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849B1 - 절삭 공구 키, 절삭 헤드 키 조립체 그리고 절삭 헤드를 공구 홀더에 부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절삭 공구 키, 절삭 헤드 키 조립체 그리고 절삭 헤드를 공구 홀더에 부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849B1
KR102575849B1 KR1020187023378A KR20187023378A KR102575849B1 KR 102575849 B1 KR102575849 B1 KR 102575849B1 KR 1020187023378 A KR1020187023378 A KR 1020187023378A KR 20187023378 A KR20187023378 A KR 20187023378A KR 102575849 B1 KR102575849 B1 KR 102575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utting
sleeve
key
cutt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115A (ko
Inventor
길 헥트
하로쉐 데이비드 벤
Original Assignee
이스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카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스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11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2Adapters for drills or chucks; Tapered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2Connections between shanks and removable cu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78Hand tools used to operate chucks or to assemble, adjust or disassemble tools or equipment used for turning, boring or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Kniv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절삭 공구 키는 절삭 공구 키의 회전을 부여하는, 핸들 구성요소 그리고 핸들 구성요소에 부착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로킹 부재는 그 후방 단부에 있는 헤드 리셉터클 부분 그리고 로킹 부재에 부착되는 슬리브 부재를 포함한다. 슬리브 부재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이고, 헤드 리셉터클 부분을 원주방향으로 포위한다. 절삭 헤드 키 조립체는 헤드 리셉터클 부분에 위치되고 슬리브 부재에 의해 그곳에 탄성적으로 클램핑되는 절삭 헤드를 포함한다. 절삭 헤드 키 조립체는 절삭 헤드를 공구 홀더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회전된다.

Description

절삭 공구 키, 절삭 헤드 키 조립체 그리고 절삭 헤드를 공구 홀더에 부착하는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절삭 헤드가 공구 홀더 내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는, 회전 절삭 공구, 그리고 구체적으로, 절삭 헤드를 그러한 공구 홀더 내로 장착하고 공구 홀더로부터 압출하는 절삭 공구 키(cutting tool key)에 관한 것이다.
회전 절삭 공구, 예를 들어 드릴링 공구는 절삭 헤드가 공구 홀더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모듈형이다. 절삭 헤드를 공구 홀더에 부착하기 위해, 절삭 공구 키가 로킹 토크(locking torque)를 절삭 헤드 상에 위치되는 키 파지 표면에 가함으로써, 절삭 헤드를 키 중심 축을 중심으로 공구 홀더에 대해 회전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키 파지 표면은 절삭 헤드의 절삭 아암 상에 위치되는 레이크 표면의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키 파지 표면에 절삭 헤드의 회전을 부여하는 데 적절한 절삭 공구 키의 예가 제US 5,957,631호(도 15 참조)에 개시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키 파지 표면은 절삭 헤드의 절삭 아암 상의 전방 주연 부분에 위치되는 노치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키 파지 표면에 절삭 헤드의 회전을 부여하는 데 적절한 절삭 공구 키의 예가 제US D591,14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목적은 개선된 신규한 절삭 공구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또 다른 목적은 절삭 헤드의, 그 회전 축에 대해 측정될 때의, 직경이 4 mm 내지 5.99 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는, 비교적 작은 절삭 헤드에 대해서도, 절삭 헤드가 공구 홀더에 용이하게 해제가능하게 부착되게 하는 절삭 공구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절삭 공구의 조립 전에 절삭 공구 키에 탄성적으로 클램핑되는 절삭 헤드를 갖는 절삭 헤드 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절삭 공구 키가 제공되며, 회전 로킹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키 중심 축을 갖고, 키 중심 축은 전방-후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절삭 공구 키는,
키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절삭 공구 키의 회전을 부여하는, 핸들 구성요소;
핸들 구성요소에 부착되고 그것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키 중심 축을 따라 연장하는 로킹 부재로서, 로킹 부재는 절삭 헤드의 수용을 위해, 그 후방 단부에 헤드 리셉터클 부분을 포함하는, 로킹 부재; 및
로킹 부재에 부착되는 슬리브 부재로서, 슬리브 부재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이고 헤드 리셉터클 부분을 원주방향으로 포위하는, 슬리브 부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절삭 헤드 키 조립체가 또한 제공되고,
절삭 헤드; 및
전술된 절삭 공구 키를 포함하고,
절삭 헤드 키 조립체는 조립 위치와 분해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고;
조립 위치에서, 절삭 헤드는 헤드 리셉터클 부분에 정합되고 슬리브 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클램핑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또 다른 추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헤드 중심 축을 갖는 절삭 헤드를 홀더 길이방향 축을 갖는 공구 홀더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절삭 헤드는 절삭 공구 키 상에 장착되고 절삭 헤드와 마찰 결합하는 슬리브 내부 표면을 갖는 가요성 슬리브 부재에 의해 절삭 공구 키에 부착되고, 상기 방법은
절삭 헤드가 부착된 절삭 공구 키를, 공구 홀더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전방 단부의 일부가 가요성 슬리브 부재 내로 수용되고 절삭 헤드가 공구 홀더의 전방 단부와 결합하도록 절삭 공구 키를 공구 홀더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절삭 헤드가 공구 홀더에 체결될 때까지 절삭 공구 키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방 단부의 상기 부분이 가요성 슬리브 부재 내로 더 이상 수용되지 않을 때까지, 절삭 공구 키를 공구 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위에서-언급된 것은 요약이고, 이후에 설명되는 특징은 본 출원의 특허 대상에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가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기의 특징 중 임의의 특징이 절삭 공구 키, 절삭 헤드 키 조립체 또는 절삭 헤드를 공구 홀더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는 방법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슬리브 부재는 슬리브 내부 표면에 의해 주연방향으로 한정되는, 슬리브 관통 공동을 포함하고, 슬리브 관통 공동은 적어도 후방 슬리브 개구로 개방될 수 있다. 슬리브 내부 표면은 후방 슬리브 개구로부터 헤드 리셉터클 부분을 향해 연장하는 안내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관통 공동은 슬리브 부재가 비굽힘 상태(unflexed)일 때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리브 부재는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슬리브 부재는 탄성 계수(E)를 갖는다. 탄성 계수(E)는 범위 0.001 GPa≤E≤0.05 GPa 내에 있을 수 있다.
