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650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650B1
KR102592650B1 KR1020160172479A KR20160172479A KR102592650B1 KR 102592650 B1 KR102592650 B1 KR 102592650B1 KR 1020160172479 A KR1020160172479 A KR 1020160172479A KR 20160172479 A KR20160172479 A KR 20160172479A KR 102592650 B1 KR102592650 B1 KR 10259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clutch
wheel
contact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148A (ko
Inventor
김재형
강형하
장세민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650B1/ko
Priority to US16/469,787 priority patent/US11274390B2/en
Priority to PCT/KR2017/014527 priority patent/WO2018110935A1/ko
Priority to CN201780083587.9A priority patent/CN110177907B/zh
Priority to EP17879979.7A priority patent/EP3556924A4/en
Priority to AU2017374402A priority patent/AU2017374402B9/en
Publication of KR2018007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006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double sucti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21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 및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관 및 상기 배수관 내부의 물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급수관 또는 상기 배수관 중 어느 하나의 관만 물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나의 펌프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각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베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처리장치의 종래의 구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0333호에 모두 개시되고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된 급수시스템과 배수시스템은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펌프가 각각 필요하다. 다만, 많은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다보니 의류처리장치의 전체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유로에 하나의 펌프 어셈블리만을 설치하여, 각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급수관 또는 배수관 중 어느 하나의 관 내부의 유로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요가 적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 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 및,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관 및 상기 배수관 내부의 물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급수관 또는 상기 배수관 중 어느 하나의 관만 물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하나의 펌프 어셈블리만으로 각 유로의 독립행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휠, 상기 휠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휠과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휠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클러치, 상기 각각의 클러치와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클러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 상기 각각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휠에 구비되고 상기 휠의 회전력을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클러치로 전달하는 커넥팅암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급수관 또는 배수관 중 어느 하나의 관 내부의 유로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클러치는, 상기 휠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클러치 및 상기 휠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클러치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팅암은, 상기 휠의 회전 중심축에서 소정거리 떨어져 구비되고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제1커넥팅암 및 제2커넥팅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급수관 또는 배수관 중 어느 하나의 관 내부의 유로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각각의 커넥팅암은, 상기 회전축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휠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넥팅바, 상기 커넥팅바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핸드 및 상기 커넥팅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핸드는 상기 제1클러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1클러치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핸드는 상기 제2클러치과 접촉하여 상기 제2클러치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모터의 회전 방향의 변경만으로 각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제1핸드와 상기 제1클러치가 서로 접촉하고 상기 제2핸드와 상기 제2클러치는 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모터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제1핸드와 상기 제1클러치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2핸드와 상기 제2클러치는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클러치는, 상기 제1핸드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휠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클러치는, 상기 제2핸드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휠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클러치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2클러치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모터의 회전 방향이 변경될 때 작동하는 유로의 변경이 안정적으로 일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는, 각각 상기 제1핸드 및 상기 제2핸드와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제1핸드 및 상기 제2핸드와 충돌이 발생하는 충돌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며, 모터의 회전 방향이 변경될 때 작동하는 유로의 변경이 안정적으로 일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접촉면은 상기 충돌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유로의 변경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어느 하나의 상기 커넥팅암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드와 상기 제2핸드는 상기 커넥팅바를 기준으로 서로 수직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유로의 변경이 효율적으로 일어나는 최적의 구조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상기 제1핸드 및 상기 제2핸드는, 한쪽 면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면은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유로의 변경에 필수적인 형상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휠이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핸드들의 평면은 각각 상기 제1돌기들의 접촉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핸드들은 상기 제2돌기들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휠이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핸드들의 평면은 각각 상기 제2돌기들의 접촉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핸드들은 상기 제1돌기들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휠이 일 방향으로 소정시간 회전 중에 회전 방향이 바뀌는 경우, 상기 제1핸드들의 곡면은 상기 제1돌기들의 충돌면과 충돌이 일어나면서 상기 커넥팅바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커넥팅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핸드들의 평면은 각각 상기 제2돌기들의 접촉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핸드들은 상기 제1돌기들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열풍을 생성하는 히트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임펠러는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제1임펠러 및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제2임펠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임펠러와 상기 제2임펠러는 동시에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유로에 하나의 펌프 모듈만을 설치하여, 각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급수관 또는 배수관 중 어느 하나의 관 내부의 유로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요가 적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된 기계실의 종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계실 내부에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의 종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된 기계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분해도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내부가 도시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는 도시한 것이며, 도 7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일 방향으로 모터가 회전할 때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9와 반대 방향으로 모터가 회전할 때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작동 태양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일부 구성요소들만 도시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보다 소정시간이 지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보다 소정시간이 지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 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3), 상기 의류수용부(3)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기계실(5),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의 급수 및 배수를 담당하는 펌프어셈블리(7)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수용부(3)에는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31)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31)은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의류가 지지되는 의류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지지부는 수용공간(31) 내부에 구비되는 제1의류지지부(13)와 도어(11)에 구비되는 제2의류지지부(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지지부(13)는 수용공간(31)의 깊이 방향(X축 방향) 또는 수용공간의 너비 방향(Y축방향, 도어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수용공간(31)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의류지지부(13)의 일례가 도시된 것이다.
이 경우, 의류는 옷걸이(17)에 구비된 고리(H)를 통해 제1의류지지부(13)에 지지될 수도 있고, 옷걸이(17) 없이 제1의류지지부(1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의류는 수용공간(31)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지지부(15)는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 채 수용공간(31) 내부에 위치되도록 도어(11)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의류지지부(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에 고정된다. 옷걸이(17)에 구비된 고리(H)가 상기 제2의류지지부(15)에 지지된다.
