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938B1 -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938B1
KR102574938B1 KR1020210008164A KR20210008164A KR102574938B1 KR 102574938 B1 KR102574938 B1 KR 102574938B1 KR 1020210008164 A KR1020210008164 A KR 1020210008164A KR 20210008164 A KR20210008164 A KR 20210008164A KR 102574938 B1 KR102574938 B1 KR 102574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parts
dialysis patients
sh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709A (ko
Inventor
류왕보
최은정
주종문
임영진
Original Assignee
라이프 샐러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프 샐러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프 샐러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9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 A23C13/14Cream preparations containing milk products or non-fat milk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분리유청단백, 분말유크림, MCT 오일 분말, 쌀 분말, 참마 분말, 신천초 추출물 분말, 비타민 믹스, 비타민 D, 소금, 및 비트 분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을 만족하면서도 쌀에 의한 관능 향상 및 포만감을 부여하고, 신선초 추출물 분말에 의한 항산화 효과 등이 제공되며, 분말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여 외출 시에 편리하게 식단 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Shake powder for kidney dialysis patients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for}
본 발명은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네랄 함량이 조절되고 관능이 우수한 쌀 분말을 포함하는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신체에서 신장은 아래쪽 배의 등쪽에 쌍으로 위치하며 노폐물을 배설하고 산염기 및 전해질 대사 등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중요한 장기 중 하나이다. 양쪽 신장의 총 무게는 전체 체중의 약 0.4%에 지나지 않지만 신장의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소실되면 생명을 유지하기 어렵다. 생명의 유지에 매우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총 심박출량의 20~25%가 신장으로 흘러 들어간다. 신장의 기능을 담당하는 단위 구조로서 네프론이 있으며 이는 소변을 생산하는 데 있어 기본 단위가 된다.
신장의 주된 기능은 체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음식물의 대사과정에서 유래되는 노폐물과 체내로 들어온 이물질 등을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설하는 것이며, 이외에도 체액기능, 혈압유지, 적혈구 수 조절 및 성장인자 합성 등의 많은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신장은 배설, 조절 및 내분비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면 혈액 중의 노폐물(요소, 요산, 크레아티닌, 황산염, 및 유기산)의 양이 증가하고, 체내 수분 및 전해질의 배설 장애로 균형을 잃게 된다. 이 질환으로 인한 증상으로는, 식욕부진, 피로감, 구토증 및 두통 등의 만성증상과 부종, 혈압상승 등의 중증의 증상들이 동반되며, 질병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요독증으로 생명을 잃게 된다.
신장질환의 치료방법으로는, (1) 유지 또는 고식적 요법(conservative treatment), (2) 혈액투석(hemodialysis), (3)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또는 (4) 신장이식(renal transplantation) 등이 있는데, 각각의 치료방법에 따라 영양공급의 기준이 달라진다.
신장질환에서는 많은 대사이상과 환자의 쇠약(衰弱)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영양요법(nutrition therapy)은 신장병 치료에서 대단히 중요한 일면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신장질환시에는 영양소의 대사 이상 또는 대사산물에 의한 이상이 많이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이들 이상에는 요소, 요산, 및 크레아티닌 등의 단백질 대사산물과 나트륨(Na), 칼륨(K) 및 인(P) 등의 신장배설기능이 감소되고, 칼슘(Ca), 철(Fe)과 같은 무기질의 장관흡수도 감소된다. 또한, 신장질환 환자는 쇠약하거나, 영양불량인 경우가 빈번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소모성질환(chronic debilitating illness), 요독증 및 감정적 의기소침 등에 의해 발생되는 식욕부진(anorexia)으로 인하여, 식사섭취량이 불충분하게 되어 필요한 열량이 부족하다;
둘째, 심한 이화장애(catabolic illness)가 합병된다;
셋째, 검사를 위한 채혈과 잠혈성 위장출혈 등으로 인하여 체내 단백질이 결핍된다;
넷째, 아미노산, 단백질, 포도당 및 수용성비타민 등의 생물활성물질의 손실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신장질환자의 대사장애, 쇠약 및 영양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영양치료의 노력은 20세기 초반부터 체계적으로 시도되어, 고생물가의 단백질 식품과 전분 제품으로 신장질환 환자의 에너지 섭취를 권장한 예를 지오바네티(Giovannetti, S.) 등이 보고하였다(참조: Giovannetti, S. et al., Lancet, 1:1000(1964)). 한편, 올드리찌(Oldrizzi, L.) 등은 급·만성신부전 환자의 치료에서 영양관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섭취하는 질소원의 양과 질을 제한함으로써 신장질환의 악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참조: L. Oldrizzi. et al., Nutritional in Clinical Practice. 9:1(1994)).
