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682B1 -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682B1
KR102589682B1 KR1020210088236A KR20210088236A KR102589682B1 KR 102589682 B1 KR102589682 B1 KR 102589682B1 KR 1020210088236 A KR1020210088236 A KR 1020210088236A KR 20210088236 A KR20210088236 A KR 20210088236A KR 102589682 B1 KR102589682 B1 KR 102589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string
fixing
cover memb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644A (ko
Inventor
강태석
이도규
Original Assignee
강태석
이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석, 이도규 filed Critical 강태석
Priority to KR102021008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682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01N3/068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with optical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구동부; 상기 공급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 및 끈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속하는 끈고정부; 덮개부재의 고정부위와 끈의 고정부위 사이의 간격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끈 연결부위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 및 상기 장력제공부를 지나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로부터 끈이 분리되었는지 감지하여 끈이 덮개부재로부터 분리된 불량품은 공급유로로부터 이탈시켜 제거하는 불량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 {Test Device for Attachment Strength for Mask Straps and Test Method for Attachment Strength of Mask Straps Using it}
본 발명은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공급하고, 마스크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끈 단부를 각각 고정시킨 후에 끈의 중앙부를 외측으로 연장시키면서 끈과 마스크 연결부위의 부착강도를 시험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끈과 마스크가 연결되는 부위의 부착강도가 설정치 미만으로 낮게 제작되는 불량품이 시중에 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보건위생상 병균, 먼지 등의 비산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입과 코부분을 가리는 마스크 면과 마스크 면 양측에 고리형으로 사용자의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구성된 마스크는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마스크 본연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 등록실용신안 제20-0411067호와 같은 귀걸이 끈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마스크가 공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마스크는 끈 고정밴드를 추가로 구비해야 해서 구성이 복잡하고, 끈 길이 조절이 간편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는 마스크 끈과 전방 커버가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마스크의 경우 마스크 끈을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전방커버부와, 전방커버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끈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끈 조절고리부 각각은, 끈 조절매듭부와, 끈 조절매듭부를 기준으로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폐곡선부와, 폐곡선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끈 조절매듭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1738호(2018년 10월 25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크는, 전방커버부의 양단부에 끈이 융착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끈을 전방커버부에 융착시키는 공정 중에 오작업에 발생되면 끈 연결부위의 부착강도가 설정치 이하로 이루어지는 불량품이 제작되는데, 끈 연결부위의 부착강도가 설정치 이하로 낮은 불량품을 선별할 수 있는 별도의 방법이 구비되지 않아 마스크의 불량률을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마스크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공급하고, 마스크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끈 단부를 각각 고정시킨 후에 끈의 중앙부를 외측으로 연장시키면서 끈과 마스크 연결부위의 부착강도를 시험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끈과 마스크가 연결되는 부위의 부착강도가 설정치 미만으로 낮게 제작되는 불량품이 시중에 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구동부; 상기 공급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 및 끈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속하는 끈고정부; 덮개부재의 고정부위와 끈의 고정부위 사이의 간격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끈 연결부위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 및 상기 장력제공부를 지나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로부터 끈이 분리되었는지 감지하여 끈이 덮개부재로부터 분리된 불량품은 공급유로로부터 이탈시켜 제거하는 불량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급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 양단부와 덮개부재 양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끈을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단까지 이동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 끈 부착강도 검사를 진행하도록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 및 끈을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 측으로 가압하는 제2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모터; 및 상기 제1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 또는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끈고정부는, 상기 공급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 양단부와 끈의 단부가 안착되는 제1고정벨트; 마스크의 끈을 상기 제1고정벨트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끈을 상기 제1고정벨트 측으로 가압하는 제2고정벨트;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상기 제1고정벨트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3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3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상기 제1고정벨트 측으로 가압하는 제3고정벨트; 및 상기 공급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제1고정롤러, 상기 제2고정롤러 또는 상기 제3고정롤러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장력제공부는, 상기 제2고정롤러와 상기 제3고정롤러 사이의 간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대; 