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497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497B1
KR102583497B1 KR1020170011153A KR20170011153A KR102583497B1 KR 102583497 B1 KR102583497 B1 KR 102583497B1 KR 1020170011153 A KR1020170011153 A KR 1020170011153A KR 20170011153 A KR20170011153 A KR 20170011153A KR 102583497 B1 KR102583497 B1 KR 10258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mpeller
power transmission
uni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002A (ko
Inventor
강형하
김재형
장세민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1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4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8/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고 급수 및 배수를 담당하는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펌프어셈블리 내부로 유체가 흐르도록 제1임펠러부가 구비되는 제1유로관, 상기 펌프어셈블리 외부로 유체가 흐르도록 제2임펠러부가 구비되는 제2유로관,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임펠러부 또는 상기 제2임펠러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임펠러부 및 상기 제2임펠러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베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처리장치의 종래의 구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0333호에 모두 개시되고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된 급수시스템과 배수시스템은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펌프가 각각 필요하다. 다만, 많은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다보니 의류처리장치의 전체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유로에 하나의 구동부만을 설치하여, 각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유로관 및 제2유로관 중 어느 하나의 관 내부의 유로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요가 적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 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고 급수 및 배수를 담당하는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상기 펌프어셈블리 내부로 유체가 흐르도록 제1임펠러부가 구비되는 제1유로관, 상기 펌프어셈블리 외부로 유체가 흐르도록 제2임펠러부가 구비되는 제2유로관,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임펠러부 또는 상기 제2임펠러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임펠러부 및 상기 제2임펠러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하나의 구동부만 이용하여 각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임펠러부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하고,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2임펠러부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다수개의 유로관 중 어느 하나의 관 내부의 유로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1임펠러부에 전달하는 급수기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2임펠러부에 전달하는 배수기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급수기어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급수기어 및 상기 제1임펠러부에 구비되는 제2급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급수기어는 상기 제2급수기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수기어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배수기어 및 상기 제2임펠러부에 구비되는 제2배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배수기어는 제2배수기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급수기어 및 상기 배수기어는 고무 계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급수기어 및 상기 배수기어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보다 넓은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의 둘레와 상기 하부면의 둘레를 잇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급수기어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급수기어 및 상기 제1임펠러부에 구비되는 제2급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급수기어의 경사면과 상기 제2급수기어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배수기어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배수기어 및 상기 제2임펠러부에 구비되는 제2배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배수기어의 경사면과 상기 제2배수기어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헬리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헬리컬기어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1헬리컬기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에 전달하는 헬리컬기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헬리컬기어는, 상기 모터에 구비되는 제1헬리컬기어 및 상기 제1헬리컬기어와 접촉하는 제2헬리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헬리컬기어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헬리컬기어에서 발생하는 추력으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임펠러부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헬리컬기어에서 발생하는 추력으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2임펠러부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동력전달부의 이동범위는 상기 제1헬리컬기어 및 상기 제2헬리컬기어의 상기 회전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유로에 하나의 구동부만을 설치하여, 각 유로의 독립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펌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유로관 및 제2유로관 중 어느 하나의 관 내부의 유로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펌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펌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펌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요가 적은 펌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된 기계실의 종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기계실 내부에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의 종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된 기계실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의 내부 모습이 도시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기어 및 배수기어의 구조가 도시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헬리컬기어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추력에 대하여 도시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의 내부 모습이 도시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펌프어셈블리에 대한 발명이지만,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의류처리장치(100) 및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기계실(5)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펌프어셈블리 자체만의 발명일 뿐만 아니라 펌프어셈블리가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구비되는 일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간단한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 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3), 상기 의류수용부(3)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기계실(5),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의 급수 및 배수를 담당하는 펌프어셈블리(7)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수용부(3)에는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31)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31)은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의류가 지지되는 의류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지지부는 수용공간(31) 내부에 구비되는 제1의류지지부(13)와 도어(11)에 구비되는 제2의류지지부(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지지부(13)는 수용공간(31)의 깊이 방향(X축 방향) 또는 수용공간의 너비 방향(Y축방향, 도어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수용공간(31)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의류지지부(13)의 일례가 도시된 것이다.
