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600Y1 -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 Google Patents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600Y1
KR200273600Y1 KR2020020004308U KR20020004308U KR200273600Y1 KR 200273600 Y1 KR200273600 Y1 KR 200273600Y1 KR 2020020004308 U KR2020020004308 U KR 2020020004308U KR 20020004308 U KR20020004308 U KR 20020004308U KR 200273600 Y1 KR200273600 Y1 KR 200273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ntainer
discharge
contents
dischar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충택
Original Assignee
심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충택 filed Critical 심충택
Priority to KR2020020004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600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용기의 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내용물의 유출을 제한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하여 용기내부로의 공기유입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토출부(20)에 끼워 결합되며 하면에 요입된 밸브실(31)을 형성한 노늘(30)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실(31)에 수납되어 토출부(20)로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변형 개방되게 구성한 밸브(50)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실(31)에 수납된 밸브(50)를 지지하며 노늘(30)의 배출공과 토출부(20)의 토출구를 관통시키는 관로를 형성한 밸브지지구(60)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용기의 토출부에서 토출구를 밀폐하여 공기유입을 방지하므로서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튜브용기의 밸브구조{A valve of tube}
본 고안은 튜브용기의 밸브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등과 같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내용물의 유출을 제한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하여용기내부로의 공기유입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 담겨지는 용기는 액체가 수용되는 튜브와,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에 나사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튜브용기는 용기를 가압하면 내부의 내용물이 압력에 의하여 배출되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용기 내부의 공기 유입으로 인한 내용물의 산화 방지를 위하여 뚜껑을 닫아 둔다.
그러나, 종래의 튜브용기는 토출부가 뚜껑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어도 뚜껑과 토출부 사이에 남아있는 공기가 토출부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산화시키고 용기로 유입되어 용기 내부의 내용물까지 산화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앙이 요입되면서 외주연이 수축되어 내용물의 유동 관로를 형성하는 밸브수단의 구비하여 토출부로의 공기유입을 방지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20 : 토출부
30 : 노즐 31 : 밸브실
40 : 뚜껑
50 : 밸브 51 : 지지돌기
60 : 밸브지지구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토출부로의 공기 유입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관체로 이루어지며 후단이 고주파접합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전단에 결합되며 용기(10)와 관통되는 토출부(20)와, 상기 토출부(20)와 나사 결합되는 뚜껑(40)으로 이루어진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0)에 끼워 결합되며 하면에 요입된 밸브실(31)을 형성한 노늘(30)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실(31)에 수납되어 토출부(20)로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변형 개방되게 구성한 밸브(50)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실(31)에 수납된 밸브(50)를 지지하며 노늘(30)의 배출공과 토출부(20)의 토출구를 관통시키는 관로를 형성한 밸브지지구(6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밸브(50)는 원형의 판상으로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양측이 내측으로 수축 변형되어 토출부(20)의 내용물이 노늘(30)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유동 관로를 형성할 수 있게 상면에서 돌출형성되어 밸브실(31)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세개 이상의 지지돌기(51)를 돌출 형성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용기(10)의 내면과 합성수지재로 성형 형성되는 토출부(20)의 내벽에 자외선에 의한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알류미늄 코팅층(100)을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부(20)에 끼워 결합되며 저면에 밸브(50)가 수납되는 밸브실(31)을 형성한 본 고안은 뚜껑(40)을 열고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용기(10)를 가압하게 되면,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노늘(30)의 밸브실(31)에 수납된 밸브(50)가 하부로부터 가압되어 상면에 돌출형성한 지지돌기(51)의 높이 만큼 돌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밸브(50)의 상면 중앙이 돌출되면 밸브(50) 외주연의 지지돌기(51)와 지지돌기(51) 사이가 수축되어서 양측으로 내용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관로를 형성하므로 토출부(20)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이 노늘(3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용기의 가압력이 상실되면 용기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토출부에 흡인력이 작용되게 되는데, 상기 흡입력에 의하여 중앙이 요입되며 외주연이 수축된 밸브(50)가 밸브지지구(60)에 밀착되어 토출부(20)로의 기밀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10)의 내면과 토출부(20)에 알류미늄 코팅층(100)을 형성하므로서 자외선에 의한 내용물의 산화가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용기의 토출부에서 토출구를 밀폐하여 공기유입을 방지하므로서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것이다.
또한, 용기의 내면과 토출부의 내면에 알류미늄 코팅층을 형성하므로서 자외선에 의한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관체로 이루어지며 후단이 고주파접합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전단에 결합되며 용기(10)와 관통되는 토출부(20)와, 상기 토출부(20)와 나사 결합되는 뚜껑(40)으로 이루어진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20)에 끼워 결합되며 하면에 요입된 밸브실(31)을 형성한 노늘(30)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실(31)에 수납되어 토출부(20)로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며 내용물의 토출압에 의하여 변형 개방되게 구성한 밸브(50)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실(31)에 수납된 밸브(50)를 지지하며 노늘(30)의 배출공과 토출부(20)의 토출구를 관통시키는 관로를 형성한 밸브지지구(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용기(10)의 내면과 합성수지재로 성형 형성되는 토출부(20)의 내벽에 자외선에 의한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알류미늄 코팅층(10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KR2020020004308U 2002-02-09 2002-02-09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KR200273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08U KR200273600Y1 (ko) 2002-02-09 2002-02-09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308U KR200273600Y1 (ko) 2002-02-09 2002-02-09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600Y1 true KR200273600Y1 (ko) 2002-05-03

Family

ID=7307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308U KR200273600Y1 (ko) 2002-02-09 2002-02-09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6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390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20230031389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20230031388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390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20230031389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20230031388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573275B1 (ko) * 2021-08-27 2023-08-31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579766B1 (ko) * 2021-08-27 2023-09-18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643135B1 (ko) * 2021-08-27 2024-03-04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1579B1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WO2004069664A3 (en) Closure member
JP3492600B2 (ja) 逆流防止容器
KR20070037095A (ko)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상물 분배 용기
JP2007146834A (ja) ベローズポンプ
ATE393668T1 (de) Verpackung- und abgabeeinheit von medien, insbesondere von flüssigen proben
KR102206987B1 (ko) 누액방지 기능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200273600Y1 (ko) 튜브용기의 밸브구조
KR930016322A (ko) 유체 디스펜서
WO2002076845A1 (fr) Clapet et recipient de liquide a clapet
KR200395670Y1 (ko) 펌프식 화장품용기
KR100858320B1 (ko) 유체용기
KR102188920B1 (ko) 이중 용기
KR20200001048A (ko) 펌프 용기
KR20060122451A (ko) 펌프식 화장품용기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20160102700A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210064894A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US11857986B2 (en) Tubeless dispenser container
KR200178608Y1 (ko) 튜브용기
KR200182226Y1 (ko) 튜브용기
US11731150B2 (en) Tubeless dispenser container
KR100893115B1 (ko) 펌프 디스펜서용 푸시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디스펜서
FR2671330A1 (fr) Distributeur manuel portatif a pompe pour creme et cosme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