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056B1 -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056B1
KR102585056B1 KR1020210122958A KR20210122958A KR102585056B1 KR 102585056 B1 KR102585056 B1 KR 102585056B1 KR 1020210122958 A KR1020210122958 A KR 1020210122958A KR 20210122958 A KR20210122958 A KR 20210122958A KR 102585056 B1 KR102585056 B1 KR 10258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post
rubbing
conveyor
transf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397A (ko
Inventor
한상순
Original Assignee
한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순 filed Critical 한상순
Priority to KR102021012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0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5Surface scoring
    • B31B50/252Surface scoring using press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5Surface scoring
    • B31B50/254Surface scoring using tools mounted on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3Fixed stop
    • B65G47/8838Fixed stop with a linearly movable pusher element which lifts or releases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마련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 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 상자의 하측면과 개구된 상측의 테두리면의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제1 후처리 모듈;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마련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 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 상자의 네 측벽면의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제2 후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은, 상기 포장 상자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상측에 상기 포장 상자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을 프레싱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 전체를 한 번에 프레싱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프레스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의 수직 방향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이 프레싱될 때, 상기 포장 상자의 하측면을 러빙(rubbing)하는 제1 러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Post-processing equipment for the manufacture of packaging boxes}
본 발명은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장 상자의 표면 중에서 합지로 이루어진 속지와 이의 표면을 감싸는 인쇄지로 이루어진 겉지 간의 풀칠로 인하여 들뜬 부분을 자동으로 눌러서 다듬어 줄 수 있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상자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이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자 본체 및 상기 상자 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상자 뚜껑 혹은 상자 덮개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포장 상자에 의해 포장되는 물품을 보다 돋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포장 상자의 겉면을, 물품과 관련된 문양이나 색상이 인쇄되어 있는 인쇄지로 마감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포장 상자 제조 방법의 경우, 아직까지는 전체 제조 공정 중에서 부분적인 수작업이 일부 동반되어야 하는데, 수작업을 통해서는 품질을 균일하게 관리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인쇄지로 마감하는 공정에서는 포장 상자의 겉면에 풀칠을 하고 이에 인쇄지를 붙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포장 상자의 겉면과 인쇄지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어, 인쇄지의 표면이 부풀어 오르는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아직까지 이러한 기포는 작업자가 손으로 문질러서 제거해야 하는 등 수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공정 진행 속도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수작업을 통해서는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기포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후처리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삭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5234호(2008.02.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포장 상자의 표면 중에서 합지로 이루어진 속지와 이의 표면을 감싸는 인쇄지로 이루어진 겉지 간의 풀칠로 인하여 들뜬 부분을 자동으로 눌러서 다듬어 줄 수 있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포장 상자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상측은 개구되어 있는 포장 상자를 제조하기 위한 후처리 장치로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마련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 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 상자의 하측면과 개구된 상측의 테두리면의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제1 후처리 모듈;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마련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 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 상자의 네 측벽면의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제2 후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은, 상기 포장 상자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상측에 상기 포장 상자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을 프레싱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 전체를 한 번에 프레싱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프레스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의 수직 방향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이 프레싱될 때, 상기 포장 상자의 하측면을 러빙(rubbing)하는 제1 러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후처리 모듈은,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을 통과한 포장 상자에서 이송 방향과 평행한 포장 상자의 양측 제1 및 제2 벽면을 러빙하는 제2 러빙부; 상기 제2 러빙부의 하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러빙부를 통과한 포장 상자에서 러빙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제3 및 제4 벽면을 러빙하는 제3 러빙부; 및 상기 제3 및 제4 벽면이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상기 제2 러빙부를 통과한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제3 러빙부 측으로 진입시키는 이송 방향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은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입구 측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 상자가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와 프레스 컨베이어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를 가이드 하며, 상기 제2 러빙부는,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 일측에 상기 제1 벽면과 구름 접촉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1 롤러 어레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 타측에 상기 제1 롤러 어레이와 대향되며, 상기 제2 벽면과 구름 접촉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 롤러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롤러 어레이와 제2 롤러 어레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포장 상자의 제1 및 제2 벽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양측 가이드 부재의 폭은 상기 제1 롤러 어레이와 제2 롤러 어레이 사이의 간격 변화에 연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 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미끄럼 판; 상기 제2 