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025B1 -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025B1
KR102592025B1 KR1020230052532A KR20230052532A KR102592025B1 KR 102592025 B1 KR102592025 B1 KR 102592025B1 KR 1020230052532 A KR1020230052532 A KR 1020230052532A KR 20230052532 A KR20230052532 A KR 20230052532A KR 102592025 B1 KR102592025 B1 KR 10259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metal
electrical conductivity
water
reaction tank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민
한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람
한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람, 한소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람
Priority to KR102023005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4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내의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처리공정에 있어서 자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에 고형제를 투입하여 고형화하고, 응집제를 투입하여 응집시킴으로써 중금속을 침전시켜서 분리하는 방법이다.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처리 자동제어공법에 있어서, 폐수의 유입수의 고형반응조와 응집반응조에서 각각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도록 한다. 유입수의 수중 중금속농도와 전기전도도가 정비례한다는 사실에 착안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서 유입수의 중금속 이온농도에 비하여 고형제와 응집제를 투입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형반응조에서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함으로써, 중금속 고형화 반응은 환원반응으로서, ORP측정값이 (+)에서 (-)로 전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침전조에 구비된 탁도계가 설치되어서 침전된 처리수의 탁도를 측정한다. 슬러지화되지 않은 중금속 고형물 농도는 측정된 탁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를 통해서 중금속 고형물의 침전분리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AN AUTOMATIC CONTROL METHOD FOR TREATMENT OF WASTEWATER WITH HEAVY METAL}
본 발명은 폐수 내의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에 고형제를 투입하여 고형화하고, 응집제를 투입하여 응집시킴으로써 중금속을 침전시켜서 분리하는 폐수처리방법을 자동화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장폐수에는 중금속이 이온상태로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이온 상태로 중금속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폐수에서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반응조에 약품을 주입하여 불용성 물질로 전환하는 고형화(Solidification) 반응을 거쳐 중금속을 Floc의 형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고형화된 중금속을 침전조와 같은 고액 분리기(Liquid Solid Separator)에서 물과 Sludge의 형태로 분리하며, 침전조에서 중금속 슬러지가 분리된 방류수는 법적 기준을 만족할 경우 방류한다. 그리고 분리된 중금속 슬러지는 탈수기(Dehydrator)에 주입하여 저 수분 함유의 탈수 Cake의 형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중금속 고형화물은 중력침전과정을 거쳐서 상부의 물은 방류하고 하부의 슬러지는 별도로 배출하여 처리한다. 다만 폐수의 중금속 이온농도에 비하여 처리 약품이 적정하게 주입되지 못한 경우 위와 같이 충분한 고형화와 Sludge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슬러지 침적물로 침강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시로 적정 약품 주입을 위한 테스트의 실시가 필요하다. 약품의 적정 주입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 장치에 약품 주입량을 농도별도 다르게 주입하고 유안으로 관찰을 진행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는 현장 공정의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TEST 결과 분석이 주관적인 육안 관찰로 이뤄지기 때문에 공정의 최적화가 곤란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각 처리 공정에서 중금속 이온의 농도에 따른 적절한 약품 투입을 제어하여 중금속 제거의 자동화를 달성할 수 있는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을 착안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9563호(2000년 03월 2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처리 공정에 있어서 고형제와 응집제를 이용하여 중금속을 폐수처리하고 현장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측정 DATA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서 고형제와 응집제의 적절한 투입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공정의 최적화 및 운영비를 절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수의 유입수의 고형반응조와 응집반응조에서 각각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도록 한다. 