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467B1 -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467B1
KR102597467B1 KR1020200092872A KR20200092872A KR102597467B1 KR 102597467 B1 KR102597467 B1 KR 102597467B1 KR 1020200092872 A KR1020200092872 A KR 1020200092872A KR 20200092872 A KR20200092872 A KR 20200092872A KR 102597467 B1 KR102597467 B1 KR 102597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cepacia
bulkholderia
plant growth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662A (ko
Inventor
김인성
Original Assignee
김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성 filed Critical 김인성
Priority to KR102020009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4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과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가지는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JK11 균주(KCTC 14199BP),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 또는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 생장 촉진용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생육을 저해하고 열에 안정한 항진균 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식물 성장 호르몬인 옥신을 함유하고 있어, 친환경 생물 방제제 및 식물 생장 촉진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STRAIN BURKHOLDERIA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과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가지는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JK11 균주(KCTC 14199BP),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 또는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 및 식물 생장 촉진용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식물병원성 진균(plant pathogenic fungi)은 많은 농작물에 해를 끼쳐 그 생산성을 현저히 떨어뜨리고 있다. 이러한 식물병원성 진균으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화학농약이 전세계적으로 꾸준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화학농약의 오남용으로 인해 토양, 수질 및 농산물 오염, 독성, 생태계 교란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학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생물농약(Biopesticide)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효과적인 저독성의 항진균제와 국내 기술의 미생물 농약의 개발이 미흡한 상태이다.
농작물의 수확량에 영향을 끼치는 결정적인 요인 중의 하나로 식물 곰팡이병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식물병원성 진균으로는 각종 식물의 잿빛 곰팡이병을 일으키는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벼 키다리병을 일으키는 푸사리움 후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과수의 푸른곰팡이병과 귤 썩음병을 일으키는 페니실리움 디지타툼(Penicillium digitatum), 벼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키는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도에 농림부가 화학농약의 30%를 줄이거나 대체하기 위한 추진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본격적인 생물농약의 시대에 접어들게 되었고, 현재 농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진균제로는 발리다마이신(validamycin), 카슈사마이신(kasuga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 식물병원성 진균을 제어할 수 있는 생물농약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미생물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식물의 생장에 가장 중요한 원소로는 질소, 인산, 및 칼륨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원소들은 식물의 생장에 전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질소를 포함하는 비료를 식물의 재배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질소 비료의 과량 시비는 토양의 영양집적현상을 야기하고, 이로 인해 식물의 황화현상이 발생하거나 웃자람이 발생하여 식물의 생장에 오히려 방해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농약 및 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제제에 대한 꾸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엔테로박터 루드위지아이 SJR3 균주가 한국등록특허 제10-1611537호에 개시된 바 있다.
KR 10-1611537 B1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짐과 동시에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신규 미생물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푸사리움 푸지쿠로이, 페니실리움 디지타튬, 리족토니아 솔라니, 파이토프토라 캡시사이, 로도코커스 패시안스와 같은 식물병원성 진균의 생육을 저해하고,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 역시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탁번호 KCTC14199BP로 기탁된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JK11 균주 및 상기 균주의 배양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생장 촉진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푸사리움 후지쿠로이, 페니실리움 디지타툼, 리족토니아 솔라니, 파이토프토라 캡시사이, 로도코커스 패시안스 등의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가 우수하고, 고온의 열처리에도 손상되지 않는 항진균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를 위한 친환경 살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효과 역시 우수하므로, 친환경 식물 생장 촉진제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분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동정을 위해 수행한 PCR Ribo-typing에 의한 16S rDNA 시퀀싱 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동정을 위해 PCR Ribo-typing 수행 후 수득한 PCR 산물의 아가로스겔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계통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에 대한 이차 대사산물 생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클러스터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불용성(insoluble) 인의 분해 능력에 대한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사이드로포어 생산 능력에 대한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옥신 생산 능력에 대한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에 의한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푸사리움 후지쿠로이, 페니실리움 디지타툼, 리족토니아 솔라니의 생육 억제를 통한 방제 능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에 의한 파이토프토라 캡시사이, 푸사리움 후지쿠로이, 보트리티스 시네레아의 생육 억제를 통한 방제 능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에 의한 로도코커스 패시안스의 생육 억제를 통한 방제 능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배양액에 의한 담배 식물의 생육 촉진 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항진균 활성 또는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갖는 신규 균주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탁번호 KCTC14199BP로 기탁된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JK11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20년 6월 2일자로 수탁번호 KCTC14199BP로 기탁된 신규한 균주로, 상기 JK11 균주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진천군의 백합재배 농장에서 수집한 백합 식물 구근으로부터 분리된 균이다.
또한,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DNA 염기서열을 포함하며, 항진균 활성 또는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가지는 그람 음성균이다.
