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528B1 - 텐셔닝 기구 - Google Patents

텐셔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528B1
KR102606528B1 KR1020237004284A KR20237004284A KR102606528B1 KR 102606528 B1 KR102606528 B1 KR 102606528B1 KR 1020237004284 A KR1020237004284 A KR 1020237004284A KR 20237004284 A KR20237004284 A KR 20237004284A KR 102606528 B1 KR102606528 B1 KR 102606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nnection
rotation
tensioning
rock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428A (ko
Inventor
위화 허
쉐이보 지앙
Original Assignee
저지앙 웨이파이 패키징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860740.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104372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798720.4U external-priority patent/CN21482440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1228003.2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435654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2555482.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5554400U/zh
Application filed by 저지앙 웨이파이 패키징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저지앙 웨이파이 패키징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5Details of tools
    • B65B13/187Mot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Jib Crane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텐셔닝 휠(100)과 텐셔닝 휠 구동모터(200)를 포함한 휴대용 패키징 머신에 장착되는 텐셔닝 기구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텐셔닝 휠 사이에는 기어 연결기구가 구비되며, 텐셔닝 기구는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 역회전 방지기구, 로커 암(300)을 더 구비하고,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 및 로커 암과 연결되며; 로커 암에는 텐셔닝 휠(300)과 협동하는 티스 구조(301)가 구비된다.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제2리셋기구와의 협동을 통해 로커 암이 회전되도록 구동하고 로커 암이 회전된 후의 각도를 유지하여, 티스 구조와 텐셔닝 휠이 텐션 협동상태 또는 풀림 상태에 있게 하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제1리셋기구와의 협동을 통해 역회전 방지기구를 구동하여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에 있게 하거나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에서 해제시키며, 기어 연결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와 연결되며, 역회전 방지기구가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일 때, 텐셔닝 휠은 단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역회전할 수 없다. 본 텐셔닝 기구는 조작 핸들 없이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텐션 상태에서 비텐션 상태까지 전환을 실현한다.

Description

텐셔닝 기구
본 발명은 텐셔닝 기구, 특히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텐셔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패키징 머신은 물품을 묶기 위해 해당 작업 지점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이다. 그 중에서, 텐셔닝 기구는 패키징 스트랩으로 물품을 감은 후 패키징 스트랩을 텐션되는 데 사용되며, 그 실행 기구는 텐셔닝 휠을 채용한다. 기존에 휴대용 패키징 머신은 손잡이가 있는 구조를 사용하고, 휴대용 패키징 머신은 손잡이를 조작하여 텐션 상태에서 비텐션 상태로(패키징 스트랩을 넣거나 패키징 스트랩을 제거한 작업상태) 전환되므로, 작업이 충분히 자동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텐션 상태에서 비텐션 상태로의 핸들리스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 휴대용 패키징 머신에 장착하기에 적합한 텐셔닝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방안을 채용한다:
텐셔닝 휠과 텐셔닝 휠 구동모터를 포함한 휴대용 패키징 머신에 장착되는 텐셔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텐셔닝 휠 사이에는 기어 연결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텐셔닝 기구는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 역회전 방지기구, 로커 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 및 로커 암과 연결되며; 상기 로커 암에는 텐셔닝 휠과 협동하는 티스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제2리셋기구와의 협동을 통해 로커 암이 회전되도록 구동하고 로커 암이 회전된 후의 각도를 유지하여, 상기 티스 구조와 텐셔닝 휠이 텐션 협동상태 또는 풀림 상태에 있게 하며;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제1리셋기구와의 협동을 통해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를 구동하여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에 있게 하거나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에서 해제시키며, 상기 기어 연결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가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일 때, 텐셔닝 휠은 단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역회전할 수 없으며, 상기 단방향은 패키징 스트랩을 텐션되게 하는 회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스티어링 엔진을 채용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와,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래칫 및 상기 래칫과 협동하는 폴을 포함하고, 상기 폴은 제1연결구조와 제1 연결기어의 협동을 통해 제1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로커 암은 제2 연결구조와 제2 연결기어의 협동을 통해 제2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상기 제1 연결기어 및 제2 연결기어를 구동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연결기어와 제2 연결기어는 치합 연결되어 동기회전하며, 제2 연결기어는 제1 연결기어보다 크고 회전속도는 제1 연결기어보다 작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연결구조는 제2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와 회전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구동부재와 협동하는 피작용 부위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로커 암과 연결되는 구조가 더 구비된다.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제2 리셋기구와 연결되는 부위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회전 연결부재는 링형상이며, 그 회전 중심선은 텐셔닝 휠의 회전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있으며, 상기 기어 연결구조에는 유성기어 감속기구가 구비되고, 링형상의 상기 회전 연결부재는 베어링을 통하여 유성기어 감속기구에 장착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폴 암은 제2연결기어의 축에 장착되고 또한 제2연결기어의 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제2 연결기어의 축과 고정 연결 또는 일체화된다.
