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820B1 -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및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820B1
KR102590820B1 KR1020210061127A KR20210061127A KR102590820B1 KR 102590820 B1 KR102590820 B1 KR 102590820B1 KR 1020210061127 A KR1020210061127 A KR 1020210061127A KR 20210061127 A KR20210061127 A KR 20210061127A KR 102590820 B1 KR102590820 B1 KR 10259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stallation part
installation
guide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112A (ko
Inventor
유타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4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에 대한 설치 부품의 설치성을 확보함과 함께, 설치 부품이 설치되는 용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을 제공한다. 용기(20)는 외측면(22)을 갖는 벽부와, 외측면(22)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상의 가이드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설치 부품은, 설치 부품이 용기(20)의 외측면(22)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20)에 걸림 결합하는 볼록부(62)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40)는 외측면(22)에 대한 볼록부(62)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52)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및 용기{COMBINATION OF CONTAINER AND MOUNTABLE COMPONENT, AND CONTAINER}
본 개시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된 전지 팩의 차체 설치의 위치 결정을 위치 결정 핀을 사용해서 행하는 기술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1926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전지 스택을 수용하는 용기에, 전지에 관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전지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기기를 설치하는 경우, 기기를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고, 용기에 마련된 위치 결정 핀에 기기측의 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하도록 하여 설치하는 것이 있다.
용기에 기기를 설치할 때에, 기기의 설치성 및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각 부품의 치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간극을 확보함과 함께, 설치 작업을 위한 간극을 확보하기 위해, 용기에 여유 치수가 설정된다. 이 여유 치수만큼, 용기의 대형화, 구조의 복잡화가 발생해 버린다.
본 개시에서는, 용기에 대한 설치 부품의 설치성을 확보함과 함께, 설치 부품이 설치되는 용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이 제안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용기와, 그 용기에 설치되는 설치 부품의 조합이 제안된다. 용기는, 외측면을 갖는 벽부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상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설치 부품은, 설치 부품이 용기의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에 걸림 결합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는, 외측면에 대한 볼록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할 때에, 볼록부를 가이드부를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을 용기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킬 수 있어, 용기에 대한 설치 부품의 설치성이 확보되어 있다. 설치 부품을 설치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부를 용기가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설치 작업을 위한 간극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용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의 조합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는, 볼록부를 가이드부를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을 용기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서,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조합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위치 결정부를 가이드부의 하단에 갖고 있어도 된다. 볼록부를 가이드부를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을 용기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고, 위치 결정부에 의해 볼록부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설치 부품을 용기에 적절한 위치에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조합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는 상향으로 개구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설치 부품을 용기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는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위치 결정부에 볼록부를 확실하게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의 조합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이드부와, 상측 가이드부와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이드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볼록부를 상측 가이드부를 따르게 하면서 하강시키고, 볼록부가 상측 가이드부의 하단에 도달한 후에 볼록부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하측 가이드부를 따르게 하면서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설치 부품의 용기에 대한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조합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상측 가이드부의 하단과 하측 가이드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가이드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측 가이드부로부터 하측 가이드부로 볼록부의 위치를 어긋나게 할 때에, 볼록부를 횡 가이드부를 따르게 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용기에 대한 설치 부품의 설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조합에 있어서, 볼록부는, 설치 부품이 용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 결정부의 내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했을 때에, 덜걱거림 없이 설치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가일층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상기의 조합에 있어서, 볼록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설치 부품이 용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볼록부는 압축 변형되어 있어도 된다. 