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750B1 - 자동차용 라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라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750B1
KR102581750B1 KR1020180075725A KR20180075725A KR102581750B1 KR 102581750 B1 KR102581750 B1 KR 102581750B1 KR 1020180075725 A KR1020180075725 A KR 1020180075725A KR 20180075725 A KR20180075725 A KR 20180075725A KR 102581750 B1 KR102581750 B1 KR 10258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contrast
vehicle
intensit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409A (ko
Inventor
바네싸 싼체
코스타딘 비브
에릭 란디에치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비젼 filed Critical 발레오 비젼
Publication of KR2019000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4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in front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B60K2350/10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4Variable non-standard intensity, i.e. emission of various beam intensities different from standard intensities, e.g. continuous or stepped transitions of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8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non-standard' camera systems, e.g. camera sensor used for additional purposes i.a. rain sensor, camera sensor split in multiple image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으로서,
-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을 취득하는 취득 장치(3),
-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광경을 조명하는 제 1 광 빔을 방출하기에 적합한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조명 장치(1),
- 차량의 전방에서 규제 시그널링 및/또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광 빔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조명 장치(2),
-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C0)로 지칭되는 제 1 콘트라스트 값이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낮을 경우에 제 1 조명 장치(1)를 점등하는 제어 유닛(4)을 포함하고,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은 변조된 조명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그 변조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 지각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라이트 시스템{LIGHT SYSTEM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용 라이트 시스템 및 라이트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일반적으로 야간에, 또는 광휘(luminosity)가 낮아질 때, 즉 예를 들어 터널 안, 지하 주차장 안, 새벽, 황혼, 흐린 날씨 등과 같이 주변 광휘가 낮거나, 심지어 불충분할 때, 차량 전방의 도로를 조명하도록 의도된 라이트 유닛이 장착된다. 자동차에는, 대개 교통 상황에 따라 라이트 유닛에 의해 방출되는 광 빔의 형태를 조정하는 운전 보조 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운전 보조 기능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의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한, 예를 들어 카메라와 같은 취득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특히 차량의 전방에서, 차량이 위치되는 차선의 가장자리를 표시하는 스트립을 검출해서, 차량의 궤적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또는 표시 스트립을 넘어가는 경우 차량 내의 시스템이 경보를 전송해서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취득 장치는 또한, 충분한 안전 거리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차량과 앞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취득 장치는 도로 상의 다른 차량의 존재를 검출하고 다른 차량의 운전자의 눈이 부시게 하지 않도록 투영 빔을 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야간에 또는 광휘가 낮아질 때, 그리고 우천시 또는 도로가 젖어있을 때에는, 도로 표시의 시인성, 특히 차량이 위치되는 차선의 가장자리를 표시하는 스트립의 시인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수막은 표시 스트립을 덮어서, 특히 프레넬(Fresnel) 손실의 영향을 통해 운전자는 물론 취득 장치를 위한 표시 스트립의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표시 스트립의 보다 양호한 시인성을 얻기 위한 해법의 하나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의 조명을 증가시키는 것에 있다. 그러나, 이 조명의 증가는 카메라가 광경의 보다 양호한 시인성을 갖게 하도록 상당해야만 하고, 그에 따라 수막에 대한 광의 반사로 인해 차량 운전자가 방해받고, 또한 다가오고 있는 차량 또는 앞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의 눈을 부시게 하기 때문에, 이 해법은 만족스럽지 않다. 이런 이유로, 운전자들은 자신의 운전을 방해받고, 그에 따라 그들의 안전이 위협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에 또는 광휘가 낮아질 때, 그리고 우천시에 또는 도로가 젖어 있을 때, 취득 장치에 대하여,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의 시인성을 증가시키는 한편, 종래의 해법의 결점을 보이지 않는 라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이 제공되고, 해당 시스템은:
-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을 취득하는 취득 장치,
-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광경을 조명하는 제 1 강도의 제 1 광 빔을 방출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조명 장치,
- 차량의 전방에서 규제 시그널링 및/또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강도의 제 2 광 빔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조명 장치,
-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raw contrast)로 지칭되는 제 1 콘트라스트 값이 소정의(predefined) 임계 콘트라스트보다 낮을 경우에 제 1 조명 장치를 점등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은 변조된 조명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그 변조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 지각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를 방해하지 않고, 또한 다가오고 있는 차량 또는 앞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의 눈이 부시게 하지 않고,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이 취득 장치에 시인될 수 있다. 이는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를 운전자가 지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운전자가 지각하는 평균 강도는, 이미지 센서가 보다 양호한 콘트라스트로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게 하는 변조 동안 제 1 조명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최대 강도보다 훨씬 낮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관찰자(external observer)"는 다가오고 있는 차량 또는 앞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 이들 차량의 승객 및 도로변 또는 도로 상의 보행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조명의 변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는, 광원의 강도 변화가 운전자에게 지각될 수 없도록,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파장으로 인해 또는 눈이 깜박임(flickering)을 지각하는 시간보다 짧은 지속기간에 걸친 광원의 강도 변화로 인해, 운전자에게 지각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50 Hz와 동일하거나, 또는 75 Hz보다 큰, 차단 주파수라고 불리는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에서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는, 인간의 눈이 강도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1/50 초, 바람직하게는 1/75 초와 동일한, 눈의 깜박임 지각 시간이라고 불리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걸쳐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는, 눈이 강도 변화를 지각하지 못한다.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는,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파장을 감지하거나 및/또는 광원의 강도가 가장 높은 변조 순간에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는, 취득 장치에서 지각된다.
