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551B1 - 급탕기 - Google Patents

급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551B1
KR102580551B1 KR1020187011060A KR20187011060A KR102580551B1 KR 102580551 B1 KR102580551 B1 KR 102580551B1 KR 1020187011060 A KR1020187011060 A KR 1020187011060A KR 20187011060 A KR20187011060 A KR 20187011060A KR 102580551 B1 KR102580551 B1 KR 102580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fan case
burner body
burn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683A (ko
Inventor
타카시 오지로
야스오 니와
Original Assignee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5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버너 바디(1)와 팬 케이스(2)가 케이싱(100) 내에 수용된 급탕기로서, 버너 바디(1)는 하면에 평면 버너(3)가 설치된 버너 바디 본체(12)와, 버너 바디 본체(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설치시킨 급기 도입부(11)를 가지고, 급기 도입부(11)는 팬 케이스(2)와 연통하는 공기 취입구(10)를 가지고 있고, 공기 취입구(10)가 개구하고 있는 팬 부착면(13)은 정면시로 전방 또는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급탕기
본 발명은 급탕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향 연소식의 버너를 가지는 급탕기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연소면(30a)이 하향이 되도록 버너 바디(40)의 하면에 설치된 하향 연소식의 평면 버너(3a)를 가지는 급탕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 급탕기에서는 버너 바디(40)는 케이싱(4)의 상부역에 설치되어 있다. 또 평면 버너(3a)의 연소면(30a)의 하방에 현열 회수형의 일차 열교환기(311)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하방에 잠열 회수형의 이차 열교환기(3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급탕기에서는 팬 케이스(41) 내의 팬(도시하지 않음)을 회전시킴으로써 받아들인 모든 공기가 연소용 일차 공기로서 연소면(30a)이 하향이 되도록 버너 바디(40)에 설치된 평면 버너(3a)에 보내진다. 또 연소 가스는 가스 공급관(44)으로부터 평면 버너(3a)의 상방에 설치된 복수의 가스 노즐(42)에 공급된다. 그리고 연소 가스는 상기 서술한 연소용 일차 공기와 혼합되어 평면 버너(3a)에 보내진다.
상기 급탕기에서는 케이싱(4)의 상부역의 높이를 가능한 한 저감하기 위해서,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케이스(41)를 종방향의 기립 상태로 설치하지 않고, 횡방향으로 눕힌 상태로 설치시키고, 팬 케이스(41)의 측방으로 개구하는 취출구(45)와 버너 바디(40)의 측면에 개설된 취입구(310)를 연통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버너 바디(40)와 팬 케이스(41)가 좌우로 병렬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싱(4) 전체의 높이가 억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팬 케이스(41)의 설치 구조에서는 팬 케이스(41) 내의 팬도 횡방향으로 눕힌 상태로 설치된다. 그 때문에 팬의 직경이 커지면, 팬 케이스(41)의 직경도 커진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케이스(41)가 버너 바디(40)의 측방에 설치되면, 케이싱(4)의 좌우 방향의 폭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팬 케이스(41)가 버너 바디(4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면, 케이싱(4)의 안길이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개 2013-23482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향의 연소면을 가지는 전일차 공기 연소식의 버너를 구비한 급탕기에 있어서, 높이 방향,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케이싱을 보다 컴팩트하게 하는 것, 및 버너 바디로의 팬 케이스의 부착 작업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에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문을 가지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급탕기로서,
상기 케이싱에는
하향으로 연소면이 설치된 평면 버너를 가지는 버너 바디와,
공기를 받아들이는 급기구가 하방으로 개방되고, 또한 상기 버너 바디와 연통하여 공기를 내뿜는 공기 취출구가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설치된 팬 케이스와,
상기 팬 케이스 내에 배열설치되고, 연소용 공기와 연료 가스의 혼합 기체를 상기 버너 바디에 보내는 팬과,
