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458B1 -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 Google Patents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458B1
KR102139458B1 KR1020190148533A KR20190148533A KR102139458B1 KR 102139458 B1 KR102139458 B1 KR 102139458B1 KR 1020190148533 A KR1020190148533 A KR 1020190148533A KR 20190148533 A KR20190148533 A KR 20190148533A KR 102139458 B1 KR102139458 B1 KR 102139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rage
storage unit
contai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원
Original Assignee
이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원 filed Critical 이치원
Priority to KR1020190148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458B1/ko
Priority to KR1020200032702A priority patent/KR20210061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저장 용기를 개시한다.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팽창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저장부의 입구에 배치되고, 단부에 마련된 슬릿을 개폐하여 내용물의 출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개폐밸브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이격되어 슬릿을 개방하고,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압착되어 슬릿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Storage container and container packaging set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션, 샴푸, 세제, 화장품 등과 같은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 저장용 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작용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이 중 토출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펌프와, 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고 펌프의 작동 시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펌프 측으로 공급하는 노즐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액체 저장용 용기는 용기본체에 저장된 액체가 일정량 이상 소진될 경우, 용기본체의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를 모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체가 남아있는 상태에서 액체 저장용 용기를 버리거나, 용기본체에 잔존하는 액체를 사용하기 위하여 토출수단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본체를 뒤집은 후 용기본체에 충격을 가하여 용기본체의 내부에 잔존하는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의 경우 환경오염을 발생시킴은 물론, 잔존 액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이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리스 펌프(airless pump) 구조가 적용된 액체 저장용 용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에어리스 펌프 구조가 적용된 용기는 액체가 저장되는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더 큰 상태를 유지해야 함에 따라, 압력차에 의한 용기의 변형을 예방하기 위하여 액상이 저장되는 용기를 필수적으로 고경도의 플라스틱 소재 혹은 유리 소재로 제작해야만 한다. 그리고, 에어리스 펌프 구조가 적용된 용기는 용기의 외부와 용기의 내부에 동시에 압력을 가해 용기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액체를 주입하고, 용기의 입구에 펌프를 체결한 후, 외부 압력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용기에 액체를 주입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리스 펌프 구조가 적용된 용기는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액체의 주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리스 펌프 구조가 적용된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는 펌프에는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내부 압력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한 체크밸브는 볼 밸브 타입으로 형성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용기의 입구에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펌프를 통해서만 용기의 입구에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용기에 액체를 재충전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외부와 용기의 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용기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한 후, 펌프를 용기로부터 제거하여 내부에 액체를 저장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액체 저장용 용기와 액체 저장용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를 별도 제작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포장재의 경우 액체 저장용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뿐 다른 용도로 재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모두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72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의 주입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재활용이 가능한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팽창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입구에 배치되고, 단부에 마련된 슬릿을 개폐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슬릿을 개방하고,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압착되어 상기 슬릿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개폐부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에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개폐부의 외면은 상기 개폐밸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저장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개폐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를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폐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바디부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부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저장부를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압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슬릿을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토출부; 및 내부에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고, 외부에 용기 포장용 패키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포장용 패키지는,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출입 가능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 및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토출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저장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저장부가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하측에는 상기 토출부가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의 중심축을 정렬시키고,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포장 세트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토출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와 결합되거나, 상기 저장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토출부를 