러빙부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러빙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포장 상자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 상기 제2 러빙부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감지 센서에 의해 포장 상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출되는 포장 상자를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노즐; 상기 미끄럼 판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미끄럼 판을 타고 미끄러지는 가운데 상기 에어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는 포상 상자와 충돌되어 상기 포장 상자의 더 이상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토퍼 가이드; 상기 스토퍼 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 가이드에 충돌되는 포장 상자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 및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감지 센서에 의해 포장 상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 가이드에 충돌된 포장 상자를 상기 제3 러빙부 측으로 푸시하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러빙부는, 상기 미끄럼 판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실린더의 푸시 방향으로 상기 포장 상자를 이송하는 제2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 일측에 상기 제3 벽면과 구름 접촉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3 롤러 어레이;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 타측에 상기 제3 롤러 어레이와 대향되며, 상기 제4 벽면과 구름 접촉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4 롤러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롤러 어레이와 제4 롤러 어레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포장 상자의 제3 및 제4 벽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은,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핸들;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마련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 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 상자의 하측면과 개구된 상측의 테두리면의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제1 후처리 모듈;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마련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 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 상자의 네 측벽면의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제2 후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은, 상기 포장 상자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상측에 상기 포장 상자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을 프레싱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 전체를 한 번에 프레싱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프레스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의 수직 방향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이 프레싱될 때, 상기 포장 상자의 하측면을 러빙(rubbing)하는 제1 러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의 표면 중에서 합지로 이루어진 속지와 이의 표면을 감싸는 인쇄지로 이루어진 겉지 간의 풀칠로 인하여 들뜬 부분을 자동으로 눌러서 다듬어 줄 수 있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매끈하고 깔끔한 표면을 갖는 포장 상자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속지와 겉지 간의 풀칠 과정에서 발생된 기포를 자동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후처리 공정을 통해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포장 상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포장 상자의 기포 제거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포장 상자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에 의해 후처리되는 포장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에서, 제1 지지 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제1 후처리 모듈 및 제2 후처리 모듈의 제2 러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의 제1 후처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의 제2 후처리 모듈의 제2 러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의 제2 후처리 모듈의 제3 러빙부 및 이송 방향 전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에 의해 후처리되는 포장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에서, 제1 지지 프레임 상에 구비되는 제1 후처리 모듈 및 제2 후처리 모듈의 제2 러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의 제1 후처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의 제2 후처리 모듈의 제2 러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의 제2 후처리 모듈의 제3 러빙부 및 이송 방향 전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10)는 물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포장 상자(B)를 제조하기 위한 후처리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10)에 의해 후처리되는 상기 포장 상자(B)는 종이 재질로 만들어진 종이 상자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10)에 의해 후처리되는 상기 포장 상자(B)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 공간이 내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개구된 상부가 뚜껑에 의해 폐쇄되는 육면체 형상의 하부 케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10)에 의해 후처리되는 상기 포장 상자(B)는 개구된 하부가 하부 케이스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는 육면체 형상의 뚜껑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포장 상자(B)의 상측면이 개구된 것으로 가정하면, 포장 상자(B)는 하측면(B1), 상측 테두리면(B2) 및 네 벽면인 제1 벽면(B3), 제2 벽면(B4), 제3 벽면(B5) 및 제4 벽면(B6)으로 이루어진 육면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 상자(B)는 골판지와 같은 합지로 이루어진 속지에 이의 표면을 감싸며 인쇄지로 이루어진 겉지를 풀칠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이 풀칠을 통하여, 속지와 겉지를 접착시키게 되면, 속지와 겉지 사이의 기포로 인하여, 겉지가 부분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10)는 이와 같이, 겉지가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부풀어오른 포장 상자(B)에 대한 후처리, 즉, 기포로 인하여 부풀어오른 부분을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10)는 풀칠 공정에서 포장 상자(B)에 발생된 기포를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공정 진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되는 포장 상자(B)의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10)는 지지 프레임(100), 제1 후처리 모듈(200) 및 제2 후처리 모듈(30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제1 후처리 모듈(200) 및 제2 후처리 모듈(300)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 제1 지지 프레임(100a) 및 제2 지지 프레임(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00a)과 제2 지지 프레임(110b)은 포장 상자(B)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평면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는 일 방향으로 이송되다가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지지 프레임(100a)은 제1 후처리 모듈(200), 및 제2 후처리 모듈(300)의 제2 러빙부(3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 프레임(100b)은 제2 후처리 모듈(300)의 제3 러빙부(320) 및 이송 방향 전환부(33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1 지지 프레임(100a) 및 제2 지지 프레임(100b)은 각각, 프레임 본체(110), 본체 지지대(120), 바퀴(130) 및 높이 조절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본체(110)는 판상으로 구비되며, 제1 후처리 모듈(200) 또는 제2 후처리 모듈(300)의 안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지지대(120)는 프레임 본체(110)의 하측에 하향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프레임 본체(110)를 설정 높이로 이격시킬 수 있다.
