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093B1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 Google Patents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2093B1 KR102602093B1 KR1020207010421A KR20207010421A KR102602093B1 KR 102602093 B1 KR102602093 B1 KR 102602093B1 KR 1020207010421 A KR1020207010421 A KR 1020207010421A KR 20207010421 A KR20207010421 A KR 20207010421A KR 102602093 B1 KR102602093 B1 KR 1026020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thickness
- film roll
- heat
- less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6267 polyester film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SLCVBVWXLSEKPL-UHFFFAOYSA-N neopentyl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C)CO SLCVBVWXLSEKP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LLLVZDVNHNWSDS-UHFFFAOYSA-N 4-methylidene-3,5-dioxabicyclo[5.2.2]undeca-1(9),7,10-triene-2,6-dione Chemical compound C1(C2=CC=C(C(=O)OC(=C)O1)C=C2)=O LLLVZDVNHNWSD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1 aromatic di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6257 Heat-shrinkable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2009 di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QQVIHTHCMHWDBS-UHFFFAOYSA-N iso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QQVIHTHCMHWD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CXMXRPHRNRROMY-UHFFFAOYSA-N sebac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CCC(O)=O CXMXRPHRNRR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YIMQCDZDWXUDCA-UHFFFAOYSA-N [4-(hydroxymethyl)cyclohexyl]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1CCC(CO)CC1 YIMQCDZDWXUD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KKEYFWRCBNTPAC-UHFFFAOYSA-N Tere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NLRTRBMVRJNCN-UHFFFAOYSA-N adip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O)=O WNLRTRBMVRJN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FOBLEOULBTSOW-UHFFFAOYSA-N Mal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CDQSJQSWAWPGKG-UHFFFAOYSA-N butane-1,1-diol Chemical compound CCCC(O)O CDQSJQSWAWPGK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86 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ACCCMOQWYVYDOT-UHFFFAOYSA-N hexane-1,1-diol Chemical compound CCCCCC(O)O ACCCMOQWYVYDO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68 polyconden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61 adip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37 adip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ADCOVFLJGNWWNZ-UHFFFAOYSA-N antimony trioxide Chemical compound O=[Sb]O[Sb]=O ADCOVFLJGNWWN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WERYXYBDKMZEQL-UHFFFAOYSA-N butane-1,4-diol Chemical compound OCCCCO WERYXYBDKMZE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35 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DJRBEYXGGNYIS-UHFFFAOYSA-N non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CC(O)=O BDJRBEYXGGNY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ULWHHBHJGPPBCO-UHFFFAOYSA-N propane-1,1-diol Chemical compound CCC(O)O ULWHHBHJGPPB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YIDZMCFTVVTJO-UHFFFAOYSA-N pyromelli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O)=C(C(O)=O)C=C1C(O)=O CYIDZMCFTVVT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RCGXLSVLAOJQL-UHFFFAOYSA-N trimelli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O)=O)=C1 ARCGXLSVLAOJQ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NIAPMSPPWPWGF-VKHMYHEA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H](O)CO DNIAPMSPPWPWGF-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YPFDHNVEDLHUCE-UHFFFAOYSA-N 1,3-propanediol Substances OCCCO YPFDHNVEDLHU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XGZQGDTEZPERC-UHFFFAOYSA-N 1,4-cyclohexane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PXGZQGDTEZPER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GUFODBRKLSHSI-UHFFFAOYSA-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Chemical compound O1C2=CC(Cl)=C(Cl)C=C2OC2=C1C=C(Cl)C(Cl)=C2 HGUFODBRKLSHS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SKYSDCYIODJPC-UHFFFAOYSA-N 2-butyl-2-eth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 DSKYSDCYIODJ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VOISBSEMFDYNE-UHFFFAOYSA-N 2-propan-2-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CC(C)C(CO)CO VVOISBSEMFDYN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MHLLURERBWHNL-UHFFFAOYSA-M Sod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 VMHLLURERBWHN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ZJCCRDAZUWHFQH-UHFFFAOYSA-N Trimethylolpropane Chemical compound CCC(CO)(CO)CO ZJCCRDAZUWHF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24 Wisteria floribun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RLQHILJRHBSAY-UHFFFAOYSA-N [1-(hydroxymethyl)cyclohexyl]methanol Chemical compound OCC1(CO)CCCCC1 ORLQHILJRHBSA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064 anhyd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ISBACLAFKSPIT-UHFFFAOYSA-N bisphenol A Chemical compound C=1C=C(O)C=CC=1C(C)(C)C1=CC=C(O)C=C1 IISBACLAFKSP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1182 cobalt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QAHREYKOYSIQPH-UHFFFAOYSA-L cobalt(II) acetate Chemical compound [Co+2].CC([O-])=O.CC([O-])=O QAHREYKOYSIQPH-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VJGRFWVLROCEGS-UHFFFAOYSA-N cobalt;tetrahydrate Chemical compound O.O.O.O.[Co].[Co].[Co] VJGRFWVLROCE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51 coron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84 crystal nucle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5990 diglyce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GPLRAVKSCUXZTP-UHFFFAOYSA-N diglycerol Chemical compound OCC(O)COCC(O)CO GPLRAVKSCUXZ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XKDSDJJOVIHMX-UHFFFAOYSA-N edropho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N+](C)(C)C1=CC=CC(O)=C1 BXKDSDJJOVI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050 ester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0 heat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41 hydrogen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XCSERBJSXMMFS-UHFFFAOYSA-N hydrogen chloride Substances Cl.Cl IXCSERBJSXMMF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7 intermediat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EGPKNKPLBYCNK-UHFFFAOYSA-L magnes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Mg+2].CC([O-])=O.CC([O-])=O UEGPKNKPLBYCN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4 magnes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446 magnesium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85 magnes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DTGRQRFFKHYRJG-UHFFFAOYSA-N magnesium tetrahydrate Chemical compound O.O.O.O.