본 출원인이 알고 있는 한, 현재로서는, 차량 운전자가, 또는 다가오고 있는 차량 또는 앞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가 광경의 조명을 지각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야간에 및 우천시에 취득 장치에 대하여 표시 스트립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는다.
차량 전방의 규제 시그널링 및/또는 조명 기능은 상향등(high beam), 하향등(low beam) 또는 위치등(position light) 기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 의하면, 관심사는 젖은 도로 상의 교통 상황 및 광휘가 낮아질 때 또는 야간의 교통 상황이고; 그에 따라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기 전이어도 제 2 조명 장치가 점등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시스템은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용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이 처리 유닛은 취득 장치에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예시에 있어서, 제 1 조명 장치는 적외광의 광원, 및 적외광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광원은 하나 이상의 광 이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적외광의 광원은, 운전자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을 취득 장치, 특히 이미지 센서가 시인할 수 있게 하는 광 빔을 방출한다. 이는, 제 1 장치의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적외광이 인간의 눈에는 지각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를 운전자가 지각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자신의 운전을 방해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다가오고 있는 차량 또는 앞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가 눈이 부실 일도 없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는 적외광을 감지한다. 따라서, 이 적외광의 기여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킨다.
적외광의 광원은 상기 광경을 단속적으로 조명하도록 광 빔을 간헐적으로 방출하는 것에 의해 변조된 조명을 생성할 수 있다. 적외광의 광원은 연속적으로 점등 및 소등된다.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은 적외광의 광원이 점등되어 광 빔을 방출할 때 취득 장치에 시인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취득은 제 1 광 빔의 방출과 동기화된다.
적외광의 광원은 광 빔을 연속적으로 방출하는 것에 의해 변조된 조명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광의 광원은 상기 광경을 상시적으로(permanently) 조명하도록 상시적으로 점등된다. 적외광의 광원은, 광도(luminous intensity)가 일정하며 양(positive)의 공칭 강도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제 1 부분, 및 광도가 공칭 강도보다 높으며 이미지 센서에 의한 이미지의 취득 지속기간보다 긴 지속기간을 갖는 제 2 부분을 나타내는 주기적인 광도 프로파일을 가진 광 빔을 방출할 수 있고, 두 부분의 지속기간의 합은 한 주기의 지속기간과 동일하다.
이미지 센서에 의한 이미지의 취득의 지속기간은, 예를 들어 33 ms 미만일 수 있으며, 16 ms 미만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은 상시적으로 조명되고, 특히 주기적인 광 빔의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 동안 이미지 센서에 의해 시인된다. 그래서, 취득 장치가 이 제 2 부분 동안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제 1 부분 동안, 적외광의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광 빔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만큼 충분히 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동물이나 사람과 같이, 도로 상의 또는 그 인접 주변에 있는 생물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과 같은 다른 목적에 이용될 수는 있다.
제 2 예시에 있어서, 제 1 조명 장치는 가시광의 광원을 포함한다. 라이트 시스템은 또한, 제 1 조명 장치의 가시광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가 운전자에게 지각되지 않도록, 제 1 조명 장치와 제 2 조명 장치의 광 빔들의 제 1 및 제 2 강도를 보상하는 보상 장치를 포함한다.
이 제 2 예시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는 가시광의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가시광을 감지한다.
제 1 및 제 2 강도를 보상하기 위해, 보상 장치는 제 1 및/또는 제 2 광도를 제어한다.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조명 장치와 제 2 조명 장치는 별개의 장치이다.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는 경우, 가시광의 광원은, 광도가 일정하며 양의 또는 닐(nil) 공칭 강도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제 1 부분, 및 광도가 공칭 강도보다 높은 제 2 부분을 나타내는 주기적인 광도 프로파일을 가진 제 1 주기적 광 빔을 방출할 수 있고, 두 부분의 지속기간의 합은 한 주기의 지속기간과 동일하고, 한 주기의 지속기간은 인간의 눈의 깜박임 지각 시간보다 짧으며, 보상 장치는 제 1 및 제 2 강도를 보상하도록 제 2 강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문맥에 있어서,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기 전이어도 제 2 조명 장치가 점등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보상 장치는,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로부터의 광 빔들의 중첩에 기인하는, 도로 상에 투영되는 빔의 평균 강도가 제 1 조명 장치가 활성화되는 전체 시간에 걸쳐 동일하도록 제 2 강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는 운전자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 지각되지 않는다.
제 2 변형예에 따르면, 제 1 조명 장치와 제 2 조명 장치가 병합된다.
필요에 따라,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은 제 2 조명 장치의 광원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라이트 시스템은 보다 작은 사이즈로 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지 않는 경우, 이는 해당 장치에 의해 발광되는 광 빔이 제 2 광 빔에 대응함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해당 장치는 도로를 조명하는 것이다.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는 경우, 제 1 광 빔은 제 2 광 빔에 중첩되는 상태에 이른다. 제 1 조명 장치의 활성화는 제 1 조명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 2 조명 장치의 구동을 수정하는 것에 대응한다.
