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441B1 -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441B1
KR102470441B1 KR1020220031128A KR20220031128A KR102470441B1 KR 102470441 B1 KR102470441 B1 KR 102470441B1 KR 1020220031128 A KR1020220031128 A KR 1020220031128A KR 20220031128 A KR20220031128 A KR 20220031128A KR 102470441 B1 KR102470441 B1 KR 10247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fixed
bobbin
indoor spac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훈
노혁주
Original Assignee
노정훈
노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훈, 노혁주 filed Critical 노정훈
Priority to KR102022003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천장에 고정된 이동레일체와; 상기 이동레일체에 고정된 고정블럭체와; 상기 고정블럭체의 하부에 형성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상부는 상기 고정블럭체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보빈에 감기고, 하부는 상기 칸막이의 중간부에 구동모터가 구비된 구동보빈에 감겨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는 상,하부가 각각 고정보빈과 구동보빈의 상,하부에 연결된 안전벨트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하부가 각각 고정보빈과 구동보빈의 상,하부에 연결된 모터지지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육관 등 실내 공간을 원하는 비율로 분할하여 원활한 행사 및 체육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칸막이가 낙하하여 다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비교적 적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Electric partition device for dividing indoor space}
본 발명은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육관 등 실내공간의 천장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하여 실내의 분할 공간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보빈을 회전하여 칸막이를 감는데 소요되는 모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등의 체육관에서 여러 학급이나 운동부가 서로 다른 종목, 형태의 시합이나 연습 등을 동시에 하는 경우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나누어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히, 구기종목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종목 또는 동일 종목의 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타 학급이 사용하는 공간에 공이 넘어가는 경우 상기 타 학급의 수업방해 및 공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발생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림막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가림막은 천이나 판으로 이루어진 일정 사이즈로 구성되어, 상기 가림막을 일일이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공간을 분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가림막을 사용해 공간을 분할하는 경우에는, 공간분할 시 마다 일일이 가림막을 운반하고, 운동 이후에 상기 가림막을 원위치 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상기 다수개의 가림막이 체육관의 실내공간 일부를 점유하고 있어 공간활용도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등록특허 제10-1792567호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가 제안되었다. 종래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는 체육관의 천장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권취되는 다수의 릴을 포함하는 와이어 권취부; 상기 와이어 권취부에 상단부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육관의 실내공간을 분할하도록 펼쳐지는 스크린 부재; 및 상기 릴에 상단부가 고정되어 릴에 권취되고, 상기 스크린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스크린 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반복적으로 관통하면서 스크린의 하단부로 연장되어 스크린 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다수의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 권취부와 체육관의 천장 사이에 구성되되, 와이어 권취부의 이동을 통해 스크린 부재에 의해 분할되는 두 공간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이스트 타입의 작동기구가 적용된 이동부가 구비되어 디바이더가 이동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디바이더에 의해 분할되는 공간의 비율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릴과 모터가 스크린 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스크린를 끌어올리는 형태로 스크린이 비교적 넓고 중량일 경우 모터에 과부하가 걸릴 우려가 있으며 대용량의 모터를 구비하여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릴 등이 끊어질 경우 스크린 부재가 떨어져 사용자가 다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칸막이를 전동식으로 이동하여 공간분할 비율을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칸막이가 감기는 구동보빈이 칸막이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모터지지부가 구동보빈을 지지하여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승강되는 구동보빈이 모터의 고장 등으로 급격히 풀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에 고정된 이동레일체와; 상기 이동레일체에 고정된 고정블럭체와; 상기 고정블럭체의 하부에 형성된 칸막이를 포함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상부는 상기 고정블럭체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보빈에 감기고, 하부는 상기 칸막이의 중간부에 구동모터가 구비된 구동보빈에 감겨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칸막이의 일측면에는 칸막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보빈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보빈의 상부에 연결되는 모터지지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모터지지부는 