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016B1 -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 - Google Patents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016B1
KR102575016B1 KR1020230045364A KR20230045364A KR102575016B1 KR 102575016 B1 KR102575016 B1 KR 102575016B1 KR 1020230045364 A KR1020230045364 A KR 1020230045364A KR 20230045364 A KR20230045364 A KR 20230045364A KR 102575016 B1 KR102575016 B1 KR 10257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bar
bar
film
partition film
suppor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수
Original Assignee
한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수 filed Critical 한재수
Priority to KR1020230045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8Mechanical means for marking-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8Mechanical means for marking-out
    • A63C2019/085Fences; Nets;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1)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단이 천장(1)에 고정된 지지행거(10); 상단이 상기 지지행거(10)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펼쳐지는 상부구획막(20); 상기 상부구획막(2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부구획막(20)이 감겨지는 권취바(30); 상단이 상기 권취바(30)에 고정되며, 권취바(30)에서 하측으로 펼쳐지는 하부구획막(21); 상기 지지행거(10)에 설치되며 정역회전하는 모터(40); 및 상기 모터(40)에 축결된 구동기어(60)와, 상기 권취바(30)에 축결된 종동기어(70)와, 양단부가 상기 지지행거(10)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되고 구동기어(60)와 종동기어(70)를 지그재그로 경유하되 권취바(30)를 도르래 형태로 승강시키도록 장착된 체인(80)으로 이루어져서 권취바(30)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에 의해 권취바(30)가 회전됨에 따라 상부구획막(20) 및 하부구획막(21)이 권취바(30)에 함께 중첩되도록 감겨지면서 권취바(30)가 상승하거나, 상부구획막(20) 및 하부구획막(21)이 권취바(30)에서 풀려지면서 권취바(30)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이다.