이 경우, 의류는 옷걸이(17)에 구비된 고리(H)를 통해 제1의류지지부(13)에 지지될 수도 있고, 옷걸이(17) 없이 제1의류지지부(1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의류는 수용공간(31)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지지부(15)는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 채 수용공간(31) 내부에 위치되도록 도어(11)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의류지지부(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에 고정된다. 옷걸이(17)에 구비된 고리(H)가 상기 제2의류지지부(15)에 지지된다.
수용공간(31)의 하부에는 기계실(5)이 구비되며 기계실(5)은 수용공간(31)과 격벽으로 구획된다. 다만, 기계실(5)에서 생성되는 건조공기 및 스팀이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다.
기계실(5)에서 생성되는 건조공기는 공기배출부(35)를 통해서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되며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된 건조공기는 의류와 접촉한 뒤 공기흡입부(36)를 통해서 기계실(5)로 흡입된다.
공기배출구(35)와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과 기계실(5)을 구획하는 격벽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수용공간(31)의 측면이나 상부면 또는 도어(11)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수용공간(31)의 바닥면 즉, 상기 격벽에 공기배출구(35)와 공기흡입부(36)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 바닥면의 앞쪽에 구비된다. 즉, 도어(1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공기흡입부(36)가 상기 도어(11)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면 공기 커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도어(11)가 개폐될 때 외부 공기의 영향을 덜 받는다. 공기배출부(35)는 공기흡입부(36)와 최대한 멀리 떨어지게 구비되도록 하여 배출된 공기가 수용공간(31) 내부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공간(31)의 하부에는 스팀배출구(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5) 내부에 구비된 스팀발생기(52, 도 2)에서 생성된 스팀(steam)이 스팀배출구(37)를 통해 수용공간(31) 내부의 의류로 공급된다.
스팀배출구(37)은 수용공간(31) 내부라면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수용공간(31)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수용공간(31)의 하부 및 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기계실(5) 내부에 구비된 장치들이 도시된 것이며, 급수펌프(56a)와 배수펌프(56b)를 포함하는 펌프(56)가 구비된 종래의 기계실(5)의 구조에 해당한다.
기계실(5)은, 공기의 습도를 낮추고 온도를 높여 건조 공기를 생산할 수 있는 히트펌프(51), 수용공간(31)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52), 수용공간(31) 하부에 구비되고 공기흡입구(36)와 연통하는 제1덕트(53), 수용공간(31) 하부에 구비되고 공기배출부(35)와 연통하며 내부에 상기 히트펌프(51)가 구비되는 제2덕트(54)를 포함한다. 제1덕트(53)와 제2덕트(54)는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공기의 흐름은 기계실(5) 내부에 구비된 팬(55)의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공기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제1덕트(53)로 유입되며, 제1덕트(53)에 유입된 공기는 제2덕트(54)에 유입되어 히트펌프(51)를 통과한 뒤 공기배출구(35)를 통해 다시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된다.
히트펌프(51)는 제2덕트(54) 내부에 구비된 히트펌프본체(513)에 구비되며, 히트펌프본체(513) 내부에는 증발기(511)와 응축기(512)가 차례로 설치된다. 증발기(511)는 저온 액체 냉매가 통과하는 장치이며 주변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응축기(512)는 고온 기체 냉매가 통과하는 장치로써 주변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히트펌프본체(513)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511)와 응축기(512)를 차례로 지나친다.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의류와의 상호 작용으로 습도가 높거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에 해당한다. 상기 공기는 증발기(511)를 거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머금고 있는 수분이 응결된다. 그 후 응축기(512)를 거치면서 온도가 다시 상승한다. 즉, 히트펌프(51)는 건조 고온 공기를 생산한다.