유리하게는, 보상 장치는, 광도가 일정하며 양의 공칭 강도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제 1 부분, 광도가 공칭 강도보다 높은 제 2 부분, 및 광 빔의 평균 강도가 일정하며 한 주기에 걸쳐 공칭 강도와 동일하도록 지속기간에 걸쳐 광도가 공칭 강도보다 낮은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제 3 부분을 나타내는 주기적인 광도 프로파일을 가진 광 빔을 방출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가시광의 광원을 구동하고, 세 부분 각각의 지속기간의 합은 한 주기의 지속기간과 동일하고, 보상 시간이라고 불리는 제 2 및 제 3 부분의 지속기간의 합은 인간의 눈의 깜박임 지각 시간보다 짧다.
보상 시간은 인간의 눈에 변조가 지각되지 않도록 깜박임 지각 시간에 대비하여 짧아야만 한다. 따라서, 보상 시간은 1/50 초보다 짧아야 하고, 1/75 초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공칭 강도는 제 2 강도와 동일하다.
유리하게는, 제 1 장치의 광원이 주기적인 광도 프로파일을 가진 광 빔을 방출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취득은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과 동기화된다.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과 동기화된다(synchronized with the second part of the luminous intensity profile)"는 구문은 이미지 센서에 의한 이미지의 취득이 실질적으로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과 동시에 기동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미지 센서에 의한 이미지의 취득은 취득 장치에 의존하는 결정된 지속기간에 걸쳐 수행된다. 이 결정된 지속기간의 적어도 일부가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이 방출되는 순간에 발생하는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결정된 지속기간의 전부가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이 방출되는 순간에 발생하는 것이 필요하다.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은 광도 프로파일의 나머지 부분 전부의 광도보다 큰 광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도로는 보다 잘 조명되고, 이로써 취득 장치, 특히 이미지 센서가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의 보다 양호한 시인성을 갖는 것이 가능해진다. 광경이 보다 잘 조명되기 때문에, 포착되는 이미지는 센서로부터의 노이즈에 의한 간섭으로부터 받는 영향이 적다. 따라서,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 동안 포착된 이미지에 대한 보다 양호한 신호 대 잡음비가 존재하고, 이는 보다 양호한 콘트라스트를 가진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은 P-편광(P-polarized light)을 방출한다. P-편광은 도로 상에 형성되는 수막과 공기 사이의 계면에서 비편광(unpolarized light)보다 적게 반사된다. 그러므로, P-편광은 수막을 보다 잘 통과하고, 정해진 강도에 대해서는, 방출된 광의 대부분이 도로 상에서 반사되며, 이로써 운전자가 도로를 보다 잘 볼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제 1 조명 장치는 편광을 방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형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광원에 의해 방출된 빔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편광기를 도입해야만 하는 것이 회피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관계 없이, 제 1 조명 장치에 의해, 취득 장치에 대하여 표시 스트립 및/또는 도로 표시의 보다 양호한 시인성이 얻어진다. "보다 양호한 시인성(better visibility)"이라는 표현은, 취득 장치가 차량 가까이에 위치된 표시 스트립 및/또는 도로 표시를 더욱 명확하게 검출하는 한편, 광경의 조명이 증가되기 전에는 검출하지 못했던 표시 스트립 및/또는 도로 표시도 검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리하게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며 취득 장치에 의해 포착되는 광경을, 운전자에 의해 재생 장치 없이 지각되는 동일한 광경의 콘트라스트보다 높은 콘트라스트로 운전자에게 재생하는 재생 장치를 포함한다.
재생 장치는 제어 유닛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재생 장치는 균등하게, 헤드-업 디스플레이, 전자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 차량에 통합된 액정 스크린,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 중의 어느 것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생 장치는 차량의 전방을 조명하는 부가적인 조명 장치이다. 유리하게는, 부가적인 조명 장치는, 차량의 전방에서, 차량이 위치되는 차선의 가장자리를 표시하는 스트립을 조명하도록 배치된다.
제 1 변형예에 따르면, 부가적인 조명 장치는 제 1 조명 장치 및 제 2 조명 장치와는 별개의 장치이다.
제 2 변형예에 따르면, 부가적인 조명 장치는 제 2 조명 장치와 병합된다.
제 3 변형예에 따르면, 부가적인 조명 장치는 제 1 조명 장치와 병합된다.
부가적인 조명 장치와 제 1 조명 장치가 병합되는 경우에는, 제 1 광 빔과 재생을 위해 방출된 광 빔 사이가 구별된다.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는 제 2 광 빔으로 수행되는 보상으로 인해 운전자에 의해 지각되지 않는다. 그러나, 운전자는 재생을 위해 방출되는 광 빔을 지각한다.
부가적인 조명 장치는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특히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타입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부가적인 조명 장치는 광원 어레이를 포함한다. 어레이는 20 행 및 10 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레이는 40 행 및 20 열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부가적인 조명 장치는 2개의 직교 축선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MEMS 또는 하나의 축선 상에서 각각 피봇되는 2개의 MEMS와 레이저 빔을 결합하는 스캐닝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MEMS의 축선들은 서로 직교한다.
