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359A - 의류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359A
KR20200021359A KR1020180097011A KR20180097011A KR20200021359A KR 20200021359 A KR20200021359 A KR 20200021359A KR 1020180097011 A KR1020180097011 A KR 1020180097011A KR 20180097011 A KR20180097011 A KR 20180097011A KR 20200021359 A KR20200021359 A KR 20200021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thing management
passage
management room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704B1 (ko
Inventor
옥성민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704B1/ko
Priority to PCT/KR2019/009826 priority patent/WO2020040451A1/ko
Priority to US17/269,994 priority patent/US20210324566A1/en
Publication of KR2020002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개선된 유로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의류관리장치는 전면이 개구된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어, 의류 관리실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와,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도어는, 의류 관리실을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습유로를 포함하고, 제습유로는 도어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유로와, 도어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장치{Clothes Care Device}
본 발명은 의류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개선된 유로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관리장치는 세탁물 등을 세탁 또는 건조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의류관리장치 중에는 건조기능을 가지는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제거,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 캐비닛 형태로 구성된다. 캐비닛의 상부에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되고,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전장실은 그 하부에 위치한다. 수납실과 전장실은 격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관리장치는 전장실에 구비된 열풍공급장치에 의하여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를 건조시킨 후 습해진 공기는 열풍공급장치에 의해 습공기가 제습되어 다시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의류관리장치의 제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제습을 할 수 있어, 실내 제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는, 전면이 개구된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의류 관리실을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습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유로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유로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유로는, 제1유입구를 통해 상기 도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1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배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댐퍼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댐퍼장치는, 상기 유입유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개폐부재와, 상기 제1유로개폐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류 관리실의 공기가 상기 열 교환장치와 열교환하여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순환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의 공기가 필터부재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순환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순환유로는 상기 의류 관리실 아래 방향으로 또는 의류관리기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순환유로와 상기 배출유로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순환유로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2순환유로와 상기 본체의 개구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2순환유로와의 사이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댐퍼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연결유로로 전달되는 상기 제2순환유로의 공기를 제2유입구와 제2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연결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전면을 형성하는 제1도어부재와, 상기 제1도어부재와 결합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제2도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유로는 제1도어부재와 상기 제2도어부재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제2도어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는 유입유로덕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도어부재는 응축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류관리실에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의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의류 지지부재에 연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는 의류 관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상기 도어는 외부와 상기 의류 관리실이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습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유로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상기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유로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외부로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의류 관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습유로를 통해 실내 또는 상기 의류 관리실의 공기를 제습한다.
또한,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는, 각각 개폐를 위해 마련되는 댐퍼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설치되는 유입유로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유입유로덕트 내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응축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류 관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의류 관리실 아래 방향으로 또는 상기 의류관리기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로 구조를 개선하여 의류관리장치의 제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제습을 할 수 있어, 실내 제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도어의 제습유로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유로의 댐퍼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로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제습 시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도 8 의 A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유입유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도 8 의 B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배출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1),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의류 지지부재(50), 그리고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30)가 구비되는 기계실(13)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에 의류 관리실(11)을 형성하되,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개구(10a)가 형성된다. 본체(10)의 개구(10a)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의류 관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된다. 도어(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힌지, 링크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의류 관리실(11)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상면(10b), 하면(10b), 좌측면(10c), 우측면(10d), 그리고 후면(10f)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개구(10a)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의류 관리실(11)의 개구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구(10a) 상단에는 후술하는 도어(20)의 배출유로(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토출 브라켓(16)이 마련될 수 있다. 토출 브라켓(16)은 도어(20)의 배출유로(1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 슬릿(16a)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는 의류가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의류 지지부재(50)가 마련된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0b)에 설치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의류 관리실(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의류 지지부재(5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50)에는 의류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어 홀은 의류 지지부재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단의 에어 홀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가 의류의 내외측에 공급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어 홀은 공급되는 공기를 의류에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제1기류 유입구(11a) 및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1기류 배출구(11b) 및 제2기류 배출구(12b), 그리고 증기 배출구(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1기류 배출구(1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0b)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 배출구(1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0b)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1기류 배출구(1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4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0f)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43)는 제1기류 배출구(11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0f)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0b)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2기류 배출구(1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배출구(12b)는 의류 지지부재(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에어 홀(51)을 통해 의류 지지부재(50)로 전달되어 의류 지지부재(50)에 거치된 의류에 전달되게 된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은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급수통(15b)은 후술하게 되는 스팀발생장치(4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된다. 급수통(15b)의 물이 스팀발생장치(4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급수통(15b)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기계실(13)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3)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된다. 기계실(13)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된다. 기계실(13)은 필요에 따라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3)의 내부에는 송풍팬(32), 열 교환장치(30) 그리고 스팀발생장치(40)가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3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열 교환장치(3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33), 압축기(35), 응축기(34)를 구비하며,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된다.
