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867B1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8867B1
KR102588867B1 KR1020217017571A KR20217017571A KR102588867B1 KR 102588867 B1 KR102588867 B1 KR 102588867B1 KR 1020217017571 A KR1020217017571 A KR 1020217017571A KR 20217017571 A KR20217017571 A KR 20217017571A KR 102588867 B1 KR102588867 B1 KR 10258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pplication member
peripheral surface
cap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160A (ko
Inventor
히로아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3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의 관통 구멍에 변형이 생기지 않고, 따라서 액상 도포재의 공기류 통로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 도포구의 캡을 풀 때, 액체 도포재를 침윤하고 있는 코어 재료로부터 액체 누설이 초래되지 않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대략 원주 형상의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바디 내에서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측에 대하여, 뚫려진 관통 구멍을 관통시켜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도포 부재 후단측의 선단부를, 저장부측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구멍의 형상은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 간의 간극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포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아이라이너나 아이브로우와 같은 화장 용구, 혹은 두발이나 눈썹 등의 부분 백발 염색 도구 등 내부에 저장한 액상 도포재를 도포 부재에 침윤시키고, 이것을 선단 도포부로부터 도포 혹은 드로잉하여 사용하는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아이라이너 등 내부에 액상 도포재를 저장하고, 이 액상 도포재를 섬유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어 재료에 의해 구성된 도포 부재에 흡수, 침윤시키고, 상기 도포 부재의 선단 도포부에 의해 도포 혹은 드로잉하는 도포구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도포구의 액상 도포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도포구의 사용 양태에 따라, 그 점성이나 재질이 많이 상이하고, 또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액상 도포재의 저장량도 여러 가지로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복수 종류 존재하는 점성이나 재질이 상이한 액상 도포재에 대응시키고, 게다가 그 저장량이 상이한 경우도 포함하여, 액상 도포재의 토출량을 조정하는 플러그는 아주 중요한 기능을 달성하고 있다.
종래부터 상기 플러그는 소위 열가소성 합성 수지 부재를 사용하고, 이 열가소성 합성 수지의 기재를 금형으로 넣고, 가열하여 소정의 플러그 형상으로 생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플러그는 내부에 직경이 상이한 관통 구멍을 적어도 2개 형성하고 있으며, 게다가 상기 관통 구멍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많고,상술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합성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금형에 넣고, 가열하여 성형할 때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에서의 외측의 냉각 온도와 금형에서의 내측의 냉각 온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금형의 내측 부분의 플러그 부분의 수축 작용이 금형의 외측 부분보다 진행되게 되어, 그 결과, 플러그의 관통 구멍에 변형이 생기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도포구의 캡에도 과제가 있으며, 너무 강고한 체결력에 의해 캡을 풀 때, 캡의 밀폐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액체 도포재를 침윤하고 있는 코어 재료로부터 액체 누설이 초래된다는 과제도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11-4867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3-10291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04-344858호 공보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는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플러그의 관통 구멍에 변형이 생기지 않고, 따라서 액상 도포재의 공기류 통로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 도포구의 캡을 풀 때, 액체 도포재를 침윤하고 있는 코어 재료로부터 액체 누설이 초래되지 않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대략 원주 형상의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바디 내에서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측에 대하여, 뚫려진 관통 구멍을 관통시켜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도포 부재 후단측의 선단부를, 저장부측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구멍의 형상은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 간의 간극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 부재를 재료로 하여, 금형에 수납하고, 상기 플러그의 형상이, 플러그 기부의 양단부 측에서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그대로 플러그 기부의 두께의 외주면으로 하고, 중앙부 측의 외주면은 링 형상의 오목 형상 리세스를 이루어 내측을 향하여 요설되는 오목홈부로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금형 내에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대략 원주 형상의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바디 내에서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측에 대하여, 뚫려진 관통 구멍을 관통시켜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도포 부재 후단측의 선단부를, 저장부측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구멍의 형상은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 간의 간극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와; 바디의 선단측 개구를 캡하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에는 상기 캡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 두께를 개구측을 향하여 서서히 얇게 하고, 내주면의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 형상의 내주면을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경사면 형상의 내주면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캡 축방향 내측의 부위에서, 상기 캡의 내주면에 링 형상을 이루어 요설되는 오목홈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 공간부를 캡 내의 내압을 방출하는 공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대략 원주 형상의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바디 내에서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측에 대하여, 뚫려진 관통 구멍을 관통시켜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도포 부재 후단측의 선단부를, 저장부측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구멍의 형상은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 간의 간극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와; 바디의 선단측 개구를 캡하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캡과, 바디의 후단측 개구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저장부를 밀폐하는 테일 플러그;를 구비하고,
테일 플러그는 선단에 원주 형상의 멈춤 마개가 부착되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마개의 직경 방향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향하여 산 형상으로 융기하는 융기부 및 상기 융기부의 양측에 형성된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압력 흡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에 액상 도포재를 저장한 후, 상기 테일 플러그를 멈춤 마개측으로부터 바디의 후단측 개구에 삽입하고, 상기 압력 흡수부에 의해 저장부로의 삽입 압력을 감소시켜서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상기 압력 흡수부는 적어도 멈춤 마개의 원형상 외주부에 간격을 두어서 3개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라면, 플러그의 관통 구멍에 변형이 생기지 않는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액상 도포재의 공기류 통로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또, 도포구의 캡을 풀 때, 액체 도포재를 침윤하고 있는 코어 재료로부터 액체 누설이 초래되지 않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1)이다.