그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저장 용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용기 포장용 패키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팽창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는, 상기 저장부의 입구에 배치되고, 단부에 마련된 슬릿을 개폐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밸브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슬릿을 개방하고,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압착되어 상기 슬릿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폐부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에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개폐부의 외면은 상기 개폐밸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저장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개폐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를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폐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바디부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부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저장부를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압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용기는, 내부에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고, 외부에 상기 용기 포장용 패키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포장용 패키지는,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출입 가능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 및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토출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저장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저장부가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하측에는 상기 토출부가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의 중심축을 정렬시키고,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 용기를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신축성 소재로 마련하고, 저장 용기의 입구에 탄성체 소재의 개폐밸브를 배치함으로써,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언제든 개폐밸브에 노즐을 삽입하여 저장 용기의 내부로 내용물의 주입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재사용을 통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사용 수명이 증대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소재의 저장 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외용기를 제작하지 않고, 저장 용기의 유통시 저장 용기가 포장되는 포장용 패키지를 이용하여 거치대 혹은 보관함의 용도로 활용 가능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 가능하여 심미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가 용기 포장용 패키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일부가 용기 포장용 패키지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개폐부가 슬릿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가 용기 포장용 패키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일부가 용기 포장용 패키지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에 결합되어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에 결합되어 일부가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저장 용기(100)는 저장부(110), 개폐밸브(120), 토출부(13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내부에 내용물(L)이 저장되고,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팽창하거나 수축되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팽창된 상태의 저장부(110)는 수축되려는 성질로 인하여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는 실리콘, 고무, 라텍스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10)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소모될 경우 신축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축하며 내부의 빈 공간을 보상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토출부(130)에 마련된 노즐을 항시 내용물에 잠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출부(130)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남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연결부(140)의 내부에 마련된 단턱부에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제1 부분과,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신축 가능한 소재로 마련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은 연결부(140)의 내부에 마련된 단턱부에 결합되어 고리 형상을 유지할 수도 있고, 외부 구조물과의 결합 없이 스스로 고리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고리형상의 인서트 구조물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인서트 구조물은 제1 부분과는 다른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140)의 단턱부에 설치되어 탄턱부에 지지되는 제1 부분은, 제2 부분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가 증가할 경우에도, 변형 및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결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은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개폐밸브(120)에 가압되어 연결부(14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제1 신축부 및 제1 신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케이스(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축부는 제1 신축부에 비하여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신축부는 제1 신축부 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짐으로써, 내용물이 저장되거나, 내용물이 소모될 경우, 제1 신축부에 비하여 보다 많은 신축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신축부는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시간 팽창되어 있거나, 여러 번 신축되더라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밸브(120)는 연결부(140)에 결합되어 저장부(110)의 입구에 배치된다. 그리고, 개폐밸브(120)는 단부에 마련된 슬릿(slit, 120A)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내용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원-웨이 밸브(one-way valv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밸브(120)는 내측으로 토출부(130)가 삽입되면 토출부(130)에 가압되어 단부에 마련된 슬릿(120A)을 개방하여 토출부(130)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개폐밸브(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에 가압되어 토출부(13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개폐밸브(120)와 토출부(130) 사이를 기밀하여 개폐밸브(120)의 외부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한다. 