유입수의 수중 중금속농도와 전기전도도가 정비례한다는 사실에 착안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서 유입수의 중금속 이온농도에 비하여 고형제와 응집제를 투입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형반응조에서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함으로써, 중금속 고형화 반응은 환원반응으로서, ORP측정값이 (+)에서 (-)로 전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침전조에 구비된 탁도계가 설치되어서 침전된 처리수의 탁도를 측정한다. 슬러지화되지 않은 중금속 고형물 농도는 측정된 탁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를 통해서 중금속 고형물의 침전분리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응집반응조의 처리수 부유물질의 양과 침전조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에서 부유물질을 측정하고 비교하는데, 이는 중금속 응집화의 효율이 높을수록 침전조 하부 슬러지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침전조 상부에는 카메라를 설치하여 침전분리된 처리수의 색도를 확인함으로써 중금속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리수에 남아 있는 중금속 농도와 색도가 비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저렴한 현장 진단용 분석기를 이용하여 중금속 함유 폐수처리 공정의 진단 및 제어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획득된 측정 Data를 기반으로 하여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처리 공정 최적화를 진행하여 폐수 처리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처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방법은 고형제와 응집제를 이용하여 중금속을 폐수로부터 분리하여 안전하게 처리하되, 각 처리 단계별로 중금속처리의 제거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중금속 제거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형제 투입 전후에서 전기전도도 및 응집제 투입전후에서 전기전도도의 차이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에 따라서 고형제 및 응집제의 적절한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기전도도 외에 ORP 측정값과 SS측정값, 탁도를 고려하여 고형제 및 응집제의 적절한 투입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의 중금속 제거공법 및 자동화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중금속이온농도와 전기전도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b)는 Ni2+ 이온 농도와 전기전도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제 투입량별 고형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 투입량이 부족한 경우의 Floc 형성상태에 대한 실험사진이며, 도 4(b)는 응집제 투입량이 적정한 경우의 Floc 형성상태에 대한 실험사진이다.
도 5는 방류수의 색도와 잔류 중금속의 농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전기전도도(EC) 측정기, pH 측정기, ORP측정기(산화/환원 전위 측정), TU측정기(탁도측정), SS 미터(부유물질 측정계), 카메라와 같은 저렴한 현장 진단용 분석기를 이용하여 중금속 함유 폐수처리 공정의 진단 및 제어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획득된 측정 Data를 기반으로 하여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처리 공정 최적화를 진행하여 폐수 처리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처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처리 자동제어공법에 있어서,
- 중금속 함유 유입수에 알칼리 케미칼을 투입하여 강알칼리 상태로 변환시키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의 처리수를 고형반응조에서 고형제를 투입하여 유입수 내의 중금속을 고형화하는 제2단계;
- 상기 제2단계의 처리수를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를 투입하여 유입수 내의 고형 중금속을 응집하여 플록(Floc)의 형태로 형성하는 제3단계;
- 상기 제3단계의 처리수를 침전조에서 중금속 플록의 침전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제4단계;
- 제3단계의 침전 슬러지가 분리된 상기 제4단계의 처리수에 산(acid) 케미칼을 투입하여 중성 상태로 변환시키는 제5단계;
- 상기 제5단계의 처리수를 방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을 포함한다.
유입수 및 각 처리단계별로의 처리수를 측정하고 각 단계별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구비하여 수소 이온농도 및 중금속 이온농도를 측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단계에서는 교반기에 의해서 교반하여 유입수 및 처리수의 각 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처리제어공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의 강알칼리로 변환된 유입수에 대해서 제1 pH측정기를 이용하여 유입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는 제1_a단계,
상기 제1단계의 강알칼리로 변환된 유입수에 대해서 제1 EC 측정기를 이용하여 유입수의 전기전도도 EC1을 측정하는 제1_b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고형화 처리 이후의 처리수에 대해서 제2 EC 측정기를 이용하여 유입수의 전기전도도 EC2를 측정하는 제2_a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응집화 처리 이후의 처리수에 대해서 제3 EC 측정기를 이용하여 유입수의 전기전도도 EC3를 측정하는 제3_a단계를 더 구비한다.
