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830B1 -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830B1
KR102006830B1 KR1020190071982A KR20190071982A KR102006830B1 KR 102006830 B1 KR102006830 B1 KR 102006830B1 KR 1020190071982 A KR1020190071982 A KR 1020190071982A KR 20190071982 A KR20190071982 A KR 20190071982A KR 102006830 B1 KR102006830 B1 KR 10200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veyor
box
box plat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갑환
Original Assignee
윤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갑환 filed Critical 윤갑환
Priority to KR102019007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moving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3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continuously feeding the sheets, blanks or webs to stationary members, e.g. plates, plough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31B50/624Applying glue 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41Moistening; Drying; Cooling; Heating; Steri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박스판이 각 파트별 컨베이어부를 타고 연속 이송되는 중에 제1, 2, 3, 4 바닥판이 단계적으로 접힘 성형 됨과 더불어 트위스트컨베이어부에 의해 제 1, 4측판이 폭방향으로 180°접히면서 제 1측판과 접합판이 중첩 접합되는 공정이 연속 수행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과 더불어 성형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특히 계수파트에서 박스판 수량이 카운팅되어 설정된 묶음단위 위치를 간단하게 표시하므로 이후 수행되는 포장공정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로딩파트(10), 제 1바닥판성형파트(20), 제 2바닥판성형파트(30), 경사코어부(30-1), 접착제도포파트(40), 선형코어부(50-1),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 프레스롤러부(50-3), 계수파트(60), 중첩정렬파트(70), 건조파트(8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Packaging box automatic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판이 각 파트별 컨베이어부를 타고 연속 이송되는 중에 제1, 2, 3, 4 바닥판이 단계적으로 접힘 성형 됨과 더불어 트위스트컨베이어부에 의해 제 1, 4측판이 폭 방향으로 180°접히면서 제 1측판과 접합판이 중첩 접합 되는 공정이 연속 수행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과 더불어 성형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특히 계수파트에서 박스판 수량이 카운팅되어 설정된 묶음단위 위치를 간단하게 표시하므로 이후 수행되는 포장공정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낱개 단위 제품은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포장박스를 이용하여 묶음 단위로 포장되고, 여기서 포장박스는 전개된 상태의 포장시트를 접어서 단부를 서로 접착 후 내부 구획이 형성되도록 펼친 상태로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포장박스를 제조공정이 수작업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다 보니 생산성 저하와 더불어 제조단가 상승을 초래하였고, 특히 작업자 숙련도에 따라 박스 품질이 결정되는바, 비숙련공에 의해 제작된 박스는 모양이 삐뚤거나 외형이 불량하여 포장된 제품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596481호에서, 수개의 평면형 종이박스를 수납하는 박스대기부와 종이박스의 접이가 실시되는 메카니즘부로 구분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 상단에 고정 결속시키되, 메인모터와 회전롤러에 권취되어 순환 구동되는 컨베이어에 의해 종이박스의 인입을 유도하는 진입부(210)와 상하 관통된 중공의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양측 이격된 공간으로 컨베이어를 위치시켜 진입부로부터 인입된 종이박스의 접이가 진행되게 한 작업부로 구분형성되는 이송유닛; 진입부와 작업부의 경계 지점에 해당하는 이송유닛 상단면에 고정 결속되어 대상 종이박스를 적재 및 대기시키는 인입부; 이송유닛의 작업부 상방으로 고정 안착되어 실린더의 의해 상하 위치가 가변되면서 종이박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가압장치; 종이박스의 하부전판과 상부전판을 순차적으로 접기 위하여 메카니즘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좌·우측전판접이수단;과, 종이박스의 하부측판과 상부측판을 실린더의 상하운동과 직선운동으로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접는 좌·우측측판접이수단;과, 접이가 완료된 종이박스의 하향 배출을 위하여 컨베이어의 순환을 지속시키는 배출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종이박스 과정시 빈번하게 유발될 수 있는 접이 불량을 방지하려는 것이나, 종이박스 측면 4개소를 접는 공정이 특정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KR 10-1596481 B1 (2016.02.16.)