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030A -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030A
KR20210093030A KR1020200006701A KR20200006701A KR20210093030A KR 20210093030 A KR20210093030 A KR 20210093030A KR 1020200006701 A KR1020200006701 A KR 1020200006701A KR 20200006701 A KR20200006701 A KR 20200006701A KR 20210093030 A KR20210093030 A KR 2021009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extract
glycoprotein
glycoprotein fraction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436B1 (ko
Inventor
이규승
송지훈
이지언
한정희
김영은
주일우
Original Assignee
(주)모아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아캠 filed Critical (주)모아캠
Priority to KR102020000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4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피부 탄력 향상,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피부 미백 개선, 피부 염증 완화, 모발 상태 개선,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지는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당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과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Composition Comprising Glycoprotein Fraction of the Flower Extract or Hydrolysate Derived from the Glycoprotein Fraction, and Method of Producing Glycoprotein Fraction of the Flower Extract and Hydrolysate Derived from the Glycoprotein Fraction}
본 발명은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피부 탄력 향상,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피부 미백 개선, 피부 염증 완화, 모발 상태 개선,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지는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당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과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 방지, 피부 탄력 향상,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피부 미백 개선, 피부 염증 개선, 항산화 활성 효과 등의 피부 상태 개선 효능과 모발 강도 개선, 탈모 방지, 발모 촉진, 육모 촉진, 양모 촉진, 비듬 방지, 백모 방지, 모발 윤기 개선 등의 두피/모발의 상태 개선 효능을 갖는 다양한 화장품 원료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화학 원료의 경우 피부 알러지나 피부 트러블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동물성 원료의 경우, 소비자들의 선호도 하락과 광우병 등의 파문으로 동물성 원료에 대한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식물성 원료 등 친환경 유래의 원료들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식물성 원료로 사용가능한 다수의 식물이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식물의 전초, 뿌리, 줄기, 잎, 꽃, 열매, 또는 이들의 조합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꽃을 식물성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종래기술은 다수 존재한다(아래 특허문헌 1-7 참조).
그러나, 종래에는 식물성 원료인 꽃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피부 또는 모발 적용 제품에 단순 첨가하여 이용하여 왔을 뿐, 실제로 그러한 추출물에서 특별히 활성이 높고, 또 산업적 유용성이 큰 복수의 당단백질 및 당류(탄수화물)를 포함하는 정제물을 규명한 사례는 이제까지 없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꽃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 세포 내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을 억제시켜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며, 피부 세포 내 지질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멜라닌 합성을 저해시켜 피부 미백 효과가 있으며, 자외선 조사로 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항염 효과가 있고, 모발의 강도/윤기를 향상시키는 효과, 및 ROS를 소거시키는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95135호(2006.08.3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6710호(2017.11.0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0675호(2013.05.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3526호(2017.03.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457호(2015.03.0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9072호(2016.12.07)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0952호(2017.11.01)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피부 미백 개선, 피부 염증 완화, 모발 상태 개선,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지는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의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등전점(isoelectric point, pI) 값이 3.0~7.0, 바람직하게는 3.5~6.5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등전점 값이 3.0~7.0, 바람직하게는 3.5~6.5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건조 개선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등전점 값이 3.0~7.0, 바람직하게는 3.5~6.5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등전점 값이 3.0~7.0, 바람직하게는 3.5~6.5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등전점 값이 3.0~7.0, 바람직하게는 3.5~6.5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등전점 값이 3.0~7.0, 바람직하게는 3.5~6.5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강도 및 윤기를 향상시키는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으로서,
(a) 꽃 및 물을 혼합한 원료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상층부의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꽃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수득한 꽃 추출액의 pH를 조정하여 pH 3.0~7.0, 바람직하게는 pH 3.5~6.5의 등전점을 갖는 당단백질을 침전시켜 당단백질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수득한 당단백질 분획물에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반응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수득한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하여 형성된 반응생성물의 상층액을 여과하여 가수분해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꽃은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을 억제시켜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며, 피부 세포 내 지질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멜라닌 합성을 저해시켜 피부 미백 효과가 있으며, 자외선 조사로 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항염 효과가 있고, 모발의 강도/윤기를 향상시키는 효과, 및 ROS를 소거시키는 항산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피부 세포 내 콜라겐 분해효소(MMP-1) 발현 억제능의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피부 세포 내 보습능의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피부 세포 내 지질 합성 촉진에 따른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효능의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모발 거칠기 감소 효과 및 모발 윤기 향상 효과의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실시예 104에 따른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모발 거칠기 감소 효과 및 모발 윤기 향상 효과의 정도를 관능검사를 통해 확인하고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실시예 104에 따른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탈색 모발(또는, 탈색 모발 트레스)에 대한 모발 거칠기 감소 효과 및 모발 윤기 향상 효과의 정도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위 패널의 scale bar: 10μm ; 아래 패널의 scale bar: 1μm).
도 15, 도 16 및 도 17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에 의한 항산화능의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UV 조사로 인한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능의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실시예 104에 따른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UV 처리로 인한 ROS에 대한 소거 정도(효과)를 각질형성세포에서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scale bar: 1000μm).
도 22, 도 23 및 도 24는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능의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실시예 104에 따른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활성산소종(ROS)에 대한 소거 정도(효과)를 각질형성세포에서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scale bar: 400μm).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피, 면적, 길이, 시간(기간), 농도, 용량(함량, 분자량 등), 온도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용어 "약"은 해당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서 최대 10%의 허용오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등전점(isoelectric point, pI) 값이 3.0~7.0, 바람직하게는 등전점 값이 3.5~6.5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약학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아래 (a) 내지 (d) 단계를 포함한다.
(a) 꽃 및 물을 혼합한 원료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상층부의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꽃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수득한 꽃 추출액의 pH를 조정하여 pH 3.0~7.0, 바람직하게는 pH 3.5~6.5의 등전점을 갖는 당단백질을 침전시켜 당단백질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수득한 당단백질 분획물에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반응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수득한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하여 형성된 반응생성물의 상층액을 여과하여 가수분해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꽃 추출액은 꽃 및 물의 중량비가 1:2 ~ 1:10, 바람직하게는 1:4 ~ 1:8이 되도록 혼합한 원료 혼합물을 준비한 다음, 상기 원료 혼합물을 20~60℃, 바람직하게는 45~60℃, 더 바람직하게는 50~55℃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 바람직하게는 2~10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4~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꽃의 잔사를 포함하는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기 원료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상층부의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꽃 추출액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수득한 반응생성물은 상기 수득한 당단백질 분획물에 물을 첨가하여 상기 당단백질 분획물 및 물의 중량비가 1:10 ~ 1:20, 바람직하게는 1:12 ~ 1:16이 되도록 용해물을 준비한 다음, 상기 용해물에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상기 용해물 및 가수분해효소의 중량비가 1:0.1 ~ 1:10이 되도록 가수분해 반응물을 준비한 후 30~60℃, 바람직하게는 40~50℃의 온도에서 2~8시간, 바람직하게는 4~6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켜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수득한 가수분해물은 상기 수득한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하여 형성된 반응생성물의 상층액(supernatant)을 0.1~10.0μm, 바람직하게는 1.0~10.0μm, 더 바람직하게는 7.0~9.0μm의 크기로 여과(정밀여과[microfiltration])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당단백질 분획물은 아래 (1) 단계 및 (2) 단계를 통해 정화된 당단백질 분획물로 수득한 후 상기 (c) 단계 및 (d) 단계를 거쳐 여과한 가수분해물로 수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당단백질 분획물에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상기 당단백질 분획물 및 추출 용매의 중량비가 1:2 ~ 1:10, 바람직하게는 1:4 ~ 1:8이 되도록 혼합물을 준비한 후, 상기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상층부에 있는 용액을 제거하고, 상기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하층부의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원액을 수득하는 단계이고,
상기 (2) 단계는 수득한 원액을 40~60℃, 바람직하게는 45~55℃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정화된 당단백질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심분리는 3,800~10,000rpm 또는 1,500~15,000 x g, 바람직하게는 8,000rpm 또는 5,000 x g에서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원심분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꽃은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당단백질의 등전점 값이 3.0~7.0, 바람직하게는 3.5~6.5이므로 이 범위 내에서 추출한 분획물은 당단백질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며, 그 이외의 등전점 조건에서 추출한 분획물에서도 당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당단백질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컨대, 너무 낮거나 높은 pH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할 경우 당단백질 변성으로 인해 물성이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은 주성분으로서 복수의 당단백질을 함유하며, 조성분으로서 복수의 당류, 바람직하게는 다당류(다당체, polysaccharide), 올리고당류(oligosaccharide), 삼당류(trisaccharide), 이당류(disaccharide) 및 단당류(monosacchar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류를 함유할 수 있으나, 이용되는 꽃의 종류에 따라 당단백질 및 당류의 종류는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당류는 글루코오스(glucose), 갈락토오스(galactose), 마노스(mannose), 크실로오스(xylose), 람노오스(rhamnose), 아라비노오스(arabinose), 푸코오스(fucose), 프룩토오스(fructose)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당단백질 분획물의 분자량 범위는 1,000~700,000Da일 수 있으나, 이용되는 꽃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당단백질 분획물의 분자량 범위는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범위는 250~1,000Da, 바람직하게는 250~750Da일 수 있으나, 이용되는 꽃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범위는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은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프로테아제(protease), 펙티나아제(pectinase), α,β-글루코시다아제(α,β-glucosidase),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lucosidase), 베타-글루카나아제(β-gluc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나린지나제(naringinase), α-아밀라아제(α-amyl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라비나아제(arabinase), 자일라나아제(xylanase) 및 탄나아제(tannas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가수분해효소,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3종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종 이상의 가수분해효소로 이루어진 복합 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상기 효소들의 종류 및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합 가수분해효소는 2종 이상의 가수분해효소를 각각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함량은 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0.0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탄력 개선 및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개선,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피부 미백 개선, 피부 염증 개선, 모발 상태 개선(모발 윤기 개선 등), 및 항산화 효과가 거의 없고,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함량이 10.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경우, 각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은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이 2종의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경우 상기 혼합물에 포함되는 2종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의 중량비는 1:1, 1:2, 1:5, 1:10, 1:50, 1:100, 1:1,000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경우, 각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이 2종의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경우 상기 혼합물에 포함되는 2종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중량비는 1:1, 1:2, 1:5, 1:10, 1:50, 1:100, 1:1,000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 콜라겐 분해효소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 지질 합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꽃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꽃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그 성분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열, 산(acid), 염기(base), 효소 등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물질을 포함하며, 또한, 꽃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 바람직하게는 꽃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에 적절한 형태의 원료를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꽃"은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생(生) 꽃, 생 꽃의 분쇄물, 꽃의 건조물, 꽃의 건조 분쇄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꽃은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꽃 추출물은 적절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1,3-부틸렌글라이콜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10~100%(v/v) 에탄올 또는 10~80%(v/v)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다.