상기 가압대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 및 상기 제2모터의 동력을 상기 가압대의 수직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불량제거부는, 상기 장력제공부를 통과하여 끈의 부착강도 검사가 진행된 마스크가 이동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덮개부재와 끈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포토센서; 상기 포토센서를 통과한 마스크 중에 덮개부재로부터 끈이 분리된 마스크를 상기 공급구동부 외측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대; 및 상기 가압대를 상기 공급구동부 외측으로 이동시키며 마스크 배출공정을 진행하는 제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마스크 다수 개가 연속되게 공급되는 공급구동부 상에 마스크의 양단부를 구속하여 정지시키는 단계; (b)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구속하는 제1구속지점과, 덮개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끈을 구속하는 제2구속지점 사이의 간격으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단계; (c) 마스크의 끈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해제시키고, 마스크를 이동시키면서 덮개부재와 끈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마스크의 덮개부재와 끈이 분리된 상태가 감지되면 해당 마스크를 상기 공급구동부로부터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a)단계는, 상기 공급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 양단부와 끈의 단부가 안착되는 제1고정벨트; 마스크의 끈을 상기 제1고정벨트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끈을 상기 제1고정벨트 측으로 가압하는 제2고정벨트;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상기 제1고정벨트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3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3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상기 제1고정벨트 측으로 가압하는 제3고정벨트; 및 상기 공급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제1고정롤러, 상기 제2고정롤러 또는 상기 제3고정롤러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끈고정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은, 마스크의 덮개부재 양단부에 끈을 융착시키는 공정이 종료되어 마스크의 제조가 완료된 후에 덮개부재로부터 끈을 당기는 장력을 제공하여 끈 연결부위의 부착강도를 시험하는 공정이 구비되므로 끈 연결부위의 부착강도가 설정치 이하로 제조되는 불량품을 걸러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은, 마스크의 덮개부재와 끈을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시키는 끈고정부와, 끈을 덮개부재 외측으로 인장시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가 구비되므로 다수 개의 마스크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때에 마스크 덮개부재로부터 끈을 당기면서 끈 연결부위의 접착강도를 시험할 수 있어 끈 연결부위 부착강도 시험을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마스크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어 공급되는지 감지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끈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어 공급되는지 감지하는 정렬감지부가 구비되므로 끈이 덮개부재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부착강도 시험을 중단하여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시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의 장력제공부 및 끈고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의 장력제공부 및 끈고정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의 불량제거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의 장력제공부 및 끈고정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의 장력제공부 및 끈고정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의 장력제공부 및 끈고정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의 불량제거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의 장력제공부 및 끈고정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는, 베이스프레임(7)과, 베이스프레임(7)의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를 베이스프레임(7)의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구동부(10)와, 공급구동부(10)의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3) 및 끈(5)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속하는 끈고정부(50)와, 덮개부재(3)의 고정부위와 끈(5)의 고정부위 사이의 간격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끈(5) 연결부위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70)와, 장력제공부(70)를 지나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3)로부터 끈(5)이 분리되었는지 감지하여 끈(5)이 덮개부재(3)로부터 분리된 불량품은 공급유로로부터 이탈시켜 제거하는 불량제거부(80)를 포함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7)의 일측으로 마스크가 공급되면 공급구동부(10)의 작동에 의해 다수 개의 마스크가 연속되게 끈고정부(50) 측으로 이동되고, 끈고정부(50)의 작동에 의해 마스크의 덮개부재(3)의 양단부와 끈(5)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속되고, 장력제공부(70)가 구동되면 덮개부재(3)로부터 끈(5)을 당기는 장력이 제공되어 끈(5) 연결부위의 부착강도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착강도 검사가 종료되면 공급구동부(10)의 작동에 의해 마스크가 끈고정부(50)로부터 이탈되어 구속상태가 해제되고, 마스크가 불량제거부(80)를 통과하면서 덮개부재(3)로부터 끈(5)이 분리된 마스크를 공급구동부(10) 외측으로 배출시키면서 불량 마스크를 제거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량의 마스크가 연속되게 공급되면서 마스크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불량 마스크를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어 출시되는 마스크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마스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베이스프레임(7)은 좌우방향으로 긴 공간을 제공하고, 베이스프레임(7)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공급구동부(10)가 설치되어 베이스프레임(7)의 일단부로 공급되는 마스크는 베이스프레임(7)의 타단부까지 이동되고, 베이스프레임(7)의 일단부에 끈고정부(50) 및 장력제공부(70)가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7)의 중앙부 및 타단부에 불량제거부(80)가 설치된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7)의 일단부로 연속되게 공급되는 다수 개의 마스크는 끈고정부(50)를 통과할 때에 설정시간 동안 이동이 중단된 상태로 마스크의 덮개부재(3) 및 끈(5)이 고정된 후에 장력제공부(70)가 구동되어 끈(5) 연결부위의 부착강도 검사가 진행되고, 끈고정부(50)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마스크 중에 끈(5)이 덮개부재(3)로부터 떨어진 불량품은 불량제거부(80)의 작동에 의해 공급구동부(10)로부터 배출되어 정상의 마스크와 분리된다.