[Mg+2] DTGRQRFFKHYRJ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08 n-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KYTZHLUVELPASH-UHFFFAOYSA-N naphthalene-1,2-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C2=C(C(O)=O)C(C(=O)O)=CC=C21 KYTZHLUVELPA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XOHFPCZGPKIRD-UHFFFAOYSA-N naphthalene-2,6-d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O)=O)C=CC2=CC(C(=O)O)=CC=C21 RXOHFPCZGPKI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EIJHBUUFURJLI-UHFFFAOYSA-N octane-1,8-di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O OEIJHBUUFURJL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NGIFLGASWRNHJ-UHFFFAOYSA-N 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XNGIFLGASWRNH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6 polytrimethylene 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RVCFZPJAHWYTB-UHFFFAOYSA-N prenderol Chemical compound CCC(CC)(CO)CO XRVCFZPJAHWY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6800 prend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0 shrink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2 sod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281 sod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09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VLBCYQITXONBZ-UHFFFAOYSA-N trimethyl phosphate Chemical compound COP(=O)(OC)OC WVLBCYQITXON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XJQHYBHAIHNGG-UHFFFAOYSA-N trimethylolethane Chemical compound OCC(C)(CO)CO QXJQHYBHAIHNG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28—Wound package of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 B29C55/08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in several stretching ste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9—Heat shrink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94—Geometrical properties
- B29K2995/0097—Thic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3—Thic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50—Timing
- B65H2513/52—Age; Duration; Life time or chronology of ev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40—Temperature; Thermal conductiv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호한 권취 특성, 특히 느슨함에 대해 양호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은 온탕 중 90℃·10초에서의 필름 주 수축방향의 수축률이 30% 이상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롤으로, 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필름 롤에 있어서, 아래 요건(1)∼(5)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필름 롤 권취 길이가 2,000 m 이상 25,000 m 이하
(2) 필름 롤 폭이 400 ㎜ 이상 2,500 ㎜ 이하
(3) 필름 두께가 5 ㎛ 이상 40 ㎛ 이하
(4) 필름 롤의 표층에 있어서의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 두께 패턴이 오목부가 되어 있는 개소를 갖고, 두께차가 가장 큰 오목부(최대 오목부)에 있어서, 그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차와 필름 평균 두께로부터 구한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이 10% 이하
(5) 필름 롤 표층의 권취 경도가 400 이상 800 이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은 온탕 중 90℃·10초에서의 필름 주 수축방향의 수축률이 30% 이상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롤으로, 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필름 롤에 있어서, 아래 요건(1)∼(5)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필름 롤 권취 길이가 2,000 m 이상 25,000 m 이하
(2) 필름 롤 폭이 400 ㎜ 이상 2,500 ㎜ 이하
(3) 필름 두께가 5 ㎛ 이상 40 ㎛ 이하
(4) 필름 롤의 표층에 있어서의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 두께 패턴이 오목부가 되어 있는 개소를 갖고, 두께차가 가장 큰 오목부(최대 오목부)에 있어서, 그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차와 필름 평균 두께로부터 구한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이 10% 이하
(5) 필름 롤 표층의 권취 경도가 400 이상 800 이하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필름 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 롤의 느슨함이 양호하여, 인쇄나 가공할 때의 손실이 적은 열수축성 필름 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리병이나 PET병 등의 보호와 상품의 표시를 겸한 라벨 포장, 캡실, 집적포장 등의 용도에,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소위, 열수축성 필름)이 광범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열수축성 필름 중, 폴리염화비닐계 필름은 내열성이 낮을 뿐 아니라, 소각 시에 염화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거나, 다이옥신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계 필름은 내용제성이 떨어져, 인쇄 시에 특수한 조성의 잉크를 사용해야만 할 뿐 아니라, 고온에서 소각할 필요가 있으며, 소각 시에 이상한 냄새를 수반하여 다량의 검은 연기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내열성이 높아 소각이 용이하며, 내용제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필름이 수축 라벨로서 광범하게 이용되어지고 있어, PET 용기의 유통량의 증대에 수반하여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경향에 있다.
또한, 열수축성 필름으로서는 라벨 제조 시의 취급 면에서, 일반적으로 폭방향으로 크게 수축시키는 것이 이용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가열 시에 폭방향으로의 충분한 수축력을 발현시키기 위해, 폭방향으로 고배율의 연신을 행함으로써 제조되고 있었다.
그런데, 열수축성 라벨은 최종적으로 쓰레기로서 폐기되는 경우가 많아, 환경 대응으로부터 박육화가 요구되고 있다.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강성이 떨어져 필름을 슬릿한 후의 필름 롤의 외관 불량이 생겨 문제가 드러난다. 이 때문에 필름 롤에 인쇄나 가공을 행할 때 트러블이 발생한다. 특히 느슨함이 발생해 있는 위치는 평면성이 나빠, 필름 롤 폭방향에서 느슨함이 발생해 있는 위치는 인쇄 누락 등이 발생하게 되어, 손실이 되는 과제가 있다. 필름의 박막화, 인쇄의 고속화 및 다색화에 의해, 느슨함에 기인하는 이들 문제는 보다 두드러지고 있어, 종래는 문제는 되지 않아 허용되어 온 범위의 느슨함을 필름에 갖는 필름 롤으로는 적용이 곤란한 것을, 본 발명자들은 새롭게 발견하였다.
열수축성 필름으로부터 튜브 형상 라벨을 형성하는 데는, 필름의 폭방향 한쪽 단부를 다른 한쪽 단부에 포개어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 고정방법으로서는, 종래부터 용제 접착법(특허문헌 1)이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특허문헌 2)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들 중에서도 용제 접착법은 고속으로 튜브 형상 라벨으로의 가공이 가능하여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용제 접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면끼리를 튜브 형상 라벨로 가공하는 공정(튜빙 공정)에서는, 생산효율을 향상시켜서 원가 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라벨이 이 방식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용제를 접착하는 개소에 느슨함이 발생해 있으면, 접착강도 부족이나 접착강도의 고르지 않음이 발생하여, 양호한 튜브 형상의 열수축 라벨을 얻는 것은 어렵다. 튜빙 공정에 있어서도, 가공의 고속화에 의해 느슨함에 기인하는 상기 문제는 보다 두드러지고 있어, 종래는 문제는 되지 않아 허용되어 온 범위의 느슨함을 필름에 갖는 필름 롤으로는 적용이 곤란한 것을, 본 발명자들은 새롭게 발견하였다.
