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215B1 - 텐트 펙 및 이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텐트 펙 및 이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215B1
KR102602215B1 KR1020210086844A KR20210086844A KR102602215B1 KR 102602215 B1 KR102602215 B1 KR 102602215B1 KR 1020210086844 A KR1020210086844 A KR 1020210086844A KR 20210086844 A KR20210086844 A KR 20210086844A KR 102602215 B1 KR102602215 B1 KR 10260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g
hook
peg body
clamping block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400A (ko
Inventor
민진 시엔
위에윈 후
Original Assignee
광저우 클래식 & 프레쉬 크래프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저우 클래식 & 프레쉬 크래프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저우 클래식 & 프레쉬 크래프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5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2Pegs, stak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 액세서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텐트 펙을 개시하며, 여기에는 펙 캡, 펙 바디,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제2 미끄럼 방지 후크 및 펙 헤드가 포함된다. 상기 펙 바디 꼭대기단의 양측에는 대향하는 장착홀이 개설된다. 상기 펙 바디 바닥단의 양측에는 대향하는 클램핑홈이 개설된다.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각각 펙 바디의 양측에 위치한다. 또한 순차적으로 2개의 대향하는 장착홀을 관통한 후 서로 클램핑된다. 상기 펙 캡은 펙 바디 꼭대기단 개구에 버클링된다. 상기 펙 헤드는 클램핑홈을 통해 펙 바디의 바닥단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펙의 가공 방법을 더 개시한다. 이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펙 헤드측이 2개의 클램핑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며, 클램핑홈에 독특한 구조적 설계를 사용하여 펙 헤드가 수직 방향을 따라 탈락되지 않는다. 펙 바디 양단에 경화형 접착제층을 부어, 접착제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의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제2 미끄럼 방지 후크 및 펙 헤드의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3가지 부재의 부피를 증가시켜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Description

텐트 펙 및 이의 가공 방법{TENT PEG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텐트 액세서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펙 및 이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는 일반적인 탄소 섬유 복합 재료 펙(peg)은 다수가 탄소 섬유와 알루미늄 재료로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파이프형의 탄소 섬유 펙의 두 헤드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 금속 재질의 금속 부재에 접착되어 복합 제조된다. 이러한 유형의 펙은 3가지 단점이 있다. 1. 접착제가 오래되거나 힘을 과도하게 받으면 금속 부재가 탈락되기 쉽고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진다. 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이프형 펙 바디는 윈드 로프(wind rope)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형의 걸이 지점이 없다. 윈드 로프를 곧바로 펙 상에 묶을 경우 탈락되기 쉽다. 통상적으로 로프 루프를 걸이 지점으로 추가하며, 사용 시 윈드 로프를 로프 루프에 관통시켜야만 윈드 로프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비교적 불편하다. 사용자가 기온이 매우 낮은 높은 산에서 장갑을 낀 경우 텐트의 윈드 로프를 펙의 로프 루프에 관통시키기가 어려우므로, 높은 산에서는 사용하기가 더욱 불편하다. 3.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금속 부재는 흙 속에서 돌에 부딪히거나 외력에 의해 타격되면 손상되기 쉽다. 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경도가 비교적 낮은 재료이기 때문이다. 강철 등과 같이 비교적 단단한 금속 헤드로 변경할 경우에는 제품 중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가볍고 튼튼하며 내구성 있고 사용하기 용이한 펙(peg)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펙의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구현된다. 즉, 텐트 팩은 펙 캡, 펙 바디,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제2 미끄럼 방지 후크 및 펙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펙 바디 양단에는 개구가 있고 내부는 비어 있다. 상기 펙 바디 꼭대기단의 양측에는 대향하는 장착홀이 개설된다. 상기 장착홀과 펙 바디의 꼭대기단 개구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상기 펙 바디 바닥단의 양측에는 대향하는 클램핑홈이 개설된다. 상기 클램핑홈의 개구단은 펙 바디의 바닥단 개구와 동일한 평면에 있다.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각각 펙 바디의 양측에 위치한다. 순차적으로 2개의 대향하는 장착홀을 관통한 후 서로 클램핑된다. 상기 펙 캡은 펙 바디 꼭대기단 개구에 버클링된다. 상기 펙 헤드는 클램핑홈을 통해 펙 바디의 바닥단에 장착된다. 상기 펙 바디의 양단에 경화형 접착제층을 부어 접착제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의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제2 미끄럼 방지 후크 및 펙 헤드의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그 부피를 증가시켜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펙 캡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 중의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일체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는 제1 후크 바디, 제1 클램핑 블록, 제1 위치제한 블록 및 제1 후크 풋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은 제1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 일단에 가까운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위치제한 블록은 제1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 일단에 가까운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에 가까운 일단에는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에 대응하는 제1 오목홈이 개설된다. 상기 제1 오목홈은 제1 클램핑 블록과 제1 위치제한 블록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은 순차적으로 2개의 장착홀을 관통한 후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와 클램핑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의 상단면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와 밀착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의 하단면은 2개의 장착홀의 하부 에지와 밀착된다. 상기 제1 위치제한 블록은 그와 가까운 장착홀 상방의 펙 바디와 맞닿아 연결된다. 상기 펙 바디의 꼭대기단에는 경화형 접착제층을 부어, 접착제를 제1 클램핑 블록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의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그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또한 제1 후크 풋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후크 풋은 제1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로부터 먼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1 후크 풋은 펙 바디를 향한다.