또한,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선택 고체 배지(selective agar media)로부터 분리 및 동정하여 얻을 수 있으며, ⅰ) 불용성 인산염을 분해하는 특성, ⅱ) 철을 포획하는 사이드로포어(siderophore)를 생산하는 특성, 및 ⅲ) 식물 생장 촉진 호르몬인 옥신(auxin)을 생산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드로포어(siderophore)"는 토양 내의 불용성 미네랄을 가용화할 수 있는 화합물로, 특히 토양 내의 미생물에 의해 합성되고 분비되는 사이드로포어는 토양 내의 미네랄 중에서도 철(Fe)과 결합하여 식물의 뿌리로 흡수되어 식물의 생장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철은 식물체 내에서 효소 반응, 산소 물질대사(oxygen metabolism), 전자전달계, 및 DNA와 RNA 합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식물체 내로 사이드로포어에 의한 철의 흡수는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킨다. 또한, 식물병원균이 철 이온을 흡수하는 것을 경쟁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식물병원균의 생육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푸사리움 후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페니실리움 디지타툼(Penicillium digitatum),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파이토프토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 및 로도코커스 패시안스(Rhodococcus fascian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병원성 진균의 생육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보트리티스 시네레아는 잿빛 곰팡이병 원인균이고, 푸사리움 후지쿠로이는 벼 키다리병 원인균이며, 페니실리움 디지타툼은 녹색곰팡이병 원인균이다. 또한, 상기 리족토니아 솔라니는 벼잎집무늬마름병 원인균이고, 파이토프토라 캡시사이는 고추 역병 원인균이며, 로도코커스 패시안스는 백합구근 세균병 원인균이다.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고온의 열처리에도 손상되지 않는 항진균 활성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가 N-아실옥시아실 글루타민(N-acyloxyacyl glutamine)과 같은 계면활성제(surfactant), 오르니박틴(Ornibactin), 피오첼린(Pyochelin)과 같은 사이드로포어(siderophore), 로모펀진(Lomofungin)과 같은 항균제(antimicrobial agent), 피롤니트린(Pyrrolnitrin)과 같은 항진균용 항생제(antifungal antibiotic)를 생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KCTC14199BP)는 인산 가용화능, 사이드로포어 생성능 및 IAA 생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8 내지 도 10). 또한, 다양한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으며(도 11 내지 도 13), 식물 생장 촉진 효과 또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14)
따라서,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인산 가용화능, IAA 생성능 및 사이드로포어 생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다양한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과 식물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므로, 식물병 방제 및 식물 생장 촉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신규 균주의 배양물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KCTC14199BP)의 배양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배양물"은 배양액과 혼용될 수 있으며, 균주를 배양한 배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균주 배양의 결과물인 대사물 또는 분비물을 포함하는 물질 또는 그 파쇄물을 의미할 수 있고, 균주 자체도 배양액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배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영양 배지(nutrient broth, NB)를 이용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서 KMMS 배지로 칭한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될 수 있다. KMMS 배지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소르비톨(Sorbitol),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붕산(Borate),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염화코발트(Cobalt(Ⅱ) chloride), 황산구리(Cupric sulfate), 황산철(Ferrous sulfate·7H2O),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H2O), 몰리브덴산나트륨(Sodium molybdate),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황산아연(Zinc sulfate), 글리신(Glycine), 마이오-이노시톨(myo-Inositol), 니코틴산(Nicotinic acid), 염산피리독신(Pyridoxine·HCl) 및 염산티아민(Thiamine·HCl) 성분으로 조성된 배지일 수 있다.
