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972B1 -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 Google Patents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972B1
KR102111972B1 KR1020190026962A KR20190026962A KR102111972B1 KR 102111972 B1 KR102111972 B1 KR 102111972B1 KR 1020190026962 A KR1020190026962 A KR 1020190026962A KR 20190026962 A KR20190026962 A KR 20190026962A KR 102111972 B1 KR102111972 B1 KR 10211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smetic liquid
pump
tube bod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이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범 filed Critical 이종범
Priority to KR102019002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액 용기(1)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화장액 용기(1)는 내부에 액상의 화장액이 충전되는 케이스(3)와; 케이스(3)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강시 케이스(3) 내부의 화장액을 가압함으로써 화장액을 토출시키는 펌프(5)와; 케이스(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관체(7)와; 관체(7)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펌프(5)에 연결됨으로써 펌프(5) 가압시 공기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측으로 펌핑되는 액상 화장액의 통로가 되는 삽입관(9)과; 그리고 관체(7)의 외주에 삽입되어 압력차이에 의하여 케이스(3) 내부를 따라 승하강함으로써 액상 화장액을 가압하여 관체(7)의 하부로 유입시키는 가압판(1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container for storing cosmetic liquid}
본 발명은 화장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립상태에서도 내부에 저장된 화장액이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는 화장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능성 화장품은 머리카락을 일정 형상으로 유지하거나,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거나,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거나,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이다.
특히, 액상의 화장품은 용기에 액상의 화장액을 충전한 후 외부에서 펌프(5)를 가압하여 일정량씩 분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액 용기는 펌프를 가압하는 경우 용기 내부에 공기 압력이 작용함으로써 액상 화장액이 일정량씩 분사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펌프방식의 화장액 용기는 푸셔를 눌러서 액상 화장액을 분사시키는 바, 화장액 용기를 역립시키는 경우 압력이 액상 화장액에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함으로써 화장액의 분사가 불안정해지거나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2014-69144호(명칭:액상 화장품 용기용 펌프 뚜껑)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역립상태에서도 내부에 저장된 화장액이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는 화장액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용기(1)는,
내부에 액상의 화장액이 충전되는 케이스(3)와;
케이스(3)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강시 케이스(3) 내부의 화장액을 가압함으로써 화장액을 토출시키는 펌프(5)와;
케이스(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펌프와 연통하는 관체(7)와;
관체(7)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펌프(5)에 연결됨으로써 펌프(5) 가압시 공기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측으로 펌핑되는 액상 화장액의 통로가 되는 삽입관(9)과; 그리고
관체(7)의 외주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펌프(5) 가압시 압력차이에 의하여 케이스(3) 내부를 따라 승하강함으로써 액상 화장액을 가압하여 관체(7)의 하부로 유입시키는 가압판(11)을 포함하며,
관체(7)의 상부(30)는 케이스(3)의 상부에 삽입된 연결관(23)의 하부(32) 외측에 삽입되고 관체(7)의 하부(34)는 케이스(3)의 내저부에 접촉하며, 관체(7)의 하부(34)에는 상향으로 유통홀(25)이 형성됨으로써 케이스(3)의 바닥에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화장액이 유입가능하며,
삽입관(9)은 관체(7)의 내부에 상하방항으로 배치되며, 삽입관(9)의 상부(36)는 연결관(23)의 하부(32) 내측에 삽입되고, 삽입관(9)의 하부(38)는 케이스(3)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짐으로써 관체(7)를 통하여 유입된 화장액이 펌프(5)로 공급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액 용기는 케이스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체를 배치하고, 관체의 내부에 삽입관을 배치하여 2중 구조로 함으로써 화장액 용기가 역립상태에서도 내부에 저장된 화장액이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용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장액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장액 용기의 구성품들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장액 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5에 도시된 화장액 용기의 역립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용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화장액 용기(1)는 펌프(5)의 푸셔(19)를 가압하여 액상의 화장액을 일정량씩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화장액은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무스, 스프레이, 썬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5) 방식의 화장액 용기(1)는 내부에 액상의 화장액이 충전되는 케이스(3)와; 케이스(3)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강시 케이스(3) 내부의 화장액을 가압함으로써 화장액을 토출시키는 펌프(5)와; 케이스(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관체(7)와; 관체(7)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펌프(5)에 연결됨으로써 펌프(5) 가압시 공기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측으로 펌핑되는 액상 화장액의 통로가 되는 삽입관(9)과; 관체(7)의 외주에 삽입되어 압력차이에 의하여 케이스(3) 내부를 따라 승하강함으로써 액상 화장액을 가압하여 관체(7)의 하부로 유입시키는 가압판(11)을 포함한다.