볼록부가 탄성 변형 가능함으로써, 설치 부품의 용기에 대한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치 부품이 용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볼록부가 압축 변형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부와 볼록부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설치 부품이 지지되어, 설치 부품이 보다 안정되게 지지되므로, 설치 부품에 대한 진동의 입력을 저감할 수 있어, 설치 부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조합에 있어서, 용기의 내부에, 복수의 전지 셀이 적층된 전지 스택이 수용되고, 벽부는 전지 셀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전지 스택에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용기의 벽부 중, 종래부터 강도 확보를 위해 보강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외측면에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용기에 대한 설치 부품의 설치 시에 볼록부를 안내하기 위한 새로운 구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용기를 다이캐스트제로 함으로써, 용기, 보강 리브 및 가이드부를, 일체로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질량 증가 및 비용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외측면을 갖는 벽부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상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용기가 제안된다. 용기에 설치되는 설치 부품은, 설치 부품이 용기의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에 걸림 결합하는 볼록부를 갖고 있다. 가이드부는 외측면에 대한 볼록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할 때에, 볼록부를 가이드부를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을 용기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킬 수 있어, 용기에 대한 설치 부품의 설치성이 확보되어 있다. 설치 부품을 설치할 때의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부를 용기가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설치 작업을 위한 간극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용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과 관련해서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II-II선을 따르는,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용기와, 용기에 설치된 설치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IV-IV선을 따르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하는 제1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하는 제2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하는 제3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하는 제1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하는 제2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부품을 용기에 설치하는 제3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
(용기(20))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2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II-II선을 따르는, 용기(2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도 2에 도시되는 화살표 I 방향에서 본 용기(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20)는 개구부(26)와, 저부(28)를 갖고 있다. 용기(20)는 상방이 개구한 바닥이 있는 상자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용기(20)의 내부는 중공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용기(20)의 개구부(26)로부터 저부(28)를 향하는 방향(도 1, 2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칭하고,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횡 방향이라고 칭한다.
용기(20)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직사각형의 1변을 구성하는 벽부(21)를 갖고 있다. 벽부(21)는 용기(20)의 외측을 향하는 외측면(22)과, 외측면(22)과 반대측의 용기(20)의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23)을 갖고 있다. 용기(20)는 벽부(21)와, 직사각형의 다른 변을 구성하는 다른 벽부의 상단에, 용기(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24)를 갖고 있다.
용기(20)의 내부에는, 전지 스택(10)이 수용되어 있다. 전지 스택(10)은 복수의 전지 셀(1)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전지 셀(1)은 전지 요소와, 전지 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단자를 갖고 있다. 전지 셀(1)의 적층체에 대하여 적층 방향의 양단에, 엔드 플레이트(2)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구속 부재에 의해, 전지 셀(1)을 적층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서 구속하는 구속 하중이, 엔드 플레이트(2)에 부하된다.
벽부(21)는 전지 셀(1)의 적층 방향(도 2에 있어서는 도면 중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전지 스택(10)에 대향하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2)는 용기(20)의 벽부(21)의 내측면(23)에 접촉하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2)는 용기(20)의 벽부(21)에 대하여 상기의 구속 하중의 반력을 작용한다.
용기(20)는 엔드 플레이트(2)로부터 구속 하중의 반력을 받는 벽부(21)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벽부(21)의 외측면(22)에 보강 리브(30)를 갖고 있다. 보강 리브(30)는 외측면(22)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보강 리브(30)는 복수의 상측 리브(32)와, 횡 리브(34)와, 상측 리브(32)보다도 다수인 복수의 하측 리브(36)를 갖고 있다.
상측 리브(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횡 리브(34)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측 리브(3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평행하게 배열하는 복수의 상측 리브(32)의 각각의 하단이, 횡 리브(34)에 연결되어 있다. 상측 리브(32)는 테두리부(24)에 연결되는 상단과, 횡 리브(34)에 연결되는 하단을 갖고 있다. 평행하게 배열하는 복수의 하측 리브(36)의 각각의 상단이, 횡 리브(34)에 연결되어 있다. 하측 리브(36)는 횡 리브(34)에 연결되는 상단을 갖고 있다.