상기 특허문헌 3에는, 폴리이미드 필름 롤의 표면에 주름 등이 발생하기 어려운 필름 롤의 권취 조건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느슨함에 대한 개선효과는 명확하지 않고, 또한 필름 롤의 필름 두께 불균일의 개선에 관하여 기술되어 있지 않다.
상기 특허문헌 4에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롤에 있어서, 롤 내에서의 열수축성이나 용제 접착성의 변동이 적어, 두께 불균일이 양호한 필름 롤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필름 롤이나 국소적인 두께 불균일이나 느슨함에 대해서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열수축성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롤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필름의 느슨함이 적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온탕 중 90℃·10초에서의 필름 주 수축방향의 수축률이 30% 이상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롤으로, 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필름 롤에 있어서, 아래 요건(1)∼(5)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1) 필름 롤 권취 길이가 2,000 m 이상 25,000 m 이하
(2) 필름 롤 폭이 400 ㎜ 이상 2,500 ㎜ 이하
(3) 필름 두께가 5 ㎛ 이상 40 ㎛ 이하
(4) 필름 롤의 표층에 있어서의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 두께 패턴이 오목부가 되어 있는 개소를 갖고, 두께차가 가장 큰 오목부(최대 오목부)에 있어서, 그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차와 필름 평균 두께로부터 구한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이 10% 이하
(5) 필름 롤 표층의 권취 경도가 400 이상 800 이하
2. 필름 롤의 표층으로부터 권취 길이 1,000 m 간격으로 샘플링한 각 시료의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 상기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차와 필름 평균 두께로부터 구한 두께 불균일이 모든 시료에서 10% 이하인 1.에 기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롤.
3. 상기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오목부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최대 두께 개소와의 폭방향 굴절률 차의 절대값이 0.01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4. 필름 롤의 폭방향 전체의 두께 불균일이 13% 이하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5. 필름의 권취 외면과 권취 내면의 정마찰계수와 동마찰계수가 모두 0.1 이상 0.8 이하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은 필름의 느슨함이 적다. 이 때문에, 인쇄나 용제 접착 등의 후가공에서 트러블이 적어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 폭방향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의 최대 오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름의 횡연신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필름의 횡연신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즉,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5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다른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오르토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예를 들면 아디프산, 세바스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등)을 함유시키는 경우, 함유율은 3 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3 몰% 이상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얻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는 고속 장착 시의 필름 강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3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예를 들면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및 이들의 무수물 등)을 함유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다가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얻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는 필요한 고수축률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3 프로판디올, 1-4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산디올 등의 지방족 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식 디올, 비스페놀 A 등의 방향족계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환상 디올이나, 탄소수 3∼6개를 갖는 디올(예를 들면 1-3 프로판디올, 1-4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산디올 등) 중 1종 이상을 함유시켜서, 유리 전이점(Tg)을 60∼80℃로 조정한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 있어서의 다가 알코올 성분 100 몰% 중 또는 다가 카르복실산 성분 100 몰% 중 비정질 성분이 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의 합계가 15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20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정질 성분이 될 수 있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이소프탈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2-디에틸 1,3-프로판디올, 2-n-부틸 2-에틸 1,3-프로판디올, 2,2-이소프로필 1,3-프로판디올, 2,2-디 n-부틸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헥산디올을 들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나 이소프탈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 중에는, 탄소수 8개 이상의 디올(예를 들면 옥탄디올 등), 또는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등)을 함유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디올, 또는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얻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는 필요한 고수축률을 달성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왁스류,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결정핵제, 감점제, 열안정제, 착색용 안료, 착색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는, 윤활제로서 미립자를 첨가함으로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필름의 작업성(미끄러짐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로서는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무기계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카올린,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계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입자, 멜라민 수지 입자, 실리콘 수지 입자, 가교 폴리스티렌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0.05∼3.0 ㎛의 범위 내(콜터 카운터로 측정한 경우)에서, 필요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 상기 입자를 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 있어서 첨가할 수 있는데, 에스테르화 단계,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중축합반응 개시 전의 단계에서 에틸렌글리콜 등에 분산시킨 슬러리로서 첨가하여, 중축합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트 부착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또는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원료를 블렌드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는, 필름 표면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코로나처리, 코팅처리나 화염처리 등을 행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을 적어도 1층 갖는 적층형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도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이 2층 이상 적층될 때는, 그 폴리에스테르 수지층은 동일한 조성의 폴리에스테르여도, 상이한 조성의 폴리에스테르여도 된다. 또한, 다른 층으로서 적층 가능한 층은 열가소성 수지층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가격이나 열수축 특성으로부터 폴리스티렌계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90℃의 온수 중에서 무하중 상태로 10초간에 걸쳐 처리했을 때, 수축 전후의 길이로부터 아래 식 1에 의해 산출한 필름의 주 수축방향의 열수축률(즉, 90℃의 탕온 열수축률)이 30%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90℃에 있어서의 주 수축방향의 탕온 열수축률이 30%를 밑돌면 수축량이 작아, 열수축한 후의 라벨에 주름이나 수축부족이 발생해 버리기 때문에, 열수축 필름으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90℃에 있어서의 주 수축방향의 탕온 열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또는 열수축성 다층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의 권취 길이는 2,000 m 이상 25,000 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인쇄 등의 가공에 있어서, 권취 길이가 긴 편이 롤을 교환하는 빈도가 저감되어 작업효율은 좋아진다. 