상기 꽃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극성용매/비극성용매 가용추출),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및 압착법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꽃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 및/또는 정제방법에 의해 정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추출물은 열수추출 또는 용매추출법으로 추출한 1차 추출물을 추출물의 pH를 당단백질의 등전점(isoelectric point) 부근인 3.0~7.0, 바람직하게는 3.5~6.5으로 조정하여 추출물에 함유된 당단백질을 침전시킨 다음, 8,000rpm 또는 5,000 x g으로 원심분리하여 원하는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분획물(2차 추출물)을 얻고,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 또는 2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즉, 상기 꽃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물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추출물의 pH 조정에 사용되는 용매는 필요에 따라 통상의 알칼리 또는 산성 시약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pH를 목적 pH로 조정할 수 있는데, 그 시약의 예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염산, 황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인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발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신체에 있는 어떤 모발이나 털, 예컨대, 머리카락, 눈썹, 속눈썹, 콧수염, 턱수염, 가슴털, 등털, 팔털, 다리털, 생식기털, 콧털 또는 귓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바디용 화장료 등이 있을 수 있고,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바디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젤, 패치, 수중유(O/W)형, 유중수(W/O)형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클렌저, 치약, 여성용 세정제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의 세정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안전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사용 제한량을 고려하여, 보습제(폴리올 등), 오일, 왁스, 점도 조절제, 점증제, pH 조정제, 지방,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투여제(도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용어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용어 "부형제(excipient)"는 정제나 환약 등의 제제 과정에서 주약(主藥)의 양이 적은 경우에 약을 먹기 쉽게 하거나 어떤 빛깔과 형태를 갖추게 하려고 더 넣는 물질로, 락토오스나 녹말을 주로 사용한다.
용어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인간 환자에게 그 자체로서, 또는 결합 요법에서와 같이 다른 활성 성분들과 함께 또는 적당한 담체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된 의약 조성물로서, 투여(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국소적으로 투여(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두피에 국소 투여(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 즉 투여량(도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도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도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투여량은, 예컨대, 하루에 체중 1㎏당 0.01~5,000㎎, 바람직하게는 0.1~2,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0㎎의 양으로 투여(도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도포)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모두 천연물질이므로 독성이 전혀 없어서 의약품으로 지속적으로 다량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에는,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활성 성분들이 그것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이 포함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될 객체의 생존을 연장하거나, 질환의 증상을 방지,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데 유효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여기에 제공된 상세한 개시 내용 측면에서, 당업자의 능력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방법들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화합물들)에 대한 치료적 유효량 또는 화장학적 유효량(예컨대,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에 따른 피부 미백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유효량)은 시험관 시험 또는 세포 배양 분석으로부터 초기에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적 용량(dose) 또는 화장학적 용량은 시험관 시험 또는 세포 배양에서 결정된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또는 EC50(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를 포함하는 순환 농도 범위를 얻기 위하여 동물 모델에서 계산될 수 있다. 그러한 정보는 인간에서의 유용한 용량을 더욱 정확히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화합물들)의 독성과 치료 효율성은, 예를 들어, LD50(군집의 50%에 대한 치사량), ED50(군집의 50%에 대해 치료 효과를 갖는 용량), IC50(군집의 50%에 대해 치료 억제 효과를 갖는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세포 배양 또는 실험동물에서의 표분 제약 과정들에 의해 산정될 수 있다. 독성과 치료 효과 간의 용량 비가 치료 지수이고 이것은 LD50과 ED50(또는, IC50) 간의 비율로서 표현될 수 있으며, 높은 치료 지수를 보이는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화합물들)이 바람직하다. 이들 세포 배양 분석에서 얻어진 데이터는 인간에 사용하는 용량의 범위를 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화합물들)의 투여량(dosage) 또는 도포량은 바람직하게는 독성이 없거나 거의 없는 상태에서 ED50(또는, IC50)을 포함하는 순환 농도의 범위 내에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예 1] 꽃 원료의 준비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를 각각 채취하여, 공기가 잘 통하는 실내에서 통상의 꽃 건조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실시예 1~36]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의 제조
참고예 1의 건조된 꽃 원료를 온도 약 30℃의 물에 중량 기준으로 1:6의 비율( = 꽃 원료 : 물)로 혼합한 다음,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약 6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기 꽃 원료의 추출물을 얻었다.
그다음, 원심탈수기를 사용하여 8,000rpm 또는 5,000 x 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기 추출물의 잔사(pellet)를 제거하여 추출액(liquid extract)을 얻고 상기 추출액으로부터 원하는 당단백질을 얻기 위해 상기 추출액의 pH를 조정하여 3.0~7.0, 정확하게는 3.5, 4.0, 4.5, 5.0, 5.5, 6.0, 6.5의 등전점을 갖는 당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침전시킨 다음, 8,000rpm 또는 5,000 x g으로 원심분리하여 원하는 당단백질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당단백질 분획물을 더 정제하기 위하여 상기 당단백질 분획물에 추출 용매인 에탄올을 당단백질 분획물 중량 대비 약 6배를 넣고 혼합 후, 상기 혼합물을 8,000rpm 또는 5,000 x 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상층부의 용액을 제거하고, 상기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하층부의 점성이 높은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원액(상층부의 용액보다 점성이 높음)을 얻었다. 그다음, 상기 원액을 약 50℃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수득량: 약 1~2중량%).
상기 수득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아래 표 1에 실시예 1~36으로 나타내었다.
시료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시료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 갈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9 밀몽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 감귤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0 백선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 관동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1 백일홍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 광나무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2 봉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 금은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3 수국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4 석류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 계관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5 선복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8 괴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6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9 녹차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7 수련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0 달맞이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8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1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29 유채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2 데이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0 인삼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3 도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1 자스민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4 라벤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2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5 메리골드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3 제라늄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6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4 카렌듈라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7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5 팬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8 무궁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6 홍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실시예 37~ 72]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의 제조
참고예 1의 건조된 꽃 원료를 약 52.5℃(실시예 1~36 제조 시 사용한 가열 온도보다 상승된 온도)의 물에 중량 기준으로 1:6의 비율( = 꽃 원료 : 물)로 혼합한 다음,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약 6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기 꽃 원료의 추출물을 얻었다.
그다음, 원심탈수기를 사용하여 8,000rpm 또는 5,000 x 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기 추출물의 잔사를 제거하여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으로부터 원하는 당단백질을 얻기 위해 상기 추출액의 pH를 조정하여 3.0~7.0, 정확하게는 3.5, 4.0, 4.5, 5.0, 5.5, 6.0, 6.5의 등전점을 갖는 당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침전시킨 다음, 8,000rpm 또는 5,000 x g으로 원심분리하여 원하는 당단백질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당단백질 분획물을 더 정제하기 위하여 상기 당단백질 분획물에 추출 용매인 에탄올을 당단백질 분획물 중량 대비 약 6배를 넣고 혼합 후, 상기 혼합물을 8,000rpm 또는 5,000 x 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상층부의 용액을 제거하고, 상기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하층부의 점성이 높은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원액(상층부의 용액보다 점성이 높음)을 얻었다. 그다음, 상기 원액을 약 50℃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수득량: 약 5중량%).
상기 수득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아래 표 2에 실시예 37~72로 나타내었다.
시료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시료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7 갈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5 밀몽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8 감귤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6 백선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39 관동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7 백일홍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0 광나무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8 봉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1 금은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9 수국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2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0 석류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3 계관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1 선복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4 괴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2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5 녹차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3 수련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6 달맞이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4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7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5 유채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8 데이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6 인삼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49 도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7 자스민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0 라벤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8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1 메리골드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69 제라늄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2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0 카렌듈라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3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1 팬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54 무궁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2 홍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1~36에 비해 실시예 37~72로 제조한 당단백질 분획물의 당단백질 추출 수율이 높았으므로 후술되는 실시예 73~108의 가수분해물 제조에는 실시예 37~72에서 제조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73~108] 복합 가수분해효소에 의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
실시예 37~72에 따른 제조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물에 중량 대비 1:15의 비율로( = 당단백질 분획물 : 물) 용해시켜 용해물을 준비한 다음, 상기 용해물에 프로테아제(protease, Novozyme), 펙티나아제(pectinase, Novozyme), 글루코시다아제(glucosidase, Novozyme) 및 셀룰라아제(cellulase, Novozyme)의 복합 가수분해효소(프로테아제:펙티나아제:글루코시다아제:셀룰라아제의 중량비 = 1:1:1:1)를 용해물 중량 대비 약 5.0% 첨가하여 준비한 혼합물을 약 45℃의 온도에서 약 5시간 동안 반응시켜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용해물의 당단백질을 가수분해한 후 80~100℃의 온도로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복합 가수분해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그다음, 상기 혼합물, 즉 복합 가수분해효소가 첨가되어 용해물의 당단백질을 가수분해한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8,000rpm 또는 5,000 x g으로 원심분리한 후 5μm 필터로 여과하고 난 뒤, 농축시킨 다음 동결건조하여 당단백질의 저분자량 펩타이드 혹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당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수득량: 약 5중량%). 상기 농축 후 정제가 필요한 경우, 농축액에 2~3배수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가라앉는 가수분해물을 수득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최종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당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아래 표 3에 실시예 73~108로 나타내었다.