상기 팬 케이스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버너 바디는 하면에 상기 평면 버너를 가지는 버너 바디 본체와, 상기 버너 바디 본체의 상면의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버너 바디 본체와 연통 상태로 돌출설치되고, 상기 팬 케이스의 상기 공기 취출구와 대향하는 공기 취입구가 개구하는 급기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도입부의 상기 공기 취입구가 개구하고 있는 측면은 상기 팬 케이스의 상기 공기 취출구와 접속되는 팬 부착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팬 케이스는 스크롤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팬은 상기 모터측으로부터 본 평면시로 우회전 또는 좌회전의 원심 팬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팬이 상기 우회전의 원심 팬인 경우, 상기 팬 케이스는 상기 버너 바디의 우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팬 부착면은 전방 또는 비스듬히 우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팬이 상기 좌회전의 원심 팬인 경우, 상기 팬 케이스는 상기 버너 바디의 좌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팬 부착면은 전방 또는 비스듬히 좌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급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가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급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급탕기에 있어서의 버너 바디로의 팬 케이스의 부착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급탕기에 있어서의 버너 바디와 팬 케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급탕기에 있어서의 버너 바디와 팬 케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급탕기에 있어서의 버너 바디와 팬 케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횡방향으로 설치된 팬 케이스를 가지는 급탕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급탕기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전일차 공기 연소식의 평면 버너(3)를 가지는 잠열 회수형 가스 급탕기를 개폐문(102)이 설치되어 있는 정면측에서 본 개략 구성도이다.
케이싱(100)은 전방에 개구부(103)를 가지는 직사각형 상자 형상의 케이싱 본체(101)와, 개구부(103)를 개폐하는 개폐문(10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케이싱(100)의 개폐문(102)이 설치되어 있는 측을 정면측, 개폐문(102)과 대향하는 측을 배면측이라고 하고, 이들이 대향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 전후 방향과 횡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케이싱(100) 내에는 연소면(30)이 하향으로 형성된 평면 버너(3)를 가지는 버너 바디(1)와, 버너 바디(1)에 연통하는 팬 케이스(2)가 좌우로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팬 케이스(2) 내에는 공기와 연료 가스의 혼합 기체를 버너 바디(1)의 하면에 설치된 평면 버너(3)에 보내는 원심 팬(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어 있다.
버너 바디(1)의 하방, 즉 평면 버너(3)의 하방에는 평면 버너(3)로부터의 연소 배기로 가열되는 급탕용의 제1 및 제2 열교환기(31)(32)가 이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 팬 케이스(2)의 상류측에는 팬 케이스(2)에 설치된 급기구(28)를 통하여 공기와 연료 가스를 혼합시키는 혼합 장치(22)가 이어져 설치되어 있다. 혼합 장치(22)에는 공기가 보내져오는 급기관(23)과 연료 가스가 보내져오는 가스 공급 관(24)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팬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에 따라 팬 케이스(2)측을 상류측, 버너 바디(1)측을 하류측이라고 한다.
평면 버너(3)는 하향으로 개구하는 다수의 염공을 가지는 세라믹스제의 연소 플레이트, 또는 금속 섬유가 네트 형상으로 엮어진 연소 매트로 이루어지고, 하향의 연소면(30)을 가진다. 이 평면 버너(3)는 급기관(23)으로부터 혼합 장치(22) 내에 보내지는 공기의 전부를 일차 공기로서 연료 가스와 혼합시켜 생성되는 혼합 기체를 연소시키는 전일차 공기 연소식의 버너이다.
혼합 장치(22) 내에서 생성되는 혼합 기체에 있어서의 공기의 양과 연료 가스의 가스량은 팬 케이스(2)의 상방에 설치된,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M)의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된다.
제1 열교환기(31)는 케이싱(100)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설치된 현열 회수형의 열교환기이며, 제2 열교환기(32)는 제1 열교환기(31)의 하부에 연속되는 잠열 회수형의 열교환기이다. 따라서, 제2 열교환기(32)의 상류측에 이어지는 급수관(38)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제2 열교환기(32)에 있어서 평면 버너(3)로부터의 연소 배기의 잠열로 가열된 후, 제1 열교환기(31)에 있어서 연소 배기의 현열로 가열된다. 그리고, 제1 열교환기(31)의 하류측으로 이어지는 출탕관(39)으로부터 소정의 설정 온도로 가열된 온수가 출탕된다.
