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950A -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950A
KR20160124950A KR1020150055057A KR20150055057A KR20160124950A KR 20160124950 A KR20160124950 A KR 20160124950A KR 1020150055057 A KR1020150055057 A KR 1020150055057A KR 20150055057 A KR20150055057 A KR 20150055057A KR 20160124950 A KR20160124950 A KR 2016012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dhesive
box
rollers
roller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870B1 (ko
Inventor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신한포장(주)
김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포장(주), 김태욱 filed Critical 신한포장(주)
Priority to KR102015005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8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1B3/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Abstract

본 발명은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접지된 원지의 일단을 지지하면서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어 접지된 원지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 원지의 상하부와 타측 원지의 상하부를 이격시키는 제1, 2 이격부; 및 상기 제1, 2 이격부에 각각 구비되어 양단 원지 중 상부 접착부위와 하부 접착부위에 접착제를 각각 분사하는 접착제 분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핫멜트(hotmelt) 등의 접착제 도포 위치에 대한 조절이 용이하고, 박스 크기에 따라 박스의 양쪽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의 간격 조절이 구동력에 의해 수행되어 박스 크기에 상관없이 작업이 용이하고, 이송부의 입구측에 상자 원지의 밑면이 먼저 닿을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상자 원지 공급시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상자 원지가 잘 빨려들어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Machine of adhesives spreading apparatus for box base paper connecting}
본 발명은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자를 구성하는 일측 원지와 타측 원지를 연결하기 위해 연결 부위에 핫멜트(hotmelt)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는 봉합기를 통해 자동으로 봉합되는데 이는 상자 원지를 일정 규격으로 재단한 후 전개(展開)시킨 반제품 상자의 양쪽 단부를 접은 후에 그 단부의 겹쳐진 부위를 스티칭(stitching) 또는 접착제로 접착하여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자를 완성하기 위한 장치로는 접착제 도포장치가 사용되는데,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는 재단된 상자 원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용을 하면서도 접착제가 도포되어 배출되는 상자 원지를 접어 부착시킬 수 있는 작업대가 마련되어 있어 보다 편리하게 상자 조립을 완성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착제 도포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05280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0776015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하에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05280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0776015호에 개시된 종이상자 접착제 도포장치 및 핫멜트 도포장치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05280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서 종이상자 접착제 도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1의 종이상자 접착제 도포장치는 내부에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판(20)과 측판(10)을 갖는 몸체(1)와, 상기 상판의 전방부에 구성되는 급지부와, 상기 상판의 후방부에 구성되는 배지부와, 상기 상판의 급지부의 폭방향 양단에 설치되는 안내판(120)과, 상기 몸체상판의 전개지 급지부측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이송축(6)과, 상기 이송축에 습동가능토록 설치되어 투입되는 종이상자의 전개지가 한 장씩만 투입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스톱바(7)와, 상기 측판(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접착제가 수납되며 조절판을 갖는 접착제 수납통(30)과 상기 접착제에 하부가 침지되어 전개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롤러(31)와 상기 도포롤러와 마주하는 도포지지롤러(31`)로 구성되되 양쪽 측판 상부에 각각 형성하여 2곳에서 도포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도포부와, 상기 전개지 급지부측 단부에 설치되며 적치된 전개지의 후부를 들어주는 전개지 후단 받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이상자 접착제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는 앞뒤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평밸트로 서로 연결된 두 개의 급지부롤러(3)로 구성되며, 상기 배지부는 앞뒤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평밸트로 서로 연결된 두 개의 배지부롤러(4)로 구성되며, 상기 뒤쪽의 급지부롤러와 앞쪽의 배지부롤러의 위쪽에는 상기 뒤쪽의 급지부롤러와 앞쪽의 배지부롤러(3)와 마주하여 그 사이로 통과하는 종이상자의 전개지를 압지할 수 있도록 압지롤러(320,41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의한 종이상자 접착제 도포장치는 종이상자의 사이즈가 달라지면 수작업에 의해 도포롤러(31)의 간격을 줄이거나 상기 도포롤러(31)를 축에서 분리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등록특허공보 제0776015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서 핫멜트 도포장치를 나타낸 