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788B1 -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788B1
KR102419788B1 KR1020210119625A KR20210119625A KR102419788B1 KR 102419788 B1 KR102419788 B1 KR 102419788B1 KR 1020210119625 A KR1020210119625 A KR 1020210119625A KR 20210119625 A KR20210119625 A KR 20210119625A KR 102419788 B1 KR102419788 B1 KR 102419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air
air pump
container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재
도석재
Original Assignee
이선재
도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재, 도석재 filed Critical 이선재
Priority to KR102021011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35
    • B05B11/3033
    • B05B11/3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2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reciprocable plu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본체 상부에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가 상부 및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접철식 주름 튜브식 에어펌프를 장착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공기 발생 및 상기 가압공기에 의한 용기내의 돌출피스톤 전진으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압출되고, 상기 펌프의 가압해제에 의한 상기 에어펌프의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균일한 대기압을 유지함으로써 가압에 의한 여압으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여압누출을 방지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일정한 스트로크 가압에 의한 정량토출 및 상기 돌출피스톤에 의한 내용물의 잔량 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Zabara type air pump dispenser for constant delivery, leak prevention and residual extrusion of contents}
본 발명은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본체 상부에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가 상부 및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접철식 주름 튜브식 에어펌프를 장착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공기 발생 및 상기 가압공기에 의한 용기내의 돌출피스톤 전진으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압출되고, 상기 펌프의 가압해제에 의한 상기 에어펌프의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균일한 대기압을 유지함으로써 가압에 의한 여압으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여압누출을 방지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일정한 스트로크 가압에 의한 정량토출 및 상기 돌출피스톤에 의한 내용물의 잔량 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펌프 디스펜서는 일반 화장품이나 치약, 각종 페이스트, 욕실용 세정 화장품, 주방 세제 등과 같은 다양한 액상 또는 젤상 제품의 정량 취출(取出)용 용기(container) 또는 베셀(vessel)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상기한 펌프 디스펜서는 용기 또는 베셀을 이루는 몸체(또는 본체)가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 유리 또는 크리스탈 용기로 성형되며, 에어 펌프 부분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지로 제작됨이 통상적이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펌프 디스펜서(100)는 에어 펌프의 푸시 헤드 부분의 상면을 눌러 용기 내를 가압하면 밸브 경로가 개방되고 대기압과의 압력 차에 의해 일정량의 내용물이, 펌프 헤드의 토출 개구를 가지며 그 단부가 하측으로 약간 경사져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노즐부를 통해 용기 외부로 취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 펌프 디스펜서의 구조는, 용기내에 구비된 긴 스트로우의 흡입을 통해 펌프 헤드의 토출 개구로 토출되며, 사용 후에 상기 긴 스트로우가닿지 못하는 용기 내부에 다량의 내용물이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에어펌프형 디스펜서로서, 한국등록특허 10-1161324(등록일자 2012년06월25일)에 상방이 개구진 네크부를 가지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내주연에 상기 용기 몸체의 상기 네크부가 체결되는 하부 외캡과, 상기 하부 외캡의 상측단에 링(ring) 형상의 수평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며 제 1 밸브 삽입구(揷入口)를 갖는 중앙하방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부 내캡과, 상기 하부 외캡의 상단에 수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방 및 측방개구부를 갖는 상부 캡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베이스 캡; 상기 일체형 베이스 캡의 상부 캡의 내주연에 끼워 고정되며, 하방은 상기 중앙 하방 개구부와 연통되고, 측방은 상기 상부 캡의 측방 개구부와 연통되는 제 2 밸브 삽입구(揷入口)가 형성되어 내용물의 유로부(流路部)를 형성하는 원통상의 고정링; 상기 상부 캡의 상방 개구부 내주연에 하단부가 체결되어 연통되며, 상단에 누름부가 형성되는 접철식 주름 튜브; 상기 상부 캡의 상기 측방 개구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돌출되며 