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901B1 - 오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901B1
KR102583901B1 KR1020230111923A KR20230111923A KR102583901B1 KR 102583901 B1 KR102583901 B1 KR 102583901B1 KR 1020230111923 A KR1020230111923 A KR 1020230111923A KR 20230111923 A KR20230111923 A KR 20230111923A KR 102583901 B1 KR102583901 B1 KR 10258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il
support
ne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23011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된 오일을 가열시켜 식품을 조리하는 조리부와, 조리부에 연결되어 오염된 오일을 이동시키는 오염유로부와, 오염유로부와 연결되고 상하 이동 가능한 승강부와, 승강부가 안착되고 승강부로 유입되는 오일을 필터링하는 받침부와, 받침부와 조리부를 연결하고 필터링된 오일을 조리부로 이동시키는 정화유로부와, 승강부와 받침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오일을 필터링하는 이동필터부와, 이동필터부에 의해 이동되어 낙하되는 오염물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여, 조리중 오일을 신속하게 필터링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처리장치{OIL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오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오일을 필터링하여 식품 조리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오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고기 튀김 요리는 닭을 조각내고 밀가루 등을 묻혀서 끓는 튀김유에 튀긴 음식으로서, 프라이드치킨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닭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세척, 염지, 베터링, 브래딩, 칼집, 튀기기, 굽기 등의 여러 조리 단계를 거침으로써 완료된다.
한편, 최근에는 튀김 요리로 육류 외에 각종 야채를 사용하는데, 식감 유지를 위해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야채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고, 밀가루와 함께 혼합한 후 오일에 투입하여 조리한다.
그러나, 조리탱크에서 가열된 오일에 식품이 투입되어 조리되는 과정에서 오일이 오염되며, 이러한 오염원이 오일을 보다 신속하게 오염시키되므로, 소정 조리 횟수 이후에는 조리탱크에 저장된 오일을 모두 폐기 처분 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0812호(2020.10.21. 등록, 발명의 명칭 : 자동 튀김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식품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오일을 필터링하여 식품 조리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오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는: 저장된 오일을 가열시켜 식품을 조리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에 연결되어 오염된 오일을 이동시키는 오염유로부; 상기 오염유로부와 연결되고, 상하 이동 가능한 승강부; 상기 승강부가 안착되고, 상기 승강부로 유입되는 오일을 필터링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조리부를 연결하고, 필터링된 오일을 상기 조리부로 이동시키는 정화유로부; 상기 승강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오일을 필터링하는 이동필터부; 및 상기 이동필터부에 의해 이동되어 낙하되는 오염물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상기 정화유로부와 연결되는 받침지지부; 및 상기 받침지지부의 상측을 커버하고, 오일을 걸러내는 받침걸름망부;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걸름망부는 상기 받침지지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망이동부; 및 상기 망이동부에 탈부착되어 오일을 걸러내는 하나 이상의 망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걸름망부는 상기 망이동부와 상기 망장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의 삽입을 유도하는 망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는 조리부에서 식품을 조리하면서 발생되는 오염된 오일을 승강부와 받침부 사이 공간에서 필터링하여 조리부로 재공급하고, 승강부와 받침부 사이에서 고착된 오염물은 이동필터부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가 오일을 처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가 걸러진 이물질을 건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가 건조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1)는 조리부(10)와, 오염유로부(20)와, 승강부(30)와, 받침부(40)와, 정화유로부(50)와, 이동필터부(60)와, 수거부(70)를 포함한다.
조리부(10)는 저장된 오일을 가열시켜 식품을 조리한다. 일예로, 조리부(10)는 오일이 저장되는 조리케이스부(11)와, 조리케이스부(11)에 저장된 오일을 가열하는 조리히터부(12)와, 조리케이스부(11)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물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리스크래퍼부(13)와, 조리케이스부(11)의 단부 바닥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조리스크래퍼부(13)에 의해 이동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조리함몰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유로부(20)는 조리부(10)에 연결되어 오염된 오일을 이동시킨다. 일예로, 오염유로부(20)는 경사를 갖는 조리함몰부(14)의 저점에 연결되는 오염라인부(21)와, 오염라인부(21)를 강제 이동시키는 오염펌프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라인부(21)는 일단부가 조리함몰부(1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승강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부(30)는 오염유로부(20)와 연결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다. 상방에 배치되는 승강부(30)가 하강하여 밀착되는 받침부(40)는 승강부(30)로 유입되는 오일을 필터링한다. 일예로, 승강부(30)는 하측이 개구된 형상을 하고, 승강부(30)가 하강하여 받침부(40)에 안착되면, 승강부(30)의 내부 공간으로 오염된 오일이 공급된다. 이러한 오일은 받침부(40)를 통해 걸러진다.