이에 신부전 환자는 신기능 정도 및 투석 여부에 따라 병의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저염-저칼륨-저단백-저인의 식단 정보를 토대로 가정에서 영양요소를 온전히 통제하여 조리하는 실정으로 이는 매우 번거롭고 어려우며 특히 가족들의 식사와 별도로 만들어야 하는 애로가 큰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도시락 형태로 환자식을 조리하여 배달하는 서비스가 나왔으나 3끼를 모두 구매하여 해결하기에 비용부담이 크며, 개인의 음식 취향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데에서 오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외출이나 여행시에 외부에서 영양을 고려하여 구매할 수 있는 음식이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액상 형태의 신부전증 환자용 음식이 제조 및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0266799호 및 제10-266798호는 100g당 총 200㎉의 열량을 가지며, 3대 영양소(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열량비율이 단백질 4 내지 14 중량 %, 지방 22.5 내지 31.5 중량 % 및 탄수화물 62 내지 74 중량 %이고, 비타민류와 무기질류는 한국인 성인 1일 권장량의 5 내지 15 중량 %이고, 단순불포화지방산에 대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율(P/M)이 1이하이고, 유당을 함유하지 않는 신장병 환자를 위한 영양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조성물은 액상 형태로서 열량 및 영양소 비율만을 중시하고 관능에 대한 고려 및 투석과 비투석 신장 질환 환자에 영양 고려가 전혀 없어 투석이나 비투석 신장 질환 환자에게 외면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액상형 제품이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않고, 덱스트린 등이 함유되어 있어 단맛이 너무 강하여 신장 질환 환자에게 부담이 되며, 섭취 후 설사 증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투석 또는 비투석 신장 질환 환자의 맞춤형 영양 식단을 고려하여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덱스트린이 함유되지 않아 관능이 우수하고 섭취 후 설사 등의 부작용이 없는 신장 환자용 간편식을 제조하고자 예의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신장 투석 환자가 간편하게 식사 대용으로 섭취할 수 있는 쉐이크 파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쉐이크 파우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분리유청단백, 분말유크림, MCT 오일 분말, 쌀 분말, 참마 분말, 신천초 추출물 분말, 비타민 믹스, 비타민 D, 소금, 및 비트 분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 분말유크림 50 내지 52 중량부, MCT 오일 분말 99 내지 101 중량부, 쌀 분말 220 내지 222 중량부, 참마 분말 3.0 내지 3.5 중량부, 신선초 추출물 분말 1.9 내지 2.1 중량부, 비타민 믹스 1.2 내지 1.4 중량부, 비타민 D 0.00007 중량부, 소금 0.3 내지 0.4 중량부, 및 비트 분말 0.6 내지 0.7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분 및 함량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를 1일 3회 섭취하는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공지한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영양소 권장량을 기준으로 을 만족한다. 즉, 상기 성분 및 함량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를 1일 3회 섭취하는 경우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인 열량 2,000 ~ 2,200 Kcal, 단백질 72 내지 84 g, 나트륨 2,000 ~ 2,500 mg, 칼륨 2,340 mg 이하, 칼슘 1,200 ~ 1,600 mg, 인 800 mg 이하를 만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신장 투석은 급성 신부전증 및 만성 신부전증으로 인하여 혈액투석(hemodialysis) 또는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을 말하며, 신장 투석 환자는 혈액투석(hemodialysis) 또는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을 1회 이상 정기적 및 비정기적으로 행해지는 환자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쉐이크 파우더는 분말화된 식사 대용식으로 물과 혼합하여 1회 145g씩 1일 3회 섭취만으로도 상기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지한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권장량(열량 및 영양소)을 만족하는 파우더(powder)를 말한다. 상기 쉐이크 파우더는 각 성분들이 분말화,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크기가 100 메쉬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메쉬,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메쉬인 분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에 쉽게 용해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의 구성 성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사 대용 간편식에서, 쌀 분말은 도정된 쌀을 일정 시간 수침한 후 유동층 건조 방법에 의하여 건조 및 분쇄하여 분말화된 것을 말한다.