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박스판이 각 파트별 컨베이어부를 타고 연속 이송되는 중에 제1, 2, 3, 4 바닥판이 단계적으로 접힘 성형 됨과 더불어 트위스트컨베이어부에 의해 제 1, 4측판이 폭 방향으로 180°접히면서 제 1측판과 접합판이 중첩 접합 되는 공정이 연속 수행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과 더불어 성형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특히 계수파트에서 박스판 수량이 카운팅되어 설정된 묶음단위 위치를 간단하게 표시하므로 이후 수행되는 포장공정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제 1, 2, 3, 4 측판(111)(112)(113)(114) 영역으로 구분되는 메인판(110)과, 각각의 측판 일단에 연장되어 서로 맞물림 조립에 의해 포장상자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2, 3, 4 바닥판(121)(122)(123)(124)과, 4개의 측판을 4각형으로 접어 서로 접하는 메인판(110) 단부를 연결하는 접합판(130)으로 이루어지는 박스판(100)이 적재되는 적재대(12)와, 상기 박스판(100)의 바닥판이 전방을 향하도록 각개 공급하는 제 1컨베이어부(11)가 구비되는 로딩파트(10); 상기 로딩파트(10)에서 인출되는 박스판(100)을 전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2컨베이어부(21)와, 박스판(100)이 이동되는 중에 제 1, 3 바닥판(121)(123)에 걸림 결속되고, 상향 선회운동 되면서 제 1, 3 바닥판(121)(123)을 후방향으로 접는 제 1걸림부재(22)로 이루어지는 제 1바닥판성형파트(20); 상기 제 1, 3바닥판(121)(12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박스판(100)을 가압 이송하는 제 3컨베이어부(31)와, 박스판(100)이 전방향으로 이동되는 중에 제 2, 4 바닥판(122)(124)에 걸림 결속되어 상향 선회운동에 의해 제 2, 4 바닥판(122)(124)을 후방향으로 접는 제 2걸림부재(32)로 이루어지는 제 2바닥판성형파트(30); 상기 제 2걸림부재(32) 전방에 설치되어, 제 2, 4바닥판(122)(124)이 후방향으로 접히는 중에 제 2, 4바닥판(122)(124)의 일측 삼각편(122a)(124a)이 사선방향으로 접히도록 가이드 하는 경사코어부(30-1); 상기 제 2, 3바닥판(122)(12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박스판(100)을 가압 이송하는 제 4컨베이어부(41)와, 제 4컨베이어부(41) 일측에서 접합판(13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회전롤러(42)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도포파트(40); 상기 제 4컨베이어부(41) 단부에 일단이 중첩되어 박스판(100)을 이송하는 제 5컨베이어부(51)가 구비되고, 제 5컨베이어부(51)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1, 2측판(111)(112) 경계부 및 제 3, 4측판(112)(114) 경계부에 접힘선을 형성하는 선형코어부(50-1); 상기 제 5컨베이어부(51) 양측에 설치되어, 박스판(100)이 이송되는 중에 접힘선을 경계로 제 1, 4측판(111)(114)을 폭 방향으로 180°접어, 접합판(130) 상에 제 1측판(111) 단부가 중첩되도록 접는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 상기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에서 인출되는 박스판(100)의 제 1, 4측판(111)(114) 영역을 가압하는 프레스롤러부(50-3); 상기 프레스롤러부(50-3)에서 인출되는 박스판(100)을 이송하는 제 6컨베이어부(61)와, 제 6컨베이어부(61)를 타고 이송되는 박스판(100) 수량을 카운팅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검출모듈(62)로 이루어지는 계수파트(60); 상기 제 6컨베이어부(61) 출구측 단부에 중첩 배치되어, 제 6컨베이어부(61) 이송속도 대비 저속 구동되는 제 7컨베이어부(71)가 구비되고, 상기 제 7컨베이어부(71)의 저속 구동에 의해 박스판(100)이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중첩정렬파트(70); 및 상기 제 7컨베이어부(71) 상부에 설치되어 중첩이송되는 박스판(100)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제 8컨베이어부(81)와, 제 8컨베이어부(81) 영역에 구획을 형성하고, 내부에서 박스판(100)을 가열하는 히팅실(82)로 이루어지는 건조파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적재대(12)는, 제 1, 2가이드부(13a)(13b)을 타고 제 1컨베이어부(11) 폭 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측면가이드(13)와, 박스판(100) 전(前)단면을 지지하도록 제 1컨베이어부(11)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박스판(100)이 각개로 로딩되도록 지지하는 전면가이드(14)와, 박스판(100) 후(後)단면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박스판(100) 적재방향이 후방향 경사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후면경사가이드(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컨베이어부(11) 대비 제 2컨베이어부(21) 이송속도가 빠르게 설정되어, 로딩파트(10)에서 제 1바닥판성형파트(20)로 전달되는 순간 박스판(100) 간에 이송 