한편, 기계실(5) 내부에는 펌프(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펌프(56)는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펌프(56a)와 배수를 담당하는 배수펌프(56b)로 구성된다.
각각의 펌프의 세부 구조는 도 3에 도시되고 있다. 각각의 펌프(56a, 56b)는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는 임펠러(562), 상기 임펠러(562)를 회전시키는 모터(561), 상기 임펠러(562)가 위치하는 유로관(563)으로 구성된다. 모터(561)은 모터브라켓(565)에 구비되며 링(564)은 모터(561)와 모터브라켓(565) 사이의 충격을 흡수한다. 모터브라켓(565)에 구비된 모터(561)를 보호하기 위해 외부에는 모터케이스(566)가 구비된다. 모터(561)가 회전을 하면 임펠러(562)가 회전을 하게 되고, 임펠러(562)의 회전에 의해 급수 또는 배수가 가능해진다. 임펠러(562)가 회전하기만 하면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므로 모터(561)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든 무관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뿐만 아니라 세탁도 가능하다. 즉, 세탁을 위해 세탁물 및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급수와 배수 구조가 적용되는 어떠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5)에 구비된 펌프어셈블리(7)가 도시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도 4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펌프어셈블리(7)가 기계실(5)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비되거나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급수와 배수 시스템이 필요한 의류처리장치(100)라면 상기 펌프어셈블리(7)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7) 구조가 기계실(5)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기계실(5) 내부의 일반 구조들은 도 2와 같으므로, 도 2와의 차이점에 대하여만 기술하도록 한다.
도 2와 달리 도 4에는 하나의 구동부만 구비된다. 즉, 하나의 펌프어셈블리(7)만으로 급수와 배수 시스템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펌프어셈블리(7)는 일단은 급수관(8)과 연결되고 타단은 배수관(9)과 연결된다.
도 4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7)가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 및 배수 시스템을 하나의 구동부만으로 구현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7)는 의류처리장치(100) 이외에도 두 개 이상의 유로를 하나의 구동부로 제어하여야 하는 장치라면 어디에든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펌프어셈블리(7)를 확대하여 도시된 것이다. 펌프어셈블리(7)의 외관은 펌프하우징(71), 유로관(78)으로 구성된다. 펌프하우징(71) 내부에는 구동부(D)와 동력전달부(T)가 포함되며, 유로관(78)은 제1유로관(78a)과 제2유로관(78b)로 구성된다.
제1유로관(78a)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임펠러가 구비되는 임펠러하우징(78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783) 및 유체가 토출되는 배출관(785)으로 구성된다. 유입관(783)과 배출관(785)은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급수유로(8)가 유입관(783)과 배출관(785)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제2유로관(78b)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임펠러가 구비되는 임펠러하우징(78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783) 및 유체가 토출되는 배출관(785)으로 구성된다. 유입관(783)과 배출관(785)은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배수유로(9)가 유입관(783)과 배출관(785)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유로관(78a) 및 제2유로관(78b)는 각각 펌프하우징(71)의 양 끝단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유로관(78a)의 유입관(783)의 가상의 연장선과 제2유로관(78b)의 유입관(783)의 가상의 연장선이 서로 일치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제1유로관(78a) 및 제2유로관(78b)은 펌프하우징(71)의 측면에 나란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1유로관(78a)의 유입관(783)의 가상의 연장선과 제2유로관(78b)의 유입관(783)의 가상의 연장선이 서로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7)를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펌프어셈블리(7)의 분해도이며, 도 7은 조립된 펌프어셈블리(7)의 내부 모습이 도시된 것이다.
펌프하우징(71) 내부에는 구동부(D, 도 7), 동력전달부(T, 도 7), 제1임펠러부(I1)의 일부 및 제2임펠러부(I2)의 일부가 구비된다. 제1임펠러부(I1)는 제1유로관(78a)과 펌프하우징(71)에 걸쳐 구비되고, 제2임펠러부(I2)는 제2유로관(78b)과 펌프하우징(71)에 걸쳐 구비된다.
