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298B1 -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298B1
KR102565298B1 KR1020230010453A KR20230010453A KR102565298B1 KR 102565298 B1 KR102565298 B1 KR 102565298B1 KR 1020230010453 A KR1020230010453 A KR 1020230010453A KR 20230010453 A KR20230010453 A KR 20230010453A KR 102565298 B1 KR102565298 B1 KR 102565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folin
plant
acid
extrac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민경
신세용
장 제임스
곽진규
김성우
임정철
황지호
Original Assignee
(주)원오세븐
한애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오세븐, 한애가(주) filed Critical (주)원오세븐
Priority to KR102023001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추출 대상 식물을 pKa 0 내지 15.74의 약산 유기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추출되며, 6000 내지 9000 ppm의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Extracts of plant Containing High-Content of Taxifol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탁시폴린 함유 식물로부터 탁시폴린 추출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추출 방법 및 이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 유래 유효성분을 얻는 방법으로는 열수 추출법 및 유기 용매 추출법이 있다. 열수 추출법은 고온에서 추출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열 안정성이 낮은 식물의 유효성분(active component)이 파괴되기 쉽다. 유기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식물 추출물은 유효 성분의 함량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추출 대상 식물 및 추출을 목적으로 하는 성분에 따라 동일한 식물에 대해서도 용매의 차이에 따라 추출되는 성분 및 함량이 상이할 수 있다.
한편, 피부 노화는 여러가지 내인적 그리고 외인적 요인들에 의해 진행된다. 대표적인 외인적 요인은 태양광선의 노출인데, 자외선의 작용으로 피부에서 과잉의 활성산소종이 생성되는 것이 그 원인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세포 성분들에 대한 손상을 야기시키고 광노화를 촉진시키는데, 활성산소종은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고 주름을 생성시키는 노화의 원인 물질이다.
생체 내에서 산화제 공격과 항산화제 방어는 밀접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생체 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 분자들은 유리기(free radical)에 의해 계속적인 산화적 손상을 받으며 이들 산화반응 산물들은 나이가 듦에 따라 축적되어 노화가 진행된다. 유리기는 홀수 전자를 갖는 원자나 원자단을 말한다. 이와 같이 유리기는 짝을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며, 에너지가 높고, 따라서 반응성이 크다. 따라서 유리기는 안정한 산물로 되기 위해 전자를 받아 짝을 이루려는 성질이 강하다. 산소는 그 화학적 성질로 인하여 환원되어 유리기인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과 하이드록시 라디칼(·OH)과 같은 산소 중심의 유리기로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은 산소 중심의 유리기뿐만 아니라, 과산화수소(H2O2)나 싱글렛 옥시젠(1O2)과 같은 비유리기, 그리고 자외선 조사로 피부에서 이차적으로 생성된 LOO·, NO, HOCl 등이 해당된다.
항산화제는 기질의 양과 비교하여 적은 양으로 존재하면서 기질의 산화를 지연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 효소적 항산화제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로 구분된다. 자외선 노출로 인해 피부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 중에서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과 하이드록시 라디칼은 피부내의 항산화 효소에 의해 처리된다.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는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을 과산화수소로 전환시키고 카탈라아제(Catalase)는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무독화 시킨다. 반면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싱글렛 옥시젠과 하이드록시 라디칼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에 의해 제거된다.
피부의 항산화 방어망은 항산화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되어 피부를 이루고 있는 세포를 보호하여 피부노화를 지연시키고 예방하고 있다. 하지만 활성산소가 너무 많이 생성되거나 생체내 항산화 물질이 감소하면 활성산소에 대한 방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피부노화가 급격하게 진행될 수 있다. 피부의 항산화효소들은 피부 신체 컨디션이나 나이가 듦에 따라 분비량이 적어질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공급 가능한 비효소적 항산화물질을 충분하게 공급하여 항산화 방어체계를 튼튼하게 하는 것이 항노화를 위한 중요한 예방의 방안이 되고 있다. 이러한 비효소적 항산화 물질로서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탄닌, 이소플라본과 같은 다양한 페놀 화합물이 효과적이다.