본 실시예의 공급구동부(10)는, 베이스프레임(7)의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3) 양단부와 덮개부재(3) 양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끈(5)을 지지하여 베이스프레임(7)의 타단까지 이동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11)와, 끈(5) 부착강도 검사를 진행하도록 제1벨트컨베이어(11)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3) 및 끈(5)을 제1벨트컨베이어(11) 측으로 가압하는 제2벨트컨베이어(15)와, 제1벨트컨베이어(11)와 제2벨트컨베이어(15)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베이스프레임(7)에 설치되는 제1모터(19)와, 제1모터(19)의 동력을 제1벨트컨베이어(11) 또는 제2벨트컨베이어(15)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30)를 포함한다.
제1벨트컨베이어(11)는 베이스프레임(7)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1롤러(12)와, 베이스프레임(7)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제2롤러(13)와, 제1롤러(12)와 제2롤러(13)에 권취되는 한 쌍의 제1벨트부재(1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벨트부재(14)는 간격을 유지하며 제1롤러(12)와 제2롤러(13)에 권취되므로 제1벨트부재(14) 상면에 마스크의 덮개부재(3)가 안착된 상태로 베이스프레임(7) 타단부까지 마스크를 이송할 수 있다.
제2벨트컨베이어(15)는 제1롤러(12)에 대향되도록 제1롤러(12) 상부에 설치되는 제3롤러(16)와, 베이스프레임(7) 중앙부에 설치되는 제4롤러(17)와, 제3롤러(16)와 제4롤러(17)에 권취되는 한 쌍의 제2벨트부재(18)를 포함한다.
제3롤러(16)는 제1롤러(12)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제1롤러(12)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제1롤러(12)와 제3롤러(16) 사이의 간격으로 마스크가 공급되고, 제4롤러(17)는 제2롤러(13)와 이격되도록 베이스프레임(7)의 중앙부에 설치되므로 베이스프레임(7)의 일단부로 공급되는 마스크는 제1벨트부재(14)와 제2벨트부재(18) 사이의 간격에 개재된 상태로 베이스프레임(7)의 타단 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마스크가 제4롤러(17)를 통과하게 되면 제2벨트부재(18)와 분리되므로 마스크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제1벨트부재(14)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불량제거부(80)는 제4롤러(17)와 이격되게 베이스프레임(7)의 타단 측에 설치되므로 제2벨트부재(18)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된 마스크 중에 불량으로 판단되는 마스크를 제1벨트부재(14)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된다.
본 실시예의 제1동력전달부(30)는, 제1모터(19)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박스(31)와, 제1기어박스(31)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출력기어(32)와, 출력기어(32)와 기어연결 또는 풀리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1기어(36)와, 제1기어(36)와 기어연결되어 동력을 반대 방향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제2기어(39)와, 제1기어(36)의 회전축을 이루고 제1롤러(12)가 설치되는 제1구동축(34)과, 제2기어(39)의 회전축을 이루고 제3롤러(16)가 설치되는 제2구동축(38)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모터(19)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은 출력기어(32), 제1기어(36) 및 제2기어(39)에 전달되어 제1구동축(34) 및 제1롤러(12)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제2구동축(38) 및 제3롤러(16)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므로 제1롤러(12)와 제3롤러(16) 사이의 간격으로 투입되는 마스크를 베이스프레임(7) 타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1구동축(34)의 타단에는 제1풀리(33)가 설치되고, 제2구동축(38)의 타단에는 제2풀리(37)가 설치되어 제1모터(19)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끈고정부(5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끈고정부(50)는, 공급구동부(10)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베이스프레임(7)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고정롤러(51)와, 복수 개의 제1고정롤러(51)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3) 양단부와 끈(5)의 단부가 안착되는 제1고정벨트(52)와, 마스크의 끈(5)을 제1고정벨트(52)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제1고정롤러(5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고정롤러(51a)와, 복수 개의 제2고정롤러(51a)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끈(5)을 제1고정벨트(52) 측으로 가압하는 제2고정벨트(52a)와, 마스크의 덮개부재(3)를 제1고정벨트(52)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제1고정롤러(51)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3고정롤러(51b)와, 복수 개의 제3고정롤러(51b)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3)를 제1고정벨트(52) 측으로 가압하는 제3고정벨트(52b)와, 공급구동부(1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제1고정롤러(51), 제2고정롤러(51a) 또는 제3고정롤러(51b)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53)를 포함한다.