정화유로부(50)는 받침부(40)와 조리부(10)를 연결하고, 필터링된 오일을 조리부(10)로 이동시킨다. 일예로, 정화유로부(50)는 받침부(40)의 하부와 조리케이스부(11)의 측부를 연결하는 정화라인부(51)와, 정화라인부(51)에 장착되어 필터링된 오일을 강제로 이송시는 정화펌프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필터부(60)는 승강부(30)와 받침부(40) 사이를 통과하면서 오일을 필터링한다. 일예로, 이동필터부(60)는 받침부(40)의 일측 상방에 배치되는 제1필터롤러부(61)와, 받침부(40)의 타측 하방에 배치되는 제2필터롤러부(62)와, 제1필터롤러부(61)에서 풀려 제2필터롤러부(62)에 감기고 받침부(40)를 통과하는 제3필터시트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필터시트부(63)가 받침부(40)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제4필터유도부(64)와, 받침부(40)를 통과한 제3필터시트부(63)가 제2필터롤러부(62)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제5필터유도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필터시트부(63)는 천연섬유, 화학섬유,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오염된 오일을 통과시키면서 오염물의 누적을 유도할 수 있다.
수거부(70)는 이동필터부(60)에 의해 이동되어 낙하되는 오염물을 수거한다. 일예로, 제5필터유도부(65)는 받침부(40)의 상측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제2필터롤러부(62) 보다 받침부(40)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필터시트부(63)가 제5필터유도부(65)를 통과하면, 제3필터시트부(63)에 안착된 오염물이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1)는 승강부(30)와, 받침부(40)와 이동필터부(50)를 커버하는 커버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80)는 오염유로부(20)와 정화유로부(50)가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되고, 제5필터유도부(65)는 커버부(8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80)에는 제3필터시트부(63)가 통과하도록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1)는 제3필터시트부(63)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거부(90)는 제5필터유도부(65)의 상방에 배치되어 덩어리 형태의 오염물을 타격하거나 에어를 분사하는 제1제거부(91)와, 제5필터유도부(65)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3필터시트부(63)에 밀착되어 제3필터시트부(63)에 부착된 오염물을 수거부(70)로 안내하는 제2제거부(9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30)는 승강작동부(31)와 승강덮개부(32)를 포함한다.
승강작동부(31)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어 승강덮개부(32)의 높이를 조절한다. 일예로, 승강작동부(31)는 커버부(80)에 장착되는 제1작동부(311)와, 제1작동부(311)에 장착되고 상하로 길이가 가변되는 제2작동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덮개부(32)는 승강작동부(31)에 의해 상하 이동되어 받침부(40)에서 이격되거나 받침부(40)에 안착된다. 승강덮개부(32)는 오염유로부(20)와 연결되며, 하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일예로, 승강덮개부(32)는 상측이 승각작동부(31)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1덮개부(321)와, 제1덮개부(321)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덮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30)는 승강실링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실링부(33)는 승강덮개부(32)에 형성되고, 받침부(40)에 밀착되어 누유를 차단한다. 일예로, 승강실링부(33)는 탄성재질을 포함하고, 고온의 오일에 변형되지 않는 재질을 포함하여 성형될 수 있다. 승강실링부(33)는 제2덮개부(322)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손상이나 변형되면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30)는 승강공압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공압부(34)는 승강덮개부(32)에 연결되어 승강덮개부(32) 내부에 공압을 제공한다. 일예로, 승강공압부(34)는 공압탱크부(341)와, 공압탱크부(341)와 제1덮개부(321)를 연결하는 공압라인부(342)와, 공압라인부(342)에 형성되는 공압조절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공압탱크부(341)에는 설정압의 공기가 저장되고, 커버부(8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공압라인부(342)는 이동되는 승강덮개부(32)와 대응되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공압조절부(343)는 공압탱크부(341)에 저장된 공기를 승강덮개부(32)로 강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압에 의해 승강덮개부(32)와 받침부(40) 사이에 저장된 오일이 신속하게 필터링될 수 있으며, 오염물의 건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40)는 받침지지부(41)와 받침걸름망부(42)를 포함한다.
