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947B1 -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947B1
KR102600947B1 KR1020220088010A KR20220088010A KR102600947B1 KR 102600947 B1 KR102600947 B1 KR 102600947B1 KR 1020220088010 A KR1020220088010 A KR 1020220088010A KR 20220088010 A KR20220088010 A KR 20220088010A KR 102600947 B1 KR102600947 B1 KR 10260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veyor belt
water wall
tip
suppl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현
Original Assignee
황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현 filed Critical 황성현
Priority to KR1020220088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에 수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클리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급수부재(20); 상기 급수부재(20)의 하류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세척수의 수류를 이용하여 수벽을 형성하는 수벽부재(30); 및 상기 급수부재와 상기 수벽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다소 협소한 공간일지라도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을 유지하고 설정된 세척 조건의 변동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갖추어 다양한 환경에서 유용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Apparatus for cleaning conveyor belt based on water wall}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클리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분체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석탄, 철광석, 석회석, 곡물 등을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미세입자 등의 이물질이 벨트 표면에 부착되기 쉽다. 이물질을 수시로 제거하지 않으면 주변으로 비산되어 작업장 환경을 해칠뿐더러 벨트 표면에 고착되면서 설비고장, 화재, 안전사고 등을 유발한다.
컨베이어 벨트의 세척을 위해 브러시 클리너, 에어클리너, 초음파 클리너 등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설비의 간편성과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측면에서 수벽(水壁)을 기반으로 세척하는 방식 선호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2-033025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84610호(선행문헌 2) 등의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컨베이어벨트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분사노즐의 컨베이어벨트 하류측에 설치되는 수절롤러 및 가압롤러, 수절롤러 및 가압롤러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건식클리너, 세정을 마친 배수를 포집하는 슈트 등을 포함한다. 이에, 컨베이어벨트에 부착된 분체를 제거하여 내마모성, 유지보수성, 내구성을 높이고 분체를 재활용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벨트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와 회전하는 원심력과 물의 응집력을 이용해서 컨베이어 벨트를 탈수ㆍ세정하는 제거롤러를 포함하며, 제거롤러는 회수부가 접촉되는 부분에서 물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벨트 표면에 부착된 분체와 물이 제거되는 물 벽을 형성한다. 이에,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용이하게 정비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다소 협소한 세척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경박단소화 측면과 세척 조건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성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를 보이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2-033025호 "벨트 컨베이어 수세 크리너 장치" (공개일자 : 1990.02.0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84610호 "컨베이어 벨트 탈수 및 세정장치" (공개일자 : 2020.03.0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부착된 미세입자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다소 협소한 공간일지라도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정된 세척 조건의 변동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갖추는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에 수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클리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급수부재; 상기 급수부재의 하류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세척수의 수류를 이용하여 수벽을 형성하는 수벽부재; 및 상기 급수부재와 상기 수벽부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급수부재는 수직의 수류를 형성하는 메인노즐, 수평의 수류를 증강하는 서브노즐,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방진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급수부재는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에 각각 수류를 형성하는 통합노즐, 상하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 사이를 연결하는 유도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벽부재는 곡면을 이루는 곡면팁, 단일 각도를 이루는 평면팁, L형 단면을 이루는 절곡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곡면팁, 상기 평면팁, 상기 절곡팁은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에 대한 자세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보조부재는 수벽부재에 수류로 유발되는 요동을 부가하는 요동부, 수벽부재에 전기력으로 유발되는 진동을 부가하는 가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 벨트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다소 협소한 공간일지라도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을 유지하고 설정된 세척 조건의 변동에 대응하는 유연성을 갖추어 다양한 환경에서 유용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벽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보조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에 수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클리닝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석탄, 철광석, 석회석, 곡물 등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벽은 분체(미세입자) 상태로 벨트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된 이물질의 탈락을 유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부재(20)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10) 상에 급수부재(20)가 연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컨베이어 벨트(10)는 풀리(11)에 벨트를 연결한 구조로서 다수의 지지롤러(13)에 의하여 벨트의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급수부재(20)는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서 수류를 형성하여 이물질의 탈락을 위한 응집력을 작용한다. 세척수의 수류는 주로 상방향으로 유지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척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이송 대상물과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물성(탁도, pH 등) 범위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급수부재(20)는 수직의 수류를 형성하는 메인노즐(21), 수평의 수류를 증강하는 서브노즐(22),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방진노즐(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급수부재(20)를 구성하는 메인노즐(21), 서브노즐(22), 방진노즐(23) 등이 나타난다. 메인노즐(21)은 세척수의 수직 분사를 유발하고 서브노즐(22)는 세척수의 수평 분사를 유발한다. 수직과 수평의 수류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저면의 일지점에서 교차된다. 방진노즐(23)은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면의 하류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방진노즐(23)은 먼지의 비산 방지를 위해 메인노즐(21)과 서브노즐(22)보다 압력을 낮게 범위를 넓게 유지한다.