상기 일정 시간 수침은 도정된 쌀을 3.5 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2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4 시간 동안 유속이 10 내지 30 cm/s,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8 cm/s,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cm/s,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cm/s,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cm/s인 깨끗한 물에 충분히 담궈 놓은 것을 말한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상기 수침 시간이 0시간, 4시간, 8시간, 및 10시간인 경우 4시간 이후부터 쌀에 함유된 인 및 칼륨 등의 미네랄이 충분히 배출된다.
다른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상기 수침 시간이 4시간인 상태에서 유속이 10 cm/s 미만인 경우 쌀에 함유된 인 및 칼륨 등의 미네랄이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수침 시간이 30 cm/s 초과인 경우 쌀에 함유된 인 및 칼륨 등의 미네랄의 배출 속도가 더 증가하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상기 유동층 건조 방법은 건조 목적물을 하부에서 열풍으로 부양시키면서 건조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정된 쌀, 특히 도정된 골든퀸 3호 쌀을 하부에서 열풍,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열풍, 보다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52℃ 열풍에서 쌀 1kg 기준으로 50 내지 70분,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58 내지 62분 동안 건조하는 것을 말한다. 최종 건조된 쌀의 수분함량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이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수침된 쌀을 자연건조, 온도를 달리한 열풍건조, 동결건조, 냉풍건조, 및 온도를 달리한 유동층 건조를 한 결과, 유동층 건조, 특히 상기 온도 범위에서 유도층 건조를 한 경우 외관 및 향이 우수하고, 고소한 맛이 있고, 쓴맛은 거의 없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하였다.
상기 건조된 쌀의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100 메쉬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메쉬,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메쉬이며, 상기 범위에 해당하는 입자 크기를 가져야만 물에 용해가 쉽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250 메쉬 초과의 입자 크기인 경우 입자 크기에 비하여 용해 용이성의 장점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상술한 쌀 분말은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20 내지 222 중량부로 함유한다. 이러한 함량 범위에서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을 맞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쌀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쉐이크 파우더를 물에 용해하여 음용 시 종래 덱스트린 등이 함유된 액상 제품과 비교하여 단맛이 약간 있으면서 신장 투석 환자에게 포만감 및 음식 섭취에 대한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신선초 추출물 분말은 건조된 신선초의 잎 및/또는 줄기를 분쇄하고 초임계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 후 분말화한 것을 말한다.
상기 신선초(Angelica keiskei)는 명일엽, 신립초라고도 불리우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상기 신선초는 칼콘 및 쿠마린을 함유하고 있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엽록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빈혈치료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신선초의 초임계 추출물은 다른 추출 방법과 달리 트랜스 칼콘(trans calcon)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신선초의 초임계 추출물은 신선초의 에탄올 추출물 및 고압 및 고온의 아임계 추출물에 존재하지 않은 4-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ricin) 및 자트호나겔론(xathonagelol)과 같은 트랜스 칼콘(trans calcone)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신선초의 초임계 추출물은 트랜스 칼콘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신장 투석 환자의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신장환자들에게서 많이 갖고있는 이상지혈증의 개선과 혈압을 낮추어 주어 혈압상승으로 인한 신장기능 저하를 감소 시킬 수 있다.
상기 4-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ricin)은 상기 신선초의 초임계 추출물에 0.1 mg/g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mg/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0 mg/g의 함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트호나겔론(xathonagelol)은 상기 신선초의 초임계 추출물에 0.01 mg/g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0 mg/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0 mg/g의 함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선초의 초임계 추출물에서 상기 4-하이드록시데리신(4-hydroxyderricin)과 자트호나겔론(xathonagelol)을 포함한 전체 칼콘의 함량은 0.3 mg/g 이상,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00 mg/g,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임계 추출은 공용매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매는 0.5 내지 20mL,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mL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임계 유체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되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10 내지 150 g/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g/min,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g/min 조건 하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은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온도 및 100 내지 600 bar,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00 bar의 압력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은 30분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된다.