수용공간(31)의 하부에는 기계실(5)이 구비되며 기계실(5)은 수용공간(31)과 격벽으로 구획된다. 다만, 기계실(5)에서 생성되는 건조공기 및 스팀이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다.
기계실(5)에서 생성되는 건조공기는 공기배출부(35)를 통해서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되며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된 건조공기는 의류와 접촉한 뒤 공기흡입부(36)를 통해서 기계실(5)로 흡입된다.
공기배출구(35)와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과 기계실(5)을 구획하는 격벽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수용공간(31)의 측면이나 상부면 또는 도어(11)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수용공간(31)의 바닥면 즉, 상기 격벽에 공기배출구(35)와 공기흡입부(36)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 바닥면의 앞쪽에 구비된다. 즉, 도어(1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공기흡입부(36)가 상기 도어(11)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면 공기 커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도어(11)가 개폐될 때 외부 공기의 영향을 덜 받는다. 공기배출부(35)는 공기흡입부(36)와 최대한 멀리 떨어지게 구비되도록 하여 배출된 공기가 수용공간(31) 내부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공간(31)의 하부에는 스팀배출구(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5) 내부에 구비된 스팀발생기(52, 도 2)에서 생성된 스팀(steam)이 스팀배출구(37)를 통해 수용공간(31) 내부의 의류로 공급된다.
스팀배출구(37)은 수용공간(31) 내부라면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수용공간(31)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수용공간(31)의 하부 및 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기계실(5) 내부에 구비된 장치들이 도시된 것이며, 급수펌프(56a)와 배수펌프(56b)를 포함하는 펌프(56)가 구비된 종래의 기계실(5)의 구조에 해당한다.
기계실(5)은, 공기의 습도를 낮추고 온도를 높여 건조 공기를 생산할 수 있는 히트펌프(51), 수용공간(31)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52), 수용공간(31) 하부에 구비되고 공기흡입구(36)와 연통하는 제1덕트(53), 수용공간(31) 하부에 구비되고 공기배출부(35)와 연통하며 내부에 상기 히트펌프(51)가 구비되는 제2덕트(54)를 포함한다. 제1덕트(53)와 제2덕트(54)는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공기의 흐름은 기계실(5) 내부에 구비된 팬(55)의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공기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제1덕트(53)로 유입되며, 제1덕트(53)에 유입된 공기는 제2덕트(54)에 유입되어 히트펌프(51)를 통과한 뒤 공기배출구(35)를 통해 다시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된다.
히트펌프(51)는 제2덕트(54) 내부에 구비된 히트펌프본체(513)에 구비되며, 히트펌프본체(513) 내부에는 증발기(511)와 응축기(512)가 차례로 설치된다. 증발기(511)는 저온 액체 냉매가 통과하는 장치이며 주변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응축기(512)는 고온 기체 냉매가 통과하는 장치로써 주변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히트펌프본체(513)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511)와 응축기(512)를 차례로 지나친다.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의류와의 상호 작용으로 습도가 높거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에 해당한다. 상기 공기는 증발기(511)를 거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머금고 있는 수분이 응결된다. 그 후 응축기(512)를 거치면서 온도가 다시 상승한다. 즉, 히트펌프(51)는 건조 고온 공기를 생산한다.
한편, 기계실(5) 내부에는 펌프(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펌프(56)는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펌프(56a)와 배수를 담당하는 배수펌프(56b)로 구성된다.
각각의 펌프의 세부 구조는 도 3에 도시되고 있다. 각각의 펌프(56a, 56b)는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는 임펠러(562), 상기 임펠러(562)를 회전시키는 모터(561), 상기 임펠러(562)가 위치하는 유로관(563)으로 구성된다. 모터(561)은 모터브라켓(565)에 구비되며 링(564)은 모터(561)와 모터브라켓(565) 사이의 충격을 흡수한다. 모터브라켓(565)에 구비된 모터(561)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는 모터케이스(566)가 구비된다. 모터(561)가 회전을 하면 임펠러(562)가 회전을 하게 되고, 임펠러(562)의 회전에 의해 급수 또는 배수가 가능해진다. 임펠러(562)가 회전하기만 하면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므로 모터(561)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든 무관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뿐만 아니라 세탁도 가능하다. 즉, 세탁을 위해 세탁물 및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급수와 배수 구조가 적용되는 어떠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5)에 구비된 펌프어셈블리(7)가 도시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도 4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펌프어셈블리(7)가 기계실(5)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비되거나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급수와 배수 시스템이 필요한 의류처리장치(100)라면 상기 펌프어셈블리(7)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7) 구조가 기계실(5)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기계실(5) 내부의 일반 구조들은 도 2와 같으므로, 도 2와의 차이점에 대하여만 기술하도록 한다.
도 2와 달리 도 4에는 하나의 펌프만 구비된다. 즉, 하나의 펌프어셈블리(7)만으로 급수와 배수 시스템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펌프어셈블리(7)는 일단은 급수관(8)과 연결되고 타단은 배수관(9)과 연결된다.
펌프어셈블리(7)는 모터(72, 도 5 내지 도 8 참고)를 포함하며, 모터(7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급수관(8) 내부의 유체 흐름을 발생시키며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배수관(9) 내부의 유체 흐름을 발생시킨다. 도 3에서 살펴본 종래의 펌프 구조를 살펴보면, 유체의 흐름은 모터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모터가 회전하기만 하면 한 유로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만들어졌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7)는 모터(72)의 방향에 따라 각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펌프어셈블리(7)의 세부 구조는 도 5 내지 도 8을 통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는 펌프어셈블리(7)만을 따로 도시한 것이며, 펌프어셈블리(7)의 정면도, 분해도, 상면도 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펌프어셈블리(7)의 외관이 도시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펌프어셈블리(7)는 외관을 형성하는 펌프하우징(71), 모터(72), 급수관(8)과 연결되고 내부에 제1임펠러(77a, 도 6 및 도 7 참고)가 구비되는 제1유로관(78a), 배수관(9)과 연결되고 내부에 제2임펠러(77b, 도 7 참고)가 구비되는 제2유로관(78b)을 포함한다.
