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776B1 -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776B1
KR102600776B1 KR1020187006881A KR20187006881A KR102600776B1 KR 102600776 B1 KR102600776 B1 KR 102600776B1 KR 1020187006881 A KR1020187006881 A KR 1020187006881A KR 20187006881 A KR20187006881 A KR 20187006881A KR 102600776 B1 KR102600776 B1 KR 10260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ection
attachment
child seat
seat
upp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508A (ko
Inventor
마틴 포스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8665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60077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67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 부재뿐만 아니라 바닥 표면, 특히 자동차의 발밑 공간부((footwell) 상에 어린이 시트를 지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지 레그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바닥 표면, 특히 발밑 공간부와 상기 지지 레그의 지면 접촉(ground contact)을 표시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지지 레그는 하나 이상의 상부 신축 섹션(10) 및 하부 신축 섹션(11)을 가지며, 상부 신축 섹션 및 하부 신축 섹션은 상기 지지 레그의 연장 및 단축을 위해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신축 섹션(11)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는 작동 연결부가 존재하며, 상기 작동 연결부는 상부 섹션(10)에 대한 하부 섹션(11)의 시프팅이 지지 레그 단부의 지면 접촉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제를 유도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child seat)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어린이 시트"는 (고전적) 어린이 카시트 및 베이비 캐리어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문맥에서 어린이 시트에 제공되는 특징은 기본적으로 베이비 캐리어에 적용가능하고 아무런 언급이 없는 한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용어 "어린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어린이들 및 베이비들 뿐만 아니라 갓난아이들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도 이해된다.
일반적인 어린이 시트는 예를 들어 WO 2013/189819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레그(support leg)(도 1)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어린이 시트가 베이스(발밑 공간부, footwell) 상에 지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 레그가 지면과 접촉할 때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며, 디스플레이는 가능하면 간단하고 안전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어린이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상기 목적은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어린이 시트는 시트 부재 및 베이스 표면, 특히 차량의 발밑 공간부 상에 어린이 시트를 지탱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레그(support leg)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베이스 표면, 특히 발밑 공간부와 상기 지지 레그의 지면 접촉(ground contact)을 표시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지지 레그는 하나 이상의 상부 신축(telescopic) 섹션 및 하나 이상의 하부 신축 섹션을 가지며, 상부 신축 섹션 및 하부 신축 섹션은 상기 지지 레그의 연장(lengthening) 및 단축(shortening)을 위해 서로에 대해 변위가능(displaceable)하며, 상기 하부 신축 섹션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는 작동 연결부(operative connection)가 존재하며, 상기 작동 연결부는 상부 섹션에 대한 하부 섹션의 시프팅(shifting)이 지지 레그 단부의 지면 접촉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트리거링을 유도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핵심 개념은 제1 섹션 및 제 2 섹션이 원칙적으로 서로에 대해 상호 변위가능하다는 지면 접촉을 표시하는 관점과, 지면 접촉으로 인해 특정한 힘이 하부 섹션에 작용하고, 이를 통해 상부 섹션에 대한 하부 섹션의 변위가 가능해질 수 있는 추가 관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레그의 풋(foot)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며 비교적 고가의 전자 시스템이 필요하고 특정 시간 후에 교체될 필요가 있는 배터리를 갖는 전자 센서는 필요하지 않다. 또한, 지지 레그의 하부 섹션과의 작동 연결부는 작동이 명확하게 정의된 방식으로 발생하도록 하여(상부 및 하부 섹션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이용되기 때문에), 흔들림(wobbling) 모션 또는 캔팅(canting)(예를 들면, 변위가능한 부재가 지지 레그의 근위단 섹션에 배치되는 해결책에서와 같이)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트리거링 동안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작동 연결부는 하부 섹션으로부터의 (압축성) 힘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계적으로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작동 연결부는 기계적 (힘-전달용) 작동 연결부이다. 특히, 전기적 전송 또는 다른 전기적 또는 전자적 컴포넌트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간단한 수단으로 지면 접촉의 표시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특정 실시 예에서, 작동 연결부는 로드를 포함한다. 이 로드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예를 들어 직사각형 단면, 또는 U-형 또는 C-형 단면과 같은 프로파일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효과를 전달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작동 연결부 및/또는 로드는 상부 섹션 길이의 적어도 60%, 바람직하게 적어도 8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작동 연결부 및/또는 로드는 적어도 10cm, 바람직하게 적어도 15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섹션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설정(또는 로킹)하기 위한 로킹 장치가 제공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로킹 상태에서, 제1 및 제2 섹션은 일정 거리만큼, 예를 들어 2cm 이하로 이동가능하다. 거리는 적어도 3mm가 될 수 있다. 이것은, 로킹 상태에서(지지 레그의 길이가, 상기 거리와는 별도로, 원칙적으로 결정되는), 일정한 (미리 정의된) 상대적 이동이 여전히 허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 연결부를 통해 트리거링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로킹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면 접촉을 검출하는 태스크를 담당하며, 일반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 그러나 신뢰성있는 구조가 된다.
