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445B1 -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445B1
KR102022445B1 KR1020170154034A KR20170154034A KR102022445B1 KR 102022445 B1 KR102022445 B1 KR 102022445B1 KR 1020170154034 A KR1020170154034 A KR 1020170154034A KR 20170154034 A KR20170154034 A KR 20170154034A KR 102022445 B1 KR102022445 B1 KR 102022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uch
coupling
coupling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757A (ko
Inventor
오세일
Original Assignee
(주)이너보틀
오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너보틀, 오세일 filed Critical (주)이너보틀
Priority to KR102017015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445B1/ko
Priority to PCT/KR2018/014071 priority patent/WO2019098734A1/ko
Priority to US16/477,876 priority patent/US11332293B2/en
Priority to EP18878972.1A priority patent/EP3712087A4/en
Priority to CN201880076937.3A priority patent/CN111417582B/zh
Publication of KR2019005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94Containers having an external wall formed as, or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which is deformed to expel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용기장치가 제시된다. 커플링 유닛은 용기와 결합하는 일 이상의 고정부 및 상기 일 이상의 고정부 중에서 상기 용기의 공기배출구와 결합된 고정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관 및 상기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를 따라 씌워진 파우치 외부에 결합하여 상기 파우치를 상기 파우치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인가하는 체결링을 포함하고, 용기장치는 용기, 상기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에 결합하는 파우치 및 상기 용기에 결합하여 상기 파우치와 용기를 체결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커플링유닛이 결합하는 평면상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유닛은 하나의 구조물을 통해 파우치를 용기에 결합하고 용기 내 공기를 커플링 유닛 상의 공기배출관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용기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커플링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장치는 점성이 있는 액체를 경질의 용기에 담는 경우에도 내용물을 남김없이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경질의 용기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주머니를 구비하고 내용물을 주입하기 전에 용기 내에서 확장함으로써 내용물을 충진함에 있어, 충진노즐이 토출장치의 개구부 위에서 특별한 압력 없이 내용물을 분사 또는 흘려주는 경우에도 탄성연질주머니를 구비하면서도 경질용기의 체적만큼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LIQUID STOR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제조설비에 별도의 설비를 추가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쉽게 주입할 수 있으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남김없이 전부 사용 가능한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용기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점성을 가진 액상 내용물의 용기장치에 있어 잔존 내용물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용기장치 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액상 내용물의 용기장치는 종래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형태로서 개구부에 에어펌프와 같은 디스펜서(dispenser)가 부착되어 사용되며, 용기장치를 세워놓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도 용기 내 액체를 토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에 따라 샴푸, 로션, 세제, 식품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액상 내용물의 용기장치에는 다양한 내용물이 담길 수 있는데, 샴푸, 로션, 시럽 등 점성이 있는 액체의 경우 내용물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에는 도 1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기 벽면에 내용물(20)이 달라붙어 잘 떨어지지 않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은 내용물의 점성이 클수록 확연해진다.
종래에 사용되는 액상 내용물의 용기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에어펌프와 같은 디스펜서(dispenser)에 토출관(31)을 부착시켜 내용물을 토출하는데, 잔존 내용물(21)이 용기(10)의 내벽에 달라붙게 되는 경우 용기(10)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아 토출이 어려워지며, 특히 용기(10)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 표면적도 커지게 되어 내벽에 달라붙는 잔존 내용물(21)은 더 많아지고 이 때문에 에어펌프와 같은 디스펜서(dispenser)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하여 남김없이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 사용되는 액상 내용물의 용기장치의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dispenser)에 부착된 토출관(31)이 일정한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용기의 내벽 또는 바닥면 중에서 토출관(31)으로 흡입할 수 없는 영역의 잔존 내용물(21)은 효과적으로 토출시키지 못하며 이와 같은 이유로 기존의 액상 내용물의 용기장치의 경우 다음과 같은 중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용기 내 손이 닿지 않는 부분에 내용물이 남아 있게 되어 내용물을 완전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됨으로써 과소비를 조장하게 된다.
둘째, 로션, 샴푸, 세재 등 내용물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용기가 버려지는 경우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셋째, 토출기로 토출되지 않는 용기 내 잔존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펌프 등 토출기를 용기와 분리하여 토출구를 개방하는 경우 이물질의 유입 등으로 인해 내용물이 오염될 수 있다.