우측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의 핫멜트 도포장치는 탱크와 연결된 공급호스의 노즐을 통해 본체에 설치된 메인로울러와 보조로울러 사이에 핫멜트를 투입하고, 투입된 핫멜트는 메인로울러에 의해 벨트컨베이어 상의 원단에 도포되는 핫멜트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로울러(400)는 핫멜트(H)의 용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열전도 매체를 채우고, 열전도 매체를 가열하는 전기히터(420)를 내장하며, 벨트컨베이어(600)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이 메인로울러(400)에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회전속도를 벨트컨베이어(600)의 이송 속도보다 빠르도록 하고, 상기 본체(300)에는 핫멜트(H)의 연속된 도포를 위하여 연속이송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의한 핫멜트 도포장치 역시 종래기술 1과 마찬가지로 접착제의 도포 위치의 조절과, 특정 위치에서의 접착제 도포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052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760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핫멜트(hotmelt) 등의 접착제 도포 위치에 대한 조절이 용이하고, 박스 크기에 따라 박스의 양쪽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의 간격 조절이 구동력에 의해 수행되어 박스 크기에 상관없이 작업이 용이하고, 이송부의 입구측에 상자 원지의 밑면이 먼저 닿을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상자 원지 공급시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상자 원지가 잘 빨려들어갈 수 있게 한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지된 원지의 일단을 지지하면서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어 접지된 원지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 원지의 상하부와 타측 원지의 상하부를 이격시키는 제1, 2 이격부; 및 상기 제1, 2 이격부에 각각 구비되어 양단 원지 중 상부 접착부위와 하부 접착부위에 접착제를 각각 분사하는 접착제 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는 간격이 구동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는, 다수의 롤러가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의 롤러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제1, 제2 하부 롤러군 상부 벨트;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의 하측에서 다수의 롤러가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 롤러군;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롤러군의 롤러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제1 및 제2 하부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은 승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의 선단 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롤러군의 선단 롤러의 위치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이격부는 일측 원지의 하단 내면이 상단 내면과 이격되도록 제1 안착부가 형성된 제1 원지 가이드와, 타측 원지의 상단 내면이 하단 내면과 이격되도록 제2 안착부가 형성된 제2 원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이격부의 후방 양측에 배치되어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가 도포 완료될 때까지 상기 일측 원지와 상기 타측 원지의 선단을 간섭하도록 위치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핫멜트(hotmelt) 등의 접착제 도포 위치에 대한 조절이 용이하고, 박스 크기에 따라 박스의 양쪽 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의 간격 조절이 구동력에 의해 수행되어 박스 크기에 상관없이 작업이 용이하고, 이송부의 입구측에 상자 원지의 밑면이 먼저 닿을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상자 원지 공급시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상자 원지가 잘 빨려들어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에 의한 종이상자 접착제 도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 2에 의한 핫멜트 도포장치를 나타낸 우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에서 상, 하부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에서 제1, 2 이격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에서 상, 하부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에서 제1, 2 이격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10)는 본체(100), 제1 이송부(200), 제2 이송부(300), 제1 이격부(400), 제2 이격부(500), 접착제 분사부(600), 위치 정지부(700) 및 컨트롤러(800)를 포함한다.
이때, 상자 원지는 일 예로 직육면체 박스의 제작시 2장의 접지된 일, 타측 원지 중 도 4 기준 좌측을 일측 원지(BP1)라 하고, 우측을 타측 원지(BP2)라고 가정하였을 때, 상기 일측 원지(BP1)의 하단과 상기 타측 원지(BP2)의 상단에 접착제가 각각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도포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 원지의 상단과 상기 타측 원지의 하단에 접착부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즉, 2장의 접지된 원지에서 일측 원지(BP1) 중 하단 단부의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타측 원지(BP2) 중 하단 단부에 접착될 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원지(BP2) 중 상단 단부의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원지(BP1) 중 상단 단부에 접착될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체(100)는 제1 이송부(200), 제2 이송부(300), 제1 이격부(400), 제2 이격부(500), 접착제 분사부(600) 및 컨트롤러(800)가 장착되며, 상단에 수평 방향의 제1 가이드(110)와 제3 가이드(130)가 전후로 배치되고, 하단 전방에 수평 방향의 제2 가이드(120)가 배치된다.
