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969B1 - 차량의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969B1
KR102600969B1 KR1020210145303A KR20210145303A KR102600969B1 KR 102600969 B1 KR102600969 B1 KR 102600969B1 KR 1020210145303 A KR1020210145303 A KR 1020210145303A KR 20210145303 A KR20210145303 A KR 20210145303A KR 102600969 B1 KR102600969 B1 KR 10260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using
vehicle
headlin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764A (ko
Inventor
홍성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4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9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 장치는, 선루프가 설치된 차량 내부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스크린 하우징; 상기 스크린 하우징 내에 권취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 고정부; 및 상기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수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크린부를 고정하는 스크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크린 장치{SCREEN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프로젝터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차량의 스크린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최근 야외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야외에서 즐기는 레저문화가 발달하고 있으며, 캠핑과 함께 차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차박은 차량에서 숙박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캠핑카와 숙박을 할 수 있는 차량이 아닌 일반 승용차나 SUV에서 숙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 안에서 다양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스크린을 설치하는 기술이 있다. 하지만,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스크린을 설치하는 경우, 차량의 테일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설치할 수 있어, 차량 외부에서 영상을 보는 구조이므로 날씨와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하절기에 모기 등과 같은 벌레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6-009100호 (2016.01.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0741호 (2018.04.1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 내에서 즐길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영상을 투영할 수 있는 차량의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 장치는, 선루프가 설치된 차량 내부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스크린 하우징; 상기 스크린 하우징 내에 권취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 고정부; 및 상기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수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크린부를 고정하는 스크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하단이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고정부의 상단은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고정부는 상단이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설치된 커버부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고정부의 상단은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커버부의 끝단이 위치하는 개구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커버부의 끝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에는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 소정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이 끼워지는 고정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루프가 설치된 차량에 스크린 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차량 내에서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천정에 설치된 스크린 장치에 영상을 투영하여 다양한 영상을 즐길 수 있다.
선루프가 설치된 구조를 이용하여 스크린 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스크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크린 장치를 차량의 내부에 설치함에 따라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즐기기 위해 차량을 벗어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크린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크린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크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크린 장치에 영상을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스크린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100)는 선루프 장치가 설치된 차량(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0)에 설치된 선루프 장치의 구조를 이용하여 스크린 장치(100)가 차량(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10)의 선루프 장치는 차량(10)의 루프(11)에 설치되어 개방될 수 있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선루프 장치는 차량(10)의 외부에 배치된 루프(11)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도록 선루프(15)가 설치되고, 차량(10)의 내부에 배치된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도록 커버 하우징(17) 및 커버부(19)가 설치된다.