도 2는 플러그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1)이다.
도 3은 캡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플러그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2)이다.
도 5는 멈춤 마개가 달린 테일 플러그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플러그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1)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바디(2)를 가지고 있다. 또, 캡(3) 및 이너 캡(4)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캡(3)과 이너 캡(4)은 접속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며, 캡(3)을 바디(2)로부터 풀면, 이너 캡(4)도 동시에 바디(2)로부터 풀리게 되어 있다.
바디(2) 내에는 코어 형상을 이루는 도포 부재(5)가 지지된다. 상기 도포 부재(5)는 합성 섬유 부재로 구성되고, 그 외주면은 통상적으로 보호 시트재(29)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상기 보호 시트재(29)의 재질에 대하여 아무런 한정은 없지만, 상기 보호 시트재(29)의 외주면으로부터는 내부의 도포 부재(5) 측에 액상 도포재(6)가 그다지 함침되지 않고, 반대의 경우에도 그다지 침투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도포 부재(5)는 봉 형상의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고, 그 축방향 양단부는 상기 보호 시트재(29)가, 예를 들면 절삭되어서 피복이 벗겨지고, 따라서 이 축방향 양단부로부터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액상 도포재(6)가 도포 부재(5) 내에 함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포 부재(5)의 양단부측은 절삭되어 상기 보호 시트재(29)가 상기와 같이 벗겨지고, 선단측은 대략 바늘 형상의 뾰족한 형상을 이루고, 후단측은 도포 부재(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는 돌기부(18)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부호 7은 흡수체를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흡수체(7)는 외주면에 아무런 요철 형상도 시행하지 않은 원주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축방향 중심부에는 축 방향을 향하여 관통하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관통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 구멍(8)에 상기 도포 부재(5)가 관통한다.
종래에는 이 흡수체(7)는 외주가 주름 상자 형상의 요철면으로서 구성된 수지 성형품으로 제작되고 있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지 성형품의 금형 비용이 비교적 고가이고, 이 때문에 복수 종류의 형태를 이루는 상이한 흡수체를 제작하면 도포구 자체의 코스트가 고가가 되게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흡수체(7)는 예를 들면, 내부에 연속 기포를 갖는 폼 재료 등 기액 교환 작용을 가지고, 액상 도포재를 함침하는 함침력을 갖는 유연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나 길이를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길이 방향이나 직경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흡수체(7)는 도포 부재(5)의 축방향으로 1개 혹은 복수개 직렬로 하여 부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부호 9는 노즈 피스이고, 상기 코어 형상을 이루는 도포 부재(5)의 선단측을 지지하여, 바디(2)의 선단부에 고정한다. 여기서, 바디(2)의 선단측은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되는 드로잉 부재 지지부(15)로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포 부재(5)의 선단측에는 드로잉 부재(10)가 씌워져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드로잉 부재(10)에 함침된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하여, 드로잉 혹은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4에 있어서, 부호 11은 플러그이고, 바디(2) 내에서 도포 부재(5)의 후단측을, 뚫려진 관통 구멍(8)에 관통시켜서 지지함과 아울러, 그 도포 부재(5)의 후단측에 형성된 돌기부(18)의 선단을 옆에 형성된 저장부(12) 측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여기서, 플러그(11)의 관통 구멍(8)은 상기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포 부재(5)가 관통하는 직경을 갖는 제1 관통 구멍(30)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관통 구멍(30) 내에는 도포 부재(5)가 관통하여 지지되지만, 이 제1 관통 구멍(30)의 내주면 형상은 원통 형상이 아니라, 사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십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액상 도포재(6)의 점성이나 재질에 대응하여 제1 관통 구멍(30)의 다각 형상의 내주면과 이것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5)의 외주면 사이에 생기는 다각 형상의 간극(33)의 크기나 개수를 조정하고, 흡수체(7) 측에 침윤되는 액상 도포재(6)의 침윤량을 조정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각 형상의 간극(33)은 저장부(12)와 상기 드로잉 부재(10)의 선단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류 통로(41)의 일구간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된다. 