탁시폴린(Taxifolin)은 플라보노이드 페놀 화합물로서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며 다양한 식물에 함유되어 있다. 탁시폴린을 천연물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출원번호 제10-2014-7021827호에는 목재의 에탄올 추출물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탁시폴린의 제조 방법이 게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법들은 추출 후 분리 정제 공정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추출 효율은 여전히 낮으므로 천연물로부터 탁시폴린 추출 과정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탁시폴린 함유 식물로부터 탁시폴린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탁시폴린의 함량을 높여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탁시폴린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탁시폴린 함유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고함량의 탁시폴린이 함유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추출 대상 식물을 pKa 0 내지 15.74의 약산 유기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추출되며, 6000 내지 9000 ppm의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본 발명의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탁시폴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탁시폴린 추출 효율이 현저히 증가된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추출 효율이 향상된 탁시폴린은 특히 뛰어난 항산화 기능으로 우수한 항노화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탁시폴린 함유 식물로부터 탁시폴린 등의 성분과 같은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추출 대상 식물을 pKa 0 내지 15.74의 약산 유기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유기산의 pKa가 0 미만인 경우에는 오히려 탁시폴린이 분해되어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pKa가 15.74 초과인 경우에는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약산 유기산은 초산, 개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구연산, 젖산, 주석산, 사과산, 및 호박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pH 2.4 내지 2.42의 약산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초산(아세트산)인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추출 대상 식물은 양파, 감귤류, 작약, 올리브, 포도, 선인장과 식물, 진달래, 침엽수, 주목나무, 및 엉겅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선인장과 식물은 백년초, 천년초 등일 수 있고, 상기 침엽수는 시베리아 낙엽송, 소나무, 개잎갈나무, 잎갈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소나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소나무(Pinus sylvestris)인 것이다.
한편, 상기 식물은 열매, 잎, 가지, 뿌리, 및 껍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침엽수와 같은 나무의 경우 나무의 껍질을 대상으로 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물은 건조된 식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건조된 분말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는 추출 용매를 이용한 추출 전, 후 또는 추출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추출 전에 전처리 단계로써 수행되거나, 추출 용매에 초산을 혼합하여 추출 단계를 수행함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C1-5의 저급알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알콜 수용액,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알콜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추출 용매는 추출 용매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25 부피% 내지 100 부피%의 C1-5의 저급알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100 부피%의 C1-5의 저급알콜이 아닌 경우 물이 혼합된 C1-5의 저급알콜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C1-5의 저급알콜의 농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탁시폴린의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초산은 1 내지 50% 농도의 초산 수용액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 내지 5 % 농도의 초산 수용액일 수 있다. 초산이 농도가 증가할수록 추출 효율은 향상될 수 있으나, 과량의 초산을 사용하는 경우 이취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취의 측면을 고려하면 1 내지 5 %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초산으로 처리하는 단계가 초산, 및 C1-5의 저급알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알콜 수용액의 혼합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과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초산은 추출 용매에 상술 바와 같이 농도 범위로 혼합된 혼합 용액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이때 혼합 추출 용매의 경우 전체 추출 조성물의 전체 부피를 기준으로 1 내지 50 부피%의 초산, 10 내지 90 부피%의 C1-5의 저급알콜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내지 45 부피%의 초산, 25 내지 70 부피%의 C1-5의 저급알콜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때 혼합 추출 용매는 산과 C1-5의 저급알콜이 1 : 14 내지 5 : 14의 부피비이면서, 산과 물이 1 : 5 내지 5 : 1의 부피비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5의 저급알콜, 산 및 물이 14 : 1 : 5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이다.