상기 기어 연결구조는 유성기어 감속기구 및 구동모터와 유성기어 감속기어 사이의 연결기어를 포함한다. 유성기어 감속기구는 하나 이상의 단을 구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티어링 엔진은 텐셔닝 휠 구동모터와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엔진은 텐셔닝 휠과 텐셔닝 휠 구동모터의 측면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스티어링 엔진은 구동기어를 통해 제1 연결기어와 연결되고, 제1 연결기어는 다시 제2 연결기어와 치합 연결되며, 제2 연결기어는 제1 연결기어보다 크고 회전속도는 제1 연결기어보다 작으며;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와,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래칫 및 상기 래칫과 협동하는 폴을 포함하고, 상기 폴은 제1연결구조를 통해 제1 연결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로커 암은 제2 연결구조를 통해 제2 연결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구조는 제2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와 회전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구동부재와 협동하는 피작용 부위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로커 암과 연결되는 구조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는 링형상이며, 그 회전 중심선은 텐셔닝 휠의 회전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있으며, 상기 기어 연결구조에는 유성기어 감속기구가 구비되고, 링형상의 상기 회전 연결부재는 베어링을 통하여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마운팅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며, 상기 텐셔닝 휠에는 내부 기어링이 구비되고,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태양기어와 동축인 출력기어는 연결기어를 통하여 내부 기어링과 연결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는 유성기어 감속기구 앞에 구비되며;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는 단방향 베어링을 통해 래칫의 축 상에 장착되며, 텐셔닝 기구가 텐션되는 작동을 할 때, 상기 역방향 방지기구는 역방향 방지 협동상태에 있고, 텐셔닝 휠의 해당 텐션 회전 방향에서, 상기 단방향 베어링은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가 래칫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며, 텐셔닝 휠 구동모터가 회전을 멈출 때,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가 래칫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금지하고 둘이 함께 회전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내부 기어링은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태양 기어와 동심으로 구비되고, 상기 텐셔닝 휠과 유성기어 감속기구는 축방향에서 앞뒤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로써, 연결부품을 더욱 줄이고 기계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용 패키징 머신을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기어는 유성기어 감속기어의 태양기어와 동축으로 함께 연결하여, 연결구조를 추가적으로 간소화한다. 대안적으로, 제1 기어와 태양 기어는 동축으로 연결되는 대신 중간 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유성기어 감속구의 유성기어 프레임과 유성기어는 구동모터와 마주보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유성기어 프레임의 회전축은 상기 출력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기어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내부 기어링은 그 주위에 위치하며, 상기 출력기어와 내부 기어링 사이에는 출력기어를 둘러싼 북수의 연결기어가 구비되며, 연결기어의 축은 마운팅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연결기어와 출력기어의 사이는 감속 연결관계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텐셔닝 기구에는 스트랩 가압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스트랩 가압기구는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로커 암에 구비되며, 상기 스트랩 가압기구는 제1탄성기구 및 스트랩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기구는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를 아래로 밀어주고, 또한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가 후퇴되게 하고,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에게 아래쪽으로 리셋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 하단의 높이는 스트랩 가압기구 일측면에 가까운 스윙 암 내측 바닥부에 구비된 티스 플레이트의 상단보다 낮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는 구름체를 채용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휴대용 패키징 머신은 로커 암 내측에 패키징 스트랩 제한구조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트랩 가압기구는 회전가능한 마운팅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탄성기구와 스트랩 가압부재는 상기 마운팅 블록에 구비되며, 상기 마운팅 블록의 회전을 통해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가 양보 높이에서 스트랩이 텐션될 때의 패키징 스트랩의 리프팅에 적응되게 하고, 상기 마운팅 블록은 제2 탄성기구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트랩 가압기구에는 스페이서와 연결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마운팅 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나사는 상기 마운팅 블록을 상기 로커 암과 연결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탄성기구는 압축 스프링을 채용하고, 상기 마운팅 블록 내부에는 마운팅 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는 스틸 볼을 채용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과 스틸 볼은 마운팅 홀 내에 구비되며, 상기 마운팅 홀의 하단 개구부는 스틸 볼의 직경보다 작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탄성기구는 토션 스프링을 채용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슬리브되고 또한 로커 암과 마운팅 블록 사이에 연결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마운팅 블록에는 연결 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에는 연결 홀에 삽입되는 부분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나사는 연결 홀과 스페이서를 관통하여 로커 암에 연결되며; 상기 마운팅 블록에는 상기 연결 홀을 직각으로 관통하는 홀이 구비되고, 연결 홀의 하부는 마운팅 홀로 사용하며,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는 스틸 볼을 채용하며, 상기 압축 스프링과 스틸 볼은 마운팅 홀 내에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 홀의 하단 개구부는 스틸 볼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페이서의 삽입부분은 상기 압축 스프링의 지지부재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스페이서는 연결 홀에 삽입되는 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마운팅 블록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로커 암의 외측에는 오목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오목 영역에 상응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의 채용으로 인해, 본 발명은 구조가 콤팩트하고, 휴대용 패키징 머신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텐션 상태에서 비텐션 상태까지 핸들리스 작동을 구현한다. 또한 텐셔닝 휠의 전용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텐셔닝 기구는 웜기어 구조를 피하고, 동시에, 인접 및 동심 포함의 콤팩트한 조립 관계를 실현할 수 있고, 부피가 감소하여 유성기어가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제한된 적용 공간에서 사용하고 역회전 방지기구를 구성하는데 적합하며, 크기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고 에너지 소모가 적다.