제1고정롤러(51)는 제1벨트컨베이어(11)의 양측부에 다수 개가 마스크 이동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고, 2열의 제1고정롤러(51)가 간격을 유지하며 마스크 이동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각 열에는 다수 개의 제1고정롤러(51)를 동시에 감싸도록 제1고정벨트(52)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벨트부재(14)와 제2벨트부재(18) 사이의 간격으로 이동되는 마스크의 양단부, 즉 덮개본체의 양단부와 덮개본체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끈(5) 단부가 각각 2열의 제1고정롤러(51) 및 제1고정벨트(52)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된다.
2열의 제1고정롤러(51) 중 외측에 배치되는 제1고정롤러(51)에 대향되도록 다수 개의 제2고정롤러(51a)가 연속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제2고정롤러(51a)의 동시에 감싸도록 제2고정벨트(52a)가 설치된다.
또한, 2열의 제1고정롤러(51) 중 내측에 배치되는 제1고정롤러(51)에 대향되도록 다수 개의 제3고정롤러(51b)가 연속되게 설치되고, 다수 개의 제3고정롤러(51b)의 동시에 감싸도록 제3고정벨트(52b)가 설치된다.
따라서 끈고정부(50)를 통과하는 마스크의 끈(5)은 제2고정롤러(51a) 및 제2고정벨트(52a)에 의해 제1고정롤러(51) 및 제1고정벨트(52) 측으로 가압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3) 양단부는 제3고정롤러(51b) 및 제3고정벨트(52b)에 의해 제1고정롤러(51) 및 제1고정벨트(52) 측으로 가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크의 덮개부재(3) 양단부 및 끈(5)이 구속된 상태로 공급구동부(10)의 구동이 중단되면 마스크의 덮개부재(3) 및 끈(5)이 구속된 상태가 유지되고, 이때, 장력제공부(70)의 작동에 의해 제2고정롤러(51a)와 제3고정롤러(51b) 사이의 간격으로 가압대(71)가 돌출되면 끈(5)이 제2고정롤러(51a)와 제3고정롤러(51b)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인장되면서 마개본체와 끈(5)의 연결부위에 인장력에 제공되면서 마스크 끈(5)의 부착강도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에의 제2동력전달부(53)는, 제1풀리(33)와 제3벨트부재(55)로 연결되는 제3풀리(54)와, 제2풀리(37)와 제4벨트부재(57)로 연결되는 제4풀리(56)를 포함하고, 제1풀리(33)는 다수 개의 제1고정롤러(51)와 동시에 제1고정벨트(52)가 권취되어 제1모터(19)의 동력을 제1고정롤러(51)에 전달하고, 제2풀리(37)는 다수 개의 제2고정롤러(51a) 또는 제3고정롤러(51b)와 동시에 제2고정벨트(52a) 또는 제3고정벨트(52b)가 권취되어 제1모터(19)의 동력을 제2고정롤러(51a) 또는 제3고정롤러(51b)에 전달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장력제공부(70)는, 제2고정롤러(51a)와 제3고정롤러(51b) 사이의 간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베이스프레임(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대(71)와, 가압대(71)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75)와, 제2모터(75)의 동력을 가압대(71)의 수직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압대(71)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수직바 모양으로 형성되고, 가압대(71)의 상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안착홈부(72)가 형성되어 가압대(71)가 상측으로 상승될 때에 제2고정롤러(51a)와 제3고정롤러(51b)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마스크의 끈(5)을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끈(5)과 덮개부재(3)의 연결부위에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착강도 검사작동에 의해 끈(5)과 덮개부재(3)의 부착강도를 검사할 수 있으며, 연결부위가 불량하게 접착된 불량의 마스크인 경우에는 끈(5)이 덮개부재(3)로부터 분리되어 마스크의 불량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고, 부착강도 검사가 종료된 마스크는 공급구동부(10)의 작동에 의해 불량제거부(80) 측으로 이동된 후에 끈(5)이 덮개본체로부터 떨어진 불량 마스크는 불량제거부(80)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프레임(7) 외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동력변환부는, 가압대(71)를 지지하고 베이스프레임(7)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대(73)와, 