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121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121B1
KR102606121B1 KR1020170023920A KR20170023920A KR102606121B1 KR 102606121 B1 KR102606121 B1 KR 102606121B1 KR 1020170023920 A KR1020170023920 A KR 1020170023920A KR 20170023920 A KR20170023920 A KR 20170023920A KR 102606121 B1 KR102606121 B1 KR 10260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clothing
air
fan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227A (ko
Inventor
강형하
김재형
장세민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1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풍향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향장치는, 상기 풍향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을 포함하는 터빈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축이 상기 공기의 흐름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풍향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별도의 동력부 없이 의류처리장치 내부 기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베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처리장치의 종래의 구조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0333호에 모두 개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공기가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유로를 다수개를 구비하였다. 하지만 공기유로가 많아지는 만큼 팬의 부하가 크게 걸리며 에너지 소모 또한 더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동력 제공하지 않고 의류수용부 내부로 공급되는 기류를 다변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수용부 내부의 건조 균일도를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적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 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풍향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향장치는, 상기 풍향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며 터빈을 포함하는 터빈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축이 상기 공기의 흐름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의류수용부 내부에 공급되는 기류의 방향을 다변화시켜 건조 균일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빈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는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의류수용부 내부에 공급되는 기류의 방향을 다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빈부는, 상기 터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의류수용부 내부의 건조 균일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몸체를 구성하는 바 및 상기 바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터빈의 회전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자유도가 높은 터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빈은, 상기 터빈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받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빈은, 상기 터빈이 상기 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와 결합하되 상기 구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터빈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빈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터빈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평면의 일부인 임의의 직선을 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가상의 제1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각각 수직한 가상의 제2회전축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구를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 또는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적어도 3개 이상의 자유도를 가진 터빈을 제공함으로써 의류수용부 내부에 공급되는 기류를 다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터빈은, 상기 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을 기준으로 동시에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팬이 구비되는 팬하우징 및 상기 팬하우징과 연통되고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이 배출되며 상기 터빈부가 구비되는 터빈하우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지지대는 상기 터빈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터빈하우징의 내면과 접하는 외주면, 상기 외주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이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삽입부 및 상기 외주면과 상기 회전축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축삽입부는 상기 외주면을 포함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터빈이 더 높은 자유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축삽입부는 상기 외주면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팬하우징 배출구의 중심과 상기 터빈하우징 배출구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팬의 중심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풍향장치는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풍향장치는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동력 제공하지 않고 의류수용부 내부로 공급되는 기류를 다변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수용부 내부의 건조 균일도를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적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된 기계실의 종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풍향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부의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장치의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공기의 유동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장치에 의해 공기가 커버할 수 있는 풍향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풍향장치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지만,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의류처리장치(100) 및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구비된 기계실(5)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풍향장치 자체만의 발명에 해당할 수도 있으며 풍향장치가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구비되는 일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를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간단한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 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3), 상기 의류수용부(3)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기계실(5),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의 급수 및 배수를 담당하는 펌프어셈블리(561, 562, 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수용부(3)에는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31)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31)은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의류가 지지되는 의류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지지부는 수용공간(31) 내부에 구비되는 제1의류지지부(13)와 도어(11)에 구비되는 제2의류지지부(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의류지지부(13)는 수용공간(31)의 깊이 방향(X축 방향) 또는 수용공간의 너비 방향(Y축방향, 도어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수용공간(31)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의류지지부(13)의 일례가 도시된 것이다.
이 경우, 의류는 옷걸이(17)에 구비된 고리(H)를 통해 제1의류지지부(13)에 지지될 수도 있고, 옷걸이(17) 없이 제1의류지지부(1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의류는 수용공간(31)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의류지지부(15)는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 채 수용공간(31) 내부에 위치되도록 도어(11)의 내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의류지지부(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에 고정된다. 옷걸이(17)에 구비된 고리(H)가 상기 제2의류지지부(15)에 지지된다.
수용공간(31)의 하부에는 기계실(5)이 구비되며 기계실(5)은 수용공간(31)과 격벽으로 구획된다. 다만, 기계실(5)에서 생성되는 건조공기 및 스팀이 수용공간(31)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다.