시료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시료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73 갈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1 밀몽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74 감귤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2 백선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75 관동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3 백일홍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76 광나무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4 봉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77 금은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5 수국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78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6 석류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79 계관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7 선복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0 괴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8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1 녹차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9 수련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2 달맞이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0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3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1 유채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4 데이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2 인삼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5 도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3 자스민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6 라벤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4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7 메리골드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5 제라늄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8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6 카렌듈라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89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7 팬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90 무궁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8 홍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 실시예 109~126]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제조
실시예 1~36에 따른 2종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아래 표 4에 실시예 109~126으로 나타내었다.
시료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구성성분 1 및 구성성분 2의 혼합물)
구성성분 1 구성성분 2
실시예 109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32)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
실시예 110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32)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1)
실시예 111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32)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6)
실시예 112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32)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7)
실시예 113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32)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28)
실시예 114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32)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26)
실시예 115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1)
실시예 116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6)
실시예 117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7)
실시예 118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28)
실시예 119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26)
실시예 120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1)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6)
실시예 121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1)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7)
실시예 122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1)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28)
실시예 123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1)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26)
실시예 124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6)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7)
실시예 125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6)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28)
실시예 126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16)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26)
[ 실시예 127~144]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제조
실시예 37~72에 따른 2종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아래 표 5에 실시예 127~144로 나타내었다.
시료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구성성분 1 및 구성성분 2의 혼합물)
구성성분 1 구성성분 2
실시예 127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8)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2)
실시예 128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8)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7)
실시예 129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8)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2)
실시예 130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8)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3)
실시예 131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8)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4)
실시예 132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8)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2)
실시예 133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2)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7)
실시예 134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2)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2)
실시예 135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2)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3)
실시예 136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2)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4)
실시예 137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2)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2)
실시예 138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7)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2)
실시예 139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7)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3)
실시예 140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7)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4)
실시예 141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47)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2)
실시예 142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2)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3)
실시예 143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2)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4)
실시예 144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52)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실시예 62)
[ 실시예 145~162]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수분해물의 혼합물 제조
실시예 73~108에 따른 2종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아래 표 6에 실시예 145~162로 나타내었다.
시료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구성성분 1 및 구성성분 2의 혼합물)
구성성분 1 구성성분 2
실시예 145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4)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78)
실시예 146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4)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3)
실시예 147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4)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8)
실시예 148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4)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9)
실시예 149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4)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0)
실시예 150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4)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98)
실시예 151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78)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3)
실시예 152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78)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8)
실시예 153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78)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9)
실시예 154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78)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0)
실시예 155 국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78)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98)
실시예 156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3)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8)
실시예 157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3)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9)
실시예 158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3)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0)
실시예 159 동백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3)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98)
실시예 160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8) 모란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9)
실시예 161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8) 연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100)
실시예 162 매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88) 수선화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실시예 98)
[ 비교예 1~36] 꽃 추출물의 제조
참고예 1의 건조된 꽃 원료를 온도 약 30℃의 물에 중량 기준으로 1:6의 비율( = 꽃 원료 : 물)로 혼합한 다음,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약 6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기 꽃 원료의 추출물을 얻었다. 그다음, 원심탈수기를 사용하여 8,000rpm 또는 5,000 x 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기 추출물의 잔사를 제거하여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 부피의 1/10 내지 3/10으로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었다. 그다음, 상기 농축액에 농축액 부피의 4~5배의 에탄올을 서서히 첨가하여 에탄올 침전반응을 진행하고 침전반응이 완료되면 에탄올을 제거하고 세척공정을 거쳐 약 50℃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꽃 추출물을 수득하였다(수득량: 약 5중량%)
상기 수득한 꽃 추출물을 아래 표 7에 비교예 1~36으로 나타내었다.
시료 꽃 추출물 시료 꽃 추출물
비교예 1 갈화 추출물 비교예 19 밀몽화 추출물
비교예 2 감귤꽃 추출물 비교예 20 백선 추출물
비교예 3 관동화 추출물 비교예 21 백일홍 추출물
비교예 4 광나무꽃 추출물 비교예 22 봉선화 추출물
비교예 5 금은화 추출물 비교예 23 수국 추출물
비교예 6 국화 추출물 비교예 24 석류화 추출물
비교예 7 계관화 추출물 비교예 25 선복화 추출물
비교예 8 괴화 추출물 비교예 26 수선화 추출물
비교예 9 녹차꽃 추출물 비교예 27 수련 추출물
비교예 10 달맞이꽃 추출물 비교예 28 연꽃 추출물
비교예 11 동백꽃 추출물 비교예 29 유채꽃 추출물
비교예 12 데이지 추출물 비교예 30 인삼꽃 추출물
비교예 13 도화 추출물 비교예 31 자스민 추출물
비교예 14 라벤더 추출물 비교예 32 장미 추출물
비교예 15 메리골드 추출물 비교예 33 제라늄 추출물
비교예 16 매화 추출물 비교예 34 카렌듈라 추출물
비교예 17 모란 추출물 비교예 35 팬지 추출물
비교예 18 무궁화 추출물 비교예 36 홍화 추출물
[ 비교예 37~72]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
참고예 1의 건조된 꽃 원료를 온도 45~60℃의 물에 중량 기준으로 1:6의 비율( = 꽃 원료 : 물)로 혼합한 다음, 상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약 3시간 동안 방치하여 상기 꽃 원료의 추출물을 얻었다. 그다음, 상기 추출물에 펙티나아제, 셀룰라아제 및 글루코시다아제의 혼합 가수분해효소(펙티나아제:셀룰라아제:글루코시다아제의 중량비 = 1:1:1)를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중량%로 첨가하여 준비한 혼합물을 약 45℃의 온도에서 약 5시간 동안 반응시켜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용해물의 당단백질을 가수분해한 후 80~100℃의 온도로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혼합 가수분해효소를 불활성화시켰다. 그다음, 4~8℃의 저온에서 7일간 저온숙성한 후 0.45μm 필터로 여과하고 난 뒤, 농축시킨 다음 동결건조하여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수득량: 약 2~3중량%).
상기 수득한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아래 표 8에 비교예 37~72로 나타내었다.
시료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시료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37 갈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5 밀몽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38 감귤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6 백선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39 관동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7 백일홍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0 광나무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8 봉선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1 금은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9 수국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2 국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0 석류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3 계관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1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4 괴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2 수선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5 녹차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3 수련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6 달맞이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4 연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7 동백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5 유채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8 데이지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6 인삼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49 도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7 자스민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0 라벤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8 장미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1 메리골드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69 제라늄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2 매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0 카렌듈라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3 모란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1 팬지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54 무궁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2 홍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 비교예 73~90]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제조
비교예 1~36에 따른 2종의 꽃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아래 표 9에 비교예 73~90으로 나타내었다.
시료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구성성분 1 및 구성성분 2의 혼합물)
구성성분 1 구성성분 2
비교예 73 장미 추출물(비교예 32) 국화 추출물(비교예 6)
비교예 74 장미 추출물(비교예 32) 동백꽃 추출물(비교예 11)
비교예 75 장미 추출물(비교예 32) 매화 추출물(비교예 16)
비교예 76 장미 추출물(비교예 32) 모란 추출물(비교예 17)
비교예 77 장미 추출물(비교예 32) 연꽃 추출물(비교예 28)
비교예 78 장미 추출물(비교예 32) 수선화 추출물(비교예 26)
비교예 79 국화 추출물(비교예 6) 동백꽃 추출물(비교예 11)
비교예 80 국화 추출물(비교예 6) 매화 추출물(비교예 16)
비교예 81 국화 추출물(비교예 6) 모란 추출물(비교예 17)
비교예 82 국화 추출물(비교예 6) 연꽃 추출물(비교예 28)
비교예 83 국화 추출물(비교예 6) 수선화 추출물(비교예 26)
비교예 84 동백꽃 추출물(비교예 11) 매화 추출물(비교예 16)
비교예 85 동백꽃 추출물(비교예 11) 모란 추출물(비교예 17)
비교예 86 동백꽃 추출물(비교예 11) 연꽃 추출물(비교예 28)
비교예 87 동백꽃 추출물(비교예 11) 수선화 추출물(비교예 26)
비교예 88 매화 추출물(비교예 16) 모란 추출물(비교예 17)
비교예 89 매화 추출물(비교예 16) 연꽃 추출물(비교예 28)
비교예 90 매화 추출물(비교예 16) 수선화 추출물(비교예 26)
[ 비교예 91~108]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제조
비교예 37~72에 따른 2종의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아래 표 10에 비교예 91~108로 나타내었다.