용기(20)는 또한, 외측면(22)에 가이드부(40)를 갖고 있다. 가이드부(40)는 외측면(22)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가이드부(40)는 상측 가이드부(42), 횡 가이드부(44), 하측 가이드부(46), 하단부(48) 및 갈고리 형성부(50)를 갖고 있다. 상측 가이드부(4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측 가이드부(46)는 상측 가이드부(42)와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횡 가이드부(44)는 상측 가이드부(42)의 하단과 하측 가이드부(46)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측 가이드부(42)는 테두리부(24)에 연결되는 상단과, 횡 가이드부(44)에 연결되는 하단을 갖고 있다. 하측 가이드부(46)는 횡 가이드부(44)에 연결되는 상단을 갖고 있다.
하단부(48)는 하측 가이드부(46)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갈고리 형성부(50)는 하단부(48)의, 하측 가이드부(46)에 연결되는 한쪽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다른 쪽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갈고리 형성부(50)는 하단부(48)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부(40)는 하단에 있어서, 갈고리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40)의 하단에는 하측 가이드부(46), 하단부(48) 및 갈고리 형성부(50)에 의해 둘러싸인, 위치 결정부(52)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52)는 상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테두리부(24)에는, 상측 가이드부(42)의 상단이 연결되는 개소의 바로 옆에, 테두리부(24)의 일부분이 제거된 절결(24C)이 형성되어 있다. 횡 리브(34)에는, 상측 가이드부(42)의 하단이 연결되는 개소의 바로 옆에, 횡 리브(34)의 일부분이 제거된 절결(34C)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하측 리브(36) 중, 가이드부(40)와 인접하는 절결(24C, 34C)의 하방에 있는 하측 리브(36A)에는, 그 상단의 일부분이 제거된 절결(36C)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리브(36A)는 다른 하측 리브(36)와 달리, 상단이 횡 리브(34)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용기(20)와 설치 부품(60)의 조합)
도 3은 용기(20)와, 용기(20)에 설치된 설치 부품(6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되는 IV-IV선을 따르는, 용기(20)와 설치 부품(60)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는 도 4에 도시되는 III-III선을 따르는, 용기(20)와 설치 부품(60)의 조합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치 부품(60)은 용기(20)의 외측면(22)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 부품(60)은, 예를 들어 전지 스택(10)에 관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전지 ECU이다.
설치 부품(60)은 볼록부(62)를 갖고 있다. 볼록부(62)는 설치 부품(60)의 본체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설치 부품(60)이 용기(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볼록부(62)는 용기(20) 쪽으로 향하고 있다. 설치 부품(60)이 용기(20)의 외측면(22)에 설치된 상태에서, 볼록부(62)는 용기(20)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62)는 가이드부(40)의 하단 위치 결정부(52)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외측면(22)에 대한 볼록부(62)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커버 부재(70)는 설치 부품(60)을 덮고 있다. 커버 부재(70)는 설치 부품(60)을 노출 상태로 하지 않음으로써, 타부품의 설치 부품(60)에 대한 물리적인 접촉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70)는 설치 부품(60)과 주변의 타부품과의 거리를 확보하고, 또한 반사재로서 존재함으로써, 타부품으로부터 설치 부품(60)에 대한 전자 노이즈의 입력을 저감하고 있다.
설치 부품(60)은 커넥터(64)를 갖고 있다. 커버 부재(70)의, 커넥터(64)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커버 부재(70)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커넥터(64)에 대한 결선 작업이 이루어진다.
(용기(20)에 대한 설치 부품(60)의 조립 방법)
이하, 용기(20)에 대한 설치 부품(60)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설치 부품(60)의 본체 부분은 도시를 생략하고, 설치 부품(60) 중 볼록부(62)만을 도시하여, 용기(20)에 대한 볼록부(62)의 상대 이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후속의 도면 중 화살표는, 볼록부(62)의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5는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하는 제1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용기(20)에 설치 부품(60)을 설치할 때에는, 용기(20)에 대하여 설치 부품(60)을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고, 설치 부품(60)을 상방으로부터 용기(20)에 근접시킨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볼록부(62)를 하강시켜서, 테두리부(24)에 형성된 절결(24C)를 통과시킨다. 볼록부(62)를 가이드부(40), 구체적으로는 상측 가이드부(42)에 접촉시켜서, 볼록부(62)를 상측 가이드부(42)를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60)을 하강시킨다.
