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272B1 - 탈부착형 방충망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272B1
KR101656272B1 KR1020150029793A KR20150029793A KR101656272B1 KR 101656272 B1 KR101656272 B1 KR 101656272B1 KR 1020150029793 A KR1020150029793 A KR 1020150029793A KR 20150029793 A KR20150029793 A KR 20150029793A KR 101656272 B1 KR101656272 B1 KR 101656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window frame
mesh
hous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철근
김창진
Original Assignee
오철근
김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철근, 김창진 filed Critical 오철근
Priority to KR102015002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형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개폐함에 따라 방충망의 개폐가 연동되어 깨끗한 시야 확보와 해충의 실내 들어옴을 방지할 수 있는 탈부착형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방충망은,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일측이 하우징 내에 탄력적으로 권취되도록 설치되는 권취수단, 및 상기 그물망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수단과 고정구 중 어느 하나가 창틀에 설치되면 다른 하나는 수평으로 개폐되는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어 창문을 연 만큼 그물망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형 방충망 {REMOVABLE INSECT SCREEN}
본 발명은 탈부착형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개폐함에 따라 방충망의 개폐가 연동되어 깨끗한 시야 확보와 해충의 실내 들어옴을 방지할 수 있는 탈부착형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더운 여름에 통풍을 위해 열어놓은 창문 등을 통하여 각종 해충이 실내로 날아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짝이 구비된 창틀의 외측에 펼친 상태로 직접 부착하거나, 또는 방충망이 펼쳐진 상태로 부착된 방충망틀을 창틀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하거나 또는 제한적이나마 미닫이식으로 일방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부착 또는 고정형 방충망은 방충망이 창틀에 대하여 항상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방으로의 절첩 조작이 전혀 불가능하거나 또는 그 개방 정도가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창문을 통해 물건을 옮기는 경우에는 방충망을 완전히 창틀로부터 제거 또는 재설치해야 하는 구조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방충망의 제거 및 재설치에 따른 방충망 자체나 방충망틀의 손상 또는 파손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부착 또는 고정형 방충망이 펼쳐진 상태에서 항상 창틀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부로부터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 부착이 매우 용이하여 통풍 및 외부 전망, 또는 채광에 지장을 초래하고, 내부의 창문을 연 경우 방충망에 부착된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며, 비가 오거나 눈이 와서 녹는 경우 그 이물질이 창틀의 바닥 부분에 쌓여 외관상 좋지 않아 이물질을 청소하는 경우 방충망의 설치 위치상 이의 분리 장착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다.
또한, 부착 또는 고정형 방충망의 소재가 주로 철재로 이루어져 비와 눈 등에 노출되어 쉽게 부식되므로 사용 수명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상기 미닫이식 방충망은 창문과 함께 미리 주어진 규격으로 제작한 다음 창문 프레임 시공후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부 레일과 하부의 레일 사이에 슬라이딩이 가능케 끼워 설치된다.
그러나 창문 프레임은 주어진 규격으로 제작된다 하더라도 시공 과정에서 다소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변형 시에는 설치 후에 슬라이딩 작동이 유연하지 못하고 창문 프레임 외부로 이탈되거나 방충망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 비율에 따라 열리는 과정에서 덜컥거리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창문에 그물망이 권취되는 하우징을 장착하고 해충이 실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만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여 가이드를 따라 그물망을 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하우징 내로 그물망을 권취하는 롤러식 방충망이 그 편리성을 이유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 롤러식 방충망은 그물망이 쳐져 있는 상태에서 바람이 불거나 작은 충격만 가해져도 그물망의 양측단이 늘어지거나 이탈되어 그 순간 해충들이 실내로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문헌 제10-2005-0093900호(2005년09월23일) 공개특허문헌 제10-2005-0113338호(2005년12월0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창문을 개폐함에 따라 방충망의 개폐가 연동되어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깨끗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각종 해충이 실내로 날아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탈부착형 방충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사와 같이 창문을 통해 물건을 옮기는 경우에 방충망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편리하고, 탈부착에 따른 손상 또는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방충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하우징 내부에 권취되어 비, 눈 등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종래 방충망보다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탈부착형 방충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물망이 쳐져 있는 상태에서 그물망의 상하측이 팽팽하게 지지되므로 바람이 불거나 충격이 가해져도 늘어지거나 벌어지지 않아 해충들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탈부착형 방충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방충망은,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일측이 하우징 내에 탄력적으로 권취되도록 설치되는 권취수단; 및