시료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구성성분 1 및 구성성분 2의 혼합물)
구성성분 1 구성성분 2
비교예 91 장미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8) 국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2)
비교예 92 장미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8) 동백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7)
비교예 93 장미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8) 매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2)
비교예 94 장미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8) 모란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3)
비교예 95 장미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8) 연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4)
비교예 96 장미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8) 수선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2)
비교예 97 국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2) 동백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7)
비교예 98 국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2) 매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2)
비교예 99 국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2) 모란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3)
비교예 100 국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2) 연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4)
비교예 101 국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2) 수선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2)
비교예 102 동백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7) 매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2)
비교예 103 동백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7) 모란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3)
비교예 104 동백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7) 연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4)
비교예 105 동백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47) 수선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2)
비교예 106 매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2) 모란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3)
비교예 107 매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2) 연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4)
비교예 108 매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52) 수선화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비교예 62)
[ 시험예 1]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당단백질 함량 측정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총 당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BCA 어세이(Bicinchoninic Acid Assay, BCA Assay)법을 수행하였다.
BCA 어세이
알칼리 조건하에서 당단백질이 구리 이온을 Cu2 +에서 Cu1 +로 환원시킬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하는 측정방법으로, 당단백질에 의해 환원된 구리 이온은 BCA 용액과 반응하여 보라빛의 화합물을 생성하게 되는데, 당단백질의 양이 많을수록 보랏빛 화합물이 더 많이 생기며 562nm에서의 흡광도가 증가함을 이용, 당단백질의 양을 측정한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선 마이크로 BCT 당단백질 어세이 시약 키트(micro BCA protein assay reagent kit, cat. No. 23227, Pierce)를 이용, 각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각각 150㎕씩 표준액, 희석된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또는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를 넣은 후 당단백질 정량 시약인 BCA 키트 WR(BCA Kit Working Reagent)을 첨가하여 30초간 볼텍싱(vortexing)하였다. 그후 약 37℃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UVT-06685,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당단백질 정량을 하였다.
아래 표 11 및 표 12는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에 함유된 당단백질의 총 함량(중량%)을 나타낸 것이다(표 11~12의 원료는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한 소스를 나타낸 것임).
원료 비교예 1~18:
당단백질
함량
비교예 37~54:
당단백질
함량
실시예 1~18:
당단백질
함량
실시예 37~54:
당단백질
함량
실시예 73~90:
당단백질
함량
갈화 8.7 9.9 10.1 11.5 13.2
감귤꽃 13.2 13.8 14.1 14.6 15.4
관동화 15.4 15.7 16.2 16.6 17.5
광나무꽃 22.1 22.5 22.7 23.0 23.2
금은화 29.8 30.1 30.6 31.1 32.1
국화 12.3 13.2 13.8 14.4 15.0
계관화 9.7 10.1 10.2 10.7 11.2
괴화 11.6 12.1 12.3 12.9 13.5
녹차꽃 14.3 15.0 16.2 17.1 18.9
달맞이꽃 28.7 29.4 30.1 31.3 32.4
동백꽃 21.6 21.7 22.1 22.5 22.8
데이지 18.5 18.6 19.1 20.5 21.9
도화 8.7 9.0 9.7 10.0 10.8
라벤더 6.4 6.6 7.2 7.9 8.5
메리골드 3.3 3.6 3.8 4.6 5.3
매화 9.8 10.1 11.2 13.2 15.5
모란 1.6 1.7 1.9 2.6 3.2
무궁화 8.7 9.1 9.5 10.0 10.9
원료 비교예 19~36:
당단백질
함량
비교예 55~72:
당단백질
함량
실시예 19~36:
당단백질
함량
실시예 55~72:
당단백질
함량
실시예 91~108:
당단백질
함량
밀몽화 21.8 23.3 24.1 26.4 30.8
백선 6.8 7.1 7.2 9.5 10.9
백일홍 15.4 17.3 18.1 18.6 19.2
봉선화 9.6 10.3 11.1 11.5 12.9
수국 2.6 3.8 5.2 7.7 12.3
석류화 2.7 3.1 7.9 10.7 18.5
선복화 12.8 14.2 15.1 15.5 17.6
수선화 20.4 21.6 22.9 25.7 28.6
수련 15.1 15.6 16.4 17.3 19.2
연꽃 12.1 13.9 14.8 16.7 19.7
유채꽃 10.8 11.6 12.1 12.4 13.8
인삼꽃 6.7 7.6 8.2 9.3 10.4
자스민 5.2 7.1 15.8 16.1 26.5
장미 30.9 31.1 31.9 33.5 35.9
제라늄 1.8 2.1 3.0 4.7 7.6
카렌듈라 2.2 4.3 5.1 9.5 12.3
팬지 6.4 6.5 6.8 7.6 8.5
홍화 1.8 2.1 2.5 3.7 5.4
그 결과,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각각에 함유된 당단백질의 함량범위는 당단백질 분획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9~31.9중량%이었고,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각각에 함유된 당단백질의 함량범위는 당단백질 분획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6~33.5중량%이었으며,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각각에 함유된 당단백질의 함량범위는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2~35.9중량%이었고,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각각에 함유된 당단백질의 함량범위는 꽃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6~30.9중량%이었으며,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각각에 함유된 당단백질의 함량범위는 꽃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7 ~31.1중량%인 것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2]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당 함량 측정 및 당 종류 분석
1) 총 당 함량 측정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총 당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페놀-설페이트(Phenol-sulfate)법을 수행하였다.
페놀-설페이트법은 환원당을 진한 황산으로 처리하면 탈수되어 퍼퓨랄(furfural) 또는 그 유도체가 형성되는데 이 유도체의 흡광도를 490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하는 방법으로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또는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를 1%(w/v)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시킨 용액 0.5ml에 5%(w/v) 페놀(phenol)을 0.5ml 첨가한 후 황산 2.5ml를 강하게 넣었다. 그다음, 보텍스 믹서(vortex mixer)를 사용하여 30초간 볼텍싱(vortexing) 후 약 25℃의 온도에서 약 20분 동안 방치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UVT-06685,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총 당의 정량을 하였다.
아래 표 13 및 표 14는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에 함유된 당의 총 함량(중량%)을 나타낸 것이다(표 13~14의 원료는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한 소스를 나타낸 것임).
원료 비교예 1~18:
당 함량
비교예 37~54:
당 함량
실시예 1~18:
당 함량
실시예 37~54:
당 함량
실시예 73~90:
당 함량
갈화 29.1 29.4 29.9 30.1 30.3
감귤꽃 17.1 18.1 18.5 18.8 19.2
관동화 16.8 18.2 20.3 20.1 20.7
광나무꽃 27.4 29.1 30.2 30.4 30.9
금은화 24.3 26.7 27.1 27.9 28.8
국화 12.1 13.5 14.1 14.7 15.4
계관화 11.6 12.1 12.6 12.8 13.3
괴화 13.8 15.4 16.1 16.2 16.9
녹차꽃 16.2 17.8 19.3 20.1 20.8
달맞이꽃 14.7 16.4 17.1 17.8 18.9
동백꽃 21.3 23.8 24.1 24.6 25.4
데이지 13.2 14.9 15.1 15.3 15.5
도화 16.4 17.2 18.5 18.6 18.9
라벤더 27.7 29.3 30.0 30.1 30.8
메리골드 28.1 28.6 28.6 28.7 28.7
매화 11.3 13.2 14.3 15.1 19.4
모란 15.3 15.9 16.3 18.1 18.6
무궁화 11.8 12.1 12.6 12.8 13.2
원료 비교예 19~36:
당 함량
비교예 55~72:
당 함량
실시예 19~36:
당 함량
실시예 55~72:
당 함량
실시예 91~108:
당 함량
밀몽화 28.1 29.2 29.8 30.1 30.8
백선 8.1 9.4 9.7 10.1 10.9
백일홍 14.3 16.1 16.5 16.8 17.2
봉선화 8.7 9.4 10.2 10.4 10.9
수국 9.8 11.2 11.9 12.1 12.3
석류화 13.2 13.8 16.4 17.9 18.5
선복화 12.6 14.5 15.6 16.8 17.6
수선화 5.3 6.2 6.7 7.6 8.6
수련 17.8 18.6 18.8 18.9 19.2
연꽃 5.3 5.7 6.1 6.3 6.7
유채꽃 4.8 6.4 7.5 9.0 9.8
인삼꽃 3.1 4.4 5.1 5.1 5.4
자스민 21.3 23.9 25.8 26.1 26.5
장미 31.8 33.4 34.5 35.0 35.9
제라늄 4.5 5.6 6.4 7.1 7.6
카렌듈라 10.2 11.1 11.6 11.8 12.3
팬지 5.3 6.2 7.7 8.0 8.5
홍화 3.1 4.4 4.7 5.1 5.4
그 결과, 표 13 및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각각에 함유된 당의 함량범위는 당단백질 분획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7~34.5%중량이었고,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각각에 함유된 당의 함량범위는 당단백질 분획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1~35.0중량%이었으며,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각각에 함유된 당의 함량범위는 가수분해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4~35.9중량%이었고,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각각에 함유된 당의 함량범위는 꽃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1~31.8중량%이었으며,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각각에 함유된 당의 함량범위는 꽃 추출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4~33.4중량%인 것을 확인하였다.