간격이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2걸림부재(22)(32)는, 지지축(23a)(33a)과, 지지축(23a)(33a)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하향 절곡된 고리(23b)(33b)가 형성되는 걸림판(23)(33)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23)(33)은 자중에 의해 선회되어 고리(23b)(33b)가 하향 이동되고, 고리(23b)(33b)에 바닥판이 걸린 상태로 박스판(100)이 이동되면, 바닥판(100)이 후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접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코어(30-1)는 제 2, 4바닥판(122)(124)이 후방향으로 접히는 중에 수직방향 최대 높이 대비 낮게 설치되어, 제 2, 4바닥판(122)(124)이 제 2걸림부재(32)에 걸려 후방향으로 접히는 중에 삼각편(122a)(124a)이 경사코어(30-1)에 걸려 선회작동이 제한되면서 사선방향으로 접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도포파트(40)는, 제 4컨베이어부(41)를 타고 이송되는 박스판(100)의 접합판(130) 저면과 대향하게 설치되는 받침레일(43)과, 받침레일(43) 상으로 외주면이 일부 노출되면서 제 4컨베이어부(41)와 연계 구동되는 회전롤러(42)와, 회전롤러(42) 하부가 잠기고 접착제가 수용되는 저장조(44)와, 회전롤러(42)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접합판(130) 상면을 가압하는 피동롤러(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4컨베이어부(41) 상부에는 센서에 의해 박스판(100)을 감지하여 제 3바닥판(123) 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분사노즐(40-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는, 입구측 롤러(53a)와 출구측 롤러(53b)에 의해 지지되는 트위스트벨트(54)가 구비되고, 상기 트위스트벨트(54)는 입구 측에서 박스판(100) 제 1, 4측판(111)(114) 저면을 수평 지지하는 하부수평구간(54a)과, 제 1, 4측판(111)(114)을 180°반전하는 반전구간(54b)과, 제 1, 4측판(111)(114) 상면을 수평 가압하는 상부수평구간(54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수파트(60)는 검출모듈(62) 검출 값이 제어부 입력 값과 일치하는 순간에 카운팅된 박스판(100)을 폭방향으로 밀어 묶음단위 수량을 표시하는 밀판(6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첩정렬파트(70)의 제 7컨베이어부(71) 상부에 설치되어 접합판(130)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7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박스판이 각 파트별 컨베이어부를 타고 연속 이송되는 중에 제1, 2, 3, 4 바닥판이 단계적으로 접힘 성형 됨과 더불어 트위스트컨베이어부에 의해 제 1, 4측판이 폭방향으로 180°접히면서 제 1측판과 접합판이 중첩 접합되는 공정이 연속 수행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과 더불어 성형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특히 계수파트에서 박스판 수량이 카운팅되어 설정된 묶음단위 위치를 간단하게 표시하므로 이후 수행되는 포장공정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의 박스판 성형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의 로딩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의 제 1, 2걸림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의 경사코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의 접착제도포파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의 박스판 성형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에 관련되며, 이는 박스판이 각 파트별 컨베이어부를 타고 연속 이송되는 중에 제1, 2, 3, 4 바닥판이 단계적으로 접힘 성형 됨과 더불어 트위스트컨베이어부에 의해 제 1, 4측판이 폭방향으로 180°접히면서 제 1측판과 접합판이 중첩 접합되는 공정이 연속 수행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과 더불어 성형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특히 계수파트에서 박스판 수량이 카운팅되어 설정된 묶음단위 위치를 간단하게 표시하므로 이후 수행되는 포장공정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로딩파트(10), 제 1바닥판성형파트(20), 제 2바닥판성형파트(30), 경사코어부(30-1), 접착제도포파트(40), 선형코어부(50-1),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 프레스롤러부(50-3), 계수파트(60), 중첩정렬파트(70), 건조파트(8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로딩파트(10)는 제 1, 2, 3, 4 측판(111)(112)(113)(114) 영역으로 구분되는 메인판(110)과, 각각의 측판 일단에 연장되어 서로 맞물림 조립에 의해 포장상자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2, 3, 4 바닥판(121)(122)(123)(124)과, 4개의 측판을 4각형으로 접어 서로 접하는 메인판(110) 단부를 연결하는 접합판(130)으로 이루어지는 박스판(100)이 적재되는 적재대(12)와, 상기 박스판(100)의 바닥판이 전방을 향하도록 각개 공급하는 제 1컨베이어부(11)가 구비된다.