아래에서는 첨부 도면과 구체적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모터 마운팅 베이스가 숨겨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역회전 방지기구와 그 주변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역회전 방지기구와 유성기어 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트랩 가압기구를 적용한 핸들리스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실시예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스트랩 가압기구를 구비한 스윙 암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랩 가압기구를 구비한 스윙 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조의 분해도이다.
첨부된 도면 1-6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텐셔닝 휠(100)과 텐셔닝 휠 구동모터(200)를 구비한 휴대용 패키징 머신에 장착되는 텐셔닝 기구를 제공한다. 구동모터(200)는 마운팅 플레이트(203)에 장착되고, 마운팅 플레이트(203)는 마운팅 베이스(4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구동모터(200)와 텐셔닝 휠(100) 사이에는 기어 연결기구가 구비되며, 기어 연결구조는 유성기어 감속기구 및 구동모터(200)와 유성기어 감속기구 사이의 연결기어를 포함한다.
텐셔닝 기구는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 역회전 방지기구, 로커 암(300)을 더 구비하고,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스티어링 엔진(6)을 채용할 수 있다. 스티어링 엔진(6)은 역회전 방지기구 및 로커 암(300)과 연결되며, 로커 암(300)은 마운팅 베이스(400)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텐셔닝 휠(100)의 주위에 위치하며; 로커 암(300)에는 텐셔닝 휠(100)과 협동하는 티스 구조(301)가 구비되며, 스티어링 엔진(6)과 제2리셋기구의 협동을 통해 로커 암(300)이 회전되도록 구동하고 로커 암(300)이 회전된 후의 각도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2 리셋기구는 압축 스프링(62)을 채용하여 티스 구조(301)와 텐셔닝 휠(100)이 텐션 협동상태 또는 풀림 상태에 있게 하며; 스티어링 엔진(6)은 제1리셋기구와의 협동을 통해 역회전 방지기구를 구동하여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에 있게 하거나,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에서 해제시킨다. 그 중에서, 제1리셋기구는 압축 스프링(61)을 채용하고, 기어 연결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와 연결되며, 역회전 방지기구가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일 때, 텐셔닝 휠(100)은 단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역회전할 수 없으며, 단방향은 패키징 스트랩을 텐션되게 하는 회전 방향이다.
역회전 방지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21)와,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21)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래칫(22) 및 래칫과 협동하는 폴(23)을 포함하고, 폴(23)은 제1연결구조와 제1 연결기어(71)의 협동을 통해 제1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로커 암(300)은 제2 연결구조와 제2 연결기어(72)의 협동을 통해 제2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스티어링 엔진(6)은 텐셔닝 휠 구동모터(200)와 평행으로 배치되고, 스티어링 엔진(6)은 텐셔닝 휠(100)과 텐셔닝 휠 구동모터(200)의 측면 상방에 위치하며; 스티어링 엔진(6)은 구동기어(73)를 통해 제1 연결기어(71)와 연결되고, 제1 연결기어(71)는 다시 제2 연결기어(72)와 치합 연결되며, 구동기어(73), 제1 연결기어(71) 및 제2 연결기어(72)의 축선은 텐셔닝 휠 축선과 평행하며, 폴 암(230)은 제2 연결기어(72)의 축(720)에 구비되고, 또한 제2 연결기어(72)의 축(72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연결기어(71)와 제2 연결기어(72)는 동기회전하고, 제2 연결기어(72)는 제1 연결기어(71)보다 크고 회전속도는 제1 연결기어(71)보다 작다. 따라서,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무게중심이 보다 안정되고 폴(23)의 동작이 보다 민감하고, 로커 암(300)은 적절한 회전 각도를 구비하며; 또한, 제1 연결기어(71)도 구동기어보다 크고, 감속 협동 관계에 있다.