한편, 상기 저장부(12)에는 액상 도포재(6)가 저장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플러그(11)는 이 제1 관통 구멍(30)에 연통하는 제2 관통 구멍(3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관통 구멍(31)은 상기 돌기부(18)가 관통하는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즉 제1 관통 구멍(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관통 구멍(31)의 구멍 형상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관통 구멍(31)에 돌기부(18)가 관통하지만, 제2 관통 구멍(31)의 내주면과 관통하는 돌기부(18)의 외주면 사이에는 링 형상의 간극(34)(도 2 참조)이 형성되는 것이 되고, 이 링 형상의 간극(34)은 상술한 다각 형상의 간극(33)와 연통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링 형상의 간극(34)도 공기류 통로(41)의 일구간이 된다.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관통 구멍(30)과 제2 관통 구멍(31)의 경계에는 단차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32)에는, 상기 제1 관통 구멍(30)의 내주면과 제1 관통 구멍(30)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5)의 외주면 사이에 생기는 상술한 다각 형상의 간극(33)과, 상기 제2 관통 구멍(31)의 내주면과 제2 관통 구멍(31)이 관통하는 상기 돌기부(18)의 외주면 사이에 생기는 상술한 링 형상의 간극(34)을 연통시키는 연통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통홈(35)은 다각 형상을 이루는 제1 관통 구멍(30)의 모서리부에서의 단차벽(40)에 오목홈을 형성하여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통홈(35)은 다각 형상을 이루는 제1 관통 구멍(30)의 모서리수만큼 형성되는 것이 된다. 즉 육각 형상의 제1 관통 구멍(30)이라면, 연통홈(35)은 6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플러그(11)라면, 도포 부재(5)는 플러그(11)의 단차부(32)에 도포 부재(5)와 돌기부(18)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벽(40)이 걸리고, 도포 부재(5)를 확실하게 도포구(1) 내에 고정할 수 있고, 게다가, 저장부(12) 측과 도포 부재(5)의 선단측, 즉 도포 부재(5)에 부착되어 있는 드로잉 부재(10)의 선단측 근방 위치의 외부 사이의 공간이 기액 교환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 통과로(41)의 일부로 되어서 형성되고, 저장부(12)로부터 도포 부재(5)에 원활한 액상 도포재(6)의 함침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즉 상기 공기 통과로(41)는 저장부(12)로부터 상기 제2 관통 구멍(31)의 내주면과 상기 제2 관통 구멍(31)을 관통하는 돌기부(18)의 외주면 사이의 링 형상의 간극(34)으로 이어지고, 링 형상의 간극(34)으로부터 상기 단차부(32)에 형성된 연통홈(35)의 공간으로 이어지고, 다시 제1 관통 구멍(30)의 내주면과 상기 제1 관통 구멍(30)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5)의 외주면 사이의 다각 형상의 간극(33)으로 이어지고, 관통 구멍(8)의 내주면과 복수의 흡수체(7) 및 압축 부재(2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링 형상의 간극(42) 혹은 흡수체(7)의 내부로 이어지고, 또한 바디(2), 상세하게는 드로잉 부재 지지부(15)와 노즈 피스(9) 사이의 공간로(43)로 이어져서 외부로 나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저장부(12)로부터 액상 도포재(6)가 도포 부재(5)에 함침된 용량만큼, 외부로부터는 상기 저장부(12)에 공기를 집어 넣도록, 기액 교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11)는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 기부(44)와 상기 플러그 기부(44)의 제2 관통 구멍(31)이 형성된 측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물(38)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상기 플러그 기부(44)는 양단부 측에서의 직경 방향의 두께는 그대로 플러그 기부(44)의 두께의 외주면으로 하고, 중앙부측의 외주면은 링 형상을 이루어 내측을 향하여 요설되는 오목홈부(46)가 형성되는 것이 되었다.