유리하게는, 부가적인 조명 장치는 P-편광을 방출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부가적인 조명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조명은 운전자에 의해 보다 잘 지각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라이트 시스템을 구현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제어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연속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을 취득 장치, 특히 이미지 센서에 의해 취득
단계 2: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를 계산
콘트라스트의 계산은 특히 처리 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원 콘트라스트(raw contrast)"는 제 1 조명 장치의 조명을 고려하지 않고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의미한다. 원 콘트라스트는,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에 대응하고,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는 경우에는,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지 않았다면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가 갖게 되었을 콘트라스트에 대응한다.
단계 3: 단계 2에서 계산된 원 콘트라스트를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와 비교
- 원 콘트라스트가 임계 콘트라스트보다 높으면, 단계 1로 돌아간다.
이는, 제 1 장치가 점등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광경은 취득 장치에서 충분히 시인된다.
- 원 콘트라스트가 임계 콘트라스트보다 낮으면, 단계 4로 진행한다.
이는, 광경이 취득 장치에서 충분히 시인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어야 한다.
단계 4: 제 1 조명 장치를 활성화
단계 5: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을 취득 장치에 의해 취득
단계 6: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정확한 콘트라스트를 계산
"정확한 콘트라스트(correct contrast)"는 제 1 조명 장치의 조명의 기여를 고려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이다. 이는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는 경우에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에 대응한다.
단계 7: 정확한 콘트라스트에서, 제 1 조명 장치의 기여를 고려하여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를 계산
제 1 조명 장치의 조명 기여 및 단계 6에서 계산된 정확한 콘트라스트를 알면, 계산을 통해 원 콘트라스트를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8: 단계 7에서 계산된 원 콘트라스트를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와 비교
원 콘트라스트만이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와 비교될 수 있다. 이는, 원 콘트라스트가 제 1 조명 장치의 조명 기여 없이 광경의 콘트라스트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정확한 콘트라스트는 필연적으로 임계 콘트라스트보다 높다.
- 원 콘트라스트가 임계 콘트라스트보다 높으면, 단계 9로 진행한다.
- 원 콘트라스트가 임계 콘트라스트보다 낮으면, 단계 5로 돌아간다. 선택적으로,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의 활성화는 단계 5로 복귀하기 전에 단계 10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단계 9: 제 1 조명 장치를 소등하고 단계 1로 복귀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는 상기와 같은 라이트 시스템 또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의 도움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시스템이 장착되는 차량을 부분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 도 2a는 2개의 조명 장치가 별개의 조명 장치인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광 빔의 광도 프로파일, 및 이미지 센서에 의한 이미지의 취득을 나타내고;
- 도 2b는 제 1 조명 장치가 제 2 조명 장치와 병합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 1 조명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광 빔의 광도 프로파일, 및 이미지 센서에 의한 이미지의 취득을 나타내고;
- 도 3a는 활성화된 부가적인 조명 장치가 없는 경우에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 도 3b는 부가적인 조명 장치가 활성화된 경우에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의 다양한 단계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라이트 유닛(9)이 장착되며 눈으로 표현된 운전자(11)에 의해 운전되는 차량(10)의 부분 단면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운전자(11)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을 윈드스크린(12)을 통해 관찰한다.
라이트 유닛(9)에는, 몇 개의 조명 장치, 즉 제 1 조명 장치(1), 제 2 조명 장치(2) 및 부가적인 조명 장치(7)가 장착된다. 제 2 조명 장치(2)에는, 규정 ECE R112의 요건을 충족하는, 하향등 타입 광 빔을 생성하는 데 적합한 광원이 장착되고, 당업자라면, 이 제 2 조명 장치(2)가 임의의 다른 국가 또는 지역 규정의 요건을 충족하도록 본 발명을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지를 알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에서, 제 1 조명 장치(1) 및 제 2 조명 장치(2)는 별개의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데 적합한 취득 장치(3)가 장착된다. 취득 장치(3)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의 이미지를 포착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취득 장치는 특히, 예를 들어 CMOS 센서, 또는 CCD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취득 장치(3)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유닛(5)에 연결된다. 처리 유닛(5)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를 결정한다.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를 계산하는 처리 유닛(5)의 경우에는,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는지의 여부를 연속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제 1 조명 장치의 활성화 제어에 접속된다.
제 1 조명 장치가 점등되는 경우, 처리 유닛(5)은 특히, 정확한 콘트라스트 값으로부터 원 콘트라스트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에서 제 1 조명 장치의 조명 기여를 고려함으로써, 처리 유닛(5)은 원 콘트라스트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원 콘트라스트 값은 제어 회로(4)에 전송되고, 해당 제어 회로는 원 콘트라스트가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보다 낮을 경우 제 1 조명 장치(1)를 점등하거나, 또는 제 1 조명 장치가 이미 점등되어 있을 경우 제 1 조명 장치를 점등 상태로 둔다.
이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는, 운전자 및 취득 장치가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 특히 표시 스트립을 정확하게 볼 수 있기에는 광휘가 너무 낮다고 간주될 수 있는 콘트라스트에 대응한다.
제 1 조명 장치(1)가 점등되는 경우,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는 운전자(11)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는 지각되지 않지만, 취득 장치(3)에서는 지각된다. 취득 장치(3)는 광경(SA)의 조명에 대하여 제 1 조명 장치(1)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영향을 지각한다.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은 적외광의 광원일 수 있다. 해당 광원으로부터의 적외선은 인간의 눈에는 시인되지 않는다. 이미지 센서만이 적외광을 감지해야 한다. 따라서, 적외광의 광원을 이용해서 광경을 조명하면, 조명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양호한 콘트라스트로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의 이미지를 이미지 센서가 포착할 수 있게 된다.
