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345B1 - 회화나무 꽃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회화나무 꽃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9345B1 KR102579345B1 KR1020230047388A KR20230047388A KR102579345B1 KR 102579345 B1 KR102579345 B1 KR 102579345B1 KR 1020230047388 A KR1020230047388 A KR 1020230047388A KR 20230047388 A KR20230047388 A KR 20230047388A KR 102579345 B1 KR102579345 B1 KR 102579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id content
- weight
- less
- cosmetic composition
- protein
- Prior art date
Links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44000184734 Pyrus japonica Species 0.000 title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4000046101 Sophora japonic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0586 Sophora japonic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143232 Pinkavas pricklypear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8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3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0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3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102000004363 Aquaporin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5
- 108090000991 Aquaporin 3 Protein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102000016942 Elas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3
- 108010014258 Elas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2549 elas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40000001439 Opu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3389 Opuntia humifusa var. humifu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JMGZEFIQIZZSBH-UHFFFAOYSA-N Bioquercetin Natural products CC1OC(OCC(O)C2OC(OC3=C(Oc4cc(O)cc(O)c4C3=O)c5ccc(O)c(O)c5)C(O)C2O)C(O)C(O)C1O JMGZEFIQIZZS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IVTMALDHFAHOGL-UHFFFAOYSA-N eriodictyol 7-O-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C1OCC1C(O)C(O)C(O)C(OC=2C=C3C(C(C(O)=C(O3)C=3C=C(O)C(O)=CC=3)=O)=C(O)C=2)O1 IVTMALDHFAHO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FDRQPMVGJOQVTL-UHFFFAOYSA-N quercetin 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FDRQPMVGJOQV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IKGXIBQEEMLURG-BKUODXTL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BKUODXTLSA-N 0.000 description 8
- ALABRVAAKCSLSC-UHFFFAOYSA-N rutin Natural products CC1OC(OCC2OC(O)C(O)C(O)C2O)C(O)C(O)C1OC3=C(Oc4cc(O)cc(O)c4C3=O)c5ccc(O)c(O)c5 ALABRVAAKCSL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5000005493 ru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29960004555 rutoside Drug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1100000263 cytotoxicity test Toxicity 0.000 description 7
- -1 hydrogen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REFJWTPEDVJJIY-UHFFFAOYSA-N Quer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C(O)C(O)=C1 REFJWTPEDVJJ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MGJZITXUQXWAKY-UHFFFAOYSA-N diphenyl-(2,4,6-trinitrophenyl)iminoazanium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MGJZITXUQXWA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group Chemical group C1(=CC=CC=C1)O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002 MTT assay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134 MTT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01710163270 Nucle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17 linear reg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21 standar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4043 tr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BNGXYYYYKUGPPF-UHFFFAOYSA-M (3-methylphenyl)methyl-triphenylphosph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1=CC=CC(C[P+](C=2C=CC=CC=2)(C=2C=CC=CC=2)C=2C=CC=CC=2)=C1 BNGXYYYYKUGPP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ZVOLCUVKHLEPEV-UHFFFAOYSA-N Quercetaget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O)C(O)=C(O)C=C2O1 ZVOLCUVKHLE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WTZYBCRDDUBJY-UHFFFAOYSA-N Rhynchos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C(O)=C(O)C=C2O1 HWTZYBCRDDUB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748 cultured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MWDZOUNAPSSOEL-UHFFFAOYSA-N kaempferol Natural products OC1=C(C(=O)c2cc(O)cc(O)c2O1)c3ccc(O)cc3 MWDZOUNAPSSO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875 quer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60001285 quercetin Drug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AWFYPPSBLUWMFQ-UHFFFAOYSA-N 2-[5-[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1-(1,4,6,7-tetrahydropyrazolo[4,3-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N=C(O1)CC(=O)N1CC2=C(CC1)NN=C2 AWFYPPSBLUWM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292339 Adenandra un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0637 Aquapor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63290 Aquapor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SHZGCJCMOBCMKK-UHFFFAOYSA-N D-mannomethylose Natural products CC1OC(O)C(O)C(O)C1O SHZGCJCMOBCM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RBFZHDQGSBBOR-IOVATXLUSA-N D-xyl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IOVATXLU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CUFZILGIRCDQQ-KRWDZBQOSA-N N-[[(5S)-2-oxo-3-(2-oxo-3H-1,3-benzoxazol-6-yl)-1,3-oxazolidin-5-yl]meth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1O[C@H](CN1C1=CC2=C(NC(O2)=O)C=C1)CNC(=O)C=1C=NC(=NC=1)NCC1=CC(=CC=C1)OC(F)(F)F VCUFZILGIRCDQQ-KRWDZBQOSA-N 0.000 description 2
- 108091034117 Oligonucleo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529 RT qPC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05 cDNA synthesis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1 carbon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00 effect on cel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PRLSGONYQIRFK-UHFFFAOYSA-N hydron Chemical compound [H+] GPRLSGONYQIR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117 malignant triton tu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39 pH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SCVFZCLFOSHCOH-UHFFFAOYSA-M potass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K+].CC([O-])=O SCVFZCLFOSHCO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62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3 real-time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39 reverse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FTAWBLQPZVEMU-DZGCQCFKSA-N (+)-catech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C@@H]2O)=CC=C(O)C(O)=C1 PFTAWBLQPZVEMU-DZGCQCFKSA-N 0.000 description 1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CCRHRRPKQISNG-ZIIYPAMZSA-N (2R,3S,4S,5R,6S)-2-(hydroxymethyl)-6-[(7-methoxy-1-methyl-9H-pyrido[3,4-b]indol-8-yl)oxy]oxane-3,4,5-triol Chemical compound COC1=CC=C2C3=CC=NC(C)=C3NC2=C1O[C@@H]1O[C@H](CO)[C@@H](O)[C@H](O)[C@H]1O DCCRHRRPKQISNG-ZIIYPAMZ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375 1,5-pentanediol Drugs 0.000 description 1
- TUSDEZXZIZRFGC-UHFFFAOYSA-N 1-O-galloyl-3,6-(R)-HHDP-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2)COC(=O)C3=CC(O)=C(O)C(O)=C3C3=C(O)C(O)=C(O)C=C3C(=O)OC1C(O)C2OC(=O)C1=CC(O)=C(O)C(O)=C1 TUSDEZXZIZRF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WGRWMMWNDWRQN-UHFFFAOYSA-N 2-meth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CO QWGRWMMWNDWR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730 Amygdalus 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560 Aquaglyceropor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2667 Aquaglyceropor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010 Bradford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8791 Carrier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675108 Citrus tanger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IVMDWMLBSA-N D-all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IVMDWMLB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QTVWNMPRSA-N D-mann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QTVWNMPRSA-N 0.000 description 1
- SNPLKNRPJHDVJA-ZETCQYMHSA-N D-panthenol Chemical compound OCC(C)(C)[C@@H](O)C(=O)NCCCO SNPLKNRPJHDVJA-ZETCQYMH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3 FEMA 304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NNNRSAQSRJVSB-SLPGGIOYSA-N Fucose Natural products C[C@H](O)[C@@H](O)[C@H](O)[C@H](O)C=O PNNNRSAQSRJVSB-SLPGGI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HZGCJCMOBCMKK-DHVFOXMCSA-N L-fucopyranose Chemical compound C[C@@H]1OC(O)[C@@H](O)[C@H](O)[C@@H]1O SHZGCJCMOBCMKK-DHVFOXMCSA-N 0.000 description 1