로킹 장치는 슬롯 및/또는 로킹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로킹 핀은,(단지), 즉 로킹 위치에서,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및 제2 섹션이 지지 레그의 최대(또는 최소) 설정 길이까지 서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슬롯은 바람직하게 제1 섹션에 제공된다.
로킹 핀은 바람직하게 로킹 위치에서 하부 섹션과 연결되어, 상기 섹션이 로킹 핀에 대해 이동할 수 없도록 한다. 전반적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이 제공되어 상부와 하부 섹션 사이의 로킹을 동시에 수행하고 지면 접촉을 쉽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린이 시트는 제1 단부가 제1 섹션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제2 단부가 작동 연결부, 특히 로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스프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스프링은 로킹 상태에서 제1 및 제2 섹션을 서로 멀어지게 푸싱한다. 바람직하게, 스프링은, 로킹 상태에서, 로킹 장치를 통해 하부 섹션에 간접적으로(선택적으로 로킹 장치를 통해서만) 연결된다. 이것은 지면 접촉이 존재하지 않을 때 지지 레그에 의해 추정되는 기본 위치를 허용한다. 그러나, 지면 접촉이 있을 때, 하부 섹션은 지면과의 압력 접촉에 의해 스프링의 작용에 대해 상부 섹션의 방향으로 푸싱되므로 (작동 연결부를 통한) 지면 접촉의 표시가 실현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것은 지면 접촉을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작동 연결부, 특히 로드는, 로킹 상태에서, 제2 섹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제1 섹션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이런 조치는 또한 지면 접촉의 신뢰성있는 표시를 촉진한다.
지지 레그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언로킹 상태에서, 작동 연결부, 특히 로드는 제1 섹션에 대해 그리고 제2 섹션 둘다에 대해 이동가능할 수 있다. 특히, 언로킹 상태에서, 작동 연결부(및/또는 로드)는 상부 섹션에 대해 전술한 (작은) 이동 거리만큼만 이동가능하지만, 하부 섹션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언로킹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상부 및 하부 섹션의 최대 가능한 변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레그의 근위단에 배치된다. 이것은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볼 수 있도록 보장한다.
상부 섹션은 중첩 영역의 하부 섹션을 둘러쌀 수 있다.
상부 섹션 및/또는 하부 섹션은 튜브(또는 프로파일, 예를 들어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섹션은 바람직하게 외부 튜브(또는 외부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이다. 하부 섹션은 바람직하게 내부 튜브(또는 내부 프로파일, 특히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이다. 이로써, 지지 레그의 길이의 조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종속항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지지 레그는 본 발명의 독립적인 주제로서 개시되고 청구된다. 특히, 지지 레그 및 그 부재에 기인하는 모든 피쳐 조합은 별도의 발명으로 개시되고 청구된다.
지지 레그와 별개로, 어린이 시트는 WO 2013/189819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지지 레그의 단면을, 로킹 상태에서,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는 지면 접촉 후의 도 1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고 등가인 부분에 사용된다.