또한 상기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제2 후크 바디, 제2 클램핑 블록, 제2 위치제한 블록 및 제2 후크 풋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위치제한 블록은 제2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 일단에 가까운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은 제2 위치제한 블록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에 가까운 일단에는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에 대응하는 제2 오목홈이 개설된다. 상기 제2 오목홈은 제2 클램핑 블록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은 순차적으로 2개의 장착홀을 관통한 후 제1 오목홈과 접촉한다. 제2 오목홈은 제1 클램핑 블록과 접촉되어,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를 서로 클램핑시킨다.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의 상단면은 2개 장착홀의 상부 에지와 밀착된다.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의 하단면은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밀착된다. 상기 제2 위치제한 블록은 그와 가까운 장착홀 상방의 펙 바디와 맞닿아 연결된다. 상기 펙 캡의 바닥단은 제2 클램핑 블록과 맞닿아 연결된다. 상기 펙 바디의 꼭대기단에 경화형 접착제층을 부어, 접착제를 제2 클램핑 블록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의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그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또한 제2 후크 풋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후크 풋은 제2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로부터 먼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2 후크 풋은 펙 바디를 향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홈은 서로 연결된 내부홈 구간과 개구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 구간은 펙 바디 바닥단의 개구단과 동일한 평면에 있고, 상기 내부홈 구간의 폭은 개구 구간의 폭보다 크다.
또한 상기 펙 헤드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돌출 블록, 기둥 바디 및 팁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 블록의 형상은 클램핑홈과 매칭되며 2개 클램핑홈에 위치한다. 상기 펙 바디의 바닥단에는 경화형 접착제층을 부어 접착제를 돌출 블록의 표면에 경화시킴으로써 그 부피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클램핑홈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상기 팁은 원추형이며, 상기 기둥 바디는 원기둥형이다.
또한 상기 돌출 블록의 양측면은 원호 곡면이다.
또는 상기 펙 캡은 캡 커버 및 원통형의 클램핑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파이프는 캡 커버의 바닥단에 장착된다. 상기 캡 커버의 직경은 펙 바디 외경보다 약간 크다.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외경은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상기 캡 커버의 하부 에지는 펙 바디의 파이프벽 상부 에지에 밀착된다.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바닥단은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 중의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와 맞닿아 연결된다.
또한 상기 펙 바디는 탄소 섬유 파이프를 가공하여 제조한다.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탄소 섬유판을 전단하여 제조한다. 상기 펙 캡과 펙 헤드는 모두 초경합금으로 제조된다.
텐트 펙의 가공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탄소 섬유 파이프를 전단하여 펙 바디를 획득한다.
탄소 섬유판을 전단하여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를 획득한다.
주조 또는 선반 전단을 통해 펙 헤드와 펙 캡을 획득한다.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의 제1 클램핑 블록을 펙 바디의 한 장착홀에 관통하여 넣고 대향하는 장착홀로부터 관통하여 꺼낸다.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의 제2 클램핑 블록을 펙 바디의 다른 장착홀에 관통하여 넣고 대향하는 장착홀로부터 관통하여 꺼낸다. 이를 통해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를 각각 펙 바디 양측에 위치시킨다. 제1 클램핑 블록과 제2 오목홈을 클램핑시키고, 제2 클램핑 블록과 제1 오목홈을 클램핑시킨다. 제2 클램핑 블록의 상단면은 2개 장착홀의 상단 에지에 밀착되고, 제2 클램핑 블록의 하단면은 제1 클램핑 블록의 상단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의 하단면은 2개 장착홀의 하단 에지에 밀착된다.
펙 캡을 펙 바디 꼭대기단 개구에 삽입시켜, 펙 캡의 캡 커버 바닥면을 펙 바디의 꼭대기단 에지에 밀착시킨다. 펙 캡의 클램핑 파이프와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의 제2 클램핑 블록은 맞닿아 연결된다.
펙 바디를 도치시킨다. 펙 바디 바닥단 개구로부터 펙 캡 방향으로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다. 정치하여 기다리거나 가열하여 경화형 접착제를 제1 클램핑 블록과 제2 클램핑 블록의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제1 클램핑 블록과 제2 클램핑 블록의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펙 캡, 펙 바디 내벽, 제1 클램핑 블록, 제2 클램핑 블록 및 장착홀을 모두 일체로 접착 연결한다.
계속해서 펙 바디에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다. 펙 헤드의 돌출 블록을 펙 바디 바닥단 일측 클램핑홈으로부터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로 미끄러지도록 넣고, 대향측의 클램핑홈으로 미끄러지도록 넣는다.
펙 바디를 바로 세운다.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경화형 접착제를 펙 바디 바닥부로 환류시킨다. 또한 펙 헤드 돌출 블록 및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 바닥부 내벽에 주입한다. 정치시켜 기다리거나 가열하여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 중 바닥부의 경화형 접착제를 돌출 블록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펙 헤드 돌출 블록의 부피를 증가시켜 클램핑홈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펙 헤드와 클램핑홈은 일체로 접착 연결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본 텐트 펙의 펙 바디,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및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탄소 섬유 재료로 제조되며, 펙 캡과 펙 헤드는 초경합금으로 제조된다. 탄소 섬유 재료로 제조한 펙 바디,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및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전체 펙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초경합금 재료로 제조한 펙 캡과 펙 헤드는 펙의 바닥부와 꼭대기부 경도를 높여 펙의 실용성, 내충격성 및 관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펙 바디 꼭대기단에는 대향 설치된 장착홀이 개설된다. 서로 클램핑시키고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는 방식을 통해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제2 미끄럼 방지 후크 및 펙 캡을 고정한다. 펙 캡과 펙 바디 상단 에지는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와 밀착된다.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제2 미끄럼 방지 후크 및 펙 바디 사이는 서로 밀착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펙 캡이 펙 바디 꼭대기부 에지에 가하는 압력을 분담시킬 수 있다. 이는 미끄럼 방지 후크 사이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펙 바디 및 펙 캡이 수직 방향 외력을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펙 바디 바닥단 양측에 위가 크고 아래가 작은 형상의 클램핑홈을 개설하고, 펙 헤드 돌출 블록의 형상을 클램핑홈과 매칭시켜 펙 헤드를 수직 방향을 따라 클램핑홈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는 방식을 통해 펙 헤드와 펙 바디를 일체로 고정 연결한다.