제2 열교환기(32)를 통과한 연소 배기는 배기 덕트(34)를 통하여 케이싱 본체(101)의 정면(頂面)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배기통(35)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제2 열교환기(32)에서 발생한 드레인은 드레인 받이에 회수되어, 중화기로 중화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급탕기에서는 팬 케이스(2) 내에는 우회전의 팬이 수용되어 있고, 케이싱(100) 내에는 버너 바디(1)의 우측에, 급기구(28)가 하향이 되도록, 팬 케이스(2)가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너 바디(1)는 상면의 대략 중앙부에 도입구(120)가 개설되고, 하면에 평면 버너(3)가 부착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편평한 버너 바디 본체(12)와, 도입구(120)와 연통 상태로 버너 바디 본체(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된 급기 도입부(11)를 구비한다. 급기 도입부(11)는 버너 바디 본체(12)의 상면으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둘레벽인 구성벽과, 구성벽의 상방을 폐색하는 상벽(17)을 구비하고, 도입구(120)로 개방되는 횡단면 대략 타원 형상의 통형상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기 도입부(11)는 통형상체의 장변이 버너 바디 본체(12)의 전변(14)에 대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45도 경사진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급기 도입부(11)의 상기 구성벽 중, 상기 장변을 따라 비스듬히 우측 전방을 향하는 면에 후술하는 팬 케이스(2)의 접속 플랜지(21)가 접속되는 팬 부착면(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팬 부착면(13)은 버너 바디 본체(12)의 전변(14)에 대하여 비스듬히 45도 기울어진 자세로 버너 바디 본체(12)의 상면으로부터 직립하고 있다. 그리고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팬 부착면(13)의 중심보다 후방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공기 취입구(10)가 개구하고 있다.
팬 부착면(13)에 있어서의 공기 취입구(10)의 상변의 양단 근방의 소정 개소에는 각각 위치 결정 돌기(15a)(15b)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15a)(15b) 사이의 중앙부 및 공기 취입구(10)의 하변의 양단 근방의 소정 개소에는 각각 나사 구멍(16a)(16b)(16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 버너(3)의 연소 종료 후, 제2 열교환기(32)로부터 상승해오는 산성 수증기가 버너 바디(1)를 통하여 팬 케이스(2), 추가로 혼합 장치(22)로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 방지 수단으로서 역지 밸브(50)가 공기 취입구(10)로부터 급기 도입부(11) 내에 수용되어 있다(도 2 참조).
팬 케이스(2)는 소용돌이 형상의 스크롤 케이싱이다. 팬이 수용되는 원반 형상의 팬 수용부(27)의 외경은 버너 바디(1)의 버너 바디 본체(12)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또 팬 수용부(27)의 외주면에 계속되는 하류측의 유로(20)의 개방단인 공기 취출구(도시하지 않음)는 모터(M)측으로부터 본 평면시로 비스듬히 좌측 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또한 유로(20)의 개방단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접속 플랜지(21)가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플랜지(21)를 팬 부착면(13)에 대향시켰을 때, 위치 결정 돌기(15a)(15b)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이들 위치 결정 돌기(15a)(15b)가 삽입통과 가능한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25a)(25b)이 개설되어 있다. 또 나사 구멍(16a)(16b)(16c)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이들 나사 구멍(16a)(16b)(16c)에 나사결합 가능한 비스(5a)(5b)(5c)의 나사축이 삽입통과 가능한 3개의 비스 삽입통과 구멍(26a)(26b)(26c)이 개설되어 있다.