넷째, 용기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하여 용기와 토출기를 분리하고 뒤집어 털어내어 토출을 시도하는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양을 정확히 토출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관, 사용편리성 등의 이유에 따라 샴푸, 로션, 시럽과 같은 점성을 가지는 액체는 물론 점성이 매우 약한 액체조차도 대부분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형태의 용기장치에 담겨 판매 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고안자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는 것은 인식하였으며,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샴푸, 로션 등의 내용물을 깔끔하게 사용하는 것에 큰 장애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20)을 전부 소비하지 못한 상태에서 용기(10)를 폐기하거나 내부의 잔여물을 모두 제거한 후에야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한다는 문제점 역시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용기(10) 내부에 파우치를 구비하고 파우치에 내용물(20)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에 따라 파우치를 수축하여 내용물(20)이 접촉하는 저장공간의 내부 표면적을 줄임으로써 내용물(20)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저장 및 토출 장치의 필요성을 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관련 산업분야는 용기 자체의 실용성뿐만 아니라 용기의 심미성, 대량생산 가능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는 분야라는 점에서 종래의 충진 및 제조설비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은 본 발명사상을 실제 활용할 수 있기 위한 중요한 전제라는 점을 인식하였다.
한편, 용기의 내부 내용물을 완벽하게 사용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된 기술로서, 용기 내 내용물이 감소함에 따라 압력에 의해 용기 바닥면이 상승하는 이른바 에어리스(airless) 용기가 개발되었으나, 에어리스 용기의 경우 실린더 형태로만 구현될 수 있어 미관상 한계가 있어 다양한 형태의 용기 사용이 요구되는 화장품 산업에 널리 활용되기 어려우며, 실린더 크기 구현에 한계가 있어 대용량에 적용될 수 없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0289892 호에서는 용기 내에 고무풍선을 구비하는 용기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경우 용기 내 고무풍선의 복원력에 의해 내용물을 주입할 때 내용물이 역류하여 토출되어 저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의식하여 용기의 개구부가 좁은 입구를 구비하고, 밸브를 통해 고무풍선 내의 내용물을 토출해야 한다고 개시하고 있는바 이러한 한계점은 해당 발명사상을 실제 관련산업분야에서 활용하는 것이 매우 제한적임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었으며, 나아가 일반적인 제조방법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0289892 호에 따르면 고무풍선이 가지는 복원력 때문에 내용물을 고무풍선 내에 주입하기 위해서는 액체의 주입압력이 고무풍선의 복원력보다 커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내용물 주입노즐과 용기의 개구부가 밀착 결합되어야만 하는데, 이러한 경우 용기의 개구부가 좁기 때문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내용물이 쉽고 용이하게 주입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0289892 호는 대량생산방식에는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액체 내용물 주입 방식(bottling)은 주입 노즐이 용기와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에 내용물을 분사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0289892 호는 종래의 액체 내용물 주입방식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경질의 용기를 사용하여 미관 및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점성이 있는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주입하고, 토출시킬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용기장치 제조방법에 대한 소개가 요구되며, 나아가 기존의 액체류 주입설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탄성을 가진 연질주머니에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용기장치 제조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1.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0289892 호 (고안의 명칭 : 고무풍선을 이용한 용기)
본 발명의 고안자는 경질용기 내에 액체, 특히 점성이 높은 액체가 담기는 경우 액체 내용물이 가지는 점성과 표면 장력에 의해 액체 내용물이 용기의 내벽에 붙어 펌프와 같은 디스펜서(토출기)를 사용하여 토출이 어려워 실용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을 인식하였으며, 비단 토출기를 사용하는 용기뿐만 아니라 케첩과 같이 손으로 용기를 짜서 내용물을 토출하는 용기도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관상 제품을 고급스럽게 보이게 만든다는 이유와,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펌프 등을 토출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 등에 따라 일정한 외형을 가지는 경질용기가 사용될 수 밖에 없다는 관련 산업분야의 목소리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일정한 외형을 가지는 경질용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경질용기에 담긴 액체 내용물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어 종래의 대량생산방법에 따른 내용물 충진 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용기장치 제조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의 샴푸, 로션 등과 같이 액체 내용물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 관련 산업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 내용물 충진 방법 및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액체류 제품의 대량생산 과정에서 경질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과정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밸트와 같은 이송장치(50)를 따라 빈 용기가 차례로 충진장비로 이동(51)하여 충진장비의 노즐 하부에 위치하면 노즐에서 내용물을 분사하여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과정을 수반하며 이 때 내용물 충진장비는 설계에 따라 한 개에서 다수의 노즐(60)을 가질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의 개수에 맞게 용기가 노즐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노즐이 하강하여 각각의 경질용기 개구부 위에서 내용물을 충진한다(61). 