바퀴(130)는 본체 지지대(120)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바퀴(130)에 의하여, 제1 지지 프레임(100a) 및 제2 지지 프레임(100b)은 원하는 장소에 이동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바퀴(130)에는 이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퀴(130)는 높이 조절 나사(131)를 통하여, 본체 지지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퀴(130)와 인접한 본체 지지대(120)의 일측에는 높이 조절 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부재(140)는 바퀴(130)를 포함한 본체 지지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높이 조절 부재(140)는 바퀴(130)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일부 바퀴(130)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높이 조절 부재(140) 및 바퀴(130)를 조절하여, 본체 지지대(1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 본체(110)가 수평을 이루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프레임 본체(110)에 기울기를 줄 수도 있다.
높이 조절 부재(140) 및 바퀴(130)를 조절하여, 프레임 본체(110)를 기울이게 되면, 이의 상에 안착되는 제1 후처리 모듈(200)이나 제2 후처리 모듈(300) 또한 공정에 적합한 형태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후처리 모듈(200)은 지지 프레임(100),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프레임(100)의 제1 지지 프레임(100a)의 프레임 본체(1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후처리 모듈(200)는 포장 상자(B)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후처리 모듈(200)은 포장 상자(B)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포장 상자(B)의 하측면(B1)과 상측 테두리면(B2)의 표면 굴곡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제1 후처리 모듈(200)은 포장 상자(B)의 하측면(B1)과 상측 테두리면(B2)에 발생된 들뜬 부분을 눌러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포장 상자(B)의 하측면(B1)과 상측 테두리면(B2)을 평탄하게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후처리 모듈(200)은 제1 이송 컨베이어(210), 프레스 컨베이어(220) 및 제1 러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 컨베이어(210)는 투입되는 포장 상자(B)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프레스 컨베이어(220)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프레스 컨베이어(220)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상측에 포장 상자(B)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포장 상자(B)가 통과된다는 것은 포장 상자(B)의 상측 테두리면(B2)이 프레스 컨베이어(220)의 하측에 접촉되면서 통과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스 컨베이어(22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스 컨베이어(22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에 따라, 제1 이송 켄베이어(210)와 프레스 컨베이어(220) 간의 이격 거리는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의 높이에 대한 제약 없이, 다양한 높이의 포장 상자(B)에 대한 후처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스 컨베이어(220)는 포장 상자(B)의 상측 테두리면(B2)을 프레싱함으로써, 상측 테두리면(B2)의 들뜬 부분을 평탄하게 만들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220)는 포장 상자(B)의 상측 테두리면(B2) 전체를 한 번에 프레싱할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의 상측 테두리면(B2)에 프레싱으로 인해 자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러빙부(230)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러빙부(230)는 프레스 컨베이어(220)의 수직 방향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1 러빙부(230)는 프레스 컨베이어(220)에 의하여 포장 상자(B)의 상측 테두리면(B2)이 프레싱될 때, 포장 상자(B)의 하측면(B1)을 러빙(rubbing)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의 하측면(B1)의 들뜬 부분은 평탄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러빙부(230)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는 고무 롤러 또는 브러쉬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포장 상자(B)는 제1 후처리 모듈(2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측 테두리면(B2)과 하측면(B1)이 프레스 컨베이어(220) 및 제1 러빙부(230)에 의해 평탄해 질 수 있다.