선루프(15)는 루프(11)에 배치되어 루프(11)에 형성된 개구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될 수 있으며, 유리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루프(15)는 이동하여 차량(10)의 루프(11)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 하우징(17)은 내부에 커버부(19)가 권취되어 배치되고, 커버부(19)는 커버 하우징(17)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커버부(19)는 차량(10)의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커버부(19)는 강성이 있는 소재가 포함될 수 있고, 별도의 커버 하우징(17)이 없이 헤드라이너(13)와 루프(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강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하는 커버부(19)는 헤드라이너(13)와 루프(11) 사이에서 이동되어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루프(15) 및 커버부(19)는 전동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는 선루프(150는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커버부(19)는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루프 장치가 설치된 차량(10)에 설치되는 스크린 장치(100)는, 스크린 하우징(110), 스크린부(120), 하우징 고정부(130) 및 스크린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스크린 하우징(1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스크린부(120)가 권취되어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스크린 하우징(110)은 예컨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하우징(110)은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부(120)는 스크린 하우징(110)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배치되고, 스크린 하우징(110)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스크린 하우징(110)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스크린부(120)는 스크린 하우징(110)에 형성된 슬릿의 길이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부(120)는 스크린 하우징(110)에서 외력에 의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고, 스크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탄성수단에 의해 스크린 하우징(1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스크린부(120)를 권취하고 탄성에 의해 스크린부(120)를 인입시키기 위한 구성은 자명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크린부(120)에는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 소정의 고정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122)은 스크린부(120)가 스크린 하우징(110)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스크린 하우징(110)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스크린부(12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크린부(120)를 스크린 하우징(110)에서 인출시키기 위한 손잡이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하우징 고정부(130)는 스크린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하우징 고정부(130)는 스크린 하우징(110)을 헤드라이너(13)에 고정하기 위해 스크린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 고정부(130)는 스크린 하우징(110)과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하우징 고정부(130)와 스크린 하우징(110)의 결합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고정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스크린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면과 접촉되도록 스크린 하우징(110)과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 고정부(130)는 상부가 다른 구조물(예컨대, 헤드라이너(13))이 끼워질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의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고정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크린 하우징(110)을 다른 구조물에 설치할 때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두 개의 하우징 고정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크린 고정부(140)는 스크린 하우징(110)과 분리된 구조물이고, 상부 형상이 하우징 고정부(130)와 같이, 다른 구조물(예컨대, 커버부(19))이 끼워질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의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에 고정 핀(142)이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 고정부(140)는 상부에 형성된 ㄷ'자 형상의 결합구조에 의해 다른 구조물에 끼워져 고정되면, 스크린부(120)가 스크린 고정부(140)까지 인출되어 스크린부(120)에 형성된 고정홀(122)이 스크린 고정부(140)의 하부에 배치된 고정 핀(142)에 끼워져 스크린부(120)가 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핀(142)은 스크린 고정부(140)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고정 핀(14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 고정부(140)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다음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스크린 고정부(14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스크린 장치(100)는, 차량(10)의 선루프 장치가 설치된 헤드라이너(13)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스크린 장치(100)의 하우징 고정부(130)는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조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크린 하우징(110)은 하우징 고정부(130)에 의해 헤드라이너(13)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고정부(140)를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의 타 측에 배치시키고, 스크린 고정부(140)의 결합구조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9)의 끝단에 끼워질 수 있다.
커버부(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너(13)와 루프(11)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됨에 따라 커버부(19)가 폐쇄되는 경우 커버부(19)의 끝단은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를 상부에서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크린 고정부(140)가 커버부(19)의 끝단에 끼워지면 스크린 고정부(140)의'ㄷ'자 형상 내측은 커버부(19)에 접촉되고, 스크린 고정부(140)의 'ㄷ'자 형상 외측은 헤드라이너(13)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고정부(140)는 커버부(19)와 헤드라이너(13)에 의해 견고하게 헤드라이너(13)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고정부(130)는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에서 커버부(19)가 개구를 개방할 때 커버부(19)의 끝단이 위치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스크린 고정부(140)는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에서 커버부(19)가 개구를 폐쇄할 때 커버부(19)의 끝단이 위치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 고정부(140)는 커버부(19)가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커버부(19)의 끝단에 끼워지고, 커버부(19)가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를 완전히 폐쇄하면 커버부(19)의 끝단 및 헤드라이너(13)의 타단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 하우징(110) 및 스크린 고정부(140)가 차량(10)의 헤드라이너(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크린 하우징(110)으로부터 스크린부(120)를 인출하여 스크린부(120)에 형성된 고정홀(122)을 스크린 고정부(140)에 형성된 고정 핀(142)에 결합하여 스크린부(12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100)를 