상술한 신선초 추출물의 제조 공정은 본 출원인이 2020년 11월 24일자로 출원한 한국 특허출원 제10-2020-0158968을 참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명세서는 상기 한국 특허출원 제10-2020-0158968호에 기재된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신선초 추출물 분말은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9 내지 2.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함량 범위에서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CT(Middle Chain Triacylglycerol, 중쇄트리아실글리세롤) 오일은 탄소수가 8, 10, 또는 12인 중사슬지방산을 말한다. 상기 MCT 오일은 위장에서 소화된 후 간에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신장 투석 환자에게 신속한 에너지원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장쇄트리아실글리세롤 등의 다른 지방과 달리 체내에 축적하기 어려워 신장 투석 환자의 체중 증가 억제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MCT 오일 분말은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99 내지 101 중량부로 함유한다. 이러한 함량 범위에서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을 맞출 수 있다.
특히 상기 MCT 오일 분말은 분리유청단백과 1: 0.99 내지 1.0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1의 중량비로 함유되어야 하며, 상기 중량비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설사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중량비를 미달하여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충분한 에너지원(열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MCT 오일 분말은 분말유크림과 1: 0.49 내지 0.5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0.5의 중량비로 함유되어야 한다. 상기 중량비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설사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중량비를 미달하여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충분한 에너지원(열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청단백은 카제인이 제거한 유단백질로서 신장 투석 환자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작용하며, 본 발명의 쉐이크 파우더에 1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상기 분리유청단백은 MCT 오일 분말과 1: 0.99 내지 1.0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1의 중량비로 함유되어야 하며, 상기 중량비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설사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중량비를 미달하여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충분한 에너지원(열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말유지크림은 유지방을 분말화한 것으로,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5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5 내지 5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1 중량부로 함유된다.
또한, 상기 분말유지크림은 MCT 오일 분말과 1: 1.9 내지 2.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1의 중량비로 함유되어야 하며, 상기 중량비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설사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중량비를 미달하여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충분한 에너지원(열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참마 분말은 참마를 건조한 후 분쇄한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는 기능이 있어 신장에 무리를 주는 혈당의 증가를 감소하여 신장 기능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참마 분말은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3.4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3.4 중량부로 함유된다. 상기 함량으로 참마 분말이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트 분말은 비트를 건조한 후 분쇄한 것으로, 비트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색소로 인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외 수용성 다당류의 식이섬유들과 폴리코사놀 등이 LDL을 감소시켜 혈행개선을 도와준다. 상기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6 내지 0.7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62 내지 0.6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64 내지 0.67 중량부로 함유된다. 상기 함량으로 비트 분말이 함유될 경우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믹스는 티아민, 리보플래빈, 나이아신, 피리독신, 판토텐산, 코발라민, 엽산, 비오틴의 8종의 비타민 B 복합체와 비타민 C의 혼합 분말로서 신장 투석 환자의 면역 기능을 강화하고 빈혈을 예방하며 동맥경화증의 원인이 되는 고호모시스테인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비타민 믹스는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2 내지 1.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35 중량부로 함유된다. 상기 비타민 믹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필요한 비타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으며, 상기 비타민 믹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 초과일 경우 신장 투석 환자에게 과잉의 비타민을 공급하여 신장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D는 신장 투석 환자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갑상선 기능 항진을 예방하고 근력의 감소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07 중량부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금은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3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1 내지 0.36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2 내지 0.34 중량부로 함유되며, 본 발명의 쉐이크 분말의 맛을 향상하고 신장에 무리가 되지 않는 저나트륨량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양이다.
