN113329950A (zh) 袋组件及使用该袋组件的容器装置
JP6887266B2 (ja) 吐出容器
KR20220033971A (ko)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KR102462396B1 (ko) 튜브 용기
EP4212251A1 (en)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injecting liquid thereinto
KR102590170B1 (ko) 자동 노즐개폐가 가능한 카트리지 교체형 화장품 용기
JP2008133016A (ja) 液体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