케이싱(100)의 케이싱 본체(101)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열교환기(31)(32)의 상방에 이들과 연통 상태로 버너 바디(1)를 부착하고, 버너 바디(1)의 급기 도입부(11)의 공기 취입구(10)가 형성되어 있는 팬 부착면(13)에 팬 케이스(2)의 상기 공기 취출구가 대향하도록 접속 플랜지(21)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팬 부착면(13)의 위치 결정 돌기(15a)(15b)를 각각 접속 플랜지(21)의 위치 결정 구멍(25a)(25b)에 삽입통과시켜 팬 부착면(13)에 접속 플랜지(21)를 위치 결정 상태로 중첩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팬 부착면(13)의 나사 구멍(16a)(16b)(16c)은 각각 접속 플랜지(21)의 비스 삽입통과 구멍(26a)(26b)(26c)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 본체(101)의 개구부(103)측으로부터, 3개의 비스(5a)(5b)(5c)를 각각 접속 플랜지(21)의 비스 삽입통과 구멍(26a)(26b)(26c)에 삽입통과시키고, 또한 나사 구멍(16a)(16b)(16c)에 나사결합시키면, 팬 케이스(2)는 버너 바디(1)의 급기 도입부(11)의 우측에 버너 바디(1)와 연통 상태로 접속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급기 도입부(11)의 팬 부착면(13)은 버너 바디 본체(12)의 전변(14)에 가까운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에서 비스듬히 우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팬 부착면(13)에 접속시키는 팬 케이스(2)의 접속 플랜지(21)는 버너 바디 본체(12) 상에서 비스듬히 좌측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플랜지(21)가 팬 부착면(13)에 비스(5a)(5b)(5c)로 접속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으로 쓰러진 상태에 있는 팬 케이스(2)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하류측의 유로(20)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가 버너 바디 본체(12)의 상면에 겹치도록 부착된다. 이것에 의해 버너 바디(1)와 팬 케이스(2)를 접속시킨 어셈블리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이 서로 겹쳐 있는 부분만큼 짧아진다. 또 팬 케이스(2)의 팬 수용부(27)의 외경은 버너 바디 본체(12)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셈블리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버너 바디 본체(12)의 그것을 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어셈블리에서는 팬 부착면(13)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이 팬 케이스(2)의 팬 수용부(27)와 교차하도록, 팬 케이스(2)가 버너 바디 본체(12)의 상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버너 바디 본체(12)의 상방에 있어서, 급기 도입부(11)의 비스듬히 우측 후방의 공간이 데드 스페이스가 되지 않아, 이 공간을 팬 케이스(2)의 팬 수용부(27)의 일부를 설치하기 위해서 유효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너 바디(1)에 팬 케이스(2)가 접속된 어셈블리는 팬 부착면(13)이 버너 바디 본체(12)의 전변(14)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여 좌측방 또는 우측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종래의 그것에 비해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케이싱(100)의 횡폭이나 안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버너 바디(1)의 급기 도입부(11)의 팬 부착면(13)은 비스듬히 우측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부착면(13)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 구멍 중, 가장 배면측에 가깝게 위치하는 나사 구멍(16c)은 나사 구멍(16c)의 중심선을 케이싱(100)의 전방으로 연장시켰을 때의 가상 연장선이 케이싱 본체(101)의 우측의 측벽(104a)에 교차하지 않고, 개구부(103) 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비스(5c)를 비스 삽입통과 구멍(26c)을 통하여 나사 구멍(16c)에 삽입통과시켜 드라이버 등의 공구로 비스(5c)를 나사 구멍(16c)에 나사결합시킬 때, 케이싱 본체(101)의 측벽(104a)이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개구부(103)로부터 케이싱 본체(101) 내에 공구를 삽입시킬 때, 공구를 비스(5c)의 중심선 상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가장 배면측에 위치하는 비스(5c)를 포함하는 모든 비스(5a)(5b)(5c)의 부착 및 분리 작업을 케이싱(100)의 개폐문(102)이 설치되어 있는 정면의 개구부(103)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급탕기에서 출탕 운전이 행해지는 경우, 급수관(38)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평면 버너(3)의 점화 동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팬 케이스(2) 내의 팬이 회전하면, 급기관(23)으로부터의 외부의 공기와 가스 공급관(24)으로부터의 연료 가스가 혼합 장치(22)에 받아들여져, 공기와 연료 가스가 혼합되어 혼합 기체가 생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급탕기에서는 이들 급수관(38), 급기관(23), 가스 공급관(24) 및 혼합 장치(22)는 팬 케이스(2)의 하방의 스페이스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100) 내의 빈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할 수 있고, 케이싱(100)의 크기를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우회전의 원심 팬을 구비하는 급탕기가 설명되었는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좌회전의 원심 팬을 구비하는 급탕기가 설명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팬 케이스(2)는 케이싱(100) 내에서 버너 바디(1)의 좌측에 배열설치된다.