받침지지부(41)는 상측이 개방되고, 정화유로부(50)와 연결된다. 이러한받침지지부(41)는 바닥 또는 커버부(8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받침지지부(41)는 사각띠 형상을 하여 상측이 개방되는 받침상부(411)와, 받침상부(4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경사면이 형성되어 일지점으로 수렴하는 받침하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하부(412)의 저점은 정화유로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받침걸름망부(42)는 받침지지부(41)의 상측을 커버하고, 오일을 걸러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걸름망부(42)는 망이동부(45)와 망장착부(46)를 포함한다.
망이동부(45)는 받침지지부(4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일예로, 망이동부(45)는 받침상부(411)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판부(451)와, 이동판부(451)를 받침상부(411)에 고정하는 이동스토퍼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판부(451)에는 망장착부(46)가 걸쳐지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망장착부(46)는 망이동부(45)에 탈부착되어 오일을 걸러낸다. 망장착부(46)는 망이동부(45)에 형성되는 홀 둘레를 따라 걸쳐질 수 있다. 일예로, 망장착부(46)는 망이동부(45)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장착될 수 있다. 망장착부(46)는 습식 빵가루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원형의 홀이 형성되는 제1망장착부(461)와, 건식 빵가루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격자 형상을 하는 제2망장착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망이동부(45)에는 복수개의 제1망장착부(461)가 연이어 배치되거나, 복수개의 제2망장착부(462)가 연이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망장착부(461)와 제2망장착부(462)가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망장착부(461)와 제2망장착부(462) 외에 조리되는 식품에 대응되도록 필터율이 상이한 다양한 망장착부(46)가 망이동부(45)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걸름망부(42)는 망삽입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망삽입부(47)는 망이동부(45)와 망장착부(46)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승강부(30)의 삽입을 유도한다. 일예로, 제3필터시트부(63)는 망삽입부(47)를 커버하고, 승강덮개부(32)의 하단부가 망삽입부(47)에 삽입되어 오일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승강덮개부(3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승강실링부(33)가 망삽입부(47)에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고온의 오일과 승강실링부(33)의 접촉을 억제하여 승강실링부(3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가 오일을 처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가 걸러진 이물질을 건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가 건조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지지부(41)에 장착되는 망이동부(45)에 망장착부(46)를 장착하여 받침하부(412)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망장착부(46)의 상측에 제3필터시트부(63)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승강덮개부(32)를 하강시켜 승강실링부(33)가 망삽입부(47)에 삽입되면, 제3필터시트부(63)가 승강실링부(33)를 감싸면서 망삽입부(47)에 삽입되어 승강실링부(33)를 고온의 오일로부터 보호하고, 제3필터시트부(63)의 유동을 방지하며, 승강덮개부(32)의 내부 밀폐력이 증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조리부(10)에서 식품이 조리되고, 조리 중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일은 오염유로부(20)에 의해 망장착부(46)와 승강덮개부(32) 사이 공간으로 공급된다.
망장착부(46)와 승강덮개부(32) 사이로 공급된 오일은 제3필터시트부(63)를 통과하면서 제3필터시트부(63)의 상측에 누적되고, 제3필터시트부(63)를 통과한 이물질은 망장착부(46)에서 걸러진다. 이때, 승강공압부(34)에서 제공되는 공압에 의해 오일의 필터링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망장착부(46)에서 걸러진 오일은 정화유로부(50)를 통해 조리부(10)로 재공급된다(도 5 참조).
제3필터시트부(63)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승강덮개부(32)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오염유로부(20)를 통한 오일 공급을 중단하고, 정화유로부(50)를 통한 조리부(10) 오일 공급은 지속한다. 그리고, 승강공압부(34)를 통해 제3필터시트부(63)에 누적된 이물질을 건조시킨다(도 6 참조).