신규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한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식물병을 일으킬 수 있는 진균의 생육을 저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 내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살균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은 식물에 감염되어 병을 일으키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잿빛 곰팡이병 원인균인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벼 키다리병 원인균인 푸사리움 후지쿠로이, 녹색곰팡이병 원인균인 페니실리움 디지타툼, 벼잎집무늬마름병 원인균인 리족토니아 솔라니, 고추 역병 원인균인 파이토프토라 캡시사이, 백합구근 세균병 원인균인 로도코커스 패시안스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물병원성 진균에는 식물병을 일으킬 수 있는 진균이 제한없이 포함되며, 상기 보트리티스 시네레아, 푸사리움 후지쿠로이, 페니실리움 디지타툼, 리족토니아 솔라니, 파이토프토라 캡시사이, 로도코커스 패시안스 이외에, 벼 도열병 원인균인 마그나포르테 그리시아(Magnaporthe grisea), 고추 탄저병 원인균인 콜렉토트리쿰 아큐타툼(Collectotrichum acutatum) 및 감자 역병 원인균인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ora infestans)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은 상기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의 생육을 저해하고, 고온의 열처리에도 손상되지 않는 항진균 활성물질, 예컨대 로모펀진, 피롤니트린 등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잿빛 곰팡이병, 벼 키다리병 등을 유발하는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의 종자, 잎, 줄기, 뿌리 또는 그 주위의 토양에 적용하여 식물병원성 진균을 방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의 종자, 잎, 줄기, 뿌리 또는 이에 근접한 토양에 직접 살포하거나 침지시킴으로써 식물병원성 진균을 방제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미생물의 안정적인 제제화를 목적으로, 수화제, 입제 또는 캡슐제로 제제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에 계면활성제, 중량제 및 영양제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잿빛 곰팡이를 비롯한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용 조성물에 포함된 채로 공급될 수도 있고, 장기간 보존을 위해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균주를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 별도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글리세롤 저장용액에 -70℃ 이하로 보존하거나 -20℃ 내지 -80℃에서 동결건조 보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화제는 미생물을 접종한 고체배지를 건조시켜 분쇄한 후 계면활성제, 증량제 또는 영양제를 첨가하여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 소듐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소듐트리폴리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포스포릭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폴리머, 폴리옥시알킬온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소듐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트리톤 100 및 트윈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량제 및 영양제로는 콩가루, 쌀, 밀, 황토, 규조토, 덱스트린, 포도당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제는 미생물을 접종한 고체배지를 건조시켜 분쇄한 후 계면활성제, 증량제/영양제 및 붕해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 소듐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포스포릭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폴리머, 폴리옥시알킬온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소듐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트리톤 100 및 트윈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량제 및 영양제로는 콩가루, 쌀, 밀, 황토, 규조토, 덱스트린, 포도당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붕해제로는 벤토나이트(bentonite), 탈크(talc), 다이아라이트(dialite), 카올린(kaolin) 및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제는 미생물에 표면 활성제, 비활성 담체, 보존제, 습윤제, 공급촉진제, 유인제, 캡슐화제, 결합제, 유화제, 염료, UV 보호제, 완충제 및 흐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것을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의 생육을 억제하여 진균에 의해 유발되는 식물병을 방제할 수 있으며,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방제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씨앗의 파종 전 종자 소독을 위해 침지하는 방법으로 곰팡이균을 방제할 수 있으며, 물에 희석하여 토양에 살포함으로써 토양에 존재하는 곰팡이 포자나 균핵을 살균하여 곰팡이병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은 액상 원액으로 제조하여 500배 내지 2,000배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분말로 제조시에는 계면활성제, 증량제 또는 동결보호제를 첨가 후 혼합하여 동결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 소듐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소듐트리폴리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포스포릭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폴리머, 폴리옥시알킬온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소듐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트리톤엑스 100 및 트윈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량제로는 덱스트린, 규조토, 벤토나이트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동결보호제는 글리세롤, 전지분유, 탈지분유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 방법의 일 구현예로, 상기 조성물을 식물의 종자, 잎, 줄기, 뿌리 또는 이에 근접한 토양에 직접 살포하거나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 방법은 상기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직접 침지(soaking), 살포(spraying) 하거나, 상기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질석, 규조토, 퍼라이트에 흡착시켜 산포하거나, 경작지의 경운(tillage) 전에 JK11 균주 배양액 또는 흡착시킨 JK11 균주를 살포한 후 경운하여 섞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법에 따라 처리되는 조성물에 함유된 미생물의 유효량은 경작지 면적(㎡) 당 1×103 내지 1×106 cfu(colony forming unit)의 미생물 수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 중 살포에 의해 처리되는 조성물에 함유된 미생물의 유효량은 ㎖ 당 1×103 내지 1×106 cfu의 미생물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침지에 의해 처리되는 조성물에 함유된 미생물의 유효량은 ㎖ 당 1×103 내지 1×106 cfu의 미생물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신규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한 식물 생장 촉진용 미생물 제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생장 촉진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생물 제제"는 미생물 자체를 직접 이용하거나 미생물을 포함한 제제를 이용하여 식물 생장을 효과적으로 촉진하는데 쓰이는 생물 제제이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KCTC14199BP)는 인산 가용화능, 사이드로포어 생성능 및 IAA 생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식물 생장 촉진 효과 또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8 내지 도 14). 따라서,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식물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므로, 식물 생장 촉진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장 촉진의 대상 식물은 포도, 사과, 배 등과 같은 과일 작물, 벼, 밀, 보리와 같은 벼과 작물, 고추, 토마토와 같은 채소 작물, 백합, 국화, 장미와 같은 화훼 작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은 식물 성장 중에 식물병원성 진균에 의한 식물병 예방의 목적이나 상기 식물병의 발병 후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여 건강한 작물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와 이의 배양물을 토양에 살포하여 불용성 인산과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HA)를 분해함으로써 토양의 정화와 토양 개선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에는 상기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상기 균주의 활성을 유지하기 위한 물질(예를 들어, 완충제 등), 다른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물질(예를 들어, 항생제 등), 보관을 위한 보존제(예를 들어, 동결보관을 위한 글리세롤 등) 등 미생물 제제화에 필요한 물질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식물 생장 촉진 용도로 사용하는데 필요한 다른 물질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는 분말 또는 액상 제형일 수 있다. 분말 제형의 경우 본 발명 균주의 균체 자체 또는 증량제(extender)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분말화한 것일 수 있으며, 액상 제형의 경우 본 발명 균주의 배양액 자체, 배양액을 용매로 희석한 희석액 또는 배양액 중 균체를 분리하여 다른 용매에 현탁한 현탁액일 수 있다.