2) 구성 당 및 그 함량 측정
시료(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2.5mg을 1ml의 3차 증류수에 용해한 후 TFA(trifluoroacetic acid)를 이용하여 가수분해(hydrolysis)시켰다. 그다음, CarboPacTM PA1 컬럼과 Bio LC(HPAEC-PAD system, Dionex, USA)를 이용하여 18mM NaOH 단일용매 기울기로 분석하였으며, 유속은 1ml/min로 표준물질 1mM 혼합물(Fucose,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Mannose, Xylose, Fructose)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시료의 성분 당 및 그 함량(중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15 및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각각의 구성 당 및 그 함량은 꽃의 종류에 따라 상이함을 확인하였다(표 15~16의 원료는 실시예 73~108 제조에 사용된 소스를 나타낸 것임).
원료 Glucose
(중량%)
Galactose
( 중량% )
Mannose
(중량%)
Xylose
(중량%)
Rhamnose
(중량%)
Arabinose
( 중량% )
Fucose
(중량%)
Fructose
(중량%)
갈화 37.1 58.1 10.0 3.9 9.1 16.3 1.8 N/D
감귤꽃 11.2 26.5 1.2 5.6 5.5 10.9 3.9 N/D
관동화 36.5 12.3 0.7 8.2 5.3 8.5 5.6 0.2
광나무꽃 32.8 11.8 3.8 10.9 3.9 28.9 10.2 N/D
금은화 50.1 4.8 7.4 16.7 2.0 10.9 8.2 N/D
국화 13.7 3.9 8.3 2.1 3.8 20.8 5.4 0.1
계관화 12.2 4.5 8.1 0.0 3.8 11.9 1.2 N/D
괴화 20.1 16.7 4.9 0.3 4.9 10.2 1.6 N/D
녹차꽃 15.0 28.9 5.2 0.0 16.8 10.3 11.8 N/D
달맞이꽃 18.3 10.9 10.9 0.0 16.7 5.9 4.8 0.8
동백꽃 11.0 20.8 14.5 2.3 28.9 1.8 3.9 0.1
데이지 13.2 27.5 5.6 1.9 10.9 2.1 4.5 N/D
도화 23.4 16.9 4.8 3.9 2.4 2.4 7.1 N/D
라벤더 50.8 27.5 6.3 3.8 3.6 1.6 8.1 N/D
메리골드 30.8 50.2 15.8 2.4 2.5 5.4 5.6 N/D
매화 24.3 16.7 3.1 2.2 3.4 6.7 2.2 1.6
모란 52.4 11.2 2.0 0.0 3.9 3.9 3.9 N/D
무궁화 43.2 15.4 0.0 0.0 5.4 4.8 1.8 0.2
원료 Glucose
(중량%)
Galactose
( 중량% )
Mannose
(중량%)
Xylose
(중량%)
Rhamnose
(중량%)
Arabinose
( 중량% )
Fucose
(중량%)
Fructose
(중량%)
밀몽화 163.9 20.3 3.8 0.0 1.9 3.9 2.8 N/D
백선 16.7 2.9 11.8 1.9 3.1 4.5 1.9 N/D
백일홍 10.9 6.9 3.9 4.5 4.8 28.9 2.1 N/D
봉선화 20.8 7.5 3.7 1.7 5.5 0.0 2.9 N/D
수국 27.5 12.9 5.4 1.6 0.0 1.8 1.7 1.2
석류화 16.9 19.8 1.2 8.2 18.5 11.0 1.6 N/D
선복화 27.5 11.2 3.5 1.7 12.3 13.2 8.2 N/D
수선화 11.9 5.4 2.8 0.0 8.1 23.4 8.3 N/D
수련 10.2 30.2 2.7 0.5 4.9 18.5 10.5 0.4
연꽃 28.9 3.4 5.2 3.9 8.3 16.7 3.3 N/D
유채꽃 10.3 3.6 12.9 0.0 3.8 11.3 1.1 N/D
인삼꽃 5.9 8.9 1.1 0.0 4.9 12.6 1.8 0.9
자스민 45.6 9.7 1.3 2.1 2.9 15.7 2.1 0.8
장미 90.6 27.0 15.2 2.5 6.7 49.8 3.4 N/D
제라늄 8.7 13.2 0.0 0.0 6.9 8.5 1.6 N/D
카렌듈라 19.8 19.8 11.2 0.0 4.8 5.6 5.4 1.6
팬지 15.2 4.9 5.9 3.9 3.9 8.9 3.9 N/D
홍화 10.2 5.5 3.6 0.0 4.5 1.2 7.8 N/D
[ 시험예 3]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측정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GPC-RI 시스템(Gel permeation Chromatography-Refractive Index system)(Agilent 1260 Series System, Agilent, USA)과 Column(Agilent PL aqagel Mixed-M, OH-30, Agilent, USA)으로 분자량을 분석하였다. 시료(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를 1mg/ml의 농도로 제조하여 0.45㎛ 필터로 여과한 후 증류수를 이동상으로 유속 1ml/min으로 35℃의 온도에서 분석하였으며 다당체(polysaccharide)와 포도당(glucose)을 표준물질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대조하였다.
아울러, 시료인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각각의 평균 분자량을 돌턴(Da)으로 환산하기 위해, 표준물질로 각 분자량별 다당체(polysaccharide)를 사용하여 시료의 컬럼 내 지연시간에 따른 분자량의 검량선을 작성하여 확인한 결과, 꽃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의 분자량 범위는 약 1,000~700,000a이었고,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범위는 약 250~1,000Da인 것을 확인하였다(데이터 미제시).
[ 시험예 4]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피부 세포 내 콜라겐 분해효소( MMP -1) 발현 억제능 평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HDF)를 6-웰 플레이트에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 FBS(Fetal Bovine Serum, Gibco)가 첨가된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Gibco)을 사용하여 1x105 세포/웰(cells/well)로 시딩(seeding)한 후,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약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HDF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Welgene, Korea)를 넣어준 후 UVB 비조사군을 제외한 나머지 HDF에 220mJ/cm2의 UVB를 조사한 뒤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를 DMEM으로 희석하여 최종 처리량이 0.001중량%가 되도록 처리한 다음([No treat]: UVB 비조사군; [(-) Control]: UVB 조사군), 약 72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그 다음, MMP-1의 발현량을 측정할 수 있는 ELISA 키트(Human Total MMP-1 DuoSet ELISA KIT, R&D Systems)를 사용하여 HDF의 배지에 포함된 MMP-1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각 시료 당 3개씩(triplicate samples)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함).
그 결과, 아래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MMP-1 발현 억제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2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아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MMP-1 발현 억제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 시험예 5]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피부 세포 내 보습능 평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보습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보습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아쿠아포린-3(Aquaporin-3)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아쿠아포린-3(Aquaporin-3)
아쿠아포린(Aquaporin)은 세포막에서 물 분자를 능동적으로 세포내로 이동시키는 수송단백질(transporter)로서 세포막에 존재한다(J Biol Chem, 274:21631-21636, 1999; Curr . Opin . Struct . Biol ., 15:176-183, 2005). 아쿠아포린 단백질은 포유류에서 현재까지 13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이중에서 아쿠아포린-3(AQP3) 단백질은 물 분자와 글리세롤(glycerol)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아쿠아글리세로포린(aquaglyceroporin) 단백질 일종으로서, 피부의 보습(hydration)과 상처 치료에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J Invest Dermatol, 118:678-685, 2002; J. Mol . Med., 96:523-529, 2008).
먼저, 인간 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를 6-웰 플레이트에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 FBS가 첨가된 DMEM을 사용하여 1x105 세포/웰(cells/well)로 시딩한 후 약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를 DMEM으로 희석하여 최종 처리량이 0.001중량%가 되도록 처리한 다음([Control]: 무처리군; [Rosiglitazone]: 양성대조군으로 5μM 로지글리타존(Sigma, USA) 처리군), 약 72시간 더 배양한 후 HaCaT를 PBS(phosphate buffer saline)(Welgene, Korea)로 세척하고 회수하여 PureLink RNA Mini Kit(Thermo Fisher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HaCaT의 m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mRNA는 High Capacity RNA-to-cDNA Kit(Thermo Fisher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한 다음, Real Time PCR(RT-PCR)로 증폭시켜 아쿠아포린-3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측정(각 시료 당 3개씩(triplicate samples)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함)하였다.
< RT-PCR 분석방법 >
RT-PCR 분석방법에 필요한 RNA 추출 키트(PureLink RNA Mini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USA), PCR Premix Kit(SYBR GREEN PCR MASTER Mix, 4368702, Thermo Fisher Scientific, USA), cDNA 합성 키트(High Capacity RNA-to-cDNA Kit, Thermo Fisher Scientific, USA)를 준비하였다.
먼저, RNA 추출 키트를 이용하여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가 처리된 HaCaT 세포의 RNA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한 RNA를 cDNA 합성 키트로 cDNA를 합성(RT, Reverse Transcription)하였다. 합성된 cDNA와 아쿠아포린-3 특이적 프라이머(아래 표 17 참조)를 PCR Premix Tube(시험약에 Taq Polymerase 포함)에 첨가한 후, 하기 반응조건으로 PCR을 수행하여 아쿠아포린-3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확인하였다.
RT-PCR 반응조건
(1) RT: 상기 cDNA 합성 키트 및 시료가 처리된 각질형성세포의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2) PCR: 상기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95℃: 5분], [(95℃: 45초; 50℃: 45초; 68℃: 60초) x 40cycle], 및 [68℃: 5분]으로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RT-PCR 반응생성물을 1%(W/V) 겔 상에서 전기영동한 후, 상기 반응생성물의 증폭된 핵산의 분자량을 확인하여 아쿠아포린-3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표 17은 아쿠아포린-3 유전자 증폭용 프라이머 쌍을 나타낸 것이다.