이때, 메인노즐(21), 서브노즐(22), 방진노즐(23)은 하측의 회수조(42)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메인노즐(21)와 서브노즐(22)은 회수조(42) 상측 영역에 배치된 분사펌프(27)에 연결하고, 방진노즐(23)은 회수조(42)의 하측 영역에 배치된 배출펌프(28)에 연결한다. 회수조(42)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외부의 원수조와 보충펌프를 더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급수부재(20)는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10)에 각각 수류를 형성하는 통합노즐(24), 상하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10) 사이를 연결하는 유도슈트(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급수부재(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10), 통합노즐(24), 유도슈트(25) 등이 나타난다. 컨베이어 벨트(10)는 2개 이상을 상하로 배치하며, 상측 벨트의 하류단이 하측 벨트의 상류단과 다소 중첩된다. 통합노즐(24)은 전술한 메인노즐(21), 서브노즐(22), 방진노즐(23)을 하나로 통합하여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이다. 유도슈트(25)의 유동 단면적은 상측 벨트의 하류단에서 확장되고 하측 벨트의 상류단에서 축소된다.
도 2의 구성에 의하면 도 1의 회수조(42), 분사펌프(27), 배출펌프(28) 등을 최소한의 규격으로 축소하거나 아예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자연(중력) 살수 방식이므로 방진노즐(23)이 생략되어도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급수부재(20)의 하류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수벽부재(30)가 세척수의 수류를 이용하여 수벽을 형성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벽부재(30)가 컨베이어 벨트(10), 급수부재(20) 등과 연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수벽부재(30)는 분사된 세척수를 잠시 머무르게 하도록 컨베이어 벨트(10)의 저면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수벽부재(30)는 벨트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세척수가 통과되지 않는 씰(seal)의 역할을 한다. 수벽부재(30)에 지속적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수벽에 충돌하여 응집력을 부가하므로 이물질의 탈락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10)에서 수벽부재(30)에 대응하는 상측으로 푸시롤러(15)가 설치된다. 푸시롤러(15)는 수벽부재(30)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2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푸시롤러(15)는 세척수의 수류에 의해 수벽부재(30)가 벨트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벽부재(30)는 곡면을 이루는 곡면팁(31), 단일 각도를 이루는 평면팁(33), L형 단면을 이루는 절곡팁(3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수벽부재(30)를 구성하는 곡면팁(31), 평면팁(33), 절곡팁(35)이 개별적으로 적용된 나타난다. 도 3(a)의 곡면팁(31)은 진원형 단면, 타원형 단면, 호형 단면 등에서 선택 가능하다. 도 3(b)의 평면팁(33)은 수평면에 대하여 구배를 이루는 평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세척수가 도달하지 않는 영역은 어떠한 각도로 연장되어도 무방하다. 도 3(c)의 절곡팁(35)은 수평면과 수직면을 연결하여 2개의 평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어느 경우에나 컨베이어 벨트(10)의 저면과 밀접한 영역에 수벽의 포켓을 형성하여 세척수가 일시 정체되며 응집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벽부재(30)를 고정식으로 구성하면 회전식에 비하여 단순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이다.