여기서, 플러그(11)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 부재를 재료로 하는 것이고, 상기 열가소성 합성 수지 부재를 금형에 수납하여 가열 성형하고, 그 후 냉각하여 생성된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낸 종래의 플러그(11)에서는, 플러그 기부(44)의 직경 방향의 두께가 모두 동등한 두께이고, 이 두께 그대로, 열가소성 합성 수지를 금형에 수납하여 가열 성형하고, 그 후 냉각하여 생성하면,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 기부(44)의 내측 부분의 냉각 속도와 외측의 냉각 속도가 상이하고, 그 결과, 열가소성 합성 수지 부재의 수축률이 상기 내부측과 외부측에서 상이하게 되어, 제1 관통 구멍(30) 등이 그 중간 부분에서 수축되어 변형되게 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관통 구멍(30) 등의 정밀도가 부정확하면, 최종적으로 액상 도포재(6)의 유통에 지장을 초래하고, 그 결과, 도포구(1)의 사용 시에 액체 부족이나 액체 누설이 생기는 것이다.
따라서, 본건 발명자는 플러그 기부(44)의 축방향 중앙측의 직경 방향 외주면에 링 형상을 이루는 리세스 형상의 오목홈부(46)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금형을 개량하고, 상기 금형에 의해 플러그(11)의 두께를 상기 대략 중앙부에서 얇게 한 플러그(11)를 성형하였다. 그 결과, 본건 발명의 플러그(11)는 플러그 기부(44)의 내측 부분의 냉각 속도와 외측의 냉각 속도가 거의 동일하게 되고, 그 결과, 열가소성 합성 수지 부재의 수축률이 상기 내부측과 외부측에서 거의 동일하게 되어, 제1 관통 구멍(30) 등에 변형이 생기지 않는 것이 된 것이다.
게다가, 본건 발명자는 소위 펌핑 방지를 위하여, 캡(3)에 대해서도 개량을 가하였다. 종래의 캡(3)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3)의 개구측 부분에 대하여, 아무런 가공도 되어 있지 않고,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캡(3)의 두께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종래의 캡(3)을 상기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된 바디(2)의 선단측에 끼워 넣으면, 이너 캡(4)이 스프링(47)에 의해 드로잉 부재(10) 측에 압압되는 것과도 어울려, 캡(3)과 드로잉 부재(10) 간의 공간에 강고한 기밀성이 발생한다.
그리고, 강고한 기밀성이 유지된 상태로부터, 캡(3)을 풀면, 드로잉 부재(10)로부터, 혹은 상기 공간로(43)로부터 함침되어 있는 액상 도포재(6)가 잡아 당겨져서, 액체 누설 혹은 액 처짐(펌핑 작용)을 발생하게 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건 발명자는 상기 캡(3)의 개구측에 개량을 가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 근방의 캡(3)의 두께를 개구측을 향하여 서서히 얇아지도록, 즉 서서히 내주면의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 형상의 내주면(49)으로 형성하였다. 게다가, 그 경사면 형상의 내주면(49)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축방향 내측의 부위에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는 캡(3)의 내주면에 링 형상을 이루어 요설되는 오목홈 공간부(48)를 형성하였다. 즉 이 오목홈 공간부(48)에 기밀성을 갖는 내압을 일시적으로 방출하는 공간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가장 먼저, 이너 캡(4)이 달린 캡(3)을 바디(2)에 끼워 넣는다. 그러면, 캡(3) 안은 강력한 기밀성이 발생하고, 외부와의 접촉이 단절되고, 드로잉 부재(10)의 펜 선단이 말라 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그러나, 캡(3)을 풀 때는 캡(3) 안은 단숨에 압력이 오르고, 액상 도포재(6)가 잡아 당겨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캡(3)을 풀 때, 상기 경사면 형상의 내주면(49)에 의해, 서서히 상기 기밀성이 약해져 감과 아울러, 기밀성이 있는 내압을 상기 링 형상 오목홈으로서 요설되는 오목홈 공간부(48)에서 일시적으로 흡수한다. 그리고, 그 후에는 기밀성이 약해진 내압, 즉 외압과 동등한 압력이 되므로, 캡(3)을 풀어도, 드로잉 부재(10) 혹은 상기 공간로(43)으로부터 액상 도포재(6)가 잡아 당겨져서, 액체 누설 혹은 액 처짐 등의 펌핑 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테일 플러그(17)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일 플러그(17)는 그 선단에 멈춤 마개(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선단에 멈춤 마개(13)가 부착되어서 봉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저장부(12)에 저장되는 액상 도포재(6)의 용량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테일 플러그(17)의 길이를 