Description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Divider for indoor space}
본 발명은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편리하며 구획막의 손상 및 처짐이 방지되고, 미관을 해치지 않고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등의 체육관에서 여러 학급이나 운동부가 서로 다른 종목, 형태의 시합이나 연습 등을 동시에 할 때, 실내공간을 나누어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히, 구기종목의 경우 공이 다른 학급 등이 활용하는 공간으로 들어가면 방해 뿐 아니라 공에 걸려 넘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천이나 판을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간을 구획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다수의 천이나 판은 사용할 때마다 운반해야 하고 다시 원위치 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체육관의 일부공간을 점유하여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천이나 판의 간격이 형성될 경우 그 사이로 공이 들어 올 수 있어 완전한 공간구획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33에서는 체육관의 천장을 가로지르도록 가이드와이어와 윈치와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에 네트의 상단부가 링에 의해 결합되며, 네트의 상단부 일측이 윈치와이어에 고정되어 윈치와이어에 의하여 네트가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펼쳐지거나 또는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전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체육관의 한쪽으로 접혀지게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네트는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구조이므로 네트의 중량으로 인해 가이드와이어에 처짐이 발생됨에 따라 네트가 원활히 펼쳐지거나 접혀지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으며, 네트를 펼치거나 접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네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체육관 내부에 수직하게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미관을 해치고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793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구획막이 감기면서 외부부품과의 충돌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구획막이 보다 신속하게 감기거나 풀려지면서 실내공간을 보다 신속하게 구획 및 구획해제할 수 있으며, 미관을 해치지 않고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천장(1)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단이 천장(1)에 고정된 지지행거(10); 상단이 상기 지지행거(10)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펼쳐지는 상부구획막(20); 상기 상부구획막(2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부구획막(20)이 감겨지는 권취바(30); 상단이 상기 권취바(30)에 고정되며, 권취바(30)에서 하측으로 펼쳐지는 하부구획막(21); 상기 지지행거(10)에 설치되며 정역회전하는 모터(40); 및 상기 모터(40)에 축결된 구동기어(60)와, 상기 권취바(30)에 축결된 종동기어(70)와, 양단부가 상기 지지행거(10)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되고 구동기어(60)와 종동기어(70)를 지그재그로 경유하되 권취바(30)를 도르래 형태로 승강시키도록 장착된 체인(80)으로 이루어져서 권취바(30)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에 의해 권취바(30)가 회전됨에 따라 상부구획막(20) 및 하부구획막(21)이 권취바(30)에 함께 중첩되도록 감겨지면서 권취바(30)가 상승하거나, 상부구획막(20) 및 하부구획막(21)이 권취바(30)에서 풀려지면서 권취바(30)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1)에 고정된 지지행거(10)에서 펼쳐지는 상부구획막(20)의 하단에 권취바(30)가 구비되고, 지지행거(10)에 설치된 모터(40)와 구동접속되어 상부구획막(20)이 권취바(30)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권취바(30)를 회전시키는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이 구비되어, 상부구획막(20)이 지지행거(10)로 직접 감기면서 지지행거(10)의 부속품들과 충돌되면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종래와 같이 가이드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아서 처짐이 발생되지 않고 실내공간의 양측에 구획막이 위치되지 않아서 공간활용도가 우수하고 미관을 해치는 것도 방지되면서 실내공간을 효과적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이 모터(40) 및 권취바(30)에 각각 축결된 구동기어(60) 및 종동기어(70)와, 이 구동 및 종동기어(60,70)를 지그재그 경유하여 양단부가 고정된 체인(80)으로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체인(80)에 의해 권취바(30)가 회전되면서 도르래 형태로 승강이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되어 상부구획막(20)이 갑자기 추락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권취바(30)에서 하측으로 하부구획막(21)이 펼쳐지므로, 권취바(30)의 승강거리가 단축되어 비교적 저렴한 저용량의 모터(40)를 사용하거나 모터(40)의 동력소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상부구획막(20)과 하부구획막(21)이 승강되는 권취바(30)에 함께 감기거나 풀려지므로 권취바(30)가 실내공간의 상하 중간부에서 상승 중간부까지 하강하면되기 때문에 상부구획막(20)과 하부구획막(21)이 보다 신속하게 승강되어 실내공간을 신속하게 구획 및 구획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권취바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작동상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는 천장(1)에 고정된 지지행거(10)와, 이 지지행거(10)에서 하측으로 펼쳐지는 상부구획막(20)과, 이 상부구획막(20)의 하단에 구비된 권취바(30)와, 상기 지지행거(10)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40)와, 이 모터(40)와 권취바(30)에 구동접속되어 권취바(30)를 회전시키는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행거(10)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져서 천장(1)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단이 천장(1)에 고정수단(11)에 의해 고정된다. 도 1과 같이, 지지행거(10)는 파이프나 H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수단(11)은 다수개의 수직바로 이루어져서 상단 및 하단이 천장(1) 및 지지행거(10)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상부구획막(20)은 상단이 지지행거(10)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펼쳐짐에 따라 실내공간을 구획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구획막(20)의 상단에는 고정파이프(22)가 구비되고, 이 고정파이프(22)가 지지행거(10)에 브래킷(23)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권취바(30)는 상부구획막(2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구획막(20)이 감겨지거나 풀려진다.
상기 모터(40)는 지지행거(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역회전한다. 도 2와 같이, 지지행거(10)의 일측에는 모터(4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대(12)가 구비되어, 모터(4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은 모터(40)와 권취바(30)에 구동접속되어 모터(40)의 정역회전에 따라 권취바(30)에 상부구획막(20)이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권취바(30)를 승강 및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는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이 모터(40)에 축결된 구동기어(60)와, 권취바(30)의 일단 중앙에 축결된 종동기어(70)와, 상기 구동기어(60)와 종동기어(70)를 지그재그로 경유하여 장착되며 양단부가 고정된 체인(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행거(10)에 구비된 모터설치대(12)의 일측에는 체인(80)이 수납되는 체인수납박스(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체인(80)의 일단이 체인수납박스(9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모터설치대(12)의 타측에 고정되며 체인(80)이 구동기어(60) 및 종동기어(70)를 지그재그로 경유함에 따라 체인(80)이 견인되거나 풀려지면 권취바(30)가 도르래 형태로 승강이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을 구획하려면, 도 3과 같이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6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체인(80)이 체인수납박스(90)에서 인출되면서 풀리고, 이로 인해 권취바(30)가 회전되어 권취바(30)에 감겨져 있던 상부구획막(20)이 펼쳐지면서 권취바(30)가 하강하여 상부구획막(20)에 의해 실내공간이 구획된다.
그리고 상부구획막(20)을 걷어서 실내공간을 구획하지 않고 사용하려면, 도 2 및 도 4와 같이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60)가 타측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구동체인(80)이 견인되어 체인수납박스(90)에 지그재그 형태로 수납되고, 이로 인해 권취바(30)가 회전되어 상부구획막(20)이 권취바(30)에 감겨지면서 권취바(30)가 상승되어 구획되었던 실내공간을 구획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는 권취바(30)에 하측으로 펼쳐지는 하부구획막(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하부구획막(21)의 하단에는 중량체(24)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권취바(30)가 회전됨에 따라 상부구획막(20)과 하부구획막(21)이 권취바(30)에 함께 감겨지거나 풀려지면서 권취바(30)가 승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권취바(30)가 하부구획막(21)으로 인해 실내공간의 바닥에서 상당한 높이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므로, 권취바(30)의 승강거리가 짧아져서 비교적 저렴한 저용량의 모터(40)를 사용하거나 모터(40)의 동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부구획막(20)과 하부구획막(21)이 권취바(30)의 상측 및 하측에서 동시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므로, 상부구획막(20)과 하부구획막(21)이 보다 신속하게 감겨지거나 풀려져서 실내공간을 보다 신속하게 구획 및 구획해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지지행거 20 : 상부구획막
21 : 하부구획막 30 : 권취바
40 : 모터 50 : 권취바승강회전수단
60 : 구동기어 70 : 종동기어
80 : 체인 90 : 체인수납박스