이때 내용물 충진을 위해 노즐이 움직이는 시간, 노즐의 단위시간 당 충진량은 제품의 생산효율성과 직결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노즐은 경질용기 안으로 내용물이 정확히 분사될 수 있도록 설계방식에 따라 최소한의 거리만큼만 수직 이동하거나,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서 내용물이 분사된다. 따라서, 생산효율성 등을 고려할 때 노즐과 경질용기의 개구부는 서로 밀착된 상태가 아니라 내용물이 용기에 분사될 수 있을 정도로만 접근하여 충진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고안자는 대량생산방식에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용물 충진방법을 통해 내용물을 파우치에 충진하는 경우, 파우치가 가지는 탄성 및 복원력을 고려할 때 내용물 주입 노즐이 경질용기의 개구부와 밀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파우치로 주입되는 내용물이 가하는 주입압력이 파우치가 가지는 탄성과 복원력을 극복할 수 없어 파우치가 미리 부풀어 확장되어 있지 않은 이상 내용물을 경질용기의 체적만큼 담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인식하였으며, 이는 파우치를 구비한 경질용기에 액체 내용물을 충진하는 방법을 대량생산 방식으로 구현함에 있어 매우 큰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제성 및 대량생산 적용가능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내용물 충진설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파우치를 구비하는 경질용기에 액체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에 액체 내용물을 담는 경우에도 내용물을 남김없이 전부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의 제조공정에 적용이 가능한 용기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용기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파우치를 구비하여 내용물을 충진하여 저장하고, 파우치를 확장하여 용기의 형태대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기의 형태에 구애 받지 않고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며, 파우치가 가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연질주머니가 개구부를 향해 언제나 내용물을 밀어내는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개량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토출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파우치가 구비된 용기로 내용물을 충진함에 있어 내용물 충진 전에 파우치를 확장시켜 용기의 체적만큼 저장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내용물 충진 노즐과 경질용기 개구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더라도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내용물 충진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내용물의 충진 전에 용기 내에서 파우치를 확장시킴에 있어 불필요한 공정과 구조물을 최소화 하여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 용기 및 이에 대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커플링 유닛이 제공된다. 커플링 유닛은 용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일 이상의 고정부, 일 이상의 고정부 중에서 용기의 공기배출구와 결합된 고정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관 및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를 따라 씌워진 파우치 외부에 결합하여 파우치를 파우치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인가하는 체결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부 또는 체결링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부는 용기의 공기배출구와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플링 유닛은 이소프로펜고무, 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계열 고무, 우레탄 계열 고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공기배출통로에 결합하는 공기차단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공기배출통로는 공기배출핀이 공기배출통로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공기배출통로는 일 방향으로만 공기를 내보내도록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가 제공된다. 용기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외형을 갖추고 있는 경질의 용기, 용기 내에 삽입되는 파우치, 및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에 결합하여 파우치를 용기에 체결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하고, 용기 결합부는 커플링유닛이 결합하는 평면상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파우치를 확장하기 위해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커플링 유닛은 공기배출구와 결합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부는 공기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공기배출관은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파우치는 탄성연질파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커플링 유닛이 제공된다. 커플링 유닛은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를 따라 결합하는 파우치의 개구부가 파우치 결합부에 밀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파우치의 개구부에 압력을 인가하는 체결링, 용기의 용기 결합부와 결합하여 파우치를 파우치 결합부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용기 내 공기를 제거하여 파우치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공기배출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공기배출통로는 고정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용기장치 제조방법은 파우치를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에 결합하는 단계, 용기 결합부에 커플링 유닛을 결합하여 파우치를 파우치 결합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커플링 유닛에 형성된 공개배출관을 통해 파우치와 용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단계, 용기 내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파우치를 용기 내에서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용기장치 제조방법은 파우치를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에 결합하는 단계, 용기의 용기 결합부에 커플링 유닛을 결합하여 파우치를 파우치 결합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커플링 유닛에 형성된 공개배출관을 통해 파우치와 용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단계, 용기 내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파우치를 