변경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4는 볼이고, 저장부(12)에 액상 도포재(6)를 저장하고, 해당 볼(14)을 상기 저장부(12)에 넣음으로써, 액상 도포재(6)의 도포 부재(5)로의 함침을 촉진할 수 있고, 마지막까지 낭비 없이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볼(14)을 갖지 않는 타입의 도포구(1)이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멈춤 마개(13)의 직경 방향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산 형상으로 융기되는 융기부(50) 및 이 융기부(50)의 양측에 형성된 함몰부(51)로 이루어지는 압력 흡수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 흡수부(52)의 수에 대하여 아무런 한정은 없지만, 적어도 원형상 외주부에 간격을 두어서 3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압력 흡수부(52)의 형성도 펌핑 작용 방지의 일환이며, 상기 저장부(12)에 액상 도포재(6)를 저장한 후, 멈춤 마개(13)가 달린 테일 플러그(17)를 바디(2)의 후단측 개구로부터 삽입하여 밀폐하는데, 너무 기밀성이 강력하면, 액상 도포재(6)가 드로잉 부재(10)의 붓끝에서 액체 누설(펌핑)되게 된다. 따라서, 이 압력 흡수부(52)를 형성해 두면, 저장부(12)에 강고한 압력을 가하지 않고 밀폐할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 흡수부(52)는 멈춤 마개(13)의 외주에 있어서 간격을 두어 4부위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바디(2) 안의 선단측에는 노즈 피스(9)를 통하여 드로잉 부재(10)가 부착되고, 바디(2)의 대략 중간에는 소망하는 길이의 압축 부재(20)와 소망하는 길이로 잘라진 1개 혹은 복수개의 흡수체(7)와 플러그(11)가 부착된 코어 형상의 도포 부재(5)가 부착되어 있다. 그 후, 바디(2)의 후단 개구(15)로부터 액상 도포재(6)를, 소망하는 영역 공간으로 한 저장부(12) 안에 충전하고, 멈춤 마개(13)가 달린 테일 플러그(17)에 의해 밀폐하고, 액상 도포재(6)를 저장부(12) 안에 저장한다.
멈춤 마개(13)에는 압력 흡수부(52)가 형성된 후방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링 형상으로 돌출하는 실링 돌기(36)가 형성되고, 바디(2)의 내주면과 멈춤 마개(13)의 외면 사이를 실링하고 있으며, 이 사이로부터 액상 도포재(6)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압축 부재(20)의 외측면과 바디(2)의 내측면 사이에 대해서도 실링하고 있다. 이 실링 부위를 부호 37로 나타낸다. 이 실링 부위(37)에 의해, 이 압축 부재(20)과 바디(2) 사이에서 액상 도포재(6)가 상술하는 공간로(43) 측으로 액체 누설되는 것이 저지되는 것이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상 도포재(6)를 저장하는 저장부(12) 안에는 액상 도포재(6)를 교반하는 볼(14)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플러그(11)의 상기 저장부(12) 측의 단면으로부터는, 돌출하는 상기 돌기부(18)로의 상기 볼(14)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 방지용의 돌기물(38)이, 상기 돌기부(18)를 둘러싸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볼(14)이 돌기부(18)의 선단에 닿고, 따라서 돌기부(18)의 형상이 변화되어 도포 부재(5)의 액상 도포재(6)를 함침하는 함침 효율이 변화되고, 그 결과, 액체 누설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액상 도포재(6)는 그 종류에 따라 점도가 가지각색이고, 이 때문에 점도가 작은 액상 도포재(6)의 경우에는 상기 도포 부재(5)의 선단에 부착된 드로잉 부재(10) 측으로부터 액체 누설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 액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1개의 흡수체(7)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흡수체(7)의 길이를 변경하거나, 상기 저장부(12)의 크기를 바꾸어서 도포구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더욱 개량을 가하여 액체 누설의 완전한 해소를 달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발명에서는, 가령 동일한 길이로 동일한 크기의 도포구(1)이더라도, 각각의 종류의 벌크 점도에 맞춰서 액체 누설이 생기지 않는 도포구(1)가, 혹은 벌크 점도가 큰 것이더라도 액체의 부족이 생기지 않는 도포구(1)를 상기 1종류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도포구(1)로 구성할 수 있는 발명으로 한 것이다.
특히, 비행기에 탑승하여 높은 고도의 상공에 있을 경우에 도포구(1)를 사용할 때, 기압의 변화에 의해 액체 누설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 있더라도 액체 누설이 되지 않는 도포구(1)를 개발하였다.