상기 그물망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 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수단과 고정구 중 어느 하나가 창틀에 설치되면 다른 하나는 수평으로 개폐되는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어, 창문을 연 만큼 그물망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물망의 상하측에는 피자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창틀의 상하에는 자석과 같은 자성체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자성부재는 그물망의 상하 테두리 부위에, 자석페인트를 도포하거나 자석에 붙는 철 성분이 포함된 철실을 박음질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틀의 상하에는 점착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수단은, 창문 프레임이나 창틀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 지지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그물망의 좌우 이동과 함께 회전되면서 그물망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설치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중심축과 권취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그물망이 권취드럼에 감기도록 권취드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수단은, 탄력성이 있는 본체가 상기 케이스 외측의 상하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연결된 한 쌍의 롤러가 그물망 양측에 전후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여 반대방향으로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그물망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직방향으로 내설되는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지지대의 상하단부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하우징 상하부로 돌출되는 끼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창문을 개폐함에 따라 방충망의 개폐가 연동되어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깨끗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창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각종 해충이 실내로 날아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사와 같이 창문을 통해 물건을 옮기는 경우에 방충망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편리하고, 탈부착에 따른 손상 또는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방충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하우징 내부에 권취되어 비, 눈 등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종래 방충망보다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그물망이 쳐져 있는 상태에서 그물망의 상하측이 팽팽하게 지지되므로 바람이 불거나 충격이 가해져도 늘어지거나 벌어지지 않아 해충들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그물망이 펼쳐진 상태에서 방충망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권취수단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방충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창문 개폐에 따른 도 4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충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그물망이 펼쳐진 상태에서 방충망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권취수단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1)은 권취수단(20), 그물망(10) 및 고정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물망(10)의 일측은 귄취수단(20)의 케이스(21) 내에 탄력적으로 권취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고정구(30)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물망(10)의 상하 테두리에는 상기 그물망(10)이 풀린(펼쳐진) 상태에서 그물망(10)의 상하측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피자성부재(12)가 구비된다.
상기 피자성부재(12)는 예를 들어 그물망(10)의 상하 테두리 부위에 자석페인트를 도포하거나, 자석에 붙는 철 성분이 포함된 철실을 박음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하 창틀에 구비된 자석과 같은 자성체(50)에 부착하려는 성질에 의해 그물망(10)의 상하부가 팽팽하게 지지되므로 외풍에도 쉽게 날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펼쳐진 그물망(10)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그물망(10)의 상하측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피자성부재(12) 및 자성체(50) 대신에 그물망의 상하 테두리 부위이나 상하 창틀에 부착된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점착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벨크로테이프는 그물망과 상하 창틀에 암수로 구성할 수도 있고, 상하 창틀에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권취수단(20)과 고정구(30) 중 어느 하나가 창틀에 설치되면 다른 하나는 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도 4 및 도 5에서는 권취수단(20)이 내부창문 프레임(42)에 설치되고 고정구(30)가 창틀(40)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권취수단(20)은 내부창문 프레임(42)에 케이스(21)가 설치되고, 이 케이스(21)의 중앙에 중심축(22)이 지지된다.
이 중심축(22)의 둘레에는 그물망(10)의 좌우 이동과 함께 회전되면서 그물망(10)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권취드럼(23)이 설치된다.
이러한 중심축(22)과 권취드럼(23)에는 그물망(10)이 권취드럼(23)에 감기도록 권취드럼(23)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25)가 구비된다.
이 탄성부재(25)의 일단은 중심축(22)에 고정되고 탄성부재(25)의 타단은 권취드럼(23)에 고정되어, 이 탄성부재(25)는 내부창문(41)을 열어 그물망(10)이 펼쳐질 때 권취드럼(23)이 회전되면서 탄성변형되고, 내부창문(41)을 닫아 펼쳐진 그물망(10)을 접을 때 탄성변형된 탄성부재(25)가 원래대로 복원되면서 권취드럼(23)이 상술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물망(10)을 말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25)로는 예를 들어 태엽스프링나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5)에 의해 그물망(10)이 권취드럼(23)측으로 당겨지는 힘보다 내부창문(41) 무게에 의해 제자리에 있으려는 힘이 더 크면 펼쳐진 상태의 그물망(10)이 권취드럼(23)에 말리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내부창문(41)을 열거나 닫는 간단한 작업으로 그물망(10)을 자유롭게 펼치거나 권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1)에는 내부창문 프레임(42)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재(26)가 구비된다.
이 고정부재(26)는 권취수단(20)을 내부창문 프레임(42)에 설치할 수 있는 부재이면 - 예를 들어 접착제, 볼트/너트, ㄷ자로 절곡된 걸고리, 클램프(집게), 양면테이프 등 - 모두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권취수단(20)에는 상하 창틀에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점착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케이스(21) 외측의 상하에 결합되어 그물망(10)이 감기거나 풀릴 때 그물망(10) 상하의 양측에서 회전하여 원활하게 감기거나 풀리게 가이드하는 한 쌍의 롤러(27a,27b)를 포함하는 가이드부재(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가이드부재(27)의 본체는 탄성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롤러(27b,27a)가 그물망(10) 상하의 양측의 전후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한다(도 3 참조).