용기 내에서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유닛, 용기장치는 용기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파우치를 구비하여 내용물을 충진하여 저장하고, 파우치를 확장하여 용기의 형태대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기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며, 파우치가 가지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연질주머니가 개구부를 향해 언제나 내용물을 밀어내는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개량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토출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 용기장치는 파우치가 구비된 용기로 내용물을 충진함에 있어 내용물 충진 전에 파우치를 확장시켜 용기의 체적만큼 저장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내용물 충진 노즐과 경질용기 개구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더라도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내용물 충진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 용기장치는 내용물의 충진 전에 용기 내에서 파우치를 확장시킴에 있어 불필요한 공정과 구조물을 최소화 하여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용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점성을 가진 액상 내용물의 용기장치에 있어 잔존 내용물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용기장치 내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종래의 샴푸, 로션 등과 같이 액체 내용물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 관련 산업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 내용물 충진 방법 및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종래의 샴푸, 로션 등과 같이 액체 내용물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 관련 산업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 내용물 충진 방법 및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장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액체'란 고체 또는 기체의 상태가 아닌 광범위한 액상의 상태를 총칭한다. 즉, 분자간 거리 짧고 운동에너지가 낮지만 고체 상태의 분자들처럼 강하게 붙어있지는 않은 모든 상태를 의미하며, 물과 같이 점성이 없는 액체부터 젤과 같은 점성이 강한 액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파우치란 연질의 주머니로서 고정된 외관을 가지지 않아 외력에 의해 모양이 변하면서 탄성을 가져 늘어나거나 팽창하는 경우 본래 모양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복원력을 가지는 주머니와 단순 연질주머니로서 고정된 외관을 가지지 않아 외력에 의해 모양이 변하는 주머니를 통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기란,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 일정한 외형을 가지는 경질의 재질을 가지는 모든 종류의 용기를 의미하며, '경질용기'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플링 유닛이란, 파우치의 개구부와 결합하여 용기의 용기결합부(용기의 주입구)와 결합함으로써 파우치가 용기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파우치와 용기를 결합시켜주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커플링 유닛은 용기와 파우치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공기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기장치란 에어펌프나 노즐같은 디스펜서(토출기)를 구비하여 내용물을 도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용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토출기란, 용기와 결합하여 파우치 내 저장되어 있는 액상 내용물을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토출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펌프형으로 구현되거나 파우치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 복원력으로 내용물을 토출구로 자동으로 밀어내는 경우 토출관 또는 토출부에 단위 시간당 이송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해주는 벨브를 구비하여 구현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단순한 토출구를 가지는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장치(3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장치(300)는 내용물이 담기는 파우치(320), 파우치(320)가 용기장치(300) 내에서 확장될 수 있는 용기(310), 파우치(320)가 용기장치(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링 유닛(330), 용기(310)의 개구부 나사산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토출기와 결합하는 용기 결합부(311), 파우치(320)와 결합하는 파우치 결합부(312), 공기배출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310)는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용기(310), 용기 결합부(311), 파우치 결합부(312)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재질로서 하나의 바디(body)를 가지는 형태로 구현되나, 각기 다른 부품,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이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서 파우치 결합부(312)와 공개배출구(313)는 하나의 바디를 가지는 부품으로 구현되고 해당 부품이 용기 결합부(311)와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이 이처럼 구현되는 경우 파우치 결합부(312)는 커플링 유닛(330)과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파우치 결합부(312)와 커플링 유닛(330)이 하나의 부품으로서 파우치(320)에 결합하여 용기(310)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a에는 파우치 결합부(312)가 용기 결합부(311)의 상단을 기준으로 용기 결합부(311)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적 예시에 불과할 뿐 파우치 결합부(312)는 용기결합부(311)의 상단을 기준으로 용기 결합부(311) 하부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 결합부(311)와 파우치 결합부(312)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용기(310)는 용기장치(300)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파우치(320)가 확장되어 내용물을 충진/담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파우치(320)는 용기(310) 내에서 용기(310)의 외관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310)의 체적만큼 파우치(320) 역시 기존의 