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121A - 유체용기 - Google Patents

유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121A
KR20080076121A KR1020070015615A KR20070015615A KR20080076121A KR 20080076121 A KR20080076121 A KR 20080076121A KR 1020070015615 A KR1020070015615 A KR 1020070015615A KR 20070015615 A KR20070015615 A KR 20070015615A KR 20080076121 A KR20080076121 A KR 20080076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pipe
outer conta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320B1 (ko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주 filed Critical 박영주
Priority to KR102007001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3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유체용기가 개시된다. 유체물이 수용되는 부정형(不定形)의 내부용기;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내부용기에 수용되는 파이프부; 내부용기를 커버하는 외부용기; 외부용기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통기부; 외부용기와 결합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유체용기는, 이중구조의 용기와 복수의 홀이 형성된 파이프 및 통기부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공기의 접촉이나 유입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떠한 사용환경에서도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유체용기, 내부용기, 외부용기, 파이프, 체크밸브

Description

유체용기{container for flui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체용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통기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체용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유체용기에 압력을 가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유체용기에 가한 압력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체용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내부용기 120: 외부용기
130: 파이프부 140: 노즐부
142: 덮개 144: 노즐
150: 통기부 160: 체크밸브
170: 패킹부재 180: 캡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레이와 같은 용기의 경우, 흡입파이프의 흡입구가 용기의 하단에 위치한 관계로 내용물이 가득 차 있을 시에는 스프레이가 어느 정도 기울어져도 스프레이 기능이 작동되나, 내용물이 1/3이하일 경우 소정 각도 이하로 용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적어질수록 사용 상의 불편함이 가중되고 결국에는 내용물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의 불편함에 따라 용기를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럴 경우 사용의 불편함은 물론, 용기에 내용물이 남아있는 상태로 버려짐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가능성 및 경제적 낭비가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몸체와, 복수의 홀이 형성된 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공기의 접촉이나 유입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량 소모시킬 수 있는 유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물이 수용되는 부정형(不定形)의 내부용기;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내부용기에 수용되는 파이프부; 내부용기를 커버하는 외부용기; 외부용기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통기부; 외부용기와 결합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유체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노즐부는, 외부용기와 결합되는 중공형의 덮개; 덮개와 연결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노즐; 덮개 내부에 배치되어, 파이프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통기부는 외부용기에 형성되는 홀과, 홀을 관통하는 가이드 관과, 일단이 가이드 관과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튜브는 고무 또는 실리콘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튜브의 타단은 가이드 관과 연결되는 일단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파이프부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연성(flexible) 파이프; 일단이 연성 파이프와 연결되는 경성(rigid)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경성 파이프의 타단에 의해 관통되어, 경성 파이프 및 내부용기와 결합되며, 경성 파이프와 외부용기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부용기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패킹부재가 단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외부용기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크밸브는, 덮개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체와; 일면은 파이프부의 단부와 대향하며, 타면은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이프부의 단부와 대향하는 블록의 일면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블록에 가압하여 파이프부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잠금장치는 덮개의 상측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캡에는 덮개의 일면을 관통하여 블록에 가압하는 지지봉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체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체용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용기(110), 외부용기(120), 나사산(1220, 배출 구(126), 단턱(124), 파이프부(130), 경성 파이프(131), 연성 파이프(132), 홀(134), 노즐부(140), 통기부(150), 패킹부재(170)가 도시되어 있다.