제3필터시트부(63)에 누적된 이물질의 건조가 완료되면, 정화유로부(50)를 통한 조리부(10)로의 오일 공급은 중단되고, 승강덮개부(32)가 상승하여 이물이물질을 외부로 노출시킨다(도 7 참조).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면, 이동필터부(60)가 구동되어 누적된 이물질을 수거부(70)에서 회수한다. 그리고 이물질 회수가 완료되면, 오일을 필터링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한편, 망이동부(45)에는 복수개의 망장착부(46)가 연이어 배치되므로, 조리되는 식품 또는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 상태에 따라 망이동부(45)를 이동시켜 망장착부(46)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망장착부(46)가 막히는 경우 망이동부(45)를 이동시켜 다른 망장착부(46)가 필터링 작업을 하도록 하면서 오염된 망장착부(46)를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1)는 조리부(10)에서 식품을 조리하면서 발생되는 오염된 오일을 승강부(30)와 받침부(40) 사이 공간에서 필터링하여 조리부(10)로 재공급하고, 승강부(30)와 받침부(40) 사이에서 고착된 오염물은 이동필터부(60)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조리부 20 : 오염유로부
30 : 승강부 31 : 승강작동부
32 : 승강덮개부 33 : 승강실링부
34 : 승강공압부 40 : 받침부
41 : 받침지지부 42 : 받침걸름망부
45 : 망이동부 46 : 망장착부
47 : 망삽입부

Claims (3)

  1. 저장된 오일을 가열시켜 식품을 조리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에 연결되어 오염된 오일을 이동시키는 오염유로부;
    상기 오염유로부와 연결되고, 상하 이동 가능한 승강부;
    상기 승강부가 안착되고, 상기 승강부로 유입되는 오일을 필터링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조리부를 연결하고, 필터링된 오일을 상기 조리부로 이동시키는 정화유로부;
    상기 승강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오일을 필터링하는 이동필터부; 및
    상기 이동필터부에 의해 이동되어 낙하되는 오염물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상기 정화유로부와 연결되는 받침지지부; 및
    상기 받침지지부의 상측을 커버하고, 오일을 걸러내는 받침걸름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걸름망부는
    상기 받침지지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망이동부; 및
    상기 망이동부에 탈부착되어 오일을 걸러내는 하나 이상의 망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걸름망부는
    상기 망이동부와 상기 망장착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의 삽입을 유도하는 망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처리장치.
KR1020230111923A 2022-06-09 2023-08-25 오일 처리장치 KR10258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1923A KR102583901B1 (ko) 2022-06-09 2023-08-25 오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175A KR102592709B1 (ko) 2022-06-09 2022-06-09 오일 처리장치
KR1020230111923A KR102583901B1 (ko) 2022-06-09 2023-08-25 오일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175A Division KR102592709B1 (ko) 2022-06-09 2022-06-09 오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901B1 true KR102583901B1 (ko) 2023-09-26

Family

ID=8819082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175A KR102592709B1 (ko) 2022-06-09 2022-06-09 오일 처리장치
KR1020230111923A KR102583901B1 (ko) 2022-06-09 2023-08-25 오일 처리장치
KR1020230111922A KR102583902B1 (ko) 2022-06-09 2023-08-25 오일 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175A KR102592709B1 (ko) 2022-06-09 2022-06-09 오일 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1922A KR102583902B1 (ko) 2022-06-09 2023-08-25 오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927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87B1 (ko) * 2022-05-20 2022-12-21 주식회사 에이메카텍 여과지를 이용한 오일 필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221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포스코 섬유재질의 폐필터 탈유 및 절단처리장치
JP6072420B2 (ja) * 2012-02-29 2017-02-01 大阪瓦斯株式会社 フライヤー
KR101521640B1 (ko) * 2015-03-09 2015-05-28 정철식 오일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787B1 (ko) * 2022-05-20 2022-12-21 주식회사 에이메카텍 여과지를 이용한 오일 필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902B1 (ko) 2023-09-26
KR102592709B1 (ko)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8985A (en) Cooking oil filtering apparatus
US9211038B2 (en) Cooking appliance with electric immersion resistor comprising a cooking vapor suction device
JP3380507B2 (ja) パン粉付き食品用フライ料理器具
RU2345695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коворода
US20100000418A1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lid with viewing window
US5469778A (en) Fryer basket lift
KR102583901B1 (ko) 오일 처리장치
KR102323717B1 (ko) 밀폐형 무연 자동 튀김장치
JP7058598B2 (ja) 自動フライヤ
KR101211833B1 (ko) 튀김기
KR102291053B1 (ko) 튀김장치
KR101147287B1 (ko) 튀김 기름용 여과장치
CN213215062U (zh) 一种烧鸡油炸装置
CN207305905U (zh) 一种高效环保油炸机
JP6072420B2 (ja) フライヤー
KR101634504B1 (ko) 자동식 튀김기
KR101081371B1 (ko) 박스형 오일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여과지 고정틀
CN204016023U (zh) 一种烹饪器具及用于该烹饪器具的烟过滤系统
KR101822579B1 (ko) 튀김기의 찌꺼기 제거장치
KR102555221B1 (ko) 식품 제조장치
KR102591780B1 (ko) 식품 제조장치
KR102601300B1 (ko) 오일 처리장치
KR102555222B1 (ko) 식품 제조장치
KR102646744B1 (ko) 환기 유도덕트를 갖는 조리용솥
KR102601301B1 (ko) 오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