이 급탕기에서는 급기 도입부(11)의 팬 부착면(13)이 비스듬히 좌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버너 바디(1)가 사용된다. 또 하류측의 유로(20)의 개방단인 공기 취출구가 비스듬히 우측 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공기 취출구의 주위에 튀어나와 있는 접속 플랜지(21)가 비스듬히 우측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팬 케이스(2)가 사용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접속 플랜지(21)가 접속되는 팬 부착면(13)은 케이싱(100)의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 플랜지(21)를 팬 부착면(13)에 케이싱(100)의 개구부(103)측으로부터 비스 고정할 때, 가장 배면측에 위치하는 비스여도 케이싱 본체(101)의 좌측의 측벽(104b)의 간섭을 받지 않고, 비스의 체결이나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버너 바디 본체(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설치시킨 급기 도입부(11)의 팬 부착면(13)이 버너 바디 본체(12)의 전변(14)에 대하여 평면시로 시계 회전 또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비스듬히 45도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부착면(13)이 버너 바디 본체(12)의 전변(14)에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급기 도입부(11)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팬 부착면(13)으로의 접속 플랜지(21)의 부착 및 분리 작업에 있어서, 케이싱(100)의 개구부(103)측으로부터 한층 용이하게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회전의 팬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팬 부착면(13)은 직사각형 형상의 버너 바디 본체(12)의 전변(14)에 대하여 평면시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약0도~약45도의 범위에서 설치된다. 또 좌회전의 팬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팬 부착면(13)은 마찬가지로 전변(14)에 대하여 평면시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약0도~약45도의 범위에서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제1~제3 실시형태는 모두 급기 도입부(11)의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접속 플랜지(21)를 비스 고정하는 팬 부착면(13)이 케이싱(100)의 전방 또는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팬 케이스(2)와 급기 도입부(11)는 팬 케이스(2)의 일부가 버너 바디 본체(12)의 상면과 서로 겹치도록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버너 바디(1)와 팬 케이스(2)를 접속시킨 어셈블리를 작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케이싱(100)도 작게 할 수 있다.
또 팬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팬 케이스(2)의 부착 및 분리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는 케이싱(100)의 정면측의 개구부(103)로부터 부착 개소를 시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공구의 사용시에 케이싱(100)의 측벽(104a) 또는 (104b)이 장해가 되지 않으므로, 조립시의 팬 케이스(2)의 부착 및 메인터넌스시의 팬 케이스(2)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본 발명을 설명했는데, 본 발명을 개요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의하면,
전방에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문을 가지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급탕기로서,
상기 케이싱에는
하향으로 연소면이 설치된 평면 버너를 가지는 버너 바디와,
공기를 받아들이는 급기구가 하방으로 개방되고, 또한 상기 버너 바디와 연통하여 공기를 내뿜는 공기 취출구가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설치된 팬 케이스와,
상기 팬 케이스 내에 배열설치되고, 연소용 공기와 연료 가스의 혼합 기체를 상기 버너 바디에 보내는 팬과,
상기 팬 케이스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버너 바디는 하면에 상기 평면 버너를 가지는 버너 바디 본체와, 상기 버너 바디 본체의 상면의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버너 바디 본체와 연통 상태로 돌출설치되고, 상기 팬 케이스의 상기 공기 취출구와 대향하는 공기 취입구가 개구하는 급기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도입부의 상기 공기 취입구가 개구하고 있는 측면은 상기 팬 케이스의 상기 공기 취출구와 접속되는 팬 부착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팬 케이스는 스크롤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팬은 상기 모터측으로부터 본 평면시로 우회전 또는 좌회전의 원심 팬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팬이 상기 우회전의 원심 팬인 경우, 상기 팬 케이스는 상기 버너 바디의 우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팬 부착면은 전방 또는 비스듬히 우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팬이 상기 좌회전의 원심 팬인 경우, 상기 팬 케이스는 상기 버너 바디의 좌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팬 부착면은 전방 또는 비스듬히 좌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급탕기가 제공된다.