이때, 제1 가이드(110)에 제2 이격부(500)가 상부 가이드 연결구(510)에 의해 좌우 이동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제2 가이드(120)에 제1 이격부(400)가 하부 가이드 연결구(410)에 의해 좌우 이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이격부(400)의 양측에서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가 제1 하부 가이드 연결구(210)와 제2 하부 가이드 연결구(310)에 의해 각각 좌우 이동되도록 연결된다.
제1 이송부(200)는 일측 원지(BP1)의 접지 부위를 지지하면서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며, 제1 하부 가이드 연결구(210), 제1 승강부(220), 제1 상부 롤러군(230), 제1 하부 롤러군(240), 제1 상부 벨트(250), 제1 하부 벨트(260) 및 제1 구동부를 포함한다.
제1 하부 가이드 연결구(210)는 제1 이송부(200)가 제2 가이드(120)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직립된 판상인 제1 고정부재(212)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부재(212)의 상측에는 제1 승강부(220)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직립된 판상의 제1 승강부재(214)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재(212)의 상면에는 일측 원지(BP1)의 접지 부위가 닿을 때 구름 접촉하도록 종 방향 축에 의해 설정간격마다 다수 배치되어 자유 회전되는 롤러(216)가 구비된다.
제1 승강부(220)는 제1 고정부재(212)의 외벽면에 장착되어 제1 승강부재(214)의 내벽면에 장착된 제1 상부 롤러군(230)에 의해 회전되는 제1 상부 벨트(250)를 제1 하부 벨트(260)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렇게, 상기 제1 승강부(220)의 구동에 의해 제1 상부 벨트(250)를 제1 하부 벨트(260) 방향으로 하강시켜 일측 원지(BP1)를 상기 제1 상부 벨트(250)와 상기 제1 하부 벨트(260)의 구동에 의해 접착제 도포 위치로 빨려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제1 상부 롤러군(230)은 다수의 롤러가 제1 승강부재(214)의 내벽면에 종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상측에서 일측 원지(BP1)의 절곡 부위를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게 한다.
즉, 상기 제1 상부 롤러군(230)은 일측 원지(BP1)의 상측에 상기 일측 원지(BP1)의 반입 방향과 평행하도록 다수의 롤러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롤러들이 제1 상부 벨트(250)에 의해 일률적으로 구동된다.
제1 하부 롤러군(240)은 다수의 롤러가 제1 고정부재(212)의 내벽면에 종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하측에서 일측 원지(BP1)의 절곡 부위를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게 한다.
결국, 상기 제1 하부 롤러군(240)은 일측 원지(BP1)의 하측에 상기 일측 원지(BP1)의 반입 방향과 평행하도록 다수의 롤러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롤러들이 제1 하부 벨트(260)에 의해 일률적으로 구동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 롤러군(230)과 상기 제1 하부 롤러군(240)은 어느 하나의 롤러에 구동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고 구동되는 롤러는 제1 상부 벨트(250)와 제1 하부 벨트(260)에 의해 다른 롤러를 종동시키게 된다.
더욱이, 제1 상부 벨트(250)와 제1 하부 벨트(260)는 거리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롤러에 의해 장력 조절이 가능하다.
제1 구동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력에 의해 제1 하부 가이드 연결구(210)를 제2 가이드(12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동모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이송부(300)는 타측 원지(BP2)의 접지 부위를 지지하면서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며, 제2 하부 가이드 연결구(310), 제2 승강부(320), 제2 상부 롤러군(330), 제2 하부 롤러군(340), 제2 상부 벨트(350), 제2 하부 벨트(360) 및 제2 구동부를 포함한다.
제2 하부 가이드 연결구(310)는 제2 이송부(300)가 제2 가이드(120)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직립된 판상인 제2 고정부재(312)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 고정부재(312)의 상측에는 제2 승강부(320)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직립된 판상의 제2 승강부재(314)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재(312)의 상면에는 타측 원지(BP2)의 접지 부위가 닿을 때 구름 접촉하도록 종 방향 축에 의해 설정간격마다 다수 배치되어 자유 회전되는 롤러(316)가 구비된다.