한편, 추출 대상 탁시폴린 함유 식물을 초산으로 처리하는 단계가 추출 전에 전처리 단계로써 수행되는 경우에는, 보다 상세하게, 초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로부터 획득되는 고형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로부터 획득되는 건조물을 C1-5의 저급알콜 및 이를 포함하는 알콜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 용매와 혼합하고 추출하여 추출액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하는 단계의 수행 방법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자연건조, 열풍 건조, 동결건조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초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 시간 내지 10일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 시간 내지 70시간, 바람직하게는 7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추출 시간이 1 시간 미만인 경우 추출율이 저하될 수 있고, 시간이 증가되면 추출율이 증가하나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율에 영향이 미미하여 공정경제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초산 수용액 및/또는 추출 용매를 식물과 혼합하는 경우 혼합 비율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식물과 초산 수용액 및/또는 추출 용매를 1: 1 내지 1:50 중량비, 예를 들어 1:5 내지 1:20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은 20℃ 이상 9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추출율이 저하될 수 있고, 온도가 증가되면 추출율이 증가하나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율에 영향이 미미하여 공정 경제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초산으로 처리하는 단계와 추출을 수행하여 추출액을 획득하는 단계가 별도의 단계로 수행되는 경우 이 두 단계 모두 각각 상기 범위 내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하는 단계는 초음파 처리를 수반하는 것일 수 있으며, 초음파를 수반하는 경우 추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후속적으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감압 농축은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에서 수행되어 추출 용매를 제거하면서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후속적으로 추가적인 분획 단계를 수행하여 순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물의 여액 또는 농축물에 물리화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탁시폴린 등의 유효 성분의 순도를 높인 다양한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물리화학적으로 순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회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추출물은 액상일 수 있거나, 농축된 액상일 수 있거나, 건조된 분말 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탁시폴린 함유 식물로부터 추출되며, 6000 내지 9000 ppm의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이 제공되며, 예를 들어 6500 내지 7500 ppm의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이 제공된다. 상기 식물 추출물의 탁시폴린 함량은 본 발명에 기초하여 탁시폴린 함유 식물을 pKa 0 내지 15.74의 약산 유기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나아가 추출 후 추가로 분리정제 공정을 부가하면 그 함량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본 발명의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용 조성물이 제공되며, 예를 들어 상기 외용 조성물은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항노화용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콜라겐 합성 증진, 엘라스틴 합성 증진, 엘라스틴 분해 억제, 및 항산화 활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도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탁시폴린에 따른 효과, 예를 들어 항산화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에서 침전이나 분리 등과 같은 화장품 조성물의 변화를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효한 양은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피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추출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외용 조성물은 화장품학적 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와 함께 용액, 현탁액, 에멀션, 페이스트, 젤, 크림,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제화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용 조성물은 보존제, 유화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및 제한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습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용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피부는 얼굴, 손, 팔, 다리, 발, 가슴, 배, 등, 엉덩이, 및 두피를 포함하는 신체의 모든 피부 부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외용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수, 영양 크림, 로션,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비누 또는 파운데이션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에멀션)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는데,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탁시폴린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탁시폴린 함유 식물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탁시폴린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등의 외용 조성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추출 효율이 향상된 탁시폴린 성분은 뛰어난 항산화 기능 등으로 우수한 항노화 효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용도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탁시폴린 성분이 주요 유효 성분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용도의 조성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5% 농도의 초산 수용액 및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혼합한 혼합 용매에 소나무껍질 건조 분말을 혼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혼합 용매와 소나무 껍질 건조 분쇄 분말을 10 : 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37℃에서 7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그 결과물을 여과 후 액상을 취하고 37℃에서 감압 농축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2
5% 농도의 초산 수용액 대신 1.5%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과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3
5%농도의 초산 수용액 대신 10%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과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4
5%농도의 초산 수용액 대신 25%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과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5
반응 온도를 37℃에서 5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6
반응 온도를 37℃에서 7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7
반응 시간을 7시간에서 14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8
반응 시간을 7시간에서 70시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9
소나무 껍질을 5% 농도의 초산 수용액과 사전 반응시킨 후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나무 껍질 건조 분쇄 분말과 5%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1 : 1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37℃에서 7시간동안 반응시킨다. 그 결과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취하고 건조 후 분말화한다. 건조된 분말과 70% 농도의 에탄올을 1 : 1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37℃에서 7시간동안 반응시킨다. 여과 후 액상을 취하고 37℃에서 감압농축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비교예 1
혼합 용매 대신 70% 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비교예 2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액을 5% 농도의 초산 수용액과 반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소나무 껍질 건조 분쇄 분말과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37℃에서 7시간동안 반응시킨다. 그 결과물을 여과하여 액상을 취하고 초산의 농도가 5%가 되도록 초산을 첨가하고 37℃에서 7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37℃에서 감압농축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한다.