상기 급탕기에 의하면, 버너 바디의 측방에 설치된 팬 케이스의 공기 취출구로부터 내뿜어지는 혼합 기체는 공기 취출구와 연통 상태로 대향하는 공기 취입구로부터 급기 도입부에 보내지고, 추가로 평면 버너를 구비하는 버너 바디 본체에 도입된다.
팬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팬이 우회전의 원심 팬인 경우, 팬 부착면이 전방 또는 비스듬히 우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급기 도입부를 가지는 버너 바디가 사용되므로, 팬 케이스는 버너 바디의 우측에 설치된다. 한편, 팬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팬이 좌회전의 원심 팬인 경우, 팬 부착면이 전방 또는 비스듬히 좌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급기 도입부를 가지는 버너 바디가 사용되므로, 팬 케이스는 버너 바디의 좌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버너 바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설치시킨 급기 도입부의 팬 부착면에 팬 케이스가 부착되면, 급기 도입부와 팬 케이스의 접속면은 버너 바디 본체의 상방에 배치된다. 그 결과, 팬 케이스의 일부는 버너 바디 본체의 상면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팬 케이스의 전후 방향의 길이를 버너 바디 본체의 그것보다 짧게 설정함으로써, 버너 바디와 팬 케이스가 접속된 어셈블리의 크기는 전후 및 좌우 방향에 있어서 보다 컴팩트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의 상부역의 횡폭 및 안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탕기에 의하면, 팬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팬 케이스가 부착되는 급기 도입부의 팬 부착면은 전방 또는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팬 케이스를 급기 도입부의 팬 부착면에 부착할 때, 작업자는 케이싱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부착 개소를 시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탕기에 있어서,
상기 팬 부착면은 상기 팬 부착면에 상기 팬 케이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팬 부착면을 포함하는 하나의 가상 평면이 상기 팬 케이스와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우회전의 원심 팬이 사용되는 경우, 팬 케이스는 버너 바디의 우측에 설치되고, 버너 바디의 급기 도입부의 팬 부착면은 전방 또는 비스듬히 우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 팬 부착면을 포함하는 하나의 가상 평면을 우측방 또는 비스듬히 우측 후방으로 연장시키면, 가상 평면의 연장 상에 팬 케이스가 위치한다. 따라서 이 설치 구조에 의하면, 버너 바디 본체의 상면에 있어서의 급기 도입부의 우측방 또는 비스듬히 우측 후방의 공간이 데드 스페이스가 되지 않고, 버너 바디 본체의 상방의 공간을 팬 케이스 설치용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버너 바디 본체의 상면에 겹치는 팬 케이스의 면적이 증가하므로, 버너 바디와 팬 케이스를 접속시킨 어셈블리의 크기를 한층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탕기에 있어서,
상기 팬 케이스는 상기 공기 취출구의 주위로부터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접속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접속 플랜지는 상기 팬 부착면에 복수의 비스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비스의 전부는 상기 각 비스의 축 중심선을 전방으로 연장시킨 가상 연장선이 상기 케이싱 본체의 상기 개구부 내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급탕기에 의하면, 급기 도입부의 팬 부착면에 팬 케이스의 접속 플랜지를 맞닿게 하여 팬 케이스를 급기 도입부에 비스 고정할 때, 또는 메인터넌스 등을 위해서 팬 케이스를 급기 도입부로부터 분리할 때, 케이싱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모든 비스에 대하여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대략 직선적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구의 사용시에 공구로의 케이싱 본체의 측벽의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케이싱의 개구부로부터 공구를 삽입시켜 비스의 체결이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팬 케이스의 부착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탕기는 추가로
상기 연소용 공기와 상기 연료 가스를 혼합하는 혼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 장치는 상기 팬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버너 바디 본체의 측방으로 튀어나와 있는 부분의 하방에 설치된다.