Claims (3)

  1. 천장(1)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상단이 천장(1)에 고정된 지지행거(10);
    상단이 상기 지지행거(10)에 고정되어 하측으로 펼쳐지는 상부구획막(20);
    상기 상부구획막(2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부구획막(20)이 감겨지는 권취바(30);
    상단이 상기 권취바(30)에 고정되며, 권취바(30)에서 하측으로 펼쳐지는 하부구획막(21);
    상기 지지행거(10)에 설치되며 정역회전하는 모터(40); 및
    상기 모터(40)에 축결된 구동기어(60)와, 상기 권취바(30)에 축결된 종동기어(70)와, 양단부가 상기 지지행거(10)의 일측 및 타측에 고정되고 구동기어(60)와 종동기어(70)를 지그재그로 경유하되 권취바(30)를 도르래 형태로 승강시키도록 장착된 체인(80)으로 이루어져서 권취바(30)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바승강회전수단(50)에 의해 권취바(30)가 회전됨에 따라 상부구획막(20) 및 하부구획막(21)이 권취바(30)에 함께 중첩되도록 감겨지면서 권취바(30)가 상승하거나, 상부구획막(20) 및 하부구획막(21)이 권취바(30)에서 풀려지면서 권취바(30)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


  2. 삭제
  3. 삭제
KR1020230045364A 2023-04-06 2023-04-06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 KR10257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364A KR102575016B1 (ko) 2023-04-06 2023-04-06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364A KR102575016B1 (ko) 2023-04-06 2023-04-06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016B1 true KR102575016B1 (ko) 2023-09-05

Family

ID=8797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364A KR102575016B1 (ko) 2023-04-06 2023-04-06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0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60348A1 (de) * 1972-12-09 1974-06-20 Nijmegen Metaal Nv Sonnenschutzrollo
US5524693A (en) * 1993-05-24 1996-06-11 Hamilton; Roy S. Flexible partition
JP2002017933A (ja) 2000-05-02 2002-01-22 Higashida Shoko Kk 体育館等の室内のネット吊張り方法とその装置
KR100857817B1 (ko) * 2007-07-26 2008-09-10 현대체육산업(주) 공간 분할용 네트장치
US20080264582A1 (en) * 2004-03-17 2008-10-30 Benoit Coenraets Roller Curtain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60348A1 (de) * 1972-12-09 1974-06-20 Nijmegen Metaal Nv Sonnenschutzrollo
DE2260348C3 (de) * 1972-12-09 1978-08-10 Nijmegen Metaal B.V., Nijmegen (Niederlande) Sonnenschutzrollo
US5524693A (en) * 1993-05-24 1996-06-11 Hamilton; Roy S. Flexible partition
JP2002017933A (ja) 2000-05-02 2002-01-22 Higashida Shoko Kk 体育館等の室内のネット吊張り方法とその装置
US20080264582A1 (en) * 2004-03-17 2008-10-30 Benoit Coenraets Roller Curtain Device
KR100857817B1 (ko) * 2007-07-26 2008-09-10 현대체육산업(주) 공간 분할용 네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0473A (en) Telescoping tower
US6491136B2 (en)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KR101829014B1 (ko) 천장형 조하식 농구대
KR102575016B1 (ko) 실내공간 구획용 디바이더
US6571914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place work
EP1509473A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JP2009074322A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KR20090075475A (ko) 주차설비
KR20020075357A (ko) 조명장치
CN111764706A (zh) 一种舞台折叠台口
KR101800151B1 (ko) 실내공간분할용 전동식 칸막이장치
JP3214624U (ja) 車載式の道路点検作業機
JP3754047B2 (ja) 空間可変装置
CN219509334U (zh) 可收展的无人机起降平台、无人机起降装置及无人机机库
PL195936B1 (pl) Trybuna przewoźna
KR101792567B1 (ko)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
CN111795281A (zh) 一种交通信息采集用便携式备用操作台
JP5094304B2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KR102470441B1 (ko)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JP3841782B2 (ja) 空間可変装置
US3864761A (en) Withdrawable cover for a swimming pool
JP3529185B2 (ja) 空間可変方法及び空間可変装置
JPH08254033A (ja) 空間可変方法及び空間可変装置
CN220801877U (zh) 一种自动折叠的健身器材
JP3846855B2 (ja) 音響反射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