경화형 접착제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를 선택한다. 탄소 섬유 자체가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기 때문에, 에폭시 수지를 주입한 후에는 이 둘의 접합성이 매우 높아져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경화형 접착제의 적용은 접착제뿐만 아니라 주입하는 방식을 통해 접착제를 제1 클램핑 블록, 제2 클램핑 블록 및 펙 헤드 돌출 블록의 표면에 경화시키는 것이다. 이는 상기 3가지 부재의 부피를 증가시켜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성하여 펙 바디 파이프 내에 클램핑시킨다. 또한 경화형 접착제는 경화된 후 클램핑 지점의 틈새를 채워 제품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하기와 같은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텐트 펙은 파이프형 탄소 섬유 펙 바디에 미끄럼 방지 후크를 설치하는 새로운 구상을 제공하였다. 펙 바디 꼭대기단의 양측에 장착홀이 개설된다.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펙 바디 양측의 장착홀을 따라 펙 바디에 삽입된 후 서로 클램핑된다. 그 후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펙 바디 내 제1 클램핑 블록과 제2 클램핑 블록의 부피를 증가시켜 잠금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펙 캡과 일체로 연결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펙 캡이 펙 바디 꼭대기부 에지에 가하는 압력을 분담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및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와 펙 바디 사이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펙 바디 및 펙 캡이 수직 방향 외력을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펙 헤드와 펙 바디 사이는 독특한 연결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본 텐트 펙의 펙 헤드가 견고해지고 내구성이 생기므로 쉽게 탈락하지 않는다. 따라서 펙의 사용 수명이 크게 연장되었다. 일반적인 파이프형 탄소 섬유와 알루미늄 합금 복합 펙은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에 원기둥형 부재 금속 헤드를 간단히 접착시킨다. 장기간 힘을 받게 되면 접착제가 파열되거나 노화되어 금속 헤드가 쉽게 탈락한다. 또는 이러한 펙을 비교적 단단한 지면에 삽입할 경우, 금속 헤드가 흙의 압력에 의해 지면 아래에 끼이기 때문에 펙을 강제적으로 뽑게 되면 접착층이 당겨지면서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이 역시 금속 헤드를 탈락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펙 헤드는 펙 바디 측면으로부터 돌출 블록을 펙 바디로 미끄러지도록 넣을 수만 있으며, 수직 방향의 인장력은 펙 헤드를 클램핑홈으로부터 당길 수 없다. 또한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펙 헤드의 펙 바디 내에 위치하는 돌출 블록과 일체로 연결하여 돌출 블록의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돌출 블록을 펙 바디 바닥단의 클램핑홈 내에 단단히 클램핑시키므로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본 발명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 펙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펙 캡, 펙 바디 및 펙 헤드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가 펙 바디에 장착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펙 헤드가 펙 바디에 장착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펙 캡, 2는 펙 바디, 3은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4는 제2 미끄럼 방지 후크, 5는 펙 헤드, 6은 장착홀, 7은 클램핑홈, 8은 제1 후크 바디, 9는 제1 클램핑 블록, 10은 제1 위치제한 블록, 11은 제1 오목홈, 12는 제1 후크 풋, 13은 제2 후크 바디, 14는 제2 클램핑 블록, 15는 제2 위치제한 블록, 16은 제2 오목홈, 17은 제2 후크 풋, 18은 내부홈 구간, 19는 개구 구간, 20은 돌출 블록, 21은 기둥 바디, 22는 팁, 23은 캡 커버, 24는 클램핑 파이프, 25는 경화형 접착제층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텐트 펙은 펙 캡(1), 펙 바디(2),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 및 펙 헤드(5)를 포함한다. 상기 펙 바디(2) 양단에는 개구가 있고 내부는 비어 있다. 상기 펙 바디(2) 꼭대기단의 양측에는 대향하는 장착홀(6)이 개설된다. 상기 장착홀(6)과 펙 바디(2)의 꼭대기단 개구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상기 펙 바디(2) 바닥단의 양측에는 대향하는 클램핑홈(7)이 개설된다. 상기 클램핑홈(7)의 개구단은 펙 바디(2)의 바닥단 개구와 동일한 평면에 있다.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는 각각 펙 바디(2)의 양측에 위치한다. 순차적으로 2개의 대향하는 장착홀(6)을 관통한 후 서로 클램핑된다. 상기 펙 캡(1)은 펙 바디(2) 꼭대기단 개구에 버클링된다. 상기 펙 헤드(5)는 클램핑홈(7)을 통해 펙 바디(2)의 바닥단에 장착된다. 상기 펙 바디(2)의 양단에 경화형 접착제층(25)을 부어 접착제층(25)을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의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 및 펙 헤드(5)의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3가지 부재의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6) 및 클램핑홈(7)의 개구보다 크게 만든다. 따라서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로부터 미끄러져 나올 수 없게 된다. 경화형 접착제층(25)을 설치함으로써, 펙 캡(1)과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의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를 일체로 연결한다. 경화형 접착제는 실온에서 또는 가열 후 경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접착제를 말한다. 예를 들어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있다.