도 1은 상부 섹션(10)과 하부 섹션(11)을 갖는 지지 레그의 섹션을 도시한다. 상부 섹션(10)은 어린이 시트의 시트 표면(도시 안됨)에 더 가깝다. 하부 섹션(11)은 지지 레그의 풋(도시 안됨)에 더 가깝다.
신축 지지 레그는 이 경우에 서로에 대해 신축식으로(telescopically) 변위가능한 2개의 섹션(10, 11)을 정확하게 포함한다. 그러나, 추가의(아마도 신축식으로 변위가능한) 섹션이 제공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하부 섹션(11)은 상부 섹션(10) 내에서(중첩 영역에서) 안내된다.
로킹 장치(12)는 베이스부(14) 및 로킹 핀(13)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 레그의 로킹 상태에서(뿐만아니라 원칙적으로 언로킹 상태에서), 로킹 장치(12)는 상부 섹션(10)에 대해, 즉 리세스(슬롯)(16)에 의해 한정되는 거리(15)만큼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의 로킹 상태에서, 로킹 핀(13)은 하부 섹션의 리세스(17)(복수의 리세스(17)들)에 견고히 결합하여, 하부 섹션(11)은 로킹 장치에 대해 움직일 수 없다. 스프링(18)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 레그의 언로딩(unloaded) 상태에서, 로킹 장치(12)가 하부 섹션(11)과 함께 하향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프링(18)은 순수하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특히 (도 1 및 도 2에서) 스프링(18)의 상단부는 스톱부(19)와 동일하게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스프링(18)은 상부 섹션(10)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스톱부(19)와 로킹 장치(12) 사이에 작용한다. 스프링의 상단부는 예를 들어 스톱부(19)의 상단부(25)와 접촉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둘다에서). 스톱부(19)는 상부 섹션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제, 지지 레그의 지면 접촉이 발생할 때, 하부 섹션 또는 로킹 장치(12)를 스프링력에 대하여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력) 힘이 초래되므로, 도 2의 위치에 도달한다.
로킹 장치(12)는 상단부(도 1 및 도 2에 도시 않음)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그 자체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형성하는 로드(2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로드(20)의 상단부가 개구부로부터 돌출하거나(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또는 개구부 내로 사라지는(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로드(20)의 상단부가 기계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 2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의 제1 위치로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의 제2 위치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에 따른 지면 접촉이 있다면 녹색 영역을 보이게 할 수 있고, 지면 접촉이 존재하지 않으면 적색 영역을 보이게 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상부 섹션(10) 내에서 하부 섹션(11)의 효율적인 유도를 허용한다. 이 경우, 이들 가이드부 사이의 넓은 거리는 한편으로 레그 길이의 신뢰성있는 조정을 허용하고 다른 한편으로 지면 접촉을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서로 이용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트리거링 될 때, 흔들림 또는 틸팅이 방지된다(또는 적어도 최소화된다).