한편, 제1 후처리 모듈(200)은 가이드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40)는, 포장 상자(B)가 제1 이송 컨베이어(210)와 프레스 컨베이어(220)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포장 상자(B)의 이송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240)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입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24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입구 측의 폭 방향 양측에는 이러한 가이드 부재(240)가 서로 대향되는 형태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240)는 간격 조절용 나사(241)에 의하여 그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후처리 모듈(200)은 하우징(221), 제1 모터(222), 핸들(224), 제2 모터(211) 및 제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21)은 프레스 컨베이어(22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21)은 제1 지지 프레임(100a)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모터(222)는 프레스 컨베이어(2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모터(222)는 하우징(221)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21)에는 제1 모터(222)의 속도 조절을 위한 모터 속도 조절기(223)가 제1 모터(222)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핸들(224)은 프레스 컨베이어(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핸들(224)에 의하여, 제1 이송 컨베이어(210)에 대한 프레스 컨베이어(220)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핸들(224)은 하우징(221)에 설치되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제2 모터(211)는 제1 지지 프레임(100a)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모터(211)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1 지지 프레임(100a)에 장착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1 모터(222) 및 제2 모터(2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후처리 모듈(200)은 제1 이송 컨베이어(210)와 프레스 컨베이어(220) 사이의 이격 공간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1 안전 커버(225) 및 제1 지지 프레임(100a)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2 안전 커버(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후처리 모듈(300)은 지지 프레임(1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후처리 모듈(300)의 일부는 제1 지지 프레임(100a) 상에 마련되고, 나머지는 제2 지지 프레임(100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후처리 모듈(300)은 포장 상자(B)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후처리 모듈(300)은 포장 상자(B)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포장 상자(B)의 네 측벽면인 제1 벽면(B3), 제2 벽면(B4), 제3 벽면(B5) 및 제4 벽면(B6)의 표면 굴곡, 즉, 들뜬 부분을 제거하여 평탄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후처리 모듈(300)은 제2 러빙부(310), 제3 러빙부(320) 및 이송 방향 전환부(3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러빙부(310)는 제1 후처리 모듈(200)의 하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러빙부(310)는 제1 후처리 모듈(200)의 후방에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러빙부(310)는 제1 지지 프레임(100a)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러빙부(310)는 제1 후처리 모듈(200)을 통과한 포장 상자(B), 즉, 제1 후처리 모듈(200)에 의하여 하측면(B1)과 상측 테두리면(B2)의 기포가 제거된 포장 상자(B)에서, 이의 이송 방향과 평행한 포장 상자의 양측 제1 벽면(B3) 및 제2 벽면(B4)을 러빙하여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제2 러빙부(310)는 제1 롤러 어레이(311) 및 제2 롤러 어레이(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 어레이(311)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롤러 어레이(311)는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차례로 구름 접촉되는 복수 개의 롤러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롤러 어레이(311)와 구름 접촉되는 상기 제1 벽면(B3)의 표면은 평탄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는 고무 롤러 또는 브러쉬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롤러 어레이(313)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롤러 어레이(313)는 제1 롤러 어레이(311)와,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폭 방향으로 대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롤러 어레이(313)는 포장 상자(B)의 제2 벽면(B4)과 차례로 구름 접촉되는 복수 개의 롤러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롤러 어레이(313)와 구름 접촉되는 상기 제2 벽면(B4)의 표면은 평탄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롤러는 고무 롤러 또는 브러쉬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롤러 어레이(311)와 제2 롤러 어레이(313) 사이의 간격은 포장 상자(B)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제1 롤러 어레이(311)와 제2 롤러 어레이(313) 사이의 간격은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제1 롤러 어레이(311)와 제2 롤러 어레이(313) 사이의 간격은 간격 조절용 나사(도 7의 316)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입구 측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240)의 폭은 제1 롤러 어레이(311)와 제2 롤러 어레이(313) 사이의 간격 변화에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처리될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 사이의 거리가 20㎝인 경우, 제1 롤러 어레이(311)와 제2 롤러 어레이(313) 사이의 간격은 거리 20㎝인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 각각과 구름 접촉 가능한 거리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양측 가이드 부재(240)의 폭 또한 제1 롤러 어레이(311)와 제2 롤러 어레이(313) 사이의 간격 변화에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 사이의 거리가 20㎝인 포장 상자(B)는 가이드 부재(240)에 의해 안내되어 제1 후처리 모듈(200) 측으로 진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러빙부(310)는 제1 롤러 어레이(31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모터(312) 및 제2 롤러 어레이(31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4 모터(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모터(312)와 제4 모터(314)의 일측에는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조절기(도 7의 312a)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모터(312), 제4 모터(314) 및 속도 조절기(312a)는 제1 장착 프레임(315)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제1 장착 프레임(315)은 제1 지지 프레임(100a) 상에 설치되어, 제1 롤러 어레이(311), 제2 롤러 어레이(313), 제3 모터(312), 제4 모터(314), 속도 조절기(312a) 등과 같은 제2 러빙부(310)를 이루는 부품들의 장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송 방향 전환부(330)는 제2 지지 프레임(100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송 방향 전환부(330)는 제2 러빙부(310)를 통과한 포장 상자(B)를 제3 러빙부(320)에 진입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이송 방향 전환부(330)는 제2 러빙부(310)에 의하여 러빙되지 않은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과 제4 벽면(B6)이 포장 상자(B)의 이송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제2 러빙부(310)를 통과한 포장 상자(B)의 이송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포장 상자(B)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송 방향 전환부(330)는 미끄럼 판(331), 제1 감지 센서(332), 에어 분사 노즐(333), 스토퍼 가이드(334), 제2 감지 센서(335) 및 에어 실린더(336)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판(331)은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길이 방향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끄럼 판(331)은 제2 러빙부(310)를 통과하고 제1 이송 컨베이어(210)로부터 배출되는 포장 상자(B)를 스토퍼 가이드(334) 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끄럼 판(331)은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스토퍼 가이드(334)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러빙부(310)를 통과하고 제1 이송 컨베이어(210)로부터 배출되는 포장 상자(B)는 이러한 미끄럼 판(331)을 타고 스토퍼 가이드(334)를 향하여 미끄러질 수 있다.