또한 펌프하우징(71) 내부에는 구동부(D)의 동력을 동력전달부로 전달하는 구성 및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제1임펠러부(I1) 또는 제2임펠러부(I2)로 전달하는 구성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헬리컬기어(73, 도 6)를 이용하여 구동부(D)의 동력을 동력전달부(T)로 전달한다. 또한 동력전달부(T)의 동력은, 급수기어(75)에 의해 제1임펠러부(I1)로 전달되거나 배수기어(76)에 의해 제2임펠러부(I2)로 전달된다.
헬리컬기어(73)는 구동부(D)에 구비되는 제1헬리컬기어(731) 및 동력전달부(T)에 구비되는 제2헬리컬기어(733)로 구성된다. 급수기어(75)는 동력전달부(T)에 구비되는 제1급수기어(75a)와 제1임펠러부(I1)에 구비되는 제2급수기어(75b)로 구성된다. 배수기어(76)는 동력전달부(T)에 구비되는 제1배수기어(76a)와 제2임펠러부(I2)에 구비되는 제2배수기어(76b)로 구성된다.
구동부(D)는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2), 모터회전축(721) 및 상기 모터회전축(721)에 구비되는 제1헬리컬기어(731)로 구성된다. 구동부(D)는 펌프하우징(71) 내부에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모터(72)는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을 할 수 있다. 모터(72)의 회전은 모터회전축(721)을 통해 제1헬리컬기어(731)로 전달되며, 제1헬리컬기어(731)의 회전력은 제1헬리컬기어(731)와 맞물려 있는 제2헬리컬기어(733)로 전달된다.
동력전달부(T)는 회전축(74)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74)의 양 끝단에 각각 제1급수기어(75a)와 제1배수기어(76a)가 구비된다. 제2헬리컬기어(733)는 상기 제1급수기어(75a)와 제1배수기어(76a) 사이에 구비되되 회전축(74)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동력전달부(T)는 펌프하우징(71)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74)과 모터회전축(721)은 서로 평행한 관계이다. 제2헬리컬기어(733)는 제1헬리컬기어(731)와 맞물리는 위치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모터(72)에 의해 모터회전축(721)과 제1헬리컬기어(7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헬리컬기어(733)와 회전축(74)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모터회전축(721)과 제1헬리컬기어(7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헬리컬기어(733)와 회전축(74)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헬리컬기어(73)의 특성상 회전축 방향으로 추력(thrust load)이 발생한다. 헬리컬기어(73)의 기어 이(돌기)는 회전축과 소정 각도를 가지기 때문에, 평기어가 반경 방향 힘(radial load)만 작용하는데 반해 헬리컬기어(73)는 반경 방향 힘(radial load)과 추력(thrust load)이 모두 발생한다.
따라서 헬리컬기어(73)에서 발생하는 추력(thrust load)으로 인해 회전축(74)은 회전축(74) 방향으로 소정거리 움직임이 발생한다. 추력(thrust load)에 관한 내용은 도 9 및 도 10에 설명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제1헬리컬기어(7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 사이의 작용으로 인해 발생한 추력이 회전축(74)의 왼쪽 방향(도면 기준)으로 작용하며, 만약 스토퍼와 같은 고정장치가 없다면 동력전달부(T)는 모터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가 분리되기 전까지 왼쪽으로 계속하여 이동한다.