도 3에서, 상기 적재대(12)는, 제 1, 2가이드부(13a)(13b)을 타고 제 1컨베이어부(11)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측면가이드(13)와, 박스판(100) 전단면을 지지하도록 제 1컨베이어부(11)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박스판(100)이 각개로 로딩되도록 지지하는 전면가이드(14)와, 박스판(100) 후단면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박스판(100) 적재방향이 후방향 경사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후면경사가이드(15)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적재대(12)에 적층 대기되는 복수의 박스판(100)이 후면경사가이드(15)에 의해 경사각으로 기울어지게 지지되므로, 제 1컨베이어부(11)에 작동에 의해 최하단 박스판(100)부터 1개씩 개별 로딩에 따른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 1컨베이어부(11) 대비 제 2컨베이어부(21) 이송속도가 빠르게 설정된다. 이에 로딩파트(10)에서 제 1바닥판성형파트(20)로 전달되는 순간 박스판(100) 간에 이송 간격이 확장되도록 구비되므로, 이후 수행되는 각 파트별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전, 후 박스판(100)에 간섭없이 성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바닥판성형파트(20)는 상기 로딩파트(10)에서 인출되는 박스판(100)을 전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2컨베이어부(21)와, 박스판(100)이 이동되는 중에 제 1, 3 바닥판(121)(123)에 걸림 결속되고, 상향 선회운동 되면서 제 1, 3 바닥판(121)(123)을 후방향으로 접는 제 1걸림부재(22)로 이루진다.
그리고 상기 제 2바닥판성형파트(30)는 상기 제 1, 3바닥판(121)(12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박스판(100)을 가압 이송하는 제 3컨베이어부(31)와, 박스판(100)이 전방향으로 이동되는 중에 제 2, 4 바닥판(122)(124)에 걸림 결속되어 상향 선회운동에 의해 제 2, 4 바닥판(122)(124)을 후방향으로 접는 제 2걸림부재(32)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 상기 제 1, 2걸림부재(22)(32)는, 지지축(23a)(33a)과, 지지축(23a)(33a)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하향 절곡된 고리(23b)(33b)가 형성되는 걸림판(23)(3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판(23)(33)은 자중에 의해 선회되어 고리(23b)(33b)가 하향 이동되고, 고리(23b)(33b)에 바닥판이 걸린 상태로 박스판(100)이 이동되면, 바닥판(100)이 후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접힘 동작을 수행하고, 이후 걸림판(23)(33)은 자중에 의해 하향 선회 복귀되어 다음 박스판(100)의 바닥판을 성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코어부(30-1)는 상기 제 2걸림부재(32) 전방에 설치되어, 제 2, 4바닥판(122)(124)이 후방향으로 접히는 중에 제 2, 4바닥판(122)(124)의 일측 삼각편(122a)(124a)이 사선방향으로 접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코어(30-1)는 도 5와 같이 제 2, 4바닥판(122)(124)이 후방향으로 접히는 중에 수직방향 최대 높이 대비 낮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제 2, 4바닥판(122)(124)이 제 2걸림부재(32)에 걸려 후방향으로 접히는 중에 삼각편(122a)(124a)이 경사코어(30-1)에 걸려 선회작동이 제한되면서 사선방향으로 접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도포파트(40)는 상기 제 2, 3바닥판(122)(12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박스판(100)을 가압 이송하는 제 4컨베이어부(41)와, 제 4컨베이어부(41) 일측에서 접합판(13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회전롤러(42)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 상기 접착제도포파트(40)는, 제 4컨베이어부(41)를 타고 이송되는 박스판(100)의 접합판(130) 저면과 대향하게 설치되는 받침레일(43)과, 받침레일(43) 상으로 외주면이 일부 노출되면서 제 4컨베이어부(41)와 연계 구동되는 회전롤러(42)와, 회전롤러(42) 하부가 잠기고 접착제가 수용되는 저장조(44)와, 회전롤러(42)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접합판(130) 상면을 가압하는 피동롤러(45)로 구성된다.