상기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하는 노즐; 및 상기 일체형 베이스 캡, 원통상의 고정링, 및 링 형상의 수평 연결부 사이를 관통하는 틈새를 형성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용기 내로 유입하여 상기 용기 내부에서 부압(負壓)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공기 유입 통로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공기 유입 통로는 공기의 유입구로서 상기 일체형 베이스 캡의 상부 캡의 상방 개구부의 내주연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 1수직홈과, 상기 제 1 수직홈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 및 연통되어 형성되는 제 1 수평홈과, 상기 제 1 수평홈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기 상부 캡의 내주연 하단부까지 연장형성되는 제 2 수직홈과, 상기 제 2 수직홈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수평 연결부의 상면에 일정 길이만큼 수평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수평홈과, 상기 제 2 수평홈의 단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평 연결부에 형성되는 부압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압홀은 상방이 개구진 상기 용기의 네크부의 내측 공간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 1 수직홈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용기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접철식 주름 튜브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상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중앙 하방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용물의 유로부(流路部)를 형성하는 원통상의 고정링 내로 펌핑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펌프 디스펜서가 개발되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4796(등록일자 2014년10월07일)에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화장용액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외측에 나사산을 형성한 캡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액 저장용기(10)와; 상기 화장액 저장용기의 상부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화장액 저장용기(10)에 결합되도록 내측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내측에 공기가 입출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포이드 몸체(20)와; 상기 스포이드 몸체(20)의 하부 중앙에 결합되며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화장용액을 내측에 임시저장하거나 외부로 토출시키는 화장액 저장용 배관(30)과; 상기 스포이드 몸체(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연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압착 및 복원이 가능하고, 압착후 복원에 의해서 화장액 저장용 배관(30)으로 화장용액이 흡입되도록하고, 재압착에 의해서 화장액 저장용 배관(30)에 담긴 화장용액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압착튜브(40)와; 상기 화장액 저장용 배관(30)의 맨 하부에 결합용 핀(52)으로 스포이드 몸체(20)에 구형볼(51)을 조립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형볼(51)의 표면에 뭍으면서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하는 화장액 토출 조절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구형볼(51)과 화장액 저장용 배관 사이에는 화장용액이 인입되거나, 미량의 화장용액이 방출됨과 동시에 구형볼(51)의 표면을 따라 화장용액이 방출되도록 틈새(5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81202(등록일자 2016년08월23일) 상단에 개구부(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개구부(11)에 결합되며, 화장료흡입구(21)가 형성된 내캡(20)과; 상기 내캡(20) 내측에 설치되는 펌프(30)와; 상기 펌프(30) 상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볼안착공간(41)과 화장료배출공(45)이 형성된 볼수용부재(40)와; 상기 다수의 볼안착공간(41)에 각각 장착되는 도포용볼(50)과; 상기 도포용볼(50)과 볼수용부재(40)를 감싸면서 내캡(20)의 내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포용볼캡(60)과; 상기 내캡(20)에 결합되어 다수의 도포용볼(50)을 개폐시키는 뚜껑(70);으로 구성되되, 상기 펌프(30)는 흡입밸브(32)가 일체로 형성된 펌프하판(31)과, 배출밸브(37)가 일체로 형성된 펌프몸체(35)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하판(31)과 펌프몸체(35)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내캡(20)은 상측으로 상부연장부(22)가 연장 형성되고, 하측으로 외벽(2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벽(23)의 내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벽(24)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24)의 내측에는 밀폐판(25)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84514(등록일자 2016년01월06일)에는 상측에 샴푸 용액을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10)와; 상기 디스펜서에 결합되어 있으며, 경사면 끝부분에 일측이 접촉하는 스트롱(24)과; 상기 디스펜서 및 스트롱을 결합하며, 내부에 샴푸액이 충진되는 본체통(1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통(100)은, 하부 측면에 위치하며 압축 또는 신장에 