급수부재(20)의 분사 수량이 적어도 세척수가 벨트 표면에 묻어 수막을 형성하므로 팁(31)(33)(35)이나 벨트(10)의 마모/손상을 방지하기 적합하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곡면팁(31), 평면팁(33), 절곡팁(35)은 2가지 이상을 중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10)의 오염 상태 등을 감안하여 폭을 기준으로 중앙과 변부에 차등적으로 적용한다. 이 경우 상호 경계를 이루는 부분은 점진적으로 변형되도록 연결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곡면팁(31), 상기 평면팁(33), 상기 절곡팁(35)은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대한 자세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수벽부재(30)의 곡면팁(31), 평면팁(33), 절곡팁(35)은 정위치를 유지하는 고정식이다. 다만 곡면팁(31), 평면팁(33), 절곡팁(35)은 세척수의 압력에 연동하여 약간의 자세 변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수벽부재(30)의 자세변동은 세척수를 수평적 통과를 차단하는 씰(seal)의 기능을 유지하는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부재가 상기 급수부재(20)와 상기 수벽부재(3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조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보조부재는 급수부재(20)의 분사 기능과 수벽부재(30)의 수벽 기능을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노즐과 팁의 형태적 변형을 포함할 수 있고, 수류 형성을 조절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는 수벽 형성 포켓의 크기를 증대하는 구조로 구현되고, 후자는 마이컴 회로의 제어기(도시 생략)를 기반으로 하는 자동제어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보조부재는 수벽부재(30)에 수류로 유발되는 요동을 부가하는 요동부(46), 수벽부재(30)에 전기력으로 유발되는 진동을 부가하는 가진부(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부재를 구성하는 전동밸브(44), 요동부(46), 가진부(48) 등이 나타난다. 전동밸브(44)는 서브노즐(22)에 설치되어 세척수 분사를 단속한다. 도 4(a)의 요동부(46)로서, 수벽부재(30)는 장공을 지닌 브라켓을 개재하여 수평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벽부재(30)의 중심축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4(b)의 가진부(48)로서, 수벽부재(30)는 브라켓을 개재하여 상하로 미세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벽부재(30)의 중심축에는 압전소자가 연결되어 미세진동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컨베이어 벨트 11: 풀리
13: 지지롤러 15: 푸시롤러
20: 급수부재 21: 메인노즐
22: 서브노즐 23: 방진노즐
24: 통합노즐 25: 유도슈트
27: 분사펌프 28: 배출펌프
30: 수벽부재 31: 곡면팁
33: 평면팁 35: 절곡팁
37: 배수슈트 42: 회수조
44: 전동밸브 46: 요동부
48: 가진부

Claims (6)

  1. 삭제
  2. 컨베이어 벨트에 수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클리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급수부재(20);
    상기 급수부재(20)의 하류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세척수의 수류를 이용하여 수벽을 형성하는 수벽부재(30); 및
    상기 급수부재(20)와 상기 수벽부재(3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부재(20)는 수직의 수류를 형성하는 메인노즐(21), 수평의 수류를 증강하는 서브노즐(22),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는 방진노즐(23)을 구비하고,
    상기 수벽부재(30)는 곡면을 이루는 곡면팁(31), 단일 각도를 이루는 평면팁(33), L형 단면을 이루는 절곡팁(3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곡면팁(31), 상기 평면팁(33), 상기 절곡팁(35)은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대한 자세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3. 컨베이어 벨트에 수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클리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수류를 형성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급수부재(20);
    상기 급수부재(20)의 하류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세척수의 수류를 이용하여 수벽을 형성하는 수벽부재(30); 및
    상기 급수부재(20)와 상기 수벽부재(3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보조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급수부재(20)는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10)에 각각 수류를 형성하는 통합노즐(24), 상하로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10) 사이를 연결하는 유도슈트(25)를 구비하고,
