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905B1 - 헤드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4905B1 KR101584905B1 KR1020140094681A KR20140094681A KR101584905B1 KR 101584905 B1 KR101584905 B1 KR 101584905B1 KR 1020140094681 A KR1020140094681 A KR 1020140094681A KR 20140094681 A KR20140094681 A KR 20140094681A KR 101584905 B1 KR101584905 B1 KR 1015849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sh
- base body
- headrest
- return member
- suppor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를 한번씩 조작할 때마다, 정해진 높이로 순차적으로 높이가 변화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 헤드레스트를 하방으로 누르는 조작시 단계적으로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가 착좌하도록 마련된 시트가 구비되고, 시트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및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가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는 운행중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편안한 안착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및 시트소재에 따라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시트백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며 목 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중요한 구성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도 1은 헤드레스트(10)가 구비된 시트백(3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가이드(20)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10)에는 하방으로 스테이로드(12)가 연장되며 스테이로드(12)에는 고정홈(14)이 형성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10)가 삽입되는 헤드레스트가이드(20)는 시트백(30) 상단부의 시트백 패드에 매립되어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고정되고, 헤드레스트가이드(20)의 헤드부(22)에는 고정핀(P)이 삽입되어 헤드레스트(10) 스테이로드(12)의 고정홈(14)에 걸림으로써 운전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헤드레스트(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의 헤드레스트의 경우 헤드레스트가이드에 고정핀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조작한 상태를 유지하여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게되는데, 레버를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한 손으로는 레버를 눌러주고, 다른 한손으로는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했다.
이렇게,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양손이 이용되어야 하는바, 탑승자에게 있어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한편,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모터 장치를 마련하여 모터구동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헤드레스트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를 설치시 원가가 크게 상승되며, 구조도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출원발명에서는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더욱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하는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고정되며, 중공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의 내주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하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를 갖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외주 둘레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이격 배치된 걸림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돌출되고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다수의 푸시부를 갖는 푸시부재;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며, 둘레의 일부가 상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상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를 갖으며, 지지부가 상기 푸시부재를 지지하고, 베이스 바디의 걸림부에 걸리어 상방 이동이 제한되는 리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바디에서 리턴부재의 하측에 마련되고, 리턴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리턴부재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바디에 형성된 걸림부 하단의 경사각도와 상기 리턴부재에 형성된 지지부 상단의 경사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에 형성된 푸시부의 하단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푸시부의 경사각도가 상기 걸림부와 지지부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는 각 걸림부의 높이가 단계별로 점차 증가되는 상이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푸시부는 하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모두 동일한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에 형성된 푸시부는 둘레 방향의 폭이 상기 리턴부재에 형성된 지지부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턴부재에 형성된 지지부 상단의 경사면에는 상기 다수의 푸시부 간의 이격거리보다 더 작게 형성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지지부의 경사면 상에 돌출 형성되되 경사면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돌출 단면이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턴부재에 형성된 지지부의 둘레방향 폭은 상기 베이스 바디에 형성된 걸림부의 둘레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되어 헤드레스트의 상하 조작시 헤드레스트와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헤드레스트 장치는 헤드레스트를 한번씩 조작할 때마다, 정해진 높이로 순차적으로 높이가 변화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의 조립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5는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푸시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7은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베이스 바디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의 조립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5는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푸시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7은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베이스 바디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내지 5는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푸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7은 도 2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장치의 베이스 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장치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고정되며, 중공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의 내주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하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120)를 갖는 베이스 바디(100);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외주 둘레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이격 배치된 걸림부(120) 사이에 삽입되도록 돌출되고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다수의 푸시부(220)를 갖는 푸시부재(200); 및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며, 둘레의 일부가 상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상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320)를 갖으며, 지지부(320)가 상기 푸시부재(200)를 지지하고, 베이스 바디(100)의 걸림부(120)에 걸리어 상방 이동이 제한되는 리턴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바디(100)는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고정되고 헤드레스트가 삽입되며, 본 발명에서는 헤드레스트가 푸시부재(200)에 연결되어 상하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푸시부재(200)와 리턴부재(300)는 베이스 바디(100) 내부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가 조작됨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걸림부(12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120)는 베이스 바디(100) 내주에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돌출 형성되며, 각 걸림부(120)의 높이가 모두 상이하게 설정된다.