제2 승강부(320)는 제2 고정부재(312)의 외벽면에 장착되어 제2 승강부재(314)의 내벽면에 장착된 제2 상부 롤러군(330)에 의해 회전되는 제2 상부 벨트(350)를 제2 하부 벨트(360)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이렇게, 상기 제2 승강부(320)의 구동에 의해 제2 상부 벨트(350)를 제2 하부 벨트(360) 방향으로 하강시켜 타측 원지(BP2)를 상기 제2 상부 벨트(350)와 상기 제2 하부 벨트(360)의 구동에 의해 접착제 도포 위치로 빨려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제2 상부 롤러군(330)은 다수의 롤러가 제2 승강부재(314)의 내벽면에 종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상측에서 타측 원지(BP2)의 절곡 부위를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게 한다.
즉, 상기 제2 상부 롤러군(330)은 타측 원지(BP2)의 상측에 상기 타측 원지(BP2)의 반입 방향과 평행하도록 다수의 롤러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롤러들이 제2 상부 벨트(350)에 의해 일률적으로 구동된다.
제2 하부 롤러군(340)은 다수의 롤러가 제2 고정부재(312)의 내벽면에 종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어 하측에서 타측 원지(BP2)의 절곡 부위를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게 한다.
결국, 상기 제2 하부 롤러군(340)은 타측 원지(BP2)의 하측에 상기 타측 원지(BP2)의 반입 방향과 평행하도록 다수의 롤러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롤러들이 제2 상부 벨트(360)에 의해 일률적으로 구동된다.
이때, 상기 제2 상부 롤러군(330)과 상기 제2 하부 롤러군(340)은 어느 하나의 롤러에 구동부(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고 구동되는 롤러는 제2 상부 벨트(350)와 제2 하부 벨트(360)에 의해 다른 롤러를 종동시키게 된다.
더욱이, 제2 상부 벨트(350)와 제2 하부 벨트(360)는 거리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롤러에 의해 장력 조절이 가능하다.
제2 구동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동력에 의해 제2 하부 가이드 연결구(310)를 제2 가이드(12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동모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이송부(200)의 제1 상부 롤러군(230)과 제2 이송부(300)의 제2 상부 롤러군(330)은 입구측에 설치된 최전방 롤러의 위치가 제1 하부 롤러군(240)과 제2 하부 롤러군(340)의 최전방 롤러의 위치보다 좀 더 후방으로 치우쳐 있다.
이는 일측 원지(BP1)와 타측 원지(BP2)의 반입시 제1 및 제2 이송부(200, 300)의 입구측 제1 하부 롤러군(240)과 제2 하부 롤러군(340)에 의해 제1 하부 벨트(260)와 제2 하부 벨트(360)에 먼저 상기 일측 원지(BP1)와 상기 타측 원지(BP2)의 밑면이 닿게 하여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1 이격부(400)는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사이 중 상기 제1 이송부(200) 쪽으로 배치되어 일측 원지(BP1)의 상하단을 타측 원지(BP2)의 상하단과 이격시키며, 하부 가이드 연결구(410) 및 제1 원지 가이드(420)를 포함한다.
하부 가이드 연결구(410)는 제2 가이드(120)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가이드(120) 상에 결합된다.
제1 원지 가이드(420)는 하부 가이드 연결구(410)에 직립하게 연결된 하부 연결부재(412)의 상단에 구비되어 일측 원지(BP1)의 절곡된 하단이 지지되도록 제1 안착부(422)가 외측단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안착부(422)는 일측 원지(BP1)의 공급시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상자 원지가 잘 빨려들어갈 수 있게 한다.
제2 이격부(500)는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사이 중 상기 제2 이송부(300) 쪽으로 배치되어 타측 원지(BP2)의 상하단을 일측 원지(BP1)의 상하단과 이격시키며, 상부 가이드 연결구(510) 및 제2 원지 가이드(520)를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 연결구(510)는 제1 가이드(110)를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가이드(110) 상에 결합된다.