반면 도 10과 같이 제1헬리컬기어(7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 사이의 작용으로 인해 발생한 추력이 회전축(74)의 오른쪽 방향(도면 기준)으로 작용하며, 만약 스토퍼와 같은 고정장치가 없다면 동력전달부(T)는 모터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가 분리되기 전까지 오른쪽으로 계속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 사이에 발생하는 추력(thrust load)을 이용하여 동력전달부(T)를 제1임펠러부(I1) 및 제2임펠러부(I2) 중 어느 하나와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 도 6 및 도 7로 돌아와서, 회전축(74)의 일단에 구비된 제1급수기어(75a)는 모터(72)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제1임펠러부(I1)에 구비된 제2급수기어(75b)와 결합한다. 만약 모터(72)가 역방향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축(74)의 타단에 구비된 제1배수기어(76a)는 제2임펠러부(I2)에 구비된 제2배수기어(76b)와 결합한다. 모터(72)의 회전 방향에 따른 동력전달부(T)의 회전 태양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임펠러부(I1)는 임펠러회전축(711)을 포함하고 임펠러회전축(711)의 일단에 급수임펠러(77a)가 구비되고 타단에 제2급수기어(75b)가 구비된다. 급수임펠러(77a)는 제1유로관(78a)의 임펠러하우징(781) 내부에 구비되며, 제2급수기어(75b)는 펌프하우징(71) 내부에 구비된다.
제2임펠러부(I2) 또한 임펠러회전축(711)을 포함하고 임펠러회전축(711)의 일단에 배수임펠러(77b)가 구비되고 타단에 제2배수기어(76b)가 구비된다. 배수임펠러(77b)는 제2유로관(78b)의 임펠러하우징(781) 내부에 구비되며, 제2급수기어(75b)는 펌프하우징(71) 내부에 구비된다.
급수임펠러(77a)와 배수임펠러(77b)는 급수임펠러(77a)와 배수임펠러(77b)의 회전축이 유입관(783)과 일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수임펠러(77a)와 배수임펠러(77b)의 반경 방향과 배출관(785)이 일치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제1임펠러부(I1)와 제2임펠러부(I2)는 임펠러하우징(781)과 펌프하우징(71)에 걸쳐서 고정되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동력전달부(T)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임펠러부(I1)는 제2급수기어(75b)를 통해 동력전달부(T)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동력전달부(T)에 구비된 제1급수기어(75a)와 제2급수기어(75b)가 결합하면 동력전달부(T)의 회전력이 제2급수기어(75b)를 통해 급수임펠러(77a)로 전달된다.
제2임펠러부(I2) 또한 제2배수기어(76b)를 통해 동력전달부(T)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동력전달부(T)에 구비된 제1배수기어(76a)와 제2배수기어(76b)가 결합하면 동력전달부(T)의 회전력이 제2배수기어(76b)를 통해 배수임펠러(77b)로 전달된다.
모터(72)의 회전방향에 따라 헬리컬기어(73)에서 발생하는 추력의 방향이 바뀜으로 인해 동력전달부(T)는 제1임펠러부(I1)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하여 제1임펠러부(I1)와 결합하거나 제2임펠러부(I2)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하여 제2임펠러부(I2)와 결합한다.
도 8을 참고하여 동력전달부(T)의 회전이 제1임펠러부(I1) 또는 제2임펠러부(I2)로 전달되는 원리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기어는 급수기어(75) 또는 배수기어(76)에 해당한다. 즉, 급수기어(75)와 배수기어(76)는 같은 구조를 가진다. 급수기어(75)와 배수기어(76)는 이(돌기)를 가진 기어에 해당할 수도 있고 고무 계열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급수기어(75)와 배수기어(76)는 고무 계열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찰력을 이용하여 동력전달부(T)의 동력을 제1임펠러부(I1) 또는 제2임펠러부(I2)로 전달한다.
마찰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부(T)와 제1임펠러부(I1) 또는 동력전달부(T)와 제2임펠러부(I2)는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있어야 한다. 상기 구조를 실현시키기 위해, 급수기어(75)와 배수기어(76)는 상부면(753, 763), 상기 상부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하부면(755, 765) 및 상기 상부면의 둘레와 상기 하부면의 둘레를 잇는 경사면(751, 761)을 포함한다.
임펠러회전축(711)의 가상의 연장선은 상부면(753, 763)과 하부면(755, 765)의 중심을 지난다. 상부면과 하부면은 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급수기어(75)와 배수기어(76)는 원뿔 형태에서 윗부분이 원뿔 하부면과 평행하게 잘린 모양에 해당한다.