이에 의해 앞에 있는 롤러(27b)는 그물망(10)이 창틀을 향하도록 지지하여 그물망(10)이 풀리는 경우 상하 창틀의 벨크로테이프 등의 점착부재에 그물망(10)이 잘 붙을 수 있도록 작용하고, 뒤에 있는 롤러(27a)는 그물망(10)이 창틀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지지하여 그물망(10)이 감기는 경우 상하 창틀의 점착부재에 붙은 그물망(10)이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물망(10)의 타측에는 그물망(10)이 팽팽하게 지지되고 창틀(4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3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30)는 그물망(30)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에 수직방향으로 내설되는 지지대(32)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30)를 창틀(40)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상기 하우징(31) 내부에서 지지대(32)의 상하단부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33)과, 상기 하우징(31) 내부에서 압축스프링(33)에 의해 탄지되어 하우징(31) 상하부로 돌출되는 끼움부재(3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30)는 하우징(31)에 손잡이(35)를 더 구비하여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그물망(10)을 펼칠 수도 있다.
상기 끼움부재(34)는 예를 들어 창틀(40)의 구성 중 창문이 끼워지는 상하 횡골재의 끝단부에 끼워져 고정구(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방충망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창문 개폐에 따른 도 4의 평단면도이다.
창틀(40)은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어서 창호의 외곽틀을 이룬다.
이러한 창틀(40)의 상하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미도시)가 나란히 형성되어 내부창문(41)과 외부창문(44)이 그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되고, 그물망(10)은 그 가이드 내부에서 펼쳐지거나 감긴다.
또한, 그 가이드에는 자성에 의해 그물망(10)의 상하측을 팽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자석과 같은 피자성체(50)나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점착부재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창문(40)은 내부 창문(41)과 외부 창문(44)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창문(41)은, 창틀(40)에 설치되어 그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내부창문 프레임(42)과 이 내부창문 프레임(42)에 설치되는 내부창문(43)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창문(44)은, 창틀(40)에 설치되어 그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외부창문 프레임(46)과 이 외부창문 프레임(46)에 설치되는 외부창문(45)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창틀(40)에 고정구(30)가 설치되고 내부창문 프레임(42)에 권취수단(30)이 설치되어 내부창문 프레임(42)의 가이드 내부에서 그물망(10)이 펼쳐지거나 감겨진다.
즉, 고정구(30)는 창틀(40)의 우측에 설치되고 권취수단(30)은 내부창문 프레임(42)의 우측에 설치되어서 내부창문 프레임(42)을 개폐함에 따라 그물망(10)이 펼쳐지거나 감기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부창문(41)을 열면 내부창문(41)을 연 만큼 그물망(10)이 권취수단(20)에서 빠져나오고, 내부창문(41)을 닫으면 내부창문(41)을 닫는 만큼 그물망(10)도 함께 권취수단(20)에 말려들어 가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내부창문(41)을 열었을 경우에는 그물망(10)이 개구부를 가리게 되어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고, 내부창문(41)을 닫았을 경우에는 그물망(10)이 시야에서 사라져서 쾌적한 조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방충망(1)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기간이나 창문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방충망(1)을 창틀(40)과 내부창문 프레임(42)에서 분리하여 그물망(10)을 권취수단(20)의 케이스(21)에 내장 보관하면 그물망(10)을 오염으로부터 방지하고 창문의 외관과 유리를 통한 조망도 개선된다.
또한, 상기 내부창문(41)이 열려 그물망(10)이 펼쳐진 상태에서 그물망(10) 상하측에 구비된 피자성부재(12)가 상하 창틀에 구비된 자성체(50)에 부착되거나, 그물망(10)의 상하가 점착부재에 점착되어 그물망(10)의 상하부가 팽팽하게 지지되므로 외풍에도 쉽게 날리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방충망 10: 그물망
12: 피자성부재 20: 권취수단
30: 고정구 40: 창틀
50: 자성체

Claims (7)

  1. 상하 테두리 부위에 자석페인트를 도포하거나 자석에 붙는 철 성분이 포함된 철실을 박음질한 피자성부재가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그물망의 일측이 케이스 내에 탄력적으로 권취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부재에 의해 내부창문 프레임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 지지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둘레에 그물망의 좌우 이동과 함께 회전되면서 그물망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설치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중심축과 권취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그물망이 권취드럼에 감기도록 권취드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권취수단; 및
    상기 그물망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하에 자석과 같은 자성체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창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그물망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소정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직방향으로 내설되는 지지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지지대의 상하단부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채 하우징 상하부로 돌출되어 창틀의 구성 중 창문이 끼워지는 상하 횡골재의 끝단부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끼움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손으로 잡고 그물망을 펼칠 수도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고정구; 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에 고정구가 설치되고 내부창문 프레임에 권취수단이 설치되어 내부창문 프레임을 개폐함에 따라 내부창문 프레임에 설치된 권취수단의 권취드럼이 회전하여 내부창문을 연만큼 그물망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방충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은, 탄력성이 있는 본체가 상기 케이스 외측의 상하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연결된 한 쌍의 롤러가 그물망 양측에 전후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여 반대방향으로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방충망.