도 6은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하는 제2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볼록부(62)를 상측 가이드부(42)에 접촉시키면서, 설치 부품(60)을 더욱 하강시킨다. 볼록부(62)가 상측 가이드부(42)의 하단에 도달하면, 계속해서 볼록부(62)를 횡 가이드부(44)에 접촉시켜서, 볼록부(62)를 횡 가이드부(44)에 접촉시키면서 설치 부품(60)을 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볼록부(62)가 하측 가이드부(46)에 접촉할 때까지, 볼록부(62)를 횡 가이드부(44)를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60)의 이동이 계속된다.
도 7은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하는 제3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볼록부(62)를 하측 가이드부(46)에 접촉시키면서, 설치 부품(60)을 더욱 하강시킨다. 볼록부(62)가 하측 가이드부(46)의 하단에 도달해서 하단부(48)에 접촉할 때까지, 설치 부품(60)을 하강시킨다. 볼록부(62)는 하측 가이드부(46), 하단부(48) 및 갈고리 형성부(50)에 의해 둘러싸인다. 볼록부(62)는 위치 결정부(52)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이드부(40)에 대한 볼록부(62)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따라서 용기(20)에 대한 설치 부품(60)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 설치 부품(60)이 용기(20)에 설치된다.
(작용 및 효과)
상술한 설명과 일부 중복되는 기재도 있지만, 실시 형태의 용기(20) 및 설치 부품(60)의 특징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 통합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20)는 외측면(22)을 갖는 벽부(21)와, 외측면(22)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상의 가이드부(4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설치 부품(60)은 볼록부(62)를 구비하고 있다. 볼록부(62)는 설치 부품(60)이 용기(20)의 외측면(22)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20)에 걸림 결합하고 있다. 가이드부(40)는 용기(20)의 외측면(22)에 대한 볼록부(62)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52)를 갖고 있다.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할 때에, 볼록부(62)를 가이드부(40)의 표면을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켜서, 볼록부(62)가 위치 결정부(52)에 의해 위치를 결정짓는 규정 위치에서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20)에 대한 설치 부품(60)의 설치성이 확보되어 있다.
설치 부품(60)을 설치할 때의 설치 부품(60)의 궤적을 규정하는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부(40)를 용기(20)가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용기(20)에 설치 작업을 위한 간극을 설정하지 않아도,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설치 부품(60)이 설치되는 용기(20)에는, 용기(20) 및 설치 부품(60)의 개개의 치수 변동분의 간극을 확보해 두면 되고, 설치 작업을 위한 간극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20)의 체격을 축소시켜 용기(20)를 소형화할 수 있어, 공간 절약으로 설치 부품(60)의 용기(20)에 대한 설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볼록부(62)를 가이드부(40)를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서,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적절한 위치에서 설치할 수 있다.
도 1,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40)는 위치 결정부(52)를 가이드부(40)의 하단에 갖고 있다. 볼록부(62)를 가이드부(40)를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고, 위치 결정부(52)에 의해 볼록부(62)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적절한 위치에서 설치할 수 있다. 용기(20)에 대한 설치 부품(60)이 최종적인 위치 결정의 기능을 가이드부(40)의 일부 형상이 겸비함으로써, 설치 부품(6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위치 결정 핀 등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고, 용기(20) 및 설치 부품(60)의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52)는 상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는 설치 부품(60)의 용기(20)에 대한 상대 이동에 수반하여, 위치 결정부(52)에 볼록부(62)를 확실하게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이드부(42)와, 상측 가이드부(42)와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이드부(46)를 갖고 있다.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는 상대 이동시킬 때에, 볼록부(62)를 상측 가이드부(42)를 따르게 하면서 하강시키고, 볼록부(62)가 상측 가이드부(42)의 하단에 도달한 후에 볼록부(62)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하측 가이드부(46)를 따르게 하면서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설치 부품(60)의 용기(20)에 대한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커넥터(64)를 커버 부재(70)에 의해 근접시켜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커넥터(64)에 대한 결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하는 작업의 종료 직전에 있어서 설치 부품(60)을 커버 부재(70)에 근접시키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설치 작업 중의 설치 부품(60)과 커버 부재(70)의 간섭을 억제 할 수 있다.
