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301B1 - 오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301B1
KR102601301B1 KR1020230088814A KR20230088814A KR102601301B1 KR 102601301 B1 KR102601301 B1 KR 102601301B1 KR 1020230088814 A KR1020230088814 A KR 1020230088814A KR 20230088814 A KR20230088814 A KR 20230088814A KR 102601301 B1 KR102601301 B1 KR 10260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supply
recovery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230088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오일을 통과시키는 받침부와,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받침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와, 승강부와 받침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오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일 처리장치{OIL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오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오일을 필터링하여 식품 조리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오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고기 튀김 요리는 닭을 조각내고 밀가루 등을 묻혀서 끓는 튀김유에 튀긴 음식으로서, 프라이드치킨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닭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세척, 염지, 베터링, 브래딩, 칼집, 튀기기, 굽기 등의 여러 조리 단계를 거침으로써 완료된다.
한편, 최근에는 튀김 요리로 육류 외에 각종 야채를 사용하는데, 식감 유지를 위해 감자나 고구마와 같은 야채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고, 밀가루와 함께 혼합한 후 오일에 투입하여 조리한다.
그러나, 조리탱크에서 가열된 오일에 식품이 투입되어 조리되는 과정에서 오일이 오염되며, 이러한 오염원이 오일을 보다 신속하게 오염시키되므로, 소정 조리 횟수 이후에는 조리탱크에 저장된 오일을 모두 폐기 처분 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0812호(2020.10.21. 등록, 발명의 명칭 : 자동 튀김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식품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오일을 필터링하여 식품 조리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오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오일을 통과시키는 받침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오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필터공급부; 상기 필터공급부에서 풀려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며,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시트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부를 통과한 상기 필터시트부가 감기는 필터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공급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권취된 상기 필터시트부를 풀어주도록 회전 가능한 공급회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시트부와 접촉되어 상기 필터시트부의 배출 길이를 측정하는 공급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공급부는 상기 프레임부 또는 상기 공급측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공급회전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공급제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공급부는 상기 공급제동부에 장착되어 하중을 제공하는 공급하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회수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회수회전부; 상기 회수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수구동부;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회수회전부를 연결하고, 상기 필터시트부가 감기며, 이격된 복수개의 회수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회수부는 상기 회수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이웃한 상기 회수연결부 사이 거리를 유지시키는 회수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는 식품을 조리하면서 발생되는 오염된 오일이 승강부와 받침부 사이 공간에서 필터링되어 재사용되고, 승강부와 받침부 사이에서 고착된 오염물은 필터부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슬릿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회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회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1)는 프레임부(10)와, 받침부(20)와, 승강부(30)와, 필터부(40)와, 저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오일 처리장치(1)의 뼈대를 형성하여, 받침부(20)와, 승강부(30)와, 필터부(40)와, 저장부(50)가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작업환경 또는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필요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받침부(20)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어 오일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일예로, 받침부(20)는 프레임부(10)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받침부(20)는 오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30)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고, 받침부(20)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일예로, 승강부(30)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고 받침부(2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부(30)가 하강하여 받침부(20)에 밀착되면, 승강부(30) 내부에 오일이 일시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30)의 내부 공간으로 오염된 오일이 공급되면, 필터부(40)와 받침부(2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필터부(40)는 받침부(20)에 안착되어 오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일예로, 필터부(40)는 프레임부(10)의 일측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리고, 프레임부(10)의 타측에서 감기면서 회수될 수 있다. 