기계실(5)에서 생성되는 건조공기는 공기배출부(35)를 통해서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되며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된 건조공기는 의류와 접촉한 뒤 공기흡입부(36)를 통해서 기계실(5)로 흡입된다.
공기배출구(35)와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과 기계실(5)을 구획하는 격벽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수용공간(31)의 측면이나 상부면 또는 도어(11)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수용공간(31)의 바닥면 즉, 상기 격벽에 공기배출구(35)와 공기흡입부(36)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공기흡입부(36)는 수용공간(31) 바닥면의 앞쪽에 구비된다. 즉, 도어(1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공기흡입부(36)가 상기 도어(11)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면 공기 커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도어(11)가 개폐될 때 외부 공기의 영향을 덜 받는다. 공기배출부(35)는 공기흡입부(36)와 최대한 멀리 떨어지게 구비되도록 하여 배출된 공기가 수용공간(31) 내부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공간(31)의 하부에는 스팀배출구(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5) 내부에 구비된 스팀발생기(52, 도 2)에서 생성된 스팀(steam)이 스팀배출구(37)를 통해 수용공간(31) 내부의 의류로 공급된다.
스팀배출구(37)은 수용공간(31) 내부라면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수용공간(31)의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수용공간(31)의 하부 및 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기계실(5) 내부에 구비된 장치들이 도시된 것이며, 급수펌프(561)와 배수펌프(562)를 포함하는 펌프(56)가 구비된 종래의 기계실(5)의 구조에 해당한다.
기계실(5)은, 공기의 습도를 낮추고 온도를 높여 건조 공기를 생산할 수 있는 히트펌프(51), 수용공간(31)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발생기(52), 수용공간(31) 하부에 구비되고 공기흡입구(36)와 연통하는 제1덕트(53), 수용공간(31) 하부에 구비되고 공기배출부(35)와 연통하며 내부에 상기 히트펌프(51)가 구비되는 제2덕트(54)를 포함한다. 제1덕트(53)와 제2덕트(54)는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공기의 흐름은 기계실(5) 내부에 구비된 팬(55)의 작동으로 이루어진다.
공기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공기흡입부(36)를 통해 제1덕트(53)로 유입되며, 제1덕트(53)에 유입된 공기는 제2덕트(54)에 유입되어 히트펌프(51)를 통과한 뒤 공기배출구(35)를 통해 다시 수용공간(31)으로 배출된다.
히트펌프(51)는 제2덕트(54) 내부에 구비된 히트펌프본체(513)에 구비되며, 히트펌프본체(513) 내부에는 증발기(511)와 응축기(512)가 차례로 설치된다. 증발기(511)는 저온 액체 냉매가 통과하는 장치이며 주변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응축기(512)는 고온 기체 냉매가 통과하는 장치로써 주변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히트펌프본체(513)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511)와 응축기(512)를 차례로 지나친다. 수용공간(31) 내부의 공기는 의류와의 상호 작용으로 습도가 높거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에 해당한다. 상기 공기는 증발기(511)를 거치면서 온도가 낮아지고, 머금고 있는 수분이 응결된다. 그 후 응축기(512)를 거치면서 온도가 다시 상승한다. 즉, 히트펌프(51)는 건조 고온 공기를 생산한다.
한편, 기계실(5) 내부에는 펌프(56)가 더 구비된다. 상기 펌프(56)는 의류처리장치(100)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펌프(561)와 배수를 담당하는 배수펌프(562)로 구성된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장치(6)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풍향장치(6)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수용공간(3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풍향장치(6)는 수용공간(31)의 하부 기계실(5)에 구비될 수도 있고, 수용공간(31)의 옆면 또는 윗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풍향장치(6)의 본체는 수용공간(31)의 하부 기계실(5)에 구비되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는 수용공간(31)의 옆면이나 윗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병렬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31)의 바닥면, 옆면 및 윗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상기 풍향장치(6)는 수용공간(31)의 하부 기계실(5)에 구비된다. 풍향장치(6)의 배출구는 수용공간(31)의 바닥면 중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지만, 구체적인 위치에 대한 실시예는 추후 다루도록 한다.