제1연결구조는 제1 연결기어 축(710) 상의 제1캠(711)과 폴 암(230) 상에 구비된 제2캠(231)을 포함하고, 제1캠(711)과 제2캠(231)은 협동하며, 폴 암(230)은 리셋 스프링(61)과 연결되며, 스티어링 엔진(6)의 정회전은 캠의 협동을 통해 폴을 래칫에서 분리하도록 구동하는 역할을 하며, 리셋 스프링(61)은 폴(23)을 구동하여 리셋하여 래칫(22)과 치합 협동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제2 캠(231)을 제1 캠(711) 쪽으로 기대게 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래칫(22)의 축(220) 양단은 각각 베어링(25)을 통해 마운팅 플레이트(203) 및 마운팅 베이스(400)에 장착된다. 연결기어(21)는 단방향 베어링(27)을 통해 래칫(22)의 축 상에 장착되며, 단방향 베어링(27)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텐셔닝 기구가 텐션되는 작동을 할 때, 연결기어(21)가 제1 기어(1)의 구동 하에서 래칫(2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며, 텐셔닝 휠 구동모터(200)가 회전을 멈출 때, 연결기어(21)는 래칫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금지하고 둘은 함께 회전해야 한다.
제2연결구조는 제2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721)와 회전 연결부재(8)를 포함하며, 회전 연결부재(8)에는 구동부재(721)와 협동하는 피작용 부위(81)가 구비되며, 회전 연결부재(8)에는 로커 암과 연결되는 구조(82) 및 제2 리셋기구와 연결되는 부위(83)가 더 구비된다. 구동부재(721)는 제2 연결기어(72)의 축(720)과 고정 연결 또는 일체화되며, 스티어링 엔진의 정회전은 구동부재(721)가 피작용 부위(81)에 작용하여 회전 연결부재(8)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은 로커 암과 연결되는 구조(82)를 통해 로커 암(300)이 풀림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동하게 하고, 로커 암(300)에는 구조(82)와 협력하는 걸림 핀(302)이 구비될 수 있다. 스티어링 엔진을 역회전시키면, 구동부재(721)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양보하고, 압축 스프링(62)의 작용에 의해 회전 연결부재(8)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로커 암과 연결되는 구조(82)를 통해 로커 암(300)이 텐션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동하여 티스 구조(301)와 텐셔닝 휠(100)이 텐션 협동상태가 된다.
회전 연결부재(8)는 링형상이며, 그 회전 중심선은 텐셔닝 휠(100)의 회전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있으며, 링형상의 회전 연결부재(8)는 베어링을 통하여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마운팅 플레이트(500)에 장착된다. 스티어링 엔진(6)은 텐셔닝 휠(100)의 비스듬한 상방에 위치하고, 구동기어(73), 제1 연결기어(71) 및 제2 연결기어(72)는 텐셔닝 휠의 축선과 평행하며, 제2 연결기어(72)의 축(720)은 링형상 회전 연결부재(8)의 상방에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구동부재(721)가 링형 회전 연결부재(8)의 상방에서 그 회전 직경이 링형상 회전 연결부재(8)보다 작은 특징을 이용하여, 로커 암 회전 각도가 더 작은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속도와 기계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텐셔닝 휠(100)에는 내부 기어링(101)이 구비되고,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태양기어(31)와 동축선인 출력기어(4)는 연결기어(5)를 통하여 내부 기어링(101)과 연결되며; 내부 기어링(101)은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태양 기어(31)와 동심으로 구비되고, 이들의 회전 중심은 동일 축선 상에 있고; 텐셔닝 휠(100)과 유성기어 감속기구는 축방향에서 앞뒤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다.
역회전 방지기구는 유성기어 감속기구 앞에 구비되고, 구동모터(200)의 출력축(201)에는 구동기어(202)가 구비되고, 구동기어(202)와 제1기어(1)는 치합 연결되며, 그 관계는 감속 연결 관계이다; 제1기어(1)는 유성기어 감속기구 바로 앞에 위치하며, 제1기어(1)는 유성기어 감속기구와 연결되고, 또한 제1 기어(1)는 역회전 방지기구와 전동적으로 연결된다(연결기어(21)과 치합 연결됨).