상기 펙 바디(2)는 양단에 개구가 있는 원통형이다. 장착홀(6)과 클램핑홈(7) 설계를 통해,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 펙 캡(1) 및 펙 헤드(5)를 펙 바디에 장착한다.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의 양단에 경화형 접착제를 붓고 실온에서 또는 가열하여 경화 반응을 일으켜 경화형 접착제를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의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 및 펙 헤드(5)의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3가지 부재의 부피를 증가시켜 미끄럼 방지 구조를 형성하며, 펙 바디(2) 꼭대기단 장착홀(6), 펙 바디(2) 바닥단 클램핑홈(7)을 단단히 고정된 일체로 연결한다. 이는 펙 전체의 견고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는 제1 후크 바디(8), 제1 클램핑 블록(9), 제1 위치제한 블록(10) 및 제1 후크 풋(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9)은 제1 후크 바디(8)에서 펙 바디(2) 일단에 가까운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위치제한 블록(10)은 제1 후크 바디(8)에서 펙 바디(2) 일단에 가까운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후크 바디(8)에서 펙 바디(2)에 가까운 일단에는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에 대응하는 제1 오목홈(11)이 개설된다. 상기 제1 오목홈(11)은 제1 클램핑 블록(9)과 제1 위치제한 블록(1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9)은 순차적으로 2개의 장착홀(6)을 관통한 후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와 클램핑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9)의 상단면은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제2 클램핑 블록(14)과 밀착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9)의 하단면은 2개 장착홀(6)의 하부 에지와 밀착된다. 상기 제1 위치제한 블록(10)은 그와 가까운 장착홀(6) 상방의 펙 바디(2)와 맞닿아 연결된다. 상기 펙 바디(2)의 꼭대기단에는 경화형 접착제층(25)을 설치하며, 접착제층(25)을 제1 클램핑 블록(9)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의 표면에 경화시켜 단단히 부착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2가지 부재의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6)의 개구보다 크게 만들어 장착홀(6)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상기 제1 후크 풋(12)은 제1 후크 바디(8)에서 펙 바디(2)로부터 먼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후크 풋은 펙 바디(2)를 향한다.
상기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는 제2 후크 바디(13), 제2 클램핑 블록(14), 제2 위치제한 블록(15) 및 제2 후크 풋(17)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위치제한 블록(15)은 제2 후크 바디(13)에서 펙 바디(2) 일단에 가까운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클램핑 블록(14)은 제2 위치제한 블록(15)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후크 바디(13)에서 펙 바디(2)에 가까운 일단에는 제1 클램핑 블록(9)에 대응하는 제2 오목홈(16)이 개설된다. 상기 제2 오목홈(16)은 제2 클램핑 블록(14)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클램핑 블록(14)은 순차적으로 2개의 장착홀(6)을 관통한 후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의 제1 오목홈(11)과 접촉한다. 제2 오목홈(16)은 제1 클램핑 블록(9)과 접촉되어,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를 서로 클램핑시킨다. 상기 제2 클램핑 블록(14)의 상단면은 2개 장착홀(6)의 상부 에지와 밀착된다. 상기 제2 클램핑 블록(14)의 하단면은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와 밀착된다. 상기 제2 위치제한 블록(15)은 그와 가까운 장착홀(6) 상방의 펙 바디(2)와 맞닿아 연결된다. 상기 펙 캡(1)의 바닥단은 제2 클램핑 블록(14)과 맞닿아 연결된다. 상기 펙 바디(2)의 꼭대기단에 경화형 접착제층(25)을 설치하고, 접착제층(25)을 제2 클램핑 블록(14)과 제1 클램핑 블록(9)의 표면에 경화시켜 단단히 부착한다. 이를 통해 상기 2가지 부재의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6)의 개구보다 크게 만들고 장착홀(6)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상기 제2 후크 풋(17)은 상기 제2 후크 바디(13)에서 펙 바디(2)의 일단에 장착하며, 상기 제2 후크 풋은 펙 바디(2)를 향한다.