모터(72)의 회전력은 주동풀리(721)로 전달되고 주동풀리(721)와 연결된 벨트(722)가 주동풀리(721)의 회전력을 휠(74, 도 6 및 도 7 참고)로 전달한다.
펌프하우징(71) 내부 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펌프어셈블리(7)의 일부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며, 급수관(8)쪽이 도시되어 있다. 배수관(8) 쪽의 구조 또한 급수관(8) 쪽과 같다. 급수관(8) 쪽과 배수관(8) 쪽의 펌프어셈블리(7) 내부 구조는 서로 대칭된다.
모터(72)의 회전력은 주동풀리(721) 및 벨트(722)를 통해 휠(74)로 전달된다. 휠(74)은 급수관(8)에 더 가깝게 구비되는 제1휠(74a)와 배수관(9)에 더 가깝게 구비되는 제2휠(74b, 도 7 참고)로 구성되며 제1휠(74a)과 제2휠(74b)는 일체로 구비되거나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즉, 휠(74a, 74b)은 벨트(72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한다.
또한 펌프어셈블리(7)는 휠(74a, 74b)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클러치(75)를 더 포함한다. 클러치(75)는 제1휠(74a)에 이웃하여 구비되는 제1클러치(75a)와 제2휠(74b)에 이웃하여 구비되는 제2클러치(75b)로 구성된다.
클러치(75)는 커넥팅암(76)을 통해 휠(7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휠(74)의 회전력이 커넥팅암(76)을 통해 클러치(75)로 전달되는 작동 태양은 추후 기술하도록 한다.
커넥팅암(76)은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 도 8 참고)으로 구성되며 제1클러치(75a) 및 제2클러치(75b)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휠(74)의 회전력을 클러치(75)로 전달한다.
한편, 커넥팅암(76a, 76b)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클러치(75a, 75b)는 회전축(73)을 통해 상기 회전축(73)과 연결된 임펠러(77a, 77b)를 회전시킨다.
제1클러치(75a)가 회전하면, 제1클러치(75a)와 연결되고 제1클러치(75a)의 중앙에 구비된 회전축(73)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73)과 연결된 제1임펠러(77a)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2클러치(75b)가 회전하면, 제2클러치(75b)와 연결되고 제2클러치(75b)의 중앙에 구비된 회전축(73)이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73)과 연결된 제2임펠러(77b)가 회전하게 된다. 제1클러치(75a)와 연결된 회전축(73)과 제2클러치(75b)에 연결된 회전축(73)은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 별개로 회전한다.
회전축(73)에는 축베어링(731)이 구비되며, 상기 축베어링(731)은 임펠러(77a, 77b)와 클러치(75a, 75b)사이에 위치하는 펌프하우징(71)에 위치한다. 회전축(73)이 회전할 때 펌프하우징(71)과의 마찰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모터(72)의 외부에는 모터(72)를 보호하기 위한 모터브라켓(723)이 더 포함된다.
도 7은 펌프하우징(71)을 제외한 펌프어셈블리(7)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각 구성이 모두 조립된 모습에 해당한다.
모터(7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휠(74a, 74b)는 모터(72)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벨트(722)에 의해 회전한다. 제1휠(74a)과 제2휠(74b)는 서로 고정 결합되어 하나의 물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회전할 때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휠(74a, 74b)에는 커넥팅암(76)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은 각각 휠(74)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는 휠(74)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두 개의 커넥팅암(76a, 76b)은 각각 제1휠(74a)과 제2휠(74b)에 걸쳐 구비된다. 즉, 각각의 커넥팅암(76a, 76b)의 반은 제1휠(74a)에 구비되고 나머지 반은 제2휠(74b)에 구비된다.
커넥팅암(76a, 76b)은 휠(74)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한다. 커넥팅암(76a, 76b)의 회전을 통해 제1클러치(75a) 또는 제2클러치(75b)와 접촉이 일어난다. 구체적으로, 모터(7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커넥팅암(76a) 및 제2커넥팅암(76b)은 제1클러치(75a)와 접촉하여 제1클러치(75a)를 회전시키며, 모터(7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커넥팅암(76a) 및 제2커넥팅암(76b)은 제2클러치(75b)와 접촉하여 제2클러치(75b)를 회전시킨다.
즉, 커넥팅암(76a, 76b)은 클러치(75a, 75b)와 접촉하기 때문에 회전 범위가 제한적이다. 커넥팅암(76a, 76b)의 세부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7을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이 모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는 휠(74)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격된 거리는 서로 같다.
클러치(75a, 75b)가 커넥팅암(76a, 76b)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제1클러치(75a)는 제1돌기(751a)를 포함하고 제2클러치(75b)는 제2돌기(75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돌기(751a)와 제2돌기(751b)는 각각의 커넥팅암(76a, 76b)과 접촉하는 수단이 된다.