또한, 개폐밸브(120)는 토출부(130)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에 가압되어 토출부(13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토출부(130)가 개폐밸브(1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개폐밸브(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에 가압되어 단부에 마련된 슬릿(120A)을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120A)이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슬릿(120A)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토출부(130)가 배치되는 개폐밸브(120)의 내경은 개폐밸브(130)의 내부에 수용되는 토출부(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밸브(120)에 마련된 슬릿(120A)은 슬릿(120A)을 관통하는 토출부(130)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슬릿(120A)으로 토출부(130)가 삽입되면, 슬릿(120A)을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부(121)가 토출부(130)의 외면에 완벽히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릿(120A)의 크기는 슬릿(120A)을 관통하는 토출부(130)의 직경 대비 개폐밸브(120)를 형성하는 탄성체 소재의 수축오차 크기의 2배만큼 작은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슬릿(120A)의 크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토출부(130)의 규격에 따라 토출부(130)의 1/2 내지 1/3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밸브(120)는 외력에 의한 외형의 변형이 가능하고, 외형의 변형 시 탄성력에 의해 외력에 대향하는 반력을 가하여 원래의 형상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밸브(120)는 내용물의 유출, 형태유지 및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경도 값을 가지는 탄성체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들어, 개폐밸브는 경도 50 내외의 값을 가지는 탄성체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의 경도 값은 쇼어 OO 방식을 통해 측정된 경도 값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개폐밸브(12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밸브(120)는 슬릿(120A)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 배치되고, 슬릿(120A)을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부(12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개폐부(121)는 제1 개폐부(121A) 및 제2 개폐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밸브(120)에 마련된 복수의 개폐부(121)가 슬릿(120A)을 기준으로 대향 배치된 2엽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개폐부(12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복수의 개폐부(121)는 축방향을 따라 상단부에서 슬릿(120A)이 형성된 하단부를 향할수록 내경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웨지(wedge)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개폐부(121)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이격되어 슬릿(120A)을 개방하고,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압착되어 슬릿(120A)을 폐쇄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에 가압되어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복수의 개폐부(121)는, 개폐밸브(120)의 외측에 배치된 토출부(130)가 저장부(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토출부(130)에 가압되어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폐쇄되어 있던 슬릿(120A)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개폐부(121)로 인하여 개방된다. 그리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개폐부(121)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토출부(130)의 외면에 압착되어 복수의 개폐부(121)와 토출부(130) 사이를 기밀한다. 한편, 개폐밸브(120)를 관통하여 저장부(110)에 삽입되어 있던 토출부(130)가 개폐밸브(1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토출부(130)의 외면에 압착되어 있던 복수의 개폐부(121)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에 가압되어 서로 압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개방되어 있던 슬릿(120A)은 서로 압착되는 복수의 개폐부(121)로 인하여 폐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개폐부가 슬릿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개폐부(121)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토출부(130)의 좌측에 배치되어 토출부(130)의 외면에 압착되는 제1 개폐부(121A)의 두께(t1)는 토출부(130)의 우측에 배치되어 토출부(130)의 외면에 압착되는 제2 개폐부(121B)의 두께(t2)에 비해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개폐부(121A)는 제2 개폐부(121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의 압력이 작용할 경우 제2 개폐부(121B)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형의 정도가 덜하다. 따라서, 토출부(130)가 개폐밸브(12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의 압력이 제1 개폐부(121A) 및 제2 개폐부(121B)에 작용하게 되면,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제1 개폐부(121A)는 변형이 덜하기 때문에 지지대 역할을 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제2 개폐부(121B)는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며 제1 개폐부(121A)에 밀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의 개폐밸브(120)는 슬릿(120A)을 개페하는 제1 개폐부(121A)와 제2 개폐부(121B)를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제1 개폐부(121A)와 제2 개폐부(121B)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보다 슬릿(120A)을 폐쇄하는 닫힘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부(121A)와 제2 개폐부(121B) 사이로 토출부(130)에 마련되는 노즐 또는 저장부(110)의 내부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위해 내용물 공급 수단에 마련되는 노즐 등이 삽입되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제1 개폐부(121A)와 제2 개폐부(121B)가 완전히 노즐의 외면에 압착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에 노출되어 내용물로부터 가압되는 복수의 개폐부(121)의 외면(F)은 개폐밸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내부 압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제1 개폐부(121A)와 제2 개폐부(121B)의 각 외면(F)은 하나로 이어진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곡면형태로 형성된 제1 개폐부(121A)와 제2 개폐부(121B)의 각 외면(F)으로 작용하는 내용물의 압력은 어느 한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곡면을 따라 전 영역에 고루 분산될 수 있다. 이에, 토출부(130)의 외면에 밀착되는 제1 개폐부(121A)와 제2 개폐부(121B)의 밀착력이 극대화되어 개폐부(121)와 토출부 (130)사이로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밸브(120)는 안착부(122) 및 바디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22)는 연결부(140)의 내부에 마련된 단턱부에 결합된 저장부(11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측에 배치된 토출부(130)에 가압되어 저장부(110)를 연결부(140)의 단턱부에 고정시키고, 저장부(110)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122)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122)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바디부(123)는 안착부(122)와 복수의 개폐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안착부(122)와 복수의 개폐부(121)를 서로 연결하고, 저장부(110)를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여 저장부(110)의 외면을 연결부(140)의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23)는 개폐부(121)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곡면형태로 형성된 개폐부(121)에 의해 분산된 압력은 개폐부(121)를 지지하는 바디부(123)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바디부(123)는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변형 또는 파손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바디부(123)는 