상술한 분리유청단백, 분말유크림, MCT 오일 분말, 쌀 분말, 참마 분말, 신천초 추출물 분말, 비타민 믹스, 비타민 D, 소금, 및 비트 분말의 특정 함량으로 이루어진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을 만족하면서도 쌀에 의한 관능 향상 및 포만감을 부여하고, 신선초 추출물 분말에 의한 항산화 효과 등이 제공되며, 분말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여 외출 시에 편리하게 식단 조절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분리유청단백, 분말유크림, MCT 오일 분말, 쌀 분말, 참마 분말, 신천초 추출물 분말, 비타민 믹스, 비타민 D, 소금, 및 비트 분말로 이루어진 쉐이크 파우더 구성품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쉐이크 파우더 구성품으로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 분말유크림 50 내지 52 중량부, MCT 오일 분말 99 내지 101 중량부, 쌀 분말 220 내지 222 중량부, 참마 분말 3.0 내지 3.5 중량부, 신선초 추출물 분말 1.9 내지 2.1 중량부, 비타민 믹스 1.2 내지 1.4 중량부, 비타민 D 0.00007 중량부, 소금 0.3 내지 0.4 중량부, 및 비트 분말 0.6 내지 0.7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쉐이크 파우더 구성품 및 이의 혼합 비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준비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락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의 음용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140 내지 150g을 음용수에 넣고 흔들어 용해한 후 음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의 음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음용수에 140 내지 150 g, 바람직하게는 142 내지 148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42 내지 146 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43 내지 145 g, 가장 바람직하게는 144 내지 145 g을 넣고 용해한 후 음용하면 1끼 식사 대용으로 충분한 열량과 영양소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각 성분들이 분말화,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크기가 100 메쉬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메쉬,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 메쉬인 분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용수에 쉽게 용해되는 특징이 있어 음용수에 넣고 3 내지 5회의 쉐이크만으로도 충분히 용해된다.
상기 음용수는 신장 투석 환자의 특성상 깨끗한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을 만족하면서도 쌀에 의한 관능 향상 및 포만감을 부여하고, 신선초 추출물 분말에 의한 항산화 효과 등이 제공되며, 분말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여 외출 시에 편리하게 식단 조절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신장 투석 환자들의 경우 체중조절이 필요로 하는 당뇨 환자들이 많은데 이들을 위한 저인, 저 나트륨, 저 칼륨, 및 저 단백질의 기준을 맞춘 식사대용 간편편이식으로 본 발명의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제공되어 신장 투석 환자의 식사 준비에 대한 불편함, 식사준비가 어려운 노인들에게 더욱 편리함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미, 일품벼, 및 골든퀸 3호의 인 및 칼륨 함량을 분석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든퀸 3호의 세척 후 및 수침 시간에 따른 인 및 칼륨 함량의 변화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든퀸 3호의 세척 후 및 4시간 수침 동안의 유속에 따른 인 및 칼륨 함량의 변화를 관찰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품벼와 골든퀸 3호의 세척 후 및 유동층 건조 후 분쇄하고 분말한 후의 인 및 칼륨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쌀 선별 및 수침 시간과 유속 확립
본 발명자들은 예비실험에서 일반미(신동진쌀TM), 일품쌀(의성안계TM), 및 골드퀸 3호(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시드피아) 쌀에 대한 인 및 칼륨 함량을 식품공전상의 시험법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 일반미가 인 및 칼륨 함량리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골드퀸 3호, 및 일품벼 순이었으나(도 1 참조), 이들 쌀들을 열풍건조 후 분말화하였을 때 10명을 대상으로 한 맛의 기호도 평가에서 골드퀸 3호, 일품벼, 및 일반미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에 골드퀸 3호를 선정하고 이하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정된 쌀(골드퀸 3호)을 깨끗이 씻은 후 유속 10 cm/s의 흐르는 물에 각각 4시간, 8시간, 및 10시간 수침한 후 인(P) 및 칼륨(K) 함량을 식품공전상의 시험법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시간 수침 이후에는 인 및 칼륨의 함량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수침 시 유속을 5 cm/s, 10 cm/s, 20cm/s, 30cm/s, 및 40cm/s로 하여 도정된 쌀(골드퀸 3호)을 4시간 동안 수침한 후 인(P) 및 칼륨(K) 함량을 식품공전상의 시험법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는데, 5 cm/s 유속일 경우 충분히 인 및 칼륨 함량이 배출되지 않았으며, 20 cm/s 이상의 유속에서는 인 및 칼륨 함량의 배출이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수침 시 유속이 20 cm/s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쌀가루 제조 방법 확립
상기 실시예 1에서 4시간 수침 및 유속 20 cm/s가 가장 바람직한 수침 시간 및 유속으로 결정됨에 따라 기호도가 우수한 쌀가루 제조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속 20 cm/s의 흐르는 물에서 4시간 수침된 골드퀸 3호 1kg을 각각 자연건조, 50℃ 및 80℃ 각각 열풍건조, -20℃ 동결 후 진공건조, 10℃ 냉풍건조, 50℃ 및 80℃ 각각의 유동층 건조하여 최종 수분 함Žc이 10% 미만이 될 때까지 수행하였다. 그 후 이들 건조된 각 골드퀸 3호를 밀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입자크기 100mesh 이하로 분말화하였다.