슬리브 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로킹 부재의 전방 단부에서 핸들 구성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핸들 구성요소 및 로킹 부재는 일체로 함께 형성되고 단일의 일편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로킹 부재는 핸들 구성요소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키 중심 축을 따라 연장하는 원주방향 로킹 부재 주연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부재는 로킹 부재 주연 표면 상에 위치되는 슬리브 장착 부분에 해제가능하게 그리고 탄성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슬리브 장착 부분은 후방 방향으로 키 중심 축을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테이퍼 형성되는 원뿔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장착 부분은 제1 원통 직경을 갖는 제1 원통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장착 부분은 제2 원통 직경을 갖고 제1 원통형 표면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 원통형 표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통 직경은 제1 원통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로킹 부재 주연 표면은 대체로 후방 방향으로 향하는 축방향 정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부재는 축방향 정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핸들 구성요소는 키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는 N회 회전 대칭을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N은 정수이다.
핸들 구성요소는 핸들 상부 표면, 핸들 저부 표면 그리고 그 사이에서 연장하는 핸들 주연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 상부 표면 및 핸들 저부 표면은 평면형이고, 키 중심 축에 직각일 수 있다.
로킹 부재는 핸들 저부 표면의 반경방향 중심 부분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절삭 공구 키는 핸들 상부 표면과 헤드 리셉터클 부분 사이에서 연장하고 그것들로 개방되는 압출 관통 구멍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절삭 헤드는 헤드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헤드 커플링 핀을 포함하는 헤드 커플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커플링 핀은 후방 방향으로 후방 슬리브 개구를 통해 그리고 그것을 넘어 연장할 수 있다.
절삭 헤드는 전방-후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헤드 중심 축을 가질 수 있고, 절삭 헤드는 헤드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절삭 헤드는 헤드 중심 축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절삭 아암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절삭 아암은 대향 아암 회전방향 선행 및 후행 표면, 및 그 사이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 주연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아암 주연 표면은 절삭 헤드 직경을 한정할 수 있다. 슬리브 부재는 적어도 후방 슬리브 개구로 개방되는 슬리브 관통 공동을 포함하고, 슬리브 관통 공동은 슬리브 내부 표면에 의해 주연방향으로 한정되고 슬리브 부재가 비굽힘 상태일 때에 슬리브 직경을 갖고, 절삭 헤드 키 조립체의 분해 위치에서, 절삭 헤드는 절삭 공구 키에 부착되지 않고; 절삭 헤드 직경은 슬리브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슬리브 내부 표면은 후방 슬리브 개구로부터 헤드 리셉터클 부분을 향해 연장하는 안내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절삭 헤드는 헤드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헤드 커플링 핀을 포함하는 헤드 커플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 위치에서, 헤드 커플링 핀은 후방 방향으로 후방 슬리브 개구를 통해 그리고 그것을 넘어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절삭 헤드 키 조립체를 공구 홀더에 대해 위치시키는 단계 전에, 공구 홀더의 전방 단부를 후방 슬리브 개구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안내 표면을 후방 방향으로 홀더 주연 표면을 따라 활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안내 표면이 후방 방향으로 홀더 주연 표면을 따라 활주하기 전에 헤드 커플링 핀을 홀더 커플링 구멍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절삭 공구 키를 공구 홀더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후에, 슬리브 내부 표면을 공구 홀더의 홀더 주연 표면을 따라 활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그리고 본 출원이 실제로 실시될 수 있는 방식을 보여주기 위해, 첨부 도면이 이제부터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 키 그리고 해제 위치에 있는 회전 절삭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절삭 헤드 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삭 헤드 키 조립체의 단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절삭 헤드 키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슬리브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부재가 부착되지 않은 절삭 공구 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절삭 공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회전 절삭 공구가 예비-체결 위치에 있을 때의 회전 절삭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회전 절삭 공구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의, 도 8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시의 단순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요소는 일정한 축척으로 작성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의 요소의 치수가 명료화를 위해 다른 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거나, 몇몇의 물리 구성요소가 하나의 기능 블록 또는 요소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에, 도면 부호가 도면들 사이에서 반복되어 대응 또는 유사한 요소를 지시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다양한 양태가 설명될 것이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구체적인 구성 및 세부사항이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기재된다. 그러나,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은 구체적인 구성 및 세부사항이 본 명세서에 제공되지 않아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해제 위치에 있는, 드릴링 작업에 사용되는 형태의, 회전 절삭 공구(20), 및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 키(22, 122)를 도시하는 도 1을 우선 주목하기로 한다. 회전 절삭 공구(20)는 전형적으로 초경합금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절삭 헤드(24)를 갖는다. 회전 절삭 공구(20)는 전형적으로 강철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절삭 헤드(24)에 상보성인, 공구 홀더(26)를 또한 갖는다. 회전 절삭 공구(20)는 해제 위치와 체결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다. 회전 절삭 공구(20)의 체결 위치에서, 절삭 헤드(24)는 공구 홀더(26) 내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 양태는 절삭 공구 키(22, 122)에 관한 것이다. 절삭 공구 키(22, 122)의 목적은 회전 절삭 공구(20)를 조립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절삭 공구 키(22, 122)는 절삭 헤드(24)를 공구 홀더(26)에 대해 회전시켜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즉 회전 절삭 공구(20)가 체결 위치로 조정되도록 의도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절삭 공구 키(22, 122)는 절삭 공구 키(22, 122)가 회전 로킹 방향(RL)으로 회전가능한 키 중심 축(A)을 포함한다. 키 중심 축(A)은 전방(DF)-후방 방향(DR)으로 연장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키 중심 축(A)은 길이방향 축일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를 통한 용어 "전방" 및 "후방"의 사용은 도 4에서, 각각, 위 및 아래 방향을 향한 키 중심 축(A)의 방향으로의 상대 위치를 말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절삭 공구 키(22, 122)는 핸들 구성요소(28)를 포함한다. 핸들 구성요소(28)는 키 중심 축(A)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로킹 방향(RL)으로의 절삭 공구 키(22, 122)의 회전을 부여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구성요소(28)는 10% 유리 섬유로 보강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유사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핸들 구성요소(28)는 핸들 상부 표면(30), 핸들 저부 표면(32) 그리고 핸들 상부 표면(30)과 핸들 저부 표면(32) 사이에서 연장하는 핸들 주연 표면(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주연 표면(34)은 복수의 반경방향 볼록 곡선형 부분(36) 및 복수의 반경방향 오목 곡선형 부분(38)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반경방향 볼록 곡선형 부분(36)은 2개의 인접 반경방향 오목 곡선형 부분(38)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공구 키(22, 122)의 단부도(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주연 표면(34)은 그것이 회전 로킹 방향(RL)으로 연장하는 동안에 키 중심 축(A)으로부터의 거리가 교번하여 증가 및 감소한다. 핸들 구성요소(28)는 키 중심 축(A)을 중심으로 하는 N회 회전 대칭을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N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핸들 구성요소(28)는 키 중심 축(A)을 중심으로 하는 12회 회전 대칭을 나타낼 수 있다. 유리하게는, 그러한 구성은 회전 로킹 방향(RL)으로의 절삭 공구 키(22, 122)의 회전을 부여할 때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적절한 형상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상부 표면(30) 및 핸들 저부 표면(32)은 평면형이고, 키 중심 축(A)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핸들 상부 표면(30) 및 핸들 저부 표면(32)은 키 중심 축(A)에 직각일 수 있다.