상기 급탕기에 의하면, 팬 케이스의 하방의 빈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을 한층 더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팬 케이스는 팬 케이스의 일부가 버너 바디 본체의 상면에 겹치고, 또한 팬 케이스가 버너 바디 본체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버너 바디의 측방에 설치되므로, 버너 바디와 팬 케이스를 접속시킨 어셈블리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팬 케이스는 횡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 케이싱 내에 수용되므로 상하 방향의 사이즈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케이싱의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고, 보다 컴팩트한 케이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팬 케이스가 부착되는 버너 바디의 급기 도입부의 팬 부착면은 전방 또는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립시의 팬 케이스의 부착 작업이나 메인터넌스시의 팬 케이스의 분리 작업 등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케이싱의 전방의 개구부측으로부터 부착 위치를 시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한 케이싱을 사용한, 작업성이 우수한 급탕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전방에 개구부를 가지는 케이싱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문을 가지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급탕기로서,
    상기 케이싱에는
    하향으로 연소면이 설치된 평면 버너를 가지는 버너 바디와,
    공기를 받아들이는 급기구가 하방으로 개방되고, 또한 상기 버너 바디와 연통하여 공기를 내뿜는 공기 취출구가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설치된 팬 케이스와,
    상기 팬 케이스 내에 배열설치되고, 연소용 공기와 연료 가스의 혼합 기체를 상기 버너 바디에 보내는 팬과,
    상기 팬 케이스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버너 바디는 하면에 상기 평면 버너를 가지는 버너 바디 본체와, 상기 버너 바디 본체의 상면의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버너 바디 본체와 연통 상태로 돌출설치되고, 상기 팬 케이스의 상기 공기 취출구와 대향하는 공기 취입구가 개구하는 급기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도입부의 상기 공기 취입구가 개구하고 있는 측면은 상기 팬 케이스의 상기 공기 취출구와 접속되는 팬 부착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팬 케이스는 스크롤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팬은 상기 모터측으로부터 본 평면시로 우회전 또는 좌회전의 원심 팬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팬이 상기 우회전의 원심 팬인 경우, 상기 팬 케이스는 상기 버너 바디의 우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팬 부착면은 전방 또는 비스듬히 우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팬이 상기 좌회전의 원심 팬인 경우, 상기 팬 케이스는 상기 버너 바디의 좌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팬 부착면은 전방 또는 비스듬히 좌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급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부착면은 상기 팬 부착면에 상기 팬 케이스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팬 부착면을 포함하는 하나의 가상 평면이 상기 팬 케이스와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케이스는 상기 공기 취출구의 주위로부터 바깥쪽으로 튀어나온 접속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접속 플랜지는 상기 팬 부착면에 복수의 비스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비스의 전부는 상기 각 비스의 축 중심선을 전방으로 연장시킨 가상 연장선이 상기 케이싱 본체의 상기 개구부 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탕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급탕기는 추가로
    상기 연소용 공기와 상기 연료 가스를 혼합하는 혼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 장치는 상기 팬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버너 바디 본체의 측방으로 튀어나와 있는 부분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급탕기.