이에 박스판(100)이 제 4컨베이어부(41)를 타고 이송되는 중에 접합판(130) 저면이 회전롤러(42) 상측 외주면에 접촉되어 접착제가 신속하게 도포됨과 더불어 회전롤러(42)의 회전운동에 의해 접착제가 균일하게 공급되어 접착제 도포층이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4컨베이어부(41) 상부에는 센서에 의해 박스판(100)을 감지하여 제 3바닥판(123) 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분사노즐(40-1)이 구비된다. 이때 제 3바닥판(123)에 띠형태로 도포된 접착제는 후술하는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를 통하여 제 1, 4측판(111)(114)을 접을시, 제 4바닥판(124)의 삼각편(124a)과 접합되어, 박스판을 펼침시 제 3, 4바닥판(123)(124)이 연결된 상태로 선회되어 박스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코어부(50-1)는 상기 제 4컨베이어부(41) 단부에 일단이 중첩되어 박스판(100)을 이송하는 제 5컨베이어부(51)가 구비되고, 제 5컨베이어부(51)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1, 2측판(111)(112) 경계부 및 제 3, 4측판(112)(114) 경계부에 접힘선을 형성한다.
즉, 상기 선형코어부(50-1)는 저면에 성형날이 형성되어 제 5컨베이어부(51)를 타고 이송되는 박스판(100) 상면을 가압하므로, 선형코어부(50-1)와 대응한 박스판(100) 상면이 골 형태의 접힘선이 형성되므로, 이후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에 의한 제 1, 4측판(111)(114) 성형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는 상기 제 5컨베이어부(51) 양측에 설치되어, 박스판(100)이 이송되는 중에 접힘선을 경계로 제 1, 4측판(111)(114)을 폭방향으로 180°접어, 접합판(130) 상에 제 1측판(111) 단부가 중첩되도록 접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는, 입구측 롤러(53a)와 출구측 롤러(53b)에 의해 지지되는 트위스트벨트(54)가 구비되고, 상기 트위스트벨트(54)는 입구 측에서 박스판(100) 제 1, 4측판(111)(114) 저면을 수평 지지하는 하부수평구간(54a)과, 제 1, 4측판(111)(114)을 180°반전하는 반전구간(54b)과, 제 1, 4측판(111)(114) 상면을 수평 가압하는 상부수평구간(54c)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박스판(100)의 제 1, 4측판(111)(114)이 반전구간(54b)을 통과하는 중에 180°반전되면서 상호 역방향 즉, 박스판(100) 중앙으로 접힘 성형 되므로 접힘 불량이 방지됨과 더불어 제 1, 4측판(111)(114) 접힘 과정이 박스판(100) 이송 중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롤러부(50-3)는 상기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에서 인출되는 박스판(100)의 제 1, 4측판(111)(114) 영역을 가압하는 구성이다. 프레스롤러부(50-3)는 상, 하롤러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박스판(100)을 양면에서 가압하므로, 이전 공정에서 접힘성형된 측판 및 바닥판이 밀착 성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수파트(60)는 상기 프레스롤러부(50-3)에서 인출되는 박스판(100)을 이송하는 제 6컨베이어부(61)와, 제 6컨베이어부(61)를 타고 이송되는 박스판(100) 수량을 카운팅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검출모듈(6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계수파트(60)는 검출모듈(62) 검출 값이 제어부 입력 값과 일치하는 순간에 카운팅된 박스판(100)을 폭방향으로 밀어 묶음단위 수량을 표시하는 밀판(64)이 구비된다.