도 4는 풍향장치(6)만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장치(6)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61),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62), 상기 팬(62)에서 생성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회전운동이 가능한 터빈부(65), 상기 하우징(61)에 구비되고 상기 팬(6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에 해당하는 공기유입구(63) 및 상기 터빈부(65)를 거친 공기가 풍향장치(6)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공기배출구(6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61)은 팬(62)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팬하우징(611)과 상기 터빈부(65)가 구비되는 터빈하우징(612)으로 구비된다.
상기 팬(62)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횡류팬을 이용한다. 따라서 팬하우징(611)은 횡류팬이 회전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는 형상을 가진다.
횡류팬은 팬이 회전하는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팬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된다. 따라서 팬의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팬하우징(611)에 공기유입구(63)가 구비된다.
또한 횡류팬은 원형팬에 해당하기 때문에 하우징이 없으면 팬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되 방향성 없이 무작위로 배출될 것이다. 따라서 팬하우징(611)은 횡류팬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더 큰 부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팬(62)에서 생성되는 공기가 일 방향으로 흐르도록 팬하우징(611)이 설계된다. 팬하우징(611)의 배출구에는 터빈하우징(612)이 연통된다. 즉, 팬(62)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유동은 터빈하우징(612)으로 향하며 터빈부(65)를 지나친 후, 터빈하우징(612)의 일부인 공기배출구(64)를 통해서 풍향장치(6)의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팬하우징(611)의 배출구의 중심과 공기배출구(64)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팬(62)의 중심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서 팬(62)에 의해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은 도 7과 유사한 형태가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정리하면, 팬하우징(611)은 달팽이관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터빈하우징(612)은 상기 팬하우징(611)의 배출구 끝단에 구비된다.
한편, 도 4를 살펴보면 터빈하우징(612)의 끝단을 형성하는 공기배출구(64)는 터빈부(65)의 면적에 비해 점점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터빈부(65)에 구비된 터빈(651, 도 5))이 다양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터빈(651)이 커버할 수 있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터빈부(65)에 대한 상세 구조를 도 5 및 도 6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터빈부(65)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터빈(651), 상기 터빈(65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652) 및 상기 회전축(652)이 터빈하우징(61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653)로 구성된다.
상기 터빈(651)은 원형 형상을 가지고 터빈(651)의 중심부에서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651c)를 구비한다. 공기가 터빈(651)로 흐르는 경우, 다수개의 블레이드(651c)와의 마찰에 의해 터빈(651)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651)은, 상기 터빈(651)의 회전의 기준이 되는 가상의 축이 변화된다. 상기 가상의 축은 터빈(651)의 회전 중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직선에 해당한다. 즉, 기존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만 회전하였던 종래의 터빈과 달리 축이 변화되기 때문에 기류의 방향을 다변화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상기 가상의 축이 변화되는 구체적인 구조 및 원리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터빈(651)은 상기 회전축(6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652)은 몸체를 구성하고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652b)와 상기 바(652b)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터빈(651)이 회전할 수 있는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구(652a)로 구성된다. 바(652b)의 타단은 지지대(653)에 결합된다.
지지대(653)는 터빈하우징(612)의 내면에 밀착하여 결합하고 지지대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주면(653a), 외주면(653a)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주면(653a)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바(652b)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회전축삽입부(653b) 및 상기 외주면(653a)에 상기 회전축삽입부(653b)가 고정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653c)를 포함한다.
지지대(653)는 터빈(651)이 터빈하우징(612)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축은 공기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한 성분을 포함하여야 터빈(651)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삽입부(653b)가 터빈하우징(612)의 내면과 접하지 않으면서도 회전축(652)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대(653)가 필요하다.
상기 외주면(653a)은 터빈하우징(612)의 내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삽입부(653b)는 외주면(653a)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외주면(653a)을 포함하는 평면과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축삽입부(653b)의 구성적 특징에 대하여는 추후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653c)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도 6은 도 5의 중심을 반으로 자른 단면에 해당한다. 터빈(651)이 구(65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터빈(651)의 회전 중심에는 접촉부(651b)가 구비된다. 접촉부(651b)는 터빈(651)의 본체와 일체로 구비되며 도 6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652a)의 하단부와 접촉한다.
