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227B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227B1
KR101793227B1 KR1020150188683A KR20150188683A KR101793227B1 KR 101793227 B1 KR101793227 B1 KR 101793227B1 KR 1020150188683 A KR1020150188683 A KR 1020150188683A KR 20150188683 A KR20150188683 A KR 20150188683A KR 101793227 B1 KR101793227 B1 KR 10179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storage unit
case
contai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312A (ko
Inventor
김창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2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저장부와 연결되며, 펌프 구조를 구비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저장부를 둘러싸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저장부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부피가 팽창 및 수축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샴푸 등과 같은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제품은 용기에 담겨져 사용된다.
이러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하는 펌핑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용기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용물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는 제대로 펌핑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고, 내용물이 모두 사용된 후에는 용기를 그대로 버리게 되어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기에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용물의 양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체가 가능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며, 펌프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를 둘러싸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내용물의 양에 따라 부피가 팽창 및 수축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배출부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배출부와 상기 몸체를 연통시키는 연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연통 홀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부재에는 상기 내용물이 연통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부재의 하단부는 원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흡입구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추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내용물이 소비되었을 때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용물의 양에 따라 부피가 변하는 저장부에 내용물을 보관함으로써, 내용물의 양을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용물을 보관하는 저장부와 이를 둘러싸는 케이스를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저장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내용물의 양에 따라 저장부의 부피가 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저장부(120), 배출부(150) 및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저장부(120)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부분이다.
저장부(120)는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이하, 내용물), 예를 들어 화장품, 샴푸, 세제 등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내용물이 소비되었을 때 저장부(1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20)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케이스(1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저장부(120)를 구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저장부(12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케이스(110)에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분이다.
배출부(150)는 저장부(120)와 연결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배출부(15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펌프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150)의 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미도시)과 이와 연결된 피스톤 및 실린더 구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저장부(120) 내에 압력을 가하여 저장부(120)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펌핑할 수 있다.
펌프 구조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스(110)는 저장부(120)를 둘러싸는 부분이다.
케이스(110)는 저장부(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며,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가 교체 가능하도록 케이스(110)는 저장부(120)와 쉽게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용기를 구성하는 저장부(120), 배출부(150) 및 케이스(110)의 예시적인 형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120)는 몸체(121), 결합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21)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부분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21)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21)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양에 따라, 몸체(121)의 부피가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몸체(121)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몸체(121)는 최초에 수축된 형태이고, 몸체(121)의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경우에 부피가 팽창되었다가,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면 몸체(121)는 탄성력에 의하여 본래의 부피로 수축되어 복원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몸체(121)의 탄성력은 배출부(150)의 펌핑 작용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압력을 보조하게 되므로, 몸체(121)의 내부에 내용물이 소량만이 존재할 때에도 내용물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몸체(121)의 내부에 존재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몸체(121)의 부피가 변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몸체(121)의 내부에 존재하는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21)의 상단부에는 결합 부재(122)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부재(122)는 몸체(121)와 배출부(15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몸체(121)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결합 부재(122)는 배출부(15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강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121)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122)는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배출부(150)와 결합 시에 실링(sealing)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결합 부재(122)에는 연통 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 홀(124)은 결합 부재(122)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배출부(150)와 몸체(121)를 연통시키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연통 홀(124)은 후술할 배출부(150)의 삽입 부재(152)가 삽입 결합되는 수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21) 내에 저장된 내용물은 연통 홀(124)을 통하여 배출부(150)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배출부(150)는 캡 부재(153), 누름 부재(151) 및 삽입 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부재(153)는 배출부(150)의 몸체 부분으로서, 저장부(120)와 연결되며, 저장부(120)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구조를 구비한다.
캡 부재(153) 내부의 펌프 구조는 캡 부재(153)의 상부에 결합되는 누름 부재(151)와 연결되어, 누름 부재(151)의 작동에 따라 저장부(120)의 내부 공간으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캡 부재(153)는 저장부(1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캡 부재(153)의 하부에는 삽입 부재(152)가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 부재(152)는 저장부(120)의 결합 부재(122)에 형성된 연통 홀(12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삽입 부재(152)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흡입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삽입 부재(152)는 결합 부재(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저장부(120)의 몸체(121) 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흡입구(154)는 몸체(121) 내에 저장된 내용물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삽입 부재(152)는 몸체(121)에 저장된 내용물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배출부(150)의 펌핑 작동으로 내용물이 삽입 부재(152)의 흡입구(15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삽입 부재(152)의 하단부는 원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152)는 결합 부재(122)의 연통 홀(124)에 용이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흡입구(154)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흡입구(154)는 원추 형태로 이루어진 삽입 부재(152)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내용물의 효과적인 흡입을 위하여 복수 개의 흡입구(154)는 길게 연장된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릿 형태의 복수 개의 흡입구(154)는 원추 형태의 삽입 부재(152)의 외측면에 규칙적으로 배열됨으로써, 삽입 부재(152) 하단부의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원추 형태의 삽입 부재(152)의 외측면에 흡입구(154)가 고르게 배열됨으로써, 흡입구(154)가 내용물에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삽입 부재(152)는 연통 홀(124)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삽입 부재(152)가 연통 홀(1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 부재(152)의 외측면에 걸림 돌기(미도시)와 같은 이탈 방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이탈 방지 수단을 대체하는 형태로서, 삽입 부재(152)는 연통 홀(124)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 부재(152)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연통 홀(124)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부재(152)와 연통 홀(124)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삽입 부재(152)가 연통 홀(124)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삽입 부재(152)와 연통 홀(124) 간의 씰링(sealing)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저장부(120)를 수용하면서 저장부(1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12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케이스(110)는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의 일측이 저장부(120)의 결합 부재(122) 측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10)는 일측에 힌지(hinge)가 구비되어 개폐될 수 있으며, 상부에 저장부(120)의 결합 부재(122)가 안착되는 홈이 형성되어, 결합 부재(122)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11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저장부(120)를 수용하면서, 저장부(120)의 교체가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11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의 양에 따라 저장부(120)의 몸체(121)의 부피가 변경되는 것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내용물의 양에 따라 저장부의 부피가 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내용물이 소비되는 시간 순서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의 순서로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용물이 소비됨에 따라 저장부(120, 도 2 참조)의 몸체(121, 도 2 참조)의 부피가 수축되기 때문에, 외부에서도 시각적으로 내용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부피가 변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저장부(120)에 내용물을 보관함으로써, 내용물의 양을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보관하는 저장부(120)와 이를 둘러싸는 케이스(110)를 분리하여 이중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저장부(12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펌프 구조의 배출부(150)와 저장부(120) 간의 특별한 결합 구조를 통해,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용기 110 케이스
120 저장부 121 몸체
122 결합 부재 124 연통 홀
150 배출부 151 누름 부재
152 삽입 부재 153 캡 부재
154 흡입구