2. 시험예
시험예 1: 혼합 용매의 초산 함유량에 따른 추출 효율 비교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 및 초산이 함유된 혼합용매를 이용한 추출에서 초산의 함유량을 변화시켰을 때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4, 그리고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여 탁시폴린을 정량분석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을 위해 탁시폴린 표준 원액은 적절한 농도 범위가 되도록 메탄올을 넣어 초음파 처리하고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검액으로 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램에서 얻은 피크 면적을 내부 표준물의 피크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검량선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료액 중 각 성분의 함량을 계산하였다. 분석 조건과 시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분석 조건 1]
- 컬럼: Dionex AcclaimTM 120 C18 (250㎜ x 4.6㎜, 5㎛)
- 검출기: PDA(Waters 996): 200~500㎚ scan, MSD(Waters Micromass Quattro Micro API LS/MS/MS)
- 시료액 주입량: 5㎕
- 유량: 1㎖/min(1,500~2,600 psi)
- 이동상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음
시간(분) 0.1% 초산 MeOH
0 70 30
13 0 100
15 0 100
15.5 70 30
20 70 30
- 검출 파장: 289nm
그 결과 하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 및 초산 수용액이 함유된 혼합용매로 추출하였을 때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였을 때보다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70% 에탄올 및 초산이 함유된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때 초산의 함량이 5% 농도일때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이 최대였다.
혼합 용매의 초산 함유량에 따른 추출 효율 비교
시료 농도 (mg/g, w/w)
실시예 1 7.22
비교예 1 5.94
실시예 2 6.18
실시예 3 7.03
실시예 4 6.89
시험예 2: 추출 온도에 따른 추출 효율 비교
추출용매에 산을 추가하고 반응 온도를 높였을 때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5 및 6의 방법으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여 탁시폴린을 정량분석하였다. 시험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을 하였고 시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 및 5% 농도의 초산 수용액이 함유된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때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도 증가했다. 반응온도는 50℃를 초과한 경우 50℃로 반응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탁시폴린 추출수율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시험 결과로 볼 때, 반응온도를 50℃로 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다.
추출 반응온도에 따른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농도
시료 농도(mg/g, w/w)
실시예 1 7.22
실시예 5 8.61
실시예 6 8.69
시험예 3: 추출 시간에 따른 추출 효율 비교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 및 5% 농도의 초산 수용액이 함유된 혼합 용매를 이용한 추출에서 반응시간을 변화시켰을 때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7 및 8의 방법으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여 탁시폴린을 정량분석하였다.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을 하였고 시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 결과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도 증가했다. 다만, 반응시간이 14시간이 초과되면 14시간 반응했을 때와 비교하여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시험결과로 볼 때, 14시간의 반응시간이 가장 경제적이다.
추출 반응시간에 따른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농도
시료 농도(mg/g, w/w)
실시예 1 7.22
실시예 7 7.89
실시예 8 7.97
시험예 4: 초산의 전처리 또는 후처리에 따른 탁시폴린 함량의 변화 확인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추출에 앞서 소나무 껍질에 5%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사전 반응시킨 경우의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 변화, 그리고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추출 후 추출액에 5%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사후 반응시킨 경우의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9, 비교예 1, 그리고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여 탁시폴린을 정량분석하였다. 시험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을 하였고 시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추출에 앞서 소나무 껍질에 5%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사전 반응시킨 경우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은 초산으로 사전반응을 하지 않고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추출 후 추출액에 5% 농도의 초산 수용액을 반응시킨 경우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함량은 7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초산으로 반응시키지 않은 추출물보다 감소하였다. 시험 결과로 볼 때, 소나무 껍질의 용매추출 전에 약산과의 반응공정을 추가하면 탁시폴린의 추출 수율이 현저히 증가된다.