필터부(40)는 받침부(20)와 승강부(3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필터부(40)가 받침부(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승강부(30)가 하강하여 오일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저장부(50)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고, 필터부(40)에서 걸러지고, 받침부(20)를 통과한 오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저장부(50)는 받침부(20)의 하방에 배치되고, 받침부(20)를 통과한 오일이 설정수위에 도달하도록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미도시한 조리부는 저장된 오일을 가열시켜 식품을 조리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부는 승강부(30)와 연결되어 오염된 오일을 승강부(30)로 공급하고, 저장부(50)와 연결되어 정화된 오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슬릿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20)는 받침틀부(21)와 받침슬릿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틀부(21)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받침틀부(21)는 프레임부(10)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받침부(20)의 테두리가 될 수 있다. 받침틀부(21)는 직사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받침슬릿부(22)는 받침틀부(21)의 내측에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필터부(40)를 지지하고 오일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일예로, 받침슬릿부(22)는 필터부(40)의 이동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필터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그 외, 받침슬릿부(22)는 필터부(4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복수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필터부(40)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슬릿부(22)는 단면이 역삼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일예로, 받침슬릿부(22)는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 보다 넓은 역삼각형 형상을 하여, 이웃한 받침슬릿부(22)와 촘촘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받침슬릿부(22)가 필터부(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필터부(40)를 통과한 이물질 일부가 받침슬릿부(22)에 걸려 통과가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슬릿부(22)의 상부를 통과한 오일은 받침슬릿부(22) 사이 간격이 늘어나 신속하게 하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30)는 승강지지부(31)와, 승강가변부(32)와, 승강덮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지지부(31)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개의 승강지지부(31)는 하단부가 프레임부(10)에 고정 설치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막대부(311)와, 지지막대부(31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받침부(20)의 상방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상판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막대부(311)는 받침틀부(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가변부(32)는 승강지지부(31)에 장착되고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일예로, 승강가변부(32)는 지지상판부(312)에 장착되고, 상하로 길이가 가변되어 승강덮개부(3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승강덮개부(33)는 승강가변부(32)에 연결되고, 승강가변부(32)의 길이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받침부(20)에서 이격되거나 받침부(20)에 안착되고, 하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승강덮개부(33)는 승강가변부(32)에 결합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덮개상판부(331)와, 덮개상판부(331)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덮개상판부(331)가 하강하면 받침부(20)에 안착되는 덮개측판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측판부(332)의 저면에는 덮개실링부(333)가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마주보는 덮개측판부(333)를 연결하는 덮개보강부(334)에 의해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승강가변부(32)로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압실린더는 공압실린더 보다 고온의 오일에 대한 작업시 장점이 있다.
즉, 공압실린더는 승강덮개부(33)의 내부 공간에 압력이 순간 과상승하거나 변동 압력에 대응하기 어렵고, 180도 이상의 오일이 불균질 과압되었을 때 온도에 따른 압력 변화로 틈새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나, 유압실린더는 이를 방지하고 압력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공압실린더는 외부가 고무 재질로 되어 있어 고온의 오일에 의한 뜨거운 열기로 인해 변형이 심해지면 성능 및 수명이 단축되지만, 유압실린더는 외부가 강건하고 안전한 구조를 갖추어 시스템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공압실린더는 대부분 설비가 설치되는 공장 전체 배관내 압력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압력 변동이나 전원이 소실 되었을 때 설비 작동에 위험을 초래하고 승강덮개부(33)의 내부 공간 내에서 누설된 발연점 온도를 넘어선 오일의 경우 대형 화재를 유발 할 수도 있지만, 유압실린더는 독립적으로 시스템이 작동하기 때문에 전원이 소실되어도 안전 체크 벨브와 더불어 승강덮개부(33)의 내부 공간에 대한 실링 상태를 유지하여 고온의 오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공압실린더는 공기탱크 등 부품의 폭발 위험성을 안고 있으므로 고압으로 사용하기 어렵지만, 유압실린더는 공압실린더와 비교하여 고압을 사용하기에 강한 힘을 낼 수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가 좌우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면, 승강덮개부(33)에 균일한 가압력을 제공하므로, 승강덮개부(33)의 내부 과압이나 이상 압력 파동에 의한 모서리 부위, 가장자리에서의 오일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부는 승강오일부(34)와 승강압력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오일부(34)는 승강덮개부(33)에 연결되어 승강덮개부(33)의 내부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덮개상판부(331)에는 오일홀부(391)가 형성되고, 조리 후 오염된 오일을 오일홀부(391)로 안내하는 승강오일부(34)를 통해 승강덮개부(33)의 내부로 오염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다.
승강압력부(35)는 승강덮개부(33)에 장착되어 승강덮개부(33)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승강압력부(35)는 제1압력부(351)와 제2압력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상판부(331)에는 제1홀부(381)가 형성되고, 제1압력부(351)가 제1홀부(381)를 개폐할 수 있다. 덮개상판부(331)에는 제2홀부(382)가 형성되고, 제2압력부(352)가 제2홀부(382)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여 승강덮개부(33)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2홀부(382)를 통해 공급된 유체는 제2홀부(382)의 하방에 배치되는 덮개분산부(335)에 의해 분산되어 오일을 균일하게 압박할 수 있다.