Claims (7)

  1. 액체 또는 겔 상태의 내용물이 저장되며, 내용물의 양에 따라 부피가 팽창 및 수축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를 가지는 저장부;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되며, 펌프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를 둘러싸는 케이스
    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부와 상기 몸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의 하단부는 원추 형태로, 상기 원추의 경사면을 따라서 슬릿 형태의 흡입구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내용물이 소비되었을 때 교체가 가능한, 용기.
KR1020150188683A 2015-12-29 2015-12-29 용기 KR10179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683A KR101793227B1 (ko) 2015-12-29 2015-12-29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683A KR101793227B1 (ko) 2015-12-29 2015-12-29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12A KR20170078312A (ko) 2017-07-07
KR101793227B1 true KR101793227B1 (ko) 2017-11-02

Family

ID=5935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683A KR101793227B1 (ko) 2015-12-29 2015-12-29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002B1 (ko) * 2018-10-26 2020-08-28 (주)이너보틀 용기 및 이것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12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002B1 (ko)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KR200476731Y1 (ko) 다종의 크림형 화장품을 분리수용하는 다중 격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6496154B2 (ja) 高粘度物用積層剥離容器
US10894633B2 (en) Cosmetic container
JP6634509B2 (ja) パウチ容器を備えた垂直加圧コンパクト容器
KR101817077B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CN104684654A (zh) 分配器的涂抹器头以及包括该涂抹器头的分配器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EP3305126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contents storage container horizontally coupled to lateral side of pump
KR101289483B1 (ko) 화장품 용기
KR101793227B1 (ko) 용기
JP5208876B2 (ja) 二重容器
KR101987557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WO2018212036A1 (ja) 流体吐出容器
KR200471478Y1 (ko) 내용물 절약형 용기
US20080197150A1 (en) Refillable dropper suitable for liquid materials of any viscosity
US11530078B2 (en) Contents container
JP2016141428A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KR102007200B1 (ko) 이중 튜브 뚜껑
KR200265447Y1 (ko) 착탈식 보관용기
KR20190077790A (ko) 리필용 용기
KR101491466B1 (ko) 세탁볼 겸용 세제용기캡
CN110693169B (zh) 化妆品容器
KR20180003103U (ko) 밀폐구조 튜브형 화장품용기
JP3148348U (ja) 化粧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