식물 생장 촉진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식물의 종자, 잎, 줄기, 뿌리 또는 이에 근접한 토양에 직접 살포하거나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생장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JK11 균주 및 이의 배양액에 의한 식물 생장 촉진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인산 가용화능, 사이드로포어 생성능 및 IAA 생성능이 우수하며, 식물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 식물 생장 촉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식물의 종자, 잎, 줄기, 뿌리 또는 이에 근접한 토양에 처리함으로써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처리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행하고 있는 방법, 즉 살포(예를 들면 분무, 미스팅, 아토마이징, 분말 살포, 과립 살포, 수면시용, 상시용 등), 토양 시용(예를 들면 혼입, 관주 등), 표면 시용(예를 들면 도포, 도말법, 피복 등), 침지, 독이, 훈연 시용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미생물 제제의 사용량은 제형, 피해 상황, 적용 방법, 적용 장소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제제에 함유된 본 발명 JK11 균주의 유효량은 경작지 면적(㎡) 당 1×103 내지 1×106 cfu(colony forming unit)의 미생물 수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포에 의해 처리되는 미생물 제제에 함유된 본 발명 JK11 균주의 유효량은 ㎖ 당 1×103 내지 1×106 cfu의 미생물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침지에 의해 처리되는 미생물 제제에 함유된 본 발명 JK11 균주의 유효량은 ㎖ 당 1×103 내지 1×106 cfu의 미생물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실시예 1.1.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분리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짐과 동시에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신규 미생물을 확보하고자, 백합 구근으로부터 벌크홀데리아 종(Burkholderia sp.)을 분리하였다(도 1).
구체적으로, 네덜란드에서 수입되어 진천, 영월, 춘천, 제주 등에서 재배된 백합 식물 구근을 수집하여 증류수로 세척하여 토양을 제거하고, 대기 건조(air dry)하여 페이퍼 타월 상에서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후, 20분 동안 구근을 50% 표백제 용액(bleach solution)으로 표면을 멸균하고 고압증기 멸균수로 세척하였다. 그 다음 약 3~5 g의 구근을 0.5 ㎝ 길이의 조각으로 잘라 플라스크로 옮겨 담았다. 10배 부피에 해당하는 PBS 버퍼를 첨가하고 궤도 진탕기(orbitary shaker)에서 4시간 동안 쉐이킹하였다. 4시간 후, 4겹의 치즈 클로스(cheese cloth)를 이용하여 현탁액을 여과하고 원심분리용 튜브로 옮겼다. 원심분리 후, -70℃에서 박테리아 균주를 15% 글리세롤에 보관하고자 현탁액을 0.5 ㎖로 현탁하여 저장하였다.
한편, 박테리아 현탁액의 일련의 희석액을 선택 배지(표 1) 또는 영양 배지(nutrient broth, NB)에 플레이팅하여 박테리아 집단을 조사하였다.
성분명 함량(mg/L)
소르비톨(Sorbitol) 10000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50
일인산칼륨(K2HPO4) 2000
인산이수소칼륨(KH2PO4) 1000
염화암모늄(NH4Cl) 1000
황산마그네슘(MgSO7H2O)) 300
염화리튬(LiCl) 5000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1200
티아민(thiamine) 10
한천(agar) 15000
실시예 1.2.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동정
상기 실시예 1.1의 박테리아 분리물에서 분리한 벌크홀데리아 종(Burkholderia sp.)을 동정하였다. 이를 위해, 선택 한천 배지(표 1)에서 콜로니(colony)를 선택하여 게놈 DNA(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이때, 영양 배지에서 2일 동안 배양된 박테리아 배양물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1 ㎖의 현탁액을 12,000 rpm에서 30초 동안 원심분리한 후 TE 버퍼(10 ㎎/㎖ 라이소자임 함유) 100 ㎕로 재현탁하였다. 그 다음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400 ㎕ CTAB 버퍼를 튜브에 첨가하여 60℃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1 ㎕의 RNase(20 ㎎/㎖)를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500 ㎕의 클로로포름을 첨가하고 1분 동안 볼텍싱하였다. 그 다음 12,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부 수상(aqueous phase)을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동일한 부피의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였다. 1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펠릿을 500 ㎕의 70% EtOH로 세척하였다. 대기 건조 후, gDNA를 TE 버퍼 100 ㎕로 용해하였다.