제1기어(1)와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태양기어(31)의 축은 동일축 또는 일체형이며, 이 축은 베어링(11)을 통하여 마운팅 베이스(400)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은 감속기구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유성기어 감속기구는 태양기어(31), 3개의 유성기어(32), 유성기어 프레임(33) 및 내접 기어링(34)을 포함하고, 내접 기어링(34)은 마운팅 플레이트(500)에 구비되고, 마운팅 플레이트(500)는 마운팅 베이스(400)에 고정된다. 그 중에서, 3개의 유성기어(32)의 기어축은 유성기어 프레임(33)에 장착되며, 유성기어 프레임(33)의 회전축(35)은 마운팅 플레이트(500) 상의 마운팅 홀을 관통하여 마운팅 플레이트(5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성기어 프레임(33)과 유성기어(32)는 구동모터(200)와 마주보는 마운팅 플레이트(5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유성기어 프레임(33)의 회전축(35)은 출력기어(4)와 연결되며, 출력기어(4)는 마운팅 플레이트(500)의 타측에 위치하며, 내부 기어링(101)은 출력기어(4)의 주위에 위치하며, 연결기어(5)는 복수이고, 출력기어(4) 주위를 둘러싸며, 연결기어(5)의 축은 마운팅 플레이트(500)에 고정되고, 연결기어(5)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3개이다. 연결기어(5)와 출력기어(4)도 감속 연결 관계에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 7-10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스트랩 가압기구(601)는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로커 암(300)에 구비되며, 도면부호 100은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텐셔닝 휠이다. 로커 암(300)은 절곡되어 텐셔닝 휠(100) 일측에 텐셔닝 휠(100) 둘레에 구비되고, 로커 암(300)의 내측 바닥부에는 티스 플레이트(301)가 구비되며, 로커 암(300)이 회전하여 텐셔닝 휠(100)과의 사이를 닫으면 티스 플레이트(301)는 텐셔닝 휠(100)과 협동하여 패키징 스트랩(300)를 차단하고, 텐셔닝 휠(100)이 회전하면 우측으로 패키징 스트랩(700)를 텐션한다(도 7의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위치 기준).
스트랩 가압기구는 제1탄성기구 및 스트랩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제1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610)을 채용하고, 스트랩 가압부재는 스틸 볼(601)을 채용하여 설치가 편리하고 패키징 스트랩(700)과의 마찰저항이 작다; 압축 스프링(610)은 스틸 볼(601)을 아래쪽으로 밀어 스틸 볼(601)이 후퇴되게 하고, 스틸 볼(601)이 아래쪽으로 리셋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스틸 볼(601) 하단의 높이는 스트랩 가압기구 일측면에 가까운 스윙 암 내측 바닥부에 구비된 티스 플레이트(301)의 상단(303)보다 낮다. 절곡된 로커 암(300)과 텐셔닝 휠(100)이 열린 상태에서 패키징 스트랩(700)이 투입되면, 스트랩 가압부재(스틸 볼(601))가 패키징 스트랩(700)을 아래로 밀어 줄 수 있으며, 로커 암(300)이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패키징 스트랩(700)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휴대용 패키징 머신은 로커 암 내측에 패키징 스트랩 제한구조를 구비하여 패키징 스트랩(700) 투입시 폭방향의 위치가 적절한 것을 보장할 수 있고, 스트랩 가압부재가 스트랩 가압 역할을 하는 것이 편리하다. 패키징 스트랩 제한구조는 제한 블록(605) 또는 제한 플레이트와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스트랩 가압기구는 회전가능한 마운팅 블록(602)을 구비하고, 마운팅 블록(602)의 회전축선은 로커 암(300)의 회전축선과 직교하며, 이 회전을 통해 마운팅 블록(602) 상의 스트랩 가압부재(스틸 볼(601))의 높이가 변경된다. 마운팅 블록(602)의 회전을 통해 스트랩 가압부재가 양보 높이에서 스트랩이 텐션될 때 패키징 스트랩의 리프팅에 적응하여 스트랩 가압과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스트랩 텐셔닝 과정을 더 조화롭게 함으로써, 스트랩 가압 효과를 보장할 뿐만 아니라 스트랩 텐셔닝 과정도 원활하게 해준다.
마운팅 블록(602)에는 마운팅 홀(621)이 구비되고, 압축 스프링(610)과 스틸 볼(601)은 마운팅 홀(621)에 구비되며, 마운팅 홀(621)의 하단 개구부(6211)는 스틸 볼(601)의 직경보다 작다.
스트랩 가압기구에는 스페이서(603)와 연결나사(604)가 구비되고, 스페이서(603)에는 삽입단(631)이 구비되고, 마운팅 블록(602)에는 연결 홀(623)이 구비되며, 삽입단(631)은 연결 홀(623)에 삽입 연결되고, 나사(604)는 연결 홀(623)과 스페이서(603)를 관통하여 로커 암(300)에 연결되며, 도면부호 304는 나사(604)와 협동하는 스윙 암 상의 나사연결 홀이며; 마운팅 블록(602)에는 연결 홀(623)을 직각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연결 홀의 하부는 마운팅 홀(621)로 사용하고, 상부 홀(622)은 압축 스프링(610) 및 스틸 볼(601)을 설치하기 위한 비아홀로 사용하며, 조립 후 플러그로 막을 수 있다. 스페이서의 삽입단(631)은 마운팅 블록(602)의 회전축 역할 하고, 또한 압축 스프링(610)의 지지부재 역할을 한다.
마운팅 블록(602)은 제2탄성기구와 연결되며, 제2탄성기구는 토션 스프링(620)을 채용하고, 토션 스프링(620)은 스페이서(603) 사이에 슬리브되어 로커 암(300)과 마운팅 블록(602) 사이에 연결된다.