개폐부(121)에 비하여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폐부(121), 안착부(122) 및 바디부(123)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의 가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밸브(120)는 외면에 가해지는 내용물의 압력을 개폐부(121), 안착부(122) 및 바디부(123)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밸브(120)의 전체 면으로 분산시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의 사용수명이 증대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으로 인한 교체를 예방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폐밸브(120)는 압착 돌기(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착 돌기(124)는 안착부(122)의 하면에 마련되고, 저장부(110)의 상면을 가압하여 안착부(122)와 저장부(110) 사이의 공간(S)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안착부(122)와 저장부(110)를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저장부(110)의 상면을 가압하는 압착 돌기(124)는 수직방향으로 탄성 변형됨과 동시에, 개폐밸브(120)의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안착부(122)와 저장부(110) 사이의 공간(S)을 진공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돌기(124)는 저장부(110)의 변형을 예방하고, 저장부(1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이 개폐밸브(120)의 안착부(122)와 저장부(11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토출부(130)는 개폐밸브(120)에 압력을 가하여 슬릿(120A)을 개방시키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부(130)는 연결부(140)에 결합되는 체결부, 승강운동에 의하여 압력차를 발생시켜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펌핑부 및 개폐밸브(120)를 관통하여 저장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펌핑부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될 경우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펌핑부로 공급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토출부(13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140)는 내부에 저장부(110), 개폐밸브(120) 및 토출부(130)가 결합되고, 외부에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140)는 바디(141) 및 지지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41)는 저장부(110), 개폐밸브(120) 및 토출부(130)와 결합되어 저장부(110), 개폐밸브(120) 및 토출부(130)의 중심축을 정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41)의 내면에는 저장부(110), 개폐밸브(120) 및 토출부(130)의 하중을 지지하는 단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41)는 용기 포장용 케이스(200)의 본체(220)에 마련된 제1 결합부(221A)의 수용홈(221A1) 혹은 제2 결합부(221B)의 수용홈(221B1)에 결합되어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지지부재(142)는 바디(141)의 둘레에 마련되고, 제1 결합부(221A) 혹은 제2 결합부(221B)에 결합되어 연결부(1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연결부(140)에 결합되는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 용기(100)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용기(100)를 거치하여 저장 용기(100)를 지면에 대하여 직립시킬 수 있는 스탠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지면이라 함은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가 지지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는 케이스(210) 및 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210)는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 용기(100)의 외면을 감싸는 상자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 용기(100)를 수납하고, 내부에 수납된 저장 용기(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케이스(210)는 지면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21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저장 용기(100)가 출입 가능하도록 상면에 개구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211)가 마련된 케이스(210)의 상단에는 개구부(211)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220)는 개구부(211)를 통해 케이스(210)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고, 저장 용기(100)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220)는 케이스(210) 내에서 저장 용기(100)의 유동을 방지하고, 케이스(210)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분산시켜 저장 용기(10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본체(220)는 연결부(140)의 바디(141) 및 지지부재(143)와 결합되어 연결부(140)의 반경 방향 및 연결부(14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14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21)는 제1 결합부(221A) 및 제2 결합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21A)는 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결합부(221B)의 하측에 배치되고,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0) 및 토출부(130)가 본체(2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연결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1B)는 제1 결합부(221A)의 상측에 배치되고,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0)가 본체(220)의 내부에 수용되고, 토출부(130)가 본체(22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연결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결합부(221A)와 제1 결합부(221A)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221B) 사이에는 저장부(110)가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220A)이 마련되고, 제1 결합부(221A)의 하측에는 토출부(130)가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220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21A) 및 제2 결합부(221B)에는 연결부(140)의 외면을 지지하여 연결부(140)의 반경 방향으로 연결부(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용홈(221A1, 221B)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20)는 제1 결합부(221A) 혹은 제2 결합부(221B)를 통해 저장 용기(100)와 결합되어, 저장부(110) 및 토출부(130)를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 상태 또는 저장부(110)를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하고 토출부(130)를 케이스(210)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210) 및 본체(220)는 제작이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러나, 케이스(210)와 본체(220)의 결합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스(210)와 본체(220)는 평면 상에서 전후 또는 좌후 방향으로 결합되어 저장부(110) 및 토출부(130)를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 상태 또는 저장부(110)를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하고 토출부(130)를 케이스(210)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1)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1)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용기 포장 세트(1)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 용기(100) 및 저장 용기(100)를 내부에 수납하고, 선택적으로 저장 용기(100)에 결합되어 저장 용기(100)를 거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를 포함한다.