이후, PCR Ribo-typing을 수행하였다(도 2). 하기 표 2 및 표 3에 PCR Rio-typing 수행시 사용된 프라이머 세트 및 수행 조건을 나타내었다.
프라이머 서열(5'→3') 서열번호 Tm(℃) Target gene
MAL-16S-F CAAGCTGCCATTCGCCATACGGAGAGTTTGATCCTGGC 2 56.9 16S rDNA
16S-R1 AGAAAGGAGGTGATCCAGCCG 3 56.9
Rf-16S-R2 ATTCGCTCCACCTCACGGTCTC 4 59.1
1st PCR
Genomic DNA(50~100 ng) 4 ㎕
MAL-Rf-16s-F(10 pmol/㎕) 1.5 ㎕
16S-R1(10 pmol/㎕) 1.5 ㎕
ddH2O 8 ㎕
2× PCR mix 15 ㎕
95℃, 3분 → 95℃, 20초/ 55℃, 30초/72℃, 1.5분(×25 사이클) → 72℃, 10분
2st PCR
1/30 희석 1st PCR mix 1 ㎕
MAL-Rf-16s-F(10 pmol/㎕) 1.5 ㎕
16S-R2(10 pmol/㎕) 1.5 ㎕
ddH2O 6 ㎕
2× PCR mix 10 ㎕
95℃, 3분 → 95℃, 20초/ 55℃, 30초/72℃, 1분(×25 사이클) → 72℃, 10분
PCR Ribo-typing 수행 후 PCR 산물은 아가로스겔 상에서 전기영동하고 아가로스겔로부터 PCR 산물을 회수하였다(도 3). 회수한 PCR 산물을 마크로젠(macrogen, Inc.)에 의뢰하여 시퀀싱을 수행하여 DNA 서열을 결정하였다. 시퀀싱 결과, 서열번호 1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가짐을 확인하였다(도 4). 결과적으로, 16S r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서열을 분석하여 공시균주들과 비교한 결과 99%의 상동성을 보여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임을 확인하였다. 전체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확인하여 공시균주들과 비교한 결과 1%의 상이성을 보여 신규한 균주로 판명되었다. 이에, 상기 획득한 신규한 균주를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JK11로 명명하였다(도 5).
실시예 2. 바이오인포매틱스 툴을 이용한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특성 분석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특성을 바이오인포매틱스 툴(bioinformatic tool)을 사용하여 게놈 서열 분석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antiSMASH를 사용하여 이차 대사산물의 생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클러스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는 N-아실옥시아실 글루타민(N-acyloxyacyl glutamine)과 같은 계면활성제(surfactant), 오르니박틴(Ornibactin), 피오첼린(Pyochelin)과 같은 사이드로포어(siderophore), 로모펀진(Lomofungin)과 같은 항균제(antimicrobial agent), 피롤니트린(Pyrrolnitrin)과 같은 항진균용 항생제(antifungal antibiotic)를 생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컨티그 수 위치 가장 유사한 공지 클러스터 유사성 기능
contig 1 1,376,717-1,397,913 N-아실옥시아실 글루타민 50% 계면활성제
contig 2 113,104-167,854 오르니박틴 100% 사이드로포어
contig 3 912,823-965,626 피오첼린 100% 사이드로포어
contig 6 340,203-386,906 로모펀진 34% 항균제
contig 7 212,188-253,273 피롤니트린 100% 항진균용 항생제
제조예 1.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배양 배지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를 배양하기 위한 최적의 배양 배지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으며, 배양 배지명을 KMMS 배지로 칭하였다.