최초 폐수 유입수에 알칼리 케미칼을 투입하여 유입수의 수소이온동도를 높이고 강알칼리성을 띄도록 한다. 강알칼리성으로 변환된 유입수는 고형화 환원반응 과정에서 용출되는 중금속이 다시 유입수로 녹아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유입수의 수소이온동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제1 pH측정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EC측정기에 의해서 유입수의 전기전도도 EC1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전도도는 최초 유입수의 중금속 이온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유입수의 수중 중금속농도와 전기전도도가 정비례한다는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고형제를 투입하여 고형반응조에서 고형반응을 일으킨 처리수에 대해서 동일하게 전기전도를 측정한다. 그래서 중금속이 고형반응으로 용출되어 고형화됨으로써 중금속이온농도가 낮아지게 되고,제2 EC측정기에 의해서 측정된 전기전도도 EC2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가 투입되고 중금속의 응집화화가 이루어지면 중금속 플록(floc)을 형성하여 전기전도도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단계의 고형화된 처리수에 대해서 ORP 측정기를 이용하여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하는 제2-b단계,
상기 제3단계의 응집화된 처리수에 대해서 제1 SS측정기를 이용하여 중금속 플록(floc)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구비하는 제3-b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침전된 중금속 슬러지를 분리하여 슬러지 탈수기로 이송하되, 이송과정에서 제2 SS측정기를 이용하여 중금속 플록(floc)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구비하는 제4-a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의 침전수에 대해서 TU 측정기를 이용하여 탁도를 측정하는 제4-b 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침전수에 대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잔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침전수의 색도를 측정하는 제4-c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단계별로 투입되는 케미칼은 아래와 같다. 즉,
제1단계에서 투입되는 알칼리 케미칼은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수산화칼륨(Calcium Hydroxide, CaOH), 산화칼슘 (Calcium Oxide, CaO),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KOH)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제2단계에서 투입되는 고형제는 황화나트륨 (Sodium Sulfide, Na2S)이고,
제3단계에서 투입되는 응집제는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아민계, 폴리아크릴에스텔계, 폴리에틸렌이민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제5단계에서 투입되는 산 케미칼은 황산(Sulfuric Acid, H2SO4), 질산(Nitric Acid, HNO3), 염산(Hydrochloric Acid, HCL)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Cu 2+ , Ni 2+ , Cd 2+ , Ni 2+ , Hg 2+ , Fe 2+ 등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폐수, 즉 처리 대상의 유입수가 고형반응조에 유입되기 전에 알칼리 케미칼을 투입하여 수소이온동도를 높여 강알칼리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서 고형화 반응을 통해서 용출된 중금속이 다시 유입수로 녹아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측정된측정된 pH의 값에 따라서 높은 알칼리도를 가지는지 확인한다.
고형화 반응은 환경이나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중금속이 용해되어 있는 폐수에 고화제를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중금속을 고형물질로 석출되도록 만드는 공정을 말한다. 고형반응조에서 고형반응상태에 따라서 고형제의 주입량을 조절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자동처리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i) 이때 △EC1/EC1 X 100(%)가 90% 이하인 경우, 고형반응조의 고형제 주입량이 부족하다는것을 의미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고형반응조에 고형제의 주입량을 증가시킨다. (한편, △EC1=EC1-EC2 이라고 정의한다.)
ii) △EC1/EC1 X 100(%)가 90% 이하이면서, ORP측정값이 50mV 미만인 경우, 고형반응조의 고형제 주입량이 다소 부족하여 고형화 반응이 미흡하다는 의미이므로, 고형반응조에 고형제의 주입량을 조금 증가시킨다.
iii) △EC1/EC1 X 100(%)가 90% 이상이면서, ORP측정값이 50mV 미만인 경우, 고형반응조의 고형제 주입량이 적정한 것으로 고형화 반응이 적상적이라는 의미이므로, 고형반응조에 고형제의 주입량 추가는 없다.
iv) △EC1/EC1 X 100(%)가 90% 이상이면서, ORP측정값이 -50mV 미만인 경우,
고형반응조의 고형제 주입량이 부과한 것으로 고형화 반응이 과잉상태인 것을 의미이므로, 고형반응조에 고형제의 주입량을 감소시킨다.