저장 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에 결합되어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에 결합되어 일부가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저장 용기(100)는 저장부(110), 개폐밸브(120), 토출부(130) 및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팽창하거나 수축되는 신축성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팽창된 상태의 저장부(110)는 수축되려는 성질로 인하여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110)는 실리콘, 고무, 라텍스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폐밸브(120)는 연결부(140)에 결합되어 저장부(110)의 입구에 배치된다. 그리고, 개폐밸브(120)는 단부에 마련된 슬릿(120A)을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내용물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개폐밸브(120)는 슬릿(120A)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 배치되고, 슬릿(120A)을 개폐하는 복수의 개폐부(12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개폐부(121)는 제1 개폐부(121A) 및 제2 개폐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폐부(121)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이격되어 슬릿(120A)을 개방하고,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압착되어 슬릿(120A)을 폐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개폐부(121)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에 노출되어 내용물로부터 가압되는 복수의 개폐부(121)의 외면(F)은 개폐밸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밸브(120)는 안착부(122) 및 바디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22)는 연결부(140)의 내부에 마련된 단턱부에 결합된 저장부(11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측에 배치된 토출부(130)에 가압되어 저장부(110)를 연결부(140)의 단턱부에 고정시키고, 저장부(110)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23)는 안착부(122)와 복수의 개폐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안착부(122)와 복수의 개폐부(121)를 서로 연결하고, 저장부(110)를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여 저장부(110)의 외면을 연결부(140)의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폐부(121), 안착부(122) 및 바디부(123)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의 가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폐밸브(120)는 압착 돌기(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착 돌기(124)는 안착부(122)의 하면에 마련되고, 저장부(110)의 상면을 가압하여 안착부(122)와 저장부(110) 사이의 공간(S)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안착부(122)와 저장부(110)를 압착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토출부(130)는 개폐밸브(120)에 압력을 가하여 슬릿(120A)을 개방시키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140)는 내부에 저장부(110), 개폐밸브(120) 및 토출부(130)가 결합되고, 외부에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부(140)는 바디(141) 및 지지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41)는 저장부(110), 개폐밸브(120) 및 토출부(130)와 결합되어 저장부(110), 개폐밸브(120) 및 토출부(130)의 중심축을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디(141)는 용기 포장용 케이스(200)의 본체(220)에 마련된 제1 결합부(221A)의 수용홈(221A1) 혹은 제2 결합부(221B)의 수용홈(221B1)에 결합되어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지지부재(142)는 바디(141)의 둘레에 마련되고, 제1 결합부(221A) 혹은 제2 결합부(221B)에 결합되어 연결부(1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는 저장 용기(100)와 결합되어, 저장부(110) 및 토출부(130)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 상태 또는 저장부(110)를 그 내부에 수용하고 토출부(130)를 그 외부에 노출시키는 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저장 용기(100)를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용기(100)를 거치하여 저장 용기(100)를 지면에 대하여 직립시킬 수 있는 스탠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지면이라 함은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가 지지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용기 포장용 패키지(200)는 케이스(210) 및 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210)는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 용기(100)의 외면을 감싸는 상자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 용기(100)를 수납하고, 내부에 수납된 저장 용기(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케이스(21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저장 용기(100)가 출입 가능하도록 상면에 개구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211)가 마련된 케이스(210)의 상단에는 개구부(211)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220)는 개구부(211)를 통해 케이스(210)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고, 저장 용기(100)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220)는 케이스(210) 내에서 저장 용기(100)의 유동을 방지하고, 케이스(210)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분산시켜 저장 용기(10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본체(220)는 연결부(140)의 바디(141) 및 지지부재(143)와 결합되어 연결부(140)의 반경 방향 및 연결부(140)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14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21)는 제1 결합부(221A) 및 제2 결합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221A)는 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결합부(221B)의 하측에 배치되고,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0) 및 토출부(130)가 본체(22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연결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21B)는 제1 결합부(221A)의 상측에 배치되고,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0)가 본체(220)의 내부에 수용되고, 토출부(130)가 본체(22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연결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결합부(221A)와 제1 결합부(221A)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221B) 사이에는 저장부(110)가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220A)이 마련되고, 제1 결합부(221A)의 하측에는 토출부(130)가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220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21A) 및 제2 결합부(221B)에는 연결부(140)의 외면을 지지하여 연결부(140)의 반경 방향으로 연결부(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용홈(221A1, 221B)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20)는 제1 결합부(221A) 혹은 제2 결합부(221B)를 통해 저장 용기(100)와 결합되어, 저장부(110) 및 토출부(130)를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 