상기 칸막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레일체는 하부에 레일이 형성된 레일본체와, 레일본체의 내측에 소정간격 이격된 스프로켓에 타원형으로 형성된 체인 및 하나의 스프로켓과 축연결된 체인구동모터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체는 상기 이동레일체와 연결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양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는 상부가 상기 고정보빈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구동보빈에 고정된 상부칸막이와, 상부가 상기 구동보빈에 고정되어 연장되고 하부에는 중량체가 형성된 하부칸막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칸막이의 타측면에는 칸막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보빈에 감겨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보빈에 감겨 연결되는 안전벨트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전벨트는 일단이 상기 고정보빈에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보빈을 감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모터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고정보빈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이 구동모터가 구비된 구동보빈의 상부에 고정되는 구동보빈의 승강에 따라 축소되고 펴지며, 상기 모터지지부는 복수개의 단위지지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단위지지구는 중앙부에 중심축으로 연결되어 2개의 회동바가 'X'형태로 구비되며, 각 단위지지구의 단부가 상,하로 겹쳐져 회동축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육관 등 실내 공간을 원하는 비율로 분할하여 원활한 행사 및 체육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칸막이가 낙하하여 다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비교적 적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의 펼친 상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의 접힌 상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의 펼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의 접힌 상태의 사용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의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이하 '칸막이 장치'라 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칸막이 장치(1)는 구동보빈(40)의 회전에 의해 감기고 풀리는 장막 형태로 체육관 등 실내의 천장에서 전동 또는 수동으로 이동하여 분할 공간의 비율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칸막이 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천장에 고정된 이동레일체(10)와; 상기 이동레일체(10)에 고정된 고정블럭체(20)와; 상기 고정블럭체(20)의 하부에 형성된 칸막이(50)를 포함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50)의 상부는 상기 고정블럭체(2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보빈(30)에 감기고, 하부는 상기 칸막이(50)의 중간부에 구동모터(41)가 구비된 구동보빈(40)에 감겨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칸막이(50)의 일측면에는 칸막이(5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보빈(3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보빈(40)의 상부에 연결되는 모터지지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칸막이(50)는 이동레일체(10)를 따라 이동되는 고정블럭체(20)와 함께 이동되어 분할되는 공간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으며, 칸막이(50)의 중간부에 칸막이(50)가 감기는 구동보빈(40)이 형성되어 칸막이(50)를 풀고 감는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구동보빈(4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1)를 비교적 작은 용량으로 구비할 수 있다. 즉, 보다 적은 힘으로 구동보빈(40)를 회전하여 칸막이 장치(1)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모터지지부(60)는 상기 칸막이(5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만 형성될 경우 구동모터(41)가 구비된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각 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레일체(10)는 하부에 레일(12)이 형성된 레일본체(11)와, 레일본체(11)의 내측에 소정간격 이격된 스프로켓(13)에 타원형으로 형성된 체인(14) 및 하나의 스프로켓(13)과 축연결된 체인구동모터(17)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체(20)는 상기 이동레일체(10)와 연결되는 고정구(21)와 상기 고정구(21)의 양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레일(12)에 안착되는 롤러(2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레일본체(11)의 상부에는 천장에 고정된 복수개의 레일고정구(2)와 결합되는 레일연결구(16)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고정구(2)와 레일연결구(16)는 각각 수직, 수평판이 형성된 'ㅗ'형상으로 각 수직판이 겹쳐져 볼트, 너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레일고정구(2)와 레일연결구(16)는 각각 천장과 레일본체(11)의 상부에 볼트 및 너트 결합 또는 고정못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본체(11)의 하부 중간에는 상기 고정블럭체(20)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구(15)가 형성되고 개방구(15)의 양측으로 'U'형태의 레일(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12)의 상부에 상호 이격된 2개의 스프로켓(13)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로켓(13)에 치합되는 체인(14)이 구비되며, 2개의 스프로켓(13) 중 어느 하나에는 체인구동모터(17)가 축결합되어 하나의 스프로켓(1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체인(14)이 구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체(20)는 상기 레일본체(11)의 개방구(15)를 통해 삽입되어 체인(14)에 고정되는 'ㅗ'형상의 판체로 형성된 고정구(21)와 상기 고정구(21)의 상부 양측에 축결합되어 레일(12)에 안착되는 롤러(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21)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롤러(22)는 