열 교환장치(30)의 증발기(3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35)를 거쳐 응축기(3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33)와 응축기(34)가 열 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송풍팬(32)에 의해 기계실(13)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게 된다.
기계실(13)에 설치되는 열 교환장치(30)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 및 송풍팬(32)을 연결하는 제1덕트(31)를 포함하고, 제1덕트(31)는 의류 관리실(11)에 연결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1덕트(31) 사이를 순환하는 제1순환유로(3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덕트(31)는 의류 관리실(11)의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1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31)의 일단은 의류 관리실(11)의 제1기류 유입구(11a)에 연결되고 타단은 의류 관리실(11)의 제1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덕트(31)의 제1덕트 유입구(31a)는 제1기류 유입구(11a)에 연결되고 제1덕트 배출구(31b)는 제1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제1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제1덕트(31)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기류 배출구(11b)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다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기류 유입구는 의류 관리실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기류 배출구는 의류 관리실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류 유입구와 기류 배출구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덕트(31)는 제1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기류 배출구(11b)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송풍팬(32)은 제1덕트(31) 상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를 제1덕트(3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기계실(13)은 급수통(15b)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는 스팀발생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급수통(15b)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부(41)와, 생성된 스팀을 스팀 분사부(42)로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4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분사부(42)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발생부(41)의 내부에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72)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제2덕트(71)를 포함하고, 제2덕트(71)의 내부에는 송풍장치(7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2덕트(71)를 순환하는 제2순환유로(70)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72)는 제2순환유로(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상측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필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8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탑 커버(80)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송풍장치(72)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72)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송풍모터(72a)와 송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72b)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72b)은 팬 케이스(72c)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팬 케이스(72c)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0b)에 마련되는 덕트 브라켓(74)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74)에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홀(74a)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덕트 홀(74a)에 각각 송풍팬(32)이 결합되어 제2덕트(71)의 공기를 제2덕트(71)의 제2기류 배출구(12b)로 이동하게 한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71)의 일단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에 연결되고 타단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71)의 제2덕트 유입구(71a)는 제2기류 유입구(12a)에 연결되고 제2덕트 배출구(71b)는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배출구(12b)는 제2덕트(71)의 제2덕트 배출구(71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71)의 제2덕트 배출구(71b)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되고, 제2기류 배출구(12b)는 의류 지지부재(50)에 연결되어 제2덕트(71)의 공기가 의류 지지부재(50)로 전달되게 된다.
제2덕트(71)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장치(72)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 유입구(12a)를 통해 흡입하여 제2덕트 배출구(71b) 및 제2기류 배출구(12b)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에는 필터부재(60)가 마련된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0f)에 형성된다.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0f)에는 필터부재(60)가 설치되기 위한 필터부재 설치부(11c)가 마련된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필터부재 설치부(11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 공기는 제2덕트(71)로 유입 시 제2기류 유입구(12a)의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제2덕트(7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부재(60)에 의해 먼지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 된 공기는 송풍장치(72)를 통해 제2덕트 배출구(71b) 및 의류 지지부재(50)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부재(60)는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미도시) 또는 탈취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관리실(11)은 의류 관리 시, 의류 지지부재(50)에 의류를 거치하고 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동작시킨다. 이때, 의류 관리실(11)은 제1순환유로(39)와 제2순환유로(70)를 따라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는 실내 제습 시, 의류 관리실(11)과 외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어(20)에 마련되는 제습유로(100)를 포함한다. 제습유로(100)는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습유로(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도어의 제습유로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유로의 댐퍼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미 도시된 도번은 도 1 내지 도 4 를 참고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는 의류 관리실(1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습유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전면을 형성하는 제1도어부재(21)와, 제1도어부재(21)와 결합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제2도어부재(22)를 포함한다.