전기전도도와 함께 산화환원전위값(ORP)을 측정하는 것은 전기전도도의 변화가 고형반응의 설명하기도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를 고려하여 산화환원전위값을 동시에 반영하는 것이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ORP측정값은 유입수 내에 (+)이온이 많은지 (-)이온이 많은지를 설명하는것으로, (-)이온이 많은 경우 환원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경향을 가지게 되고, (+)이온이 많은 경우 산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응집반응조는 고형화된 물속의 중금속은 미립자 형태인 경우 침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응집제의 투입을 통해서 입자들을 응집시켜서 침강속도를 빠르게 한다. 응집해서 만들어진 크고 무거운 입자의 덩어리를 플록(floc)이라 한다. 응집반응조에서 반응상태에 따라서 응집제의 주입량을 조절한다. SS측정기는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물속의 부유물질이 플록을 형성하여 침전 분리되는 효과가 높은 경우에는 침전조 하부 슬러지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i) 응집반응조 전후에서 전기전도도의 비 즉, (EC3-EC2)/EC3 X 100(%)가 20% 미만이고, SS측정기에 의해서 측정된 SS2/SS1 의 비가 1.5 미만이며, 탁도측정값이 10NTU 를 초과하는 경우,
-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이 부족하여 Floc 형성반응이 미흡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유입수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한편, △EC2=EC3-EC2 이라고 정의한다.)
- 응집제의 투입에 의해서 물속 내부의 전기전도도가 다소 증가하게 된다. 다만 전기전도도의 상기 비가 20~40% 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미만인 경우에는 응집제의 주입량이 부족하다는 의미다.
ii) 응집반응조 전후에서 전기전도도의 비 즉, (EC3-EC2)/EC3 X 100(%)가 20% 미만이고, SS미터에 의해서 측정된 SS2/SS1 의 비가 1.5 이상이고, 탁도측정값이 10NTU 미만인 경우,
-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이 다소 부족하여 Floc 형성반응이 다소 미흡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을 조금 증가시키거나 또는 유입수의 유량을 조금 감소시킨다.
iii) 응집반응조 전후에서 전기전도도의 비 즉, (EC3-EC2)/EC3 X 100(%)가 20~40% 초과하고, SS미터에 의해서 측정된 SS2/SS1 의 비가 1.5 이상이며, 탁도측정값이 10NTU 미만인 경우,
-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이 적당하여 Floc 형성반응이 정상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 응집제의 주입량이 많아지면 전기전도도의 비인 (EC3-EC2)/EC3 X 100(%)가 높아지게 되지만, 주입량은 부유물질의 비와 탁도값에 의해서 제어되어야 한다. 응집제의 주입제에 의해 탁도가 소정값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되어야 하고, SS2/SS1의 비는 소정값 이상이 되어야 한다.
iv) 응집반응조 전후에서 전기전도도의 비 즉, (EC3-EC2)/EC3 X 100(%)가 40%를 초과하고, SS미터에 의해서 측정된 SS2/SS1 의 비가 1.5 이상이며, 탁도측정값이 10NTU를 초과하는 경우,
-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이 과다하여 Floc 형성반응이 과잉상태인 것을 의미하므로,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을 감소시킨다.
- 전기전도도의 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SS미터의 측정비와 탁도는 각각 소정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응집제의 주입량은 제어된다.
본 발명은 저렴한 현장 진단용 분석기를 이용하여 중금속 함유 폐수처리 공정의 진단 및 제어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획득된 측정 Data를 기반으로 하여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처리 공정 최적화를 진행하여 폐수 처리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처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중금속을 포함하는 폐수의 처리방법은 고형제와 응집제를 이용하여 중금속을 폐수로부터 분리하여 안전하게 처리하되, 각 처리 단계별로 중금속처리의 제거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중금속 제거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다.