제1돌기(751a)와 제2돌기(751b)는 각각 두 개씩 구비된다. 제1돌기(751a)는 제1클러치(75a)의 회전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구비되며 제2클러치(75b)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두 개의 제1돌기(751a)는 제1클러치(75a)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두 개의 제1돌기(751a)를 잇는 가상의 선은 제1클러치(75a)의 회전 중심을 지나친다. 한편 제1돌기(751a)는 제1클러치(75a)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2돌기(751b)는 제2클러치(75b)의 회전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구비되며 제1클러치(75a)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두 개의 제2돌기(751b)는 제2클러치(75b)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두 개의 제2돌기(751b)를 잇는 가상의 선은 제2클러치(75b)의 회전 중심을 지나친다. 한편 제2돌기(751b)는 제2클러치(75b)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도 8은 급수관(8) 내부의 유체가 흐르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모터(72)의 일 방향 회전으로 인해, 휠(74a, 74b)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휠(74a, 74b)에 구비된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은 제1클러치(75a)에 구비된 제1돌기(751a)와 접촉한다.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은 각각 하나의 제1돌기(751a)와 접촉하면서 제1클러치(75a)를 회전시킨다. 제1클러치(75a)의 회전으로 제1클러치(75a)에 구비된 회전축(73)이 회전하며, 회전축(73)의 회전으로 제1유로관(78a) 내부에 구비된 제1임펠러(77a)가 회전하게 되고, 제1임펠러(77a)의 회전으로 급수관(8)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는 제2돌기(751b)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제2클러치(75b)는 회전하지 않으며, 제2임펠러(77b) 또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배수관(9) 내부의 유체는 흐르지 않게 된다.
만약 배수관(9) 내부의 유체가 흐르도록 하려면 모터(72)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바꾸면 된다. 모터(72)의 회전 방향이 바뀌면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은 각각 제1돌기(751a)와의 충돌로 인해 회전하게 되며 종국적으로 제2돌기(751b)와 접촉하게 된다.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이 제2돌기(751b)와 접촉하게 되면 제2클러치(75b)가 회전한다. 제2클러치(75b)의 회전은 제2클러치(75b)에 구비된 회전축의 회전으로 이어지고, 회전축(73)의 회전으로 제2유로관(78b) 내부에 구비된 제2임펠러(77b)가 회전하게 되며, 제2임펠러(77b)의 회전으로 배수관(9) 내부에 유체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는 제1돌기(751a)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제1클러치(75a)는 회전하지 않으며, 제1임펠러(77a) 또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급수관(8) 내부의 유체는 흐르지 않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커넥팅암(76)의 세부구조 및 각각의 커넥팅암(76a, 76b)과 돌기(751a, 751b) 사이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도 8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회전 방향만 반대로 바뀐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에서 커넥팅암(76a, 76b)과 돌기(751a, 751b) 사이의 상호 작용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휠(74)이 생략된 도면에 해당한다.
먼저 도 11을 통해 커넥팅암(76)의 세부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커넥팅암(76)은 제1커넥팅암(76a) 및 제2커넥팅암(76b)으로 구비되며,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다만 제1커넥팅암(76a)과 제2커넥팅암(76b)은 휠(74)의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1커넥팅암(76a)은, 회전축(73)과 평행을 이루고 휠(7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넥팅바(761a), 상기 커넥팅바(761a)의 일단에 구비되고 제1돌기(751a)와 상호작용을 하는 제1핸드(762a), 상기 커넥팅바(761a)의 타단에 구비되고 제2돌기(751b)와 상호작용을 하는 제2핸드(763a)로 구성된다.
제2커넥팅암(76b) 또한, 회전축(73)과 평행을 이루고 휠(7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넥팅바(761b), 상기 커넥팅바(761b)의 일단에 구비되고 제1돌기(751a)와 상호작용을 하는 제1핸드(762b), 상기 커넥팅바(761b)의 타단에 구비되고 제2돌기(751b)와 상호작용을 하는 제2핸드(763b)로 구성된다.
제1핸드(762a, 762b)와 제2핸드(763a, 763b)는 회전축(73)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며, 제1핸드(762a, 762b)와 제2핸드(763a, 763b)를 구성하는 상기 두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764a, 764b)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765a, 765b)을 포함한다. 상기 평면(764a, 764b) 및 곡면(765a, 765b)는 도 12 내지 도 14에 모두 표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핸드(762a, 762b)는, 바닥면(766a, 766b)과 바닥면(766a, 766b)의 한쪽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면(764a, 764b) 및 상기 바닥면의 다른쪽 끝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평면(764a, 764b)의 끝단과 연결되는 곡면(765a, 765b)으로 구성된다.
제2핸드(763a, 763b) 또한 제1핸드(762a, 762b)와 마찬가지로 바닥면(766a, 766b), 바닥면(766a, 766b)의 한쪽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면(764a, 764b) 및 상기 바닥면의 다른쪽 끝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평면(764a, 764b)의 끝단과 연결되는 곡면(765a, 765b)으로 구성된다.