본 실시예의 장착홀은 사각홀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사각홀의 네 모서리를 둥근 모서리로 만들 수 있다. 제1 후크 바디(8)와 제2 후크 바디(13)는 모두 개구가 아래를 향한 원호형이며, 윈드 로프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1 클램핑 블록(9)과 제2 클램핑 블록(14)의 길이는 모두 펙 바디의 외경보다 크다. 따라서 2개의 클램핑 블록이 대응하는 장착홀로 관통하여 들어간 후 완전히 다른 장착홀로부터 관통하여 나와 상응하는 오목홈과 클램핑되도록 만들 수 있다. 장착홀(6)의 폭은 제1 클램핑 블록(9)과 제2 클램핑 블록(14)의 폭과 매칭된다. 장착홀(6)의 높이는 제1 클램핑 블록(9) 및 제2 클램핑 블록(14)과 중첩된 후의 높이와 매칭된다. 이러한 설치를 통해 제1 클램핑 블록(9)과 제2 클램핑 블록(14)이 장착홀(6)에 삽입된 후 회전하거나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만든다.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제1 클램핑 블록(9)과 제2 클램핑 블록(14)은 경화형 접착제(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를 부어 경화시킨 후 부피가 커진다. 펙 바디(2) 장착홀(6)의 크기는 변하지 않으므로,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를 펙 바디(2) 양측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2개 미끄럼 방지 후크가 사용 과정에서 받은 외력이 펙 바디 양측 장착홀의 에지로 분담되므로, 견고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펙의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제1 위치제한 블록(10)과 제2 위치제한 블록(15) 설치를 통해 제1 클램핑 블록(9)과 제2 클램핑 블록(14)이 계속해서 장착홀로 관통하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 클램핑 블록의 연장 거리를 2개 오목홈과 매칭시켜 펙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후크 풋(12)과 제2 후크 풋(17)의 설치를 통해 사용 과정에서 윈드 로프 등 연결물이 미끄럼 방지 후크로부터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홈(7)은 서로 연결된 내부홈 구간(18)과 개구 구간(19)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 구간(19)은 펙 바디(2) 바닥단의 개구단과 동일한 평면에 있다. 상기 내부홈 구간(18)의 폭은 개구 구간(19)의 폭보다 크다. 본 실시예의 클램핑홈(7)은 도치된 계단 형상이다. 구체적인 사용에서 클램핑홈(7)은 도치된 "凸"자형 등 기타 개구 구간(19)이 내부홈 구간(18)보다 작은 형상으로, 펙 헤드(5)가 수직 방향을 따라 클램핑홈(7)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펙 헤드(5)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돌출 블록(20), 기둥 바디(21) 및 팁(22)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 블록(20)의 형상은 클램핑홈(7)과 매칭되며, 전체적으로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구조를 나타낸다. 펙 헤드(5)의 돌출 블록(20)은 일측의 클램핑홈(7)에서 펙 바디(2)의 파이프 캐비티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며, 펙 바디(2) 타측의 클램핑홈(7)으로 진입한다. 동시에 펙 바디(2) 바닥부 에지는 펙 헤드(5)의 기둥 바디(21) 꼭대기단에 밀착된다. 펙 바디(2) 바닥단의 클램핑홈(7)은 위가 크고 아래가 작은 구조이며, 펙 헤드(5)의 돌출 블록(20)도 마찬가지로 위가 크고 아래가 작은 구조이다. 따라서 펙 헤드(5)는 직립 상태에서는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로부터 미끄러져 나올 수 없다. 펙 바디(2) 내부와 돌출 블록(20)이 교접된 파이프 내 공간에 경화형 접착제층(25)(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층)을 설치한다. 경화형 접착제층(25)은 돌출 블록(20)의 표면에 단단히 접착되어, 돌출 블록(20)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파이프 캐비티 내의 돌출 블록(20)의 폭이 펙 바디 바닥단 양측 클램핑홈(7)의 폭보다 크게 만들어, 돌출 블록(20)이 클램핑홈(7)에서 미끄러져 나오지 않고 클램핑홈(7)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만든다. 이러한 독특한 설계는 펙 헤드(5)를 펙 바디(2) 하방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각 방향에서 받는 비교적 큰 작용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펙의 안정성과 사용 수명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 블록(20)의 양측면은 원호 곡면이다. 이는 펙 헤드(5)의 돌출 블록(20)을 클램핑홈(7)에 클램핑된 후 펙 바디(2)와 하나의 완전한 원기둥 곡면을 형성하도록 만든다. 상기 팁(22)은 원추형이며, 상기 기둥 바디(21)는 원기둥형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펙 캡(1)은 캡 커버(23) 및 원통형의 클램핑 파이프(24)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파이프(24)는 캡 커버(23)의 바닥단에 장착된다. 상기 캡 커버(23)의 직경은 펙 바디(2) 외경보다 약간 크다. 상기 클램핑 파이프(24)의 외경은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상기 캡 커버(23)의 하부 에지는 펙 바디(2)의 꼭대기단 개구의 상부 에지에 밀착된다. 상기 클램핑 파이프(24)의 바닥단은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의 제2 클램핑 블록(14)과 맞닿아 연결된다. 캡 커버(23) 꼭대기면은 원호아치 곡면 또는 평면으로 타격하기가 용이하다. 경화형 접착제층(25) 설치를 통해, 클램핑 파이프(24)를 제2 클램핑 블록(14), 제1 클램핑 블록(9) 및 펙 바디(2)와 일체로 연결한다. 외력이 펙 캡(1)에 가해질 경우, 캡 커버(23)가 견디는 펙 바디(2) 방향에 수직인 압력은 동시에 펙 바디(2) 꼭대기단의 측변과 2개 미끄럼 방지 후크의 클램핑 블록 상에 분담된다. 2개 클램핑 블록은 다시 장착홀(6)의 에지와 밀착되기 때문에, 클램핑 블록이 견디는 외력은 장착홀(6) 에지를 통해 펙 바디(2)로 전달되어 되돌아간다. 이러한 설치를 의해 펙 캡(1)이 견디는 압력은 펙 바디(2) 꼭대기 에지와 2개 미끄럼 방지 후크의 클램핑 블록으로 분담된다. 이는 일반적인 펙 캡(1)에 비해 힘을 받는 지점이 2개가 더 많아 펙 캡(1)이 견디는 압력을 분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체 펙이 힘을 받는 구조를 개선하여 더욱 가볍고 얇은 펙 바디(2)를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펙 바디(2)는 탄소 섬유 파이프를 가공하여 제조한다.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는 탄소 섬유판을 전단하여 제조한다. 상기 펙 캡(1)은 스테인리스강 재료 또는 기타 초경합금 재료로 제조한다. 상기 펙 헤드(5)는 아연 합금 또는 기타 초경합금 재료로 제조한다. 펙 바디(2),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 및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는 모두 탄소 섬유 재료로 제조한다. 펙 캡(1)과 펙 헤드(5)는 모두 초경합금 재료로 제조한다. 이러한 설치는 펙의 중량을 비교적 가볍게 만들면서도(중량이 6g에 불과하며, 일반적인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 등 재질의 경량화 펙에 비해 40% 가볍고, 철 재질의 일반 펙에 비해 80% 가벼움) 견고하고 내구성 있도록 만들어 준다. 순수 탄소 섬유 펙 또는 일반적인 알루미늄 금속 헤드 펙은 꼭대기부를 직접 타격할 수 없으므로, 동토 또는 모래 자갈이 비교적 많은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본 펙은 꼭대기부에 외력을 가해 타격할 수 있으며, 동시에 펙 헤드(5) 경도가 비교적 높아 동토와 모래 자갈이 비교적 많은 지면에 쉽게 침투할 수 있다.