하지만 접촉부(651b) 만으로는 구(652a)에 완전히 결합될 수 없다. 이에 상기 접촉부(651b)와 결합하고 구(652a)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터빈고정부(651a)가 더 구비된다.
터빈고정부(651a)는 도 5에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터빈고정부(651a)는 구(652a)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접촉부(651b)와 후크 결합이 가능한 3개 이상의 후크부로 구성된다.
즉, 구(652a)의 하단에서는 터빈(651)의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는 접촉부(651b)가 구의 하단과 결합하고, 구(652a)의 상단에서는 터빈고정부(651a)가 상기 접촉부(651b)와 결합하면서 구(652a)의 상단과 결합한다. 최종적으로 접촉부(651b)와 터빈고정부(651a)는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며, 터빈(651)은 상기 구(652a)를 중심으로 다양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터빈(651)은 구(652a)를 중심으로 바(652b)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운동(Z축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터빈(651)의 회전에 있어서, 블레이드(651c)와 공기의 마찰에 의해 바(652b)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Z축 회전운동) 성분이 가장 많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터빈(651)은 공기의 유동 방향과 완전한 수직을 이루지 않고, 소정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는 상기 Z축 회전 운동 이외에도 다른 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터빈(651)의 중심에 구(652a)가 위치하지 않는다면 터빈(651)은 상기 Z축 회전 운동만 가능하기 때문에 터빈(651)이 소정 각도 기울어지는 경우 X축 및 Y축 회전 운동을 하지 못하고 터빈(651)과 회전축(652) 사이에서 상기 움직임이 흡수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X축 및 Y축은 각각 Z축과 수직한 관계에 있으며 X축과 Y축 또한 각각 수직한 관계에 해당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터빈(651)의 회전 중심에 구(652a)가 위치하고 터빈(651)은 구(652a)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터빈(651)은 상기 X축 및 Y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Z축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터빈(651)은 상기 터빈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임의의 평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임의의 직선을 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터빈(651)은 바(652b)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Z축 회전운동), 상기 X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 및 상기 Y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을 기준으로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Z축 회전 운동만 가능할 수도 있으며, Z축 회전 운동과 동시에 X축 회전 운동이 동시에 가능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터빈(651)은 자유도(degree of freedom)가 3개 이상인 운동을 한다. 자유도(degree of freedom)란 물체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도입한 개념이며 물체가 이동하는 방향의 개수와 회전할 수 있는 방향의 개수의 합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경우, 터빈(651)이 구(652a)를 중심으로 X, Y, Z축 회전이 가능하므로 자유도가 3에 해당한다. 만약 터빈(651)이 X, Y, Z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이 각각 가능하다면 자유도는 6에 해당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빈(651)의 3축 방향 회전을 기본 전제로 하므로 자유도가 적어도 3개 이상에 해당한다. 경우에 따라서, 회전축(652) 방향(Z축 방향)으로 터빈(651)이 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공기의 유동을 담당하는 Z축 회전 운동을 기본으로 하고, X축 및 Y축 회전 운동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X, Y, Z축 회전 운동이 동시에 일어나기 위해 터빈(651)은 공기 유동 방향과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터빈하우징(612) 내부에 구비된다.
도 7은 회전축삽입부(653b)의 위치 및 각도가 도시된 것이며, 도 7을 참고하여 터빈(651)이 소정 각도를 가지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4의 절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팬(62)이 회전하면 공기유입구(63)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611)과 터빈하우징(612)의 외측 벽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터빈하우징(612)의 전 구간에 걸쳐서 공기가 흐르지만 횡류팬의 특성상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62)에서 더 먼 벽면 쪽으로 공기가 쏠린다.
따라서 도 7의 굵은 화살표 쪽으로 더 큰 힘이 작용한다. 하지만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삽입부(653b)와 회전축(652)이 지지대(653)에서 소정각도 기울어져 있으며 터빈(651) 또한 함께 소정 각도 기울어져 있다.