절삭 공구 키(22, 122)는 로킹 부재(40)를 포함한다. 로킹 부재(40)는 핸들 구성요소(28)에 부착된다. 로킹 부재(40)는 핸들 구성요소로부터 후방 방향(DR)으로 키 중심 축(A)을 따라 연장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부재(40)의 전방 단부가 핸들 구성요소(28)에 부착될 수 있다. 로킹 부재(40)는 핸들 구성요소(28)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즉, 로킹 부재(40) 및 핸들 구성요소(28)는 단일의 일편형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에 따라 동일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유리하게는, 그러한 재료가 예를 들어, 플라스틱일 때에, 절삭 헤드(24)의 절삭 영역은 그것들이 로킹 부재(40)의 임의의 부분과 접촉되는 경우에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그러한 일편형 구성으로 인해, 로킹 부재(40)가 핸들 구성요소(28)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또한, 절삭 공구 키(22, 122)의 제조가 더 용이해지는데 (로킹 부재(40)로의 핸들 구성요소(28)의) 부착 공정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부재(40)는 핸들 구성요소(28)로부터 후방 방향(DR)으로 키 중심 축(A)을 따라 연장하는 원주방향 로킹 부재 주연 표면(4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40)는 핸들 저부 표면(32)의 반경방향 중심 부분으로부터 후방 방향(DR)으로 돌출할 수 있다. 로킹 부재 주연 표면(42)은 슬리브 장착 부분(4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장착 부분(44)은 슬리브 부재(46)를 그것에 부착하도록 설계된다.
도 4에 가장 잘 관찰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공구 키(22)의 슬리브 장착 부분(44)은 원뿔형 표면(48)을 포함할 수 있다. 원뿔형 표면(48)은 후방 방향(DR)으로 키 중심 축(A)을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테이퍼 형성될 수 있다. 원뿔형 표면(48)은 원뿔각(α)을 한정한다. 원뿔각(α)은 범위 3˚≤α≤5˚ 내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뿔각(α)은 4.0˚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비제한 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공구 키(122)의 슬리브 장착 부분(44)은 제1 원통 직경(D1)을 갖는 제1 원통형 표면(50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 주연 표면(42)은 제2 원통 직경(D2)을 갖는 제2 원통형 표면(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통형 표면(50b)은 제1 원통형 표면(50a)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원통 직경(D2)은 제1 원통 직경(D1)보다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부재 주연 표면(42)은 복수의 원통형 표면(50a, 50b)을 포함할 수 있고, 원통형 표면은 각각 그것에 인접하여 후방에 위치되는 원통형 표면(50a, 50b)보다 큰 직경을 갖고, 그에 따라 계단형 주연 표면을 형성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부재 주연 표면(42)은 대체로 후방 방향(DR)으로 향하는 축방향 정지 표면(52)을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 정지 표면(52)은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46)를 미리결정된 위치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정지 표면(52)은 핸들 저부 표면(32)에 인접하여 로킹 부재 주연 표면(42)에 위치되는 환형의 불룩한 부분(5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정지 표면(52)은 전방 인접 원통형 표면(50a, 50b)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 견부 부분(5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4로 다시 복귀하면, 로킹 부재(40)는 그 후방 단부에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을 포함한다.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은 공구 홀더(26)로의 해제가능한 부착 전에 절삭 헤드(24)가 절삭 공구 키(22, 122) 내에 장착될 때에(즉, 절삭 헤드(24)가 헤드 리셉터클 부분(58) 내로 수용되어 그것에 정합될 때에) 절삭 헤드(24)를 위한 하우징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은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리셉터클 간극(62)을 한정하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토크 전달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리셉터클 간극(62)은 한 쌍의 인접 토크 전달 부재(60) 사이에 위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이러한 비제한 예에서,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정확하게 2개의 토크 전달 부재(60), 및 그에 따라, 또한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정확하게 2개의 리셉터클 간극(6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간극(62)의 개수는 절삭 헤드(24) 상의 절삭 아암의 개수에 대응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토크 전달 부재(60)는 절삭 공구 키(22, 122)가 키 중심 축(A)을 중심으로 회전 로킹 방향(RL)으로 회전될 때에 로킹 토크를 절삭 헤드(24)로 전달하는 토크 전달 표면(64)을 포함한다. 토크 전달 표면(64)은 대체로 회전 로킹 방향(RL)으로 향할 수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공구 키(22, 122)는 핸들 상부 표면(30)과 헤드 리셉터클 부분(58) 사이에서 연장하고 그것들로 개방되는 압출 관통 구멍(66)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출 관통 구멍(66)의 목적은 압출력을 절삭 헤드(24) 상에 후방 방향(DR)으로 가하고, 그에 따라 그것을 헤드 리셉터클 부분(58) 및 슬리브 부재(46)의 외부로 압박하는, 로드(rod)와 같은, 압출 부재(도시되지 않음)의 사용에 의해 절삭 헤드(24)가 절삭 공구 키(22, 122)로부터 압출되게 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공구 키(22, 122)는 별개의 슬리브 부재(46)를 포함한다. 슬리브 부재(46)는 2개의 슬리브 단부 표면(68) 그리고 2개의 슬리브 단부 표면(68) 사이에서 연장하는 슬리브 외부 표면(70)을 포함한다. 슬리브 부재(46)는 중공형이고, 그에 따라 2개의 슬리브 개구(74, 76), 즉 전방 슬리브 개구(74) 및 후방 슬리브 개구(76)에 있는 2개의 슬리브 단부 표면(68) 사이에서 연장하고 그것들로 개방되는 슬리브 관통 공동(72)을 갖고, 그에 따라 슬리브 내부 표면(78)을 한정한다. 슬리브 내부 표면(78)은 슬리브 관통 공동(72)을 주연방향으로 한정한다. 슬리브 부재(46)의 슬리브 폭(W), 즉 슬리브 외부 및 내부 표면(70, 78)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는 범위 1.5 mm≤W≤2.5 mm 내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폭(W)은 2 mm의 수치를 가질 수 있다.