제2모터(75)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제2기어박스(76)의 구동축에 일단이 편심되게 설치되고, 타단이 승강대(7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편심부재(7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모터(75)의 동력이 제2기어박스(76)를 지나 편심부재(74)에 전달되면 편심부재(74)의 타단은 상측 및 하측으로 원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고, 편심부재(74)의 타단에 연결되는 승강대(73)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대(7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승강대(73)의 상단은 가압대(7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편심부재(74)의 회전운동이 가압대(71)의 수직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불량제거부(80)는, 장력제공부(70)를 통과하여 끈(5)의 부착강도 검사가 진행된 마스크가 이동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덮개부재(3)와 끈(5)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포토센서(82)와, 포토센서(82)를 통과한 마스크 중에 덮개부재(3)로부터 끈(5)이 분리된 마스크를 공급구동부(10) 외측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대(84)와, 가압대(71)를 공급구동부(10) 외측으로 이동시키며 마스크 배출공정을 진행하는 제거구동부(8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거구동부(86)는 로드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베이스프레임(7)의 지지대(88)에 설치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로드의 하단에는 마스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배출대(84)가 설치된다.
따라서 끈고정부(50) 및 제2벨트컨베이어(15)를 통과하여 이동되는 마스크는, 포토센서(82)의 작동에 의해 덮개부재(3)로부터 끈(5)이 분리되었는지 감지하게 되고, 포토센서(82)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끈(5)이 덮개부재(3)로부터 분리된 것이 감지되면 마스크가 제거구동부(86)의 하부를 지날 때에 제거구동부(8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배출대(84)가 마스크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 쌍의 제1벨트부재(14)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되던 불량 마스크는 배출대(84)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한 상의 제1벨트부재(14) 사이의 간격으로 중첩되면서 베이스프레임(7) 하측으로 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시헝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은, 마스크 다수 개가 연속되게 공급되는 공급구동부(10) 상에 마스크의 양단부를 구속하여 정지시키는 단계와, 마스크의 덮개부재(3)를 구속하는 제1구속지점과, 덮개부재(3)로부터 연장되는 끈(5)을 구속하는 제2구속지점 사이의 간격으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단계와, 마스크의 끈(5)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해제시키고, 마스크를 이동시키면서 덮개부재(3)와 끈(5)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마스크의 덮개부재(3)와 끈(5)이 분리된 상태가 감지되면 해당 마스크를 공급구동부(10)로부터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1롤러(12)와 제3롤러(16) 사이의 간격으로 마스크가 공급되면 순환되는 제1벨트부재(14)와 제2벨트부재(18)에 의해 마스크가 이동되고, 제2고정롤러(51a) 또는 제3고정롤러(51b)와 제1고정롤러(51) 사이에 마스크의 덮개부재(3) 및 끈(5)이 개재되어 구속되면 제1롤러(12) 및 제3롤러(16)의 회전이 중단되어 덮개부재(3)의 양단부 및 끈(5)의 단부가 제2고정롤러(51a) 또는 제3고정롤러(51b) 및 제1고정롤러(51)에 의해 구속된다.
이후에, 제2모터(75)가 구동되어 승강대(73) 및 가압대(71)가 상승되면 마스크의 끈(5)을 덮개부재(3) 상측으로 당기게 되므로 끈(5)의 부착강도를 검사하게 된다.
승강대(73) 및 가압대(71)가 하강하면 제1모터(19)의 동력이 제공되어 제1롤러(12), 제3롤러(16), 제1고정롤러(51) 내지 제3고정롤러(51b)가 회전되어 마스크가 베이스프레임(7)의 타단으로 이동되며, 마스크가 끈고정부(50)를 통과하면 포토센서(82)의 작동에 의해 마스크의 덮개부재(3)로부터 끈(5)이 분리되었는지 검사하게 된다.