차량(10)의 내부 천정에 해당하는 헤드라이너(13)에 설치하고, 스크린 장치(100)에 프로젝터(200)를 이용하여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야외가 아닌 차량(10) 내에서 영상을 즐길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린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에 부가적으로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2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210)는 차량(10)의 콘솔박스에 설치된 에어벤트에 고정되기 위한 거치 고정부(212)를 포함하고, 프로젝터(2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받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거치 고정부(212)는 차량(10)의 콘솔박스에 설치된 에어벤트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고정부(212)는 거치대(210)의 일면에 하나 이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210)는 프로젝터(200)를 거치할 수 있게 프로젝터(200)를 지지하는 받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받침 형상은 프로젝터(200)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프로젝터(200)가 쓰러지지 않도록 걸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거치대(210)를 차량(10)의 콘솔박스의 에어벤트에 설치하고, 프로젝터(200)를 거치대(210)에 배치한 상태에서, 프로젝터(200)에서 차량의 헤드라이너(13)에 형성된 개구에 설치된 스크린 장치(100)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10: 차량
11: 루프 13: 헤드라이너
15: 선루프
17: 커버 하우징 19: 커버부
100: 스크린 장치
110: 스크린 하우징
120: 스크린부 122: 고정홀
130: 하우징 고정부
140: 스크린 고정부 142: 고정 핀
200: 프로젝터
210: 거치대 212: 거치 고정부

Claims (8)

  1. 선루프가 설치된 차량 내부의 헤드라이너에 설치되는 스크린 하우징;
    상기 스크린 하우징 내에 권취되어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 고정부; 및
    상단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이 상기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커버부의 일단 측에 접촉 지지되고, 외측이 상기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구의 타단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스크린부가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스크린부를 고정하는 스크린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하단이 상기 스크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헤드라이너에 형성된 개구의 일단에 고정되는,
    스크린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의 상단은 'ㄷ'자 형상을 갖는,
    스크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커버부의 끝단이 위치하는 개구의 일단에 고정되는,
    스크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고정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커버부의 끝단에 고정되는,
    스크린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에는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 소정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홀이 끼워지는 고정 핀을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
KR1020210145303A 2021-10-28 2021-10-28 차량의 스크린 장치 KR10260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303A KR102600969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의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303A KR102600969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의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764A KR20230060764A (ko) 2023-05-08
KR102600969B1 true KR102600969B1 (ko) 2023-11-10

Family

ID=8638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303A KR102600969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의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9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138Y1 (ko) * 2002-09-10 2002-12-31 김종기 롤브라인드형 햇빛가리개가 내장 구성된 사이드 선바이져
JP2017030731A (ja) * 2015-07-30 2017-02-09 アイシン テクニカル センター オブ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Inc. サンルー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9051A (ja) * 1994-01-26 1995-08-18 Masanao Kanie 車内映写スクリーン
JP2016009100A (ja) 2014-06-25 2016-01-18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載用投影システム
KR101850741B1 (ko) 2016-11-22 2018-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스크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138Y1 (ko) * 2002-09-10 2002-12-31 김종기 롤브라인드형 햇빛가리개가 내장 구성된 사이드 선바이져
JP2017030731A (ja) * 2015-07-30 2017-02-09 アイシン テクニカル センター オブ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Inc. サンルー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764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741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스크린장치
JPH0257425A (ja) 運搬具用日よけ具
KR102600969B1 (ko) 차량의 스크린 장치
KR20210076562A (ko) 초미세먼지 방지용 나노 방진망을 설치한 창호
KR101230898B1 (ko) 테일게이트의 아웃도어용 패키지 장치
PL361215A1 (en) Canvas awning and camping facility equipped with canvas awning
KR101656272B1 (ko) 탈부착형 방충망
KR101461613B1 (ko) 차량용 차양조립체
KR101876083B1 (ko) 조립식 스탠딩 해먹장치
JP2001090451A (ja) 採光調節装置
KR102530840B1 (ko) 차량용 타프 거치대
CN108482233A (zh) 无人机收放跟踪控制车
KR100528083B1 (ko) 벽면 수납물 말림 장치
KR101251276B1 (ko) 선루프용 롤러 블라인드 장치
JP6887143B1 (ja) 軒を有する建物
JP2009299444A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
JP2006290056A (ja) 車両用のサンシェード装置
KR102496602B1 (ko) 캠핑용 타프의 차량 설치용 지지폴 조립체
KR101675821B1 (ko) 차량용 바람막이 겸용 캐리어
JPH1025992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493143Y1 (ko) 차량용 송풍구 브래킷
CN218117009U (zh) 罩壳固定结构及遮阳棚
KR200327947Y1 (ko) 지프형 화물차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0924381B1 (ko) 차량용 차양장치
KR102586925B1 (ko) 채널을 접을 수 있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