즉, 상기 베이스 바디(10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120)는 각 걸림부(120)의 높이가 단계별로 점차 증가되는 상이한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각 걸림부(120)의 높이편차만큼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걸림부(120)는 하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기 설명할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걸림부(120)의 하단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이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푸시부재(200)는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베이스 바디(100)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즉, 베이스 바디(100)에는 내주 둘레를 따라 걸림부(120)가 형성됨에 따라 걸림부(120) 사이로 홈(140)이 형성되고, 푸시부재(200)에는 외주 둘레를 따라 이 홈(140)에 삽입되는 다수의 푸시부(220)가 형성됨으로써 푸시부(220)가 홈(14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푸시부재(200)가 베이스 바디(100)의 내측에서 상하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푸시부재(200)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되며, 탑승자가 헤드레스트를 조작함에 따라 푸시부재(20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리턴부재(300)를 밀어주도록 구성된다. 푸시부재(200)의 하방이동시 밀리는 리턴부재(300)의 작동에 대해서는 하기에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본 발명의 리턴부재(300)는 베이스 바디(100)의 하측에 마련되어 베이스 바디(100)의 하단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바디(100)의 내부에는 리턴부재(300)의 하측에 탄성부재(400)가 마련되고, 탄성부재(400)가 리턴부재(3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리턴부재(300)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400)는 압축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며,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은 헤드레스트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의 리턴부재(300)에는 둘레의 일부가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3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320)의 상단은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베이스 바디(100)에 형성된 걸림부(12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바디(100)에 형성된 걸림부(120) 하단의 경사각도와 상기 리턴부재(300)에 형성된 지지부(320) 상단의 경사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걸림부(120) 하단의 경사각도와 지지부(320) 상단의 경사각도를 동일하게 형성해줌으로써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베이스 바디(10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120)에 접촉된 상태에서 원활한 이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베이스 바디(10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120) 중 제1걸림부(120a)에 걸린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의 하방 조작시 푸시부재(20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리턴부재(300)가 눌려 지지부(320)가 제1걸림부(120a)에서 이탈된다. 단, 본 발명의 리턴부재(300)는 하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바, 헤드레스트의 조작력이 없어지면 리턴부재(300)에 의해 푸시부재(20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리턴부재(300)에 형성된 지지부(320)의 상단 경사면이 다른 걸림부(120)인 제2걸림부(120b)의 하단 경사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320)의 상단 경사면이 제2걸림부(120b)의 하단 경사면을 타고 넘어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120)의 경사면과 지지부(320)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지지부(320)의 회동이 수행되도록 유도하는바, 걸림부(120)와 지지부(320)의 경사각도를 동일하게 형성해줌으로써 지지부(320)와 걸림부(120) 간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부재(200)에 형성된 푸시부(220)의 하단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푸시부(220)의 경사각도가 상기 걸림부(120)와 지지부(320)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푸시부재(200)에 형성된 푸시부(220)의 하단도 걸림부(120)와 지지부(320)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해줌으로써 헤드레스트 조작에 따른 푸시부재(200)에 이동시 푸시부(220)와 접촉되는 지지부(320)의 경사면에 마찰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리턴부재(300)에 형성된 지지부(320)의 슬라이딩 이동시 지지부(320)의 상단 경사면과 푸시부(220)의 하단 경사면의 각도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면접촉됨으로써 지지부(320)의 슬라이딩 이동이 부드럽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부재(200)에 형성된 다수의 푸시부(220)는 하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모두 동일한 길이로 연장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푸시부재(200)에 형성되는 다수의 푸시부(220)는 모두 동일한 길이로 연장됨으로써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베이스 바디(100)의 다수의 걸림부(120) 중 어느 위치에 걸려 있더라도, 헤드레스트의 조작에 따른 푸시부재(200)의 하방이동시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를 동일한 작동범위에서 가압하여 상시동일한 이동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턴부재(300)에 형성된 지지부(320)의 둘레방향 폭(C)은 상기 베이스 바디(100)에 형성된 걸림부(120)의 둘레방향 폭(A)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베이스 바디(100)의 다수의 걸림부(120) 중 어떤 걸림부(120)에 걸리어 위치되는지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결정된다. 