커넥팅바(761a, 761b)는 제1돌기(751a) 및 제2돌기(751b)에 비해 회전축(73)에 더 가깝게 구비된다. 따라서 제1핸드(762a)의 바닥면(766a)이 회전축(73)을 향해있을 때 상기 평면(764a)의 끝단은 제1돌기(751a)와 접촉할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하며, 제2핸드(763a)의 바닥면(766a)이 회전축을 향해있을 때 상기 평면(764a)의 끝단은 제2돌기(751b)와 접촉할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1핸드(762b)의 바닥면(766b)이 회전축(73)을 향해있을 때 상기 평면(764b)의 끝단은 제1돌기(751a)와 접촉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제2핸드(763b)의 바닥면(766b)이 회전축(73)을 향해있을 때 상기 평면(764b)의 끝단은 제2돌기(751b)와 접촉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면(766a, 766b)의 폭은 커넥팅바(761a, 761b)와 제1돌기(751a) 또는 제2돌기(751b)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된다. 제1핸드(762a, 762b)가 제1돌기(751a)와 접촉하지 않을 때는 제1핸드의 바닥면(766a, 766b)의 한쪽 끝단이 회전축(73)에서 가장 멀어져 있는 상태가 되며, 제2핸드(763a, 763b)가 제2돌기(751b)와 접촉하지 않을 때는 제2핸드의 바닥면(766a, 766b)의 한쪽 끝단이 회전축(73)에서 가장 멀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바닥면의 길이가 커넥팅바(761a, 761b)와 제1돌기(751a) 또는 제2돌기(751b)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구비되면, 바닥면이 제1돌기(751a) 또는 제2돌기(751b)와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바닥면의 폭은 커넥팅바(761a, 761b)와 제1돌기(751a) 또는 제2돌기(751b)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면(766a, 766b)의 끝단이 회전축(73)과 가장 멀어졌을 때의 위치는 커넥팅바(761a, 761b)와 제1돌기(751a) 또는 제2돌기(751b)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핸드 및 제2핸드는 상어 지느러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소정 두께를 가진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평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을 가진다면 어떠한 형상이든 무관하다.
한편, 제1커넥팅암(76a)에 구비된 제1핸드(762a)와 제2핸드(763a)는 각각의 바닥면(766a)을 포함하는 가상의 연장면이 서로 수직을 이루며, 각각의 평면(764a)을 포함하는 가상의 연장면 또한 서로 수직을 이룬다. 따라서 제1핸드(762a)가 제1돌기(751a)와 접촉하는 경우, 제2핸드(763a)는 제1핸드(762a)와 수직을 이루며 바닥면(766a)은 회전축(73)과 제2돌기(751b)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2핸드(763a)는 제2돌기(751b)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바닥면(766a)의 끝단(회전축(73)과 가장 멀리 위치한)이 제2돌기(751b)와 접촉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2돌기(751b)와 제2핸드(763a)가 접촉하는 경우, 제1돌기(751a)와 제1핸드(762a)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제2커넥팅암(76b)도 제1커넥팅암(76a)과 마찬가지로, 제2커넥팅암(76b)에 구비된 제1핸드(762b)와 제2핸드(763b)는 각각의 바닥면(766b)을 포함하는 가상의 연장면이 서로 수직을 이루며, 각각의 평면(764b)을 포함하는 가상의 연장면 또한 서로 수직을 이룬다. 따라서 제1핸드(762b)가 제1돌기(751a)와 접촉하는 경우, 제2핸드(763b)는 제1핸드(762b)와 수직을 이루며 바닥면(766b)은 회전축(73)과 제2돌기(751b) 사이에 구비되기 때문에 제2핸드(763b)는 제2돌기(751b)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바닥면(766b)의 끝단(회전축(73)과 가장 멀리 위치한)이 제2돌기(751b)와 접촉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2돌기(751b)와 제2핸드(763b)가 접촉하는 경우, 제1돌기(751a)와 제1핸드(762b)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도 11에는 AA'축이 도시되어 있다. 바닥면(766a)이 회전축(73)을 향해있는 상황에서 A'에서 A를 바라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핸드(762a, 762b)를 구성하는 평면(764a, 764b)은 곡면(765a, 765b)보다 AA' 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쪽에 위치한다.
또한 바닥면(766b)가 회전축(73)을 향해있는 상황에서 A에서 A'를 바라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2핸드(763a, 763b)를 구성하는 평면(764a, 764b)은 곡면(765a, 765b)보다 AA' 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쪽에 위치한다.
AA'축에 있어서 A'에서 A를 바라본 시점을 기준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7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핸드(762a)의 평면(764a)과 제1핸드(762b)의 평면(764b)은 각각 하나의 제1돌기(751a)와 접촉한다.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휠(7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핸드(762a)의 평면(764a)은 제1돌기(751a)와의 접촉이 해제되며, 제1핸드(762a)의 곡면(765a)은 제1돌기(751a)와 충돌하게 되며, 상기 충돌에 의해 커넥팅바(761a)가 회전한다. 제1핸드(762a)와 제2핸드(763a)는 수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종국적으로 제2핸드(763a)의 평면은 제2돌기(751b)와 접촉하게 된다. 즉, 제2클러치(75b)가 회전하게 된다. 제2커넥팅암(76b)의 제1핸드(762b)는 제1핸드(762a)와 같은 동작을 보이며 제2핸드(763b) 또한 제2핸드(763a)와 같은 동작을 보인다. 정리하면, 최종적으로 제2핸드(763a, 763b)가 각각 제2돌기(751b)와 접촉하여 제2클러치(75b)를 회전시킨다.
도 9와 도 10은 도 11에서 휠(74a, 74b)이 도시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는 제1핸드(762a)의 평면(764a)이 제1돌기(751a)와 접촉하면서 제1클러치(75a)를 회전시키는 장면이 도시되고 있다. 회전 방향이 바뀐 도 10에서는 제1핸드(762a)의 곡면(765a)이 제1돌기(751a)와 충돌하면서 커넥팅바(761a)가 회전된 것을 알 수 있다. 종국적으로 제2핸드(763a)의 평면(764a)이 제2돌기(751b)와 접촉하면서 제2클러치(75b)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커넥팅암(76)과 돌기(751a, 751b)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AA'축을 기준으로, 제1클러치(75a)와 제1핸드(762a, 762b)의 상호작용을 A'에서 A쪽으로 바라본 도면이 위쪽에 도시되어 있고 제2클러치(75b)와 제2핸드(763a, 763b)의 상호작용을 A에서 A'쪽으로 바라본 도면이 아래쪽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말해, 도 11의 AA'축에 있어서 A측면에 있는 장치가 위쪽에 도시되어 있고 A'측면에 있는 장치가 아래쪽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2를 통해 제1돌기(751a)와 제2돌기(751b)의 세부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제1돌기(751a)는, 제1핸드(762a, 762b)의 평면(764a, 764b)과 접촉하는 면에 해당하는 접촉면(7511a)과 제1핸드(762a, 762b)의 곡면(765a, 765b)과 충돌하는 면에 해당하는 충돌면(7512a)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7511a)은 충돌면(7512a)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진다. 제1핸드(762a, 762b)의 평면(764a, 764b)으로부터 안정적으로 회전력을 제1클러치(75a)가 전달받기 위함이다.