바람직하게는 3,000 m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0 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 m 이상이다. 상한은 특별히 없고 권취 길이가 긴 편이 바람직하나, 발명자들은 25,000 m 권취 길이까지만 확인 가능하였기 때문에, 권취 길이 25,000 m를 상한으로 하였다. 또한, 필름 롤의 권취 길이가 길어질수록 필름의 면적은 증가하여 느슨함의 결점이 발생할 기회는 증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필름 롤의 권취 길이가 긴 것은 보다 곤란성을 수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의 폭은 400 ㎜ 이상 2,5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없고 필름 롤의 폭이 넓으면, 인쇄 공정에 있어서의 손실이 적어 바람직하나, 발명자들은 2,500 ㎜까지만 확인 가능하였기 때문에, 폭 2,500 ㎜를 상한으로 하였다. 또한 필름 롤의 폭은 넓은 편이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 등의 가공에 있어서의 효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넓은 편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폭은 50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0 ㎜ 이상이다. 또한, 필름 롤의 폭이 넓어질수록 필름의 면적은 증가하여 느슨함의 결점이 발생할 기회는 증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필름 롤의 폭이 긴 것은 보다 곤란성을 수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두께는 5 ㎛ 이상 40 ㎛ 이하가 바람직하다. 필름 두께의 상한은 3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확인한 것이 두께 5 ㎛까지였기 때문에 5 ㎛ 이상으로 하였다. 또한 필름 두께는 두꺼운 편이 강성이 있어, 보다 느슨함이 적어 바람직한 경향이기 때문에, 두꺼운 정도는 상관없으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따른 환경 대응에는 역행하게 된다. 또한, 필름 두께는 얇은 편이 보다 느슨함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에 있어서는 필름 두께가 얇은 것은 보다 곤란성을 수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은, 필름 롤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 두께 패턴이 오목부가 되어 있는 개소를 갖고, 두께차가 가장 큰 오목부(최대 오목부)에 있어서, 그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차와 필름 평균 두께로부터 아래 식 2에 의해 구한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이 10% 이하가 바람직하다(예를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오목부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 접촉식 두께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 그 점을 경계로 하여 측정방향의 양방향에 대해 두께가 감소하는 점을 산부(山部)로 하고, 그 점을 경계로 하여 측정방향의 양방향에 대해 두께가 증가하는 점을 곡부(谷部)로 했을 때, 산부―곡부―산부가 되는 두께 패턴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 이러한 두께 패턴을 갖지 않는 필름, 즉 오목부를 갖지 않는 필름은 본 발명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오목부에 있어서의 2개의 산부와 1개의 곡부에 있어서, 각 산부와 곡부의 두께차 중 어느 하나 큰 값(같은 값의 경우는 양쪽 값)을 오목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차라 칭한다.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이 10%보다 높으면, 오목부의 위치를 슬릿하여 필름 롤으로서 권취할 때, 에어가 휩쓸려 들어가 공기가 모이고, 그 후 필름 롤을 보관하고 있을 때 에어 빠짐이 발생하여 주름이나 느슨함의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오목부는 폭방향의 다른 개소보다 두께가 얇기 때문에 슬릿하여 필름 롤으로서 권취할 때의 장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필름 롤에서 오목부의 개소는 길이방향의 길이가 폭방향의 타위치보다 길어져, 그 개소가 느슨함이 된다. 특히 오목부와 그 양단의 두께차가 클 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본 발명자들의 조사에 의해 알 수 있었다. 바람직한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은 9%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다.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은 낮은 편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자들의 테스트에 있어서는 3%가 가장 낮았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은 아래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연속 접촉식 두께계를 사용하여 측정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5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측정방향으로 30 ㎜ 간격 내지 500 ㎜ 간격으로 두께의 측정을 행하면, 오목부의 최대 두께차가 미측정 위치가 될 가능성이 있어, 정확한 오목부에 두께차를 구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두께 불균일은 연속 접촉식 두께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을 가리킨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필름 롤의 표층으로부터 권취 길이 1,000 m 간격으로 샘플링한 각 시료의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 상기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차와 필름 평균 두께로부터 구한 두께 불균일이 모든 시료에서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이 10%보다 높으면, 오목부의 위치를 슬릿하여 필름 롤으로서 권취할 때, 에어가 휩쓸려 들어가 공기가 모이고, 그 후 필름 롤을 보관하고 있을 때 에어 빠짐이 발생하여 주름이나 느슨함의 원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오목부는 폭방향의 다른 개소보다 두께가 얇기 때문에 슬릿 시의 장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필름 롤에서 오목부의 개소는 길이방향의 길이가 폭방향의 타위치보다 길어져, 그 개소가 느슨함이 된다. 특히 오목부와 그 양단의 두께차(상기 곡부와 산부의 두께차)가 클 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본 발명자들의 조사에 의해 알 수 있었다. 이 때문에, 롤 폭방향의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이 중요하다. 바람직한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은 9%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다.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은 낮은 편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자들의 테스트에 있어서는 3%가 가장 낮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의 폭방향 두께 패턴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 오목부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최대 두께 개소(상기 2개의 산부 중 두께가 보다 두꺼운 산부)와 오목부의 최소 두께 개소(상기 곡부)의 폭방향 굴절률 차의 절대값이 0.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최대 두께 개소와 오목부의 최소 두께 개소의 폭방향 굴절률 차의 절대값이 0.01보다 높으면, 오목부의 최소 두께 개소와 최대 두께 개소는 길이방향의 신장되기 쉬운 정도가 달라, 슬릿 시의 장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버리는 차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필름 롤에서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어져, 그 개소가 느슨함이 된다. 바람직한 상기 폭방향 굴절률 차의 절대값은 0.008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6 이하이다. 상기 폭방향 굴절률 차의 절대값은 낮은 편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자들의 테스트에 있어서는 0.0003이 가장 낮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의 폭방향 전체의 두께 불균일은 아래 식 3으로 표시되는 식에서 13% 이하이다. 두께 불균일이 나쁘면 주름이 생기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7% 이하이다. 두께 불균일의 값은 작으면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느슨함 발생에 대해서 보다 큰 요인이 되는 것은 상기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두께 불균일의 크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권취 외면과 권취 내면의 필름면끼리의 정마찰계수와 동마찰계수는 모두 0.1 이상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1보다 낮으면 지나치게 미끄러워 단면의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0.8보다 크면 슬릿 시에 에어가 휩쓸려 들어가는 양이 많아져, 필름 롤 시에 오목부에 에어 빠짐에 의해 느슨함이나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0.13 이상 0.77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6 이상 0.74 이하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상기한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압출기에 의해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필름을 형성하고, 그 미연신 필름을 아래에 나타내는 소정의 방법에 의해 연신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적층하는 경우는, 복수의 압출기나 피드 블록, 멀티 매니폴드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상기한 적합한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을 공지의 방법으로 중축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상은 칩형상의 폴리에스테르를 2종 이상 혼합하여 필름의 원료로서 사용한다.