즉 도포구(1)의 바디(2) 안에 복수개의 흡수체(7)를 축방향으로 직렬로 부착하고, 이 부착한 복수개의 흡수체(7)에 인접하여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루고 소정의 길이로 설정한 압축 부재(20)를 부착하고, 이에 따라 복수개의 흡수체(7)에 대하여 각각 압축의 정도를 바꾸어 압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축의 정도가 상이하면, 복수개의 흡수체(7)의 길이가 각각 상이한 것이 되고, 그 결과, 액상 도포재(6)의 빨아 올림 효율이 각각의 흡수체(7)에서 상이한 것이 된다.
흡수체(7)는 축방향으로 압축될 때, 그 압축의 정도가 상이하면 연속 기포를 갖는 폼 재료이기 때문에 내부의 기포 밀도가 변화된다. 그러면 액상 도포재(6)를 빨아 올리는 모세관 현상도 상이하게 되고, 부착된 복수개의 흡수체(7)의 축방향에 있어서도 액상 도포재(6)의 빨아 올림 효율이 변화되게 된다.
도 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압축 부재(20)는 통상적으로 드로잉 부재(10) 측에 소정의 길이의 것이 1개 부착된다. 그리고, 이 압축 부재(20)에 인접하는 흡수체(7)가 가장 압축의 정도가 높고, 그 결과, 액상 도포재(6)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빨아 올림 효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압축 부재(20)에 접하지 않는 흡수체(7)에 있어서는, 상기 인접하는 흡수체(7)와 상이하고, 그다지 압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부위에서의 액상 도포재(6)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빨아 올림의 효율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이다.
이와 같이, 도포 부재(5)의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흡수체(7)를 직렬로 나란히 부착하고, 이것을 압축 부재(20)에 의해, 각각의 흡수체(7)의 압축의 정도를 바꾸어 압축하고, 따라서, 각각의 흡수체(7)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액상 도포재(6)의 빨아 올림 효율을 변화시키면, 점도가 상이한 액상 도포재(6)에 대응할 수 있어, 액체 누설을 생기게 하지 않는 도포구(1)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흡수체(7)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연속 기포를 갖는 폼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흡수체(7)는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도포 부재(5)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8)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흡수체(7)의 일방측에 압축 부재(20)를 개재시키면, 개재시킨 압축 부재(20)의 길이만큼, 흡수체(7)는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흡수체(7)가 합계 20 mm의 길이일 때, 길이 4 mm의 압축 부재(20)를 개재시키면, 흡수체(7)는 합계 16 mm의 길이로 압축되어, 줄어들게 된다.
복수개의 흡수체(7)가 각각의 압축의 정도로 압축되면, 내부에 연속 기포를 갖는 폼 재료로 형성된 흡수체(7)는 관통 구멍(8)에 관통된 도포 부재(5)와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도포 부재(5) 측에 침투한 액상 도포재(6)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아 올리게 된다. 따라서, 도포 부재(5)나 드로잉 부재(10) 측에는 여분의 액상 도포재(6)가 함침되지 않고, 그 결과, 액상 도포재(6)의 액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1: 도포구 2: 바디
3: 캡 4: 이너 캡
5: 도포 부재 6: 액상 도포재
7: 흡수체 8: 관통 구멍
9: 노즈 피스 10: 드로잉 부재
11: 플러그 12: 저장부
13: 멈춤 마개 14: 볼
15: 드로잉 부재 지지부 17: 테일 플러그
18: 돌기부 20: 압축 부재
29: 보호 시트재 30: 제1 관통 구멍
31: 제2 관통 구멍 32: 단차부
33: 다각 형상의 간극 34: 링 형상의 간극
35: 연통홈 36: 실링 돌기
37: 실링 부위 38: 돌기물
40: 단차벽 41: 공기류 통로
42: 링 형상의 간극 43: 공간로
44: 플러그 기부 46: 오목홈부
47: 스프링 48: 오목홈 공간부
49: 경사면 형상의 내주면 50: 융기부
51: 함몰부 52: 압력 흡수부

Claims (4)

  1. 원통 형상을 이루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원주 형상의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바디 내에서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측에 대하여, 뚫려진 관통 구멍을 관통시켜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도포 부재 후단측의 선단부를, 저장부측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구멍의 형상은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 간의 간극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원주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 부재 후단측에는, 도포 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원주 형상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의 관통 구멍은, 도포 부재가 관통하는 직경을 갖는 제1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주면 형상은 다각 형상으로 되어 액상 도포재의 점성이나 재질에 대응하여 제1 관통 구멍의 다각 형상의 내주면과 관통하는 도포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크기나 개수를 조정하고, 흡수체 측에 침윤되는 액상 도포재의 침윤량을 조정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간극은, 저장부와 드로잉 부재의 선단측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류 통로의 일구간으로서 기능시키고, 또한, 상기 제1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제2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제2 관통 구멍은 제1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으로서 