상태 또는 저장부(110)를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하고 토출부(130)를 케이스(210)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210) 및 본체(220)는 제작이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러나, 케이스(210)와 본체(220)의 결합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케이스(210)와 본체(220)는 평면 상에서 전후 또는 좌후 방향으로 결합되어 저장부(110) 및 토출부(130)를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하는 포장 상태 또는 저장부(110)를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하고 토출부(130)를 케이스(210)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사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 용기(100)를 팽창 또는 수축 가능한 신축성 소재로 마련하고, 저장 용기(100)의 입구에 탄성체 소재의 개폐밸브(120)를 배치함으로써,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언제든 개폐밸브(120)에 노즐을 삽입하여 저장 용기(100)의 내부로 내용물의 주입이 가능함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재사용을 통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사용 수명이 증대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소재의 저장 용기(100)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외용기를 제작하지 않고, 저장 용기(100)의 유통시 저장 용기(100)가 포장되는 포장용 패키지(200)를 이용하여 거치대 혹은 보관함의 용도로 활용 가능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 가능하여 심미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용기 포장 세트
100. 저장 용기
110. 저장부
120. 개폐밸브
120A. 슬릿
121. 개폐부
121A. 제1 개폐부
121B. 제2 개폐부
122. 안착부
123. 바디부
124. 압착 돌기
130. 토출부
140. 연결부
141. 바디
142. 지지부재
200. 용기 포장용 패키지
210. 케이스
211. 개구부
220. 본체
220A. 제1 수용공간
220B. 제2 수용공간
221. 결합부
221A. 제1 결합부
221A1. 수용홈
221B. 제2 결합부
221B1. 수용홈

Claims (23)

  1.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팽창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입구에 배치되고, 단부에 마련된 슬릿을 개폐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슬릿을 개방하고,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압착되어 상기 슬릿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
    상기 저장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개폐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를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부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저장부를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압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폐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바디부는 일체로 마련되는 저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폐부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저장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에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개폐부의 외면은 상기 개폐밸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 구조를 가지는 저장 용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슬릿을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토출부; 및
    내부에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고, 외부에 용기 포장용 패키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저장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포장용 패키지는,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출입 가능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 및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8.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고, 상기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팽창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입구에 배치되고, 단부에 마련된 슬릿을 개폐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밸브;
    상기 개폐밸브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슬릿을 개방시키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토출부; 및
    내부에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고, 외부에 용기 포장용 패키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슬릿을 개방하고,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압착되어 상기 슬릿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포장용 패키지는,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 및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토출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저장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저장부가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하측에는 상기 토출부가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저장 용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의 중심축을 정렬시키고,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12.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팽창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토출부 및 상기 저장부의 입구에 배치되고, 단부에 마련된 슬릿을 개폐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토출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와 결합되거나, 상기 저장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토출부를 그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저장 용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용기 포장용 패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슬릿을 개방하고,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압착되어 상기 슬릿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
    상기 저장부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와 상기 복수의 개폐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를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부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의 공간을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저장부를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압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폐부,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바디부는 일체로 마련되는 용기 포장 세트.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폐부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용기 포장 세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에 노출되는 상기 복수의 개폐부의 외면은 상기 개폐밸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 구조를 가지는 용기 포장 세트.