텐트 펙의 가공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탄소 섬유 파이프를 전단하여 펙 바디(2)를 획득한다.
탄소 섬유판을 전단하여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를 획득한다.
주조 또는 선반 전단을 통해 펙 헤드(5)와 펙 캡(1)을 획득한다.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의 제1 클램핑 블록(9)을 펙 바디(2)의 한 장착홀(6)에 관통하여 넣고 대향하는 장착홀(6)로부터 관통하여 꺼낸다.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의 제2 클램핑 블록(14)을 펙 바디(2)의 다른 장착홀(6)에 관통하여 넣고 대향하는 장착홀(6)로부터 관통하여 꺼낸다. 이를 통해 제1 미끄럼 방지 후크(3)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4)를 각각 펙 바디(2) 양측에 위치시킨다. 제1 클램핑 블록(9)과 제2 오목홈(16)을 클램핑시키고, 제2 클램핑 블록(14)과 제1 오목홈(11)을 클램핑시킨다. 제2 클램핑 블록(14)의 상단면은 2개 장착홀(6)의 상단 에지에 밀착되고, 제2 클램핑 블록(14)의 하단면은 제1 클램핑 블록(9)의 상단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 클램핑 블록(9)의 하단면은 2개 장착홀(6)의 하단 에지에 밀착된다.
펙 캡(1)을 펙 바디(2) 꼭대기단 개구에 삽입시켜, 펙 캡(1)의 캡 커버(23) 바닥면을 펙 바디(2)의 꼭대기단 에지에 밀착시킨다. 펙 캡(1)의 클램핑 파이프(24)와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의 제2 클램핑 블록(14)은 맞닿아 연결된다.
펙 바디(2)를 도치시킨다. 펙 바디(2) 바닥단 개구로부터 펙 캡(1) 방향으로 경화되지 않은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다. 정치하여 기다리거나 가열하여 접착제를 제1 클램핑 블록(9)과 제2 클램핑 블록(14)의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제1 클램핑 블록(9)과 제2 클램핑 블록(14)의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6)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펙 캡(1), 펙 바디(2) 내벽, 제1 클램핑 블록(9), 제2 클램핑 블록(14) 및 장착홀(6)을 모두 일체로 접착 연결한다.
계속해서 펙 바디(2)에 경화되지 않은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한다. 펙 헤드(5)의 돌출 블록(20)을 펙 바디(2) 바닥단 일측 클램핑홈(7)으로부터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로 미끄러지도록 넣고, 대향측의 클램핑홈(7)으로 미끄러지도록 넣는다.
펙 바디(2)를 바로 세운다.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접착제를 펙 바디(2) 바닥부으로 환류시킨다. 또한 펙 헤드(5) 돌출 블록(20) 및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 바닥부 내벽에 주입한다. 정치시켜 기다리거나 가열하여 펙 바디(2) 파이프 캐비티 중 바닥부의 접착제를 펙 헤드(5) 돌출 블록(20) 표면에 경화시킨다. 이를 통해 펙 헤드(5) 돌출 블록(20)의 부피를 증가시켜 클램핑홈(7)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든다. 펙 헤드(5)는 클램핑홈(7) 및 펙 바디(2) 바닥부와 일체로 접착 연결된다.
본 텐트 펙은 가공하여 완성된다.
본 펙 가공 과정에서 펙 캡,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및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와 펙 헤드의 장착 순서 및 에폭시 수지 주입의 순서와 서로 호환할 수 있다.