로커 암(300)의 외측에는 오목 영역(305)이 구비되고, 마운팅 블록(601)은 오목 영역(305)에 상응하게 설치되어 스트랩 가압 부재의 세팅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윙 암과 텐셔닝 휠이 닫힐 때 스트랩을 어느 정도 가압함으로써 패키징 스트랩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랩 가압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패키징 스트랩을 조이고 패키징 스트랩을 리프팅할 때 적응적이고 탄력적으로 양보할 수 있어 스트랩 텐셔닝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휴대용 패키징 머신이 작업 자동화를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경 또는 수정된 모든 것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설명,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에서 "포함" 및 "구비" 라는 용어와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장착", "구비", "설치", "연결", "상호 연결", "슬리브 연결"이라는 용어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분리형 연결 또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으며,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 연결일 수 있으며; 직접 연결이 될 수도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이 될 수도 있고, 2개의 장치, 요소 또는 구성 요소 간의 내부 연통이 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특정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용어 "일단", "타단", "외측", "내측", "수평", "단부", "길이", "외측 단부", "좌", "우" 등으로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관계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방향 또는 위치관계를 기준으로 하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실시함에 있어서, 당업자는 도면, 개시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를 통해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을 이해하고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에서 "포함", “함유" 등의 단어는 다른 구성요소나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비복수 명사도 그들의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다.
1-제1 기어, 4-출력기어, 5-연결기어, 6-스티어링 엔진, 8-회전 연결부재, 21-연결기어, 22-래칫, 23-폴, 25-베어링, 31-태양기어, 32-유성기어, 33-유성기어 프레임, 34-내접 기어링, 35-회전축, 61-리셋 스프링, 62-압축 스프링, 71-제1 연결기어, 72-제2 연결기어, 73-구동기어, 81-피작용 부위, 82-로커 암과 연결되는 구조, 83-제2 리셋기구와 연결되는 부위, 100-텐셔닝 휠, 101-내부 기어링, 200-구동모터, 201-출력축, 202-구동기어, 203-마운팅 플레이트, 220-축, 230-폴 암, 231-제2 캠, 300-로커 암, 301-티스 구조, 302-걸림 핀, 303-상단, 304-나사연결 홀, 305- 오목 영역, 400-마운팅 베이스, 500-마운팅 플레이트, 601-스틸 볼, 602-마운팅 블록, 603-스페이서, 604-연결나사, 605-제한 블록, 610-압축 스프링, 620-토션 스프링, 621-마운팅 홀, 6211-개구부, 622-상부 홀, 631-삽입단, 623-마운팅 홀, 700-패키징 스트립, 711-제1 캠, 720-축, 721-구동부재.

Claims (20)

  1. 텐셔닝 휠과 텐셔닝 휠 구동모터를 포함한 휴대용 패키징 머신에 장착되는 텐셔닝 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텐셔닝 휠 사이에는 기어 연결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텐셔닝 기구는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 역회전 방지기구, 로커 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 및 로커 암과 연결되며; 상기 로커 암에는 텐셔닝 휠과 협동하는 티스 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제2리셋기구와의 협동을 통해 로커 암이 회전되도록 구동하고 로커 암이 회전된 후의 각도를 유지하여, 상기 티스 구조와 텐셔닝 휠이 텐션 협동상태 또는 풀림 상태에 있게 하며;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제1리셋기구와의 협동을 통해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를 구동하여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에 있게 하거나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에서 해제시키며, 상기 기어 연결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가 역회전 방지 협동상태일 때, 텐셔닝 휠은 단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역회전할 수 없으며, 상기 단방향은 패키징 스트랩을 텐션되게 하는 회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스티어링 엔진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와,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래칫 및 상기 래칫과 협동하는 폴을 포함하고, 상기 폴은 제1연결구조와 제1 연결기어의 협동을 통해 제1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로커 암은 제2 연결구조와 제2 연결기어의 협동을 통해 제2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상기 회전방향 제어 및 회전각 유지기구는 상기 제1 연결기어 및 제2 연결기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기어와 제2 연결기어는 치합 연결되어 동기회전하며, 제2 연결기어는 제1 연결기어보다 크고 회전속도는 제1 연결기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조는 제1 연결기어 축 상의 제1캠과 폴 암 상에 구비된 제2캠을 포함하고, 제1캠과 제2캠은 협동하며, 상기 폴 암은 제1 리셋 기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조는 제2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와 회전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구동부재와 협동하는 피작용 부위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로커 암과 연결되는 구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제2 리셋기구와 연결되는 부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결부재는 링형상이며, 그 회전 중심선은 텐셔닝 휠의 