제 1 장치의 광원은 대안적으로, 가시광의 광원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가시광의 광원에 의해 방출되는 가시광을 감지한다.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가 운전자(11)에게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 지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제 1 조명 장치(1) 및 제 2 조명 장치(2)는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광 빔들의 제 1 및 제 2 강도를 보상하는 보상 장치(8)에 연결된다. 보상 장치(8)에 의해 수행되는 보상은 도 2a 및 도 2b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 1 조명 장치(1)의 활성화는 운전자 또는 외부 관찰자를 방해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활성화될 경우에,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가 운전자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는 지각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활성화되는 순간 및 제 1 조명 장치(1)가 활성화되는 시간 내내,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의 조명은 수정되지 않으면 운전자(11)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 지각된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는 확실히 수정된다. 이미지 센서에 의한 이미지 취득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이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적어도 일부 이미지에서 시인되도록 제 1 조명 장치(1)로부터의 광의 방출과 동기화된다. 처리 유닛(5)은 특히, 이들 이미지 상에서, 운전자에게는 시인되지 않는 표시 스트립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운전자가 이 표시 스트립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차량에는 재생 장치가 장착된다. 이 재생 장치는 예를 들어, 헤드-업 디스플레이(6)에 의해, 심지어는 전자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 차량에 통합된 액정 스크린,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일 변형예에 따르면, 재생 장치는 차량의 전방을 조명하기 위한 부가적인 조명 장치(7)일 수 있다. 재생 장치는 특히, 차량의 전방에서, 차량이 위치되는 차선의 가장자리를 표시하는 스트립을 조명한다.
도 2a는,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이 가시광의 광원인 경우에, 그리고 제 1 조명 장치(1) 및 제 2 조명 장치(2)가 별개의 장치일 때,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빔들의 광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문맥에 있어서, 차량(10)은 야간 주행 상태에 있거나, 또는 광휘가 감소되는 시기에 있다. 따라서, 제 2 조명 장치(2)가 점등된다.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의 원 콘트라스트가 임계 콘트라스트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제어 유닛(4)에 의해 제 1 조명 장치(1)가 점등된다.
제 1 조명 장치(1)가 점등되는 경우, 가시광의 광원은 주기적인 광도 프로파일을 가진 제 1 광 빔을 주기적으로 방출한다.
주기적인 광도 프로파일은 다음을 나타낸다:
- 광도가 일정하며 양의 또는 닐 공칭 강도와 동일한 2개의 세그먼트(21a 및 21b)로 이루어진 제 1 부분(21), 및
- 광도가 공칭 강도보다 높은 제 2 부분(22);
제 1 부분(21) 및 제 2 부분(22)의 지속기간의 합은 주기(T)의 지속기간과 동일하다. 주기의 지속기간은 인간의 눈의 깜박임 지각 시간보다 짧다.
동시에, 보상 장치(8)는 제 2 강도를 감소시킨다. 제 2 강도는 최대값(13)으로부터, 최대값(13)보다 적은 값(14)으로 변화된다. 제 2 강도의 감소는,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 동안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의 조명의 변화를 운전자 또는 외부 관찰자가 지각하지 못하도록, 보상 장치에 의해 계산된다.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의 제 1 광 빔의 광도 프로파일의 제 1 부분(21)의 광도의 함수로서, 차량의 시각적 특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제 1 부분(21)의 광도가 높을수록, 제 2 강도의 값(14)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량(10) 외부의 관찰자는 제 1 조명 장치(1)를 훨씬 더 구별할 것이고, 제 2 강도가 감쇠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이미지 센서는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22)과 동기화된다. 이미지(25)의 취득은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22)으로의 천이 순간에 기동된다. 또한, 이미지 센서는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의 제 1 광 빔의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22) 동안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25)를 취득할 수 있도록 충분히 높은 취득 주파수를 나타낸다.
이 이미지(25)의 취득 동안,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은 제 1 장치(1)에 의해 최대 강도로 조명된다. 따라서, 광경은 특히, 이 이미지(25)에서 시인된다. 처리 유닛(5)은 특히, 이 이미지(25) 상에서, 운전자에게는 시인되지 않는 표시 스트립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b는, 제 1 조명 장치(1)의 광원이 가시광의 광원인 경우에, 그리고 제 1 조명 장치(1)가 제 2 조명 장치(2)와 병합될 때,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빔들의 광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 예시에 있어서, 제 1 광 빔을 생성하는 가시광의 광원은 제 2 광 빔을 생성하는 광원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문맥에 있어서, 차량(10)은 야간 주행 상태에 있거나, 또는 광휘가 감소되는 시기에 있다. 따라서, 제 2 조명 장치(2)가 점등된다. 가시광의 광원이 동작하고, 예를 들어 하향등 또는 상향등 타입의 빔을 방출한다.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의 원 콘트라스트가 임계 콘트라스트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제어 유닛(4)에 의해 제 1 조명 장치(1)가 점등된다.