- SHZGCJCMOBCMKK-JFNONXLTSA-N L-rhamnopyranose Chemical compound C[C@@H]1OC(O)[C@H](O)[C@H](O)[C@H]1O SHZGCJCMOBCMKK-JFNONXLTSA-N 0.000 description 1
- PNNNRSAQSRJVSB-UHFFFAOYSA-N L-rhamnose Natural products CC(O)C(O)C(O)C(O)C=O PNNNRSAQSRJVS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PPKXGCFTSA-N Penta-digallate-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PPKXGCFT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109 Persicaria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BDQKXXYIPTUBI-UHFFFAOYSA-M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DCCRHRRPKQISNG-UHFFFAOYSA-N Ruine Natural products COC1=CC=C2C3=CC=NC(C)=C3NC2=C1OC1OC(CO)C(O)C(O)C1O DCCRHRRPKQISN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509 Scab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784 Soph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2 Zoonos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KXKVLQRXCPHEJC-UHFFFAOYSA-N acetic acid trimethyl ester Natural products COC(C)=O KXKVLQRXCPH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PHYPRBDBSA-N alpha-D-g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PHYPRBDB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YMYPHUHKUWMLA-UHFFFAOYSA-N arabinose Natural products OCC(O)C(O)C(O)C=O PYMYPHUHKUWML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RBFZHDQGSBBOR-UHFFFAOYSA-N beta-D-Pyranose-Lyxose Natural products OC1COC(O)C(O)C1O SRBFZHDQGSBBO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CDQSJQSWAWPGKG-UHFFFAOYSA-N butane-1,1-diol Chemical compound CCCC(O)O CDQSJQSWAWPGK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2 carbon compoun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ADRVNXBAWSRFAJ-UHFFFAOYSA-N catechin Natural products OC1Cc2cc(O)cc(O)c2OC1c3ccc(O)c(O)c3 ADRVNXBAWSRFA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87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1002 cianid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15 coenzy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FQRKUIOSYPVFY-UHFFFAOYSA-L dipotassium diacetate Chemical compound [K+].[K+].CC([O-])=O.CC([O-])=O LFQRKUIOSYPVF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SZXQTJUDPRGNJN-UHFFFAOYSA-N di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OCCCO SZXQTJUDPRGN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77 elastic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30 gala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12 general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02 growth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CCCMOQWYVYDOT-UHFFFAOYSA-N hexane-1,1-diol Chemical compound CCCCCC(O)O ACCCMOQWYVYDO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642 hu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01 hydroly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74 legum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159 metabol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573 methylpropanedi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2 minera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1267 panthe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7 pantothe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9 pantothen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CVRQHFDJLLWFE-UHFFFAOYSA-N pentane-1,2-diol Chemical compound CCCC(O)CO WCVRQHFDJLLWF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QUKIQWCVTZJAF-UHFFFAOYSA-N phenol;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OC1=CC=CC=C1 OQUKIQWCVTZJA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56 potass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LWHHBHJGPPBCO-UHFFFAOYSA-N propane-1,1-diol Chemical compound CCC(O)O ULWHHBHJGPPB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52 protein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5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00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59 skin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4 skin elast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51 star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23 tan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58 tan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NRMVVENXSA-N tan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NRMVVENX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123 tan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663 wound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282 zoo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을 추출한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고형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분은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에서 추출한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고형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에서 추출한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고형분을 포함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회화나무(Sophora japonica)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이다. 회화나무 꽃은 한방에서 괴화(Sophora flower)라고 하고, 7월 내지 8월에 채취한 꽃을 햇볕에 말려 약용재로 사용된다(비특허문헌 1 참조). 오래 전부터 회화나무 꽃은 고혈압 및 뇌일혈과 같은 혈관에 관한 증상을 완화하고 예방하는데 사용되었다.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해 단백질 성분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단백질 성분은 일반적으로 동물성 원료를 통해 얻어졌다. 다만, 최근 윤리적인 문제와 인수 공통 전염병(zoonoses)에 대한 불안으로 동물성 원료가 기피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식물성 원료를 이용한 화장료나 약학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딱지꽃 추출물로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갈화 또는 감귤꽃 등의 여러 꽃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물에서 단백질을 분획한 후 이를 가수분해시킨 물질로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에서 추출한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고형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을 추출한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고형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분은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상기 회화나무 꽃을 pH 12 이상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은 상기 단백질을 상기 고형분의 전체 중량 대비 5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은 당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은 상기 당류를 단백질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페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 활성 효과를 위해 50 ㎍/mL 내지 1000 ㎍/mL의 농도 범위 내에서 상기 고형분이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3 ㎍/mL 내지 50 ㎍/mL의 농도 범위 내에서 상기 고형분이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은 상기 추출물을 산성 물질에 의해 중화함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고형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고형분의 제조방법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을 추출하여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pH 12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15 ℃ 내지 40 ℃의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하고 고형분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은 산성 물질에 의해 중화(neutralization)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한 후의 pH가 3.5 내지 7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사용된 회화나무 꽃의 질량에 대하여 상기 고형분의 수율이 1%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pH 13 이상에서 수행되고,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한 후의 pH가 3.5 내지 5.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성 원료를 통해 피부 미용에 활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단백질을 포함하여,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분을 비교적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HPLC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2c는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법으로 수행한 항산화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3c은 CCD 986sk 세포를 통해 수행한 세포 독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4c는 HaCaT 세포를 통해 수행한 세포 독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5c는 엘라스틴의 mRNA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6c는 아쿠아포린 3의 mRNA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2c는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법으로 수행한 항산화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3c은 CCD 986sk 세포를 통해 수행한 세포 독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4c는 HaCaT 세포를 통해 수행한 세포 독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5c는 엘라스틴의 mRNA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6c는 아쿠아포린 3의 mRNA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가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온 및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상온은 가열되거나 냉각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이고, 예를 들면, 10 ℃ 내지 30 ℃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예를 들면, 약 15 ℃ 이상, 약 18 ℃ 이상, 약 20 ℃ 이상, 약 23 ℃ 이상, 약 27 ℃ 이하이거나 또는 25 ℃인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특별히 규정하지 않는 한 온도의 단위는 섭씨(℃)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압력이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상압은 가압 및 감압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압력으로서 통상 약 700 mmHg 내지 800 mmHg의 범위 내의 기압을 상압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a 내지 b는, a 및 b를 포함하면서 a와 b 사이의 범위 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a 내지 b 중량부로 포함한다는 a 내지 b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한다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물성 원료를 통해 피부 미용에 활용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단백질을 포함하여,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을 추출한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고형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꽃은 꽃잎(petal), 수술(stamen), 암술(pistil) 및 꽃받침(sepal)을 모두 포괄하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화나무 꽃은 회화나무의 꽃잎, 수술, 암술 및 꽃받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회화나무 꽃은 생물 또는 건조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적절한 온도와 열에너지를 받아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상온에서 태양 볕에 말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추출물은 상기 회화나무 꽃을 pH 12 이상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pH는 수소 이온 농도의 수치에 상용로그(자연수 10을 밑으로 한 로그)를 취한 뒤 -1을 곱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소 이온 농도는 수용액 상에서 수소 이온의 몰 농도이고, 상기 몰 농도는 25 ℃에서의 몰 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pH는 유리 전극으로 된 pH 측정기를 통해 25 ℃에서 측정된 pH 값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pH의 측정은 대한민국 식품첨가물 공전(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3-11호)의 IV. 일반시험법에서 28. pH 측정법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는 12 이상, 12.1 이상, 12.2 이상, 12.3 이상, 12.4 이상, 12.5 이상, 12.6 이상, 12.7 이상, 12.8 이상, 12.9 이상 또는 13 이상이거나, 14 이하, 13.9 이하, 13. 8 이하, 13.7 이하, 13.6 이하, 13.5 이하, 13.4 이하, 13.3 이하, 13.2 이하 또는 13.1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H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분은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고형분(Solids)은 특정 원재료의 추출물에서 액상 성분을 제거하고 남은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상온에서 고상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은 상기 고상 성분을 상기 고형분의 전체 중량 대비 99 중량% 이상, 99.5 중량% 이상, 99.9 중량% 이상 또는 10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은 잔류하는 액상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형분은 상기 액상 성분을 상기 고형분의 전체 중량 대비 1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또는 0.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은 건조 또는 여과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단백질(protein)은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으로 연결되어 3차원 구조로 접힌 아미노산(amino acid)의 사슬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알려진 바와 같이 외부 환경에 의해 변성될 수 있고, 변성에 의해 작용하는 효과도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을 변성시키는 외부 환경은 온도 및 pH 조건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은 전술한 외부 환경에 의해 단백질 구조의 변화 또는 분자 간 결합의 해리로 인한 변화가 발생되어 변성될 수 있다. 즉, 단백질은 수득하는 과정에서 온도와 pH 조건이 달라질 경우, 목적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 수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분이 포함하는 단백질은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효성분일 수 있다. 즉,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분이 포함하는 단백질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을 원료로 하면서, 상기 회화나무 꽃을 특정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방법이란 후술하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고형분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형분은 회화나무 꽃을 pH 12 이상에서 추출한 알칼리 추출물을 산성 물질에 의해 중화함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분이 후술하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고형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므로, 상기 고형분은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효성분인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백질은 수득하는 과정에서 온도와 pH 조건이 달라질 경우 목적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 수득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분의 제조방법에 따라 회화나무 꽃에서 유래된 고형분을 형성하지 않고, 조건에서 벗어난 방식에 따라 고형분을 형성한다면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분은 단백질을 상기 고형분의 전체 중량 대비 5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0.5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1.5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2.5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3.5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4.5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5.5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6.5 중량% 이상, 17 중량% 이상, 17.5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18.5 중량% 이상 또는 19 중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단백질의 함량 상한은 특별히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상기 고형분은 단백질을 상기 고형분의 전체 중량 대비 90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은 단백질을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한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분이 단백질을 전술한 범위 내로 포함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가져 피부 미용에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형분은 당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전술한 단백질 및 당류를 조합하여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가져 피부 미용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당류(saccharide)는 다당류(polysaccharide), 올리고당류(oligosaccharide), 삼당류(trisaccharide), 이당류(disaccharide) 및 단당류(monosaccharide)를 모두 포괄하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다당류, 올리고당류, 삼당류, 이당류 및 단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류는 하나 이상의 다당류, 하나 이상의 올리고당류, 하나 이상의 삼당류, 하나 이상의 이당류 및 하나 이상의 단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당류는 10개 이상의 단당류가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탄수화물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당류는 4개 내지 9개의 범위 내의 단당류가 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탄수화물 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당류는 삼탄당 내지 칠탄당 이상의 구조를 가진 당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자일로스, 알로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프럭토오스, 푸코오스, 람노오스 및 아라비아노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당류, 올리고당류, 삼당류 및 이당류는 전술한 단당류를 적절히 선택하여 여러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형분은 당류를 단백질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상, 110 중량부 이상, 120 중량부 이상, 130 중량부 이상, 140 중량부 이상, 150 중량부 이상 또는 160 중량부 이상이거나, 500 중량부 이하, 450 중량부 이하, 400 중량부 이하, 350 중량부 이하, 300 중량부 이하, 250 중량부 이하 또는 20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당류를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이 당류와 단백질을 전술한 함량 비율로 제어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가져 피부 미용에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형분은 폴리페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폴리페놀을 더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적정량의 농도를 가지는 폴리페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폴리페놀(polyphenol)은 분자 하나에 페놀 구조가 2개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페놀 구조에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페놀은 예를 들면, 탄닌 산, 플라보노이드 및 카테킨이 있고, 상기 구조를 만족한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고형분은 폴리페놀 중 플라보노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플라보노이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적정량의 농도를 가지는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형분은 플라보노이드 중 하나인 루틴(rutin, C27H30O16 610.51 g/m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루틴을 더 포함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은 적정량의 농도를 가지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분은 항산화 활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및/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유기 용매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용매로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프로판다이올, 부탄다이올, 헥산다이올, 메틸프로판다이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분은 농도 범위가 50 ㎍/mL 이상, 55 ㎍/mL 이상, 60 ㎍/mL 이상, 65 ㎍/mL 이상, 70 ㎍/mL 이상, 75 ㎍/mL 이상, 80 ㎍/mL 이상, 85 ㎍/mL 이상, 90 ㎍/mL 이상, 95 ㎍/mL 이상 또는 100 ㎍/mL 이상이거나, 1000 ㎍/mL 이하, 950 ㎍/mL 이하, 900 ㎍/mL 이하, 850 ㎍/mL 이하, 800 ㎍/mL 이하, 750 ㎍/mL 이하, 700 ㎍/mL 이하, 650 ㎍/mL 이하, 600 ㎍/mL 이하 또는 550 ㎍/mL 이하가 되도록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농도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전술한 농도 범위를 가지는 고형분을 포함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보다 더 우수한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은 후술할 세포 독성 시험에서 세포 증감률(Cell proliferation, %)이 75% 이상일 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농도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 한 25 ℃를 기준으로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고형분의 농도의 단위는 질량/부피이고, 상기 질량은 고형분의 질량을 의미하고 상기 부피는 화장료 조성물의 부피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부피는 25 ℃에서의 부피를 의미할 수 있다.