로킹 핀(13)은 리세스(16)(언로킹 위치)에만 결합되거나 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섹션(10)의 리세스(16)와 연결되어 하부 섹션(11)의 리세스(17)들 중 하나로 도입되도록 변위가능하다. 로킹 핀(13)의 대응하는 변위를 위해, 통상적인 장치가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이 장치는 이 경우에 상세히 인식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스프링이 장착된) 작동 노브(22) 및/또는 풀링(pulling) 장치가 이 장치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참조 번호 23으로 지시되며 선택적으로 변위(예를 들어, 작동 노브에 의해 수행된) 및/또는 로킹 핀(13)의 기하학적 구조(예를 들어, 경사면 (24))의 결과로서 로킹 핀을 풀링함으로써 언로킹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3에서, 시트 부재(1)(베이스 및 시트 팬(pan)을 갖는) 및 지지 레그(2)를 포함하는 전체 어린이 시트가 도시되어 있다.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참조 번호 3으로 개략적으로 지시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참조 번호 4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전술된 모든 부분은 단독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특히 도면에 도시된 상세 사항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청구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 변형은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1 시트 부재
2 지지 레그
3 디스플레이 장치
4 디스플레이 장치
10 상부 섹션
11 하부 섹션
12 로킹 장치
13 로킹 핀
14 베이스부
15 거리
16 리세스
17 리세스
18 스프링
19 스톱부
20 로드
21 가이드부
22 작동 노브
23 풀링 장치
24 경사면
25 상단부

Claims (17)

  1.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로서,
    시트 부재(1) 및 차량의 베이스 표면 상에 어린이 시트를 지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지 레그(support leg)(2)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표면과 상기 지지 레그의 지면 접촉(ground contact)을 표시하도록 설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 레그(2)는 하나 이상의 상부 섹션(10) 및 하나 이상의 하부 섹션(11)을 가지며, 상부 섹션 및 하부 섹션은 상기 지지 레그의 연장 및 단축을 위해 서로에 대해 변위가능하며, 상기 하부 섹션(11)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는 작동 연결부(12, 20)가 존재하며, 상기 작동 연결부는 상부 섹션(10)에 대한 하부 섹션(11)의 변위가 지지 레그 단부의 지면 접촉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트리거링을 유도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연결부는 하부 섹션(11)으로부터의 힘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계적으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연결부는 로드(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연결부는 로킹 장치(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부 섹션(10)과 하부 섹션(11)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상기 로킹 장치(12)가 제공되고, 상기 상부 섹션(10)과 하부 섹션(11)은 로킹 상태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10)과 하부 섹션(11)은 로킹 상태에서 2㎝ 이하의 거리만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리세스(16)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6)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로킹 핀을 가지며, 상기 로킹 핀은 상기 리세스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거나, 또는 상부 섹션(10)과 하부 섹션(11)이 지지 레그의 (미리 결정된) 최대 길이까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10. 제4항에 있어서,
    스프링(18)이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의 제1 단부는 상부 섹션(10)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의 제2 단부는 작동 연결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스프링이 상부 섹션(10) 및 하부 섹션(11)을 로킹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11. 제4항에 있어서,
    로킹 상태에서 작동 연결부는 하부 섹션(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부 섹션(10)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12. 제4항에 있어서,
    지지 레그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언로킹 상태에서 작동 연결부는 상부 섹션(10) 및 하부 섹션(11) 둘 다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연결부는 로킹 장치(12)를 포함하되,
    스프링(18)이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의 제1 단부는 상부 섹션(10)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의 제2 단부는 로드 상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스프링이 상부 섹션(11) 및 하부 섹션(10)을 로킹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것과,
    로킹 상태에서 로드가 하부 섹션(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부 섹션(10)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과,