슬리브 부재(46)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이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 부재(46)는 범위 0.001 GPa≤E≤0.05 GPa 내의 탄성 계수(E)를 가질 수 있다. 중요하게는, 슬리브 부재(46)는 절삭 헤드(24)를 절삭 공구 키(22, 122)에 탄성적으로 클램핑하고, 동시에 여전히 a) 공구 홀더(26)의 전방 단부가 슬리브 부재(46) 내로 수용되게 하고, b)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 후에 절삭 공구 키(22, 122)가 회전 절삭 공구(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되게 하도록(즉, 절삭 헤드(24)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인출되게 하도록) 충분히 강성이어야 한다. 슬리브 부재(46) 및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은 상이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부재(46)는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 부재(46)는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리하게는 회전 절삭 공구(20)의 조립 중에 절삭 헤드(24) 및 공구 홀더(26)가 관찰가능하게 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 부재(46)가 비굽힘 상태일 때에(예를 들어, 로킹 부재(40)에 부착되지 않을 때에), 슬리브 내부 및 외부 표면(70, 78)은 슬리브 중심 축(S)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하고, 슬리브 중심 축(S)과 동축인 2개의 가상 원통형 표면 상에 놓인다. 따라서, 슬리브 관통 공동(72)은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슬리브 내부 표면(78)은 슬리브 직경(DS)을 한정한다. 2개의 슬리브 단부 표면(68)은 평면형이고, 슬리브 중심 축(S)에 직각일 수 있다.
슬리브 부재(46)는 로킹 부재(40)에 부착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 부재(46)는 로킹 부재(40)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슬리브 부재(46)가 손상되면, 예컨대 찢어지면, 그것은 교체되어야 한다. 슬리브 부재(46)를 로킹 부재(40)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 로킹 부재(40)는 전방 슬리브 개구(74)에서 슬리브 관통 공동(72) 내로 삽입된다. 로킹 부재(40)는 이어서 슬리브 관통 공동(72) 내로 추가로 축 방향으로 압박된다.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 예에서, 슬리브 부재(46)는 축방향 정지 표면(52)과 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슬리브 관통 공동(72) 내로의 로킹 부재(40)의 추가적인 삽입을 방지하고, 슬리브를 로킹 부재(40)에 대한 미리결정된 위치에 위치시킨다. 슬리브 직경(DS)이 슬리브 장착 부분(44)의 반경방향 치수보다 작은 것으로 인해, 슬리브 부재(46)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즉 굽힘 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슬리브 장착 부분(44)에서 로킹 부재(40) 상으로 자체적으로 탄성적으로 클램핑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슬리브 장착 부분(44)에 부착되지 않은 슬리브 부재(46)의 축방향 부분은 슬리브 직경(DS)을 실질적으로 유지한다.
슬리브 부재(46)가 슬리브 장착 부분(44)에 부착될 때에, 슬리브 부재(46)는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을 원주방향으로 포위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 중심 축(S)은 키 중심 축(A)과 일치할 수 있다. 슬리브 부재(46)는 후방 방향(DR)으로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을 넘어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 내부 표면(78)은 후방 슬리브 개구(76)로부터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을 향해 연장하는 안내 표면(80)을 포함할 수 있다.
절삭 헤드(24) 및 공구 홀더(26)는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지만, 회전 절삭 공구(20)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입부로서 이제부터 논의된다. 도 7을 이제부터 참조하면, 절삭 헤드(24)는 단일의 일체형 일편형 구성으로부터 제조된다. 절삭 헤드(24)는 절삭 헤드(24)가 회전 방향(R)으로 회전가능한 헤드 중심 축(C)을 갖는다. 회전 방향(R)은 회전 로킹 방향(RL)과 반대 회전방향이다. 헤드 중심 축(C)은 길이방향 축일 수 있다. 헤드 중심 축(C)은 전방-후방 방향(DF, DR)으로 연장한다. 절삭 헤드(24)는 절삭 부분(82)을 형성하는 전방 단부 그리고 헤드 커플링 부분(84)을 형성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한다.
절삭 부분(82)은 대향 헤드 전방 및 후방 표면(86, 88) 그리고 헤드 전방 및 후방 표면(86, 88) 사이에서 연장하는 헤드 주연 표면(90)을 포함한다. 헤드 중심 축(C)은 헤드 전방 및 후방 표면(86, 88)을 통해 연장한다. 헤드 후방 표면(88)은 절삭 부분(82)과 헤드 커플링 부분(84) 사이의 경계를 한정한다. 절삭 부분(82)은 공구 홀더(26) 상의 상보성 표면에 인접하는, 대체로 후방 방향(DR)으로 향하는 헤드 후방 인접 표면(92)을 포함한다. 헤드 후방 인접 표면(92)은 헤드 후방 표면(88) 상에 위치된다. 헤드 후방 표면(88)은 평면형이고, 헤드 중심 축(C)에 직각일 수 있다.