부가적/대안적으로, 상기 고형분은 농도 범위가 3 ㎍/mL 이상, 4 ㎍/mL 이상, 5 ㎍/mL 이상, 6 ㎍/mL 이상, 7 ㎍/mL 이상, 8 ㎍/mL 이상, 9 ㎍/mL 이상 또는 10 ㎍/mL 이상이거나, 50 ㎍/mL 이하, 45 ㎍/mL 이하, 40 ㎍/mL 이하, 35 ㎍/mL 이하, 30 ㎍/mL 이하, 25 ㎍/mL 이하, 20 ㎍/mL 이하 또는 15 ㎍/mL 이하가 되도록 유기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농도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전술한 농도 범위를 가지는 고형분을 포함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보다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알코올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알코올 화합물은 히드록시기(-OH)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탄소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알코올 화합물은 1가 알코올, 2가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가 알코올은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히드록시기가 하나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2가 알코올은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히드록시기가 둘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히드록시기가 셋 이상인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으로 사용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첨가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향료, 비타민, 코엔자임, 콜라겐, 피부세포 성장인자(EGF) 및 키토산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분을 비교적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분의 제조방법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을 추출하여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pH 12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제조방법은 회화나무 꽃을 높은 pH 환경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최종 산물인 고형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은 회화나무 꽃을 어떤 방식으로 추출하는지에 따라 구조 및 효능이 정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백질은 수득하는 과정에서 온도와 pH 조건이 달라질 경우, 상기 단백질의 변성에 의해 구조와 효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회화나무 꽃을 추출할 때의 pH와 온도가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효성분인 단백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화나무 꽃을 추출할 때의 pH와 온도가 특정 범위를 만족해야 수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pH 12 이상, pH 12.1 이상, pH 12.2 이상, pH 12.3 이상, pH 12.4 이상, pH 12.5 이상, pH 12.6 이상, pH 12.7 이상, pH 12.8 이상, pH 12.9 이상 또는 pH 13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pH가 14 이하, 13.9 이하, 13.8 이하, 13.7 이하, 13.6 이하, 13.5 이하, 13.4 이하, 13.3 이하, 13.2 이하 또는 13.1 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H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의 수행 pH를 전술한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효성분인 상기 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분의 제조방법에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의 수행 pH를 전술한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고형분의 수율을 높일 수 있고,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효성분인 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의 수행 pH는 알칼리 물질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물질은 물에 녹아 수산화이온(OH-)을 형성하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알칼리 물질의 농도는 0.1 N 이상, 0.2 N 이상, 0.3 N 이상, 0.4 N 이상, 0.5 N 이상, 0.6 N 이상, 0.7 N 이상, 0.8 N 이상, 0.9 N 이상 또는 1 N 이상이거나, 10 N 이하, 9.5 N 이하, 9 N 이하, 8.5 N 이하, 8 N 이하, 7.5 N 이하, 7 N 이하, 6.5 N 이하, 6 N 이하, 5.5 N 이하, 5 N 이하, 4.5 N 이하, 4 N 이하, 3.5 N 이하, 3 N 이하, 2.5 N 이하, 2 N 이하 또는 1.5 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알킬리 물질의 농도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N은 노르말 농도를 의미하고, 농도는 25 ℃를 기준으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대안적으로, 상기 알칼리 물질의 농도는 0.1 M 이상, 0.2 M 이상, 0.3 M 이상, 0.4 M 이상, 0.5 M 이상, 0.6 M 이상, 0.7 M 이상, 0.8 M 이상, 0.9 M 이상 또는 1 M 이상이거나, 10 M 이하, 9.5 M 이하, 9 M 이하, 8.5 M 이하, 8 M 이하, 7.5 M 이하, 7 M 이하, 6.5 M 이하, 6 M 이하, 5.5 M 이하, 5 M 이하, 4.5 M 이하, 4 M 이하, 3.5 M 이하, 3 M 이하, 2.5 M 이하, 2 M 이하 또는 1.5 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알킬리 물질의 농도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M은 몰 농도를 의미하고, 농도는 25 ℃를 기준으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0 ℃ 이상, 5 ℃ 이상, 10 ℃ 이상, 15 ℃ 이상 또는 20 ℃ 이상이거나 40 ℃ 이하, 35 ℃ 이하, 30 ℃ 이하 또는 28 ℃ 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온도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초음파를 사용하지 않고 전술한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하고 고형분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하고 고형분을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알킬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알칼리 추출물이 중화되어 중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추출물이 중화되면서 단백질이 침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은 산성 물질에 의해 중화될 수 있다. 상기 산성 물질은 물에 녹아 수소 이온(H+)을 형성하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염산, 질산, 황산 및 인산으로 예시되는 무기산 또는 아세트산 및 개미산으로 예시되는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산성 물질의 농도는 4 N 이상, 4.1 N 이상, 4.2 N 이상, 4.3 N 이상, 4.4 N 이상, 4.5 N 이상, 4.6 N 이상, 4.7 N 이상, 4.8 N 이상, 4.9 N 이상, 5 N 이상, 5.1 N 이상, 5.2 N 이상, 5.3 N 이상, 5.4 N 이상, 5.5 N 이상, 5.6 N 이상, 5.7 N 이상, 5.8 N 이상, 5.9 N 이상 또는 6 N 이상이거나, 20 N 이하, 15 N 이하, 10 N 이하 또는 8 N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산성 물질의 농도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N은 노르말 농도를 의미하고, 농도는 25 ℃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산성 물질의 농도를 전술한 범위 내로 만족시킴으로써,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효성분인 상기 단백질을 수득하면서 비교적 높은 수율을 확보할 수 있다.
부가적/대안적으로, 상기 산성 물질의 농도는 4 M 이상, 4.1 M 이상, 4.2 M 이상, 4.3 M 이상, 4.4 M 이상, 4.5 M 이상, 4.6 M 이상, 4.7 M 이상, 4.8 M 이상, 4.9 M 이상, 5 M 이상, 5.1 M 이상, 5.2 M 이상, 5.3 M 이상, 5.4 M 이상, 5.5 M 이상, 5.6 M 이상, 5.7 M 이상, 5.8 M 이상, 5.9 M 이상 또는 6 M 이상이거나, 20 M 이하, 15 M 이하, 10 M 이하 또는 8 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산성 물질의 농도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M은 몰 농도를 의미하고, 농도는 25 ℃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산성 물질의 농도를 전술한 범위 내로 만족시킴으로써,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효성분인 상기 단백질을 수득하면서 비교적 높은 수율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한 후의 pH가 3.5 이상, 3.6 이상, 3.7 이상, 3.8 이상, 3.9 이상 또는 4 이상이거나, 7 이하, 6.9 이하, 6.8 이하, 6.7 이하, 6.6 이하, 6.5 이하, 6.4 이하, 6.3 이하, 6.2 이하, 6.1 이하, 6 이하, 5.9 이하, 5.8 이하, 5.7 이하, 5.6 이하, 5.5 이하, 5.4 이하, 5.3 이하, 5.2 이하, 5.1 이하 또는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pH는 전술한 상한 및 하한을 적절히 선택하여 형성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pH를 전술한 범위 내로 만족시킴으로써, 비교적 높은 고형분의 수율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기 식 1에 따른 Y가 1% 이상, 1.1% 이상, 1.2% 이상 또는 1.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Y는 높을수록 우수한 물성에 해당하므로 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식 1]
Y = WS/WF×100(%)
식 1에서, WS는 고형분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고형분의 질량이고, WF는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사용된 회화나무 꽃의 질량이다.
실시예에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pH 13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한 후의 pH가 3.5 이상, 3.6 이상, 3.7 이상, 3.8 이상, 3.9 이상 또는 4 이상이거나, 5.5 이하, 5.4 이하, 5.3 이하, 5.2 이하, 5.1 이하,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pH를 전술한 범위 내로 만족시킴으로써, 비교적 높은 고형분의 수율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알킬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pH 13 이상에서 수행하고,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한 후의 pH를 전술한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더 우수한 고형분의 수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 1에 따른 Y가 3% 이상, 3.1% 이상, 3.2% 이상, 3.3% 이상, 3.4% 이상, 3.5% 이상, 3.6% 이상 또는 3.7%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이 알킬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pH 13 이상에서 수행하고,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한 후의 pH를 4 이상 또는 5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더 우수한 고형분의 수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 1에 따른 Y가 5% 이상, 5.1% 이상, 5.2% 이상 또는 5.3%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화 추출물을 토대로 고형분을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화 추출물을 원심분리 또는 여과를 통해 고형분과 여과액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여기서 형성된 고형분을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실험예]
이하,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내용으로 인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의 제조
(1) 제조예 1의 제조
건조된 회화나무 꽃 10 g을 반응기에 넣고 pH 13의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기를 상온에서 약 3시간 정도 정치시키고 여과시켜 불순물이 제거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여기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은 상기 회화나무 꽃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알칼리 추출물에 pH가 4로 될 때까지 6N 염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중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중화 추출물을 상온에서 약 3시간 정도 정치시켰고, 상층에 여과액 및 하층에 고형분이 형성되도록 약 5,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이후, 상층에 형성된 여과액을 제거하여 하층에 형성된 제조예 1의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2) 제조예 2 내지 7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조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형분의 제조예를 제조하였다.