내부용기(110)는 샴푸, 세제, 물 등과 같은 유체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내부용기(110)는 비닐 팩과 같이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부정형(不定形)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내부용기(110)의 부피가 점차 줄어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파이프부(130)는 내부용기(11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파이프부(13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를 어떠한 상황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홀(134)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용기(110)에 수용된 내용물이 파이프부(130)에 공급되는 경로를 다양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내용물이 파이프부(130)에 원활히 공급될 수 있어,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부(130)는 경성 파이프(131)와 복수의 홀(134)이 형성된 연성 파이프(132)로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부(130)의 일단은 추후 설명할 패킹부재(170)와 결합되어 노즐부(140)에 내용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패킹부재(170)와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이와 동시에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러한 일단이 경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파이프부(130)를 경성 파이프(131)와 연성 파이프(132)로 구성 한 다음, 경성 파이프(131)를 패킹부재(170)에 결합하고, 경성 파이프(131)에 다시 복수의 홀(134)이 형성된 연성 파이프(132)를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파이프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는 수단인 복수의 홀(134)을 연성 파이프(132)에 형성함으로써, 내부용기(110)의 고른 부분으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용기(120)는 내부용기(110)를 커버한다. 외부용기(120)의 소정의 위치에는 추후 설명할 통기부(150)가 형성되며,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부에 배출구(126)가 형성되고, 배출구(126)와 노즐부(140)가 연결된다.
한편, 상술한 파이프부(130)와 외부용기(120) 사이의 공간, 즉 배출구(126)를 밀폐하기 위하여, 파이프부(130)에 패킹부재(170)가 결합될 수 있다. 패킹부재(170)는 파이프부(130)에 의해 관통되어 파이프부(130)와 외부용기(120) 사이에 개재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밀폐를 위하여, 배출구(126)에는 단턱(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패킹부재(170)는 이러한 단턱(124)에 안착될 수 있다. 패킹부재(170)는, 결합을 수월하게 함과 동시에 치밀한 밀폐를 위하여, 탄성이 좋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을 조합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배출구(126)의 외측에는 덮개(142)가 결합될 수 있다. 덮개(142)와 배출구(126)는 나사산(1220을 이용하여 서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노즐부(140)는 파이프부(130)와 연결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이 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를 이용하는 방식의 노즐부(140)를 제시하였다. 즉, 노즐부(140)를 용기 방향으로 누르면, 노즐을 통해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노즐부(140) 이외에도, 분무기 형식의 노즐부를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노즐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외부용기(120)에 형성되는 통기부(150)는, 외부용기(120)와 내부용기(110) 사이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내부용기(1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어 내부용기(110)가 수축하는 경우에도 내부용기(110)에 적정한 압력을 공급해줄 수 있는 수단이다.
즉, 내용물 배출로 인해 내부용기(110)가 수축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압이 떨어진 경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압이 소정 범위 내에 들 수 있도록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의 계속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통기부(150)는, 외부용기(120)에 형성되는 홀(128)과, 홀(128)을 관통하여 외부용기(120)에 결합되는 가이드 관(154)과, 가이드 관(154)에 연결되는 튜브(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용기 내부의 공기가 용기 외부로 용이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관(154)과 연결되는 측의 튜브(152)의 단면적보다, 반대편의 단면적이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의 d2가 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52')를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하고, 그 두께 또한 얇게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용기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튜브(152')가 곧게 펴져 별다른 저항이 없는 반면(도 3의 (b) 참조), 용기 내부에서 용기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려는 경우에는 튜브(152')가 구부러져 공기의 유출이 곤란해질 수 있다(도 3의 (c) 참조).