제습유로(100)는 제1도어부재(21)와 제2도어부재(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유로(10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도어부재(21)와 제2도어부재(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유로(100)는 제1도어부재(21)와 제2도어부재(2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유로(100)는 도어(20)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유로(110)와,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부재(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도어부재(21)는 거울, 유리,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도어부재(21)는 판 형상의 거울 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도어부재는 의류관리장치(1)가 설치되는 실내의 가구 등과의 일체감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다양한 재질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부재(21)는 제2도어부재(22)의 전방에 설치되어 의류관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도어부재(22)는 제1도어부재(21)가 설치되기 위한 제1도어부재 설치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부재 설치부(311)는 제2도어부재(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어부재(22)는 도어 프레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00)은 제1도어 프레임(310)과 제2도어 프레임(32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2도어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부재 설치부(311)는 제1도어 프레임(31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도어 프레임(310)에는 제습유로(1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도어 프레임(310)에는 유입유로(11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유로(110)는 제1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여 제1배출구(112)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유입유로(110)는 제1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유로덕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구(112)는 유입유로덕트(130)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110)는 제1배출구(1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댐핑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핑장치(210)는 유입유로덕트(13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도어 프레임(310)의 적어도 일면에는 외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유입구(111)가 마련된다. 제1도어 프레임(310)의 저면에는 제1유입구(111)가 형성된다. 제1유입구(111)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어 프레임(310)과 제1도어부재(21) 사이에는 제1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가 수용되는 기류유입공간(312)이 형성될 수 있다. 기류유입공간(312)에는 기류유입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기류유입홀(313)은 제1도어 프레임(3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어 프레임(320)은 본체(10)의 개구(10a)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어 프레임(320)은 본체(10)와 접촉하여 개구(1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도어 프레임(320)은 제습유로(1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도어 프레임(310)에는 유입유로(110)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유로(110)의 유입유로덕트(130)는 제2도어 프레임(320)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유로덕트(130)는 제1도어 프레임(310)의 기류유입홀(3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도어 프레임(310)의 제1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기류유입공간(312)과 기류유입홀(313)을 통해 유입유로덕트(130)로 전달된다.
제2도어 프레임(320)에는 유입유로덕트(130)가 설치된다. 유입유로덕트(130)는 제2도어 프레임(32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유입유로덕트(130)는 유입유로덕트커버(13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유로덕트커버(134)는 유입유로덕트(130)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다. 유입유로덕트(130)는 유입유로덕트커버(134)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덕트커버설치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커버설치부(131)에는 유입유로덕트커버(134)가 설치 및 고정되기 위한 덕트커버고정부(131a)가 마련될 수 있다. 유입유로덕트커버(134)는 덕트커버설치부(131)에 볼트 또는 후크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유입유로덕트커버(134)는 유입유로(110)의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제1배출구(1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유입구(111)를 통해 유입유로(110)로 유입된 공기는 제1배출구(112)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배출구는 유입유로덕트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배출구는 제2도어부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입유로덕트(130)는 제1배출구(1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댐퍼장치(210)를 포함한다. 제1댐퍼장치(210)는 제1배출구(1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개폐부재(211)와, 제1유로개폐부재(21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모터(212)를 포함한다.
제1유로개폐부재(211)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개폐부재(211)는 제1배출구(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개폐부재(211)는 제1모터(2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응축수 가이드(24)를 포함한다. 응축수 가이드(24)는 도어(20)의 배면에 응결되어 형성되는 응축수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응축수 가이드(24)는 제2도어 프레임(320)으로부터 의류 관리실(1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곡면부(24a)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가이드(24)의 곡면부(24a)는 유입유로덕트(130)의 적어도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가이드(24)의 곡면부(24a)는 유입유로덕트(13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로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제습 시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 는 도 8 의 A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유입유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도 8 의 B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배출유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 도시된 도번은 도 1 내지 도 4 를 참고한다.