구분 | 추출물 제조 시 첨가되는 알칼리의 pH | 중화 후 추출물의 pH |
제조예 1 | 13 | 4 |
제조예 2 | 13 | 5 |
제조예 3 | 13 | 6 |
제조예 4 | 13 | 7 |
제조예 5 | 12 | 5 |
제조예 6 | 10 | 5 |
제조예 7 | 11 | 5 |
제조예 1의 제조 방법에서, 추출물 제조 시 첨가되는 알칼리의 pH 및 중화 후 추출물의 pH 조건을 상이하게 조절하였으며, 이를 제외하면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예 2 내지 7의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3) 비교제조예 1의 제조
건조된 회화나무 꽃 10 g 및 증류수 100 g을 반응기에 넣고 90 ℃으로 유지한 채 약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뒤 액상의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4) 비교제조예 2의 제조
건조된 회화나무 꽃 10 g을 반응기에 넣고 pH가 13이 되도록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기를 상온에서 약 3시간 정도 정치시키고 여과시켜 불순물이 제거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여기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은 상기 회화나무 꽃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알칼리 추출물에 pH가 4로 될 때까지 6N 염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중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중화 추출물을 상온에서 약 3시간 정도 정치시켰고, 상층에 여과액 및 하층에 고형분이 형성되도록 약 5,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하였다. 이후, 상층에 형성된 여과액만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실험예 1: 단백질 및 총 당류 정량
상기 제조예 1과 비교제조예 1 및 2에 대하여 브래드퍼드 단백질 정량법(Bradford protein assay)를 통해 단백질을 정량하고, 페놀-황산 측정법(phenol sulfuric method)을 통해 당류를 정량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단백질의 정량방법
표준 물질(standard material)로 소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을 사용하였다. 상기 소 혈청 알부민의 농도(물에 희석)를 0.125 mg/mL, 0.25 mg/mL, 0.5 mg/mL, 0.75 mg/mL, 1 mg/mL, 1.5 mg/mL 및 2 mg/mL로 하고 이들 각각에 Quick Start™ Bradford 1x Dye Reagent(BIO-RAD, United State)을 혼합하였다. 이후, 약 570 nm에서 분광기로 측정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로 표준 곡선(standard curve, R2=약 0.999)을 작성하였다. 상기 표준 곡선은 x 축을 상기 소 혈청 알부민의 농도로 하고 y 축을 광학 밀도로 하여 나타난 데이터를 선형 회귀 분석법(Linear regression)으로 얻었다.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고형분, 열수 추출물 또는 여과액)을 1,000 ppm이 되도록 물(water)에 분산시켜 시료(sample)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5 ㎕와 Quick Start™ Bradford 1x Dye Reagent(BIO-RAD, United State) 250 ㎕를 혼합하고 약 5분간 정치한 뒤, 약 570 nm에서 분광기(UV-Vis Spectrophotometer)로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준 곡선 상에서, 상기 측정된 광학 밀도 값과 대응하는 농도를 구하였다. 상기 대응하는 농도를 통해 상기 시료에 함유된 총 단백질의 함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단백질의 함량으로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이 포함하는 단백질의 함량 비율을 계산하였다.
2) 당류의 정량방법
표준 물질(standard material)로 글루코오스(glucose)를 사용하였다. 상기 글루코오스의 농도를 10 ㎍/mL, 100 ㎍/mL, 250 ㎍/mL, 500 ㎍/mL 및 1,000 ㎍/mL으로 하고 이들 각각에 5 중량%의 페놀 수용액 약 1mL를 첨가하여 교반시켰다. 이후, 교반된 각 용액에 0.01 중량%의 황산 수용액 약 5 mL를 넣고 탈수시킨 뒤 약 30분간 정치시켰다. 이후, 약 485 nm에서 분광기로 측정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로 표준 곡선(standard curve, R2=약 0.999)을 작성하였다. 상기 표준 곡선은 x 축을 상기 글루코오스의 농도로 하고 y 축을 광학 밀도로 하여 나타난 데이터를 선형 회귀 분석법(Linear regression)으로 얻었다.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고형분, 열수 추출물 또는 여과액)로 제조한 각각의 시료 1 ㎕에 5 중량%의 페놀 용액(용매: 물) 약 1mL를 첨가하여 교반시켰다. 이후, 교반된 각 용액에 0.01 중량%의 황산 용액(용매: 물) 약 5 mL를 넣고 탈수시킨 뒤 약 30분간 정치시켰다. 이후, 약 485 nm에서 분광기로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준 곡선 상에서, 상기 측정된 광학 밀도 값과 대응하는 농도를 구하였다. 상기 대응하는 농도를 통해 상기 시료에 함유된 총 당류의 함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당류의 함량으로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이 포함하는 당류의 함량 비율을 계산하였다.
구분 | 단백질 함량(중량%) | 총 당류 함량(중량%) |
제조예 1 | 19.23 | 30.77 |
비교제조예 1 | 0.02 | 41.26 |
비교제조예 2 | 0.78 | 21.20 |
실험 결과, 제조예 1은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게 하는 유효성분인 단백질을 비교제조예 1 및 2에 비해 큰 차이로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조예 1은 단백질 및 당류가 적절히 조합되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제조예 1 및 2는 총 당류에 비해 단백질이 상당히 적게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임을 알 수 있다.
(2) 실험예 2: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정량
상기 제조예 1과 비교제조예 1 및 2에 대하여 폴린-시오칼토 측정법(Folin-Ciocalteu method)을 통해 총 폴리페놀(polyphenol)을 정량하고, 대한민국 건강기능식품 공전(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2-69호)의 3-48 플로보노이드를 참조하여 총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정량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1) 폴리페놀의 정량방법
표준 물질(standard material)로 갈산(gallic acid)을 사용하였다. 상기 갈산의 농도를 10 ㎍/mL, 25 ㎍/mL, 50 ㎍/mL, 100 ㎍/mL, 250 ㎍/mL, 500 ㎍/mL 및 1,000 ㎍/mL으로 하고 이들 각각에 2N의 폴린-시오칼토 시약(Folin-Ciocalteu's regant) 0.2 mL 및 증류수 2 mL를 첨가하여 약 3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된 각 용액에 20 중량%의 탄산나트륨 수용액 약 2 mL를 첨가하고 약 1시간정도 반응시켰다. 이후, 약 765 nm에서 분광기로 측정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로 표준 곡선(standard curve, R2=약 0.999)을 작성하였다. 상기 표준 곡선은 x 축을 상기 갈산의 농도로 하고 y 축을 광학 밀도로 하여 나타난 데이터를 선형 회귀 분석법(Linear regression)으로 얻었다.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고형분, 열수 추출물 또는 여과액)로 제조한 각각의 시료 0.1 ㎕에 2N의 폴린-시오칼토 시약(Folin-Ciocalteu's regant) 0.2 mL 및 증류수 2 mL를 첨가하여 약 3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반응된 각 용액에 20 중량%의 탄산나트륨 용액(용매: 물) 약 2 mL를 첨가하고 약 1시간정도 반응시켰다. 이후, 약 765 nm에서 분광기로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준 곡선 상에서, 상기 측정된 광학 밀도 값과 대응하는 농도를 구하였다. 상기 대응하는 농도를 통해 상기 시료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폴리페놀의 함량으로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이 포함하는 폴리페놀의 농도(단위: ㎍/mL)를 계산하였다.