가공 과정에서 경화형 접착제는 탄소 섬유 재료의 특성 때문에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경화형 접착제는 접착의 역할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경화 반응을 통해 제1 클램핑 블록(9), 제2 클램핑 블록(14) 및 펙 헤드(5)의 돌출 블록(20)의 부피를 증가시켜 펙 바디(2)와 클램핑시킴으로써 펙 전체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에 위배되지 않는 기타 모든 변경 또는 기타 등가의 치환 방식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텐트 펙에 있어서,
    펙 캡, 펙 바디,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제2 미끄럼 방지 후크 및 펙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펙 바디 양단에는 개구가 있고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기 펙 바디 꼭대기단의 양측에는 대향하는 장착홀이 개설되고, 상기 장착홀과 펙 바디의 꼭대기단 개구 사이에는 간격이 있고, 상기 펙 바디 바닥단의 양측에는 대향하는 클램핑홈이 개설되고, 상기 클램핑홈의 개구단은 펙 바디의 바닥단 개구와 동일한 평면에 있고,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각각 펙 바디의 양측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2개의 대향하는 장착홀을 관통한 후 서로 클램핑되고, 상기 펙 캡은 펙 바디 꼭대기단 개구에 버클링되고, 상기 펙 헤드는 클램핑홈을 통해 펙 바디의 바닥단에 장착되고, 상기 펙 바디의 양단에 경화형 접착제층을 부어 접착제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의 제1 미끄럼 방지 후크, 제2 미끄럼 방지 후크 및 펙 헤드의 표면에 경화시킴으로써, 그 부피를 증가시켜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들고, 펙 캡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 중의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펙 캡은 캡 커버와 클램핑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파이프는 캡 커버의 바닥단에 장착되고, 상기 캡 커버의 직경은 펙 바디 외경보다 약간 크고,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외경은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의 내경보다 약간 작고, 상기 캡 커버의 하부 에지는 펙 바디의 파이프벽 상부 에지에 밀착되고, 상기 클램핑 파이프의 바닥단은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 중의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와 맞닿아 연결되고, 상기 펙 바디는 탄소 섬유 파이프를 가공하여 제조하고,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탄소 섬유판을 전단하여 제조하고, 상기 펙 캡과 펙 헤드는 모두 초경합금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후크는 제1 후크 바디, 제1 클램핑 블록, 제1 위치제한 블록 및 제1 후크 풋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핑 블록은 제1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 일단에 가까운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위치제한 블록은 제1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 일단에 가까운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에 가까운 일단에는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에 대응하는 제1 오목홈이 개설되고, 상기 제1 오목홈은 제1 클램핑 블록과 제1 위치제한 블록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클램핑 블록은 순차적으로 2개의 장착홀을 관통한 후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와 클램핑되고, 상기 제1 클램핑 블록의 상단면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와 밀착되고, 상기 제1 클램핑 블록의 하단면은 2개 장착홀의 하부 에지와 밀착되고, 상기 제1 위치제한 블록은 그와 가까운 장착홀 상방의 펙 바디와 맞닿아 연결되고, 상기 펙 바디의 꼭대기단에는 경화형 접착제층을 부어, 접착제를 제1 클램핑 블록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의 표면에 경화시킴으로써, 그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들고, 상기 제1 후크 풋은 제1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로부터 먼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후크 풋은 펙 바디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는 제2 후크 바디, 제2 클램핑 블록, 제2 위치제한 블록 및 제2 후크 풋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제한 블록은 제2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 일단에 가까운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은 제2 위치제한 블록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에 가까운 일단에는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에 대응하는 제2 오목홈이 개설되고, 상기 제2 오목홈은 제2 클램핑 블록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은 순차적으로 2개의 장착홀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오목홈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오목홈은 상기 제1 클램핑 블록과 접촉되어,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를 서로 클램핑시키고,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의 상단면은 2개 장착홀의 상부 에지와 밀착되고,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의 하단면은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밀착되고, 상기 제2 위치제한 블록은 그와 가까운 장착홀 상방의 펙 바디와 맞닿아 연결되고, 상기 펙 캡의 바닥단은 제2 클램핑 블록과 맞닿아 연결되고, 상기 펙 바디의 꼭대기단에 경화형 접착제층을 부어, 접착제를 제2 클램핑 블록과,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의 표면에 경화시킴으로써, 그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들고, 상기 제2 후크 풋은 제2 후크 바디에서 펙 바디로부터 먼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후크 풋은 펙 바디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홈은 서로 연결된 내부홈 구간과 개구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 구간은 펙 바디 바닥단의 개구단과 동일한 평면에 있고, 상기 내부홈 구간의 폭은 개구 구간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펙.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펙 헤드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돌출 블록, 기둥 바디 및 팁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블록의 형상은 클램핑홈과 매칭되며 2개 클램핑홈에 위치하고, 상기 펙 바디의 바닥단에는 경화형 접착제층을 부어 접착제를 돌출 블록의 표면에 경화시켜 그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클램핑홈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펙.
  6. 제3항에 따른 텐트 펙의 가공 방법에 있어서,
    탄소 섬유 파이프를 전단하여 펙 바디를 획득하는 단계;
    탄소 섬유판을 전단하여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를 획득하는 단계;
    주조 또는 선반 전단을 통해 펙 헤드와 펙 캡을 획득하는 단계;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의 제1 클램핑 블록을 펙 바디의 한 장착홀에 관통하여 넣고 대향하는 장착홀로부터 관통하여 꺼내며, 제2 미끄럼 방지 후크의 제2 클램핑 블록을 펙 바디의 다른 장착홀에 관통하여 넣고 대향하는 장착홀로부터 관통하여 꺼내어, 제1 미끄럼 방지 후크와 제2 미끄럼 방지 후크를 각각 펙 바디 양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클램핑 블록과 상기 제2 오목홈을 클램핑시키고, 상기 제2 클램핑 블록과 상기 제1 오목홈을 클램핑시키고, 제2 클램핑 블록의 상단면은 2개 장착홀의 상단 에지에 밀착되고, 제2 클램핑 블록의 하단면은 제1 클램핑 블록의 상단면에 밀착되고, 제1 클램핑 블록의 하단면은 2개 장착홀의 하단 에지에 밀착되는 단계;
    펙 캡을 펙 바디 꼭대기단 개구에 삽입시켜, 펙 캡의 캡 커버 바닥면을 펙 바디의 꼭대기단 에지에 밀착시키고, 펙 캡의 클램핑 파이프와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의 제2 클램핑 블록이 맞닿아 연결되는 단계;
    펙 바디를 도치시키고, 펙 바디 바닥단 개구로부터 펙 캡 방향으로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고, 정치하여 기다리거나 가열하여 경화형 접착제를 제1 클램핑 블록과 제2 클램핑 블록의 표면에 경화시킴으로써, 제1 클램핑 블록과 제2 클램핑 블록의 부피를 증가시켜, 장착홀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들며, 펙 캡, 펙 바디 내벽, 제1 클램핑 블록, 제2 클램핑 블록 및 장착홀을 모두 일체로 접착 연결하는 단계;
    계속해서 펙 바디에 경화형 접착제를 주입하고, 펙 헤드의 돌출 블록을 펙 바디 바닥단 일측 클램핑홈으로부터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로 미끄러지도록 넣고, 대향측의 클램핑홈으로 미끄러지도록 넣는 단계; 및
    펙 바디를 바로 세워,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에 위치하는 경화형 접착제를 펙 바디 바닥부로 환류시키고, 펙 헤드 돌출 블록 및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 바닥부 내벽에 주입하며, 정치시켜 기다리거나 가열하여 펙 바디 파이프 캐비티 중 바닥부의 경화형 접착제를 돌출 블록 표면에 경화시킴으로써, 펙 헤드 돌출 블록의 부피를 증가시켜 클램핑홈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만들고, 펙 헤드와 클램핑홈을 일체로 접착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펙의 가공 방법.