절삭 부분(82)은 헤드 반경방향 중심 부분(94)을 포함한다. 절삭 부분(82)은 헤드 반경방향 중심 부분(94)으로부터, 헤드 중심 축(C)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절삭 아암(96)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이러한 비제한 예에서, 절삭 부분(82)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정확하게 2개의 절삭 아암(96)을 포함한다. 각각의 절삭 아암(96)은 대향 아암 회전방향 선행 및 후행 표면(98, 100) 그리고 아암 회전방향 선행 및 후행 표면(98, 100) 사이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 주연 표면(102)을 각각 포함한다. 아암 회전방향 선행 및 후행 표면(98, 100) 및 아암 주연 표면(102)은 모두가 헤드 주연 표면(90) 상에 위치된다.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체를 통한 용어 "회전방향 선행" 및 "회전방향 후행"의 사용은 회전 방향(R)에 대한 위치를 말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아암 주연 표면(102)은 절삭 헤드 직경(DH)을 한정할 수 있다. 각각의 절삭 아암(96)은 공구 홀더(26) 상의 상보성 표면에 의해 피동 결합하는 피동 표면(104)을 포함한다. 피동 표면(104)은 아암 회전방향 후행 표면(1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피동 표면(104)을 통한 절삭 헤드로의 효과적인 토크 전달을 가능케 한다. 피동 표면(104)은 헤드 후방 표면(8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동 표면(104)은 헤드 후방 표면(88)의 축방향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절삭 아암(96)은 각각의 주 절삭날(104)을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 회전방향 선행 표면(98)은 각각의 주 레이크 표면(108)을 포함한다. 각각의 주 레이크 표면(108)은 그것이 관련되는 각각의 주 절삭날(104)로부터 헤드 후방 표면(88)을 향해 연장한다. 키 파지 표면이 각각의 절삭 아암(96) 상에 위치되는 주 레이크 표면(108)의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헤드 커플링 부분(84)은 헤드 후방 표면(88)으로부터 헤드 중심 축(C)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하는 헤드 커플링 핀(110)을 포함한다. 헤드 커플링 핀(110)의 목적은 커플링 수단을 공구 홀더(26)에 제공하는 것이다. 헤드 커플링 핀(110)은 헤드 후방 표면(88)으로부터 이격되는 핀 후방 표면(112) 그리고 핀 후방 표면(112)과 헤드 후방 표면(88) 사이에서 연장하는 핀 주연 표면(114)을 포함한다. 절삭 헤드(24)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래치(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헤드 래치(116)는 헤드 커플링 핀(110) 상에 위치되고, 그것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한다. 각각의 헤드 래치(116)는 핀 후방 표면(112)에 인접할 수 있다. 헤드 래치(116)의 목적은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공구 홀더(26)는 전방-후방 방향(DF, DR)으로 연장하는 홀더 길이방향 축(D)을 갖고, 공구 홀더(26)는 홀더 길이방향 축(D)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R)으로 회전가능하다. 공구 홀더(26)는 홀더 길이방향 축(D)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홀더 주연 표면(118)을 포함한다. 홀더 주연 표면(118)은 공구 홀더(26)의 전방 단부에 홀더 기부 표면(120)의 경계를 형성한다. 홀더 길이방향 축(D)은 홀더 기부 표면(120)을 통해 연장한다. 공구 홀더(26)는 절삭 헤드(24) 상의 상보성 표면에 인접하는, 대체로 전방 방향(DF)으로 향하는 홀더 기부 인접 표면(124)을 포함한다. 홀더 기부 인접 표면(124)은 홀더 기부 표면(120) 상에 위치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 기부 표면(120)은 평면형이고, 홀더 길이방향 축(D)에 직각일 수 있다.
공구 홀더(26)는 홀더 기부 표면(12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구동 부재(126)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126)는 공구 홀더(26)가 회전할 때에 절삭 토크(TC)를 절삭 헤드(24)로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된 이러한 비제한 예에서, 공구 홀더(26)는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정확하게 2개의 구동 부재(126)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동 부재(126)는 대향 구동 부재 회전방향 선행 및 후행 표면(128, 130) 그리고 구동 부재 회전방향 선행 및 후행 표면(128, 130) 사이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장하는 구동 부재 주연 표면(132)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구동 부재(126)는 구동 부재(126)를 전방 방향(DF)으로 축방향으로 한정하는 각각의 구동 부재 전방 표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 회전방향 선행 표면(128)은 절삭 헤드(24) 상의 각각의 상보성 표면과 피동 결합하는 구동 표면(136)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표면(136)은 홀더 기부 표면(120)의 축방향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공구 홀더(26)는 절삭 헤드(24)의 헤드 커플링 핀(110)의 수용을 위한, 홀더 커플링 구멍(138)을 포함한다. 홀더 커플링 구멍(138)은 홀더 기부 표면(120) 내에 리세스로서 형성되고, 후방 방향(DR)으로 홀더 길이방향 축(D)을 따라 연장한다. 홀더 커플링 구멍(138)은 원주방향으로 완전히 폐쇄되지 않을 수 있다. 공구 홀더(26)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 언더컷(undercut)(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홀더 언더컷(140)은 홀더 커플링 구멍(138) 내에 위치되고, 반경방향 외향으로 리세스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홀더 언더컷(140)은 홀더 기부 표면(120)에 인접할 수 있다. 홀더 언더컷(140)의 목적은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또 다른 양태는 위에서 한정된 것과 같은, 절삭 공구 키(22, 122), 및 절삭 헤드(24)를 포함하는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에 관한 것이다.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는 조립 위치와 분해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다. 분해 위치에서, 절삭 헤드(24)는 절삭 공구 키(22, 122)에 결합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의 조립 위치에서, 절삭 헤드(24)는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에 정합된다. 정합 위치에서, 각각의 절삭 아암(96)은 각각의 리셉터클 간극(62)을 통해 연장한다.