상기한 화장액 용기(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스(3)는 원통형상을 갖으며, 내부에는 화장액과 공기가 충전된다.
그리고, 케이스(3)의 상부는 펌프(5)의 토출구(13)에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5)를 누르는 경우, 케이스(3)의 내부를 가압함으로써 공기가 화장액을 가압함으로써 화장액이 토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펌프(5)는 케이스(3)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22)에 장착되어 승하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펌프(5)는, 케이스(3)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22)과; 상부캡(22)의 내부에 승하강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하강시 케이스(3)의 화장액을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피스톤(15)과; 피스톤(15)을 상부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7)와; 피스톤(15)의 상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피스톤(15)의 중공과 연통함으로써 화장액이 공급되는 푸셔(1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펌프(5)에 있어서, 피스톤(15)의 상부에는 플랜지(21)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 플랜지(21)의 하부에는 스프링(17)이 배치된다. 이때 스프링(17)은 압축 스프링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프링(17)이 플랜지(21)를 상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피스톤(15)은 상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화장액 토출을 위하여 푸셔(19)를 누르는 경우에는 푸셔(19)가 피스톤(15)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때 스프링은 수축된다. 또한, 상부캡(22)에 형성된 공기홀(h)을 통하여 케이스(3)의 내부 및 외부의 공기가 서로 통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3)의 내부에는 관체(7)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는 삽입관(9)이 배치된다.
이러한 관체(7)는 상부(30)는 케이스(3)의 상부에 삽입된 연결관(23)의 하부(32)에 연결되고 하부(34)는 케이스(3)의 내저부에 접촉한다. 이때, 관체(7)의 하부(34)는 상향으로 유통홀(25)이 형성됨으로써 케이스(3)의 바닥에 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푸셔(19)를 눌러서 케이스(3) 내부의 화장액을 관체(7)로 흡입할 때, 화장액이 이 유통홀(25)을 통하여 관체(7)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관체(7)의 내부에는 삽입관(9)이 배치됨으로써 펌프(5) 가압시 공기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측으로 펌핑되는 액상 화장액의 통로가 된다.
즉, 삽입관(9)의 상부(36)는 연결관(23)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38)는 케이스(3)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다.
따라서, 관체(7)의 유통홀(25)을 통하여 유입된 화장액은 압력차에 의하여 상측으로 흡입되어 토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화장액은 펌프(5)의 푸셔(19)를 가압할 때 가압판(11)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러한 가압판(11)은 원판형상을 갖으며, 내측 직경은 관체(7)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외주면은 케이스(3)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가압판(11)은 관체(7)의 외주면 및 케이스(3)의 내주면에 밀착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압력차에 의하여 승하강할 때 화장액의 역류없이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가압판(11)의 외주면에는 링(24)이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화장액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링(24)은 원주면을 따라 상하 2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1줄로도 가능하다.
또한, 가압판(11)의 내주면에도 동일하게 링이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됨으로써 관체(7)의 외주면에 밀착적으로 접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액 용기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푸셔(19)를 누르는 경우에는 푸셔(19)가 피스톤(15)을 눌러서 하강시킨다.