도 7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에는 의류관리실(11)을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습유로(1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습유로(10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120)는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의 제1도어 프레임(310)에는 배출유로(12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유로(120)는 제2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여 제2배출구(122)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배출유로(120)는 도어(20)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도어프레임과 제2도어프레임은 각각 마련되어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도어프레임과 제2도어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 공기를 배출유로(120)로 전달하도록 본체(10)는 제2순환유로(70)와 배출유로(1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90)를 더 포함한다.
연결유로(9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 커버(80)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제2순환유로(7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제2순환유로(70)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연결덕트(9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연결덕트(9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91)는 탑 커버(8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연결덕트(91)가 탑 커버(80)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80)는 연결유로 홀(81)을 포함한다. 연결유로 홀(81)은 탑 커버(8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91)는 탑 커버(80)의 연결유로 홀(81)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덕트(91)는 연결유로 홀(81)에 대응되는 연결덕트 홀(74a)이 형성된다. 연결덕트(91)의 연결덕트 홀(74a)은 탑 커버(80)의 연결유로 홀(81)에 연결된다. 연결덕트(91)는 상면과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개방된 상면에는 연결덕트 커버(231)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덕트(91)의 전면에는 본체(10)의 개구(10a)에 연결되는 연결덕트 배출구(94)가 형성된다. 연결덕트 배출구(94)는 연결덕트(91)의 전면에 형성되어 연결유로 홀(81)을 통해 유입되는 제2순환유로(70)의 공기가 연결덕트 홀(74a)을 통해 연결유로(90)로 유입되어 연결덕트 배출구(94)를 통해 본체(10)의 개구(10a)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덕트(91)의 내부에는 제2순환유로(70)와의 사이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댐퍼장치(220)가 마련된다. 제2댐퍼장치(220)는 탑 커버(80)의 연결유로 홀(81)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제2댐퍼장치(220)는 연결유로 홀(81)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유로개폐부재(221)와, 제2유로개폐부재(22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모터(222)를 포함한다.
제2유로개폐부재(221)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개폐부재(221)는 연결유로 홀(9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개폐부재(221)는 제2모터(2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유로개폐부재(221)는 연결덕트(91)의 개폐부재 설치부(9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유로개폐부재(221)는 연결유로 홀(93)을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제2유로개폐부재(221)는 제2순환유로(70)와 연결유로(90) 사이에 배치되어 제2순환유로(70)로부터 이동되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본체(10)의 개구(10a)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연결덕트(91)의 연결덕트 배출구(94)는 도어(20)에 형성되는 제습유로(10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구(94)는 도어(20)의 배출유로(12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구(94)는 배출유로(120)의 제2유입구(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구(94)는 배출유로(120)의 제2유입구(121)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로(120)는 제2유입구(121)와, 제2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를 본체(10) 및 도어(2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배출구(122)를 포함한다.
제2유입구(121)는 도어(20)의 제2도어부재(22)에 마련된다. 제2유입구(121)는 제2도어부재(22)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2유입구(121)는 제2도어부재(22)의 후면에 형성된다. 제2유입구(121)는 연결덕트(91)의 연결덕트 배출구(9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제2순환유로(70) 즉,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는 제2배출구(122)로 배출된다. 제2배출구(122)는 도어(20)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2배출구(122)는 제2도어부재(22)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2유입구(121)와 제2배출구(122)는 연통되게 형성된다. 제2유입구(121)와 제2배출구(122)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유로(120)는 제2배출구(122)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배출 가이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123)는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된다. 배출 가이드(123)는 제2유입구(1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2배출구(122) 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배출유로(120)는 제2도어부재(22)에 형성되는 배출유로 가이드(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124)는 제2도어부재(22)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구(121)를 통해 배출유로(120)로 유입되는 공기는 배출유로 가이드(124)에 의해 안내되어 도어(2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제2순환유로(70)로 유입되는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의류 관리실(11)의 제습 시, 연결유로(90)를 통해 도어(20)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1)의 제습 동작 시에 도어(20)에 마련되는 제습유로(100)를 통해 본체(10)의 의류 관리실(11)과 실내를 연통하게 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1)의 제습유로(100)를 통한 실내 제습 동작을 설명한다.