즉, 베이스 바디(100)의 걸림부(120)의 높이는 모두 상이하게 설정되고,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이동되어 특정 걸림부(120)에 위치되는데, 지지부(320)의 둘레방향 폭(C)이 걸림부(120)의 둘레방향 폭(A)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지지부(320)가 걸림부(120)의 측면에 걸리어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20)의 둘레방향 폭(C)은 걸림부(120)의 둘레방향 폭(A)보다 작게 형성해줌으로써 지지부(320)의 이동 동작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리턴부재(300)가 탄성부재(40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방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으며,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베이스 바디(100)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120) 중 제1걸림부(120a)에 걸리어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된 푸시부재(200)가 접촉되어 지지됨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헤드레스트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조작시 푸시부재(20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지지부(32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현재 걸려있는 제1걸림부(120a)에서 이탈되어 다음 걸림부(120)인 제2걸림부(120b)의 하단 경사면에 위치되면, 지지부(320)의 상단 경사면이 제2걸림부(120b)의 하단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이동된다. 즉, 리턴부재(300)는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는바, 지지부(320)의 상단 경사면이 제2걸림부(120b)의 하단 경사면에 위치되면, 그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어서, 헤드레스트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리턴부재(30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푸시부재(200)를 상방으로 밀어주고,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다음 걸림부(120)인 제2걸림부(120b)에 완전히 이동되어 걸림으로써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에는,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제1걸림부(120a)에서 제2걸림부(120b)로 이동됨에 따라 높이변화가 이루어져 이전 걸림부(120)의 위치와 다른 높이로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푸시부재(200)에 형성된 푸시부(220)는 둘레 방향의 폭(B)이 상기 리턴부재(300)에 형성된 지지부(320)의 둘레 방향의 폭(C)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푸시부(220)는 둘레 방향의 폭(B)을 지지부(320)의 둘레 방향의 폭(C)보다 작게 형성하여 푸시부(220)의 개수가 지지부(320)의 개수보다 더 많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헤드레스트가 조작됨에 따라 푸시부재(200)의 이동시 푸시부(220)가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를 정확히 가압할 수 있으며, 푸시부재(200)의 가압력이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에 편측되어 작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턴부재(300)에 형성된 지지부(320) 상단의 경사면에는 상기 다수의 푸시부(220) 간의 이격 거리보다 더 작게 형성된 걸림돌기(3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322)는 헤드레스트의 조작시 지지부(320)가 현재 걸려있는 걸림부(120)에서 다른 걸림부(120)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걸림부(120) 간의 이동이 한번에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걸림돌기(322)가 푸시부(220)에 걸리어 이동이 잠시 제한되고, 이후 헤드레스트의 조작이 완전히 해제되면 걸림돌기(322)가 푸시부(220)에서 이탈되어 지지부(320)의 완전한 이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는 걸림부(120) 간의 이동을 수행시 지지부(320)와 걸림부(120)의 충돌에 의한 소음발생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걸림돌기(322)는 지지부(320)의 경사면 상에 돌출 형성되되 경사면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322)는 돌출 단면이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헤드레스트가 조작됨에 따라 푸시부재(200)가 하방 이동시 푸시부(220)의 하단 경사면이 지지부(320)의 상단 경사면에 형성된 반구형의 걸림돌기(322)를 가압하고, 반구형의 걸림돌기(322)가 푸시부(220)의 하단 경사면에서 미끄러짐에 따라 지지부(320)의 슬라이딩 이동이 더욱 원활히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장치는 헤드레스트를 하방으로 눌러주는 조작이 수행될 때마다, 리턴부재(300)의 지지부(320)가 베이스 바디(100)에 각각 다른 높이로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120)를 이동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조절되도록 한다. 이렇게, 헤드레스트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쉽게 수행되는바, 탑승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베이스 바디 120:걸림부
200:푸시부재 220:푸시부
300:리턴부재 320:지지부
322:걸림돌기
200:푸시부재 220:푸시부
300:리턴부재 320:지지부
322:걸림돌기
Claims (12)