반면 충돌면(7512a)은 매우 작은 면적을 가지며, 이는 제1핸드(762a, 762b)의 곡면(765a, 765b)에 보다 강한 충격을 주어 커넥팅바(761a)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충돌면(7512a)과 충돌이 일어나는 곡면(765a, 765b)은 커브 형태이기 때문에 총돌면(7512a)과 마찰이 일어난다. 이는 도 13에 상세하게 도시되고 있다.
제2돌기(751b)는, 제2핸드(763a, 763b)의 평면(764a, 764b)과 접촉하는 면에 해당하는 접촉면(7511b)과 제2핸드(763a, 763b)의 곡면(765a, 765b)과 충돌하는 면에 해당하는 충돌면(7512b)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7511b)은 충돌면(7512b)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진다. 제2핸드(763a, 763b)의 평면(764a, 764b)으로부터 안정적으로 회전력을 제2클러치(75b)가 전달받기 위함이다.
반면 충돌면(7512b)은 매우 작은 면적을 가지며, 이는 제2핸드(763a, 763b)의 곡면(765a, 765b)에 보다 강한 충격을 주어 커넥팅바(761b)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충돌면(7512b)과 충돌이 일어나는 곡면(765a, 765b)은 커브 형태이기 때문에 충돌면(7512b)과 마찰이 일어난다. 이 또한 도 13에 상세하게 도시되고 있다.
도 12는 도 9 및 도 11과 같이 AA'축을 기준으로 A'에서 A방향을 바라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휠(74)이 회전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위쪽 도면과 아래쪽 도면은 회전 방향이 반대로 표시되고 있지만, A'에서 A를 바라보느냐 A에서 A'를 바라보느냐의 차이에 해당할 뿐 실제로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A방향 도면을 살펴보면, 제1핸드(762a, 762b)는 제1돌기(751a)의 접촉면(7511a)과 접촉하고 있으며, 휠(74)의 회전력이 제1핸드(762a, 762b) 및 제1돌기(751a)를 통해서 제1클러치(75a)로 전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방향 도면을 살펴보면, 제2핸드(763a, 763b)는 제2돌기(751b)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핸드(762a)와 제2핸드(763a)는 서로 수직 상태이고, 제1핸드(762b)와 제2핸드(763b)가 서로 수직 상태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A'에서 A방향을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하여 휠(74)이 회전하는 한 휠(74)의 회전력은 제1클러치(75a)로만 전달된다.
도 13은 도 12와 비교하였을 때, 휠(74)의 회전 방향이 A'에서 A방향을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바뀐 직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A측면 도면(위쪽 도면)에 표시된 제1핸드(762a, 762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축(73)을 기준으로 90도 회전 되었을 때의 모습이 도 13의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다시 90도가 회전 되었을 때의 모습이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휠(74)의 회전 방향이 바뀐 직후, 커넥팅바(761a)는 제1핸드의 곡면(765a, 765b)이 충돌면(7512a)과 충돌하기 전까지 회전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1핸드의 평면(764a, 764b)이 각각 어느 하나의 제1돌기(751a)에 구비된 접촉면(7511a)과의 접촉이 해제되고 회전축(73)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면 각각 또 다른 제1돌기(751a)에 구비된 충돌면(7512a)과 제1핸드의 곡면(765a, 765b)이 서로 충돌한다.
상기 충돌에 의해 도 13의 위쪽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바(761a)가 회전함으로 인해 제1핸드(762a, 762b)가 각각 소정각도씩 회전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핸드(762a, 762b)가 각각 소정각도씩 회전된 만큼 제1핸드(762a)와 연결된 제2핸드(763a) 및 제1핸드(762b)와 연결된 제2핸드(763b) 또한 같은 각도만큼 회전한다.
도 13에서 A'측면 도면(아래쪽 도면)에 표시된 제2핸드(763a, 763b)는 제2돌기(751b)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제2핸드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축(73)을 기준으로 90도 회전 되었을 때의 모습이 도 13의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다시 90도가 회전 되었을 때의 모습이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실선으로 표시된 제2핸드가 소정각도 회전된 이유는, 도 13 A측면 도면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핸드가 제1돌기의 충돌면(7512a)과 충돌하였기 때문이다.
제1핸드의 회전으로 커넥팅바(761a, 761b)가 각각 회전하게 되고 제2핸드 또한 회전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회전축(73)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하였을 때 제2핸드 또한 도 13의 아래 도면과 같은 형태를 보이게 된다.
도 14는 도 13과 비교하였을 때 제1핸드와 제2핸드가 모두 180도씩 회전축(73)을 기준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점선은 도 13의 실선에서 90도 회전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실선은 도 13의 실선에서 180도가 회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A측면 도면(위쪽 도면)을 살펴보면, 도 13의 실선으로부터 90도 회전한 제1핸드(762a, 762b)는 도 13의 실선과 모양이 동일하다. 도 13에서 제1핸드가 충돌면(7512a)과 충돌한 후 180도 회전하기 전까지는 동일한 모양을 유지한다. 이는 A'측면 도면(아래 도면)에 도시된 제2핸드(763a, 763b) 또한 동일하다.