즉, 덮개상판부(331)가 하강하여 덮개측판부(332)가 받침부(20)에 밀착되면, 오일홀부(391)를 통해 오염된 오일이 공급된다. 그리고, 제1홀부(381)가 폐쇄되어 승강덮개부(33)와 받침부(20)에 의해 내부 공간이 밀폐되면, 제2홀부(382)를 통해 유입된 유체로 인해 승강덮개부(33)의 내부 압력이 상승한다. 이로 인해 오일이 필터부(40)와 받침부(20)를 순차로 통과하여 저장부(50)에 저장되고, 필터부(40)와 받침부(2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때, 제2홀부(382)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필터부(40)에 걸러진 이물질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이물질 건조가 완료되면 제1홀부(381)가 개방되어 승강덮개부(33)의 내부 압력을 낮추고, 덮개상판부(331)가 상승하여 덮개측판부(332)가 받침부(20)에서 이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50)는 저장탱크부(51)와, 저장연결부(52)와, 저장부유부(53)와, 저장감지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부(51)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고, 받침부(20)를 통과한 오일을 수거할 수 있다. 일예로, 탱크부(51)는 프레임부(10) 또는 받침부(20)의 하부에 장착되고 받침부(20)를 통과한 오일을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탱크유도부(511)와, 탱크유도부(5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오일을 저장하는 탱크보관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보관부(512)는 미도시한 조리부와 연결되어 오일을 조리부로 재공급할 수 있다.
저장연결부(52)는 저장탱크부(51)에 연결되어 오일을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저장연결부(52)는 탱크보관부(512)의 하부와 연결되고 절곡되어 오일을 안내하는 제1연결부(521)와, 제1연결부(521)와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연결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522)는 탱크보관부(512)의 고점과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저장부유부(53)는 저장연결부(52)에 삽입되고, 오일에서 떠다닐 수 있다. 일예로, 저장부유부(53)는 상측이 개구된 관형상을 하는 제2연결부(522)에 삽입되고, 제2연결부(522)에 저장되는 오일의 수위에 따라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유부(53)는 오일에 떠 있으므로, 저장연결부(52)의 내벽에 눌러붙지 않고 안정적인 상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저장감지부(54)는 저장연결부(52)에 장착되고, 저장부유부(53)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저장감지부(54)는 제2연결부(522)의 외벽에 장착되고 상하로 길이를 갖는 감지판부(541)와, 감지판부(541)에 장착되고 저장부유부(53)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부(542)는 상하로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저장부유부(53)의 고점이나 저점을 탐지하여 오일의 수위를 판별할 수 있다. 오일의 수위가 설정된 최고점에 도달하는 경우, 별도의 알림수단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주거나 저장탱크부(51)에 저장된 오일이 식품을 조리하도록 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0)는 필터공급부(60)와, 필터시트부(70)와, 필터회수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공급부(60)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필터공급부(60)는 도 8을 기준으로 프레임부(10)의 좌측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필터공급부(60)에는 필터시트부(70)가 감겨 있고, 오일 처리를 위해 권취된 필터시트부(70)가 필러공급부(60)에서 풀려 받침부(20)에 안착될 수 있다.
필터시트부(70)는 필터공급부(60)에서 풀려 받침부(20)에 안착되며,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일예로, 필터시트부(70)는 천연섬유, 화학섬유, 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오염된 오일을 통과시키면서 오염물의 누적을 유도할 수 있다.