-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고정되며, 중공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의 내주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되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며, 하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를 갖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 상측에 마련되며, 외주 둘레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이격 배치된 걸림부 사이에 삽입되도록 돌출되고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다수의 푸시부를 갖는 푸시부재;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며, 둘레의 일부가 상측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상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부를 갖으며, 지지부가 상기 푸시부재를 지지하고, 베이스 바디의 걸림부에 걸리어 상방 이동이 제한되는 리턴부재;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에서 리턴부재의 하측에 마련되고, 리턴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리턴부재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에 형성된 걸림부 하단의 경사각도와 상기 리턴부재에 형성된 지지부 상단의 경사각도는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어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에 형성된 푸시부의 하단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푸시부의 경사각도가 상기 걸림부와 지지부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는 각 걸림부의 높이가 단계별로 점차 증가되는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푸시부는 하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모두 동일한 길이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에 형성된 푸시부는 둘레 방향의 폭이 상기 리턴부재에 형성된 지지부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에 형성된 지지부 상단의 경사면에는 상기 다수의 푸시부 간의 이격거리보다 더 작게 형성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지지부의 경사면 상에 돌출 형성되되 경사면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돌출 단면이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에 형성된 지지부의 둘레방향 폭은 상기 베이스 바디에 형성된 걸림부의 둘레방향 폭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되어 헤드레스트의 상하 조작시 헤드레스트와 함께 상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4681A KR101584905B1 (ko) | 2014-07-25 | 2014-07-25 | 헤드레스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4681A KR101584905B1 (ko) | 2014-07-25 | 2014-07-25 | 헤드레스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4905B1 true KR101584905B1 (ko) | 2016-01-14 |
Family
ID=5517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4681A KR101584905B1 (ko) | 2014-07-25 | 2014-07-25 | 헤드레스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490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49066A (ja) | 2002-10-31 | 2004-05-27 | Yoichi Inada | 車高調整装置 |
JP2011072488A (ja) | 2009-09-30 | 2011-04-14 | Mitsubishi Pencil Co Ltd | ノック式繰出容器 |
KR200456714Y1 (ko) | 2010-11-18 | 2011-11-14 | 표대율 | 건물 냉,난방용 디퓨져의 공기확산판 승강장치 |
-
2014
- 2014-07-25 KR KR1020140094681A patent/KR1015849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49066A (ja) | 2002-10-31 | 2004-05-27 | Yoichi Inada | 車高調整装置 |
JP2011072488A (ja) | 2009-09-30 | 2011-04-14 | Mitsubishi Pencil Co Ltd | ノック式繰出容器 |
KR200456714Y1 (ko) | 2010-11-18 | 2011-11-14 | 표대율 | 건물 냉,난방용 디퓨져의 공기확산판 승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49958B2 (en) | Four-way adjustable headrest | |
US7316455B2 (en) | Locking device and headrest | |
US6523902B2 (en) | Headrest of adjustable height for a motor-vehicle seat | |
US9610868B2 (en) | Lateral protecting mechanism and child safety seat therewith | |
JP2018039500A (ja) |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 |
US8789888B2 (en) | Seat assembly having a button assembly | |
US8353559B2 (en) |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for a base of safety seat | |
EP3702208B1 (en) | Car safety seat | |
EP3381746A1 (en) | Vertically adjustable head restraint | |
KR101301070B1 (ko) | 자동차 시트 헤드레스트의 무단 높이 조절 장치 | |
US20160088946A1 (en) | Armrest, in particular for an office chair | |
EP3176028A1 (en) | Multi-directional translational head restraint | |
KR101584905B1 (ko) | 헤드레스트 장치 | |
KR101683428B1 (ko) |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 |
US10821869B2 (en) | Headrest assembly | |
JP6031185B2 (ja) | 乗り物用座席 | |
KR101372955B1 (ko) |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 |
CN106828228B (zh) | 一种可前后移动调节的四向头枕 | |
KR101466956B1 (ko) | 의자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 |
KR101816684B1 (ko) | 차량용 파워 시트의 스위치 장치 | |
KR101628753B1 (ko) | 암레스트를 가지는 자동차용 시트 | |
KR101491131B1 (ko) |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 |
KR101565580B1 (ko) | 헤드레스트의 작동장치 | |
KR20160013405A (ko) |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 |
KR101407263B1 (ko) | 헤드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