끈(5)이 덮개부재(3)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이물질이 감지되지 않은 정상의 마스크는 제1벨트부재(14)를 따라 제2롤러(13)까지 이동되어 베이스프레임(7)의 타단으로 배추된다.
반면에, 포토센서(82)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끈(5)이 덮개부재(3)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판단된 마스크는, 제2벨트컨베이어(15)로부터 이격되어 제1벨트컨베이어(11)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는 중간에 배출대(84)에 대향되는 지점을 통과할 때에 제거구동부(8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서 배출대(84)가 불량 마스크를 베이스프레임(7)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게 되다.
이로써, 마스크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공급하고, 마스크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끈 단부를 각각 고정시킨 후에 끈의 중앙부를 외측으로 연장시키면서 끈과 마스크 연결부위의 부착강도를 시험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끈과 마스크가 연결되는 부위의 부착강도가 설정치 미만으로 낮게 제작되는 불량품이 시중에 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검사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급구동부 11 : 제1벨트컨베이어
12 : 제1롤러 13 : 제2롤러
14 : 제1벨트부재 15 : 제2벨트컨베이어
16 : 제3롤러 17 : 제4롤러
18 : 제2벨트부재 19 : 제1모터
30 : 제1동력전달부 31 : 제1기어박스
32 : 출력기어 33 : 제1풀리
34 : 제1구동축 36 : 제1기어
37 : 제2풀리 38 : 제2구동축
39 : 제2기어 50 : 끈고정부
51 : 제1고정롤러 52 : 제1고정벨트
53 : 제2동력전달부 54 : 제3풀리
55 : 제3벨트부재 56 : 제4풀리
57 : 제4벨트부재 70 : 장력제공부
71 : 가압대 72 : 안착홈부
73 : 승강대 74 : 편심부재
75 : 제2모터 76 : 제2기어박스
80 : 불량감지부 82 : 포토센서
84 : 배출대 86 : 제거구동부
88 : 지지대

Claims (7)

  1.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단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공급구동부;
    상기 공급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 및 끈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속하는 끈고정부;
    덮개부재의 고정부위와 끈의 고정부위 사이의 간격으로 가압력을 제공하여 끈 연결부위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제공부; 및
    상기 장력제공부를 지나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로부터 끈이 분리되었는지 감지하여 끈이 덮개부재로부터 분리된 불량품은 공급유로로부터 이탈시켜 제거하는 불량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끈고정부는,
    상기 공급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 양단부와 끈의 단부가 안착되는 제1고정벨트;
    마스크의 끈을 상기 제1고정벨트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끈을 상기 제1고정벨트 측으로 가압하는 제2고정벨트;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상기 제1고정벨트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3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3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상기 제1고정벨트 측으로 가압하는 제3고정벨트; 및
    상기 공급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제1고정롤러, 상기 제2고정롤러 또는 상기 제3고정롤러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마스크의 덮개부재 양단부와 덮개부재 양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끈을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단까지 이동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
    끈 부착강도 검사를 진행하도록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 및 끈을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 측으로 가압하는 제2벨트컨베이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모터; 및
    상기 제1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 또는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제공부는,
    상기 제2고정롤러와 상기 제3고정롤러 사이의 간격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대;
    상기 가압대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 및
    상기 제2모터의 동력을 상기 가압대의 수직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변환부를 포함하는 거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제거부는,
    상기 장력제공부를 통과하여 끈의 부착강도 검사가 진행된 마스크가 이동되는 통로에 설치되어 덮개부재와 끈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포토센서;
    상기 포토센서를 통과한 마스크 중에 덮개부재로부터 끈이 분리된 마스크를 상기 공급구동부 외측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대; 및
    상기 가압대를 상기 공급구동부 외측으로 이동시키며 마스크 배출공정을 진행하는 제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6. (a) 마스크 다수 개가 연속되게 공급되는 공급구동부 상에 마스크의 양단부를 구속하여 정지시키는 단계;