충진설비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충진하고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용기 결합부(311)는 파우치(320)가 내용물로 충진된 후 토출기가 용기장치(3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과 같은 결합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3a에서 결합수단은 나사산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나사산은 토출기와 용기장치(300)를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수단 또는 결합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공기배출구(313)는 용기장치(300) 내에 위치하는 파우치(320)를 확장시키기 위해 용기(310) 내의 압력을 낮추도록 용기(310) 내 공기를 용기장치(300)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배출구는 용기(310)에 구멍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배출구(313)는 커플링 유닛(330)이 용기(31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으로도 기능할 수 있으며,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공기배출구(313)가 두 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형태에 따라 용기 결합부(311)의 상단평면 상에 다수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중에서 일부만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공기배출구(313)를 구비하고 일부만 공기를 배출하는데 사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결합부(312)는 파우치(320)가 용기(3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파우치(320)가 용기장치(300)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파우치(320)의 개구부는 파우치 결합부(312)와 결합되어 파우치(320)는 용기(310)로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용기장치(300) 개구부에 내용물을 주입하면 내용물은 모두 파우치(320)에 담기게 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장치(300)의 파우치 결합부(312)에 파우치(320)가 결합되면 커플링 유닛(330)이 파우치 결합부(312)에 체결된다. 공기배출구(313)를 통해 용기장치(300)의 용기(310) 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파우치 결합부(312)에 결합되어 있는 파우치(320)가 벗겨질 수 있기 때문에 파우치(320)를 파우치 결합부(312)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커플링 유닛(330)이 필요하다. 커플링 유닛(330)에 대해서는 이하 도 4a 내지 도 4c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커플링 유닛(330)은 파우치(320)가 파우치 결합부(31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파우치(320)와 파우치 결합부(312)를 체결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커플링 유닛(330)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결합부(312)에 씌워진 파우치(320) 외측에 끼워질 수 있다. 이 때 도 4a 내지 도 4c에 개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유닛(330)은 파우치 결합부(312)와 파우치(320)를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링(333)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링(333)은 커플링 유닛(330)의 수축력에 의해 파우치(320)와 파우치 결합부(312)에 수직압력을 인가하여 파우치(320)와 파우치 결합부(312)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커플링 유닛(330)은 파우치(320)를 파우치 결합부(312)와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용기장치(300)의 몸체를 구성하는 용기(310)에 고정될 수 있게 고정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부(331)는 버튼식 단추와 같은 원리로 돌기가 형성된 돌출부가 용기(310)의 공기배출구(313)와 체결됨으로써 용기(310)와 커플링 유닛(33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고정부(331)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대신 다른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을 통해 경질용기와 결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고정부(331)는 공기배출구(313)를 통해 용기(310) 내의 공기를 용기장치(30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 이상의 고정부(33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일부의 고정부(331)에만 공기배출관(332)이 형성될 수도 있고 모든 고정부(331)에 공기배출관(3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유닛(330)에 구비되는 고정부(33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고정부(331)가 커플링 유닛(330)의 테두리를 따라 돌기가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커플링 유닛(330)을 경질용기에 더 견고하게 결합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고정부(331)가 4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고정부(331)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용기의 공기배출구(313) 또는 이에 상응하는 음의 홈 또는 구멍을 구비함으로써 고정부(331)가 경질용기에 체결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공기배출관(332)은 공기배출구(313)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 상에 형성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커플링 유닛(330)의 구조적 특징 및 요구조건으로서, 커플링 유닛(330)은 용기(310)와 파우치(320)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파우치(320)가 용기(310)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용기(310) 내에 삽입되어 있는 파우치(320)와 용기(310) 사이의 공간을 용기(310)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해야 한다는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따르면 공기배출핀(400)은 커플링 유닛(330) 상의 공기배출관(332)을 관통하여 용기장치(300)의 공기배출구(313)를 통해 용기(310) 내의 공기를 용기(31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공기배출관(332)은 판막과 같은 구조로서 공기배출핀(400)이 공기배출관(332)에 삽입되면 열리고 공기배출핀이(400)이 공기배출관(332)에서 빠지면 닫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공기배출관(332)은 본 발명의 구현 형태에 따라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크밸브는 일방향으로만 액체 또는 기체를 흐르게 할 수 있으며, 체크밸브는 