의해서 몸체의 길이를 변화시키기위한 주름관(110)과, 바닥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0)과, 바닥면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는 화장잔량 포집부(130) 및, 상기 주름관과 화장잔량 포집부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 와이어(1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의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샴푸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80199(등록일자 2016년04월18일)에는 내측에 내용물수용공간(14)이 형성된 내용기(11)와 상기 내용기(11) 외측에 형성된 외용기(12)로 이루어진 용기(10)와; 상기 내용기(11) 하단에 결합되어 내용기(11)와 함께 외용기(12) 내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가압버튼(20)과; 상기 내용기(11) 내측에 형성된 밀판(50)과; 상기 내용기(11) 상측에 결합되며, 상부에 내용물 흡입공(33)이 형성된 내용기캡(30)과; 상기 내용기캡(30)의 상부에 설치되는 펌프(40)와; 상기 펌프(40) 상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외용기(12) 상측에 결합되는 외용기캡(60)과; 상기 외용기캡(60) 상측에 결합되며, 단부에 토출구(71)가 형성된 토출부재(70)로 구성되되, 상기 펌프(40)는 펌프밑판(41)과 상기 펌프밑판(41) 상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펌프본체(42)와 상기 펌프본체(42) 상부에 결합되는 밸브바디(43)와 상기 펌프본체(42) 외측에 장착되는 탄성부재(44)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용기(11)와 외용기(12) 사이에 중간용기(13)가 더 결합되며, 상기 중간용기(13)는 상측에 형성된 상부용기(131)와 하측에 형성된 하부용기(132)로 나뉘어져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내용물 배출 어플리케이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072308(등록일자 2020년01월23일)에는 내용물(A)이 채워지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토출버튼(21)에 의해 배출구(22)로 내용물(A)이 배출되는 헤드부(20)와, 상하면이 모두 평탄하고 측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피스톤부(30)와, 상기 홈에 밀봉링이 끼워져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된 형태로 상기 피스톤부(30)가 끼워지게 하며, 상기 용기본체(10)의 바닥에는 하부마개(40)가 밀폐결합되되, 상기 하부마개(40)에는 작동공간(42)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공간(42) 내부로 주입관(43)이 끼워지되, 작동공간(42)에 설치된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주입관(43)의 밀폐지지부(44)가 작동공간(42) 내부에서 밀착된 형태로 설치되고, 주입관(43)의 누름작용에 의해 스프링(45)이 압축되면서 주입관(43) 측면에 형성된 제1공기구멍(46)이 작동공간(42) 상면에 형성된 제2공기구멍(47)과 연통되어 용기본체(1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부(30)와 용기본체(10)의 바닥은 이격되어 공간부(B)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B)에는 피스톤부(30)가 내용물(A) 전체를 밀어낼 정도의 압력으로 공기가 충전되되, 먼저 상기 하부마개(40)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헤드부(20)와 내용물 사이의 공기가 모두 배출될때까지 피스톤부를 상승시킬 때는 헤드부(20)의 토출버튼(21)을 눌러서 개방된 상태에서 공기 주입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공간부(B)에 고압의 공기를 충전할 때는 헤드부(20)의 토출버튼(21)을 누르지 않고 밀폐된 상태에서 공기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20-0117095(공개일자 2020년10월14일)에는 화장료를 외부로 펌핑하는 펌프가 설치된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일측에 화장료흡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화장료 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밸브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싱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형성되는 피스톤받침과, 상기 피스톤받침의 외측에 끼워져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받침에 결합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스템은 PBT(Poly butylene terephthalate)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BT재질의 부품을 갖는 펌프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펌프 디스펜서의 구조는, 에어펌프의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의 부품으로 조립되어 제조비용과 조립공정이 증가하여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에어펌프 푸시 헤드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에어 펌프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푸시 헤드외에도 실린더 헤드, 피스톤 및 피스톤 가이드, 실린더 블록 등의 매우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용기내에 구비된 긴 스트로우의 흡입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될 때, 긴 스트로우가닿지 못하는 용기 내부에 다량의 내용물이 남아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4796의 스포이드 화장용기는 유리로 된 스포이드 관의 상부에 탄력성이 좋은 고무재질의 타원형의 펌프를 결합하는 구조는 스포이드관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하여 펌프를 가압 할 때 스포이드관이 유동되어 취급에 불편함을 초래함과 동시에 펌프가압이 불규칙하게 되어 내용물의 