절삭 헤드 직경(DH)은 슬리브 직경(DS)보다 크다. 따라서, 절삭 헤드(24)는 슬리브 부재(46)에 의해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에 탄성적으로 클램핑된다. 실제로, 절삭 헤드(24)는 절삭 공구 키(22, 122) 상에 장착되고 절삭 헤드(24)와 마찰 결합하는 슬리브 내부 표면(78)을 갖는 가요성 슬리브 부재(46)에 의해 절삭 공구 키(22, 122)에 부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공구 키(22, 122)의 핸들 상부 표면(30)은 내부에 리세스로서 형성되는 핸들 지시 홈(144)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 지시 홈(144)은 직선형이고, 키 중심 축(A)과 교차할 수 있다. 핸들 지시 홈(144)은 절삭 헤드(24)의 배향에 대한 시각적 지시를 제공하여 회전 절삭 공구(20)의 조립을 돕도록 설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커플링 핀(110)은 후방 방향(DR)으로 후방 슬리브 개구(76)를 통해 그리고 그것을 넘어 연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또 다른 양태는 조립된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에 속하는 절삭 헤드(24)를 공구 홀더(26)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회전 절삭 공구(20)를 해제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는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고 각각의 절삭 아암(96)이 각각의 쌍의 인접 구동 부재(126)로부터 각도 면에서 오프셋되도록 공구 홀더(26)에 대해 위치된다.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는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와 결합할 때까지 공구 홀더(26)를 향해 변위되고, 그에 따라 예비-체결 부분을 한정한다(도 8a 참조). 각각의 절삭 아암(96)은 각도 면에서 각각의 쌍의 인접 구동 부재(126) 사이에 위치된다. 절삭 헤드 키(22, 122)는 이어서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에 체결될 때까지 회전 로킹 방향(RL)으로 회전된다. 체결 위치에서, 절삭 아암(96)과 구동 부재(126) 사이의 저항 접촉이 절삭 헤드 키(22, 122)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한다(도 8b 참조). 각각의 헤드 래치(116)가 각각의 홀더 언더컷(140)에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회전 절삭 공구(20)는 체결 위치에 있고, 절삭 헤드(24)는 공구 홀더(26)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된 것으로 간주된다. 절삭 공구 키(22, 122)는 이어서 회전 절삭 공구(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출되고, 절삭 헤드(24)는 절삭 공구 키(22, 122)로부터 분리된다. 절삭 헤드(24)는 각각의 헤드 래치(116)가 각각의 홀더 언더컷(140)에 의해 보유될 때에 공구 홀더(26)에 부착되어 유지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를 공구 홀더(26)에 대해 위치시키기 전에, 공구 홀더(26)의 전방 단부는 후방 슬리브 개구(76)에 위치될 수 있다. 안내 표면(80)은 후방 방향(DR)으로 홀더 주연 표면(118)을 따라 활주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헤드 중심 축(C) 및 공구 홀더 축(D)을 정렬시킨다. 헤드 커플링 핀(110)은 안내 표면(80)이 후방 방향(DR)으로 홀더 주연 표면(118)을 따라 활주하기 전에 홀더 커플링 구멍(138)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절삭 헤드(24)는 공구 홀더(26)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며, 부착된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는 상태로 절삭 공구 키(22, 122)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부착된다. 다음에, 상기 전방 단부의 일부가 가요성 슬리브 부재(46)의 후방 슬리브 개구(76) 내로 수용되고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의 전방 단부와 결합하도록 절삭 공구 키(22, 122)를 공구 홀더(26)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그 후에,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에 체결될 때까지 절삭 공구 키(22, 122)를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방 단부의 상기 부분이 가요성 슬리브 부재(46)의 후방 슬리브 개구(76) 내로 더 이상 수용되지 않을 때까지 절삭 공구 키(22, 122)를 공구 홀더(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절삭 공구 키(22, 122)는 또한 회전 절삭 공구(20)를 분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분해 중에, 슬리브 부재(46)는 유리하게는 절삭 공구 키(22, 122)가 회전 로킹 방향(RL)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절삭 헤드(24)가 절삭 공구 키(22, 122)를 따라 회전하도록 절삭 헤드(24)와 탄성적으로 클램핑된다.
슬리브 부재(46)의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은 회전 절삭 공구(20)를 조립할 때에 절삭 헤드(24)가 관찰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회전 절삭 공구(20)의 조립을 돕는다는 것이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특징이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원뿔형 표면(48) 또는 복수의 원통형 표면(50a, 50b)을 포함하는 슬리브 장착 부분(44)은 상이한 직경의 슬리브 부재(46)가 슬리브 장착 부분(44)에 부착되게 한다는 것이 본 출원의 특허 대상의 또 다른 특징이라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이것은 결국 상이한 크기의 회전 절삭 헤드(20)가 동일한 절삭 공구 키(22, 122)에 탄성적으로 클램핑되게 한다.

Claims (25)

  1. 절삭 공구 키(22, 122)이며,
    절삭 공구 키(22, 122)가 회전 로킹 방향(RL)으로 회전가능한 키 중심 축(A)을 갖고, 키 중심 축(A)은 전방(DF)-후방 방향(DR)으로 연장하고, 절삭 공구 키(22, 122)는,
    키 중심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절삭 공구 키(22, 122)의 회전을 부여하는, 핸들 구성요소(28);
    핸들 구성요소(28)에 부착되고 그것으로부터 후방 방향(DR)으로 키 중심 축(A)을 따라 연장하는 로킹 부재(40)로서, 로킹 부재(40)는 절삭 헤드(24)의 수용을 위해, 그 후방 단부에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을 포함하는, 로킹 부재; 및
    로킹 부재(40)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는 슬리브 부재(46)로서, 슬리브 부재(46)는 탄성적으로 가요성이고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을 원주방향으로 포위하는, 슬리브 부재
    를 포함하는, 절삭 공구 키(22, 122).