돌기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관통하는 돌기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류 통로의 일구간이 되는 간극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관통 구멍과 제2 관통 구멍의 경계의 단차부에는,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제1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과,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제2 관통 구멍이 관통하는 상기 돌기부의 외주면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연통시키는 연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 부재를 재료하여, 금형에 수납하고, 가열 성형시에, 상기 플러그 기부의 내측 부분의 냉각 속도와 플러그 기부의 외측 부분의 냉각 속도를 거의 같게 하고, 열가소성 합성 수지 부재의 수축률을 상기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에서 거의 동일하게 하여, 상기 제1 관통 구멍에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플러그 기부의 양단부 측에서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그대로 플러그 기부의 두께의 외주면으로 하고, 중앙부 측의 외주면은 링 형상의 오목 형상 리세스를 이루어 내측을 향하여 요설되는 오목홈부로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원통 형상을 이루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원주 형상의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바디 내에서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측에 대하여, 뚫려진 관통 구멍을 관통시켜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도포 부재 후단측의 선단부를, 저장부측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구멍의 형상은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 간의 간극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원주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와; 바디의 선단측 개구를 캡하여 캡 내로 기밀성을 발생시켜, 드로잉 부재의 펜 끝이 마르지 않게, 원통 형상을 이루는 이너 캡이 달린 캡을 구비하고,
    상기 이너 캡이 달린 캡에는, 상기 캡의 개구 근방의 내주면에 대해, 상기 내주면 두께를 개구측을 향하여 서서히 얇게 하고, 내주면의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 형상의 내주면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경사면 형상의 내주면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캡 축방향 내측의 부위에서, 상기 캡의 내주면에 링 형상을 이루어 요설되는 오목홈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너 캡이 달린 캡을 풀 때, 상기 경사면 형상의 내주면에 의해, 서서히 상기 기밀성이 약해져감과 아울러, 상기 오목홈 공간부에서 기밀성이 있는 캡 내의 내압을 일시 흡수하고 기밀성이 약해진 내압으로 하여 외압과 동등한 압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3. 원통 형상을 이루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원주 형상의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바디 내에서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측에 대하여, 뚫려진 관통 구멍을 관통시켜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도포 부재 후단측의 선단부를, 저장부측에 노출시켜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구멍의 형상은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도포 부재 간의 간극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원주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와; 바디의 선단측 개구를 캡하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캡과; 바디의 후단측 개구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저장부를 밀폐하는 테일 플러그;를 구비하고,
    테일 플러그는 선단에 원주 형상의 멈춤 마개가 부착되어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마개의 직경 방향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향하여 산 형상으로 융기되는 융기부 및 상기 융기부의 양측에 형성된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압력 흡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에 액상 도포재를 저장한 후, 상기 테일 플러그를 멈춤 마개측으로부터 바디의 후단측 개구에 삽입하고, 상기 압력 흡수부에 의해 저장부로의 삽입 압력을 감소시켜서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흡수부는 적어도 멈춤 마개의 원형상 외주부에 간격을 두어 3개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KR1020217017571A 2018-11-16 2018-11-20 도포구 KR102588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15611A JP6632690B1 (ja) 2018-11-16 2018-11-16 塗布具
JPJP-P-2018-215611 2018-11-16
PCT/JP2018/042876 WO2020100312A1 (ja) 2018-11-16 2018-11-20 塗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160A KR20210076160A (ko) 2021-06-23
KR102588867B1 true KR102588867B1 (ko) 2023-10-13

Family

ID=6916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571A KR102588867B1 (ko) 2018-11-16 2018-11-20 도포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37546B2 (ko)