    (b)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구속하는 제1구속지점과, 덮개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끈을 구속하는 제2구속지점 사이의 간격으로 인장력을 제공하는 단계;
    (c) 마스크의 끈에 제공되는 인장력을 해제시키고, 마스크를 이동시키면서 덮개부재와 끈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마스크의 덮개부재와 끈이 분리된 상태가 감지되면 해당 마스크를 상기 공급구동부로부터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는,
    상기 공급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 양단부와 끈의 단부가 안착되는 제1고정벨트;
    마스크의 끈을 상기 제1고정벨트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끈을 상기 제1고정벨트 측으로 가압하는 제2고정벨트;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상기 제1고정벨트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고정롤러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3고정롤러;
    복수 개의 상기 제3고정롤러에 권취되고, 마스크의 덮개부재를 상기 제1고정벨트 측으로 가압하는 제3고정벨트; 및
    상기 공급구동부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제1고정롤러, 상기 제2고정롤러 또는 상기 제3고정롤러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끈고정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
  7. 삭제
KR1020210088236A 2021-07-06 2021-07-06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 KR102589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36A KR102589682B1 (ko) 2021-07-06 2021-07-06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36A KR102589682B1 (ko) 2021-07-06 2021-07-06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44A KR20230007644A (ko) 2023-01-13
KR102589682B1 true KR102589682B1 (ko) 2023-10-13

Family

ID=8490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236A KR102589682B1 (ko) 2021-07-06 2021-07-06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6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3059A (zh) 2016-08-16 2016-11-09 杭州赤霄科技有限公司 卫生医疗防护用品口罩视觉检测系统
CN209264585U (zh) * 2018-11-20 2019-08-16 深圳市维图视技术有限公司 一种口罩在线检测系统
CN210665303U (zh) * 2019-08-29 2020-06-02 大连善德来生活用品有限公司 口罩耳绳焊接点拉力测试机
KR102212778B1 (ko) 2020-08-21 2021-02-04 한동희 마스크 검사장치
JP2021512342A (ja) 2018-11-20 2021-05-13 深▲セン▼市▲維▼▲圖▼▲視▼技▲術▼有限公司 マスク欠陥検査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93U (ja) * 1993-06-21 1995-01-13 財団法人中國紡織工業研究中心 被服用ゴムバンドの調整式縫製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3059A (zh) 2016-08-16 2016-11-09 杭州赤霄科技有限公司 卫生医疗防护用品口罩视觉检测系统
CN209264585U (zh) * 2018-11-20 2019-08-16 深圳市维图视技术有限公司 一种口罩在线检测系统
JP2021512342A (ja) 2018-11-20 2021-05-13 深▲セン▼市▲維▼▲圖▼▲視▼技▲術▼有限公司 マスク欠陥検査装置及び方法
CN210665303U (zh) * 2019-08-29 2020-06-02 大连善德来生活用品有限公司 口罩耳绳焊接点拉力测试机
KR102212778B1 (ko) 2020-08-21 2021-02-04 한동희 마스크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44A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00639B2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sheet elements from composite material
US20070169892A1 (en) Box sealing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adhesive tape
KR102589682B1 (ko)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마스크 끈용 부착강도 검사방법
US6895728B2 (en) Film packaging method and film packaging device
CN111634017A (zh) 一种口罩检测装置及自动口罩生产线
CN209290792U (zh) 面膜包装机及其自动上料装置
WO2017069199A1 (ja) 袋検査装置
CN201420123Y (zh) 一种非织造布喂棉部分的纠偏称重装置
CN110182420B (zh) 一种打包机自动监控装置、自动监控方法及打包机
JP2007106486A (ja) 横ピロー包装機
CN206590549U (zh) 口罩耳带检测装置
ITRM930578A1 (it) Apparecchio per falsa torcitura e metodo per il suo controllo.
CN206751054U (zh) 用于输送连续带的输送装置
CN209950518U (zh) 拉链生产设备
JP6205827B2 (ja) 根菜類収穫機
CN113665901A (zh) 一种面膜包装检测设备
JP2948104B2 (ja) ヘアライン加工機
CN201890366U (zh) 一种果冻产品包装喂料机
CN107500005A (zh) 一种皮带整形输送机
CN208155885U (zh) 一种攻牙自动检测工装
CN210619477U (zh) 一种用于推料装置的过载检测机构
CN208855975U (zh) 一种满箱称重检测机
JP4249952B2 (ja) シールチェック装置
CN110356652A (zh) 一种物件的检测、叠放、捆扎、输送一体机
KR100936466B1 (ko) 포대의 자동 정렬 및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