    지지 레그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는 언로킹 상태에서 로드가 상부 섹션(10) 및 하부 섹션(11) 둘 다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3)는 지지 레그(2)의 말단 중에서 시트 부재(1)에 가까운 말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섹션(10)은 중첩 영역에서 하부 섹션(11)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섹션(10) 및 하부 섹션(11)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튜브 또는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섹션이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 섹션이 C-프로파일 또는 U-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상부 섹션이 외부 튜브 또는 외부 프로파일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섹션이 내부 튜브 또는 내부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KR1020187006881A 2015-09-09 2016-09-09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KR102600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5104792.4U DE202015104792U1 (de) 2015-09-09 2015-09-09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202015104792.4 2015-09-09
PCT/EP2016/071298 WO2017042330A1 (de) 2015-09-09 2016-09-09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508A KR20180067508A (ko) 2018-06-20
KR102600776B1 true KR102600776B1 (ko) 2023-11-09

Family

ID=5486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881A KR102600776B1 (ko) 2015-09-09 2016-09-09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30412B2 (ko)
EP (2) EP3347234B1 (ko)
JP (1) JP6710750B2 (ko)
KR (1) KR102600776B1 (ko)
CN (2) CN112895995B (ko)
DE (2) DE202015104792U1 (ko)
ES (1) ES2844584T3 (ko)
PL (1) PL3347234T3 (ko)
WO (1) WO2017042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4792U1 (de) 2015-09-09 2015-12-01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102016117312A1 (de) 2016-09-14 2018-03-15 Cybex Gmbh Kindersitz
CN206217690U (zh) 2016-11-25 2017-06-06 gb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的支撑腿、基座及儿童安全座椅
ES2806278T3 (es) * 2017-09-14 2021-02-17 Britax Roemer Kindersicherheit Gmbh Pata de apoyo para un asiento de seguridad para niños
US11097639B2 (en) 2018-05-24 2021-08-24 Wonderland Switzerland Ag Support base for a child safety seat
JP7165038B2 (ja) * 2018-11-30 2022-11-02 株式会社カーメイト チャイルドシート用サポートレッグ
CN114714999A (zh) * 2021-01-05 2022-07-08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安全座椅的支撑脚装置的指示组件和安全座椅
AU2021201385B1 (en) 2021-03-03 2022-04-21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A vehicle-mountable child safety seat assembly
CN113500951A (zh) * 2021-07-30 2021-10-15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支撑腿结构及儿童安全座椅
CN113954707B (zh) * 2021-11-26 2023-01-20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Isofix机构及安全座椅
DE202023102222U1 (de) 2023-04-26 2023-05-17 Cybex Gmbh Kindersitz mit Stützbei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0308A1 (en) 2001-07-26 2003-01-3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eat base with load leg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07446D0 (en) * 1993-04-08 1993-06-02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FR2864482B1 (fr) * 2003-12-24 2006-03-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retenue d'un siege enfant
US20080303321A1 (en) * 2004-05-08 2008-12-11 Britax Excelsior Limited Base for a Child Safety Support
GB0413940D0 (en) * 2004-06-19 2004-07-28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GB0420414D0 (en) * 2004-09-14 2004-10-20 Barker Derrick Child car seat
NL1028788C2 (nl) * 2005-04-18 2006-10-20 Maxi Miliaan Bv Onderstel alsmede kindervoertuigstoel voorzien van een dergelijk onderstel.
JP4566824B2 (ja) * 2005-06-03 2010-10-2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着脱式チャイルドシート
EP1970247A1 (en) * 2007-03-15 2008-09-17 Team-Tex Device for mounting a child seat in a car and a child seat
US20100052384A1 (en) * 2008-08-26 2010-03-04 Link Treasure Limited Child safety seat with a transverse engaging base
NL1036452C2 (en) * 2009-01-23 2010-07-26 Maxi Miliaan Bv A child vehicle seat as well as a chassis suitable for such a child vehicle seat.
CN201390171Y (zh) 2009-02-19 2010-01-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汽车座
DE102009003629B4 (de) 2009-03-17 2013-03-21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Sitzverankerungselement für Kindersicherheitssitze oder Babyträger
CN102729854B (zh) 2011-04-11 2015-06-24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支撑装置及具有该装置的儿童安全座椅
CN202071722U (zh) 2011-04-26 2011-12-14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安全座椅基座的支撑架警示装置
CN103042953A (zh) 2011-10-11 2013-04-17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支撑脚安全指示装置
DE202012102471U1 (de) 2012-06-18 2012-09-07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CN103507675B (zh) 2012-06-28 2016-01-13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汽车椅支撑装置及儿童汽车安全椅