한편, 도 14의 A측면 도면에 있어서 점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90도 더 휠(74)이 회전한 경우, 커넥팅바(761a)가 소정각도 더 회전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A측면 도면에서 제1핸드의 최종 위치는 도 12에서 제2핸드의 최초 위치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4의 A측면과 같은 회전이 일어난 이유를 도 14의 A'측면 도면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3의 A'측면에서 제2핸드의 최종 위치에 해당하는 실선에서 90도 회전하면 도 14의 A'측면 도면의 점선과 같은 위치가 된다. 여기에서 90도 추가로 더 회전하면 도 14의 A'측면 도면의 실선과 같은 위치가 된다. 이 때, 제2핸드의 평면(764a, 764b)과 곡면(765a, 765b)이 만나는 지점은 제2돌기(751b)의 접촉면(7511b)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도 13에서 커넥팅바(761a, 761b)의 회전을 통해 제2핸드가 제2돌기(751b)의 접촉면(7511b)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제2핸드가 계속해서 회전하면 제2핸드의 평면(764a, 764b)이 제2돌기의 접촉면(7511b)과 완전히 접촉하게 된다. 즉, 도 14의 A'측면에 도시된 제2핸드는 도 12에서 도시된 제1핸드와 같은 위치가 된다.
정리하면, 회전 방향이 바뀜으로 인해 제2핸드의 평면(764a, 764b)이 제2돌기의 접촉면(7511b)과 접촉하게 되고, 휠(74)의 회전력은 제2핸드를 통해 제2클러치(75b)로 전달된다. 반면 제1핸드는 제1돌기(751a)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제1클러치(75a)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14의 최종 상태에서 휠(74)의 회전 방향이 다시 바뀌면 도 12에서 도 14에 이르기까지 제1핸드와 제2핸드의 작동 태양과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제1핸드와 제2핸드가 회전하게 된다. 종국적으로 제1핸드가 제1돌기(751a)를 회전시키게 되고, 제2핸드는 제2돌기(751b)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즉, 모터(7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급수관(8)과 배수관(9) 중 어느 하나의 관 내부의 유체만 흐르게 된다. 모터(72)의 회전 방향만 바꿔서 각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펌프를 두 개를 사용(모터도 각각 하나씩 사용)할 때에 비해서 에너지를 아낄 수 있으며 하나의 모터(72)만 사용하기에 장치 전체의 공간 활용에 유리하다. 또한 하나의 모터(72)만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비를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도어 13: 제1의류지지부 15: 제2의류지지부
3: 의류수용부 31: 수용공간 35: 공기배출부 36: 공기흡입부
5: 기계실 51: 히트펌프 52: 스팀발생기 53: 전방덕트
54: 후방덕트 55: 팬 56: 펌프
7: 펌프어셈블리 71: 펌프하우징 72: 모터 73: 회전축
74: 휠 75: 클러치 75a: 제1클러치 75b: 제2클러치
751a: 제1돌기 751b: 제2돌기 76: 커넥팅암 76a: 제1커넥팅암
76b: 제2커넥팅암 761(a, b): 커넥팅바 762(a, b): 제1핸드
763(a, b): 제2핸드 77(a, b): 임펠러 78(a, b): 유로관
8: 급수관 9: 배수관

Claims (17)

  1. 의류 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
    상기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 및,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급수관 및 상기 배수관 내부의 물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급수관 또는 상기 배수관 중 어느 하나의 관만 물의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휠;
    상기 휠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휠과 동일한 회전 중심축을 가지며, 상기 휠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클러치;
    상기 각각의 클러치와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클러치 중심을 지나는 회전축;
    상기 각각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 및,
    상기 휠에 구비되고 상기 휠의 회전력을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클러치로 전달하는 커넥팅암;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휠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클러치 및 상기 휠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클러치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팅암은, 상기 휠의 회전 중심축에서 소정거리 떨어져 구비되고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제1커넥팅암 및 제2커넥팅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커넥팅암은,
    상기 회전축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휠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넥팅바;
    상기 커넥팅바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핸드; 및,
    상기 커넥팅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핸드는 상기 제1클러치와 접촉하여 상기 제1클러치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핸드는 상기 제2클러치과 접촉하여 상기 제2클러치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제1핸드와 상기 제1클러치가 서로 접촉하고 상기 제2핸드와 상기 제2클러치는 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모터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제1핸드와 상기 제1클러치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2핸드와 상기 제2클러치는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는, 상기 제1핸드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휠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클러치는, 상기 제2핸드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휠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1클러치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2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2클러치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 및 상기 제2돌기는,
    각각 상기 제1핸드 및 상기 제2핸드와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제1핸드 및 상기 제2핸드와 충돌이 발생하는 충돌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충돌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커넥팅암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드와 상기 제2핸드는 상기 커넥팅바를 기준으로 서로 수직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핸드 및 상기 제2핸드는, 한쪽 면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면은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휠이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핸드들의 평면은 각각 상기 제1돌기들의 접촉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핸드들은 상기 제2돌기들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휠이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핸드들의 평면은 각각 상기 제2돌기들의 접촉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핸드들은 상기 제1돌기들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휠이 일 방향으로 소정시간 회전 중에 회전 방향이 바뀌는 경우, 상기 제1핸드들의 곡면은 상기 제1돌기들의 충돌면과 충돌이 일어나면서 상기 커넥팅바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핸드들의 평면은 각각 상기 제2돌기들의 접촉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1핸드들은 상기 제1돌기들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열풍을 생성하는 히트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제1임펠러 및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제2임펠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임펠러와 상기 제2임펠러는 동시에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172479A 2016-12-16 2016-12-16 의류처리장치 KR10259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79A KR102592650B1 (ko) 2016-12-16 2016-12-16 의류처리장치