상기 고정구(21)에 복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구(21)는 상기 고정보빈(30)의 상부에 이격되어 고정보빈(30)과 볼트, 너트 결합 형태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지지대(8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레일고정구(2) 및 레일연결구(16)는 칸막이(50)의 폭에 따라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인구동모터(17)는 양방향 모터로 구비되어 리모컨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칸막이(50)는 상부가 상기 고정보빈(30)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구동보빈(40)에 고정된 상부칸막이(51)와, 상부가 상기 구동보빈(40)에 고정되어 연장되고 하부에는 중량체(53)가 형성된 하부칸막이(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칸막이(51)는 상부가 고정보빈(30)을 감싸 접착제나 고정못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보빈(40)은 원통체로 형성되며, 상호 대응되는 방향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상부고정홈(42)과 하부고정홈(43)이 형성되어 상부고정홈(42)에 상기 상부칸막이(51)의 하부가 고정되고, 하부고정홈(43)에 상기 하부칸막이(52)의 상부가 고정되어 구동보빈(40)의 회전에 의해 상부칸막이(51)와 하부칸막이(52)가 동시에 겹쳐져 구동보빈(40)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홈(42)과 하부고정홈(43)에는 각각 상부칸막이(51)의 하부와 하부칸막이(52)의 상부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 심지(44)가 끼움 끼움결합되도록 입구가 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심지(44)를 억지끼움하거나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칸막이(51)와 하부칸막이(52)는 천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부칸막이(51)와 하부칸막이(52) 중 어느 하나는 망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보빈(4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보강대(4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보빈(4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41)가 축결합되며, 구동모터(41)의 모터몸체(41a)가 구동보빈(40)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고 모터축(41b)이 상기 모터지지부(6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부피가 큰 모터몸체(41a)가 구동보빈(40)을 지지하고 상기 모터지지부(60)는 모터축(41b)을 지지하여 구동보빈(40)의 회전이 원활하고 모터축(41b)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보다 작은용량(적은힘)의 모터로 비교적 대형의 칸막이(50)를 단시간에 감고 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50)의 타측면에는 칸막이(5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보빈(30)에 감겨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보빈(40)에 감겨 연결되는 안전벨트(7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전벨트(70)는 일단이 상기 고정보빈(30)에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보빈(40)을 감아 지지한다.
이러한 안전벨트(70)는 모터의 고장이나 칸막이(50)의 일부가 찢어지는 등의 원인으로 구동보빈(4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일예로 일단은 상기 고정보빈(30)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되어 구동보빈(4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감아 도르레와 같이 타단이 일정부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구동보빈(40)이 최대로 하강한 상태에서 안전벨트(70)에 지지되도록 고정되고, 타단은 별도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보빈에 감겨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과 동기화되어 구동모터(41)를 지지한 상태로 승강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모터지지부(60)는, 상단이 상기 고정보빈(3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이 구동모터(41)가 구비된 구동보빈(40)의 상부에 고정되는 구동보빈(40)의 승강에 따라 축소되고 펴지며, 상기 모터지지부(60)는 복수개의 단위지지구(61)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단위지지구(61)는 중앙부에 중심축(61b)으로 연결되어 2개의 회동바(61a)가 'X'형태로 구비되며, 각 단위지지구(61)의 단부가 상,하로 겹쳐져 회동축(62)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상부칸막이(5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모터지지부(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칸막이(51)의 양측에 모터지지부(60)가 구비되고, 하나의 모터지지부(60)와 인접하여 상기 안전벨트(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구(61)의 회동바(61a)는 가위와 같이 중앙부가 겹쳐져 교차되어 교차부분에 중심축(61b)을 중심으로 자유 회동되며, 복수개의 단위지지구(61)가 상하로 배열되며 이때, 이웃하는 단위지지구(61)의 회동바(61a)와 대응되는 단부가 겹쳐져 회동축(62)에 의해 자유 회동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모터의 축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최상단 및 최하단의 단위지지구(61)의 중심축(61b)은 각각 고정보빈(30) 및 구동모터(41)의 모터축(41b)에 지지구에 의해 고정되는 등 공지의 고정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칸막이 장치(1)는 체육관 등 실내 공간을 원하는 비율로 분할하여 원활한 행사 및 체육활동을 진행할 수 있으며, 비교적 중량의 구동보빈(40) 등이 낙하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칸막이(50)의 중간부에 형성된 구동보빈(40)을 회전하는 구동모터(41)는 비교적 작은 용량으로도 중량의 구동보빈(40)을 원활하게 회전시켜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칸막이 장치 10: 이동레일체
11: 레일본체 12: 레일
13: 스프로켓 14: 체인
15: 개방구 16: 레일연결구
20: 고정블럭체 21: 고정구
22: 롤러 30: 고정보빈
40: 구동보빈 41: 구동모터
42: 상부고정홈 43: 하부고정홈
44: 심지 45: 보강대
50: 칸막이 51: 상부칸막이
52: 하부칸막이 53: 중량체
60: 모터지지부 61: 단위지지구
62: 회동축 70: 안전벨트
80: 지지대

Claims (7)