프라이머 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5' to 3') 서열번호
Aquaporin-3-F 정방향 ACCTTTGCCATGTGCTTCCT 1
Aquaporin-3-R 역방향 GCGTCTGTGCCAGGGTGTA 2
그 결과, 아래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아쿠아포린-3의 발현량이 높아 피부 보습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5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또, 아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아쿠아포린-3의 발현량이 높아 피부 보습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6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 시험예 6]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피부 세포 내 지질 합성 촉진에 따른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효능 평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지질합성능을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 각질형성세포(HaCaT)를 6-웰 플레이트에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 FBS가 첨가된 DMEM을 사용하여 1x105 세포/웰(cells/well)로 시딩한 후 약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를 DMEM으로 희석하여 최종 처리량이 0.001중량%가 되도록 처리하거나, 양성대조군인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 Sigma, USA)을 최종 농도가 5μM이 되도록 처리하였다([Control]: 무처리군). 그 후 배지를 3일마다 교환하여 2주일 동안 더 배양하였다. 지질 염색은 Oil Red O 염색제(Sigma, USA)를 적정 농도로 HaCaT에 처리한 다음, 현미경으로 염색된 HaCaT를 촬영한 후,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Sigma, USA)을 이용하여 융해시켜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각 시료 당 3개씩(triplicate samples)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함)하여 각질형성세포에서 각질세포로의 분화 정도 및 지질 합성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래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피부 장벽 구성 요소인 지질 합성능이 높아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7~8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아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피부 장벽 구성 요소인 지질 합성능이 높아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9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 시험예 7]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 평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먼저,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양성대조군: 10ppm 알부틴)를 인산완충액으로 희석하여 0.001중량%가 되도록 준비된 용액 0.9ml, 0.1M 인산완충액(pH 6.8) 1.0ml 및 1.5ml L-tyrosine 용액 1.0ml를 혼합한 혼합 용액을 준비한 다음, 약 37℃에서 약 10분간 방치(incubate)시켰다. 그다음, 상기 혼합 용액에 머쉬룸 타이로시나아제(1,500units/ml)를 0.1ml 첨가하여 약 37℃에서 약 1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Smarspec Plus, Biorad, USA)를 사용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타이로시나아제에 대한 활성 저해능을 IC50으로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18 및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IC50 값이 낮게 산출되어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높아 피부 미백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양성대조군(알부틴): IC50 = 0.014mg/ml)(표 18~19의 원료는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된 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아래 표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IC50 값이 낮게 산출되어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높아 피부 미백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0의 원료는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된 소스를 나타낸 것임).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
IC 50 (mg/ml)
원료 비교예 1~18 비교예 37~54 실시예 1~18 실시예 37~54 실시예 73~90
갈화 0.058 0.057 0.055 0.053 0.051
감귤꽃 0.055 0.053 0.052 0.050 0.048
관동화 0.075 0.073 0.071 0.070 0.058
광나무꽃 0.071 0.059 0.050 0.048 0.042
금은화 0.055 0.051 0.046 0.041 0.036
국화 0.053 0.052 0.051 0.046 0.045
계관화 0.061 0.060 0.059 0.053 0.051
괴화 0.041 0.040 0.039 0.038 0.036
녹차꽃 0.055 0.051 0.048 0.043 0.041
달맞이꽃 0.062 0.058 0.047 0.046 0.044
동백꽃 0.048 0.047 0.046 0.045 0.042
데이지 0.063 0.062 0.061 0.058 0.056
도화 0.055 0.051 0.044 0.043 0.041
라벤더 0.081 0.066 0.043 0.041 0.037
메리골드 0.061 0.058 0.051 0.045 0.042
매화 0.051 0.049 0.045 0.043 0.039
모란 0.064 0.061 0.053 0.051 0.049
무궁화 0.051 0.050 0.049 0.047 0.046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
IC 50 (mg/ml)
원료 비교예 19~36 비교예 55~72 실시예 19~36 실시예 55~72 실시예 91~108
밀몽화 0.053 0.052 0.051 0.048 0.047
백선 0.048 0.047 0.046 0.045 0.042
백일홍 0.058 0.041 0.038 0.035 0.032
봉선화 0.077 0.055 0.047 0.046 0.041
수국 0.066 0.059 0.043 0.039 0.037
석류화 0.065 0.051 0.047 0.041 0.034
선복화 0.050 0.048 0.043 0.041 0.033
수선화 0.079 0.066 0.053 0.047 0.042
수련 0.060 0.053 0.044 0.042 0.038
연꽃 0.059 0.055 0.053 0.051 0.049
유채꽃 0.051 0.050 0.048 0.043 0.040
인삼꽃 0.051 0.049 0.047 0.038 0.035
자스민 0.045 0.044 0.043 0.041 0.039
장미 0.042 0.039 0.035 0.031 0.028
제라늄 0.059 0.041 0.038 0.034 0.031
카렌듈라 0.061 0.053 0.043 0.041 0.038
팬지 0.066 0.058 0.044 0.042 0.041
홍화 0.045 0.044 0.041 0.038 0.035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
IC 50 (mg/ml)
원료 비교예 73~90 비교예 91~108 실시예 109~126 실시예 127~144 실시예 145~162
장미+국화 0.039 0.035 0.032 0.030 0.026
장미+동백꽃 0.038 0.036 0.031 0.029 0.027
장미+매화 0.040 0.036 0.032 0.030 0.027
장미+모란 0.041 0.037 0.033 0.030 0.027
장미+연꽃 0.037 0.034 0.032 0.030 0.027
장미+수선화 0.040 0.038 0.033 0.030 0.025
국화+동백꽃 0.047 0.045 0.045 0.044 0.041
국화+매화 0.050 0.048 0.044 0.042 0.038
국화+모란 0.052 0.050 0.048 0.045 0.041
국화+연꽃 0.051 0.048 0.046 0.043 0.039
국화+수선화 0.052 0.050 0.048 0.045 0.041
동백꽃+매화 0.046 0.043 0.041 0.039 0.036
동백꽃+모란 0.047 0.045 0.043 0.041 0.037
동백꽃+연꽃 0.046 0.044 0.042 0.040 0.038
동백꽃+수선화 0.047 0.046 0.045 0.041 0.035
매화+모란 0.047 0.044 0.041 0.039 0.038
매화+연꽃 0.050 0.048 0.044 0.041 0.038
매화+수선화 0.046 0.044 0.041 0.039 0.036
[ 시험예 8]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자외선 조사로 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의 억제능 평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자외선 조사로 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인간 각질형성세포(HaCa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 FBS가 첨가된 DMEM을 사용하여 5x104 세포/웰(cells/well)로 시딩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부착시켰다. 각 웰에 부착된 인간 각질형성세포를 PBS로 1회 세척하고 500㎕의 PBS를 넣었다. 그다음, 인간 각질형성세포에 10mJ/cm2의 UVB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DMEM 350㎕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를 DMEM으로 희석하여 최종 처리량이 0.1중량%가 되도록 처리한 후 약 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supernatant)을 150㎕ 취하여 IL-1α를 정량함으로써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21 및 표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능이 높아 피부 함염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1~22의 원료는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된 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아래 표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능이 높아 피부 함염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3의 원료는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된 소스를 나타낸 것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원료 비교예 1~18 비교예 37~54 실시예 1~18 실시예 37~54 실시예 73~90
갈화 21.0 21.1 22.0 24.0 25.0
감귤꽃 22.0 22.1 23.0 25.0 28.0
관동화 22.0 23.0 24.0 25.0 27.0
광나무꽃 19.0 20.0 21.0 23.0 28.0
금은화 21.0 21.1 22.0 24.0 26.0
국화 17.0 19.0 23.0 25.0 29.0
계관화 16.0 16.1 18.0 21.0 23.0
괴화 22.0 22.1 23.0 25.0 26.0
녹차꽃 15.0 15.1 16.0 20.0 21.0
달맞이꽃 14.0 14.5 15.0 16.0 18.0
동백꽃 15.0 15.1 15.5 16.0 17.0
데이지 20.0 20.1 20.5 21.0 22.0
도화 20.0 20.5 21.0 22.0 24.0
라벤더 19.0 20.0 22.0 23.0 24.0
메리골드 24.0 24.1 24.5 25.0 26.0
매화 22.5 23.0 23.5 25.0 26.0
모란 27.0 28.0 28.5 29.0 30.0
무궁화 20.0 22.0 23.0 26.0 29.0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원료 비교예 19~36 비교예 55~72 실시예 19~36 실시예 55~72 실시예 91~108
밀몽화 21.0 22.0 23.0 24.0 27.0
백선 22.0 22.1 23.0 24.0 25.0
백일홍 17.0 21.0 23.0 25.0 29.0
봉선화 20.0 23.0 24.0 27.0 28.0
수국 24.0 25.0 29.0 31.0 32.0
석류화 19.0 21.0 23.0 25.0 28.0
선복화 22.0 22.1 23.0 26.0 29.0
수선화 13.0 13.5 14.0 15.0 16.0
수련 22.0 22.1 23.0 25.0 26.0
연꽃 16.0 16.1 17.0 18.0 19.0
유채꽃 20.0 22.0 23.0 25.0 28.0
인삼꽃 15.0 16.0 17.0 18.5 21.0
자스민 24.0 24.1 24.5 25.0 26.0
장미 26.0 27.0 30.0 32.0 33.0
제라늄 22.0 22.1 22.5 25.0 26.0
카렌듈라 21.0 21.5 22.5 23.0 24.0
팬지 17.0 18.0 19.0 21.0 22.0
홍화 19.0 19.5 20.0 20.5 21.0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원료 비교예 73~90 비교예 91~108 실시예 109~126 실시예 127~144 실시예 145~162
장미+국화 28.0 29.0 31.0 33.0 37.0
장미+동백꽃 29.0 30.0 32.0 33.0 36.0
장미+매화 30.0 30.1 31.0 33.0 36.0
장미+모란 27.1 28.1 33.0 34.0 35.0
장미+연꽃 29.0 31.0 33.0 35.0 37.0
장미+수선화 28.0 30.0 32.0 34.0 35.0
국화+동백꽃 30.0 31.0 33.0 35.0 36.0
국화+매화 28.0 30.0 31.0 33.0 35.0
국화+모란 29.0 31.0 32.0 34.0 35.0
국화+연꽃 28.0 29.0 31.0 32.0 34.0
국화+수선화 27.0 29.0 31.0 32.5 34.0
동백꽃+매화 29.0 31.0 32.0 33.0 35.0
동백꽃+모란 27.1 30.0 32.0 34.0 36.0
동백꽃+연꽃 28.0 29.0 31.0 33.0 35.0
동백꽃+수선화 27.0 28.0 31.0 32.0 34.0
매화+모란 30.0 31.0 33.0 34.0 35.0
매화+연꽃 28.0 30.0 32.0 33.0 34.0
매화+수선화 29.0 31.0 33.0 35.0 36.0
[ 시험예 9]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모발 강도 증진 효과 평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이 모발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발 인장강도계(TA-XT-Plus, Stable Micro System LTD.,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를 1% w/v로 증류수에 희석하여 1g 씩 정상 모발 트레스(Tress)에 고르게 도포한 후, 40%의 상대습도 및 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모발 트레스에서 임의로 균일한 머리카락(지름: 65~75㎛) 한 가닥을 골라 인장강도계에 장착한 후 20mm/min의 속도로 잡아당기면서 모발이 끊어질 때의 힘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10회 이상 반복한 후 평균값을 내어 모발의 강도를 표기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정제수로 처리한 모발 트레스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24 및 표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모잘 인장 강도가 높아 모발의 강도 증진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4~25의 원료는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된 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아래 표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모잘 인장 강도가 높아 모발의 강도 증진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6의 원료는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된 소스를 나타낸 것임).