이에 제어부에서 묶음단위 수량 값이 '10'으로 설정시, 검출모듈(62)에 의해 10번째 카운팅되는 박스판(100)이 밀판(64) 돌출 작동에 의해 측방향으로 돌출 위치되고, 이로 인해 도 2와 같이 박스판(100)이 중첩 장렬시, 10번째 박스판(100)에 의해 묶음단위 수량이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어 포장과정의 편의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첩정렬파트(70)는 상기 제 6컨베이어부(61) 출구측 단부에 중첩 배치되어, 제 6컨베이어부(61) 이송속도 대비 저속 구동되는 제 7컨베이어부(71)가 구비되고, 상기 제 7컨베이어부(71)의 저속 구동에 의해 박스판(100)이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 6컨베이어부(61) 이송 속도가 '10'일 경우 제 7컨베이어부(71) 이송 속도는 '2'로 설정됨에 따라 박스판(100)이 제 7컨베이어부(71)에 안착된 후, 제 6컨베이어부(61)를 통하여 다음 박스판(100)이 이송되는 동안 제 7컨베이어부(71)에 안착된 박스판(100)이 '2'에 해당하는 이송거리만큼 이동되므로, 이송 속도 차이만큼 박스판(100)이 서로 중첩되어 제조라인의 단축과 더불어 포장 공정의 편의성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첩정렬파트(70)의 제 7컨베이어부(71) 상부에 설치되어 접합판(130)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노즐(72)이 구비된다. 노즐(72)을 통하여 압축공기 또는 히팅공기가 분사되어 접합판(130)에 도포된 접착제가 신속하게 건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파트(80)는 상기 제 7컨베이어부(71) 상부에 설치되어 중첩이송되는 박스판(100)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제 8컨베이어부(81)와, 제 8컨베이어부(81) 영역에 구획을 형성하고, 내부에서 박스판(100)을 가열하는 히팅실(82)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건조파트(80)에서 박스판(100)이 히팅된 상태로 제 7, 8컨베이어부(71)(81)에 의해 압착 성형 되므로, 접착부분이 들뜸 없이 긴밀하게 밀착 접착된다. 또 각각의 측판 및 바닥판 접힘부가 열성형되어, 이후 박스판(100)을 펼친 상태로 포장박스를 형성시, 접힘부가 직각 성형되어 포장상자 외형 품질이 향상된다.
10: 로딩파트 20: 제 1바닥판성형파트
30: 제 2바닥판성형파트 30-1: 경사코어부
40: 접착제도포파트 50-1: 선형코어부
50-2: 트위스트컨베이어부 50-3: 프레스롤러부
60: 계수파트 70: 중첩정렬파트
80: 건조파트

Claims (6)

  1. 제 1, 2, 3, 4 측판(111)(112)(113)(114) 영역으로 구분되는 메인판(110)과, 각각의 측판 일단에 연장되어 서로 맞물림 조립에 의해 포장상자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2, 3, 4 바닥판(121)(122)(123)(124)과, 4개의 측판을 4각형으로 접어 서로 접하는 메인판(110) 단부를 연결하는 접합판(130)으로 이루어지는 박스판(100)이 적재되는 적재대(12)와, 상기 박스판(100)의 바닥판이 전방을 향하도록 각개 공급하는 제 1컨베이어부(11)가 구비되는 로딩파트(10);
    상기 로딩파트(10)에서 인출되는 박스판(100)을 전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2컨베이어부(21)와, 박스판(100)이 이동되는 중에 제 1, 3 바닥판(121)(123)에 걸림 결속되고, 상향 선회운동되면서 제 1, 3 바닥판(121)(123)을 후방향으로 접는 제 1걸림부재(22)로 이루어지는 제 1바닥판성형파트(20);
    상기 제 1, 3바닥판(121)(12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박스판(100)을 가압 이송하는 제 3컨베이어부(31)와, 박스판(100)이 전방향으로 이동되는 중에 제 2, 4 바닥판(122)(124)에 걸림 결속되어 상향 선회운동에 의해 제 2, 4 바닥판(122)(124)을 후방향으로 접는 제 2걸림부재(32)로 이루어지는 제 2바닥판성형파트(30);
    상기 제 2걸림부재(32) 전방에 설치되어, 제 2, 4바닥판(122)(124)이 후방향으로 접히는 중에 제 2, 4바닥판(122)(124)의 일측 삼각편(122a)(124a)이 사선방향으로 접히도록 가이드하는 경사코어부(30-1);
    상기 제 2, 3바닥판(122)(12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박스판(100)을 가압 이송하는 제 4컨베이어부(41)와, 제 4컨베이어부(41) 일측에서 접합판(13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회전롤러(42)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도포파트(40);
    상기 제 4컨베이어부(41) 단부에 일단이 중첩되어 박스판(100)을 이송하는 제 5컨베이어부(51)가 구비되고, 제 5컨베이어부(51)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1, 2측판(111)(112) 경계부 및 제 3, 4측판(112)(114) 경계부에 접힘선을 형성하는 선형코어부(50-1);