  1. 천장에 고정된 이동레일체(10)와; 상기 이동레일체(10)에 고정된 고정블럭체(20)와; 상기 고정블럭체(20)의 하부에 형성된 칸막이(50)를 포함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50)의 상부는 상기 고정블럭체(2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보빈(30)에 감기고, 하부는 상기 칸막이(50)의 중간부에 구동모터(41)가 구비된 구동보빈(40)에 감겨 하부로 연장되며,
    상기 칸막이(50)의 일측면에는 칸막이(5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보빈(3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보빈(40)의 상부에 연결되는 모터지지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지지부(60)는 상기 칸막이(5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체(10)는 하부에 레일(12)이 형성된 레일본체(11)와, 레일본체(11)의 내측에 소정간격 이격된 스프로켓(13)에 타원형으로 형성된 체인(14) 및 하나의 스프로켓(13)과 축연결된 체인구동모터(17)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체(20)는 상기 이동레일체(10)와 연결되는 고정구(21)와 상기 고정구(21)의 양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레일(12)에 안착되는 롤러(22)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50)는 상부가 상기 고정보빈(30)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구동보빈(40)에 고정된 상부칸막이(51)와, 상부가 상기 구동보빈(40)에 고정되어 연장되고 하부에는 중량체(53)가 형성된 하부칸막이(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50)의 타측면에는 칸막이(5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고정보빈(30)에 감겨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구동보빈(40)에 감겨 연결되는 안전벨트(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70)는 일단이 상기 고정보빈(30)에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보빈(40)을 감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지지부(60)는,
    상단이 상기 고정보빈(30)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이 구동모터(41)가 구비된 구동보빈(40)의 상부에 고정되는 구동보빈(40)의 승강에 따라 축소되고 펴지며,
    상기 모터지지부(60)는 복수개의 단위지지구(61)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단위지지구(61)는 중앙부에 중심축(61b)으로 연결되어 2개의 회동바(61a)가 'X'형태로 구비되며, 각 단위지지구(61)의 단부가 상,하로 겹쳐져 회동축(6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KR1020220031128A 2022-03-14 2022-03-14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KR102470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128A KR102470441B1 (ko) 2022-03-14 2022-03-14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128A KR102470441B1 (ko) 2022-03-14 2022-03-14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441B1 true KR102470441B1 (ko) 2022-11-28

Family

ID=8423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128A KR102470441B1 (ko) 2022-03-14 2022-03-14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4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2831A1 (en) * 1998-08-27 2000-03-09 Robert Teubner Room subdivision apparatus and system for creating work spaces and offices
KR101792567B1 (ko) * 2017-05-19 2017-11-02 현대체육산업(주)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
KR101800151B1 (ko) * 2017-06-09 2017-11-22 노정훈 실내공간분할용 전동식 칸막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2831A1 (en) * 1998-08-27 2000-03-09 Robert Teubner Room subdivision apparatus and system for creating work spaces and offices
KR101792567B1 (ko) * 2017-05-19 2017-11-02 현대체육산업(주)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
KR101800151B1 (ko) * 2017-06-09 2017-11-22 노정훈 실내공간분할용 전동식 칸막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0063A (en) Roller curtain
US10451215B2 (en) Extendable/retractable support column
EP1201163A1 (de) Liftbett mit Gurtantrieb
US20050241779A1 (en) Retractable self rolling blind, awning or cover apparatus
GB2262760A (en) Roll-up industrial door
DE3827300A1 (de) Vertikal bewegbares bett
US5559411A (en) Nonfriction power system for extending/retracting a structure
CN105593450B (zh) 开口部分的打开/关闭设备
KR102470441B1 (ko) 실내공간 분할용 전동식 칸막이 장치
CN107654118A (zh) 一种建筑施工用施工防护栅栏
US3744544A (en) Outside venetian blind construction
EP0460521A2 (de) Rolladen
DE2529729A1 (de) Vorrichtung zum ueberdecken einer automatisch arbeitenden arbeitsmaschine
US6935398B2 (en) Operating unit for a window covering
JP2007002607A (ja)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DE4021264C2 (de) Schrägmarkise
JP6339414B2 (ja) 巻き取り式タープ
KR100857817B1 (ko) 공간 분할용 네트장치
KR101800151B1 (ko) 실내공간분할용 전동식 칸막이장치
CN111764706A (zh) 一种舞台折叠台口
KR101792567B1 (ko)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
EP1508664A1 (de) Verfahren zum unabhängigen Einstellen der Neigung der Lamellen zweier einen Behang bildender Lamellengruppen und Lamellenstor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TWI657777B (zh) 用於無外露拉繩式窗簾之雙捲簧式捲繩器
KR101103986B1 (ko) 다단 접철 타입의 회전형 현수막 게시대
KR200332568Y1 (ko) 라이트 폴 인출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