2종 이상의 원료를 혼합하면 압출기에 투입될 때, 원료 공급으로 편차(소위 원료 편석)가 생겨, 그것에 의해 필름 조성의 편차가 발생하여 폭방향으로의 두께 불균일(특히 최대 오목부)의 원인이 된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기 바로 위의 배관이나 호퍼에 교반기를 설치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용융 압출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필름 및 라벨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원료 칩을 호퍼 드라이어, 패들 드라이어 등의 건조기, 또는 진공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고, 압출기 상의 호퍼 내에서 교반기를 사용해서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한 원료를 200∼280℃의 온도에서 필름 형상으로 압출한다. 또는 상기와 동일하게 균일하게 혼합한 미건조의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벤트식 압출기 내에서 수분을 제거하면서 동일하게 필름 형상으로 압출한다. 압출 시에는 T 다이법, 튜블러법 등, 기존의 어느 방법을 채용해도 상관없으나, 두께 불균일을 양호하게 하는 데는 T 다이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 시의 온도는 280℃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용융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라벨로 했을 때의 극한점도가 저하되어,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다이스 출구에서의 전단속도는 아래의 식 4로부터 구하였다.
전단속도는 높은 편이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특히 최대 오목부)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전단속도가 높은 편이 T 다이 출구에서의 수지 토출 시 압력이 안정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전단속도는 100 sec-1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sec-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 sec-1 이상이다.
드래프트비는 높은 편이 길이방향의 두께 불균일이 양호해져 바람직한데, 드래프트비가 높으면 다이스의 수지 토출부에 수지 찌꺼기 등이 부착되어, 생산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지나치게 높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드래프트비가 낮으면 길이방향의 두께 불균일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드래프트비는 10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70 이하이다.
압출 후에는 급랭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또한, 이 「미연신 필름」에는 필름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장력이 작용한 필름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용융 수지를 급랭하는 방법으로서는, 용융 수지를 구금에서 회전 드럼 상으로 캐스팅하여 급랭 고화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미배향의 수지 시트를 얻는 방법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 후, 상기에서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횡연신기(소위 텐터)에서 필요에 따라 80∼120℃, 바람직하게는 90∼110℃로 예열한 후, 횡방향(압출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3.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 7배 이하로 연신한다. 연신온도는 65℃ 이상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75℃ 이하이다.
또한 횡연신은 2단 연신 이상 5단 연신 이하로 다단 연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단 연신에 의해, 각각의 연신온도를 변경함으로써 연신응력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최대 오목부 및 폭방향 전체)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3단 연신 이상이다. 횡연신기의 연신 패턴의 예(3단 연신)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와 같이, 다단 연신에 있어서는 각 단계에서의 연신 종료 후에 정장(定長)을 유지하는 패턴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단계의 연신에 있어서 2℃ 이상의 온도차를 두고 1단째 연신에서 최종단째 연신에 걸쳐 온도를 저하시키는 온도 패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횡연신 후에는 연신온도보다 1℃∼30℃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는 연신 후의 필름의 긴장상태를 완화하기 위해 행하여지고, 열처리 시의 온도로 열수축률의 조정을 행하며, 또한 자연 수축률을 감소시키는 것에도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라벨이 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얻어진다.
얻어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중간 제품인 광폭 롤으로서 권취하고, 이어서 슬리터를 사용하여 지정 폭, 권취 길이로 슬릿하여 권취 코어(심)에 권취하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이 얻어진다. 권취 코어로서는 통상 3 인치, 6 인치, 8 인치 등의 플라스틱 코어, 금속제 코어 또는 지관(紙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필름 롤의 바람직한 권취 길이 및 폭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뿐 아니라, 아래의 슬릿 조건을 채용함으로써 슬릿 시에 발생하는 느슨함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슬릿의 조건으로서는, 초기장력을 70∼120 N/m, 바람직하게는 80∼110 N/m, 초기면압을 200∼400 N/m, 바람직하게는 250∼350 N/m로 슬릿을 개시한다. 초기장력이 120 N/m보다 높으면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부가 슬릿 시에 장력에 의해 약간 신장되어 버려 느슨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초기장력이 70 N/m 이하면, 필름을 슬릿으로 권취할 때 장력이 부족하여 필름 롤의 단면이 고르지 않게 되어 (소위 단면 어긋남)이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권취 길이가 500 m에 도달한 후, 장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슬릿 종료 전 300 m일 때의 장력이 초기장력의 50∼80%, 바람직하게는 60∼70%가 되도록 권취 길이와 상관하도록 일정하게 장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면압은 권취 길이 전장에 걸쳐, 될 수 있는 한 초기면압±5% 이하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초기면압±3% 이하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릿한 필름 롤 표층의 권취 경도는 400 이상 8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롤 표층의 권취 경도가 400 미만이면, 예를 들면 창고에서 필름 롤을 반년간 보관했을 때 슬릿 시에 휩쓸려 들어간 에어가 빠져, 필름 롤이 느슨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필름 롤 표층의 권취 경도가 800보다 높으면, 필름 롤이 딱딱하게 감겨, 전술한 바와 같은 오목부가 압축됨으로써 느슨함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한 필름 롤 표층의 권취 경도는 450 이상 75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70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권취 경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기재에 따라 측정한 권취 경도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필름 롤에 있어서는 연속해서 제막한 필름이 연속적으로 권취되고 있어, 제막 조건이 일정하면,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 정도는 권취 길이 전장에 걸쳐 거의 일정해지는데, 제막 시 각 공정의 아주 작은 변동에 의해, 권취 길이 전장에 대해 약간의 변동이 일어난다.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은 권취 길이 전장에 걸쳐 제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 길이 전장에 걸쳐 두께 불균일이 제어되어 있는지 여부는, 예를 들면 필름 롤의 필름을 표층으로부터 일정 간격의 권취 길이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각 시료의 두께 불균일을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롤에 있어서는, 두께 불균일은 필름 롤의 표층 부분의 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해서, 그 필름 롤에 있어서의 대표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름 롤 표층으로부터 필름을 1 m 제거한 부분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해서 대표값으로 하는 것이다. 필름 롤 표층에 있어서의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최대 오목부 및 폭방향 전체의 두께 불균일)의 적합한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권취 길이 1,000 m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해서, 모든 시료에 대해서 두께 불균일(최대 오목부 및 폭방향 전체의 두께 불균일)이 소정 범위가 되는 것이다. 필름 롤 전장에 있어서의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최대 오목부 및 폭방향 전체의 두께 불균일)의 적합한 범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의 태양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한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또한, 특히 기재가 없는 경우는 필름 롤 표층으로부터 필름을 1 m 제거하고, 그 제거 후의 표층 부분의 필름 또는 필름 롤을 평가하였다.