2) 플라보노이드의 정량방법
표준 물질(standard material)로 케르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상기 케르세틴의 농도를 10 ㎍/mL, 25 ㎍/mL, 50 ㎍/mL, 100 ㎍/mL, 250 ㎍/mL, 500 ㎍/mL 및 1,000 ㎍/mL으로 하고 이들 각각에 10 중량%의 질산 알루미늄(aluminum nitrate) 수용액 0.1 mL, 1M의 아세트산 칼륨(Potassium acetate) 수용액 0.1 mL 및 80 중량%의 에탄올(ethanol) 수용액 4.3 mL를 첨가하고 약 40분정도 반응시켰다. 이후, 약 415 nm에서 분광기로 측정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로 표준 곡선(standard curve, R2=약 0.999)을 작성하였다. 상기 표준 곡선은 x 축을 상기 케르세틴의 농도로 하고 y 축을 광학 밀도로 하여 나타난 데이터를 선형 회귀 분석법(Linear regression)으로 얻었다.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고형분, 열수 추출물 또는 여과액)로 제조한 각각의 시료 0.5 mL에 10 중량%의 질산 알루미늄(aluminum nitrate) 수용액 0.1 mL, 1M의 아세트산 칼륨(Potassium acetate) 수용액 0.1 mL 및 80 중량%의 에탄올(ethanol) 수용액 4.3 mL를 첨가하고 약 40분정도 반응시켰다. 이후, 약 415 nm에서 분광기로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준 곡선 상에서, 상기 측정된 광학 밀도 값과 대응하는 농도를 구하였다. 상기 대응하는 농도를 통해 상기 시료에 함유된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으로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이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의 농도(단위: ㎍/mL)를 계산하였다.
구분 | 폴리페놀(㎍/mL) | 플라보노이드(㎍/mL) |
제조예 1 | 223.41 | 374.75 |
비교제조예 1 | 8.53 | 57.57 |
비교제조예 2 | 1.38 | 40.12 |
실험 결과, 제조예 1은 비교제조예 1 및 2에 비해 많은 양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예 1은 항산화효과를 가져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3) 실험예 3: 루틴(Ruine) 정량
상기 제조예 1과 비교제조예 1 및 2에 대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통해 루틴을 정량하여, 그 결과를 표 4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정량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고형분, 열수 추출물 또는 여과액)로 0.1 중량%의 농도를 가진 용액(용매: 메탄올)으로 시료를 제조한 후 하기 HPLC의 조건에 따라 루틴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동상으로 A 용매인 0.1 중량%의 아세트산 수용액 및 B 용매인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ACN)의 농도 구배를 이용하였다.
- 컬럼(column): Phenomenex C18 (250 x 4.6 nm, 5 ㎛)
- 검출 파장(Wavelength) : 254 nm
- 온도(Oven temperature): 35 ℃
- 유속(Flow rate): 1 mL/min
- 시료 주입량(Injection volume): 10 ㎕
- B 용매의 농도 구배: 5% ACN → 50% ACN (40분), 50% ACN → 100% ACN (5분), 100% ACN (5분), 100% ACN→ 5% ACN (5분), 5% ACN (5분).
도 1은 HPLC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조예, 비교제조예 1 및 2에 대한 HPLC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루틴 100 ppm에 해당하는 측정 결과(Ref.)로 나타내고 있다(R.T. 18.80). 상기 루틴 100 ppm에 해당하는 Area를 통해 각 시료에 대한 루틴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구분 | R.T. | Area | 루틴의 함량(ppm) |
제조예 1 | 18.79 | 10608646 | 567.21 |
비교제조예 1 | 18.80 | 539668 | 18.79 |
비교제조예 2 | 18.54 | 419427 | 12.24 |
실험 결과, 제조예 1은 비교제조예 1 및 2에 비해 많은 양의 루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예 1은 항산화 효과를 가져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데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4) 실험예 4: 항산화 시험
상기 제조예 1과 비교제조예 1 및 2에 대하여 DPPH(1,1-diphy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법을 통해 항산화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표 5 및 도 2a 내지 2c에 나타내었다. 도 2a 내지 2c는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법으로 수행한 항산화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DPPH 용액을 투명한 시료에 첨가하면 보라색으로 나타나고, 용액 내의 DPPH radical이 소거되면 점차 노란색으로 나타난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료는 농도별(10 ㎍/mL, 100 ㎍/mL, 500 ㎍/mL 및 1,000 ㎍/mL)로 제조(용매: 에탄올)하였다. 0.5mM DPPH 용액과 상기 시료를 1 : 1의 비율로 섞은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차광 및 혼합 반응시키고, Microplate reader(Thermo, UV/Vis)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샘플 외 블랭크(Blank)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대조군(Control)은 시료와 동량의 비타민 C(vitamin C)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료는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고형분, 열수 추출물 또는 여과액)을 에탄올에 넣고, 상기와 같이 각 농도별로 제조하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 X [1- {시료별 (ODDPPH-OD에탄올)}/{블랭크 (ODDPPH-OD에탄올)}] 식으로 계산하였다. 활성산소(자유라디칼)를 포함하는 DPPH는 항산화 물질에 의하여 소거되기 때문에 소거능이 높게 측정될수록 항산화 효능이 높게 평가될 수 있다.
구분 | 농도(㎍/mL) |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 |
대조구 | 100 | 94 |
제조예 1 | 10 | 4 |
100 | 67 | |
500 | 92 | |
1,000 | 93 | |
비교제조예 1 | 10 | 1 |
100 | 4 | |
500 | 16 | |
1,000 | 30 | |
비교제조예 2 | 10 | 2 |
100 | 3 | |
500 | 5 | |
1,000 | 9 |
실험 결과,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제조예 1은, DPPH 용액을 첨가하였을 때 radical이 소거되어 노란색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제조예 1 및 2는, radical이 충분히 소거되지 않아 보라색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5를 참조하면, 제조예 1은 동일 농도의 비교제조예 1 및 2에 비해 DPPH radical의 제거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조예 1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5) 실험예 5: 세포 독성 시험
상기 제조예 1과 비교제조예 1 및 2에 대하여 CCD 986sk MTT assay 및 HaCaT MTT assay를 통해 세포 독성 시험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도 3a 내지 3c 및 도 4a 내지 4c에 나타내었다. 도 3a 내지 3c은 CCD 986sk 세포를 통해 수행한 세포 독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a 내지 4c는 HaCaT 세포를 통해 수행한 세포 독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CCD 986sk MTT assay의 실험 방법
CCD-986sk 세포주를 96-well plate에 well 당 적정 농도로 200 ㎕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상기 시료를 농도 별(0.31 ㎍/mL, 0.63 ㎍/mL, 1.25 ㎍/mL, 2.5 ㎍/mL, 5 ㎍/mL, 10 ㎍/mL, 100 ㎍/mL, 500 ㎍/mL 및 1,000 ㎍/mL)로 처리 후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3시간 전 5mg/mL MTT를 20 ㎕ 처리 후 3시간 동안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배양액을 버리고 DMSO를 150 ㎕ 분주 후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Microplate reader(Thermo, UV/Vis)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다.