제2 원지 가이드(520)는 상부 가이드 연결구(510)에 직립하게 연결된 상부 연결부재(512)의 하단에 구비되어 타측 원지(BP2)의 절곡된 상단이 지지되도록 제2 안착부(522)가 외측단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안착부(522)는 타측 원지(BP2)의 공급시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상자 원지가 잘 빨려들어갈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제1 이격부(400)와 제2 이격부(500)는 일측 원지(BP1)의 하단 내면과 타측 원지(BP2)의 상단 내면인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므로 상기 접착제 도포면을 이격시켜 접착제 도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접착제가 원지 내면에 묻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접착제 분사부(600)는 제1 원지 가이드(420)의 후방 하측에 배치된 제1 분사 노즐(610)과, 제2 원지 가이드(520)의 후방 상측에 배치된 제2 분사 노즐(620)을 포함하며, 접착제 저장부(도면에 미도시)에서 관을 통해 상기 제1 분사 노즐(610)과 상기 제2 분사 노즐(620)에 접착제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접착제 공급시 공압에 의해 접착제의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한편, 제1 분사 노즐(610)의 분사구는 제1 원지 가이드(420)의 제1 안착부(422)의 폭 내에 배치되고, 제2 분사 노즐(620)의 분사구는 제2 원지 가이드(520)의 제2 안착부(522)의 폭 내에 배치된다.
더욱이, 상기 제1 분사 노즐(610)과 상기 제2 분사 노즐(620)에는 밸브(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어 접착제의 분사 여부 및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1 분사 노즐(610)과 상기 제2 분사 노즐(620)에서 분사되는 접착제를 통해 일측 원지(BP1)의 하단 단부에 형성된 접착제 도포면과, 타측 원지(BP2)의 상단 단부에 형성된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이다.
위치 정지부(700)는 제3 가이드(130)의 양단에 이동부재(710)에 의해 연결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가 도포 완료되는 시점에 실린더(730)에 의해 스토퍼(740)가 하강하면서 일측 원지(BP1)와 타측 원지(BP2)의 선단을 정지하게 가로막는다. 그 후,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가 도포 완료되면 스토퍼(740)가 실린더(730)의 구동에 의해 상승하면서 일측 원지(BP1)와 타측 원지(BP2)가 후방으로 배출되게 한다. 더욱이, 상기 실린더(730)는 레버(720)를 통해 전후 이동하게 된다.
컨트롤러(80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이송부(200)와 상기 제2 이송부(300)의 간격, 일측 원지(BP1)와 타측 원지(BP2)의 공급속도와 접착제 분사부(600)에 의한 접착제 분사 시점, 그리고 위치 정지부(700)의 스토퍼의 승강 시점 등을 제어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10)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자 원지의 장변에 대한 사이즈에 맞게 제1 이송부(200)와 제2 이송부(300)의 간격을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조절하고, 제1 이격부(400)와 제2 이격부(500) 역시 간격을 구동부(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일측 원지(BP1)와 타측 원지(BP2)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원지(BP1)와 상기 타측 원지(BP2)의 접지 부위 중 선단을 제1 이송부(200)의 제1 하부 벨트(260)와 제2 이송부(300)의 제2 하부 벨트(360)의 후단인 입구측에 안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 원지 가이드(420)의 제1 안착부(422) 상면에 일측 원지(BP1)의 절곡된 하단이 지지가 되고, 제2 원지 가이드(520)의 제2 안착부(522) 저면에 타측 원지(BP2)의 절곡된 상단이 지지되게 한다.
다음으로, 제1 승강부(220)와 제2 승강부(320)가 작동되면서 로드에 연결된 제1 승강부재(214)와 제2 승강부재(314)를 각각 하강시켜 상기 제1 승강부재(214)와 상기 제2 승강부재(314)의 내벽면에 제1 상부 롤러군(230)과 제2 상부 롤러군(330)에 의해 연결된 제1 상부 벨트(250)와 제2 상부 벨트(350)를 일측 원지(BP1)와 타측 원지(BP2)의 접지 부위 상면에 접촉되게 한다.