성분명 함량(mg/L)
소르비톨(Sorbitol) 10000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50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1650
붕산(Borate) 6.2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332
염화코발트(Cobalt(Ⅱ) chloride) 0.025
황산구리(Cupric sulfate) 0.025
황산철(Ferrous sulfate·7H2O) 27.8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180.7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H2O) 16.9
몰리브덴산나트륨(Sodium molybdate) 0.25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 1900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170
황산아연(Zinc sulfate) 8.6
글리신(Glycine) 2
마이오-이노시톨(myo-Inositol) 100
니코틴산(Nicotinic acid) 0.5
염산피리독신(Pyridoxine·HCl) 0.5
염산티아민(Thiamine·HCl) 0.1
실험예 1.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항생제 저항성 확인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실험은 3회 반복(triplicate) 수행하였으며, 대장균(E.coli)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단일 콜로니를 50 ㎕의 ddH2O로 재현탁하였다. 박테리아 현탁액 2 ㎕를 암피실린(50 ㎎/L), 테트라사이클린(20 ㎎/L), 카나마이신(25 ㎎/L), 리팜피신(25 ㎎/L), 세포탁심(50 ㎎/L), 스펙티노마이신(50 ㎎/L), 클로람페니콜(30 ㎎/L)을 함유하는 LB-한천 배지에 스팟팅(spotting) 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암피실린 테트라 사이클린 카나마이신 리팜피신 세포탁심 스펙티노 마이신 클로람페니콜
B. cepacia JK11 +++ +++ +++ +++ ++ +++ ++
+++ +++ +++ +++ ++ +++ ++
+++ +++ +++ +++ ++ +++ ++
E.coli - - - - - - -
실험예 2.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분석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공시균주로서 대장균(E.coli), 고추탄저병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인 KB6, 근연의 동속 균주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KACC 12679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2.1.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불용성 인의 분해능 분석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단일 콜로니를 50 ㎕의 ddH2O로 재현탁하였다. 박테리아 현탁액 7 ㎕를 Pikovskaya's(PVK) 한천 배지에 스팟팅한 후, 플레이트를 27℃에서 7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인(phosphate) 가용화(solubilization)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인 가용화 정도가 대조 공시균주들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가 토양에 존재하는 불용성 인산염을 분해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Pikovskaya's(PVK) 한천 배지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성분명 함량(g/L)
글루코스(Glucose) 10
삼칼슘 인산염(Ca3(PO4)2) 5
황산암모늄((NH4)2SO4) 0.5
염화나트륨(NaCl) 0.2
황산마그네슘(MgSO7H2O)) 0.1
염화칼륨(KCl) 0.2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0.5
황산망간(MnSO4·H2O) 0.002
황산철(FeSO4·7H2O) 0.002
실험예 2.2.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사이드로포어 생산능 분석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단일 콜로니를 50 ㎕의 ddH2O로 재현탁하였다. 박테리아 현탁액 7 ㎕를 Chrome Azurol S(CAS) 한천 배지에 스팟팅하여 사이드로포어(siderophore) 생산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사이드로포어 생산 정도가 대조 공시균주들에 비해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가 철을 포획하는 사이드로포어를 생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CAS 배지는 하기 표 8의 용액 1, 2 및 3을 각각 별도로 만들고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ddH2O로 1/20배로 희석하고 한천(최종 농도 1.2%)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고압 멸균한 후 10 ㎖의 CAS 한천을 페트리디쉬에 붓고, 응고시킨 후에 10~15 ㎖의 영양 한천 배지를 오버레이(overlay) 하였다.
조성
용액 1 50 ㎖ 증류수, 60.5 ㎎ CAS(Chrome Azurol S)
용액 2 10 ㎖ HCl(10 mM), 1 mM FeCl6H2O
용액 3 40 ㎖ 증류수, 72.9 ㎎ CTAB
실험예 2.3.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옥신 생산능 분석
박테리아 현탁액 7 ㎕를 5 mM L-트립토판의 존재 및 부재하에 LB 한천 배지에 스팟팅하여 IAA(indole acetic acid) 생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박테리아 현탁액 스팟팅 즉시 플레이트에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NC) 멤브레인을 덮고, 28℃에서 2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NC 멤브레인을 플레이트로부터 제거하고, 2 ㎖의 Salkowski 시약(2 ㎖의 0.5 M FeCl3 및 98 ㎖의 35% HClO4; Appl. Env. Biol., 57:535-538, 1991 참조)에 침지시킨 여과지(filter paper)를 덮었다.
트립토판으로부터 합성되는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옥신(auxin) 호르몬 중 하나인 IAA의 생성 정도를 확인한 결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에 의해 IAA 생성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가 식물 생장 촉진 호르몬인 옥신을 생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항진균 활성 효과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항진균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때, 공시균주로서 대장균(E.coli), 고추탄저병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인 KB6, 근연의 동속 균주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KACC 12679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박테리아 현탁액 7 ㎕를 103 개의 진균 포자/㎖를 함유하는 PDA 배지에 스팟팅하고 28℃에서 5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때, 대상 식물병원성 진균으로는 잿빛 곰팡이병 원인균인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벼 키다리병 원인균인 푸사리움 후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녹색곰팡이병 원인균인 페니실리움 디지타툼(Penicillium digitatum), 벼잎집무늬마름병 원인균인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고추 역병 원인균인 파이토프토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 백합구근 세균병 원인균인 로도코커스 패시안스(Rhodococcus fascians)를 사용하였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에 의해 상기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의 생육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가 다양한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효과(antifungal effect)를 나타내어 농업용 친환경 방제제(bio-pesticides)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식물 생장 촉진 효과