회전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있으며, 상기 기어 연결기구에는 유성기어 감속기구가 구비되고, 링형상의 상기 회전 연결부재는 베어링을 통하여 유성기어 감속기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폴 암은 제2연결기어의 축에 장착되고 또한 제2연결기어의 축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제2 연결기어의 축과 고정 연결 또는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엔진은 텐셔닝 휠 구동모터와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 엔진은 텐셔닝 휠과 텐셔닝 휠 구동모터의 측면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스티어링 엔진은 구동기어를 통해 제1 연결기어와 연결되고, 제1 연결기어는 다시 제2 연결기어와 치합 연결되며, 제2 연결기어는 제1 연결기어보다 크고 회전속도는 제1 연결기어보다 작으며;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는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와,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는 래칫 및 상기 래칫과 협동하는 폴을 포함하고, 상기 폴은 제1연결구조를 통해 제1 연결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로커 암은 제2 연결구조를 통해 제2 연결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구조는 제2 연결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와 회전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구동부재와 협동하는 피작용 부위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에는 로커 암과 연결되는 구조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 연결부재는 링형상이며, 그 회전 중심선은 텐셔닝 휠의 회전 중심선과 동일선상에 있으며, 상기 기어 연결기구에는 유성기어 감속기구가 구비되고, 링형상의 상기 회전 연결부재는 베어링을 통하여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마운팅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며, 상기 텐셔닝 휠에는 내부 기어링이 구비되고, 유성기어 감속기구의 태양기어와 동축인 출력기어는 연결기어를 통하여 내부 기어링과 연결되며;
    상기 역회전 방지기구는 유성기어 감속기구 앞에 구비되며;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는 단방향 베어링을 통해 래칫의 축 상에 장착되며, 텐셔닝 기구가 텐션되는 작동을 할 때, 상기 역방향 방지기구는 역방향 방지 협동상태에 있고, 텐셔닝 휠의 해당 텐션 회전 방향에서, 상기 단방향 베어링은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가 래칫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며, 텐셔닝 휠 구동모터가 회전을 멈출 때, 역회전 방지기구 연결기어가 래칫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금지하고 둘이 함께 회전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트랩 가압기구가 구비되며, 상기 스트랩 가압기구는 휴대용 패키징 머신의 로커 암에 구비되며, 상기 스트랩 가압기구는 제1탄성기구 및 스트랩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기구는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를 아래로 밀어주고, 또한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가 후퇴되게 하고,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에게 아래쪽으로 리셋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 하단의 높이는 스트랩 가압기구 일측면에 가까운 스윙 암 내측 바닥부에 구비된 티스 플레이트의 상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는 구름체를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패키징 머신은 로커 암 내측에 패키징 스트랩 제한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4. 청구항 11,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가압기구는 회전가능한 마운팅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탄성기구와 스트랩 가압부재는 상기 마운팅 블록에 구비되며, 상기 마운팅 블록의 회전을 통해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가 양보 높이에서 스트랩이 텐션될 때의 패키징 스트랩의 리프팅에 적응되게 하고, 상기 마운팅 블록은 제2 탄성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가압기구에는 스페이서와 연결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마운팅 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나사는 상기 마운팅 블록을 상기 로커 암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기구는 압축 스프링을 채용하고, 상기 마운팅 블록 내부에는 마운팅 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는 스틸 볼을 채용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과 스틸 볼은 마운팅 홀 내에 구비되며, 상기 마운팅 홀의 하단 개구부는 스틸 볼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기구는 토션 스프링을 채용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슬리브되고 또한 로커 암과 마운팅 블록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블록에는 연결 홀이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에는 연결 홀에 삽입되는 부분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나사는 연결 홀과 스페이서를 관통하여 로커 암에 연결되며; 상기 마운팅 블록에는 상기 연결 홀을 직각으로 관통하는 홀이 구비되고, 연결 홀의 하부는 마운팅 홀로 사용하며, 상기 스트랩 가압부재는 스틸 볼을 채용하며, 상기 압축 스프링과 스틸 볼은 마운팅 홀 내에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 홀의 하단 개구부는 스틸 볼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페이서의 삽입부분은 상기 압축 스프링의 지지부재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연결 홀에 삽입되는 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마운팅 블록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로커 암의 외측에는 오목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마운팅 블록은 상기 오목 영역에 상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닝 기구.