100 : 반응준비조,
110 : 제1약품함, 120 : 제1 pH측정기, 130 : 제1 EC측정기
200 : 고형반응조
210 : 제2약품함, 130 : 제2 EC측정기, 230 : ORP 측정기
300 : 응집반응조
310 : 제3약품함, 320 : 제3 EC측정기, 330 : 제1 SS측정기
400 : 침전조
410 : TU측정기, 420 : 카메라, 430 : 제2 SS측정기,
440 : 탈수기
500 : 방류조
510 : 제4약품함, 520 : 제2 pH측정기

Claims (5)

  1. - 중금속 함유 유입수에 알칼리 케미칼을 투입하여 강알칼리 상태로 변환시키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의 처리수를 고형반응조에서 고형제를 투입하여 유입수 내의 중금속을 고형화하는 제2단계;
    - 상기 제2단계의 처리수를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를 투입하여 유입수 내의 고형 중금속을 응집하여 플록(Floc)의 형태로 형성하는 제3단계;
    - 상기 제3단계의 처리수를 침전조에서 중금속 플록을 침전 분리시키는 제4단계;
    - 중금속 플록으로 된 슬러지가 분리된 상기 제4단계의 처리수에 산(acid) 케미칼을 투입하여 중성 상태로 변환시키는 제5단계;
    - 상기 제5단계의 처리수를 방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강알칼리로 변환된 유입수에 대해서 제1 pH측정기를 이용하여 유입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는 제1_a단계,
    상기 제1단계 강알칼리로 변환된 유입수에 대해서 제1EC 측정기를 이용하여 유입수의 전기전도도 EC1을 측정하는 제1_b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고형화 처리 이후의 처리수에 대해서 제2EC 측정기를 이용하여 유입수의 전기전도도 EC2를 측정하는 제2_a단계, 및
    상기 제2단계의 고형화 처리수에 대해서 ORP 측정기를 이용하여 산화환원전위를 측정하는 제2-b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응집화 처리 이후의 처리수에 대해서 제3EC 측정기를 이용하여 유입수의 전기전도도 EC3를 측정하는 제3_a단계를 구비하되,

    i)측정된 전기전도도의 (EC1-EC2)/EC1 X 100(%)가 90%이하이면서, ORP측정값이 50mV 미만인 경우, 고형반응조에 고형제의 주입량을 증가시키고,

    ii)측정된 전기전도도의 (EC1-EC2)/EC1 X 100(%)가 90%이상이면서, ORP측정값이 50mV 미만인 경우, 고형반응조에 고형제의 투입량을 그대로 유지하고,

    iii)측정된 전기전도도의 (EC1-EC2)/EC1 X 100(%)가 90%이상이면서, ORP측정값이 -50mV 미만인 경우, 고형반응조에 고형제의 주입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응집화된 처리수에 대해서 제1 SS측정기(330)를 이용하여 중금속 플록(floc)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제3-b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침전된 중금속 슬러지를 분리하여 슬러지 탈수기로 이송하되, 이송과정에서 제2 SS측정기(430)를 이용하여 중금속 플록(floc)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제4-a단계,
    상기 제4단계의 침전수에 대해서 TU 측정기를 이용하여 탁도를 측정하는 제4-b 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침전수에 대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색도를 측정하는 제4-c 단계를 더 구비하되,

    i) 측정된 전기전도도의 (EC3-EC2)/EC3 X 100(%)가 20% 미만이고, SS측정기에 의해서 측정된 SS2/SS1 의 비가 1.5 미만이며, 탁도측정값이 10NTU 를 초과하는 경우,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을 증가시키고,
    ii)측정된 전기전도도의 (EC3-EC2)/EC3 X 100(%)가 20% 미만이고, SS측정기에 의해서 측정된 SS2/SS1 의 비가 1.5 이상이며, 탁도측정값이 10NTU 미만인 경우,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을 조금 증가시키고,
    iii)측정된 전기전도도의 (EC3-EC2)/EC3 X 100(%)가 20~40% 초과하고, SS측정기에 의해서 측정된 SS2/SS1 의 비가 1.5 이상이며, 탁도측정값이 10NTU 미만인 경우,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을 그대로 유지하며,
    iv)측정된 전기전도도의 (EC3-EC2)/EC3 X 100(%)가 40%를 초과하고, SS측정기에 의해서 측정된 SS2/SS1 의 비가 1.5 이상이며, 탁도측정값이 10NTU 를 초과하는 경우, 응집반응조에서 응집제의 주입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투입되는 알칼리 케미칼은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수산화칼륨(Calcium Hydroxide, CaOH), 산화칼슘 (Calcium Oxide, CaO),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KOH)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제2단계에서 투입되는 고형제는 황화나트륨 (Sodium Sulfide, Na2S)이고,
    제3단계에서 투입되는 응집제는 고분자 응집제로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아민계, 폴리아크릴에스텔계, 폴리에틸렌이민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제5단계에서 투입되는 산 케미칼은 황산(Sulfuric Acid, H2SO4), 질산(Nitric Acid, HNO3), 염산(Hydrochloric Acid, HCL)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KR1020230052532A 2023-04-21 2023-04-21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KR10259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532A KR102592025B1 (ko) 2023-04-21 2023-04-21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532A KR102592025B1 (ko) 2023-04-21 2023-04-21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025B1 true KR102592025B1 (ko) 2023-10-20