공기배출관(33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공기배출핀(400)이 유입되는 공기배출관(332)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체크밸브는 커플링 유닛(330)과 공일한 재질로서 구현되거나 다른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커플링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기배출관(332)에 체크밸브가 적용되는 경우 일방향으로만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바 용기(310)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기(310) 밖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핀(400)을 통해 파우치(320)와 저장부(31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는 용기장치(300) 외부로 배출되며, 파우치(320)와 용기(31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줄어듦에 따라 해당 영역의 압력이 낮아져 파우치(320)가 팽창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장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용기장치(300)의 제조를 위해 먼저 용기(310)에 파우치(320)와 커플링 유닛(330)이 결합한다(S100).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우치(320)가 먼저 용기(310)의 파우치 결합부(312)에 결합한 후 커플링 유닛(330)이 파우치(320) 외부에 체결됨으로써 파우치(320)를 용기(310)에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파우치(320)와 용기(310)가 각각 별개의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용기(310)의 개구부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어야 한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라고 할 것인바, 커플링 유닛(330)이 다른 구조로 설계되었거나 커플링 유닛(330)이 먼저 용기(310)에 결합한 후 파우치(320)가 결합하는 경우에도 용기(310)와 파우치(320)를 결합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커플링 유닛(330)이 기능을 수행한다면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커플링 유닛(330)이 용기(310)와 체결되어 용기(310) 내 파우치(320)와 용기(310) 사이 공간이 밀폐된 상태가 되면, 공기배출핀(400)을 삽입하여 커플링 유닛(330)에 형성된 공기배출관(332)과 용기(31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313)를 통해 공기를 배출한다. 이 때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용기(310) 내 압력이 낮아지고 파우치(320)가 확장된다(S200).
파우치(320)가 충분히 확장되거나, 미리 정한 체적만큼 용기(310) 내 공기가 배출되면 파우치(320)와 용기(310) 사이 공간의 감압절차를 중지하고(S300), 공기배출구(332)를 차단한다(S400). 공기배출구(332)를 차단함에 있어 마개 등의 별도 구조물이 공기배출구(3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공기배출구(332)가 체크밸브와 같이 일 방향으로만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경우나 공기배출핀(400)이 공기배출구(332)로 삽입된 경우에만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차단조치를 하지 않아도 용기(310)로의 공기유입이 제한된다.
파우치(320)가 용기(310) 내에서 충분히 확장되어 공기배출핀(400)을 제거되면 파우치(320)가 확장된 상태로 유지되는바(S500), 기존의 내용물 충진장비를 이용하여 용기장치(300)에 액체 내용물을 쉽게 충진 할 수 있으며(S600), 토출기를 결합함으로써 용기 또는 용기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S70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 용기장치
310 ... 용기
320 ... 파우치
330 ... 커플링유닛
400 … 공기배출핀

Claims (16)

  1.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결합부; 상기 용기 결합부로부터 돌출되며 파우치가 결합되는 파우치 결합부;를 포함하는 용기 장치에 설치되는 커플링 유닛에 있어서,
    용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일 이상의 고정부; 및
    상기 일 이상의 고정부 중에서 상기 용기 결합부의 공기배출구와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관; 및
    상기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를 따라 씌워진 파우치 외부에 결합하여 상기 파우치를 상기 파우치 결합부에 밀착되도록 압력을 인가하는 체결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 결합부의 공기배출구와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A) 상기 공기배출관에 결합하는 공기차단마개를 더 포함하는 구조;
    (B) 상기 공기배출관은 공기배출핀이 상기 공기배출구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는 구조;
    (C) 상기 공기배출관은 일 방향으로만 공기를 내보내도록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구조;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체결링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유닛.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닛은 이소프로펜고무, 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계열 고무, 우레탄 계열 고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유닛.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개구부를 구비하고 외형을 갖추고 있는 경질의 용기;
    상기 용기 내에 삽입되는 파우치; 및
    상기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에 결합하여 상기 파우치를 상기 용기에 체결하는 커플링유닛을 포함하고,
    용기 결합부는 상기 커플링유닛이 결합하는 평면상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파우치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상기 커플링 유닛은 상기 공기배출구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고정부는 공기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배출관은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탄성연질파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파우치를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용기의 파우치 결합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용기의 용기 결합부에 커플링 유닛을 결합하여 상기 파우치를 상기 파우치 결합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커플링 유닛에 형성된 공개배출관을 통해 상기 파우치와 상기 용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압력을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내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파우치를 상기 용기 내에서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장치 제조방법.