균일한 토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허 001] 한국등록특허 10-1161324(등록일자 2012년06월25일) [특허문허 002]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4796(등록일자 2014년10월07일) [특허문허 003]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81202(등록일자 2016년08월23일) [특허문허 004] 한국등록특허 10-1584514(등록일자 2016년01월06일) [특허문허 005]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80199(등록일자 2016년04월18일) [특허문허 006] 한국등록특허 10-2072308(등록일자 2020년01월23일) [특허문허 007] 한국공개특허 10-2020-0117095(공개일자 2020년10월14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본체 상부에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가 상부 및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접철식 주름 튜브식 에어펌프를 장착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공기 발생 및 상기 가압공기에 의한 용기내의 돌출피스톤 전진으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압출되고, 상기 펌프의 가압해제에 의한 상기 에어펌프의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균일한 대기압을 유지함으로써 가압에 의한 여압으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여압누출을 방지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일정한 스트로크 가압에 의한 정량토출 및 상기 돌출피스톤에 의한 내용물의 잔량 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용물이 채워지는 원통형 용기로서 하부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의 가압에 의해 토출구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에어펌프부와;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에 단면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면은 평탄하고 측면은 둘레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며, 하면은 상기 토출구 내부형상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피스톤부와; 상기 용기본체부 하부를 감싸며 끼워지면서 상기 토출부를 수용하여 밀폐결합 폐쇄하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에어펌프부는 접철식 주름 튜브식 에어펌프로서 상부에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하부에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가 형성된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가압공기배출구 인접부분에는 에어펌프 가압해제시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의 피스톤부 상부에 가압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 여압에 의하여 내용물이 토출구로 누출되지 않도록 여압방지를 위한 여압배출구 및 여압방지체크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유입체크밸브, 배출체크밸브 및 여압방지체크밸브는 상기 공기흡입유입구, 가압공기배출구 및 여압배출구 하면에 각각 일면이 부착되어 공기압에 의해 여닫이 작동되는 멤브레인 밸브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는 용기본체 상부에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가 상부 및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접철식 주름 튜브식 에어펌프를 장착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누름조작에 의한 가압공기 발생 및 상기 가압공기에 의한 용기내의 돌출피스톤 전진으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압출되고, 상기 펌프의 가압해제에 의한 상기 에어펌프의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에 의하여 상기 용기 내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균일한 대기압을 유지함으로써 가압에 의한 여압으로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여압누출을 방지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일정한 스트로크 가압에 의한 정량토출 및 상기 돌출피스톤에 의한 내용물의 잔량 압출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펌프 디스펜서 개랙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내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여압방지 내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여압방지 내부단면도
본 발명은, 내용물이 채워지는 원통형 용기로서 하부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의 가압에 의해 토출구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에어펌프부와;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에 단면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면은 평탄하고 측면은 둘레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며, 하면은 상기 토출구 내부형상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피스톤부와; 상기 용기본체부 하부를 감싸며 끼워지면서 상기 토출부를 수용하여 밀폐결합 폐쇄하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에어펌프부는 접철식 주름 튜브식 에어펌프로서 상부에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하부에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가 형성된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공기배출구 