초산의 전처리 또는 후처리에 따른 추출물에 함유된 탁시폴린의 농도
시료 농도 (mg/g, w/w)
비교예 1 5.94
실시예 9 6.78
비교예 2 5.7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소나무 껍질로부터 탁시폴린의 추출 수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방법이 적용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항산화반응으로 항노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5)

  1.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추출 대상 식물을 pKa 0 내지 15.74의 약산 유기산으로 처리하는 단계;
    약산 유기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로부터 획득되는 고형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로부터 획득되는 건조물을 C1-5의 저급알콜 및 이를 포함하는 알콜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 용매와 혼합하고 추출하여 추출액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산 유기산은 초산, 개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구연산, 젖산, 주석산, 사과산, 및 호박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추출 대상 식물은 양파, 감귤류, 작약, 올리브, 포도, 선인장과 식물, 진달래, 침엽수, 주목나무, 및 엉겅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인,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대상 식물은 열매, 잎, 가지, 뿌리 및 껍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식물의 부분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C1-5의 저급알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알콜 수용액인,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산 유기산은 1 내지 50 중량% 농도의 초산 수용액인,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산 유기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는 2 시간 내지 10일 동안 수행되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추출은 20℃ 이상 9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추출되며, 6000 내지 9000 ppm의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13. 제12항의 탁시폴린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외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용 외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항산화용 외용 조성물.
  15. 삭제
KR1020230010453A 2023-01-26 2023-01-26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5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453A KR102565298B1 (ko) 2023-01-26 2023-01-26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453A KR102565298B1 (ko) 2023-01-26 2023-01-26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298B1 true KR102565298B1 (ko) 2023-08-11

Family

ID=8756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453A KR102565298B1 (ko) 2023-01-26 2023-01-26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2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159A (ja) * 2007-07-04 2009-01-22 Beijing Ginko Group Biological Technology Co Ltd コケモモ抽出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KR102380457B1 (ko) * 2021-10-26 2022-03-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함량의 탁시폴린 배당체 추출물과 탁시폴린 비당체 추출방법
KR20220094230A (ko) * 2020-12-28 2022-07-06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증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159A (ja) * 2007-07-04 2009-01-22 Beijing Ginko Group Biological Technology Co Ltd コケモモ抽出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
KR20220094230A (ko) * 2020-12-28 2022-07-06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증진용 조성물
KR102380457B1 (ko) * 2021-10-26 2022-03-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함량의 탁시폴린 배당체 추출물과 탁시폴린 비당체 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6475A (ko) 탈분화 식물 프로토플라스트 내에 활성 물질이 인입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45B1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9886B1 (ko)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65298B1 (ko) 고함량의 탁시폴린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13293A (ko)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KR19980069944A (ko)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1413B1 (ko)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6692B1 (ko)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79338A (ko) 개나리 꽃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EP3381441B1 (en)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ing germinated glycine gracil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4852B1 (ko)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00045575A (ko)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102371164B1 (ko) 발아 납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132753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상엽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441142B1 (ko) 인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인삼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583415B1 (ko) 오죽 잎 및 우엉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10104B1 (ko) 루이보스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2438389B1 (ko) 포도나무 뿌리 유래의 스틸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83480B1 (ko) 유칼립투스, 구기자나무, 및 자작나무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보습 및 피부 재생용 피부상태 개선 조성물
KR102604678B1 (ko) 개선된 피부 재생 효과 및 보습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0363B1 (ko)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