상기 시료는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고형분, 열수 추출물 또는 여과액)을 에탄올에 넣고, 상기와 같이 각 농도별로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블랭크에서 측정된 흡광도 대비 시료를 첨가한 군들에서 측정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감률을 계산하였다. 상기 세포 증감률은 하기 세포 증감률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세포 증감률 식]
세포 증감률(Cell proliferation, %) = 시료를 첨가한 군의 흡광도/블랭크에서 측정된 흡광도 × 100
2) HaCaT MTT assay의 실험 방법
HaCaT 세포주를 96-well plate에 well 당 적정 농도로 200 ㎕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상기 시료를 농도 별(0.31 ㎍/mL, 0.63 ㎍/mL, 1.25 ㎍/mL, 2.5 ㎍/mL, 5 ㎍/mL, 10 ㎍/mL, 100 ㎍/mL, 500 ㎍/mL 및 1,000 ㎍/mL)로 처리 후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3시간 전 5mg/mL MTT를 20 ㎕ 처리 후 3시간 동안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배양액을 버리고 DMSO를 150 ㎕ 분주 후 상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Microplate reader(Thermo, UV/Vis)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다.
상기 시료는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고형분, 열수 추출물 또는 여과액)을 에탄올에 넣고, 상기와 같이 각 농도별로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블랭크에서 측정된 흡광도 대비 시료를 첨가한 군들에서 측정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감률을 계산하였다. 상기 세포 증감률은 하기 세포 증감률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세포 증감률 식]
세포 증감률(Cell proliferation, %) = 시료를 첨가한 군의 흡광도/블랭크에서 측정된 흡광도 × 100
도 3a 내지 3c 및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각 농도(단위: ㎍/mL)로 제조된 제조예 1, 비교제조예 1 및 2에 대한 세포 증감률(Cell proliferation, %)이 나타나있다.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가로선은 상기 세포 증감률이 75%인 지점을 의미하고, 상기 세포 증감률이 75% 이상이면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 및 도 4a 내지 4c에서,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은 100 ㎍/mL 이하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제조예 2는 10 ㎍/mL 이하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될 수 있다.
(6) 실험예 6: 주름 개선 효능 시험
제조예 1와 비교제조예 1 및 2에 대하여 엘라스틴(elastin)의 mRNA 발현량을 통해 주름 개선 효능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표 6 및 도 5a 내지 5c에 나타내었다. 도 5a 내지 5c는 엘라스틴의 mRNA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CCD-986sk 세포주를 6-well plate에 적정 농도로 2m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FBS가 함유되지 않은 기본 배양액으로 교체한 후 24시간 동안 동일 배양조건 하에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시료를 농도 별로 100 ㎕씩로 처리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각 well에 Trizol(Invitrogen)을 1mL 처리하여 RNA 추출하고 클로로포름, 2-프로판올, 75% EtOH 및 원심분리기 사용하여 RNA 응축 및 워싱을 진행하였다. RNA 건조 후 Nuclease free water 적정량 넣고 Nano drop(ALLSHENG)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각 RNA를 동일 농도가 되도록 제조한 후 cDNA Synthesis Kit(PhileKorea)를 이용하여 Reverse transcription 하였다. 합성된 cDNA 및 Primer(Elastin Oligonucleotide), SYBR green, Nuclease free water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후 Real time PCR 장비(Applied Biosystem, Quantstudio 5)를 사용하여 RT-qPCR 실행하였다. PCR 결과 분석은 ΔΔCt 값을 산출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블랭크(Blank)는 시료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블랭크에서 측정된 엘라스틴 mRNA 발현량이 1이라고 기준하여 상기 시료에서 측정된 엘라스틴 mRNA 발현량을 상대값으로 측정하였고, 상대값에 대한 증감 비율(효과, %)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료는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물질(고형분, 열수 추출물 또는 여과액)을 에탄올에 넣고, 상기와 같이 각 농도별로 제조하였다.
상기 엘라스틴 mRNA 발현량의 상대값에 대한 증감 비율(효과, %)은 시료에서 측정된 엘라스틴 mRNA 발현량(상대값)을 블랭크에서 측정된 엘라스틴 mRNA 발현량(1)을 뺀 뒤, 뺀 값을 상기 블랭크에서 측정된 엘라스틴 mRNA 발현량(1)로 나누고 100을 곱한 백분율 값으로 하였다.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같이 탄력 섬유의 일종으로써, 주름개선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Antonicelli et al., 2007), 엘라스틴 mRNA 발현량이 높게 측정될수록 우수한 주름 개선 효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구분 | 농도(㎍/mL) | 상대값에 대한 증감 비율(효과, %) |
Blank | - | - |
제조예 1 | 5 | 68 |
10 | 36 | |
비교제조예 1 | 100 | -13 |
비교제조예 2 | 2.5 | 6 |
실험 결과, 제조예 1은 비교제조예 1 및 2보다 엘라스틴의 mRNA 발현량이 블랭크에 비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조예 1은 우수한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7) 실험예 7: 보습 효능 시험
상기 제조예 1과 비교제조예 1 및 2에 대하여 아쿠아포린(aquaporin) 3(AQP3)의 mRNA 발현량을 통해 보습 효능 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표 7 및 도 6a 내지 6c에 나타내었다. 도 6a 내지 6c는 아쿠아포린 3의 mRNA 발현량(상대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HaCaT 세포주를 60mm dish에 well 당 적정 농도로 4m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Serum starvation 24시간 진행 후 상기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 조건 하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Trizol(Invitrogen)을 1mL 처리하여 RNA 추출하고 클로로포름, 2-프로판올, 75% EtOH 및 원심분리기 사용하여 RNA 응축 및 워싱을 진행하였다. RNA 건조 후 Nuclease free water 적정량 넣고 Nano drop(ALLSHENG)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각 RNA를 동일 농도가 되도록 제조한 후 cDNA Synthesis Kit(PhileKorea)를 이용하여 Reverse transcription 하였다. 합성된 cDNA 및 Primer(AQP3 Oligonucleotide), SYBR green 및 Nuclease free water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후 Real time PCR 장비(Applied Biosystem, Quantstudio 5)를 사용하여 RT-qPCR 실행하였다. PCR 결과 분석은 ΔΔCt 값을 산출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블랭크(Blank)는 시료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고 대조구(Contol)은 시료와 동량의 판테놀(panthenol)을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블랭크에서 측정된 아쿠아포린-3 mRNA 발현량이 1이라고 기준하여 상기 시료 및 대조구에서 측정된 아쿠아포린-3 mRNA 발현량을 상대값으로 측정하였고, 상대값에 대한 증감 비율(효과, %)을 측정하였다.