제1 감지 센서(332)는 제2 러빙부(310)를 통과하여 제1 이송 컨베이어(210)로부터 배출되는 포장 상자(B)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감지 센서(332)는 제2 러빙부(310)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센서(332)는 제2 러빙부(310)의 제1 장착 프레임(315)의 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분사 노즐(333)은 제2 러빙부(310)를 통과하여 제1 이송 컨베이어(210)로부터 배출되는 포장 상자(B)를 향하여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에어 분사 노즐(333)은 제1 감지 센서(332)에 의해 포장 상자(B)가 감지되는 경우, 포장 상자(B)를 향하여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 분사 노즐(333)은 예를 들어, 제1 장착 프레임(315)의 일측에 제2 러빙부(310)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에어 분사 노즐(333)은 스토퍼 가이드(334)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러빙부(310)를 통과하여 제1 이송 컨베이어(210)로부터 배출되는 포장 상자(B)는 미끄럼 판(331)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제대로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분사 노즐(333)은 포장 상자(B)의 뒤쪽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즉, 포장 상자(B)의 뒤쪽을, 에어를 통하여 밀어줌으로써, 포장 상자(B)의 미끄러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334)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334)는 미끄럼 판(331)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가이드(334)의 위치는 조절 나사(도 17의 334a)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토퍼 가이드(334)는 그 길이 방향이, 제1 이송 컨베이어(210)로부터 배출되는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가이드(334)는 미끄럼 판(331)을 타고 미끄러지는 가운데 에어 분사 노즐(333)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는 포장 상자(B)와 충돌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스토퍼 가이드(334)는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과 충돌될 수 있다.
스토퍼 가이드(334)는 이와 같이, 포장 상자(B)의 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포장 상자(B)의 더 이상의 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3 러빙부(320)의 제3 롤러 어레이(323)와 제4 롤러 어레이(325) 사이로 포장 상자(B)의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335)는 스토퍼 가이드(334)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335)는 미끄럼 판(331)을 타고 미끄러지다가 스토퍼 가이드(334)에 충돌되는 포장 상자(B)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336)는 스토퍼 가이드(334)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에어 실린더(336)는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을 러빙하는 제2 러빙부(310)와는 직교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과 제4 벽면(B6)을 러빙하는 제3 러빙부(320)와는 마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에어 실린더(336)는 제2 감지 센서(335)에 의해 포장 상자(B)가 감지되는 경우, 스토퍼 가이드(334)에 충돌된 포장 상자(B)를 제3 러빙부(320) 측으로 푸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실린더(336)의 선단은 스토퍼 가이드(334)에 충돌될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마주하게 된다. 이때, 제2 감지 센서(335)에 의해 스토퍼 가이드(334)에 충돌되는 포장 상자(B)가 감지되는 경우, 에어 실린더(336)는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을 푸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는 제2 벽면(B4)을 전방면으로 하여 제3 러빙부(32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실린더(336)는 그 선단이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에 직접 접촉되면서 포장 상자(B)를 밀 수 있으며, 이 경우, 에어 실린더(336)의 선단으로부터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을 향하여 에어가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는 보다 원활하게 제3 러빙부(32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감지 센서(332), 에어 분사 노즐(333), 제2 감지 센서(335) 및 에어 실린더(336)는 제어부(34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제3 러빙부(320)는 제2 러빙부(310)의 하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3 러빙부(320)는 이송 방향 전환부(330)의 하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러빙부(320)는 제2 지지 프레임(100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러빙부(320)는 제1 후처리 모듈(200)에 의하여 하측면(B1)과 상측 테두리면(B2)의 표면 굴곡이 제거되고, 제2 러빙부(310)에 의하여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의 표면 굴곡이 제거된 포장 상자(B)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 제3 벽면(B5) 및 제4 벽면(B6)을 러빙하여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제3 러빙부(320)는 제2 이송 컨베이어(321), 제3 롤러 어레이(323)및 제4 롤러 어레이(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 컨베이어(321)는 미끄럼 판(33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 컨베이어(321)는 에어 실린더(336)의 푸시 방향으로 포장 상자(B)를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송 컨베이어(321)의 이송 방향은 제1 이송 컨베이어(210)의 이송 방향과 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러빙부(320)는 제2 이송 