    상기 제 5컨베이어부(51) 양측에 설치되어, 박스판(100)이 이송되는 중에 접힘선을 경계로 제 1, 4측판(111)(114)을 폭방향으로 180°접어, 접합판(130) 상에 제 1측판(111) 단부가 중첩되도록 접는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
    상기 트위스트컨베이어부(50-2)에서 인출되는 박스판(100)의 제 1, 4측판(111)(114) 영역을 가압하는 프레스롤러부(50-3);
    상기 프레스롤러부(50-3)에서 인출되는 박스판(100)을 이송하는 제 6컨베이어부(61)와, 제 6컨베이어부(61)를 타고 이송되는 박스판(100) 수량을 카운팅하여 제어부로 송출하는 검출모듈(62)로 이루어지는 계수파트(60);
    상기 제 6컨베이어부(61) 출구측 단부에 중첩 배치되어, 제 6컨베이어부(61) 이송속도 대비 저속 구동되는 제 7컨베이어부(71)가 구비되고, 상기 제 7컨베이어부(71)의 저속 구동에 의해 박스판(100)이 중첩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중첩정렬파트(70); 및
    상기 제 7컨베이어부(71) 상부에 설치되어 중첩이송되는 박스판(100)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제 8컨베이어부(81)와, 제 8컨베이어부(81) 영역에 구획을 형성하고, 내부에서 박스판(100)을 가열하는 히팅실(82)로 이루어지는 건조파트(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12)는, 제 1, 2가이드부(13a)(13b)을 타고 제 1컨베이어부(11)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측면가이드(13)와, 박스판(100) 전단면을 지지하도록 제 1컨베이어부(11)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박스판(100)이 각개로 로딩되도록 지지하는 전면가이드(14)와, 박스판(100) 후단면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박스판(100) 적재방향이 후방향 경사각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후면경사가이드(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컨베이어부(11) 대비 제 2컨베이어부(21) 이송속도가 빠르게 설정되어, 로딩파트(10)에서 제 1바닥판성형파트(20)로 전달되는 순간 박스판(100) 간에 이송 간격이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걸림부재(22)(32)는, 지지축(23a)(33a)과, 지지축(23a)(33a)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하향 절곡된 고리(23b)(33b)가 형성되는 걸림판(23)(33)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23)(33)은 자중에 의해 선회되어 고리(23b)(33b)가 하향 이동되고, 고리(23b)(33b)에 바닥판이 걸린 상태로 박스판(100)이 이동되면, 바닥판(100)이 후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접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코어부(30-1)는 제 2, 4바닥판(122)(124)이 후방향으로 접히는 중에 수직방향 최대 높이 대비 낮게 설치되어, 제 2, 4바닥판(122)(124)이 제 2걸림부재(32)에 걸려 후방향으로 접히는 중에 삼각편(122a)(124a)이 경사코어(30-1)에 걸려 선회작동이 제한되면서 사선방향으로 접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도포파트(40)는, 제 4컨베이어부(41)를 타고 이송되는 박스판(100)의 접합판(130) 저면과 대향하게 설치되는 받침레일(43)과, 받침레일(43) 상으로 외주면이 일부 노출되면서 제 4컨베이어부(41)와 연계 구동되는 회전롤러(42)와, 회전롤러(42) 하부가 잠기고 접착제가 수용되는 저장조(44)와, 회전롤러(42) 상부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접합판(130) 상면을 가압하는 피동롤러(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KR1020190071982A 2019-06-18 2019-06-18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KR10200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82A KR102006830B1 (ko) 2019-06-18 2019-06-18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82A KR102006830B1 (ko) 2019-06-18 2019-06-18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830B1 true KR102006830B1 (ko) 2019-10-01

Family