원료 모발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g)
비교예 1~18 비교예 37~54 실시예 1~18 실시예 37~54 실시예 73~90
갈화 103.1 104.5 106.2 107.3 108.4
감귤꽃 114.3 115.3 116.3 119.6 121.2
관동화 110.2 110.8 111.4 112.1 115.7
광나무꽃 105.3 105.9 106.8 107.4 109.1
금은화 104.7 105.3 107.4 108.1 110.3
국화 109.2 110.2 110.4 112.1 113.6
계관화 114.3 115.3 116.3 116.6 117.8
괴화 119.5 120.1 120.2 121.6 123.5
녹차꽃 118.7 119.3 120.3 121.1 123.7
달맞이꽃 106.6 107.9 110.2 111.5 115.9
동백꽃 102.3 102.6 103.5 105.1 107.3
데이지 106.4 107.1 107.3 107.5 112.2
도화 100.9 101.3 103.1 106.5 109.3
라벤더 104.6 106.5 107.8 111.1 113.7
메리골드 115.6 116.2 117.8 119.9 121.5
매화 115.3 115.9 116.3 118.1 120.1
모란 107.8 108.3 109.2 114.3 117.2
무궁화 118.5 119.2 120.8 122.2 123.2
원료 모발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g)
비교예 19~36 비교예 55~72 실시예 19~36 실시예 55~72 실시예 91~108
밀몽화 104.1 106.3 108.1 109.3 113.3
백선 106.5 107.1 108.8 109.1 111.5
백일홍 102.4 106.5 109.4 111.2 115.2
봉선화 100.1 103.2 104.3 105.4 107.2
수국 102.2 103.4 105.2 106.8 109.1
석류화 116.6 117.3 118.1 118.4 121.5
선복화 113.3 114.4 115.8 116.9 118.2
수선화 101.6 105.4 106.3 114.8 117.2
수련 114.4 116.2 118.5 121.1 123.6
연꽃 105.7 106.3 108.1 108.4 112.9
유채꽃 115.7 116.5 118.4 122.9 125.4
인삼꽃 105.8 109.3 111.5 118.3 121.5
자스민 110.8 112.3 113.1 113.2 117.4
장미 116.2 120.3 121.6 128.2 131.4
제라늄 109.1 110.6 111.6 114.3 115.7
카렌듈라 108.4 109.3 113.9 118.3 119.2
팬지 107.2 110.1 113.8 114.3 116.5
홍화 101.1 102.3 103.2 105.6 108.2
원료 모발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 g)
비교예 73~90 비교예 91~108 실시예 109~126 실시예 127~144 실시예 145~162
장미+국화 116.5 120.5 122.3 130.1 132.8
장미+동백꽃 116.5 121.3 126.4 129.3 131.9
장미+매화 116.8 126.3 127.3 130.4 131.7
장미+모란 117.1 121.5 126.3 130.6 132.4
장미+연꽃 118.3 122.7 126.9 130.4 133.2
장미+수선화 116.5 122.2 127.5 129.8 131.4
국화+동백꽃 117.4 126.4 129.3 130.3 132.4
국화+매화 117.2 120.7 126.4 129.4 133.2
국화+모란 116.8 121.2 126.3 129.9 130.2
국화+연꽃 119.2 122.7 128.3 129.7 131.4
국화+수선화 118.1 123.4 127.9 130.3 132.3
동백꽃+매화 118.6 121.7 127.4 129.8 133.1
동백꽃+모란 117.4 121.3 125.3 128.2 131.9
동백꽃+연꽃 116.8 125.4 127.5 128.6 132.1
동백꽃+수선화 117.3 124.2 126.8 128.8 131.7
매화+모란 118.2 123.4 125.7 129.4 132.4
매화+연꽃 117.6 125.4 128.4 130.2 133.3
매화+수선화 116.9 126.2 129.1 131.2 133.7
[ 시험예 10]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모발 윤기 향상 효과 평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이 모발 윤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발 윤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고니오포토미터(Goniophotometer,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지원자로부터 수득한 정상 모발 트레스를 준비하고 모발 트레스를 과산화수소로 처리하여 손상시킨 후 사용하였다. 각 모발 트레스에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를 1% w/v로 증류수에 희석하여 1gl 씩 고르게 도포한 후 물로 10회 세척하였다([Control]: 무처리군). 세척한 모발 트레스를 40%의 상대습도 및 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모발 트레스에서 임의로 균일한 머리카락(지름: 65~75㎛) 한 가닥을 골라 상기 측정기에 장착한 후의 모발 윤기를 측정(각 시료 당 3개씩(triplicate samples)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함)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정제수로 처리한 모발 트레스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아래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모발 거칠기의 감소 효능 및 모발 윤기 향상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0~11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아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모발 거칠기의 감소 효능 및 모발 윤기 향상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2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4에 따른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탈색제로 탈색 처리한 모발 트레스에 처리 시 탈색 처리로 인해 증가한 모발 트레스의 거칠기가 감소하고 탈색 처리로 인해 감소된 모발 트레스의 윤기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관능검사 및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JEOL, Japan)의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 시험예 11]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에 의한 항산화능 평가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법을 실시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를 인산완충액으로 희석하여 50ppm이 되도록 준비된 용액 0.1ml에 0.2mM 2,2-diphenyl-1-picrylhydrazyl(Sigma, USA) 용액을 0.1ml 분주하여, 약 30분간 방치시킨 후 520nm에서 ELISA 리더(ELISA reader, Eon, Biotek,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시료 대신 정제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각 시료 당 3개씩(triplicate samples)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함)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50ppm의 L-ascorbic acid(Sigma, US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아래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DPPH 라디칼 소거 효과가 높아 항산화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5~16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아래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DPPH 라디칼 소거 효과가 높아 항산화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7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 시험예 12]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 및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 소거능 평가
(1) UV로 인한 ROS의 소거능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ROS 제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CF-DA(2', 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Sigma, USA)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간 각질형성세포(HaCaT)를 형광 측정용 96-웰 블랙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 FBS가 첨가된 DMEM을 사용하여 1x104 세포/웰(cells/well)로 시딩하고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약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각의 무혈청 DMEM에 희석하여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를 넣고 약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No treat]: UVB 비조사군; [(-) Control]: UVB 조사군). 배양시간이 24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HaCaT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HaCaT를 HBSS로 세척한 후, 50μM DCFH-DA(희석용매: HBSS)를 100㎕ 첨가하고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약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HBSS로 세척하였다. 그다음, 50mJ/cm2의 UVB를 조사한 후, DCFH-DA로 처리되고, UV로 조사된 HaCaT로부터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플레이트 리더(Tecan plate reader, Switzerland)로 Excitation/Emission = 485nm/530nm에서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각 시료 당 3개씩(triplicate samples)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함).
그 결과, 아래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UV 조사로 인한 ROS에 대한 소거 효과가 높아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1: 실시예 104에 따른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각질형성세포(HaCaT)에 처리 시 UV 조사로 인한 ROS에 대한 소거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형광현미경(EvosAutoFL, Thermofisher, 4X)으로 확인하였음)(도 18~19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아래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UV 조사로 인한 ROS에 대한 소거 효과가 높아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0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2)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ROS의 소거능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의 ROS 제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CF-DA를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간 각질형성세포(HaCaT)를 형광 측정용 96-웰 블랙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 FBS가 첨가된 DMEM을 사용하여 1x104 세포/웰(cells/well)로 시딩하고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약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각의 무혈청 DMEM에 희석하여 시료(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를 넣고 약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배양시간이 24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HaCaT 배양에 사용된 배지를 제거하고 HaCaT를 HBSS로 세척한 후, 50μM DCFH-DA(희석용매: HBSS)를 100㎕ 첨가하고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약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HBSS로 세척하였다. 그다음, 100μM H2O2(희석용매: HBSS)를 처리한 후([No treat]: H2O2 비처리군; [(-) Control]: H2O2 처리군), DCFH-DA 및 H2O2로 처리된 HaCaT로부터 발생되는 형광을 형광플레이트 리더(Tecan plate reader, Switzerland)로 Excitation/Emission = 485nm/530nm에서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각 시료 당 3개씩(triplicate samples)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함).