제 1 조명 장치(1)가 점등되는 경우, 가시광의 광원은 제 1 광 빔과 제 2 광 빔을 결합하는 주기적인 광 빔을 방출한다. 보상 장치(8)는 하기의 내용을 나타내는 주기적인 광도 프로파일을 가진 광 빔을 방출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가시광의 광원을 구동한다:
- 광도가 일정하며 양의 공칭 강도와 동일한 제 1 부분(31). 이 공칭 강도는 하향등 타입의 빔의 강도에 대응한다;
- 광도가 공칭 강도보다 높은 제 2 부분(32);
- 광 빔의 평균 강도가 일정하며 한 주기에 걸쳐 공칭 강도와 동일하도록 광도가 지속기간에 걸쳐 공칭 강도보다 낮은 제 3 부분(33).
이들 세 부분 각각의 지속기간의 합은 한 주기의 지속기간과 동일하다. 제 2 부분(32) 및 제 3 부분(33)의 지속기간의 합은 인간의 눈의 깜박임 지각 시간보다 짧다.
특히, 1/50 초보다 짧으며, 1/75 초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인간의 눈의 깜박임 지각 시간이 광도 프로파일의 한 주기의 지속기간보다 길기 때문에, 한 주기에 걸쳐 인간의 눈에 의해 지각되는 강도는 광 빔의 평균 강도, 즉 하향등 광 빔의 강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조명 장치의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 변조는 운전자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 지각되지 않는다.
제 1 조명 장치(1) 및 제 2 조명 장치(2)가 별개의 장치인 경우에서와 같이, 이미지 센서는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32)과 동기화된다. 이미지(35)의 취득은 광도 프로파일의 제 2 부분(32)으로의 천이 순간에 기동된다.
이 이미지(35)의 취득 동안,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은 제 1 장치(1)에 의해 최대 강도로 조명된다. 따라서, 광경은 특히, 이 이미지(35)에서 시인된다. 처리 유닛(5)은 특히, 이 이미지(35) 상에서, 운전자에게는 시인되지 않는 표시 스트립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처리 유닛에 의해 표시 스트립이 식별되면, 재생 장치의 도움으로 그 위치가 운전자에게 재생된다. 재생 장치는 차량의 전방을 조명하는 부가적인 조명 장치(7)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제각기, 부가적인 조명 장치(7)가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또는 차량이 부가적인 조명 장치(7)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의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 및 부가적인 조명 장치가 활성화될 경우의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부가적인 조명 장치(7)가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 가까이에 있는 제 1 표시 스트립(40)만이 운전자(11)에게 시인된다.
부가적인 조명 장치(7)가 활성화될 경우에는, 운전자(11)는 차량 가까이에 있는 제 1 표시 스트립(40)보다 차량으로부터 훨씬 먼 거리에 위치되며 부가적인 조명 장치(7)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시인되지 않았을 제 2 표시 스트립(41)도 볼 수 있다. 도 3b에서는, 하나의 제 2 표시 스트립(41)만이 나타나 있다. 몇 개의 제 2 표시 스트립(41)이 부가적인 조명 장치(7)에 의해 시인될 수 있게 될 것으로 이해된다.
부가적인 조명 장치(7)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 특히 제 1 표시 스트립(40) 및 제 2 표시 스트립(41)이 보다 잘 시인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운전자의 안전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시스템을 구현하고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의 시인성을 증가시키는 상태에 이르도록 설정하는 방법은 도 4에 나타나 있는 많은 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E1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을 취득 장치(3), 특히 이미지 센서에 의해 취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단계 2, E2 동안,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C0)가 계산된다. 이후, 원 콘트라스트(C0)가 단계 3, E3 동안,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Cs)와 비교된다. 원 콘트라스트(C0)가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높으면, 방법은 단계 E1로부터 재개된다. 원 콘트라스트(C0)가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낮으면, 방법은 단계 4, E4로 진행한다. 단계 E4는 제 1 조명 장치(1)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단계 5, E5에서, 취득 장치(3)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을 취득한다. 이후,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정확한 콘트라스트(Cc)가 단계 6, E6에서 계산된다. 이후, 단계 7, E7 동안,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C0)가 정확한 콘트라스트(Cc)에서 제 1 조명 장치(1)의 조명 기여를 고려하여 계산된다. 단계 8, E8에서, 단계 E7에서 계산된 원 콘트라스트(C0)가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Cs)와 비교된다. 원 콘트라스트(C0)가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높으면, 방법은 단계 9, E9로 진행한다. 원 콘트라스트(C0)가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낮으면, 방법은 단계 10, E10으로 진행한다. 단계 E9에서, 제 1 조명 장치가 소등되고 나서, 방법은 단계 E1로부터 재개된다. 단계 E10에서,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을 재생하는 장치가 활성화된다. 이 단계 E10에 이어서, 방법은 단계 E5로부터 재개된다.