ID=6820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982A KR102006830B1 (ko) 2019-06-18 2019-06-18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8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73B1 (ko) * 2021-01-15 2021-06-15 김인궁 포장용기용 반제품 제조방법
CN113815266A (zh) * 2021-09-29 2021-12-21 乐陵帝荣包装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大型纸质格挡加工装置及加工方法
KR20230040397A (ko) * 2021-09-15 2023-03-23 한상순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3022A (ko) * 2012-05-02 2013-11-12 썬에스지엠 주식회사 박스 형성 장치
KR101596481B1 (ko) 2014-03-20 2016-02-22 승리산업(주) 전자동 박스 접이 장치
KR101641341B1 (ko) * 2014-09-23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건축용 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649059B1 (ko) * 2012-02-20 2016-08-17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059B1 (ko) * 2012-02-20 2016-08-17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시트 절첩 장치 및 제함기
KR20130123022A (ko) * 2012-05-02 2013-11-12 썬에스지엠 주식회사 박스 형성 장치
KR101596481B1 (ko) 2014-03-20 2016-02-22 승리산업(주) 전자동 박스 접이 장치
KR101641341B1 (ko) * 2014-09-23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건축용 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673B1 (ko) * 2021-01-15 2021-06-15 김인궁 포장용기용 반제품 제조방법
KR20230040397A (ko) * 2021-09-15 2023-03-23 한상순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KR102585056B1 (ko) 2021-09-15 2023-10-05 한상순 포장 상자 제조용 후처리 장치
CN113815266A (zh) * 2021-09-29 2021-12-21 乐陵帝荣包装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大型纸质格挡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13815266B (zh) * 2021-09-29 2023-11-17 乐陵帝荣包装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大型纸质格挡加工装置及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830B1 (ko) 포장상자 자동 성형장치
CN103979132B (zh) 用于围绕产品包装封套的包装设备及方法
JPH09301310A (ja) 箱詰め装置
US8413574B2 (en) Back-to-back bundle strapping machine
KR101323467B1 (ko) 박스포장장치
DK2797814T3 (en) APPLICATION DEVICE FOR WICKET LABELS
JP2007276988A (ja) ダンボールケースの積み重ね方法
US7828507B2 (en) Stack turning apparatus with multiple drive means to straighten and eject stack from turntable
CN106183353B (zh) 一种门芯板涂胶上料装置
JP4669894B2 (ja) 厚手布類の折り畳み装置
US111802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 elongate stack of folded tissues
JP4965892B2 (ja) 積層平海苔束結束装置
US20230115847A1 (en) Method for packaging products and packaging installation
US2917876A (en) Packaging machine
KR200418636Y1 (ko) 포장용 상자를 위해 재단된 골판지의 접착제 도포장치
KR200437527Y1 (ko) 화장품 포장용 상자 내 선대 자동 투입장치
CN111591524A (zh) 一种用于家具板件包装的摇盖式纸箱封箱机及其封箱方法
JP2001294205A (ja) 梱包装置及び向き変更手段
JPH07223613A (ja) 箱製函装置
KR102313204B1 (ko) 제함기의 포장박스 밴딩장치
CN208647194U (zh) 一种全流程自动包装生产线
CN209506277U (zh) 一种显示面板的自动包装装置
CN112158392A (zh) 自适应包装系统
JP3834265B2 (ja) 糊付け装置
KR20160124950A (ko)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