컨베이어(32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5 모터(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모터(322)는 제2 지지 프레임(100b)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롤러 어레이(323)는 제2 이송 컨베이어(321)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롤러 어레이(323)는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과 차례로 구름 접촉되는 복수 개의 롤러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롤러 어레이(323)와 구름 접촉되는 제3 벽면(B5)의 표면은 평탄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는 고무 롤러 또는 브러쉬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제4 롤러 어레이(325)는 제2 이송 컨베이어(321)의 폭 방향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롤러 어레이(325)는 제3 롤러 어레이(323)와, 제2 이송 컨베이어(321)의 폭 방향으로 대향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롤러 어레이(325)는 포장 상자(B)의 제4 벽면(B6)과 차례로 구름 접촉되는 복수 개의 롤러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롤러 어레이(325)와 구름 접촉되는 상기 제4 벽면(B6)의 표면은 평탄화될 수 잇다. 마찬가지로, 상기 롤러는 고무 롤러 또는 브러쉬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이송 컨베이어(32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3 롤러 어레이(323)와 제4 롤러 어레이(325) 사이의 간격은 포장 상자(B)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제3 롤러 어레이(323)와 제4 롤러 어레이(325) 사이의 간격은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과 제4 벽면(B6)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제3 롤러 어레이(323)와 제4 롤러 어레이(325) 사이의 간격은 간격 조절용 나사(329)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러빙부(320)는 제3 롤러 어레이(32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6 모터(324) 및 제4 롤러 어레이(32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7 모터(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6 모터(324) 및 제7 모터(326)는 제2 장착 프레임(327)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제2 장착 프레임(327)은 제2 지지 프레임(100b) 상에 설치되어 제3 롤러 어레이(323), 제4 롤러 어레이(325), 제6 모터(324) 및 제7 모터(326) 등과 같은 제3 러빙부(320)를 이루는 부품들의 장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러빙부(320)는 제2 지지 프레임(100b)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3 안전 커버(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측면(B1), 상측 테두리면(B2) 및 네 벽면인 제1 벽면(B3), 제2 벽면(B4), 제3 벽면(B5) 및 제4 벽면(B6)으로 이루어지며 속지와 겉지가 풀칠되어 있는 포장 상자(B)가 투입되는 경우, 작업자는 핸들(224) 조작을 통하여 프레스 컨베이어(220)를 승강시키면서, 제1 이송 컨베이어(210)와 프레스 컨베이어(220)의 간격을 포장 상자(B)의 하측면(B1)과 상측 테두리면(B2)의 거리, 즉, 상기 네 벽면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이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제1 롤러 어레이(311)와 제2 롤러 어레이(31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에 의해 제1 롤러 어레이(311)와 제2 롤러 어레이(313)의 간격이 조절되는 경우, 가이드 부재(240) 또한 이에 연동되어 그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과 제4 벽면(B6)이 각각, 구름 접촉되도록, 제3 롤러 어레이(323)와 제4 롤러 어레이(325)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팅이 완료된 후, 포장 상자(B)가 제1 이송 컨베이어(210)를 통하여 제1 후처리 모듈(200)에 진입되면, 포장 상자(B)의 상측 테두리면(B2)은 프레스 컨베이어(220)에 의해 프레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의 상측 테두리면(B2)의 들뜬 부분은 평탄해 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즉, 프레스 컨베이어(220)에 의하여 포장 상자(B)의 상측 테두리면(B2)이 프레싱될 때, 제1 후처리 모듈(200)에 진입된 포장 상자(B)의 하측면(B1)은 제1 러빙부(230)에 의해 러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의 하측면(B1)의 들뜬 부분 또한 평탄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후처리 모듈(200)에 의해 하측면(B1)과 상측 테두리면(B2)의 표면 굴곡이 제거된 포장 상자(B)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에 의해 제2 후처리 모듈(300)의 제2 러빙부(310)로 진입될 수 있다.
제2 러빙부(310)로 진입된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은 각각, 제1 이송 컨베이어(2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1 롤러 어레이(311) 및 제2 롤러 어레이(313)와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의 표면 굴곡은 제거될 수 있다. 즉,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의 풀칠 시 발생된 기포로 인한 들뜸 현상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러빙부(310)에 의해 제1 벽면(B3)과 제2 벽면(B4)의 표면 굴곡이 제거된 포장 상자(B)는 이송 방향 전환부(330)로 진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러빙부(310)를 통과한 포장 상자(B)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로부터 배출되어 미끄럼 판(331)을 타고 미끄러질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 센서(332)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0)로부터 배출되는 포장 상자(B)를 감지할 수 있으며, 에어 분사 노즐(333)은 제1 감지 센서(332)로부터 포장 상자(B)가 감지되는 경우, 포장 상자(B)의 뒤쪽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는 보다 원활하게 미끄럼 판(331)을 타고 미끄러질 수 있다.