의류관리장치(1)의 제습 동작 시, 사용자는 도어(20)가 본체(10)에 닫힌 상태에서 제습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고 제습을 시작하면, 의류관리장치(1)의 제1댐퍼장치(210)와 제2댐퍼장치(220)는 개방된다.
제1댐퍼장치(210)는 도어(20)의 유입유로(110)에 형성되는 제1유입구(111)를 개방한다. 제2댐퍼장치(220)는 연결유로(90)의 연결유로 홀(81)을 개방한다. 연결유로 홀(81)이 개방됨으로써 제2순환유로(70)와 연결유로(90)는 서로 연통되게 된다.
제1순환유로(39)에 마련되는 송풍팬(32)과 제2순환유로(70)의 제2송풍장치(72)는 각각 동작된다.
제1순환유로(39)의 제1덕트(31)를 통해 유입되는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열 교환장치(30)에 의해 제습 및 가열되어 의류 관리실(11)로 배출된다.
의류 관리실(11)로 배출된 공기는 제2송풍장치(72)에 의해 제2순환유로(70)로 유입된다. 이때 공기는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 된다.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제2순환유로(70)에 연결된 연결유로(90)를 통해 도어(20)의 배출유로(120)로 배출된다.
도어(20)는 유입유로(110)와 배출유로(120)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도어(20)를 본체(10)로부터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 관리실(11)의 제습과 동시에 실내 제습을 할 수 있다. 이때, 도어(20)는 본체(10)에 닫힌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작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6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일정 시간 동안 순환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로 의류를 관리함으로써 의류 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시간의 공기 순환 후, 송풍팬(32)과 송풍장치(72)의 동작을 멈추고, 제1댐퍼장치(210)와 제2댐퍼장치(220)를 닫아 제습 행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제습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제습 동작을 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원하는 습도를 설정함으로써 제습을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의류관리장치 10 : 본체
11 : 의류 관리실 13 : 기계실
20 : 도어 21 : 제1도어부재
22 : 제2도어부재 30 : 열 교환장치
31 : 제1덕트 33 : 증발기
34 : 응축기 39 : 제1순환유로
40 : 스팀발생장치 50 : 의류 지지부재
60 : 필터부재 70 : 제2순환유로
71 : 제2덕트 80 : 탑 커버
90 : 연결유로 91 : 연결덕트
100 : 제습유로 110 : 유입유로
111 : 제1유입구 112 : 제1배출구
120 : 배출유로 130 : 기류유입덕트
134 : 기류유입덕트 커버 210 : 제1댐퍼부재
220 : 제2댐퍼부재 300 : 도어 프레임
310 : 제1도어프레임 320 : 제2도어프레임

Claims (20)

  1. 전면이 개구된 의류 관리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의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의류 관리실을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습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유로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유로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는,
    제1유입구를 통해 상기 도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1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로 배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댐퍼장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장치는,
    상기 유입유로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유로개폐부재와,
    상기 제1유로개폐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실의 공기가 상기 열 교환장치와 열교환하여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1순환유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의 공기가 필터부재에 의해 필터링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제2순환유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유로는 상기 의류 관리실 아래 방향으로 또는 의류관리기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2순환유로와 상기 배출유로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순환유로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2순환유로와 상기 본체의 개구 사이에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2순환유로와의 사이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댐퍼장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연결유로로 전달되는 상기 제2순환유로의 공기를 제2유입구와 제2배출구를 통해 상기 의류 관리실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연결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의류관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면을 형성하는 제1도어부재와,
    상기 제1도어부재와 결합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제2도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유로는 제1도어부재와 상기 제2도어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제2도어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는 유입유로덕트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부재는 응축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관리실에 구비되어 의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의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의류 지지부재에 연통되는 의류관리장치.