도 1,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40)는 상측 가이드부(42)의 하단과 하측 가이드부(46)의 상단에 연결되고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가이드부(44)를 갖고 있다. 상측 가이드부(42)로부터 하측 가이드부(46)로 볼록부(62)의 위치를 어긋나게 할 때에, 볼록부(62)를 횡 가이드부(44)를 따르게 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20)에 대한 설치 부품(60)의 설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의 내부에, 복수의 전지 셀(1)이 적층된 전지 스택(10)이 수용되어 있다. 외측면(22)에 가이드부(40)가 마련되어 있는 용기(20)의 벽부(21)는 전지 셀(1)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전지 스택(10)에 대향하고 있다.
용기(20)의 벽부 중, 전지 스택(10)을 구속하기 위한 강도가 요구되며, 그로 인해 보강 리브(30)가 마련되는 외측면(22)에, 가이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부터 용기(2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강 리브(30)가 마련되어 있었던 외측면(22)에, 일부의 보강 리브(30)의 형상을 변경하여,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할 때의 궤적을 정하는 가이드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20)에 대한 설치 부품(60)의 설치 시에 볼록부(62)를 안내하기 위한 새로운 구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용기(20)를 다이캐스트제로 함으로써, 용기(20)의 형상 자유도가 높게 되어 있다. 용기(20), 보강 리브(30) 및 가이드부(40)를 다이캐스트로 일체로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 리브(30) 및 가이드부(4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금형을 준비하고, 그 금형을 외측면(22)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따내기 하여, 임의의 형상의 보강 리브(30) 및 가이드부(40)를 갖는 외측면(22)을 성형 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20)의 질량 및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가이드부(40)를 구비하는 용기(20)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하는 제1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용기(20)는 보강 리브(30)의 배치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 형태의 보강 리브(30)에서는, 횡 리브(34)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34C)의 하방에 하측 리브(36)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도 1에 있어서 절결(36C)이 형성되어 있었던 하측 리브(36)는 그 위치가 도면 중의 좌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되어 있고, 절결(36C)은 형성되지 않고 그 상단이 횡 리브(34)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용기(20)는 또한, 가이드부(40)의 형상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40)는 복귀부(54)를 갖고 있다. 복귀부(54)는 갈고리 형성부(5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고, 갈고리 형성부(50)로부터 하측 가이드부(46)를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40)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위치 결정부(52)가 상향으로 개구하고 있지만, 복귀부(54)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위치 결정부(52)의 개구가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좁아지고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설치 부품(60)은 볼록부(62)의 형상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 형태의 볼록부(62)는 메인부(66)와, 서브부(68)와, 연결부(69)를 갖고 있다. 볼록부(62)는, 전체적으로, 알파벳의 대문자 J와 유사한 형상을 갖고 있다. 볼록부(62)는 예를 들어, 판재를 굽힘 변형시켜서 성형할 수 있다.
메인부(66)는 설치 부품(60)의 본체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69)는 메인부(66)와 서브부(68)를 연결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다. 서브부(68)는 설치 부품(60)의 본체 부분에는 직접 설치되어 있지 않다. 서브부(68)는 연결부(69) 및 메인부(66)를 통하여, 설치 부품(60)의 본체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서브부(68)는 메인부(66) 및 설치 부품(60)의 본체 부분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볼록부(62)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볼록부(62)는 횡 방향의 스프링 구조를 갖고 있다.