KR1020237004284A 2020-08-25 2021-08-12 텐셔닝 기구 KR102606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860740.8 2020-08-25
CN202010860740.8A CN114104372A (zh) 2020-08-25 2020-08-25 拉紧机构
CN202021798720.4 2020-08-25
CN202021798720.4U CN214824401U (zh) 2020-08-25 2020-08-25 拉紧机构
CN202011228003.2A CN114435654A (zh) 2020-11-06 2020-11-06 压带机构
CN202011228003.2 2020-11-06
CN202022555482.0 2020-11-06
CN202022555482.0U CN215554400U (zh) 2020-11-06 2020-11-06 压带机构
PCT/CN2021/112171 WO2022042315A1 (zh) 2020-08-25 2021-08-12 拉紧机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428A KR20230044428A (ko) 2023-04-04
KR102606528B1 true KR102606528B1 (ko) 2023-11-24

Family

ID=8035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284A KR102606528B1 (ko) 2020-08-25 2021-08-12 텐셔닝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94859A1 (ko)
EP (1) EP4206079A1 (ko)
JP (1) JP7492652B2 (ko)
KR (1) KR102606528B1 (ko)
AU (1) AU2021331964A1 (ko)
BR (1) BR112023003325A2 (ko)
TW (1) TWI788965B (ko)
WO (1) WO202204231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4989A (ja) 2000-05-26 2003-11-25 ツィクロプ ゲーエムベーハー ストラッピング・バンドに張力を与えるための装置
JP2011518085A (ja) 2008-04-23 2011-06-23 オルガパ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歯車システムを備えた携帯型バンド掛け装置
CN110626539A (zh) 2019-09-29 2019-12-31 青岛亚特利智能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捆扎带打包机的拉紧装置及其打包机
JP2021095289A (ja) 2019-12-16 2021-06-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31288A (en) * 1951-09-28 1955-06-08 Andre Saquet Improvements relating to bale-banding machines
AU1312566A (en) * 1966-10-26 1969-04-24 Wire tying device
US4855924A (en) * 1987-05-14 1989-08-08 Ford New Holland, Inc. Round baler with continuous bale size monitoring
JP2797947B2 (ja) * 1993-12-30 1998-09-17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AU2009270648B2 (en) * 2008-07-17 2012-06-28 Xiaojie Yi An electric hand-held binding apparatus
WO2014072775A1 (de) 2012-09-24 2014-05-15 Illinois Tool Works Inc. Umreifungsvorrichtung
CN204415802U (zh) * 2015-01-26 2015-06-24 杭州永创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打包机拉紧调节机构
CN209258463U (zh) * 2018-11-05 2019-08-16 温州汉德派克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打包机的收紧机构及具有该收紧机构的打包机
CN109292142A (zh) * 2018-11-05 2019-02-01 温州汉德派克包装机械有限公司 一种打包机的收紧机构及其打包机
CN213735739U (zh) * 2020-08-25 2021-07-20 台州市永派包装设备有限公司 一种拉紧机构
CN213974593U (zh) * 2020-09-27 2021-08-17 台州市永派包装设备有限公司 拉紧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4989A (ja) 2000-05-26 2003-11-25 ツィクロプ ゲーエムベーハー ストラッピング・バンドに張力を与えるための装置
JP2011518085A (ja) 2008-04-23 2011-06-23 オルガパッ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歯車システムを備えた携帯型バンド掛け装置
CN110626539A (zh) 2019-09-29 2019-12-31 青岛亚特利智能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捆扎带打包机的拉紧装置及其打包机
JP2021095289A (ja) 2019-12-16 2021-06-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2711A (zh) 2022-04-01
EP4206079A1 (en) 2023-07-05
TWI788965B (zh) 2023-01-01
BR112023003325A2 (pt) 2023-03-21
AU2021331964A1 (en) 2023-03-16
JP7492652B2 (ja) 2024-05-29
WO2022042315A1 (zh) 2022-03-03
KR20230044428A (ko) 2023-04-04
US20230294859A1 (en) 2023-09-21
JP2023537790A (ja)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0940B2 (ja) 窓操作装置
JPH0524474B2 (ko)
US10619715B2 (en) Linear actuator
KR102606528B1 (ko) 텐셔닝 기구
JP4938899B2 (ja) 通行遮断竿の駆動装置
KR20190057857A (ko) 듀얼 스크린 롤블라인드
JP4206467B2 (ja) 正逆回転モータの切り換えギア装置。
RU2809405C1 (ru) Натяжной механизм
CA3189500C (en) Tensioning mechanism
CN2793285Y (zh) 隐形纱窗回卷弹力调节机构
JP2005508467A (ja) パワーデッキリッドの引下げ用アクチュエータ及び制御装置
CN211818886U (zh) 一种可调节关门力矩的旋转门装置
CN211313719U (zh) 一种带电机的自动锁体
JP3936882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243868A (ja) 自動巻腕時計用ケース
CN214824401U (zh) 拉紧机构
JPH0253594B2 (ko)
CN217999320U (zh) 一种传动机构、手自一体开窗器和窗户
CN113503104A (zh) 一种传动机构、手自一体开窗器和窗户
JP2807632B2 (ja) 軸の回転阻止機構およびこの回転阻止機構を用いた旗の巻上装置
JPH1085461A (ja) 自動変形装置
JP2686054B2 (ja) 遊技球発射装置
JPH0437200Y2 (ko)
KR200224878Y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개폐기
KR960003581Y1 (ko) 로울러 브라인드의 승강정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