또 다른 방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52) 대신에 가이드 관(154)에 핀(152b")을 이용하여 박막(152a")을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용기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박막(152a")이 가이드 관(154)을 열게 되어 별다른 저항이 없는 반면(도 4의 (a) 참조), 용기 내부에서 용기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려는 경우에는 박막(152a")이 가이드 관(154)을 막게 되어 공기의 유출이 곤란해질 수 있다(도 4의 (b)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공기의 유출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통기부(150, 150', 15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체용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용기(110), 외부용기(120), 나사산(122), 배출구(126), 단턱(124), 파이프부(230), 경성 파이프(231), 연성 파이프(232), 홀(234), 덮개(242), 노즐(244), 체크밸브(246), 스프링(246a), 블록(246b), 통기부(150), 패킹부재(17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노즐부의 구성에 있어 그 차이가 있으므로, 노즐부를 제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그것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의 노즐부는, 외부용기(120)에 결합되어 배출구(126)와 연결되는 중공형의 덮개(242)와, 덮개(242)와 연결되어 유체를 배출하는 노즐(244) 및, 덮개(242) 내부에 개재되는 체크밸브(2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42)는 외부용기(120)의 배출구(126)가 형성된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이들의 결합은 나사산(122)에 의해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덮개(242)의 내부에 체크밸브(246)가 구비될 수 있도록, 덮개(242)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242)의 측면에는 노즐(244)이 형성되어 파이프부(230)를 통해 덮개(242)의 내부로 전달되는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노즐의 크기 및 위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체크밸브(246)는 덮개(242)의 내부에 구비되어 파이프부(230)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내용물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파이프부(230)를 개방하여 내용물이 노즐(24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파이프부(230)를 막아 외부의 공기가 내부용기(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내용물이 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용물이 변색,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크밸브(24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46b) 및, 블 록(246b)을 지지하는 스프링(246a)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246b)의 일 측면은 파이프부(230)의 단부와 대향하고, 타 측면은 스프링(246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내용물을 배출하지 않는 평상 시에는,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246a)의 복원력에 의해 블록(246b)이 파이프부(230)를 막아 외부의 공기가 파이프부(230)를 통해 내부용기(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기밀한 차단을 위하여, 블록(246b)은 탄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을 조합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블록(246b) 전체를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파이프부(230)와 대향하는 일면만을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246b)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스프링(246a)을 제시하였으나, 스프링 이외의 각종 탄성체를 이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용물을 배출하는 경우, 즉, 내부용기(110)에 압력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공급된 압력에 의해 내용물이 블록(246b)을 밀어내어 노즐(244)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의 유체용기에 압력을 가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유체용기에 가한 압력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용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용기(120)에 압력을 가하면, 외부용기(120)와 내부용기(110) 사이에 존재하는 공 기가 내부용기(11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 때, 통기구는 외부용기(120)와 내부용기(110) 사이의 공기가 외부용기(12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용기(110)에 압력이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 내부용기(110)에 수용된 내용물은 파이프부(230)의 홈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내용물은 상부로 배출구(126)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프부(230)를 막고 있던 블록(246b)에 이르게 된다. 이 때, 스프링(246a)이 블록(246b)에 가하는 힘보다, 내용물이 블록(246b)에 가하는 힘이 커지게 되면, 스프링(246a)은 더욱 압축되고, 이를 통해 파이프부(230)가 개방되어, 내용물은 노즐(2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용기에 가해졌던 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246a)의 복원력에 의해 블록(246b)은 다시 파이프부(230)를 막게 되어, 내용물의 배출은 정지된다. 또한, 외부용기(120)의 복원력에 의해 외부용기(120)도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 때, 내용물의 배출에 의해 내부용기(110)의 부피가 줄어들어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외부용기(120)와 내부용기(110) 사이의 공간은 늘어나게 된다. 이 때문에, 외부용기(120)와 내부용기(110) 사이의 공기압은 낮아지게 되며, 공기압 차이에 의해 통기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외부용기(120)와 내부용기(110) 사이로 유입되어, 다음 번 사용에 필요한 압력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외부용기(120)의 복원력이 우수하면, 공기압 차이가 크게 나타나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외부용기(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체용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도. 도 8을 참조하면, 내부용기(110), 외부용기(120), 나사산(122, 282), 배출구(126), 단턱(124), 파이프부(230), 경성 파이프(231), 연성 파이프(232), 홀(234), 덮개(242), 노즐(244), 체크밸브(246), 스프링(246a), 블록(246b), 통기부(150), 패킹부재(170), 캡(280), 지지봉(284)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2 실시예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또는 의도치 않은 내용물의 배출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더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잠금장치를 제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는, 덮개(242)의 상부에 결합되며, 블록(246b)에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봉(284)이 구비된 캡(2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캡(280)에 형성된 지지봉(284)은 덮개(242)를 관통하여 블록(246b)에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캡(280)의 내부 및 덮개(242) 외부에는 나사산(282)이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캡(280)과 덮개(242)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282)을 이용하여, 지지봉(284)이 블록(246b)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잠금장치의 사용과 미사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구조의 용기와 복수의 홀이 형성된 파이프 및 통기부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공기의 접촉이나 유입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떠한 사용환경에서도 내용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유체물이 수용되는 부정형(不定形)의 내부용기;
    소정의 위치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용기에 수용되는 파이프부;
    상기 내부용기를 커버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통기부;
    상기 외부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유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외부용기와 결합되는 중공형의 덮개;
    상기 덮개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배출하는 노즐;
    상기 덮개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외부용기에 형성되는 홀과;
    상기 홀을 관통하는 가이드 관과;
    일단이 상기 가이드 관에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고무 또는 실리콘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관과 연결되는 일단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는,
    상기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에 내장되는 연성(flexible) 파이프;
    일단이 상기 연성 파이프와 연결되는 경성(rigid)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파이프의 타단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경성 파이프 및 상기 내부용기와 결합되며, 상기 경성 파이프와 상기 외부용기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체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고무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단턱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덮개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체와;
    일면은 상기 파이프부의 단부와 대향하며, 타면은 상기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일면은 고무 또는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가압하여, 상기 파이프부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유체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덮개의 상측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에는 상기 덮개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블록에 가압하는 지지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용기.