볼록부(62)는 설치 부품(60)이 용기(2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 결정부(52)의 내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메인부(66)의 서브부(68)에 향하지 않은 면과 서브부(68)의 메인부(66)에 향하지 않은 면의 간격이, 하측 가이드부(46)의 갈고리 형성부(50)에 향하는 면과 갈고리 형성부(50)의 하측 가이드부(46)에 향하는 면의 간격보다도 크도록, 볼록부(62) 및 위치 결정부(52)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용기(20)에 설치 부품(60)을 설치할 때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용기(20)에 대하여 설치 부품(60)을 상방으로부터 하강시키고, 설치 부품(60)을 상방으로부터 용기(20)에 근접시킨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볼록부(62)를 하강시켜서, 테두리부(24)에 형성된 절결(24C)을 통과시킨다. 볼록부(62)를 가이드부(40)를 따르게 하면서, 구체적으로는 메인부(66)를 상측 가이드부(42)를 따르게 하면서, 설치 부품(60)을 하강시킨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하는 제2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메인부(66)를 상측 가이드부(42)를 따르게 하여 하강시키고, 상측 가이드부(42)의 하단에 도달하면, 계속해서 횡 가이드부(44)를 따르게 하여 횡 방향으로 볼록부(62)를 이동시킨다. 메인부(66)가 하측 가이드부(46)에 접촉할 때까지, 횡 가이드부(44)를 따르게 한 볼록부(62)의 이동이 계속된다. 계속해서, 메인부(66)를 하측 가이드부(46)를 따르게 하면서, 볼록부(62)를 하강시킨다.
위치 결정부(52)의 상향의 개구를 통과할 때에, 볼록부(62)는 탄성 변형한다. 가이드부(40)가 복귀부(54)를 갖고 있으며, 하측 가이드부(46)와 복귀부(54) 사이가 좁아진 개구를 볼록부(62)가 통과할 때에, 볼록부(62)는 서브부(68)가 메인부(66)에 근접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볼록부(62)가 탄성 변형해서 메인부(66)와 서브부(68)의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볼록부(62)가 하측 가이드부(46)와 복귀부(54) 사이의 개구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하는 제3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볼록부(62)를 하측 가이드부(46)를 따르게 하면서 더욱 하강시키고, 하측 가이드부(46)와 복귀부(54) 사이의 개구를 통과시킨다. 볼록부(62)는 위치 결정부(52)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20)에 대한 볼록부(62)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따라서 용기(20)에 대한 설치 부품(60)의 위치 결정이 행해져서, 설치 부품(60)이 용기(20)에 설치된다.
볼록부(62) 및 위치 결정부(52)의 형상이, 무부하 시에 볼록부(62)의 외경이 위치 결정부(52)의 내경보다도 크도록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위치 결정부(52) 내에 수용된 볼록부(62)는 압축 변형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52) 내에 수용된 볼록부(62)는 메인부(66)가 하측 가이드부(46)를 압박하고 서브부(68)가 갈고리 형성부(50)를 압박하도록, 가이드부(40)에 대하여 응력을 작용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의 설치 부품(60)에 있어서, 볼록부(62)는 설치 부품(60)이 용기(20)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볼록부(62)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위치 결정부(52)의 내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고 있다. 볼록부(62)가 위치 결정부(5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볼록부(62)의 메인부(66)에 하측 가이드부(46)가 면 접촉하고, 서브부(68)에 갈고리 형성부(50)가 면 접촉한다. 이에 의해,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했을 때에, 덜걱거림 없이 설치 부품(6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용기(20)의 가일층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볼록부(62)가 탄성 변형 가능함으로써, 위치 결정부(52)보다도 지름 치수가 큰 볼록부(62)를 위치 결정부(52) 내에 수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설치 부품(60)의 용기(20)에 대한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40)가 복귀부(54)를 갖고 있으며, 위치 결정부(52)의 상향의 개구가 좁아져 있음으로써, 개구를 통과 중의 볼록부(62)의 탄성 변형이 개구를 통과한 후에 일부 복원한다. 이러한 볼록부(62)의 변형에 의해, 작업자는 볼록부(62)가 개구를 통과할 때에 꼭 끼워진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설치 부품(60)의 용기(20)에 대한 설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설치 부품(60)이 용기(20)에 설치된 상태, 따라서 볼록부(62)가 위치 결정부(52)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볼록부(62)가 압축 변형되어 있다. 가이드부(40)와 볼록부(6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설치 부품(60)이 지지된다. 설치 부품(60)의 지지 점수가 증가함으로써, 설치 부품(60)이 보다 안정되게 지지된다. 따라서, 설치 부품(60)에 대한 진동의 입력을 저감할 수 있어, 설치 부품(6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가이드부(4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이드부(42) 및 하측 가이드부(46)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가이드부(44)를 갖고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가이드부(40)의 형상은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할 때의 설치 부품(60)의 궤적을 규정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 부품(60)을 용기(20)에 설치할 때의 볼록부(62)의 궤적에, 보강 리브(30)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보강 리브(30)가 볼록부(62)에 간섭하지 않고 용기(20)에 대한 설치 부품(60)의 상대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면, 보강 리브(30)는 임의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일부의 보강 리브(30)의 배치가 어긋나게 되어도 된다. 