  2.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 부재(46)는 슬리브 내부 표면(78)에 의해 주연방향으로 한정되는, 슬리브 관통 공동(72)을 포함하고, 슬리브 관통 공동(72)은 적어도 후방 슬리브 개구(76)로 개방되고;
    슬리브 내부 표면(78)은 후방 슬리브 개구(76)로부터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을 향해 연장하는 안내 표면(80)을 포함하는, 절삭 공구 키(22, 12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리브 관통 공동(72)은 슬리브 부재(46)가 비굽힘 상태일 때에 원통형 형상을 갖는, 절삭 공구 키(22, 122).
  4.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 부재(46)는 실리콘으로 제조되는, 절삭 공구 키(22, 122).
  5.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 부재(46)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절삭 공구 키(22, 122).
  6. 제1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40)는 로킹 부재(40)의 전방 단부에서 핸들 구성요소(28)에 부착되는, 절삭 공구 키(22, 122).
  7. 제1항에 있어서, 핸들 구성요소(28) 및 로킹 부재(40)는 일체로 함께 형성되고 단일의 일편형 구성을 갖는, 절삭 공구 키(22, 122).
  8. 제1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40)는 핸들 구성요소(28)로부터 후방 방향(DR)으로 키 중심 축(A)을 따라 연장하는 원주방향 로킹 부재 주연 표면(42)을 포함하고;
    슬리브 부재(46)는 로킹 부재 주연 표면(42) 상에 위치되는 슬리브 장착 부분(44)에 부착되는, 절삭 공구 키(22, 122).
  9. 제8항에 있어서, 슬리브 장착 부분(44)은 후방 방향(DR)으로 키 중심 축(A)을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테이퍼 형성되는 원뿔형 표면(48)을 포함하는, 절삭 공구 키(22).
  10. 제8항에 있어서, 슬리브 장착 부분(44)은 제1 원통 직경(D1)을 갖는 제1 원통형 표면(50a)을 포함하고,
    제2 원통 직경(D2)을 갖고 제1 원통형 표면(50a)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 원통형 표면(50b)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원통 직경(D2)은 제1 원통 직경(D1)보다 큰, 절삭 공구 키(122).
  11. 제8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 주연 표면(42)은 후방 방향(DR)으로 향하는 축방향 정지 표면(52)을 포함하고;
    슬리브 부재(46)는 축방향 정지 표면(52)과 접촉하는, 절삭 공구 키(22, 122).
  12. 제1항에 있어서, 핸들 구성요소(28)는 핸들 상부 표면(30), 핸들 저부 표면(32) 그리고 그 사이에서 연장하는 핸들 주연 표면(34)을 포함하고;
    핸들 상부 표면(30) 및 핸들 저부 표면(32)은 평면형이고 키 중심 축(A)에 직각인, 절삭 공구 키(22, 122).
  13. 제12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40)는 핸들 저부 표면(32)의 반경방향 중심 부분으로부터 후방 방향(DR)으로 돌출하는, 절삭 공구 키(22, 122).
  14. 제12항에 있어서, 절삭 공구 키(22, 122)는 핸들 상부 표면(30)과 헤드 리셉터클 부분(58) 사이에서 연장하고 그것들로 개방되는 압출 관통 구멍(66)을 추가로 포함하는, 절삭 공구 키(22, 122).
  15.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이며,
    절삭 헤드(24); 및
    제1항에 따른 절삭 공구 키(22, 122)
    를 포함하고,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는 조립 위치와 분해 위치 사이에서 조정가능하고;
    조립 위치에서, 절삭 헤드(24)는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에 정합되고 슬리브 부재(46)에 의해 탄성적으로 클램핑되는,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
  16. 제15항에 있어서, 절삭 헤드(24)는 전방(DF)-후방 방향(DR)으로 연장하는 헤드 중심 축(C)을 갖고, 절삭 헤드(24)는 헤드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R)으로 회전가능하고, 절삭 헤드(24)는 헤드 중심 축(C)에 대해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절삭 아암(96)을 포함하고, 각각의 절삭 아암(96)은 대향 아암 회전방향 선행 및 후행 표면(98, 100), 및 그 사이에서 주연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암 주연 표면(102)을 포함하고;
    아암 주연 표면(102)은 절삭 헤드 직경(DH)을 한정하고;
    슬리브 부재(46)는 적어도 후방 슬리브 개구(76)로 개방되는 슬리브 관통 공동(72)을 포함하고, 슬리브 관통 공동(72)은 슬리브 내부 표면(78)에 의해 주연방향으로 한정되고 슬리브 부재가 비굽힘 상태일 때에 슬리브 직경(DS)을 갖고;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의 분해 위치에서,
    절삭 헤드(24)는 절삭 공구 키(22, 122)에 부착되지 않고;
    절삭 헤드 직경(DH)은 슬리브 직경(DS)보다 큰,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
  17. 제16항에 있어서, 슬리브 내부 표면(78)은 후방 슬리브 개구(76)로부터 헤드 리셉터클 부분(58)을 향해 연장하는 안내 표면(80)을 포함하는,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
  18. 제17항에 있어서, 절삭 헤드(24)는 헤드 후방 표면(88)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헤드 커플링 핀(110)을 포함하는 헤드 커플링 부분(84)을 포함하고;
    조립 위치에서, 헤드 커플링 핀(110)은 후방 방향(DR)으로 후방 슬리브 개구(76)를 통해 그리고 그것을 넘어 연장하는, 절삭 헤드 키 조립체(142).