상기 기울어진 정도 때문에 터빈(651)은 공기의 유동을 정면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비스듬히 소정 각도를 가진 채로 맞이하게 된다. 즉, 도 7의 굵은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터빈(651)과 충돌하는 경우, 회전축(652)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터빈(651)이 회전할 뿐만 아니라 상기 Z축 방향과 다른 축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는 굵은 화살표로 표시된 공기의 방향 성분이 터빈(651)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터빈(651)은 Z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뿐만 아니라 상기 X축 및 Y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정리하면, 회전축(652)과 지지대(653)가 소정 각도를 가지는 이유는 터빈(651)이 3축 방향(X, Y, Z) 회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축삽입부(653b)가 지지대(653)의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이유는 터빈(651)이 소정각도 기울기를 가지기 때문에, 구(652a)가 지지대(653)를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되었을 때 투영된 점이 지지대(65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터빈(651)의 바깥으로 새어나가는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빈(651)의 움직임으로 인해 공기가 퍼지는 범위가 기존의 원기둥 범위보다 더 넓어졌음을 나타낸 것이다. 터빈(651)을 별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 없이 기존의 공기의 흐름만으로 더 넓은 범위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풍향장치(6)는 수용공간(31)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수개의 풍향장치(6)를 구비하여 수용공간(31) 내에 더욱 골고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도어 13: 제1의류지지부 15: 제2의류지지부
3: 의류수용부 31: 수용공간 35: 공기배출부 36: 공기흡입부
5: 기계실 51: 히트펌프 52: 스팀발생기 53: 전방덕트
54: 후방덕트 55: 팬
6: 풍향장치 61: 하우징 611: 팬하우징 612: 터빈하우징
62: 팬 65: 터빈부 651: 터빈 652: 회전축
652a: 구 652b: 바 653: 지지대
8: 급수유로 9: 배수유로

Claims (17)

  1. 의류 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풍향장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향장치는,
    상기 풍향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을 포함하는 터빈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부는,
    상기 터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몸체를 구성하는 바; 및,
    상기 바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터빈의 회전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를 포함하며,
    상기 터빈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축이 상기 공기의 흐름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는 적어도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터빈의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받는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터빈이 상기 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와 결합하되 상기 구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터빈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터빈의 중심을 지나고 상기 평면의 일부인 임의의 직선을 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수직한 가상의 제1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과 각각 수직한 가상의 제2회전축에 있어서, 상기 터빈은 상기 구를 중심으로 상기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 또는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삭제
  11.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팬이 구비되는 팬하우징; 및,
    상기 팬하우징과 연통되고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이 배출되며 상기 터빈부가 내부에 구비되는 터빈하우징;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터빈하우징의 내면과 접하는 외주면;
    상기 외주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이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삽입부; 및,
    상기 외주면과 상기 회전축삽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삽입부는 상기 외주면을 포함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삽입부는 상기 외주면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 배출구의 중심과 상기 터빈하우징 배출구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팬의 중심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장치는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장치는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23920A 2017-02-23 2017-02-23 의류처리장치 KR102606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920A KR102606121B1 (ko) 2017-02-23 2017-02-23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920A KR102606121B1 (ko) 2017-02-23 2017-02-2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227A KR20180097227A (ko) 2018-08-31
KR102606121B1 true KR102606121B1 (ko) 2023-11-24

Family

ID=6340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920A KR102606121B1 (ko) 2017-02-23 2017-02-2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1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597A (ja) * 2002-11-26 2004-06-24 Kazuhiko Mori 送風機のエアー放出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420U (ko) * 2014-05-29 2015-12-10 정성균 건조 및 살균 기능이 구비된 의류 관리 장치
KR20160129454A (ko) * 2015-04-30 2016-11-09 방소윤 사면 바람 선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6597A (ja) * 2002-11-26 2004-06-24 Kazuhiko Mori 送風機のエアー放出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227A (ko)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8582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58349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1359A (ko) 의류관리장치
US11459697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150009326A (ko) 의류 건조장치
US20230151535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15540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9265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84584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2606121B1 (ko) 의류처리장치
US1161899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CN106574427B (zh) 包括热泵系统的衣物干燥机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38194A (ko) 의류처리장치
JP2013009904A (ja) 衣類乾燥機
KR102677252B1 (ko)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254446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6166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2906B1 (ko) 배기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KR2019013126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83498B1 (ko) 의류처리장치
EP4187012A2 (en) Hanger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60361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72309B1 (ko) 회전식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