KR1020187011060A 2015-10-26 2016-10-24 급탕기 KR102580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9695A JP6534337B2 (ja) 2015-10-26 2015-10-26 給湯器
JPJP-P-2015-209695 2015-10-26
PCT/JP2016/081440 WO2017073515A1 (ja) 2015-10-26 2016-10-24 給湯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683A KR20180074683A (ko) 2018-07-03
KR102580551B1 true KR102580551B1 (ko) 2023-09-20

Family

ID=5863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060A KR102580551B1 (ko) 2015-10-26 2016-10-24 급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05485B2 (ko)
JP (1) JP6534337B2 (ko)
KR (1) KR102580551B1 (ko)
CN (1) CN108351103B (ko)
WO (1) WO2017073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688B1 (ko) * 2017-10-16 2019-06-21 최영환 온풍 발생 기능을 갖는 저탕식 전기 온수기
JP7124335B2 (ja) * 2018-02-20 2022-08-24 株式会社ノーリツ 給湯装置
KR102017577B1 (ko) * 2018-03-19 2019-09-03 최영환 열량 비례 제어 기능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겸용으로 구비하는 저탕식 보일러
WO2020040013A1 (ja) * 2018-08-24 2020-02-27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装置
JP2022098738A (ja) * 2020-12-22 2022-07-04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及び温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4821A (ja) 2012-05-10 2013-11-21 Rinnai Corp 熱源機
WO2014019835A1 (de) 2012-08-03 2014-02-06 Ebm-Papst Landshut Gmbh Gebläsevorrichtung mit integriertem krümmer für einen gasbrenner
JP2015183879A (ja)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24Y2 (ja) * 1978-04-18 1984-01-23 株式会社陽栄製作所 湯沸器
JPH0815903B2 (ja) 1987-12-01 1996-02-21 凸版印刷株式会社 無菌充填包装機の予備殺菌方法
US5197415A (en) * 1992-04-02 1993-03-30 Rheem Manufacturing Company Wet-base, down-fired water heater
US6036480A (en) * 1996-02-16 2000-03-14 Aos Holding Company Combustion burner for a water heater
US5699756A (en) * 1996-10-08 1997-12-23 Rheem Manufacturing Co. Wet-base, down-fired water heater
JP2001021225A (ja) * 1999-07-12 2001-01-26 Harman Co Ltd 燃焼装置
US7559293B2 (en) * 2002-06-04 2009-07-14 Bradford White Corporation High efficiency water heater
US7415943B2 (en) * 2005-09-08 2008-08-26 Rheem Manufacturing Company Single pass fuel-fired fluid heating/storage device
US7634977B2 (en) * 2006-08-16 2009-12-22 Aos Holding Company Gas water heater
JP4213742B2 (ja) * 2006-12-14 2009-01-21 リンナイ株式会社 強制給気式燃焼装置
US9714774B2 (en) * 2012-08-22 2017-07-25 Rheem Manufacturing Company Downfired high efficiency gas-fired water heater
JP2018112321A (ja) * 2017-01-06 2018-07-19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508830B2 (en) * 2017-06-08 2019-12-17 Rheem Manufacturing Company High efficiency gas-fired water hea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4821A (ja) 2012-05-10 2013-11-21 Rinnai Corp 熱源機
WO2014019835A1 (de) 2012-08-03 2014-02-06 Ebm-Papst Landshut Gmbh Gebläsevorrichtung mit integriertem krümmer für einen gasbrenner
JP2015183879A (ja)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34337B2 (ja) 2019-06-26
US10605485B2 (en) 2020-03-31
WO2017073515A1 (ja) 2017-05-04
CN108351103B (zh) 2019-09-24
JP2017083044A (ja) 2017-05-18
CN108351103A (zh) 2018-07-31
US20180313577A1 (en) 2018-11-01
KR20180074683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0551B1 (ko) 급탕기
KR102505658B1 (ko) 급탕기
US10890356B2 (en) Heat exchange device and heat source machine
JP2018112321A (ja) 燃焼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17736A (ja) 燃焼器具
JP6567941B2 (ja) 建設機械
JP5890136B2 (ja) 給湯器
EP3141816A1 (en) Gas cooker and valve unit for gas cooker
US20160313049A1 (en) Condensate Collector and Trap
EP4317826A1 (en) Wall-mounted air conditioner
JP2020060316A (ja) 熱源機
JP2019120448A (ja) 冷凍装置の熱源ユニット
JP5994827B2 (ja) 送風機および給湯装置
JP7119712B2 (ja) 燃焼装置および温水装置
JP7485358B2 (ja) 給湯器
CN212777595U (zh) 燃烧装置
CN107576066B (zh) 室内设置型燃烧装置
CN210398915U (zh) 燃烧器的外壳和具有其的燃烧器及热水设备
CN210398911U (zh) 燃烧器和具有其的热水设备
JP7214210B2 (ja) 乱流板、熱交換器及び給湯器、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7180205B2 (ja) 温水装置
JP5190689B2 (ja) 燃焼装置
CA3179592A1 (en) Heat exchanger and water heater
JP2016133246A (ja) 燃焼装置
JP2023019517A (ja) 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