피스톤(15)이 하강함에 따라 공기홀(h)을 통하여 공기가 유동됨으로써 가압판(11)의 상부 및 하부 공간간에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차이에 의하여 가압판(11)이 화장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화장액은 관체(7)의 유통홀(25)을 통하여 내측에 배치된 삽입관(9)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삽입관(9)으로 흡입된 화장액은 상측으로 펌핑되어 펌프(5)의 토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펌프(5)에 의하여 화장액을 분사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역립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화장액 용기(1)를 역립상태로 하면, 케이스(3) 내측 하부에 저장된 화장액이 거꾸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판(11)도 180도 뒤집어짐으로써 케이스(3)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화장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펌프(5)의 푸셔(19)를 누르는 경우, 케이스(3) 내부의 상부 및 하부간에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 압력차이에 의하여 가압판(11)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가압판(11)의 이동에 의하여 화장액이 가압됨으로써 삽입관(9)으로 흡입되어 토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액 용기(1)는 역립상태에서도 가압판(11)의 상하 운동에 의하여 화장액을 일정량씩 외부로 안정적으로 토출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액상의 화장액이 충전되는 케이스(3)와;
    케이스(3)의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강시 케이스(3) 내부의 화장액을 가압함으로써 화장액을 토출시키는 펌프(5)와;
    케이스(3)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펌프와 연통하는 관체(7)와;
    관체(7)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는 펌프(5)에 연결됨으로써 펌프(5) 가압시 공기 압력 차이에 의하여 상측으로 펌핑되는 액상 화장액의 통로가 되는 삽입관(9)과; 그리고
    관체(7)의 외주에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펌프(5) 가압시 압력차이에 의하여 케이스(3) 내부를 따라 승하강함으로써 액상 화장액을 가압하여 관체(7)의 하부로 유입시키는 가압판(11)을 포함하며,
    관체(7)의 상부(30)는 케이스(3)의 상부에 삽입된 연결관(23)의 하부(32) 외측에 삽입되고 관체(7)의 하부(34)는 케이스(3)의 내저부에 접촉하며, 관체(7)의 하부(34)에는 상향으로 유통홀(25)이 형성됨으로써 케이스(3)의 바닥에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화장액이 유입가능하며,
    삽입관(9)은 관체(7)의 내부에 상하방항으로 배치되며, 삽입관(9)의 상부(36)는 연결관(23)의 하부(32) 내측에 삽입되고, 삽입관(9)의 하부(38)는 케이스(3)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짐으로써 관체(7)를 통하여 유입된 화장액이 펌프(5)로 공급되는 화장액 용기(1).
  2. 제 1항에 있어서,
    펌프(5)는 케이스(3)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캡(22)과; 상부캡(22)의 내부에 승하강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하강시 케이스(3)의 화장액을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피스톤(15)과; 피스톤(15)을 상부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7)와; 피스톤(15)의 상부에 연결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피스톤(15)의 중공과 연통함으로써 화장액이 공급되는 푸셔(19)를 포함하는 화장액 용기(1).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가압판(11)은 원판형상으로서 내측 직경은 관체(7)의 외주면에 삽입되며, 외주면은 케이스(3)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가압판(11)의 외주면에는 링이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케이스(3)의 내측면에 밀착적으로 접촉하는 화장액 용기(1).
KR1020190026962A 2019-03-08 2019-03-08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KR10211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62A KR102111972B1 (ko) 2019-03-08 2019-03-08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62A KR102111972B1 (ko) 2019-03-08 2019-03-08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972B1 true KR102111972B1 (ko) 2020-05-18

Family

ID=7091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962A KR102111972B1 (ko) 2019-03-08 2019-03-08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9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08Y1 (ko) * 2001-12-21 2002-06-03 강성일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KR20180053510A (ko) * 2016-11-12 2018-05-23 정병조 양방향 펌프와 실리콘 판의 압력을 이용한 다각도에서 분사 가능한 분무기
KR20180110982A (ko) * 2017-03-30 2018-10-11 펌텍코리아 (주) 잔여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08Y1 (ko) * 2001-12-21 2002-06-03 강성일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KR20180053510A (ko) * 2016-11-12 2018-05-23 정병조 양방향 펌프와 실리콘 판의 압력을 이용한 다각도에서 분사 가능한 분무기
KR20180110982A (ko) * 2017-03-30 2018-10-11 펌텍코리아 (주) 잔여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65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
KR101038320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US9788633B2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JP2020511187A (ja) 異種物質混合容器
KR101907778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CN106175031A (zh) 包括具有短行程的泵的粉盒容器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0545007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101337069B1 (ko)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US7624897B2 (en) Simplified airless dispensing pump for liquid product
KR100904414B1 (ko)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KR102111972B1 (ko) 역립상태에서도 화장액이 분사되는 화장액 용기
KR102306691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US10737870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KR102229912B1 (ko) 화장액 용기
KR102111273B1 (ko) 화장품 용기용 디스펜서
KR102427023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펌프
KR102419788B1 (ko)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KR102573275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20240047069A (ko) 압축공기에 의해 내용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용기
KR20240047070A (ko) 압축공기에 의해 내용물을 분사하는 양방향 스프레이 용기
CN117508909A (zh) 按压式喷射泵及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