KR1020070015615A 2007-02-14 2007-02-14 유체용기 KR10085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615A KR100858320B1 (ko) 2007-02-14 2007-02-14 유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615A KR100858320B1 (ko) 2007-02-14 2007-02-14 유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121A true KR20080076121A (ko) 2008-08-20
KR100858320B1 KR100858320B1 (ko) 2008-09-17

Family

ID=3987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615A KR100858320B1 (ko) 2007-02-14 2007-02-14 유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796B1 (ko) * 2011-07-21 2014-01-0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액상 용기의 배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03B1 (ko) * 2009-11-11 2012-05-24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이중 튜브용기
KR200470695Y1 (ko) * 2013-08-14 2014-01-15 박국서 공기 차단형 펌핑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982A (en) * 1987-01-15 1988-11-08 Root-Lowell Manufacturing Company Self-pressurizing sprayer
JPH08133358A (ja) * 1994-11-04 1996-05-28 Masayuki Hayashi 可変容量式スプレー容器
GB9517998D0 (en) 1995-09-04 1995-11-08 Bioglan Lab Ltd Compositions and device for their administration
JPH1159726A (ja) 1997-08-19 1999-03-02 Toho Kasei Kk 液体薬品搬送用容器及びこれに用いる容器
KR200209523Y1 (ko) * 2000-08-07 2001-01-15 한강현 연질의 내장 용기와 경질의 외장 용기가 장착된 토출기
KR100439210B1 (ko) 2001-06-14 2004-07-07 이노캡스(주) 탄산수 취출용 병뚜껑 조립체
KR200379388Y1 (ko) * 2004-12-16 2005-03-18 창 겡 짜이 공기압력식 유체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796B1 (ko) * 2011-07-21 2014-01-0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액상 용기의 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320B1 (ko)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541Y1 (ko)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KR101248248B1 (ko) 벨로우즈 펌프 기구
JPWO2007111256A1 (ja) 吐出容器及び点眼容器
KR101589677B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JP4542867B2 (ja) 物質を包装し塗布する装置
KR20200029537A (ko) 환기식 병 및 이를 위한 토출 헤드를 갖는 액체 분배기
KR100858320B1 (ko) 유체용기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6597Y1 (ko) 누액 방지 기능을 갖는 화장품 펌프용기
KR10161514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용 펌프 뚜껑
KR102137999B1 (ko) 리필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용기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0422424Y1 (ko) 물비누 디스펜서
JP2006315745A (ja) ポンプ付チューブ容器
KR200463139Y1 (ko) 노즐 막힘 방지부를 구비하는 펌프 용기
JP2009082602A (ja) 収容容器
KR20210064894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20080001894A (ko) 디스펜서 용기
JP2009220843A (ja) 液体用容器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JP6474704B2 (ja) 泡噴出容器
KR200273600Y1 (ko)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JP2007069931A (ja) 内容物の収納容器
KR20160005393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KR20130000272A (ko) 액체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