보강 리브(30)의 일부분의 외측면(22)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작게 한 단차가 보강 리브(30)에 마련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20)가 전지 스택(10)을 수용하는 케이스인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용기와, 그 용기에 설치되는 임의의 설치 부품에, 실시 형태의 사상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Claims (10)

  1. 용기와,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설치 부품의 조합이며,
    상기 용기는, 외측면을 갖는 벽부와,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상의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설치 부품은, 상기 설치 부품이 상기 용기의 상기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걸림 결합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이드부와, 상기 상측 가이드부와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이드부와, 상기 상측 가이드부의 하단과 상기 하측 가이드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가이드부와, 상기 외측면에 대한 상기 볼록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하측 가이드부의 하단에 갖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향으로 개구하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설치 부품이 상기 용기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의 내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설치 부품이 상기 용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록부는 압축 변형되어 있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복수의 전지 셀이 적층된 전지 스택이 수용되고,
    상기 벽부는, 상기 전지 셀의 적층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지 스택에 대향하는,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10. 외측면을 갖는 벽부와,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상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용기이며,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설치 부품은, 상기 설치 부품이 상기 용기의 상기 외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걸림 결합하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이드부와, 상기 상측 가이드부와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이드부와, 상기 상측 가이드부의 하단과 상기 하측 가이드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 가이드부와, 상기 외측면에 대한 상기 볼록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용기.
KR1020210061127A 2020-05-19 2021-05-12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및 용기 KR102590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87475 2020-05-19
JP2020087475A JP7298540B2 (ja) 2020-05-19 2020-05-19 容器と取付部品との組み合わせ、および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112A KR20210143112A (ko) 2021-11-26
KR102590820B1 true KR102590820B1 (ko) 2023-10-19

Family

ID=7857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127A KR102590820B1 (ko) 2020-05-19 2021-05-12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및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67304A1 (ko)
JP (1) JP7298540B2 (ko)
KR (1) KR102590820B1 (ko)
CN (1) CN113690527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378B1 (ko) 2003-12-06 2006-06-30 주식회사 에스엠시 휴대폰 및 모바일기기용 2차 전지 배터리 팩
JP2014019260A (ja) * 2012-07-17 2014-02-03 Mitsubishi Motors Corp 電池パックの位置決めピンブラケット
US20150050525A1 (en) 2013-08-13 2015-02-1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602U (ko) * 1989-06-13 1991-01-24
KR0132406B1 (ko) * 1993-05-31 1998-04-25 김광호 밧데리 팩
JP3209939B2 (ja) * 1997-01-16 2001-09-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ブロック構造
JP3410951B2 (ja) * 1998-02-20 2003-05-2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US6730432B1 (en) * 2002-05-23 2004-05-04 Symbol Technologies, Inc. Secure battery latch
JP2008109494A (ja) * 2006-10-26 2008-05-08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CN201000906Y (zh) * 2007-01-26 2008-01-02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电池组件及其固定结构