  19. 헤드 중심 축(C)을 갖는 절삭 헤드(24)를 홀더 길이방향 축(D)을 갖는 공구 홀더(26)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는 방법이며, 절삭 헤드(24)는 절삭 공구 키(22, 122) 상에 해제가능하게 장착되고 절삭 헤드(24)와 마찰 결합하는 슬리브 내부 표면(78)을 갖는 가요성 슬리브 부재(46)에 의해 절삭 공구 키(22, 122)에 부착되고,
    상기 방법은
    절삭 헤드(24)가 부착된 절삭 공구 키(22, 122)를, 공구 홀더(26)의 전방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전방 단부의 일부가 가요성 슬리브 부재(46) 내로 수용되고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의 전방 단부와 결합하도록 절삭 공구 키(22, 122)를 공구 홀더(26)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절삭 헤드(24)가 공구 홀더(26)에 체결될 때까지 절삭 공구 키(22, 122)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방 단부의 상기 일부가 가요성 슬리브 부재(46) 내로 더 이상 수용되지 않을 때까지, 절삭 공구 키(22, 122)를 공구 홀더(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절삭 공구 키(22, 122)를 공구 홀더(26)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후에, 슬리브 내부 표면(78)을 공구 홀더(26)의 홀더 주연 표면(118)을 따라 활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87023378A 2016-02-22 2017-02-14 절삭 공구 키, 절삭 헤드 키 조립체 그리고 절삭 헤드를 공구 홀더에 부착하는 방법 KR102575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49,683 US10105762B2 (en) 2016-02-22 2016-02-22 Cutting tool key, cutting head key assembly and method of attaching cutting head to tool holder
US15/049,683 2016-02-22
PCT/IL2017/050184 WO2017145147A1 (en) 2016-02-22 2017-02-14 Cutting tool key, cutting head key assembly and method of attaching cutting head to tool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115A KR20180118115A (ko) 2018-10-30
KR102575849B1 true KR102575849B1 (ko) 2023-09-08

Family

ID=58398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378A KR102575849B1 (ko) 2016-02-22 2017-02-14 절삭 공구 키, 절삭 헤드 키 조립체 그리고 절삭 헤드를 공구 홀더에 부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105762B2 (ko)
EP (1) EP3419788B1 (ko)
JP (1) JP6882309B2 (ko)
KR (1) KR102575849B1 (ko)
CN (1) CN108698212B (ko)
BR (1) BR112018016492A2 (ko)
CA (1) CA3012308A1 (ko)
ES (1) ES2886078T3 (ko)
IL (1) IL260856B (ko)
PL (1) PL3419788T3 (ko)
PT (1) PT3419788T (ko)
RU (1) RU2723497C2 (ko)
TW (1) TWI705864B (ko)
WO (1) WO20171451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875B1 (ko) * 1997-05-29 2005-12-16 이스카 엘티디. 절삭 공구 조립체와 그에 사용되는 교환 가능한 절삭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789A (en) * 1970-02-24 1972-07-25 George E Wilson Fuse removal tool
SU1006069A1 (ru) * 1979-09-19 1983-03-23 Свердловский Филиал Специаль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Бюро "Оргпримтвердосплав" Отрезной резец
IL131260A (en) * 1999-08-05 2003-07-31 Iscar Ltd 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IL148475A (en) * 2002-03-04 2007-09-20 Gil Hecht Cutting Tools
US20080202295A1 (en) * 2007-02-27 2008-08-28 Kung-Ping Su Screw driving tool for repairing spectacles
USD591140S1 (en) 2007-09-10 2009-04-28 Iscar, Ltd. Key for a drill cutting head
DE102009017094A1 (de) * 2009-04-15 2010-10-21 Komet Group Gmbh Schneidwerkzeugeinstellsystem
CN202079552U (zh) * 2011-04-19 2011-12-21 哈尔滨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钢丝挡圈安装工具
CN103009071A (zh) * 2012-12-17 2013-04-03 厦门大学 一种刀具微调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875B1 (ko) * 1997-05-29 2005-12-16 이스카 엘티디. 절삭 공구 조립체와 그에 사용되는 교환 가능한 절삭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115A (ko) 2018-10-30
RU2018133475A (ru) 2020-03-24
US10105762B2 (en) 2018-10-23
TW201729927A (zh) 2017-09-01
PL3419788T3 (pl) 2021-12-13
WO2017145147A1 (en) 2017-08-31
BR112018016492A2 (pt) 2018-12-26
CN108698212A (zh) 2018-10-23
ES2886078T3 (es) 2021-12-16
PT3419788T (pt) 2021-09-09
JP6882309B2 (ja) 2021-06-02
RU2018133475A3 (ko) 2020-04-23
US20170239734A1 (en) 2017-08-24
CA3012308A1 (en) 2017-08-31
IL260856B (en) 2021-09-30
EP3419788A1 (en) 2019-01-02
RU2723497C2 (ru) 2020-06-11
CN108698212B (zh) 2020-08-25
JP2019505402A (ja) 2019-02-28
TWI705864B (zh) 2020-10-01
EP3419788B1 (en)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55632B (en) Method of assembling a power driver and a geared tool holder for use with a power driver
EP2406418B1 (en) Knitting tool
DE10249179B4 (de) Spannfutter mit Schnellwechselmechanismus
JP7203841B2 (ja) 切削ヘッド、および切削ヘッドが合わせピンによってシャンクに解放可能に締め付けられる回転切削工具
KR20120116969A (ko) 절삭 공구 클램핑 기구 및 이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20170015511A (ko) 안내 및 체결 오목부를 구비한 결합 핀을 갖는 절삭 헤드를 포함하는 회전 절삭 공구
US7849991B2 (en) Quick disconnect coupling
US10807211B2 (en) Rotary tool
WO2000009282A1 (en) Cutting head and tool holder coupling
CN105364595B (zh) 夹紧装置
CA2739293A1 (en) Tail piece for an extendable drill bit assembly having a reduced head
CN104364112B (zh) 抗拉的控制装置
JP4365928B2 (ja) 工具ホルダ
KR102575849B1 (ko) 절삭 공구 키, 절삭 헤드 키 조립체 그리고 절삭 헤드를 공구 홀더에 부착하는 방법
EP1411206A3 (en) Soil sampling system
US7083003B1 (en) Power tool with detachable drive end
PL200766B1 (pl) Urządzenie do przenoszenia momentu obrotowego
CN102384325A (zh) 带有夹紧螺杆的软管夹、夹紧螺杆和驱动夹紧螺杆的工具
IL164069A (en) Tool assembly
JP6106710B2 (ja) 柄部と作業部との連結構造
CN109202798A (zh) 螺丝刀
CN209737510U (zh) 倒装手动工具
US20240123582A1 (en) Double-ended quick-change tool bit holder assembly and quick-change bit driver modification
WO2023202803A1 (en) Ferrule for crutch, cane, walking stick or ski stick
JPH0653065U (ja) ドライバービット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