[주 수축방향의 열수축률]
필름을 10 ㎝×10 ㎝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하여, 온수온도 90℃±0.5℃의 온수 중에 있어서 무하중 상태로 10초간 처리하여 열수축시킨 후, 필름의 횡방향(주 수축방향)의 치수를 측정하여, 아래 식(1)에 따라 열수축률을 구하였다.
[폭방향 전체의 두께 불균일]
롤을 슬리터에 설치하였다. 그 후, 롤 표층으로부터 1 m 제거한 후에 필름 롤을 폭방향으로 전폭, 길이방향으로 40 ㎜로 샘플링하여, 미크론 계측기사 제조의 연속 접촉식 두께계를 사용해서, 5 m/s로 연속적으로 폭방향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측정 시 최대 두께를 Tmax., 최소 두께를 Tmin., 평균 두께를 Tave.로 하여, 아래 식(2)로부터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을 산출하였다.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
상기한 폭방향의 연속 접촉 두께를 구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오목부가 되어 있는 개소를 찾았다. 아래 식(3)으로부터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을 구하였다. 또한 최대 오목부의 양단에서의 높이가 상이할 때는 높은 쪽 값을 선택해서 구하였다.
[롤 권취 길이에서의 롤 폭방향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
롤을 슬리터에 설치하였다. 그 후, 롤 표층으로부터 1 m 제거한 후에 전술한 방법으로 롤 폭방향의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을 측정하였다. 측정 후, 슬리터로 1,000 m 되감아 전술한 방법으로 롤 폭방향의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을 측정하였다. 1,000 m 되감아 롤 폭방향의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의 측정을 반복해서 행하였다.
[최대 오목부와 최대 오목부 양단의 굴절률 차]
상기한 최대 오목부와 최대 오목부 양단의 두께가 높은 쪽 위치의 필름 폭방향의 굴절률을 아베 굴절계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그리고 아래 식(4)로부터 차를 구하여 절대값으로 하였다.
[마찰계수]
JIS K-7125에 준거하여 인장시험기(ORIENTEC사 제조 텐실론)를 사용해서, 23℃·65%RH 환경하에서 필름의 표면과 이면을 접합시킨 경우의 정마찰계수와 동마찰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위쪽의 필름을 휘감은 스레드(추)의 중량은 1.5 ㎏이고, 스레드의 바닥면적의 크기는 세로 63 ㎜×가로 63 ㎜였다. 또한, 마찰 측정 시의 인장속도는 200 ㎜/min.였다.
[느슨함 평가]
필름 롤으로부터 폭방향으로는 전폭, 길이방향으로는 4 m 이상 6 m 이하로 샘플링하여 평면대 위에 올렸다. 이때, 길이방향으로 연속해서 평면성이 다른 부분보다도 조금이라도 나빠져 있는 띠형상의 개소가 육안으로 확인되면 그것을 느슨함으로 하였다. 아래와 같이 평가를 행하였다.
느슨함 없음 : ○
느슨함이 1개소 이상 있음 : ×
[권취 경도 평가]
스위스 프로세오사의 경도 시험기 팔로테스터 2를 사용하여, 롤 폭방향으로 단부로부터 100 ㎜ 간격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롤 폭방향으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서 사용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원료의 조제]
합성예 1(폴리에스테르의 합성)
에스테르화 반응캔에 57036 질량부의 테레프탈산(TPA), 33244 질량부의 에틸렌글리콜(EG), 15733 질량부의 네오펜틸글리콜(NPG), 중축합 촉매로서 23.2 질량부의 삼산화안티몬, 5.0 질량부의 초산나트륨(알칼리금속 화합물) 및 46.1 질량부의 트리메틸포스페이트(인화합물)를 넣고, 0.25 ㎫로 압력을 조절하여, 220∼240℃에서 120분간 교반함으로써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캔을 상압으로 복압하고, 3.0 질량부의 초산코발트·4수염 및 124.1 질량부의 초산마그네슘·4수염을 첨가하여, 240℃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75분에 걸쳐 1.33 hPa까지 감압하는 동시에, 280℃까지 승온하였다. 280℃에서 용융점도가 4500 포이즈가 될 때까지 교반을 계속(약 70분간)한 후, 스트랜드 형상으로 수중으로 토출하였다. 토출물을 스트랜드 커터로 절단함으로써, 칩B를 얻었다. 칩B의 극한점도는 0.73 ㎗/g이었다.
합성예 2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표 1에 나타낸 조성의 칩A, C를 얻었다. 표중, NPG는 네오펜틸글리콜, BD는 부탄디올, CHDM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약기이다. 또한, 칩A에는 윤활제로서 SiO2(후지 실리시아사 제조 사일리시아 266)를 폴리에스테르에 대해 3,000 ppm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극한점도는 칩A, C, E가 0.73 ㎗/g, 칩D가 0.92 ㎗/g이었다.
실시예 1
<열수축성 필름의 제조방법>
상기한 칩A, 칩B, 칩C 및 칩D를 별개로 예비건조하고,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칩A 20 질량%, 칩B 5 질량%, 칩C 60 질량% 및 칩D 15 질량%로 혼합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때 압출기 바로 위에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3종류의 원료를 압출기로 투입하였다. 이 혼합 수지를 260℃에서 용융시켜서 T 다이로부터 전단속도 190 sec-1, 드래프트비 30의 조건에서 압출하여, 표면온도 30℃로 냉각된 회전하는 금속 롤에 접촉시켜서 급랭함으로써, 두께 138 ㎛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때의 미연신 필름의 Tg는 69℃였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텐터(횡연신기)에 도입하였다. 예열 공정의 온도를 90℃로 가열하였다. 그 후에 1단째 연신 공정에 있어서 연신온도 75℃에서 1.5배 연신하였다. 1단 연신된 필름을 75℃에서 파지하고, 이어서 2단째 연신 공정에서 72℃에서 1.5배(토탈 2.25배)로 연신하였다. 2단 연신된 필름을 72℃에서 파지하고, 이어서 3단째 연신 공정에서 70℃에서 2.44배(토탈 5.5배)로 연신하였다. 3단에서 5.5 배 횡연신한 필름을 80℃에서 10초간, 긴장상태에서 열처리하였다. 그 후, 냉각하고, 양쪽 가장자리부를 재단 제거하여 폭 4,200 ㎜로 롤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두께 25 ㎛의 연신 필름을 소정의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횡연신 필름을 슬리터로 폭 2,200 ㎜, 1,200 ㎜, 800 ㎜의 사이즈로 권취 길이 15,000 m가 되도록 슬릿하였다.