  16. 삭제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는,
    내부에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고, 외부에 상기 용기 포장용 패키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포장용 패키지는,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출입 가능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 및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20.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양에 비례하여 팽창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는 토출부 및 상기 저장부의 입구에 배치되고, 단부에 마련된 슬릿을 개폐하여 상기 내용물의 출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토출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저장 용기와 결합되거나, 상기 저장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토출부를 그 외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저장 용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용기 포장용 패키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슬릿을 개방하고, 내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는 서로 압착되어 상기 슬릿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용기는,
    내부에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고, 외부에 상기 용기 포장용 패키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 포장용 패키지는,
    상면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출입 가능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 및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장부 및 상기 토출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저장부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토출부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저장부가 수용 가능한 제1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하측에는 상기 토출부가 수용 가능한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용기 포장 세트.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토출부의 중심축을 정렬시키고,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1020190148533A 2019-11-19 2019-11-19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102139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33A KR102139458B1 (ko) 2019-11-19 2019-11-19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1020200032702A KR20210061239A (ko) 2019-11-19 2020-03-17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533A KR102139458B1 (ko) 2019-11-19 2019-11-19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702A Division KR20210061239A (ko) 2019-11-19 2020-03-17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458B1 true KR102139458B1 (ko) 2020-08-11

Family

ID=720484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533A KR102139458B1 (ko) 2019-11-19 2019-11-19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1020200032702A KR20210061239A (ko) 2019-11-19 2020-03-17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702A KR20210061239A (ko) 2019-11-19 2020-03-17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39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71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보틀리스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212Y1 (ko) 2005-03-23 2005-06-20 주식회사 태평양 풍선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2006219171A (ja) * 2005-02-14 2006-08-24 Toshimi Endo 液体吐出ポンプ付き容器
JP2009241988A (ja) * 2008-03-31 2009-10-22 Naris Cosmetics Co Ltd ポンプボトル収納用の容器
JP2014231362A (ja) * 2013-05-28 2014-12-11 花王株式会社 エアレス容器
JP2015093724A (ja) * 2013-11-14 2015-05-18 株式会社ハタ 二重容器
JP2015152144A (ja) * 2014-02-18 2015-08-24 ピジョン株式会社 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搾乳器、人工乳首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171A (ja) * 2005-02-14 2006-08-24 Toshimi Endo 液体吐出ポンプ付き容器
KR200387212Y1 (ko) 2005-03-23 2005-06-20 주식회사 태평양 풍선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2009241988A (ja) * 2008-03-31 2009-10-22 Naris Cosmetics Co Ltd ポンプボトル収納用の容器
JP2014231362A (ja) * 2013-05-28 2014-12-11 花王株式会社 エアレス容器
JP2015093724A (ja) * 2013-11-14 2015-05-18 株式会社ハタ 二重容器
JP2015152144A (ja) * 2014-02-18 2015-08-24 ピジョン株式会社 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搾乳器、人工乳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971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보틀리스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KR102606585B1 (ko) * 2020-09-10 2023-11-29 주식회사 보틀리스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39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369B1 (ko) 펌핑식 화장품용기
KR100733002B1 (ko)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US7097077B2 (en) Fluid-dispensing pump and container provided therewith
KR100963155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이중화장품용기
JP2017105543A (ja) 吐出容器
KR102062001B1 (ko) 펌프 용기
US20110220682A1 (en) Openable cosmetic case of dual structure protecting tube
KR102139458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CN110891455A (zh) 排放泵内置型粉底容器
KR200492256Y1 (ko) 에코 펌프 및 이를 이용하는 에코 펌프 방식의 용기
KR102079144B1 (ko) 용기 포장용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포장 세트
KR20050052413A (ko) 주출용기
KR200462943Y1 (ko) 용기용 펌핑장치
KR102304211B1 (ko) 수지재 스프링 조립체를 탑재한 화장품 용기
CN112334394B (zh) 用于饮料容器的封闭单元
KR20100136279A (ko) 압력분사용기의 에어졸 밸브와 파우치를 연결하는 어댑터
JP7265799B2 (ja) 化粧品容器
KR102606585B1 (ko) 저장 용기 및 이의 액체 주입 방법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US20230331453A1 (en)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injecting liquid thereinto
GB2564851A (en) A reusable, recyclable dispensing package for flowable materials
KR102419788B1 (ko)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KR101793227B1 (ko) 용기
ITBS20070058A1 (it) Serbatoio con flang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