본 발명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식물 생장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때, 균주 무처리 식물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담배(Nicotiana benthamiana)의 종자를 50% 표백 용액으로 표면 멸균하고 고압 멸균수로 세척하였다. 이후,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의 희석 배양액(OD600=0.1)이 함유된 영양 배지(NB)에 종자를 12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상기 12시간 동안 침지시킨 종자를 토분에 심고, 26℃ 온도 조건 및 16시간 명/8시간 암 조건(16h-D/8h-D)으로 5주 동안 배양실에서 성장시켰다. 그 결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접종 후 담배의 성장이 현저히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가 담배,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와 같은 다양한 식물에 대해 우수한 성장 촉진 활성을 나타내므로, 친환경 식물 생장 촉진 미생물 제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199BP 20200602
<110> KIM, IN SEONG <120> NOVEL STRAIN BURKHOLDERIA AND USE THEREOF <130> SPD20-099-KIS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urkholderia cepacia JK11 16S rRNA <400> 1 agaaaggagg tgatccagcc gcaccttccg atacggctac cttgttacga cttcacccca 60 gtcatgaatc ctaccgtggt gaccgtcctc cttgcggtta gactagccac ttctggtaaa 120 acccactccc atggtgtgac gggcggtgtg tacaagaccc gggaacgtat tcaccgcggc 180 atgctgatcc gcgattacta gcgattccag cttcatgcac tcgagttgca gagtgcaatc 240 cggactacga tcggttttct gggattagct ccccctcgcg ggttggcaac cctctgttcc 300 gaccattgta tgacgtgtga agccctaccc ataagggcca tgaggacttg acgtcatccc 360 caccttcctc cggtttgtca ccggcagtct ccttagagtg ctcttgcgta gcaactaagg 420 acaagggttg cgctcgttgc gggacttaac ccaacatctc acgacacgag ctgacgacag 480 ccatgcagca cctgtgcgcc ggttctcttt cgagcactcc cacctctcag caggattccg 540 accatgtcaa gggtaggtaa ggtttttcgc gttgcatcga attaatccac atcatccacc 600 gcttgtgcgg gtccccgtca attcctttga gttttaatct tgcgaccgta ctccccaggc 660 ggtcaacttc acgcgttagc tacgttacta aggaaatgaa tccccaacaa ctagttgaca 720 tcgtttaggg cgtggactac cagggtatct aatcctgttt gctccccacg ctttcgtgca 780 tgagcgtcag tattggccca gggggctgcc ttcgccatcg gtattcctcc acatctctac 840 gcatttcact gctacacgtg gaattctacc cccctctgcc atactctagc ctgccagtca 900 ccaatgcagt tcccaggttg agcccgggga tttcacatcg gtcttagcaa accgcctgcg 960 cacgctttac gcccagtaat tccgattaac gcttgcaccc tacgtattac cgcggctgct 1020 ggcacgtagt tagccggtgc ttattcttcc ggtaccgtca tcccccgact gtattagagc 1080 caaggatttc tttccggaca aaagtgcttt acaacccgaa ggccttcttc acacacgcgg 1140 cattgctgga tcaggctttc gcccattgtc caaaattccc cactgctgcc tcccgtagga 1200 gtctgggccg tgtctcagtc ccagtgtggc tggtcgtcct ctcagaccag ctactgatcg 1260 tcgccttggt aggcctttac cccaccaact agctaatcag ccatcggcca accctatagc 1320 gcgaggcccg aaggtccccc gctttcatcc gtagatcgta tgcggtatta atccggcttt 1380 cgccgggcta tcccccacta caggacatgt tccgatgtat tactcacccg ttcgccactc 1440 gccaccaggt gcaagcaccc gtgctgccgt tcgacttgca tgtgtaaggc atgccgccag 1500 cgttcaatct gagccaggat caaactctcc gt 1532 <210> 2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AL-16S-F <400> 2 caagctgcca ttcgccatac ggagagtttg atcctggc 38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R1 <400> 3 agaaaggagg tgatccagcc g 21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f-16S-R2 <400> 4 attcgctcca cctcacggtc tc 22

Claims (10)

  1. 서열번호 1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갖는 수탁번호 KCTC 14199BP로 기탁된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Burkholderia cepacia) JK11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항진균 활성 또는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갖는 것인, 균주.
  3. 삭제
  4. 제1항의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KCTC 14199BP)의 배양물.
  5. 제1항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원성 진균은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푸사리움 후지쿠로이(Fusarium fujikuroi), 페니실리움 디지타툼(Penicillium digitatum),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파이토프토라 캡시사이(Phytophthora capsici) 또는 로도코커스 패시안스(Rhodococcus fascians)인,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
  7. 제5항의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의 종자, 잎, 줄기, 뿌리 또는 이에 근접한 토양에 직접 살포하거나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성 진균의 방제 방법.
  9. 제1항에 따른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K11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 생장 촉진용 미생물 제제.
  10. 제9항의 미생물 제제를 식물의 종자, 잎, 줄기, 뿌리 또는 이에 근접한 토양에 직접 살포하거나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 생장 촉진 방법.