KR1020210086844A 2020-07-06 2021-07-02 텐트 펙 및 이의 가공 방법 KR102602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38833.6A CN111677366A (zh) 2020-07-06 2020-07-06 一种帐篷地钉及其加工方法
CN202010638833.6 2020-07-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400A KR20220005400A (ko) 2022-01-13
KR102602215B1 true KR102602215B1 (ko) 2023-11-15

Family

ID=7243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844A KR102602215B1 (ko) 2020-07-06 2021-07-02 텐트 펙 및 이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51904B2 (ko)
JP (1) JP7161714B2 (ko)
KR (1) KR102602215B1 (ko)
CN (1) CN111677366A (ko)
AU (1) AU2021204699B2 (ko)
CA (1) CA3123669A1 (ko)
GB (1) GB26002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3304S (en) * 2020-10-07 2022-04-13 Michael Richard Dean Outer body for forming an anchor peg for tent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917977A (en) * 1909-08-04 1910-07-14 William Macdonald Mackintosh Improvements in Picketing Pegs, Hoof Pegs, Tent Pegs, and the like.
JPS5023128U (ko) * 1973-06-27 1975-03-15
JPS57189426U (ko) * 1981-05-28 1982-12-01
US5832672A (en) * 1997-03-31 1998-11-10 Griffiths; Scott Beach blanket anchoring device
US7302904B2 (en) * 1997-09-01 2007-12-04 Peter Robert Burns Ground anchors with compression plates
JP3937366B2 (ja) * 1998-01-20 2007-06-27 信司 酒井 ペグの着脱補助具
US20040099300A1 (en) * 2002-11-26 2004-05-27 Warren Bruce A. Tent stake
KR20120008037U (ko) * 2011-05-17 2012-11-27 우현아 텐트설치용 팩
US8800578B2 (en) * 2012-07-12 2014-08-12 Donald William Jackson Ice rescue walking staff
GB2516970A (en) * 2013-08-09 2015-02-11 Tentiq Ltd Push-in fastener system, handle and method
WO2015027318A1 (en) * 2013-08-29 2015-03-05 Mondi Products Ltd. Modular plant support poles
US20190380282A1 (en) * 2018-06-15 2019-12-19 Samir Burshan Ground Stake Kit
CN109577738B (zh) * 2019-01-18 2023-11-21 广州经意铸伟五金有限公司 一种地钉及其加工方法
CN209509649U (zh) * 2019-01-18 2019-10-18 广州经意铸伟五金有限公司 一种地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600211B (en) 2023-01-04
GB2600211A (en) 2022-04-27
JP7161714B2 (ja) 2022-10-27
CA3123669A1 (en) 2022-01-06
JP2022014445A (ja) 2022-01-19
US20220003018A1 (en) 2022-01-06
GB202109475D0 (en) 2021-08-11
KR20220005400A (ko) 2022-01-13
AU2021204699A1 (en) 2022-01-20
AU2021204699B2 (en) 2022-04-28
CN111677366A (zh) 2020-09-18
US11851904B2 (en)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215B1 (ko) 텐트 펙 및 이의 가공 방법
JPH09511803A (ja) 高断熱性を有するコネクタロッド並びにその製造法及び高断熱性複合壁への応用
RU2494778C2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от падения
JP3272839B2 (ja) 接合用治具
US9834922B2 (en) Embedded dowel inserts
KR101465514B1 (ko) 철근 이음용 슬리브
US4483904A (en) Connecting fibre reinforced pultrusions
KR100791263B1 (ko) 볼트식 파일캡 및 이의 제조방법
CN212271787U (zh) 一种帐篷地钉
KR1015468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공법
JPH0438354A (ja) Frpロッドの緊張方法
JPH11172781A (ja) 仕口連結具及び装置
JP2002030763A (ja) 鉄筋の継手構造
JPH09144338A (ja)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補強工法
KR101681605B1 (ko) 목재 결합구조
CA1040420A (en) Shoe support
CN211523778U (zh) 一种用于frp筋材的多角度连接器
KR200452154Y1 (ko) 벽체 배수판의 지지발
KR20040017591A (ko) 사면보강공법
JP2004316137A (ja) 補強構造物
JPS60133118A (ja) アンカ−工法
RU2001103427A (ru) Заклепк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еразъемного заклепоч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JP4849423B2 (ja) 鉄筋補助具
CN117328614A (zh) 一种装配式frp构件的连接装置及装配方法
KR200366038Y1 (ko) 콘크리트 파일의 캡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