상기 아쿠아포린-3 mRNA 발현량의 상대값에 대한 증감 비율(효과, %)은 시료에서 측정된 아쿠아포린-3 mRNA 발현량(상대값)을 블랭크에서 측정된 아쿠아포린-3 mRNA 발현량(1)을 뺀 뒤, 뺀 값을 상기 블랭크에서 측정된 아쿠아포린-3 mRNA 발현량(1)로 나누고 100을 곱한 백분율 값으로 하였다.
아쿠아포린(aquaporin)은 세포막에서 물 분자를 능동적으로 세포내로 이동시키는 수송단백질(transporter)로서 세포막에 존재한다(J Biol Chem 1999;274:21631-21636, Curr. Opin. Struct. Biol. 2005;15:176-183). 아쿠아포린은 포유류에서 현재까지 13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이중에서 아쿠아포린-3(AQP3) 단백질은 물 분자와 글리세롤(glycerol)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아쿠아글리세로포린(aquaglyceroporin) 단백질 일종으로서, 피부의 보습(hydration)과 상처 치료에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J Invest Dermatol 2002;118:678-685, J. Mol. Med. 2008;96:523-529). 즉, 아쿠아포린-3 mRNA 발현량이 높게 측정될수록 우수한 보습 효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구분 | 농도(㎍/mL) | 상대값에 대한 증감 비율(효과, %) |
Blank | - | - |
대조구 | 10,000 | 79 |
제조예 1 | 5 | 40 |
10 | 64 | |
비교제조예 1 | 5 | -9 |
10 | 22 | |
비교제조예 2 | 2.5 | 27 |
5 | 22 |
실험결과, 제조예 1은 비교제조예 1 및 2보다 아쿠아포린-3의 mRNA 발현량이 블랭크에 비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조예 1은 우수한 보습 효능을 가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8) 실험예 8: 고형분의 수율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고형분의 수율을 하기 식 1에 따른 Y로 도출하여,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Y = WS/WF×100(%)
식 1에서, WS는 고형분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수득된 고형분의 질량이고, WF는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사용된 회화나무 꽃의 질량이다.
구분 | 알칼리 추출 pH | 중화 후 pH |
회화나무 꽃(원료, g) | 고형분 (mg) |
수율(Y, %) |
제조예 1 | 13 | 4 | 10 | 534.4 | 5.34 |
제조예 2 | 13 | 5 | 10 | 372.0 | 3.72 |
제조예 3 | 13 | 6 | 10 | 159.0 | 1.59 |
제조예 4 | 13 | 7 | 10 | 142.6 | 1.43 |
제조예 5 | 12 | 5 | 10 | 132.1 | 1.32 |
제조예 6 | 10 | 5 | 10 | 29.5 | 0.30 |
제조예 7 | 11 | 5 | 10 | 52.5 | 0.53 |
실험 결과,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의 알칼리의 pH와 상기 알칼리 추출물이 산성 물질에 의해 중화된 후의 pH에 따라서 회화나무 꽃에서 얻어지는 고형분의 수율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제조예 1 내지 7에서 고형분의 수율은 모두 1% 이상임을 알 수 있고, 특히 제조예 1 및 2는 3%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가 높은 pH 환경에서 수행되어야 하고, 적절한 중화 후 pH를 맞춰야 고형분의 수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을 추출한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고형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형분은 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고형분은 상기 회화나무 꽃을 pH 13 이상에서 추출하여 수득한 알칼리 추출물을 pH 3.5 내지 5.5의 범위 내로 중화하여 수득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은 상기 단백질을 상기 고형분의 전체 중량 대비 15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은 당류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은 상기 당류를 단백질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폴리페놀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항산화 활성 효과를 위해 50 ㎍/mL 내지 1000 ㎍/mL의 농도 범위 내에서 상기 고형분이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3 ㎍/mL 내지 50 ㎍/mL의 농도 범위 내에서 상기 고형분이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분은 상기 추출물을 산성 물질에 의해 중화함에 따라 수득되는, 화장료 조성물. -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꽃을 추출하여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하고 고형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pH 13 이상에서 수행되며,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중화한 후의 pH가 3.5 내지 5.5의 범위 내이고,
상기 고형분은 단백질을 포함하는, 고형분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15 ℃ 내지 40 ℃의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고형분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은 산성 물질에 의해 중화되는, 고형분의 제조방법. - 삭제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사용된 회화나무 꽃의 질량에 대하여 상기 고형분의 수율이 3% 이상인, 고형분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7388A KR102579345B1 (ko) | 2023-04-11 | 2023-04-11 | 회화나무 꽃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7388A KR102579345B1 (ko) | 2023-04-11 | 2023-04-11 | 회화나무 꽃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9345B1 true KR102579345B1 (ko) | 2023-09-21 |
Family
ID=8818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7388A KR102579345B1 (ko) | 2023-04-11 | 2023-04-11 | 회화나무 꽃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934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9072A (ko) | 2015-05-26 | 2016-12-07 |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 딱지꽃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KR20210093030A (ko) | 2020-01-17 | 2021-07-27 | (주)모아캠 |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
-
2023
- 2023-04-11 KR KR1020230047388A patent/KR1025793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9072A (ko) | 2015-05-26 | 2016-12-07 |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 딱지꽃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KR20210093030A (ko) | 2020-01-17 | 2021-07-27 | (주)모아캠 |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
Journal of Photochemistry & Photobiology, 2019, 191, pp. 135-142*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33528B1 (en) | Lingonberry extract, the preparing method and use thereof | |
KR102331436B1 (ko) |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 |
KR100844516B1 (ko) |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hen et al. |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a polysaccharide from Polygoni Multiflori Radix Praeparata in cyclophosphamide-induced anemic mice | |
KR102230390B1 (ko) | 프루누스 페르시카의 수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190026175A (ko) |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493158B1 (ko) | 가공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37344B1 (ko) | 미성숙 사과 추출물 및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항산화 및 주름개선을 위한 조성물 | |
WO2022215441A1 (ja) |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 |
KR100851489B1 (ko) | 틸리아닌( tilianin) 또는아카세틴(acac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
ITRM20060233A1 (it) | Metodo per la preparazione e l uso di un estratto arricchito in cianidina 3 o beta glucopiranoside e suoi derivati da frutti e vegetali conenti detta antocianina e per la purificazione e l uso di cianidina 3 o beta glucopiranoside e suoi derivati da | |
KR102579345B1 (ko) | 회화나무 꽃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EP4349845A1 (en) | Novel isoflavone compound | |
CN109641024A (zh) | 具有低含量缩合鞣质分子的麝香葡萄局部组合物 | |
JP2010195726A (ja) | デルマトポンチン産生促進剤 | |
JP6020155B2 (ja) |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 |
JP4083111B2 (ja) | β−エンドルフィン産生促進剤 | |
JP5610913B2 (ja) | 抗老化剤、美白剤、抗酸化剤、痩身剤、抗炎症剤 | |
KR100864852B1 (ko) |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 |
Navia et al. | Determination of the phenolic contents, and evaluation of the antityrosinase activity, and the antioxidant indexes of four Bolivian quinoa varieties | |
KR102691022B1 (ko) | 밀씨 유래 다당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
CN116803366B (zh) | 一种细叶萼距花精致组分和单体化合物的制备方法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 |
KR102120213B1 (ko) | 녹차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65298B1 (ko) |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7122169B2 (ja) | メラニン分解促進剤及び美白化粧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