미끄럼 판(331)을 타고 미끄러지는 포장 상자(B)는 스토퍼 가이드(334)에 충돌되어 더 이상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이 스토퍼 가이드(334)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감지 센서(335)는 스토퍼 가이드(334)에 포장 상자(B)가 충돌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에어 실린더(336)는 제2 감지 센서(335)에 의해 포장 상자(B)가 감지되는 경우, 포장 상자(B)의 제1 벽면(B3)을 푸시할 수 있다.
이때, 포장 상자(B)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에어 실린더(336)의 선단으로부터 에어가 포장 상자(B)의 벽면(B3)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 실린더(336)에 의해,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포장 상자(B)의 제2 벽면(B4)이 전방면이 되고, 제1 벽면(B3)이 후방면이 되며, 제3 벽면(B5)과 제4 벽면(B6)이 양측 벽면이 된다.
포장 상자(B)는 이러한 이송 방향 전환부(330)를 통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제3 러빙부(320)로 진입될 수 있다. 이때, 에어 실린더(336)에 의해 푸시되는 포장 상자(B)는 스토퍼 가이드(334)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3 러빙부(320)로 진입될 수 있다.
제3 러빙부(320)로 진입된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과 제4 벽면(B6)은 각각, 제2 이송 컨베이어(321)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제3 롤러 어레이(323) 및 제4 롤러 어레이(325)와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상자(B)의 제3 벽면(B5)과 제4 벽면(B6)의 표면 굴곡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후처리 모듈(200) 및 제2 후처리 모듈(300)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포장 상자(B)의 모든 면은 프레스 컨베이어(220), 제1 러빙부(230), 제2 러빙부(310) 및 제3 러빙부(320)에 의해 표면 굴곡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제1 후처리 모듈(200) 및 제2 후처리 모듈(300)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포장 상자(B)의 모든 면은 프레스 컨베이어(220), 제1 러빙부(230), 제2 러빙부(310) 및 제3 러빙부(320)에 의해, 풀칠 시 발생된 기포로 인한 들뜸 현상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10)는 이와 같이, 포장 상자(B)의 표면 굴곡을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포장 상자(B)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포장 상자(B)의 기포 제거 공정이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포장 상자(B)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100; 지지 프레임
100a; 제1 지지 프레임 100b; 제2 지지 프레임
110; 프레임 본체 120; 본체 지지대
130; 바퀴 140; 높이 조절 부재
200; 제1 후처리 모듈 210; 제1 이송 컨베이어
211; 제2 모터 212; 제2 안전 커버
220; 프레스 컨베이어 230; 제1 러빙부
240; 가이드 부재 300; 제2 후처리 모듈
310; 제2 러빙부 311; 제1 롤러 어레이
313; 제2 롤러 어레이 320; 제3 러빙부
321; 제2 이송 컨베이어 323; 제3 롤러 어레이
325; 제4 롤러 어레이 330; 이송 방향 전환부
331; 미끄럼 판 332; 제1 감지 센서
333; 에어 분사 노즐 334; 스토퍼 가이드
335; 제2 감지 센서 336; 에어 실린더
340; 제어부 B; 포장 상자

Claims (6)

  1.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상측은 개구되어 있는 포장 상자를 제조하기 위한 후처리 장치로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마련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 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 상자의 하측면과 개구된 상측의 테두리면의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제1 후처리 모듈; 및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마련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 상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 상자의 네 측벽면의 표면 굴곡을 제거하는 제2 후처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은,
    상기 포장 상자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상측에 상기 포장 상자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이격 배치되되,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을 프레싱하되,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 전체를 한 번에 프레싱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프레스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의 수직 방향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포장 상자의 상측 테두리면이 프레싱될 때, 상기 포장 상자의 하측면을 러빙(rubbing)하는, 제1 러빙부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처리 모듈은,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을 통과한 포장 상자에서 이송 방향과 평행한 포장 상자의 양측 제1 및 제2 벽면을 러빙하는 제2 러빙부;
    상기 제2 러빙부의 하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러빙부를 통과한 포장 상자에서 러빙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제3 및 제4 벽면을 러빙하는 제3 러빙부; 및
    상기 제3 및 제4 벽면이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상기 제2 러빙부를 통과한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상기 포장 상자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제3 러빙부 측으로 진입시키는 이송 방향 전환부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은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입구 측의 폭 방향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 상자가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와 프레스 컨베이어 사이로 진입하는 경로를 가이드 하며,
    상기 제2 러빙부는,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 일측에 상기 제1 벽면과 구름 접촉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1 롤러 어레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 타측에 상기 제1 롤러 어레이와 대향되며, 상기 제2 벽면과 구름 접촉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2 롤러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롤러 어레이와 제2 롤러 어레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포장 상자의 제1 및 제2 벽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양측 가이드 부재의 폭은 상기 제1 롤러 어레이와 제2 롤러 어레이 사이의 간격 변화에 연동되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방향 전환부는,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 단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미끄럼 판;