US16/469,787 US11274390B2 (en) 2016-12-16 2017-12-12 Clothes treating device
PCT/KR2017/014527 WO2018110935A1 (ko) 2016-12-16 2017-12-12 의류처리장치
CN201780083587.9A CN110177907B (zh) 2016-12-16 2017-12-12 衣物处理设备
EP17879979.7A EP3556924A4 (en) 2016-12-16 2017-12-12 CLOTHING TREATMENT DEVICE
AU2017374402A AU2017374402B9 (en) 2016-12-16 2017-12-12 Clothes tre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479A KR102592650B1 (ko) 2016-12-16 2016-12-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148A KR20180070148A (ko) 2018-06-26
KR102592650B1 true KR102592650B1 (ko) 2023-10-23

Family

ID=6255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479A KR102592650B1 (ko) 2016-12-16 2016-12-1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74390B2 (ko)
EP (1) EP3556924A4 (ko)
KR (1) KR102592650B1 (ko)
CN (1) CN110177907B (ko)
AU (1) AU2017374402B9 (ko)
WO (1) WO2018110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86A (ko) * 2019-09-04 2021-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JP1710551S (ja) * 2019-12-04 2022-03-24 ビルトイン衣服ケア機を組み込んだ室内壁
JP1710549S (ja) * 2019-12-04 2022-03-24 ビルトイン衣服ケア機と一体化した室内壁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653A (en) * 1914-06-22 1916-02-08 Michelin & Cie Reversing clutch.
US2643614A (en) * 1949-09-28 1953-06-30 Gen Electric Motor-driven dual pumping unit
JPH03222894A (ja) * 1990-01-27 1991-10-01 Teraru Kyokuto:Kk 洗滌機用ポンプ装置
IT1247616B (it) 1990-07-12 1994-12-28 Zanussi Elettrodomestici Lavastoviglie con gruppo di pompaggio monomotore
KR0119465Y1 (ko) * 1992-02-29 1998-08-17 강진구 세탁기의 세탁모터에 의한 회전동력전달장치
JPH10300279A (ja) * 1997-04-28 1998-11-13 Daiyu:Kk 冷暖房装置における高低圧気体の流路切換装置
JP4291893B2 (ja) * 1998-01-09 2009-07-08 三相電機株式会社 タンデムポンプ
KR100569259B1 (ko) * 2003-08-27 2006-04-10 최진민 두 개의 임펠러를 갖는 양방향 펌프
EP1948860B1 (en) 2005-11-15 2016-07-0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of supplying and dicharging fluid
KR20070059433A (ko) * 2005-12-06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펌프 유닛
KR20080030333A (ko) 2006-09-29 2008-04-04 (주)엘오티베큠 진공펌프용 모터
KR100921461B1 (ko) * 2007-11-02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CN102405315B (zh) * 2009-05-05 2014-07-09 Bsh博世和西门子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蒸汽发生器的洗衣处理装置和处理待洗涤物品的方法
KR20110075210A (ko) * 2009-12-28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와 그 스팀발생장치
KR101672280B1 (ko) * 2010-03-03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70449B1 (ko) * 2010-05-19 2012-08-0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탁기의 유로방향전환장치
KR101025495B1 (ko) * 2010-10-20 2011-04-04 주식회사 지에스피엠 동작 성능이 향상된 세탁기용 유로전환펌프
CN202107909U (zh) * 2011-05-31 2012-01-11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水泵及具有水泵的洗衣机
CN204097757U (zh) * 2014-09-28 2015-01-14 常州雷利电机科技有限公司 洗衣机用可进排水互换的排水泵
KR102338469B1 (ko) * 2015-01-30 202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5209529A1 (de) * 2015-05-22 2016-11-2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74390B2 (en) 2022-03-15
AU2017374402B2 (en) 2021-06-17
CN110177907B (zh) 2021-08-27
WO2018110935A1 (ko) 2018-06-21
CN110177907A (zh) 2019-08-27
AU2017374402B9 (en) 2021-06-24
US20200080245A1 (en) 2020-03-12
KR20180070148A (ko) 2018-06-26
AU2017374402A1 (en) 2019-08-01
EP3556924A4 (en) 2020-07-01
EP3556924A1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2650B1 (ko) 의류처리장치
US9702073B2 (en) Washing machine
JP4715695B2 (ja) 乾燥ユニットおよび乾燥装置
CA2505567A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4444016B2 (ja) 衣類乾燥装置
US2008024511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10029521A (ja) 洗濯乾燥機
KR10258349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8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7144341A (ja) 乾燥装置
US1095462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5441860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6175654B2 (ja) 乾燥装置
WO2023243551A1 (ja) 洗濯機
KR102606121B1 (ko) 의류처리장치
JP5873979B2 (ja) 乾燥装置
KR2013007479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61668B1 (ko) 의류처리장치
JP5602802B2 (ja) 乾燥装置
KR102652432B1 (ko) 중앙덕트와 연통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세탁물 건조기
KR101840195B1 (ko) 의류처리장치
JP6007415B2 (ja) 乾燥装置
KR20220161125A (ko) 의류처리장치
JP2012210513A5 (ko)
KR20210108659A (ko) 유로 변환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