인접부분에는 에어펌프 가압해제시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의 피스톤부 상부에 가압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 여압에 의하여 내용물이 토출구로 누출되지 않도록 여압방지를 위한 여압배출구 및 여압방지체크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체크밸브, 배출체크밸브 및 여압방지체크밸브는 상기 공기흡입유입구, 가압공기배출구 및 여압배출구 하면에 각각 일면이 부착되어 공기압에 의해 여닫이 작동되는 멤브레인 밸브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는, 내용물(302)이 채워지는 원통형 용기로서 하부에 내용물(302)이 토출되는 토출구(303)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301)와; 상기 용기본체(301)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의 가압에 의해 토출구(303)로 내용물(302)이 토출되도록 하는 에어펌프부와; 상기 용기본체부(301) 내부에 단면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면은 평탄하고 측면은 둘레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며, 하면은 상기 토출구(303) 내부형상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돌출부(202)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피스톤부(201)와; 상기 용기본체부(301) 하부를 감싸며 끼워지면서 상기 토출부(303)를 수용하여 밀폐결합 폐쇄하는 보호캡(40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에어펌프부는 접철식 주름 튜브식 에어펌프로서 상부에 공기흡입유입구(101) 및 유입체크밸브(102)와; 하부에 가압공기배출구(104) 및 배출체크밸브(105)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 가압시(a)에는 에어펌프 내부 공기압에 의하여 공기흡입유입구(101)가 폐쇄됨과 동시에 가압된 공기가 상기 용기본체부(301) 내부로 가압배출되어 내용물을 가압 토출하고, 에어펌프 가압해제시(b)에는 에어펌프 내부 진공압 형성에 의하여 공기흡입유입구(101)가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됨 동시에 가압공기배출구(104) 및 배출체크밸브(105)가 폐쇄된다.
이때, 에어펌프 가압해제시(b)에 가압공기배출구(104) 및 배출체크밸브(105)가 폐쇄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의 피스톤부(201) 상부에 가압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 여압이 유지되어 상기 여압에 의하여 내용물이 토출구(303)로 누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공기배출구(104) 인접부분에는 에어펌프 가압해제시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의 피스톤부(201) 상부에 가압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 여압에 의하여 내용물이 토출구(303)로 누출되지 않도록 여압방지를 위한 여압배출구(106) 및 여압방지체크밸브(107)가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 가압시에는 에어펌프 내부 공기압에 의하여 공기흡입유입구(101)가 폐쇄됨과 동시에 가압된 공기가 가압공기배출구(104)가 개방되어 상기 용기본체부(301) 내부로 가압배출되어 내용물을 가압 토출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 가압해제시에는 에어펌프 내부 진공압 형성에 의하여 공기흡입유입구(101)가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됨 동시에 가압공기배출구(104) 및 배출체크밸브(105)가 폐쇄되고, 여압방지를 위하여 여압배출구(106) 및 여압방지체크밸브(107)가 개방되어 여압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체크밸브(102), 배출체크밸브(105) 및 여압방지체크밸브(107)는 상기 공기흡입유입구(101), 가압공기배출구(104) 및 여압배출구(106) 하면에 각각 일면이 부착되어 공기압에 의해 여닫이 작동되는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펌프는 접철식 주름 튜브식 에어펌프로서 가압 및 해제시 동일한 스트로크(팽창 및 압축 거리가 동일)로 가압 및 해제되므로 항상 일정한 량의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본체부(301) 내부의 내용물이 소진되어 남아 있는 잔량은 피스톤부(201)의 돌출부(202)가 상기 토출구(303) 내부형상에 대응하여 삽입되므로서 내용물 잔량을 완전히 토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공기흡입유입구 102 : 유입체크밸브
104 : 가압공기배출구 105 : 배출체크밸브
106 : 여압배출구 107 : 여압방지체크밸브
201 : 피스톤부 202 : 돌출부
301 : 용기본체부 302 : 내용물
303 : 토출구 401 : 보호캡

Claims (3)

  1. 내용물이 채워지는 원통형 용기로서 하부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버튼의 가압에 의해 토출구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에어펌프부와;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에 단면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면은 평탄하고 측면은 둘레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며, 하면은 상기 토출구 내부형상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피스톤부와; 상기 용기본체부 하부를 감싸며 끼워지면서 상기 토출부를 수용하여 밀폐결합 폐쇄하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에어펌프부는 접철식 주름 튜브식 에어펌프로서 상부에 공기흡입유입구 및 유입체크밸브와; 하부에 가압공기배출구 및 배출체크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공기배출구 인접부분에는 에어펌프 가압해제시 상기 용기본체부 내부의 피스톤부 상부에 가압된 공기에 의해 발생된 공기 여압에 의하여 내용물이 토출구로 누출되지 않도록 여압방지를 위한 여압배출구 및 여압방지체크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체크밸브, 배출체크밸브 및 여압방지체크밸브는 상기 공기흡입유입구, 가압공기배출구 및 여압배출구 하면에 각각 일면이 부착되어 공기압에 의해 여닫이 작동되는 멤브레인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KR1020210119625A 2021-09-08 2021-09-08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KR102419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25A KR102419788B1 (ko) 2021-09-08 2021-09-08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625A KR102419788B1 (ko) 2021-09-08 2021-09-08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788B1 true KR102419788B1 (ko) 2022-07-13