다음으로, 제1 상부 벨트(250)와 제1 하부 벨트(260) 그리고 제2 상부 벨트(350)와 제1 하부 벨트(360)가 동시 작동되면서 일측 원지(BP1)와 타측 원지(BP2)를 제1 분사 노즐(610)과 제2 분사 노즐(62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일측 원지(BP1)의 하단 단부에 형성된 접착제 도포면에 제1 분사 노즐(610)에서 분사되는 접착제와, 타측 원지(BP2)의 상단 단부에 형성된 접착제 도포면에 제2 분사 노즐(620)에서 분사되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다음으로, 일측 원지(BP1)의 접착제 도포면에 타측 원지(BP2)의 접착면이 위치되면서 접착되고, 상기 타측 원지(BP2)의 접착제 도포면에 상기 일측 원지(BP1)의 접착면이 위치되면서 접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접착제 도포 장치
100: 본체
200: 제1 이송부
300: 제2 이송부
400: 제1 이격부
500: 제2 이격부
600: 접착제 분사부
700: 위치 정지부
800: 컨트롤러

Claims (6)

  1. 접지된 원지의 일단을 지지하면서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어 접지된 원지의 타단을 지지하면서 접착제 도포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일측 원지의 상하부와 타측 원지의 상하부를 이격시키는 제1, 2 이격부; 및
    상기 제1, 2 이격부에 각각 구비되어 양단 원지 중 상부 접착부위와 하부 접착부위에 접착제를 각각 분사하는 접착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는 간격이 구동력에 의해 조절되는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부는,
    다수의 롤러가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의 롤러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제1, 제2 하부 롤러군 상부 벨트;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의 하측에서 다수의 롤러가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 롤러군;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롤러군의 롤러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제1 및 제2 하부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은 승강 높이가 조절되는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롤러군의 선단 롤러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롤러군의 선단 롤러의 위치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이격부는 일측 원지의 하단 내면이 상단 내면과 이격되도록 제1 안착부가 형성된 제1 원지 가이드와, 타측 원지의 상단 내면이 하단 내면과 이격되도록 제2 안착부가 형성된 제2 원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이격부의 후방 양측에 배치되어 접착제 도포면에 접착제가 도포 완료될 때까지 상기 일측 원지와 상기 타측 원지의 선단을 간섭하도록 위치 정지부를 포함하는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KR1020150055057A 2015-04-20 2015-04-20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KR10173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57A KR101731870B1 (ko) 2015-04-20 2015-04-20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57A KR101731870B1 (ko) 2015-04-20 2015-04-20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950A true KR20160124950A (ko) 2016-10-31
KR101731870B1 KR101731870B1 (ko) 2017-05-08

Family

ID=5744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057A KR101731870B1 (ko) 2015-04-20 2015-04-20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93B1 (ko) * 2021-01-21 2021-10-14 주식회사 엠에프테크 단프라 박스 열융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859B1 (ko) 2018-12-27 2020-11-02 김익성 종이상자 성형기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059Y1 (ko) * 2001-08-22 2001-11-27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포장용 상자 접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93B1 (ko) * 2021-01-21 2021-10-14 주식회사 엠에프테크 단프라 박스 열융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870B1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2568B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EP2957350B1 (en) Gluing method and apparatus
US9676570B2 (en) Feeder system for beverage container holder process
KR101731870B1 (ko)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WO2015079341A1 (en) Apparatus to apply glue to paper blanks designed for covering paper or cardboard boxes
CN106005643B (zh) 一种板件双面胶纸贴附装置
KR101400727B1 (ko) 비닐포장지 제조장치
JP3128622U (ja) 糊付装置
JP4219365B2 (ja) うちわ製造装置およびうちわ製造方法
US5221402A (en) Folding machine sprayer and fold plate and method of use therefore
CN101384498B (zh) 连续纸粘合加工装置
CN207359917U (zh) 用于自动化地制造书硬皮封面的机器
CN107207174B (zh) 用于在复卷机中的管状硬纸芯上分配胶的方法
CN210553076U (zh) 一种珍珠棉粘合机
JP6590832B2 (ja) ペーパーログの製造のための管状コアへの接着剤の塗布方法及び装置
JP3834265B2 (ja) 糊付け装置
JP6855210B2 (ja) 粘着シート貼付け方法および粘着シート貼付け装置
IT201800006434A1 (it) Macchina e procedimento per l'etichettatura di contenitori.
US6558467B1 (en) Tape dispensing apparatus with improved adhesive reactivation
CN217392838U (zh) 一种包装盒挂钩部喷胶系统
US9573336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luing head and tail ends of stock material
CN113548259B (zh) 一种电子商务产品物流发送包装装置
KR20160109069A (ko) 공기 가압식 이송장치
JP5779423B2 (ja) 基層保持体の貼合せ
AU2001288401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