Claims (19)

  1.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으로서,
    -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광경(SA)을 취득하는 취득 장치(3),
    -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광경을 조명하는 제 1 강도의 제 1 광 빔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제 1 조명 장치(1),
    -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규제 시그널링 및/또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강도의 제 2 광 빔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제 2 조명 장치(2),
    -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raw contrast)(C0)로 지칭되는 제 1 콘트라스트 값이 소정의(predefined)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낮을 경우에 상기 제 1 조명 장치(1)를 점등하는 제어 유닛(4)을 포함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 장치(1)의 상기 광원은 변조된 조명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조된 조명의 변조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 지각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조명 장치(1)는 가시광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시스템은, 상기 제 1 조명 장치(1)의 상기 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변조가 운전자 또는 외부 관찰자에게 지각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조명 장치(1) 및 상기 제 2 조명 장치(2)의 상기 광 빔들의 상기 제 1 및 제 2 강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장치(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 장치(1) 및 상기 제 2 조명 장치(2)는 별개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 장치(1)가 점등되는 경우, 상기 가시광의 광원은:
    광도가 일정하며 소정의 공칭 강도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21a, 21b)로 이루어진 제 1 부분(21),
    상기 광도가 상기 공칭 강도보다 높은 제 2 부분(22)
    을 나타내는 주기적인 광도 프로파일을 가진 제 1 주기적 광 빔을 방출하고,
    상기 제 1 부분(21) 및 상기 제 2 부분(22)의 지속기간의 합은 한 주기의 지속기간과 동일하고, 한 주기의 지속기간은 인간의 눈의 깜박임 지각 시간(flicker perception time)보다 짧고,
    상기 보상 장치(8)는 상기 제 1 및 제 2 강도를 보상하도록 상기 제 2 강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취득은 상기 광도 프로파일의 상기 제 2 부분(22)과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 장치(1) 및 상기 제 2 조명 장치(2)는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장치(8)는, 상기 가시광의 광원이:
    광도가 일정하며 소정의 공칭 강도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제 1 부분(31),
    상기 광도가 상기 공칭 강도보다 높은 제 2 부분(32),
    상기 광 빔의 평균 강도가 일정하며 한 주기에 걸쳐 공칭 강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광도가 지속기간에 걸쳐 상기 공칭 강도보다 낮은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제 3 부분(33)
    을 나타내는 주기적인 광도 프로파일을 가진 광 빔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가시광의 광원을 구동하고,
    상기 세 부분의 각각의 지속기간의 합은 한 주기의 지속기간과 동일하고, 상기 제 2 부분(32) 및 상기 제 3 부분(33)의 지속기간의 합은 인간의 눈의 깜박임 지각 시간보다 짧고,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의 취득은 상기 광도 프로파일의 상기 제 2 부분(32)과 동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11. 제 1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 장치(1)의 상기 광원은 P-편광(P-polarized light)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12. 제 1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방에 위치된 재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취득 장치(3)에 의해 포착되는 상기 광경(SA)을, 상기 운전자에 의해 재생 장치 없이 지각되는 동일한 상기 광경(SA)의 콘트라스트보다 높은 콘트라스트로 상기 운전자에게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6), 전자 비디오 디스플레이 스크린, 차량에 통합된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 중 어느 것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상기 차량이 위치되는 차선의 가장자리를 표시하는 스트립(40, 41)을 조명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차량의 전방을 조명하는 부가적인 조명 장치(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조명 장치(7)는 상기 제 2 조명 장치(2)와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조명 장치(7)는 상기 제 1 조명 장치(1)와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조명 장치(7)는 P-편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18. 제 1 항 및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 즉,
    단계 1(E1): 상기 차량의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광경(SA)을 상기 취득 장치(3)에 의해 취득함,
    단계 2(E2):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원 콘트라스트(C0)를 계산함,
    단계 3(E3): 단계 2(E2)에서 계산된 원 콘트라스트(C0)를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Cs)와 비교하되,
    상기 원 콘트라스트(C0)가 상기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높으면, 단계 1(E1)로 돌아가고,
    상기 원 콘트라스트(C0)가 상기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낮으면, 단계 4(E4)로 진행함,
    단계 4(E4): 상기 제 1 조명 장치(1)를 활성화함,
    단계 5(E5): 상기 차량의 전방에 있는 광경(SA)을 상기 취득 장치(3)에 의해 취득함,
    단계 6(E6):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정확한 콘트라스트(Cc)를 계산함,
    단계 7(E7): 상기 정확한 콘트라스트(Cc)에서 상기 제 1 조명 장치(1)의 기여를 고려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포착되는 이미지의 상기 원 콘트라스트(C0)를 계산함,
    단계 8(E8): 단계 7에서 계산된 원 콘트라스트(C0)를 상기 소정의 임계 콘트라스트(Cs)와 비교하되,
    상기 원 콘트라스트(C0)가 상기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높으면, 단계 9(E9)로 진행하고,
    상기 원 콘트라스트(C0)가 상기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낮으면, 단계 5(E5)로 돌아감,
    단계 9(E9): 상기 제 1 조명 장치(1)를 소등하고 단계 1(E1)로 복귀함
    을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전방에 위치된 재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 장치는 상기 취득 장치(3)에 의해 포착되는 상기 광경(SA)을, 상기 운전자에 의해 재생 장치 없이 지각되는 동일한 상기 광경(SA)의 콘트라스트보다 높은 콘트라스트로 상기 운전자에게 재생하며,