한편, 임펠러회전축(711)과 급수기어(75) 및 배수기어(76) 사이에는 베어링(723)이 더 구비되며 펌프하우징(71)과 임펠러하우징(781)과 임펠러회전축(711) 사이의 마찰 발생을 줄이기 위해 구비된다.
정리하면, 동력전달부(T)에 구비된 제1급수기어(75a)의 경사면(751)은 제1임펠러부(I1)에 구비된 제2급수기어(75b)의 경사면(751)과 접촉한다. 제1급수기어(75a)의 회전력은 제1급수기어(75a)의 경사면(751)과 제2급수기어(75b)의 경사면(751)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2급수기어(75b)로 전달된다.
제1배수기어(76a)와 제2배수기어(76b) 사이의 동력 전달과정도 제1배수기어(76a)에 구비된 경사면(761)과 제2배수기어(76b)에 구비된 경사면(761) 사이의 마찰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시 도 7을 살펴보면,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동력전달부(T)가 제1임펠러부(I1) 또는 제2임펠러부(I2)로 향하더라도 각각 제1임펠러부(I1)에 구비된 제2급수기어(75b) 또는 제2임펠러부(I2)에 구비된 제2배수기어(76b)와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 이후에는 동력전달부(T)는 회전만 한다.
즉, 제2급수기어(75b)와 제2배수기어(76b)는 동력전달부(T)의 움직임에 대하여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다시말해, 동력전달부(T)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동력전달부(T)의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형태로 제1임펠러부(I1)와 제2임펠러부(I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블리(7)는 임펠러회전축(711)과 회전축(74)이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급수기어(75)와 배수기어(76)의 경사면(751, 761) 서로 결합하여 동력전달부(T)의 회전력이 제1임펠러부(I1) 또는 제2임펠러부(I2)로 전달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펌프어셈블리(7)는 임펠러회전축(711)과 회전축(74)이 수직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임펠러회전축(711)과 회전축(74)이 수직한 관계를 이루더라도 급수기어(75)와 배수기어(76)가 각각 경사면(751, 761)이 존재하므로 동력전달부(T)의 회전력이 제1임펠러부(I1) 또는 제2임펠러부(I2)로 전달될 수 있다.
펌프어셈블리(7)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서 제1유로관(78a)과 제2유로관(78b)가 마주보게 구비되거나 나란하게 구비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 10의 나머지 부분은 도 7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고하여 펌프어셈블리(7)의 동작 태양을 살펴보도록 한다.
모터(7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 사이에서 발생하는 추력(thrust load)으로 인해 동력전달부(T)는 제1임펠러부(I1)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때 회전축(74)의 일단에 구비된 제1급수기어(75a)는 임펠러회전축(711)에 구비된 제2급수기어(75b)와 접촉하며, 동력전달부(T)의 회전력이 제1임펠러부(I1)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제1급수기어(75a)의 경사면과 제2급수기어(75b)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며, 두 경사면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모터(7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 사이에서 발생하는 추력(thrust load)로 인해 동력전달부(T)는 제2임펠러부(I2)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 때 회전축(74)의 타단에 구비된 제1배수기어(76a)는 임펠러회전축(711)에 구비된 제2배수기어(76b)와 접촉하며, 동력전달부(T)의 회전력이 제2임펠러부(I2)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제1배수기어(76a)의 경사면과 제2배수기어(76b)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며, 두 경사면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한다.
한편, 동력전달부(T)의 이동거리는 제한적이어야 한다. 헬리컬기어(73)에서 발생하는 추력으로 인해 동력전달부(T)가 계속하여 이동하면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 사이의 결합은 종국적으로 깨지게 된다.