  16. 의류 관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상기 도어는 외부와 상기 의류 관리실이 연통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습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유로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상기 실내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유로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의류 관리실 외부로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의류 관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습유로를 통해 실내 또는 상기 의류 관리실의 공기를 제습하는 의류관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와 상기 배출유로는, 각각 개폐를 위해 마련되는 댐퍼장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설치되는 유입유로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유입유로덕트 내에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응축수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로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응축수 가이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의류 관리실 아래 방향으로 또는 상기 의류관리기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KR1020180097011A 2018-08-20 2018-08-20 의류관리장치 KR102627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11A KR102627704B1 (ko) 2018-08-20 2018-08-20 의류관리장치
PCT/KR2019/009826 WO2020040451A1 (ko) 2018-08-20 2019-08-06 의류관리장치
US17/269,994 US20210324566A1 (en) 2018-08-20 2019-08-06 Clothing car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11A KR102627704B1 (ko) 2018-08-20 2018-08-20 의류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359A true KR20200021359A (ko) 2020-02-28
KR102627704B1 KR102627704B1 (ko) 2024-01-23

Family

ID=6959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011A KR102627704B1 (ko) 2018-08-20 2018-08-20 의류관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24566A1 (ko)
KR (1) KR102627704B1 (ko)
WO (1) WO202004045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72A1 (ko)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46367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058363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732742S (ja) * 2021-02-05 2022-12-20 衣類の洗浄・消臭用キャビネット
JP1749895S (ja) * 2021-03-03 2023-08-02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
JP1749894S (ja) * 2021-03-03 2023-08-02 衣服用除湿脱臭及びしわ除去機
USD1002975S1 (en) * 2021-03-19 2023-10-24 Guangzhou Shiyuan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USD1017150S1 (en) * 2021-12-28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USD1009392S1 (en) * 2021-12-28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988A (ko) * 2002-06-11 2003-12-18 신재영 공조기능을 갖는 가구
KR20060026193A (ko) * 2004-09-20 200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90102401A (ko)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00121201A (ko) * 2009-05-08 2010-11-17 송경애 의류 클리닝 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
KR101108043B1 (ko) * 2004-07-21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형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04153A1 (de) * 1968-10-19 1970-04-30 Passat Maschb Gmbh Trommeltrockner fuer Waesche
US4103433A (en) * 1976-11-08 1978-08-01 Q-Dot Corporation Home laundry dryer
KR100966882B1 (ko) * 2003-07-21 201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ES2279675B1 (es) * 2005-03-23 2008-08-01 Ibai, S. Coop. Armario de desarrugado y secado de ropa.
KR20080109509A (ko) * 2007-06-13 200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보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02008054548A1 (de) * 2008-12-11 2010-06-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Umluftanteil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KR101867505B1 (ko) * 2012-03-20 2018-06-15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US8769840B2 (en) * 2012-05-14 2014-07-08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Recirculating dryer
KR102025181B1 (ko) * 2013-04-03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1777B1 (ko) * 2015-04-30 2017-06-28 편창현 다기능 스마트 장롱
US10480117B2 (en) * 2017-02-27 2019-11-19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sump cover
KR102391684B1 (ko) * 2017-06-23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16438346A (zh) * 2020-11-20 2023-07-14 三星电子株式会社 干衣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988A (ko) * 2002-06-11 2003-12-18 신재영 공조기능을 갖는 가구
KR101108043B1 (ko) * 2004-07-21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형 건조기
KR20060026193A (ko) * 2004-09-20 200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090102401A (ko)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00121201A (ko) * 2009-05-08 2010-11-17 송경애 의류 클리닝 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72A1 (ko)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46367A1 (ko) * 2022-01-28 2023-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058363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24566A1 (en) 2021-10-21
WO2020040451A1 (ko) 2020-02-27
KR102627704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USRE48559E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814567B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US9764053B2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20313061A1 (en) Shoe care apparatus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627701B1 (ko) 의류 관리기
KR102665019B1 (ko) 의류관리장치
CN116065371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EP3907325B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00080962A (ko) 의류 관리기
KR20210083904A (ko) 의류처리장치
US1161899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1005630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33220B1 (ko) 의류처리장치
JP6947454B2 (ja) 洗濯機
US2022038096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38096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10056310A (ko) 의류처리장치
CN116065372A (zh)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