필터회수부(80)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고, 받침부(20)를 통과한 필터시트부(70)가 감길 수 있다. 일예로, 필터회수부(80)는 ??터시트부(70)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하고, 필터시트부(70)를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필터회수부(80)는 도 8을 기준으로 프레임부(10)의 우측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공급부(60)는 공급회전부(61)와, 공급측정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회전부(61)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고, 권취된 필터시트부(70)를 풀어주도록 회전 가능하다. 일예로, 공급회전부(61)는 필터시트부(70)의 장력에 의해 회전되거나, 자체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공급측정부(62)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고, 필터시트부(70)와 접촉되어 필터시트부(70)의 배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측정부(62)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는 측정지지부(621)와, 측정지지부(621)에 장착되고 필터시트부(70)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한 측정회전부(622)와, 측정회전부(622)의 회전을 감지하여 필터시트부(70)의 배출 길이를 계측하는 측정계측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계측부(623)로는 엔코더가 사용될 수 있다. 필터시트부(70)가 필터공급부(60)에서 지속적으로 풀리면, 필터공급부(60)에 권취된 필터시트부(70)의 권취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측정계측부(623)의 신호에 따라 필터시트부(70)가 설정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공급부(60)는 공급제동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제동부(63)는 프레임부(10) 또는 공급측정부(6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공급회전부(61)에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제동부(63)는 측정지지부(6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동회전부(631)와, 제동회전부(631)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하여 공급회전부(61)의 회전축 또는 공급회전부(61)에 감긴 필터시트부(70)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동접촉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공급부(60)는 공급하중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하중부(64)는 공급제동부(63)에 장착되어 하중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하중부(64)는 제동접촉부(632)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하중돌기부(641)와, 하중돌기부(641)에 걸림 고정되고 자체 하중에 의해 공급제동부(63) 자체 가압력을 증대시키는 하중몸체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중몸체부(642)는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하중을 갖도록 교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회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회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회수부(80)는 회수회전부(81)와, 회수구동부(82)와, 회수연결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회수회전부(81)는 프레임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회수회전부(81)는 프레임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수회전축부(811)와, 회수회전축부(811)에 연결되는 회수회전판부(812)와, 회수회전판부(812)에 장착되는 회수회전장착부(8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구동부(82)는 회수회전부(8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예로, 회수구동부(82)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고, 한 쌍의 회수회전부(81)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회수회전부(8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수구동부(82)는 공급측정부(62)의 측정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회수연결부(83)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회수회전부(81)를 연결하고, 필터시트부(70)가 감기도록 복수개가 이격될 수 있다. 일예로, 한 쌍의 회수연결부(83)는 양단부가 회수회전장착부(813)에 조립될 수 있다. 회수연결부(83)에서 필터시트부(70)의 권취가 완료되면, 회수연결부(83)를 회수회전부(81)에서 분리하고 필터시트부(70)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회수부(80)는 회수유지부(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유지부((84)는 회수연결부(83) 사이에 배치되고, 이웃한 회수연결부(83) 사이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일예로, 회수유지부(84)는 어느 하나의 회수연결부(83)에 조립되고, 다른 하나의 회수연결부(83)에 밀착되어 회수연결부(83) 사이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시트부(80)가 회수연결부(83)에 감기는 과정에서 회수연결부(8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터공급부(60)에 권취된 필터시트부(70)를 필터회수부(80)에 연결하고, 필터회수부(80)를 구동시켜 필터시트부(70)를 받침부(20)에 안착시킨다.
필터시트부(70)가 받침부(20)에 안착되면, 승강덮개부(33)를 하강시켜 받침부(20)에 밀착시킨다. 이로 인해 필터시트부(70)의 유동을 방지하고 승강덮개부(33)의 내부가 밀폐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조리 중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일이 승강덮개부(33)의 내부로 공급된다. 승강덮개부(33) 내부로 공급된 오일은 필터시트부(70)를 통과하되, 필터시트부(70)의 상측에 이물질이 누적되고, 필터시트부(70)를 통과한 이물질은 받침슬릿부(22)에서 추가로 걸러진다. 이때, 승강공압부(35)에서 제공되는 공압에 의해 오일의 필터링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받침부(20)에서 정화된 오일은 저장부(50)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조리를 위해 배출될 수 있다.
필터시트부(70)에 이물질이 누적되어 승강덮개부(33)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오일 공급을 중단하고, 승강공압부(35)를 통해 필터시트부(70)에 누적된 이물질을 건조시킨다.
필터시트부(70)에 누적된 이물질의 건조가 완료되면, 승강덮개부(33)가 상승하고, 필터회수부(80)가 필터시트부(70)를 회수한다. 이때, 필터시트부(70)에 누적된 이물질은 별도로 제거되어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회수가 완료되면, 오일을 필터링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 처리장치(1)는 식품을 조리하면서 발생되는 오염된 오일이 승강부(30)와 받침부(20) 사이 공간에서 필터링되어 재사용되고, 승강부(30)와 받침부(20) 사이에서 고착된 오염물은 필터부(40)를 통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부 20 : 받침부
21 : 받침틀부 22 : 받침슬릿부
30 : 승강부 31 : 승강지지부
32 : 승강가변부 33 : 승강덮개부
34 : 승강오일부 35 : 승강공압부
50 : 저장부 51 : 저장탱크부
52 : 저장연결부 53 : 저장부유부
54 : 저장감지부 60 : 필터공급부
61 : 공급회전부 62 : 공급측정부
63 : 공급제동부 64 : 공급하중부
70 : 필터시트부 80 : 필터회수부
81 : 회수회전부 82 : 회수구동부
83 : 회수연결부

Claims (7)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어 오일을 통과시키는 받침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를 통과하면서 오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필터공급부;
    상기 필터공급부에서 풀려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며,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시트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받침부를 통과한 상기 필터시트부가 감기는 필터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공급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권취된 상기 필터시트부를 풀어주도록 회전 가능한 공급회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필터시트부와 접촉되어 상기 필터시트부의 배출 길이를 측정하는 공급측정부;
    상기 프레임부 또는 상기 공급측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공급회전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공급제동부; 및
    상기 공급제동부에 장착되어 하중을 제공하는 공급하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제동부는
    상기 공급측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동회전부; 및
    상기 제동회전부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급회전부의 회전축 또는 상기 공급회전부에 감긴 상기 필터시트부와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동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하중부는
    상기 제동접촉부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하중돌기부; 및
    상기 하중돌기부에 걸림 고정되고,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공급제동부 자체 가압력을 증대시키는 하중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수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한 쌍의 회수회전부;
    상기 회수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수구동부; 및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회수회전부를 연결하고, 상기 필터시트부가 감기며, 이격된 복수개의 회수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수부는
    상기 회수연결부 사이에 배치되고, 이웃한 상기 회수연결부 사이 거리를 유지시키는 회수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처리장치.