Family

ID=8240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625A KR102419788B1 (ko) 2021-09-08 2021-09-08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78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330B1 (ko) * 2006-07-14 2007-12-06 주식회사 예찬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KR101161324B1 (ko) 2010-01-07 2012-07-02 애경산업(주) 에어 펌프 디스펜서
KR200474796Y1 (ko) 2012-11-22 2014-10-15 (주)아모레퍼시픽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KR20150041849A (ko) * 2013-10-10 2015-04-20 (주)연우 공기압에 의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584514B1 (ko) 2014-11-04 2016-01-13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의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샴푸 용기
KR200480199Y1 (ko) 2014-12-03 2016-04-22 강성일 겔상 내용물 배출 어플리케이터
KR200481202Y1 (ko) 2014-10-13 2016-08-29 강성일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KR102072308B1 (ko) 2018-10-05 2020-01-31 주식회사 원에어테크 토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7095A (ko) 2019-04-02 2020-10-14 펌텍코리아 (주) Pbt 재질의 부품을 갖는 펌프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330B1 (ko) * 2006-07-14 2007-12-06 주식회사 예찬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KR101161324B1 (ko) 2010-01-07 2012-07-02 애경산업(주) 에어 펌프 디스펜서
KR200474796Y1 (ko) 2012-11-22 2014-10-15 (주)아모레퍼시픽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KR20150041849A (ko) * 2013-10-10 2015-04-20 (주)연우 공기압에 의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200481202Y1 (ko) 2014-10-13 2016-08-29 강성일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KR101584514B1 (ko) 2014-11-04 2016-01-13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의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샴푸 용기
KR200480199Y1 (ko) 2014-12-03 2016-04-22 강성일 겔상 내용물 배출 어플리케이터
KR102072308B1 (ko) 2018-10-05 2020-01-31 주식회사 원에어테크 토출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17095A (ko) 2019-04-02 2020-10-14 펌텍코리아 (주) Pbt 재질의 부품을 갖는 펌프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155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이중화장품용기
KR20045965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
KR102425870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US20210178413A1 (en) Spray pump
MXPA05005607A (es) Bomba de precompresion de altura reducida.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101387591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10145425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용 압출 펌프
KR102419788B1 (ko)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KR102271374B1 (ko) 펌프 조립체
KR101309857B1 (ko) 출몰노즐형 화장품 용기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1036269B1 (ko)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US20220072573A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CN215324560U (zh) 一种喷雾压力瓶
KR102517636B1 (ko)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만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 가압식 스프레이 용기
KR102629163B1 (ko) 유체 펌프디스펜서
KR102169678B1 (ko) 탄성 복원력을 이용한 화장품용기
KR20150003295U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102370545B1 (ko) 에어졸 스프레이용 펌핑밸브 조립체
US20240181480A1 (en) Bottom-fillable spray bottle
KR102111972B1 (ko)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CN218432683U (zh) 一种液体分配器的蓄压喷射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