구체적인 슬릿의 조건으로서는, 초기장력을 100 N/m, 초기면압을 310 N/m로 슬릿을 개시하였다. 권취 길이 500 m에서 14,700 m까지 0.239%/m의 비율로 장력을 감소시키고, 14,700 m에서 15,000 m는 장력 66 N/m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면압은 310 N/m로 일정해지도록 슬릿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슬릿하여 폭 2,200 ㎜, 1,200 ㎜, 800 ㎜, 권취 길이 15,000 m의 필름 롤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목표의 특성이 되는 필름이 얻어져, 느슨함이 양호한 결과였다. 또한, 느슨함에 대해서는 표 3의 결과(필름 롤 표층)에 더하여 1,000 m마다의 시료를 모두 평가한 결과, 상기 3개의 필름 롤 모든 시료에 대해서 ○(느슨함 없음)였다.
실시예 2
상기한 칩C를 칩E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롤을 얻었다. 또한, 이때의 Tg는 69℃였다.
그리고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상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3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209 ㎛로 하고, 횡연신에서의 예열온도를 90℃에서 95℃로 변경하며, 얻어진 필름 두께가 38 ㎛가 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롤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였다.
실시예 4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83 ㎛로 하고, 얻어진 필름 두께가 15 ㎛가 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롤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양호한 결과였다.
비교예 1
상기한 칩A, 칩B, 칩C 및 칩D를 별개로 예비건조하고,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칩A 20 질량%, 칩B 5 질량%, 칩C 60 질량% 및 칩D 15 질량%로 혼합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 혼합 수지를 260℃에서 용융시켜서 T 다이로부터 전단속도 190 sec-1, 드래프트비 30의 조건에서 압출하여, 표면온도 30℃로 냉각된 회전하는 금속 롤에 접촉시켜서 급랭함으로써, 두께 138 ㎛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때의 미연신 필름의 Tg는 69℃였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텐터(횡연신기)로 도입하였다. 예열 공정의 온도를 90℃로 가열하였다. 그 후에, 75℃에서 5.5배로 한번에 연신하였다. 5.5배 횡연신한 필름을 80℃에서 10초간, 긴장상태에서 열처리하였다. 그 후, 냉각하고, 양쪽 가장자리부를 재단 제거하여 폭 4,200 ㎜로 롤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두께 25 ㎛의 연신 필름을 소정의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횡연신 필름을 슬리터로 폭 2,200 ㎜, 1,200 ㎜, 800 ㎜의 사이즈로 권취 길이 15,000 m가 되도록 슬릿하였다.
구체적인 슬릿의 조건으로서는, 초기장력을 100 N/m, 초기면압을 310 N/m로 슬릿을 개시하였다. 권취 길이 500 m에서 14,700 m까지 0.239%/m의 비율로 장력을 감소시키고, 14,700 m에서 15,000 m는 장력 66 N/m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면압은 310 N/m로 일정해지도록 슬릿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슬릿하여 폭 2,200 ㎜, 1,200 ㎜, 800 ㎜, 권취 길이 15,000 m의 필름 롤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이 나쁘고, 필름에 느슨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
미연신 필름의 두께를 209 ㎛로 하고, 횡연신에서의 예열온도를 90℃에서 95℃로 변경하며, 얻어진 필름 두께가 38 ㎛가 된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 롤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필름의 특성을 상기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필름에 느슨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느슨함에 대해서는 표 3의 결과(필름 롤 표층)에 더하여 1,000 m마다의 시료를 모두 평가한 결과, 상기 3개의 필름 롤의 모든 시료에 있어서 ×(느슨함이 1개소 이상 있음)였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롤은 상기와 같이 느슨함이 양호하기 때문에, 인쇄 등의 가공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50 몰% 이상 함유하고, 다가 알코올 성분 100 몰% 중 네오펜틸글리콜 성분을 15 몰% 이상 함유하며, 온탕 중 90℃·10초에서의 필름 주 수축방향의 수축률이 30% 이상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필름 롤으로, 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필름 롤에 있어서, 아래 요건(1)∼(6)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1) 필름 롤 권취 길이가 2,000 m 이상 25,000 m 이하
(2) 필름 롤 폭이 400 ㎜ 이상 2,500 ㎜ 이하
(3) 필름 두께가 5 ㎛ 이상 40 ㎛ 이하
(4) 필름 롤의 표층에 있어서의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 두께 패턴이 오목부가 되어 있는 개소를 갖고, 두께차가 가장 큰 오목부(최대 오목부)에 있어서, 그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차와 필름 평균 두께로부터 구한 최대 오목부의 두께 불균일이 10% 이하
(5) 필름 롤 표층의 권취 경도가 400 이상 800 이하
(6) 필름 롤의 폭방향 전체의 두께 불균일이 7% 이하 - 제1항에 있어서,
필름 롤의 표층으로부터 권취 길이 1,000 m 간격으로 샘플링한 각 시료의 필름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에 있어서, 상기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차와 필름 평균 두께로부터 구한 두께 불균일이 모든 시료에서 10% 이하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오목부에 있어서의 오목부 양단 중 어느 하나의 최대 두께 개소와 오목부의 최소 두께 개소의 폭방향 굴절률 차의 절대값이 0.01 이하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권취 외면과 권취 내면의 정마찰계수와 동마찰계수가 모두 0.1 이상 0.8 이하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86266 | 2017-09-27 | ||
JP2017186266 | 2017-09-27 | ||
PCT/JP2018/032622 WO2019065108A1 (ja) | 2017-09-27 | 2018-09-03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0415A KR20200060415A (ko) | 2020-05-29 |
KR102602093B1 true KR102602093B1 (ko) | 2023-11-13 |
Family
ID=6590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0421A KR102602093B1 (ko) | 2017-09-27 | 2018-09-03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1565459B2 (ko) |
EP (1) | EP3689948A4 (ko) |
JP (4) | JP7127544B2 (ko) |
KR (1) | KR102602093B1 (ko) |
CN (1) | CN111164135B (ko) |
TW (1) | TWI806903B (ko) |
WO (1) | WO201906510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65108A1 (ja) * | 2017-09-27 | 2019-04-04 | 東洋紡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US12110200B2 (en) * | 2018-10-30 | 2024-10-08 | Toyobo Co., Ltd. |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roll |
JP7047973B2 (ja) * | 2019-05-16 | 2022-04-05 | 凸版印刷株式会社 | 薄型フィルム、および、転写シート |