KR1020230088814A 2023-07-10 2023-07-10 오일 처리장치 KR102601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14A KR102601301B1 (ko) 2023-07-10 2023-07-10 오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14A KR102601301B1 (ko) 2023-07-10 2023-07-10 오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301B1 true KR102601301B1 (ko) 2023-11-14

Family

ID=8874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814A KR102601301B1 (ko) 2023-07-10 2023-07-10 오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3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265Y1 (ko) * 2002-11-07 2003-02-15 유천이엔씨 (주) 오,폐수처리용 탈수기의 스크레이퍼
KR20180056280A (ko) * 2016-11-18 2018-05-28 유다은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2479787B1 (ko) * 2022-05-20 2022-12-21 주식회사 에이메카텍 여과지를 이용한 오일 필터장치
KR102487624B1 (ko) * 2022-07-25 2023-01-11 이규호 필름공급롤러 브레이크가 구비된 포장필름검수기
KR20230104486A (ko) * 2021-12-30 2023-07-10 제이에스이엔지(주) 롤 필터 프레스의 여과포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265Y1 (ko) * 2002-11-07 2003-02-15 유천이엔씨 (주) 오,폐수처리용 탈수기의 스크레이퍼
KR20180056280A (ko) * 2016-11-18 2018-05-28 유다은 연속 사용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20230104486A (ko) * 2021-12-30 2023-07-10 제이에스이엔지(주) 롤 필터 프레스의 여과포 제어 시스템
KR102479787B1 (ko) * 2022-05-20 2022-12-21 주식회사 에이메카텍 여과지를 이용한 오일 필터장치
KR102487624B1 (ko) * 2022-07-25 2023-01-11 이규호 필름공급롤러 브레이크가 구비된 포장필름검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4455A (en) Double-density commercial filtering system
US7913854B2 (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with simplified filter belt indexing and sealing
KR102601301B1 (ko) 오일 처리장치
KR102601300B1 (ko) 오일 처리장치
EP0598740A1 (en) Cooking oil filtering apparatus
US20090308818A1 (en) Solid separator
US20130109286A1 (en)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Feet of Poultry
US4081375A (en) Filter belt construction
US5195426A (en) Cheese brining system with collapsible racks
KR102624733B1 (ko) 에어 흡착을 이용한 종량제 및 폐비닐 봉지 선별기
US5439601A (en) Method of filtering using a commercial filtering system
WO2018084701A1 (en) System for filtering a liqui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and roll replacement method
US3310172A (en) Apparatus for filtering liquid
US7931804B2 (en) Filter assembly for frying oil or other liquids and an associated valve assembly
US6113778A (en) Pressure plate filter with horizontal filter plates
KR102583901B1 (ko) 오일 처리장치
US20170182789A1 (en) Automatic Air Vent
CN209684262U (zh) 一种实验室安全存储箱
CA1226822A (en) Automatic indexer for industrial filters
CN220321802U (zh) 一种食品沥干设备
CN209527821U (zh) 高效滚筒土豆清洗机
CN218210451U (zh) 一种食品滚动加工机械
CN218600780U (zh) 一种方便食品密封检测机
CN212299841U (zh) 一种豆腐干的烘干设备
CN214119062U (zh) 一种具有自动检测功能的呼吸阀及贮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