그 결과, 아래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꽃으로부터 유래한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1~36에 따른 꽃 추출물 및 비교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보다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ROS에 대한 소거 효과가 높아 항산화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5: 실시예 104에 따른 장미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각질형성세포(HaCaT)에 처리 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ROS에 대한 소거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형광현미경(EvosAutoFL, Thermofisher, 10X)으로 확인하였음)(도 22~23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1~72 및 실시예 1~108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또, 아래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은 비교예 73~90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및 비교예 91~108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보다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ROS에 대한 소거 효과가 높아 항산화 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4의 그래프의 X-축은 비교예 73~108 및 실시예 109~162 제조에 사용한 원료(소스)를 나타낸 것임).
본 발명의 실시예 1~36 및 실시예 37~72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실시예 73~108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실시예 109~126 및 실시예 127~144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실시예 145~162에 따른 서로 다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예 1~제형예 4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의약품, 화장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구현하고자 하는 제품의 기능성, 비용 및 기타 조건을 고려하여 적정 함량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제제 및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다.
[제형예 1] 연고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27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연고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1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1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10.0
카프린/카프릴트리글릭세리드 10.0
액상파라핀 10.0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6.0
옥틸도데세스-25 9.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0.0
스쿠알란 1.0
살리실산 1.0
글리세린 15.0
솔비톨 10.0
[ 제형예 2] 영양화장수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28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1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1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Montana 202 (제조사:Seppic)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3] 마사지크림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29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1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1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Montana 202 (제조사: Seppic)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 제형예 4] 팩의 제조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표 30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1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1종 이상의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통계처리
통계분석은 두 그룹 간 유의성 검사로 t-test 검정법을 이용하였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P<0.05, **P<0.01, ***P<0.001인 경우 유효한 차이로 간주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Morechem Co., Ltd. <120> Composition Comprising Glycoprotein Fraction of the Flower Extract or Hydrolysate Derived from the Glycoprotein Fraction, and Method of Producing Glycoprotein Fraction of the Flower Extract and Hydrolysate Derived from the Glycoprotein Fraction <130> YPD201803-0014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quaporin-3-F <400> 1 acctttgcca tgtgcttcct 2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quaporin-3-R <400> 2 gcgtctgtgc cagggtgta 19

Claims (13)

  1. 등전점(isoelectric point, pI) 값이 3.0~7.0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꽃은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향상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2. 등전점 값이 3.0~7.0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건조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꽃은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건조 개선용 조성물.
  3. 등전점 값이 3.0~7.0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로서,
    상기 꽃은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조성물.
  4. 등전점 값이 3.0~7.0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로서,
    상기 꽃은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등전점 값이 3.0~7.0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로서,
    상기 꽃은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
  6. 등전점 값이 3.0~7.0인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의 강도 및 윤기를 향상시키는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꽃은 갈화, 감귤꽃, 관동화, 광나무꽃, 금은화, 국화, 계관화, 괴화, 녹차꽃, 달맞이꽃, 동백꽃, 데이지, 도화, 라벤더, 메리골드, 매화, 모란, 무궁화, 밀몽화, 백선, 백일홍, 봉선화, 수국, 석류화, 선복화, 수선화, 수련, 연꽃, 유채꽃, 인삼꽃, 자스민, 장미, 제라늄, 카렌듈라, 팬지 및 홍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물은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을 프로테아제(protease), 펙티나아제(pectinase), α,β-글루코시다아제(α,β-glucosidase),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lucosidase), 베타-글루카나아제(β-gluc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나린지나제(naringinase), α-아밀라아제(α-amyl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라비나아제(arabinase), 자일라나아제(xylanase) 및 탄나아제(tannas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수분해효소로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단백질 분획물의 분자량 범위는 1,000~700,000Da이고, 상기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범위는 250~1,000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상기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 각각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으로서,
    (a) 꽃 및 물을 혼합한 원료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상기 원료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상층부의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꽃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수득한 꽃 추출액의 pH를 조정하여 pH 3.0~7.0의 등전점을 갖는 당단백질을 침전시켜 당단백질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c) 수득한 당단백질 분획물에 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반응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d) 수득한 반응생성물을 원심분리하여 형성된 반응생성물의 상층액을 여과하여 가수분해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효소는 프로테아제(protease), 펙티나아제(pectinase), α,β-글루코시다아제(α,β-glucosidase), 아밀로글루코시다제(amyloglucosidase), 베타-글루카나아제(β-gluca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나린지나제(naringinase), α-아밀라아제(α-amylase), 헤미셀룰라아제(hemicellulase), 아라비나아제(arabinase), 자일라나아제(xylanase) 및 탄나아제(tannas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단백질 분획물의 분자량 범위는 1,000~700,000Da이고, 상기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범위는 250~1,000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200006701A 2020-01-17 2020-01-17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10233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01A KR102331436B1 (ko) 2020-01-17 2020-01-17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01A KR102331436B1 (ko) 2020-01-17 2020-01-17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030A true KR20210093030A (ko) 2021-07-27
KR102331436B1 KR102331436B1 (ko) 2021-11-29

Family

ID=7712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701A KR102331436B1 (ko) 2020-01-17 2020-01-17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4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109B1 (ko) * 2021-08-24 2022-01-0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가수분해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4259441A (zh) * 2021-12-30 2022-04-01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微生态环境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65036A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에스디알생명공학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KR102552610B1 (ko) * 2022-09-06 2023-07-07 주식회사 케어테크 꽃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가려움 해소, 비듬 방지,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2579345B1 (ko) 2023-04-11 2023-09-21 한국콜마주식회사 회화나무 꽃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5054B2 (ja) * 1990-03-03 1999-09-06 三省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剤
KR20060095135A (ko)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태평양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675A (ko) 2011-11-08 2013-05-16 (주)에이씨티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0277A (ko) * 2013-04-30 2014-11-10 주식회사 두래 글리코프로테인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34738A (ko) * 2013-04-30 2014-11-25 주식회사 두래 글리코프로테인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증진용 조성물
KR101499457B1 (ko) 2013-10-07 2015-03-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약학조성물
KR20160139072A (ko) 2015-05-26 2016-12-07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딱지꽃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3526B1 (ko) 2016-02-22 2017-04-06 주식회사 젠퓨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0952A (ko) 2016-04-22 2017-11-01 (주)에스디생명공학 효소 처리된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96710B1 (ko) 2016-05-04 2017-11-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리보핵산 및 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8261A (ko) * 2017-08-14 2019-02-22 (주)모아캠 갈산 및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미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5054B2 (ja) * 1990-03-03 1999-09-06 三省製薬株式会社 皮膚外用剤
KR20060095135A (ko)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태평양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675A (ko) 2011-11-08 2013-05-16 (주)에이씨티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0277A (ko) * 2013-04-30 2014-11-10 주식회사 두래 글리코프로테인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34738A (ko) * 2013-04-30 2014-11-25 주식회사 두래 글리코프로테인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증진용 조성물
KR101499457B1 (ko) 2013-10-07 2015-03-0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약학조성물
KR20160139072A (ko) 2015-05-26 2016-12-07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딱지꽃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3526B1 (ko) 2016-02-22 2017-04-06 주식회사 젠퓨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0952A (ko) 2016-04-22 2017-11-01 (주)에스디생명공학 효소 처리된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96710B1 (ko) 2016-05-04 2017-11-1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리보핵산 및 제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8261A (ko) * 2017-08-14 2019-02-22 (주)모아캠 갈산 및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미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109B1 (ko) * 2021-08-24 2022-01-0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가수분해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5036A (ko) * 2021-11-04 2023-05-11 주식회사 에스디알생명공학 구연산을 이용한 화장료용 꽃잎의 연화방법
CN114259441A (zh) * 2021-12-30 2022-04-01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一种改善皮肤微生态环境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52610B1 (ko) * 2022-09-06 2023-07-07 주식회사 케어테크 꽃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가려움 해소, 비듬 방지,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2579345B1 (ko) 2023-04-11 2023-09-21 한국콜마주식회사 회화나무 꽃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436B1 (ko)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1436B1 (ko)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7824A (ko)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1998A (ko) 화장품 활성 제제로서 난초과 반다 코에룰렐라
CN111148506A (zh) 在化妆品和/或营养保健品中使用Let-7b抑制剂的方法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40018666A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2154927B1 (ko) 클로로겐산, 페룰산, 레스베라트롤 및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R2928549A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l&#39;orchidee brassocattleya marcella koss en tant qu&#39;actif pour prevenir ou retarder l&#39;apparition d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50862B1 (ko) 천궁, 작약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7674B1 (ko) 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2123B1 (ko) 갈산 및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미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JP6735225B2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経口組成物
JP2009234976A (ja) 細胞賦活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KR102552616B1 (ko) 아토피 등 극건성 피부의 보습과 진정,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지니는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함유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7397B1 (ko) 다분자 콜라겐과 카카두 플럼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579345B1 (ko) 회화나무 꽃 유래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7267B1 (ko) 아스타잔틴 복합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329A (ko)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