JP (1) JP6632690B1 (ko)
KR (1) KR102588867B1 (ko)
CN (1) CN113260277A (ko)
TW (1) TWI683754B (ko)
WO (1) WO2020100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4552A (zh) * 2021-02-05 2022-01-21 上海羽兮品牌策划有限公司 一种引液元件及具有该元件的液体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914A (ja) * 2002-11-21 2004-06-17 Kotobuki & Co Ltd 液体容器
WO2017026176A1 (ja) *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3S 塗布具
JP2017036051A (ja)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3S 塗布具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4805B1 (ko) * 1965-04-28 1970-02-18
JPS61148099A (ja) * 1984-12-21 1986-07-05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又は塗布具
JPH0645776A (ja) 1992-07-24 1994-02-18 Fujitsu Ltd 回路パッケージの放熱板ユニット
JP2570242Y2 (ja) * 1992-11-30 1998-05-06 株式会社壽 ペ ン
JPH1148678A (ja) 1997-07-31 1999-02-23 Pentel Kk 高粘度塗布液用塗布具
JP2000015985A (ja) * 1998-04-28 2000-01-18 Hori Kaihatsu Sekkei Jimusho:Kk 筆記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27666A (ja) * 2000-10-27 2002-05-08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FR2816181B1 (fr) * 2000-11-07 2003-09-05 Oreal Recipient equipe d'un tube plongeur et d'un element d'application
JP4269104B2 (ja) 2002-05-28 2009-05-27 ぺんてる株式会社 塗布具
DE20217821U1 (de) * 2002-11-18 2003-03-20 Schwan Stabilo Cosmetics Gmbh Schminkgerät
TWI239903B (en) 2002-11-21 2005-09-21 Kotobuki & Co Ltd Liquid container
WO2005123416A1 (ja) * 2004-06-22 2005-12-29 Hori, Yayoi 液体供給装置
JP4925898B2 (ja) * 2007-04-04 2012-05-09 ゼブラ株式会社 リフィールホルダ
JP4499811B2 (ja) * 2008-05-28 2010-07-07 株式会社トキワ 塗布材押出容器
JP2012030405A (ja) * 2010-07-28 2012-02-16 Pentel Corp 直液式筆記具
JP2013102910A (ja) 2011-11-14 2013-05-30 3S:Kk 液体供給装置
JP6126826B2 (ja) * 2012-11-22 2017-05-10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JP6069003B2 (ja) 2013-01-31 2017-01-25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JP6309813B2 (ja) * 2013-05-21 2018-04-11 三菱鉛筆株式会社 コレクター式塗布具
CN105452008B (zh) * 2013-08-06 2017-06-13 株式会社寿 液体涂敷工具
CN107028326B (zh) * 2016-01-19 2022-04-15 胜贸株式会社 涂布器具
KR102181363B1 (ko) * 2016-05-11 2020-11-20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도포구
JP6815857B2 (ja) * 2016-12-16 2021-01-20 三菱鉛筆株式会社 リフィル及びリフィルを備えた筆記具
JP6315637B1 (ja) * 2017-07-05 2018-04-25 ウィン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塗布具
EP3695982A4 (en) * 2017-10-11 2021-06-16 3S Corporation APPLIC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7914A (ja) * 2002-11-21 2004-06-17 Kotobuki & Co Ltd 液体容器
WO2017026176A1 (ja) *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3S 塗布具
JP2017036051A (ja)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3S 塗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2690B1 (ja) 2020-01-22
TW202019723A (zh) 2020-06-01
WO2020100312A1 (ja) 2020-05-22
US11737546B2 (en) 2023-08-29
US20220007812A1 (en) 2022-01-13
CN113260277A (zh) 2021-08-13
JP2020080996A (ja) 2020-06-04
KR20210076160A (ko) 2021-06-23
TWI683754B (zh) 202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616B1 (ko) 도포구
US11370243B2 (en) Applicator with gas-liquid exchanging section and occluding body
KR102588867B1 (ko) 도포구
KR101914349B1 (ko) 도포구
US6302610B2 (en) Direct-feed type writing implement
KR20220002175A (ko) 화장 도구
JP6315637B1 (ja) 塗布具
KR102020999B1 (ko) 경사진 팁 단부를 가진 도포 펜
JP2012101395A (ja) 塗布具
JP6281997B1 (ja) 塗布具
JP2012030405A (ja) 直液式筆記具
JP6188865B1 (ja) 塗布具
JP5998163B2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
JP6188111B1 (ja) ダブル使用の塗布具
JP6022093B1 (ja) 塗布具
JP6241972B1 (ja) 塗布具
JP2990331B2 (ja) 粘着力を有する液状物の塗布用具
JP2019136280A (ja) 塗布具
CN215583368U (zh) 一种适用于化妆笔或口红的护套结构
EP0210051A2 (en) Improved cosmetic applicator and fibrous nib
JP5875320B2 (ja) 塗布具
JPH07205583A (ja) バルブ機構を有する筆記体
JP2019038109A (ja) バルブ式液材滲出具
JP2019025891A (ja) 塗布具
JP2000289389A (ja) 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