KR1020200092872A 2020-07-27 2020-07-27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9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872A KR102597467B1 (ko) 2020-07-27 2020-07-27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872A KR102597467B1 (ko) 2020-07-27 2020-07-27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662A KR20220013662A (ko) 2022-02-04
KR102597467B1 true KR102597467B1 (ko) 2023-11-01

Family

ID=8026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872A KR102597467B1 (ko) 2020-07-27 2020-07-27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4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012A (ja) 2001-03-23 2002-09-25 Hec:Kk 植物病害を抑制する機能性有機資材
CN104342383A (zh) 2014-07-07 2015-02-11 广西大学 一种能在干旱胁迫下促进植物生长的菌株ld-11及其应用
KR101489865B1 (ko) 2013-08-29 2015-02-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bk9 균주, 이의 배양물,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
CN109182198A (zh) 2018-09-29 2019-01-11 信阳师范学院 洋葱伯克霍尔德菌及其应用
CN109913393A (zh) 2019-04-03 2019-06-21 贵州大学 一株洋葱伯克霍尔德氏菌p10及其应用
CN110669686A (zh) 2019-03-07 2020-01-10 慕恩(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株伯克霍尔德氏菌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353B1 (ko) * 2007-04-06 2008-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작물 생육촉진 미생물 불크홀데리아 세파시아 se-4 및이를 이용한 지베렐린의 제조방법
KR101611537B1 (ko) 2014-03-07 2016-04-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생장 촉진용 엔테로박터 루드위지아이 sjr3 균주 및 그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5012A (ja) 2001-03-23 2002-09-25 Hec:Kk 植物病害を抑制する機能性有機資材
KR101489865B1 (ko) 2013-08-29 2015-02-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벌크홀데리아 세파시아 jbk9 균주, 이의 배양물,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원성 진균 방제용 조성물
CN104342383A (zh) 2014-07-07 2015-02-11 广西大学 一种能在干旱胁迫下促进植物生长的菌株ld-11及其应用
CN109182198A (zh) 2018-09-29 2019-01-11 信阳师范学院 洋葱伯克霍尔德菌及其应用
CN110669686A (zh) 2019-03-07 2020-01-10 慕恩(广州)生物科技有限公司 一株伯克霍尔德氏菌及其应用
CN109913393A (zh) 2019-04-03 2019-06-21 贵州大学 一株洋葱伯克霍尔德氏菌p10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662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252B1 (ko) 인삼 뿌리썩음병에 대한 길항력을 가지는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arri17 및 이의 이용
AU2007229234B2 (en) The production and use of endophytes as novel inoculants for promoting enhanced plant vigor, health, growth, yield reducing environmental stress and for reducing dependency on chemical pesticides for pest control
US8404476B2 (en) Pure culture of strain AH2 of the Bacillus velezensis species and a product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phytopathogenic fungi
CN102428966B (zh) 一种作物病害防治复合生物制剂及其应用
TW201428097A (zh) 具有抗真菌及抗細菌功效與促生活性之芽孢桿菌品種
CN110452832B (zh) 一株耐酸性解淀粉芽孢杆菌Kc-5及其应用
KR20120051284A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krict934 균주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질소무기화 촉진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20140127670A (ko) 식물 내생세균 바실러스 메칠로트로피쿠스 yc700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생물농약 및 미생물비료 개발
KR20130032100A (ko) 작물의 생육촉진 및 내한성 증강효과를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발리스모티스 bs07m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MX2007008234A (es) Una nueva cepa de trichoderma atroviride, un medio de cultivo conteniendola, asi como la utilizacion de dicha cepa en particular como estimulante de la germinacion y/o d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KR101667541B1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메틸로트로피쿠스 gh1-13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KR10152465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39;&#39;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20140071145A (ko) 신균주인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 ab-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40083122A (ko) 트리코데르마 sp. OK―1 균주를 후막포자 형성 기술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제제
KR101535893B1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션스 cc110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KR101498155B1 (ko) 신규한 패니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한 감자 생산 증진 방법
KR101660229B1 (ko) 트라이코데르마 하지아눔 mpa167 및 이의 용도
KR102597467B1 (ko) 신규한 벌크홀데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11152B1 (ko) 세균성 풋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les120 균주
KR102411304B1 (ko)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잔톡실리 균주 및 이의 용도
US11723369B2 (en) Symbiont for enhancement of plant performance
KR102159230B1 (ko) 식물병 방제 또는 식물 생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하이포자일론 펄포라텀(Hypoxylon perforatum) KDC0114 균주 및 이의 이용
KR20230105465A (ko) 고추 탄저병과 세균병 방제 및 생육촉진 효과를 가진 다기능 천연식물보호제 개발
KR102075073B1 (ko) 식물병 방제효과 및 식물 생장 촉진 활성을 가지는 세라시아 sp. KUDC3025 균주, 및 이의 이용
KR20200107631A (ko) 신규한 슈도모나스 파라풀바 PpaJBCS1880 균주 및 이의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