CN114466736A (zh) * | 2019-10-02 | 2022-05-10 | 东洋纺株式会社 | 热收缩性聚酯系薄膜卷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5170B1 (ko) * | 2005-09-05 | 2007-01-04 |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JP2008195061A (ja) * | 2007-01-17 | 2008-08-28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性フィルムロール |
JP2014195944A (ja) | 2013-03-29 | 2014-10-16 | 東洋紡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5019B2 (ja) | 1993-06-10 | 2000-08-07 | 東洋紡績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チューブの製造方法 |
JP3670913B2 (ja) | 1999-11-26 | 2005-07-13 | 三菱樹脂株式会社 | ポリ乳酸系収縮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
JP3678186B2 (ja) | 2001-08-01 | 2005-08-03 | 東洋紡績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JP3678220B2 (ja) | 2001-08-03 | 2005-08-03 | 東洋紡績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JP2004255671A (ja) | 2003-02-25 | 2004-09-16 | Toyobo Co Ltd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
WO2005037899A1 (ja) * | 2003-10-21 | 2005-04-28 |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EP1764206B1 (en) | 2004-05-14 | 2009-09-09 |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 Oriented polyester film for a flexible electronics device substrate |
JP2006226939A (ja) | 2005-02-21 | 2006-08-31 | Fujitsu Ten Ltd |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07262365A (ja) * | 2006-03-30 | 2007-10-11 | Toyobo Co Ltd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及び熱収縮性ラベル |
JP4560740B2 (ja) | 2007-09-25 | 2010-10-13 | 東洋紡績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包装体 |
EP2258538B1 (en) * | 2008-02-27 | 2013-12-18 | Toyobo Co., Ltd. | Heat-shrinkable white polyester film, process for producing heat-shrinkable white polyester film, label, and package |
JP5339061B2 (ja) * | 2008-02-29 | 2013-11-13 | 東洋紡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 |
JP2009226940A (ja) * | 2008-02-29 | 2009-10-08 | Toyobo Co Ltd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包装体 |
KR100987065B1 (ko) * | 2008-06-11 | 2010-10-11 |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 열수축성 폴리에스터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JP5552841B2 (ja) | 2010-03-02 | 2014-07-16 | 宇部興産株式会社 | 樹脂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
JP2013086263A (ja) | 2011-10-13 | 2013-05-13 | Unitika Ltd | 積層フィルム、フィルム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5947153B2 (ja) | 2012-08-28 | 2016-07-06 |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 ホットメルト接着剤 |
US10336871B2 (en) * | 2013-05-16 | 2019-07-02 | Toyobo Co., Ltd. |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and package |
JP6740577B2 (ja) * | 2015-07-28 | 2020-08-19 | 東洋紡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
WO2019065108A1 (ja) | 2017-09-27 | 2019-04-04 | 東洋紡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JP7288400B2 (ja) | 2018-01-31 | 2023-06-07 | 東洋紡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
2018
- 2018-09-03 WO PCT/JP2018/032622 patent/WO2019065108A1/ja unknown
- 2018-09-03 JP JP2018557157A patent/JP7127544B2/ja active Active
- 2018-09-03 EP EP18861059.6A patent/EP3689948A4/en active Pending
- 2018-09-03 CN CN201880061982.1A patent/CN111164135B/zh active Active
- 2018-09-03 KR KR1020207010421A patent/KR1026020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03 US US16/649,682 patent/US11565459B2/en active Active
- 2018-09-21 TW TW107133384A patent/TWI806903B/zh active
-
2022
- 2022-08-01 JP JP2022122876A patent/JP7180813B2/ja active Active
- 2022-11-08 JP JP2022179001A patent/JP7260050B2/ja active Active
-
2023
- 2023-04-03 JP JP2023060317A patent/JP7505617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5170B1 (ko) * | 2005-09-05 | 2007-01-04 |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JP2008195061A (ja) * | 2007-01-17 | 2008-08-28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ポリエステル系熱収縮性フィルムロール |
JP2014195944A (ja) | 2013-03-29 | 2014-10-16 | 東洋紡株式会社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082156A (ja) | 2023-06-13 |
JPWO2019065108A1 (ja) | 2020-09-03 |
KR20200060415A (ko) | 2020-05-29 |
WO2019065108A1 (ja) | 2019-04-04 |
EP3689948A1 (en) | 2020-08-05 |
TW201920395A (zh) | 2019-06-01 |
JP7127544B2 (ja) | 2022-08-30 |
JP7505617B2 (ja) | 2024-06-25 |
JP7180813B2 (ja) | 2022-11-30 |
JP2022163117A (ja) | 2022-10-25 |
CN111164135A (zh) | 2020-05-15 |
EP3689948A4 (en) | 2021-07-07 |
CN111164135B (zh) | 2023-08-11 |
TWI806903B (zh) | 2023-07-01 |
JP7260050B2 (ja) | 2023-04-18 |
JP2023022055A (ja) | 2023-02-14 |
US11565459B2 (en) | 2023-01-31 |
US20210370580A1 (en) | 2021-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2093B1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롤 | |
JP7306504B2 (ja)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
KR101190348B1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
JP5339061B2 (ja)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包装体 | |
EP3339000B1 (en) |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and package | |
JP7485183B2 (ja)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
JP2009226940A (ja)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包装体 | |
JP2023155502A (ja) |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ロ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