CN202764746U (zh) 2012-07-11 2013-03-06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用于儿童安全支撑物基座的支撑装置
DE102012212802B4 (de) 2012-07-20 2014-09-18 Takata AG Kindersitz für ein Kraftfahrzeug
CN203267824U (zh) * 2013-05-02 2013-11-06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安全座椅基座的支撑架色显机构
DE102013107424B4 (de) 2013-07-12 2023-05-17 RECARO Kids S.r.l. Basis zur Montage eines Sicherheitskindersitzes auf einem Fahrzeugsitz
CN104290618B (zh) 2013-07-17 2017-03-01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支撑脚调整机构及支撑脚
NO337587B1 (no) * 2013-09-19 2016-05-09 Torgersen Hans & Soenn Barnesete
US9227537B2 (en) * 2013-09-27 2016-01-05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Seat buffering device and vehicle safety seat having the same
CN203666434U (zh) * 2013-12-19 2014-06-25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支撑装置及具有该支撑装置的儿童汽车安全椅
CN103950398A (zh) 2014-04-18 2014-07-3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汽车座的支撑腿
CN104002704A (zh) 2014-05-13 2014-08-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的吸能支撑腿
CN104002703A (zh) 2014-05-13 2014-08-2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汽车座的支撑腿
CN203864484U (zh) 2014-05-13 2014-10-0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的吸能支撑腿
JP6356503B2 (ja) 2014-06-24 2018-07-11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CN204020627U (zh) 2014-08-08 2014-12-17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支撑脚到位显示机构
CN204077432U (zh) 2014-09-05 2015-01-07 宁波市博林日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儿童安全座椅的支撑脚结构
CN204526882U (zh) 2015-02-03 2015-08-05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的可伸缩支撑腿
CN204526885U (zh) 2015-03-31 2015-08-05 宁波中哲儿童安全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座椅安装到位提醒装置
CN204488558U (zh) 2015-03-31 2015-07-22 宁波中哲儿童安全用品有限公司 一种安全座椅快调式支撑腿
CN104875636B (zh) 2015-06-12 2017-04-12 上海翼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轻量化儿童座椅支撑腿
DE202015104792U1 (de) 2015-09-09 2015-12-01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ES2806278T3 (es) * 2017-09-14 2021-02-17 Britax Roemer Kindersicherheit Gmbh Pata de apoyo para un asiento de seguridad para niño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0308A1 (en) 2001-07-26 2003-01-3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eat base with load le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95995A (zh) 2021-06-04
EP3756944B1 (de) 2023-06-28
CN112895995B (zh) 2024-01-12
CN108136941B (zh) 2021-03-16
WO2017042330A1 (de) 2017-03-16
US20190031052A1 (en) 2019-01-31
DE202015104792U1 (de) 2015-12-01
EP3347234B1 (de) 2020-11-04
EP3756944C0 (de) 2023-06-28
PL3347234T3 (pl) 2021-07-19
DE202016008891U1 (de) 2020-06-18
JP2018526282A (ja) 2018-09-13
KR20180067508A (ko) 2018-06-20
EP3756944A1 (de) 2020-12-30
US10730412B2 (en) 2020-08-04
JP6710750B2 (ja) 2020-06-17
CN108136941A (zh) 2018-06-08
EP3347234A1 (de) 2018-07-18
ES2844584T3 (es)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776B1 (ko) 자동차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
US20090121100A1 (en) Length adjustable support
CN107839555B (zh) 儿童安全座椅支撑座
US20160198864A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a crib
CN105313728B (zh) 儿童座椅
US10029596B2 (en) Retaining device for vehicle headrests
JP2015119956A (ja) 上下調節可能な脚を有する家具
KR20110115550A (ko) 유아용의 높은 의자로 변환할 수 있는 의자
AU2018229458A1 (en) Foot prop for a child safety seat
GB2489822A (en) Support device for child safety seat
EP2351602B1 (en) Weight control apparatus for a weight training machine
GB2530277A (en) Ladder stabiliser
KR101301070B1 (ko) 자동차 시트 헤드레스트의 무단 높이 조절 장치
JP2006207798A (ja) 伸縮装置
KR101803829B1 (ko) 휠체어용 안전 장치
KR101466956B1 (ko) 의자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RU2685483C2 (ru) Узел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узел опоры для бедер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981377B2 (ja) 移動可能なテーブルにおけるブレーキ操作機構
KR20160012479A (ko) 안마의자 다리마사지 유닛
CN112158110B (zh) 儿童座椅
US20190125600A1 (en) Footrest device and safety device for wheelchair
JP7258517B2 (ja) 什器
JP5940440B2 (ja) 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KR101584905B1 (ko) 헤드레스트 장치
JP2016168074A (ja) 座れる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