    상기 수벽부재(30)는 곡면을 이루는 곡면팁(31), 단일 각도를 이루는 평면팁(33), L형 단면을 이루는 절곡팁(35)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곡면팁(31), 상기 평면팁(33), 상기 절곡팁(35)은 컨베이어 벨트(10)의 표면에 대한 자세의 변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수벽부재(30)에 수류로 유발되는 요동을 부가하는 요동부(46), 수벽부재(30)에 전기력으로 유발되는 진동을 부가하는 가진부(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KR1020220088010A 2022-07-18 2022-07-18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KR10260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10A KR102600947B1 (ko) 2022-07-18 2022-07-18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10A KR102600947B1 (ko) 2022-07-18 2022-07-18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947B1 true KR102600947B1 (ko) 2023-11-13

Family

ID=8874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010A KR102600947B1 (ko) 2022-07-18 2022-07-18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94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025A (ja) 1988-07-22 1990-02-02 Sumitomo Metal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水洗クリーナ装置
KR20060118252A (ko) * 2005-05-16 2006-11-23 신우기연 주식회사 유체충돌을 이용한 세척 장치
KR200434291Y1 (ko) * 2006-09-28 2006-12-1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충격력을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90105233A (ko) * 2008-04-02 2009-10-07 신우기연 주식회사 컨베이어벨트의 세척장치
KR101007228B1 (ko) * 2010-07-22 2011-01-12 승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어나이프닥터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 세정집진장치
KR20120070191A (ko) * 2010-12-21 2012-06-29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 벨트 세척 및 철광석 분리장치
KR20180009906A (ko) * 2016-07-20 2018-01-30 주식회사 더블유 공기분사와 건식살수를 이용한 컨베어 벨트 크리닝 시스템
KR102084610B1 (ko) 2019-05-20 2020-03-05 황성현 컨베이어 벨트 탈수 및 세정장치
KR102411127B1 (ko) * 2022-03-04 2022-06-22 최원호 원료 이송 컨베이어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025A (ja) 1988-07-22 1990-02-02 Sumitomo Metal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水洗クリーナ装置
KR20060118252A (ko) * 2005-05-16 2006-11-23 신우기연 주식회사 유체충돌을 이용한 세척 장치
KR200434291Y1 (ko) * 2006-09-28 2006-12-1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충격력을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KR20090105233A (ko) * 2008-04-02 2009-10-07 신우기연 주식회사 컨베이어벨트의 세척장치
KR101007228B1 (ko) * 2010-07-22 2011-01-12 승진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어나이프닥터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 세정집진장치
KR20120070191A (ko) * 2010-12-21 2012-06-29 주식회사 포스코 리턴 벨트 세척 및 철광석 분리장치
KR20180009906A (ko) * 2016-07-20 2018-01-30 주식회사 더블유 공기분사와 건식살수를 이용한 컨베어 벨트 크리닝 시스템
KR102084610B1 (ko) 2019-05-20 2020-03-05 황성현 컨베이어 벨트 탈수 및 세정장치
KR102411127B1 (ko) * 2022-03-04 2022-06-22 최원호 원료 이송 컨베이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27B1 (ko)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US3921250A (en) Suction cleaner air inlet device
KR102600947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수벽방식 클리닝 장치
JP6298357B2 (ja) 集塵装置
CN102599868A (zh) 洗涤干燥擦洗机
JP2020082323A (ja) 研磨装置
KR102084610B1 (ko) 컨베이어 벨트 탈수 및 세정장치
JP3355098B2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の洗浄装置
JPH0364779B2 (ko)
CN109996746A (zh) 空气悬浮式输送带装置
US407948A (en) Dust collector for middlings purifiers
KR100885907B1 (ko) 에어 크린룸용 에어 크리닝 유니트
KR20190029120A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KR101975379B1 (ko) 회전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식 세정 장치
KR101245757B1 (ko) 바닥의 자동 청소 장치
US3633752A (en) Irrigation water screen
KR100857525B1 (ko) 미세 오염물 흡입장치
KR101925626B1 (ko) 에어 플로팅 컨베이어
CN209550129U (zh) 一种银钯合金复合材料加工用除尘设备
CN219859169U (zh) 一种大倾角皮带机粘料清理系统
JP7372596B2 (ja) 粉粒体搬送ホッパ
JP5667669B2 (ja) 乾式クリーニング機を備えた板材切断装置
CN215556819U (zh) 皮带机头清扫器及干选机
KR0123590Y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에어블로워
US5003661A (en) Forced air apparatus for directing filtered air against a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