  7. 삭제
KR1020150029793A 2015-03-03 2015-03-03 탈부착형 방충망 KR10165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793A KR101656272B1 (ko) 2015-03-03 2015-03-03 탈부착형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793A KR101656272B1 (ko) 2015-03-03 2015-03-03 탈부착형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272B1 true KR101656272B1 (ko) 2016-09-09

Family

ID=5693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793A KR101656272B1 (ko) 2015-03-03 2015-03-03 탈부착형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2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690B1 (ko) * 2016-12-15 2019-02-11 김성현 차단막 롤링 장치
KR20200121158A (ko) 2019-04-15 2020-10-23 최서영 미세먼지방지용 자동개폐창문
CN115405217A (zh) * 2022-09-14 2022-11-29 费国均 一种铝合金门窗的窗纱拆装方法
KR102628353B1 (ko) 2023-07-24 2024-01-24 신현호 방충망 탈부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885A (ja) * 2001-04-24 2002-11-08 Shin Nikkei Co Ltd ロール網戸の網体吸着構造
KR200375072Y1 (ko) * 2004-11-05 2005-02-05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공압식 갤러리 창호
KR20050093900A (ko) 2004-03-19 2005-09-23 유영수 개폐 조작 가능한 절첩식 방충망 구조
KR200398819Y1 (ko) * 2005-07-19 2005-10-18 노원철 방충망
KR20050113338A (ko) 2004-05-27 2005-12-02 주식회사 이건창호시스템 착탈형 행거식 방충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885A (ja) * 2001-04-24 2002-11-08 Shin Nikkei Co Ltd ロール網戸の網体吸着構造
KR20050093900A (ko) 2004-03-19 2005-09-23 유영수 개폐 조작 가능한 절첩식 방충망 구조
KR20050113338A (ko) 2004-05-27 2005-12-02 주식회사 이건창호시스템 착탈형 행거식 방충망 장치
KR200375072Y1 (ko) * 2004-11-05 2005-02-05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공압식 갤러리 창호
KR200398819Y1 (ko) * 2005-07-19 2005-10-18 노원철 방충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690B1 (ko) * 2016-12-15 2019-02-11 김성현 차단막 롤링 장치
KR20200121158A (ko) 2019-04-15 2020-10-23 최서영 미세먼지방지용 자동개폐창문
CN115405217A (zh) * 2022-09-14 2022-11-29 费国均 一种铝合金门窗的窗纱拆装方法
CN115405217B (zh) * 2022-09-14 2024-05-03 廊坊市万丽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铝合金门窗的窗纱拆装方法
KR102628353B1 (ko) 2023-07-24 2024-01-24 신현호 방충망 탈부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272B1 (ko) 탈부착형 방충망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20210076562A (ko) 초미세먼지 방지용 나노 방진망을 설치한 창호
KR20200059969A (ko) 롤타입의 방충방진망
KR101844446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2031649B1 (ko) 방충망 일체형 창호
US9022089B1 (en) Window with retractable barrier assembly
KR100952573B1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2295250B1 (ko) 롤스크린 방진망 탈부착형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KR101340926B1 (ko) 어닝을 이용한 조립식 간이 부스
KR101843723B1 (ko) 환기장치
KR100894610B1 (ko) 창호와 연동 개폐되는 방충망 장치
KR101132145B1 (ko) 롤 방충망의 개폐수단을 갖는 창호
KR20210076568A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KR20140137137A (ko) 자동개폐식 방충망이 구비된 창문구조
KR101877329B1 (ko) 방충망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358945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캐터필러 구조
JP2011026797A (ja) 補助建具付き建具
KR20200121226A (ko) 흔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방진망 프레임 및 프레임에 방진망을 결합시키는 결합구조
KR102024984B1 (ko) 들창용 미세 먼지 제거장치
KR100823581B1 (ko)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20160000174U (ko) 틈새방충망
KR200296940Y1 (ko) 롤 스크린 방충망의 부착구조
KR100925815B1 (ko) 방충망이 설치된 자유개폐형 미닫이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