    상기 방법은, 단계 8(E8)에 부가하여 그리고 연속적으로, 상기 원 콘트라스트(C0)가 상기 임계 콘트라스트(Cs)보다 낮을 경우, 단계 5(E5)로 돌아가기 전에, 상기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의 전방에 위치되는 경관(SA)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단계 10(E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라이트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80075725A 2017-06-30 2018-06-29 자동차용 라이트 시스템 KR102581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6105A FR3068314B1 (fr) 2017-06-30 2017-06-30 Systeme lumineux pour vehicule automobile
FR1756105 2017-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409A KR20190003409A (ko) 2019-01-09
KR102581750B1 true KR102581750B1 (ko) 2023-09-21

Family

ID=5985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725A KR102581750B1 (ko) 2017-06-30 2018-06-29 자동차용 라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48975B2 (ko)
EP (1) EP3422706A1 (ko)
JP (1) JP7278722B2 (ko)
KR (1) KR102581750B1 (ko)
CN (1) CN109204120B (ko)
FR (1) FR3068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0595B2 (en) * 2018-03-07 2020-12-01 Magna Electronics Inc. Vehicular sensing system with attenuation of reflected-refracted light off of precipitation using light polarization
CN112113184A (zh) * 2019-06-21 2020-12-22 深圳市中光工业技术研究院 一种具有探测功能的照明系统
KR102664120B1 (ko) * 2019-08-02 2024-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조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0572912A (zh) * 2019-08-09 2019-12-13 厦门理工学院 一种隧道行车灯光控制方法
CN110435530A (zh) * 2019-09-11 2019-11-12 吴平 汽车辅助驾驶装置
DE102020107108A1 (de) * 2020-03-16 2021-09-16 Kopernikus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m autonomen Fahren eines Fahrzeugs
CN113911027B (zh) * 2021-05-11 2023-10-20 太原理工大学 一种自动调节遮挡远光灯的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0844A (ja) * 2007-10-10 2009-04-30 Toyota Central R&D Labs Inc 照明装置
JP2010111261A (ja) * 2008-11-06 2010-05-20 Honda Motor Co Ltd 視覚支援装置
JP2016030527A (ja) * 2014-07-29 2016-03-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6632A1 (en) * 1997-04-02 2012-05-10 Bechtel Jon H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equipment
DE10255015B4 (de) * 2002-11-25 2008-09-25 Daimler Ag Breitbandige Beleuchtungseinrichtung
JP2005085621A (ja) * 2003-09-09 2005-03-3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暗視装置
DE10346483B4 (de) * 2003-10-02 2007-11-22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Sichtverhältnisse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5055087A1 (de) * 2005-11-18 2007-05-24 Robert Bosch Gmbh Scheinwerfermodul mit integriertem Licht-Regensensor
FR2914731B1 (fr) * 2007-04-06 2010-07-30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de signalisation susceptible d'emettre independamment deux faisceaux de signalisation de meme intensite et de luminances differentes
EP2026097A1 (en) * 2007-08-08 2009-02-1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illumination system
CN201672304U (zh) * 2010-05-06 2010-12-15 封鸿涛 一种红外灯照射装置
US20130038730A1 (en) * 2011-08-09 2013-02-1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Transparent video screen and alternate reverse camera monitor
DE102014114328A1 (de) * 2014-10-02 2016-04-07 Connaught Electronics Ltd. Kraftfahrzeug-Kameravorrichtung mit Histogramm-Spreizung
JP6451480B2 (ja) * 2015-04-28 2019-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路面標示構造及び路面標示システム
CN106347215A (zh) * 2016-10-31 2017-01-25 长安大学 一种基于动态二维码的特殊路段可变限速检测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0844A (ja) * 2007-10-10 2009-04-30 Toyota Central R&D Labs Inc 照明装置
JP2010111261A (ja) * 2008-11-06 2010-05-20 Honda Motor Co Ltd 視覚支援装置
JP2016030527A (ja) * 2014-07-29 2016-03-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04120B (zh) 2022-02-25
EP3422706A1 (fr) 2019-01-02
US20190007595A1 (en) 2019-01-03
FR3068314A1 (fr) 2019-01-04
FR3068314B1 (fr) 2019-08-09
CN109204120A (zh) 2019-01-15
US10348975B2 (en) 2019-07-09
KR20190003409A (ko) 2019-01-09
JP7278722B2 (ja) 2023-05-22
JP2019011051A (ja)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750B1 (ko) 자동차용 라이트 시스템
US7004606B2 (en) Automatic headlamp control
CN105539269B (zh) 具有自适应光分布的车辆前灯系统
US9050928B2 (en) Headlamp device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therefor
US9317758B2 (en) Vehicle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reflective objects from lights of another vehicle
CN103201137B (zh) 车辆用照明装置以及车辆用前照灯的控制方法
US20110074956A1 (en) Device, camera,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s of the surrounding of a motor vehicle
JP7060958B2 (ja) 振幅変調光のフリッカ補正のためのビデオストリーム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869940B (zh) 控制位于行车道上的机动车的像素大灯的方法
JP2000318513A (ja) 車両用障害物検出装置
JP4701279B2 (ja) 視覚支援装置
JP2009067083A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136952A (ja) 色付き赤外線夜間視覚装置
JP2013097885A (ja) ヘッドライト装置、及びヘッドライトシステム
JP2009029227A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31177B2 (ja) 車両の赤外線撮影表示装置及び赤外線撮影表示方法
JP4824598B2 (ja) 車両用ランプシステム
JP4735090B2 (ja) 赤外画像撮像装置
JP4782491B2 (ja) 撮像装置
US10809058B2 (en) Road surface assessment apparatus for vehicle
KR102155374B1 (ko) 자동차용 야간 화상들을 형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999653B2 (ja) 車両用ランプ制御システム
JP2012196999A (ja) 車両用照明装置及び方法
JP6700904B2 (ja) 車両の配光制御装置
JP2005001425A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