Family

ID=8851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532A KR102592025B1 (ko) 2023-04-21 2023-04-21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0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563B1 (ko) 1997-11-07 2000-06-15 한필순 칼슘, 마그네슘 함유물질을 이용한 중금속 함유 폐수 처리 방법
KR20050058535A (ko) * 2003-12-12 2005-06-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처리 방법
KR20140053344A (ko) * 2011-10-28 2014-05-07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약품 주입 제어 방법 및 약품 주입 제어 장치
KR101980478B1 (ko) * 2018-01-19 2019-05-21 신태욱 활성백토의 산성 폐수를 이용한 무기응집제의 제조방법
KR102055013B1 (ko) * 2018-02-08 2019-12-12 주식회사세신금속 황화물과 규산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중금속 처리제 및 처리방법
KR102313193B1 (ko) * 2021-05-12 2021-10-18 아태수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트리플형 마이크로나노버블 생성부·현장지능형제어부로 이루어진 abi-cass sbr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563B1 (ko) 1997-11-07 2000-06-15 한필순 칼슘, 마그네슘 함유물질을 이용한 중금속 함유 폐수 처리 방법
KR20050058535A (ko) * 2003-12-12 2005-06-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소각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처리 방법
KR20140053344A (ko) * 2011-10-28 2014-05-07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약품 주입 제어 방법 및 약품 주입 제어 장치
KR101980478B1 (ko) * 2018-01-19 2019-05-21 신태욱 활성백토의 산성 폐수를 이용한 무기응집제의 제조방법
KR102055013B1 (ko) * 2018-02-08 2019-12-12 주식회사세신금속 황화물과 규산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중금속 처리제 및 처리방법
KR102313193B1 (ko) * 2021-05-12 2021-10-18 아태수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트리플형 마이크로나노버블 생성부·현장지능형제어부로 이루어진 abi-cass sbr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6915E (en) Process for sodium sulfide/ferrous sulfate treatment of hexavalent chromium and other heavy metals
JP6044160B2 (ja) 重金属含有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US20090120881A1 (en) Treatment blends for removing metals from wastewater, methods of producing and process of using the same
CA2894241A1 (en) Method of treating industrial water
CN110015777A (zh) 一种去除电镀废水cod的方法
CN105439324B (zh) 一种pcb油墨废水处理方法及其系统
WO2015114805A1 (ja) 重金属含有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592025B1 (ko) 중금속 폐수처리공정의 자동제어방법
JP2014210232A (ja) カルシウム溶出粒子を含むアルカリ排水の処理方法
JP4678599B2 (ja) リン酸含有排水の処理方法
JP6078345B2 (ja) 排液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679286A (ja) セレン含有廃水の処理方法
JP2017159194A (ja) 重金属含有水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20080245742A1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P2019198806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JP6555182B2 (ja) 排水の処理方法
JP2010075849A (ja) 塩素含有微粉状廃棄物の処理方法
CN106745964A (zh) 一种含锡废水的处理方法及装置
US2012000610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timal treatment dosage for metals removal
CN110054317A (zh) 一种线路板制造中产生的高浓废液的处理方法
JP2006320865A (ja) フッ素含有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2001327981A (ja) 金属含有排水処理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装置
JP2861371B2 (ja) 排水処理法
CN103387296B (zh) 一种去除化学镀污水中铜离子的方法
JP4591641B2 (ja) 濃厚無機成分含有排水の水酸化鉄凝集沈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