따라서 동력전달부(T)의 이동거리는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의 각각의 회전축(74) 방향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가 완전하게 맞물려 있을 때를 기준으로 동력전달부(T)이 움직인 거리를 이동거리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급수기어(75a)의 경사면과 제2급수기어(75b)의 경사면 사이의 거리(회전축(74)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거리)는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의 회전축(74) 방향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1배수기어(76a)의 경사면과 제2배수기어(76b)의 경사면 사이의 거리(회전축(74)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거리)는 제1헬리컬기어(731)와 제2헬리컬기어(733)의 회전축(74) 방향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도어 13: 제1의류지지부 15: 제2의류지지부
3: 의류수용부 31: 수용공간 35: 공기배출부 36: 공기흡입부
5: 기계실 51: 히트펌프 52: 스팀발생기 53: 전방덕트
54: 후방덕트 55: 팬 56: 펌프
7: 펌프어셈블리 71: 펌프하우징 711: 임펠러회전축
72: 모터 721: 모터회전축 723: 베어링
73: 헬리컬기어 731: 제1헬리컬기어 733: 제2헬리컬기어
74: 회전축 75: 급수기어 75a: 제1급수기어
75b: 제2급수기어 76: 배수기어 76a: 제1배수기어
76b: 제2배수기어 77: 임펠러 78: 유로관

Claims (17)

  1. 의류 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기계실;및,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고 급수 및 배수를 담당하는 펌프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어셈블리는,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1임펠러부가 구비되는 제1유로관;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2임펠러부가 구비되는 제2유로관;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임펠러부 또는 상기 제2임펠러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임펠러부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1임펠러부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임펠러부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하여 상기 제2임펠러부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1임펠러부에 전달하는 급수기어;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2임펠러부에 전달하는 배수기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어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급수기어;및,
    상기 제1임펠러부에 구비되는 제2급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급수기어는 상기 제2급수기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기어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배수기어;및,
    상기 제2임펠러부에 구비되는 제2배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배수기어는 제2배수기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어 및 상기 배수기어는 고무 계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어 및 상기 배수기어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보다 넓은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의 둘레와 상기 하부면의 둘레를 잇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어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급수기어;및,
    상기 제1임펠러부에 구비되는 제2급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급수기어의 경사면과 상기 제2급수기어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기어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배수기어;및,
    상기 제2임펠러부에 구비되는 제2배수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배수기어의 경사면과 상기 제2배수기어의 경사면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헬리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헬리컬기어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제1헬리컬기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에 전달하는 헬리컬기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기어는,
    상기 모터에 구비되는 제1헬리컬기어; 및,
    상기 제1헬리컬기어와 접촉하는 제2헬리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헬리컬기어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헬리컬기어에서 발생하는 추력으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1임펠러부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헬리컬기어에서 발생하는 추력으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2임펠러부로 소정거리 이동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이동범위는 상기 제1헬리컬기어 및 상기 제2헬리컬기어의 상기 회전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11153A 2017-01-24 2017-01-24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53A KR102583497B1 (ko) 2017-01-24 2017-01-2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53A KR102583497B1 (ko) 2017-01-24 2017-01-2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02A KR20180087002A (ko) 2018-08-01
KR102583497B1 true KR102583497B1 (ko) 2023-09-27

Family

ID=6322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153A KR102583497B1 (ko) 2017-01-24 2017-01-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4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21Y1 (ko) * 2009-06-30 2010-01-06 주식회사 지에스피엠 세탁기용 유로전환펌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956B1 (ko) * 2014-05-27 2016-01-26 현대위아 주식회사 트윈 타입 지로터 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21Y1 (ko) * 2009-06-30 2010-01-06 주식회사 지에스피엠 세탁기용 유로전환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002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052B1 (ko) 의류처리장치
CA2893205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sealing unit
AU2015202934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572647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520294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5658215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59265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7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0029521A (ja) 洗濯乾燥機
KR102583498B1 (ko) 의류처리장치
EP3336237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0612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6166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57283A (ko) 의류처리장치
KR100672309B1 (ko) 회전식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