JP2008243710A (ja) * 2007-03-28 2008-10-09 Denso Corp サービスプラグ、電池機器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パック
JP2011217571A (ja) * 2010-04-01 2011-10-27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用充電器
KR102098722B1 (ko) * 2013-05-29 2020-04-09 미라이얼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수납용기
JP6213837B2 (ja) * 2014-06-11 2017-10-1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収容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CN106322907B (zh) * 2015-06-30 2019-03-01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
JP6602126B2 (ja) * 2015-09-16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部材
JP6496233B2 (ja) * 2015-10-21 2019-04-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2018030557A (ja) * 2016-08-26 2018-03-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機器の取付け構造
WO2018101298A1 (ja) * 2016-11-30 2018-06-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カセット
US10615384B2 (en) * 2017-02-10 2020-04-07 Sony Corporation Battery and connection apparatus
JP6545212B2 (ja) * 2017-03-17 2019-07-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2162968B1 (ko) * 2017-04-07 202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확장형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JP6946725B2 (ja) * 2017-05-10 2021-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制御モジュール
DE102017210467A1 (de) * 2017-06-22 2018-12-27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JP2019169654A (ja) * 2018-03-26 2019-10-0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モジュール、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
CN108650905A (zh) * 2018-03-30 2018-10-16 浙江申诚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用多功能松土工具及使用方法
CN209359908U (zh) * 2018-07-10 2019-09-10 浙江捷昌线性驱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插拔式控制装置及升降平台
CN109454866B (zh) * 2018-12-17 2019-09-13 深圳市纵维立方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机构以及光固化3d打印装置
CN209276701U (zh) * 2018-12-29 2019-08-20 江苏立信纺织有限公司 实用的快速清棉装置
JP7121066B2 (ja) * 2020-03-30 2022-08-17 矢崎総業株式会社 部材の接合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378B1 (ko) 2003-12-06 2006-06-30 주식회사 에스엠시 휴대폰 및 모바일기기용 2차 전지 배터리 팩
JP2014019260A (ja) * 2012-07-17 2014-02-03 Mitsubishi Motors Corp 電池パックの位置決めピンブラケット
US20150050525A1 (en) 2013-08-13 2015-02-1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90527B (zh) 2023-07-07
JP7298540B2 (ja) 2023-06-27
KR20210143112A (ko) 2021-11-26
JP2021181269A (ja) 2021-11-25
CN113690527A (zh) 2021-11-23
US20210367304A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1877B2 (en) Box for accommodating electric connection box
CN108569235B (zh) 冲击吸收体
US9924606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EP1973135B1 (en) Electromagnetic Relay
EP3578422B1 (en) Lock structure,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10039200B2 (en) Engagement structure,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CN110537296B (zh) 连接器和电子设备
JP4356548B2 (ja) 基板用コネクタ
EP2040525A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and case
US9849840B2 (en) Attaching structure for vehicle-mounted equipment
JP6432866B2 (ja) 付設ボックス付電気接続箱
CN102413651A (zh) 汽车车身控制模块外壳结构
JP4275599B2 (ja) プロテクタ
EP3547810A1 (en) Electronic component module,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20050118843A1 (en) Fixing structure and control device using that fixing structure
KR102590820B1 (ko) 용기와 설치 부품의 조합 및 용기
JP4605112B2 (ja) 電気接続箱
JP5075537B2 (ja) カバーの取付構造、コネクタ、及びカバー
US6916987B2 (en) Built-in unit for a transmission control of a motor vehicle
CN215816519U (zh) 连接器和包括该连接器的连接器组件
JP2021138020A (ja) 樹脂構造体
WO2024005061A1 (ja) コネクタ
WO2023204149A1 (ja) 電気接続箱
GB2605215A (en) Case body
KR20230128355A (ko) 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