    상기 제2 러빙부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러빙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배출되는 포장 상자를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
    상기 제2 러빙부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감지 센서에 의해 포장 상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출되는 포장 상자를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노즐;
    상기 미끄럼 판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미끄럼 판을 타고 미끄러지는 가운데 상기 에어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는 포상 상자와 충돌되어 상기 포장 상자의 더 이상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토퍼 가이드;
    상기 스토퍼 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 가이드에 충돌되는 포장 상자를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 및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 감지 센서에 의해 포장 상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 가이드에 충돌된 포장 상자를 상기 제3 러빙부 측으로 푸시하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러빙부는,
    상기 미끄럼 판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 실린더의 푸시 방향으로 상기 포장 상자를 이송하는 제2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 일측에 상기 제3 벽면과 구름 접촉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3 롤러 어레이;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폭 방향 타측에 상기 제3 롤러 어레이와 대향되며, 상기 제4 벽면과 구름 접촉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4 롤러 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롤러 어레이와 제4 롤러 어레이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포장 상자의 제3 및 제4 벽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변되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처리 모듈은,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스 컨베이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핸들;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KR1020210122958A 2021-09-15 2021-09-15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KR102585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58A KR102585056B1 (ko) 2021-09-15 2021-09-15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58A KR102585056B1 (ko) 2021-09-15 2021-09-15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397A KR20230040397A (ko) 2023-03-23
KR102585056B1 true KR102585056B1 (ko) 2023-10-05

Family

ID=8579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958A KR102585056B1 (ko) 2021-09-15 2021-09-15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0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69249B (zh) * 2023-12-28 2024-03-29 深圳市仁禾智能实业有限公司 一种包装盒内胆贴装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937B1 (ko) 2008-12-08 2013-03-20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포장 생산 기계에서 평평한 기판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
JP2019001522A (ja) 2017-06-16 2019-01-10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箱詰め装置
KR102006830B1 (ko) 2019-06-18 2019-10-01 윤갑환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KR102156841B1 (ko) 2019-05-23 2020-09-16 주식회사 신우 싸바리 박스 기포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5234A (ko) 2006-08-14 2008-02-19 장일완 싸바리 상자의 자동제작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937B1 (ko) 2008-12-08 2013-03-20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포장 생산 기계에서 평평한 기판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
JP2019001522A (ja) 2017-06-16 2019-01-10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箱詰め装置
KR102156841B1 (ko) 2019-05-23 2020-09-16 주식회사 신우 싸바리 박스 기포 제거 장치
KR102006830B1 (ko) 2019-06-18 2019-10-01 윤갑환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397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089B2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tacks of flat elements
US6848240B2 (en) Stretch head for facilitating wrapping palletized loads
KR102585056B1 (ko)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JP6448070B2 (ja) ブックブロック形成装置
CA24863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inting objects such as profiles, panels or suchlike
CN106891920A (zh) 可倾式收集装置
EP2805903B1 (en) Method and device for unloading stacked objects, like boxes
US5685437A (en) Device for storing glass plates or insulating glass panes
CN116553064A (zh) 一种物流货运交易平台及其使用方法
KR101021331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도장 자동라인 시스템
US5044874A (en) Stack dividing mechanism for a corrugated sheet unstacking and feeding apparatus
JP5064304B2 (ja) 折畳みカートンの開口成形装置
US10220587B2 (en) Module comprising a frame and folder/gluer thus equipped
US20100108471A1 (en) Squaring-up device for a package converting line
CA2997069C (en) Lumber stack marking machine and methods of applying markings to lumber stacks
KR101768655B1 (ko) 플로트 유리 세정 시스템용 건조 장치
KR102140413B1 (ko) 합판 시트의 종단 커팅장치
EP1481903A1 (en) Apparatus for packaging panels
CN208732298U (zh) 一种折叠机
JPH10167478A (ja) 波板の積載方法
KR102047299B1 (ko) 포장용 박스 제조장치
KR20150058857A (ko) 표면손상방지를 위한 면대면 포장장치
KR20040000218A (ko) 사각파이프 도장장치
JP7410538B2 (ja) ベニヤ単板の分離装置
CN215625510U (zh) 一种纸板自动送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