  16. 파우치를 커플링 유닛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파우치가 결합된 상기 커플링 유닛을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하여 상기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하는 경우 상기 파우치로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파우치를 상기 용기 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 내부와 상기 파우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여 압력을 낮추는 단계; 및
    낮아진 압력에 의해 상기 파우치를 상기 용기 내에서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기장치 제조방법.
KR1020170154034A 2017-11-17 2017-11-17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22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34A KR102022445B1 (ko) 2017-11-17 2017-11-17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PCT/KR2018/014071 WO2019098734A1 (ko) 2017-11-17 2018-11-16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이것의 제조방법
US16/477,876 US11332293B2 (en) 2017-11-17 2018-11-16 Container device capable of storing liqu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8878972.1A EP3712087A4 (en) 2017-11-17 2018-11-16 CONTAINING DEVICE CAPABLE OF STORING A LIQUID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201880076937.3A CN111417582B (zh) 2017-11-17 2018-11-16 能够储存液体的容器装置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34A KR102022445B1 (ko) 2017-11-17 2017-11-17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757A KR20190056757A (ko) 2019-05-27
KR102022445B1 true KR102022445B1 (ko) 2019-11-04

Family

ID=6667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034A KR102022445B1 (ko) 2017-11-17 2017-11-17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067B1 (ko) * 2020-01-02 2020-12-18 최주영 외측용기의 내부에 교체 가능한 내측용기를 구비하는 이중용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928A (ja) * 2002-07-09 2004-02-12 Minami Sports Kikaku:Kk 液体収納容器
JP2005201380A (ja) * 2004-01-16 2005-07-28 Natl Crown Kk パッキ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892B1 (ko) 1998-09-08 2001-05-15 강영철 칼라슬라이드파스너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928A (ja) * 2002-07-09 2004-02-12 Minami Sports Kikaku:Kk 液体収納容器
JP2005201380A (ja) * 2004-01-16 2005-07-28 Natl Crown Kk パッキ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757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4619B1 (en) Spray nozzle
KR102290185B1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CN109219566B (zh) 具有将添加剂引入到容器中的液体中的机构的容器封闭件
KR101930811B1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TWI673212B (zh) 附有壺嘴之容器及再填充方法
KR102022445B1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및 제조방법
JP2021518264A (ja) スプレー容器用のスプレーキャップ
BR112015020729B1 (pt) fecho que pode permitir ou impedir seletivamente a comunicação entre o exterior e o interior de um sistema que tem uma abertura entre o exterior e interior
KR20180124430A (ko) 액체 저장 및 토출장치
KR101942564B1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KR102072172B1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KR20190075829A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KR20060090790A (ko) 내용물 저장용기의 변질방지 방법과 그 장치
KR101984766B1 (ko) 용기 내에서 탄성파우치의 확장 및 확장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커플링 유닛
CN111417582B (zh) 能够储存液体的容器装置及其制造方法
US20220041360A1 (en) Pouch assembly and container device using same
US20210380286A1 (en) Content filling apparatus and content filling method using same
JP6366518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CN112424070B (zh) 用于制造容器的方法和用于制造容器的装置
KR20190009407A (ko) 액체를 저장하고 토출할 수 있는 용기장치
KR20200091364A (ko) 파우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용기 장치
WO2009030878A1 (en) Liquid spray dispenser
KR20200124982A (ko) 내용물 충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용물 충진 방법
US20210331853A1 (en) Device for storing and discharging liquid
US3648902A (en) Blow-molded pump-typ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