이들 분말화된 각 골드퀸 3호 10g을 100mL의 정제수에 넣고 용해시킨 후 신부전증 환자로 투석을 하고 있는 환자 10명(30 ~ 60대, 남여 각 5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 문항의 용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외관(색), 고소한 맛, 쓴맛, 향, 및 전체 기호도를 7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외관(색), 고소한 맛, 향, 및 전체 기호도는 7점 만점으로 갈수록 우수함을 나타내며, 쓴맛은 7점 만점으로 갈수록 쓴맛이 없음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건조 방법 외관 고소한 맛 쓴맛 전체 기호도
자연 건조 60 76 95 80 78
50℃ 열풍건조 92 84 82 84 85
80℃ 열풍건조 80 92 70 88 80
동결건조 95 75 92 72 88
10℃ 냉풍건조 70 75 92 75 86
50℃ 유동층 건조 95 90 88 92 92
80℃ 유동층 건조 82 94 78 80 80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외관(색)에 있어서 동결건조 및 50℃ 유동층 건조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고소한 맛은 80℃ 열풍건조, 50℃ 유동층 건조 순이었다. 쓴맛은 80℃ 열풍건조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 좋지 않았으며, 자연건조, 동결건조, 및 10℃ 냉풍건조 순으로 쓴맛이 거의 없었고, 50℃ 유동층 건조도 쓴맛이 거의 없었다. 향은 50℃ 유동층 건조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유속 20 cm/s의 흐르는 물에서 4시간 수침한 쌀을 50℃ 유동층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하는 것이 관능에서 가장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분말 전후의 인 및 칼륨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품벼를 건조하고 분말화하였다. 분말화된 일품벼와 상기 실시예 2의 골든퀸 3호의 분말 전후의 인 및 칼륨 변화를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말 전후 일품벼 및 골드퀸 3호 모두 인 및 칼륨의 함량이 50%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신선초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신선초 잎과 줄기를 건조하고 분쇄한 다음,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유체로 하여 초임계 추출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을 와트만 필터 페이퍼로 여과하고 최종 신선초 초임계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분류 Supercritical carbone Dioxide (SC-002)
Temp
(℃)
Press
(bar)
Flow rate
(g/min)
Time
(hrs)
Co-solvent
(Ethanol)
Acronym
신선초 제조예 1 50 200 27 2 3ml SC-1
신선초 제조예 2 50 250 27 2 3ml SC-2
신선초 제조예 3 50 300 27 2 3ml SC-3
비교예 1: 신선초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신선초 잎과 줄기를 분쇄하고 시료 중량 대비 5배의 에탄올 용매를 첨가하고 225℃에서 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 후 상기 추출물을 와트만 필터 페이퍼로 여과하고 최종 신선초 에탄올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비교예 2 및 3: 신선초 아임계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기 표 3의 조건으로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추출물을 와트만 필터 페이퍼로 여과하고 신선초 아임계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분류 Supercritical carbone Dioxide (SC-002)
Temp
(℃)
Press
(bar)
Mixing ratio Time
(min)
Co-solvent
(Ethanol)
Acronym
비교예 2 160 30 30g/600ml 10 - B-1
비교예 3 160 30 30g/600ml 10 50% BE-1
실험예 1: 칼콘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4의 신선초 제조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의 신선초 추출물에 대하여 칼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분 분석은 하기 표 4와 같은 조건을 실시하여 신선초 추출물에 함유된 칼콘(chalcone) 3종 (Trans Chalcone, 4-hydorxyderricin, Xanthoangelol)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Chalcone 4-hydorxyderricin, Xanthoangelol
Apparatus Thermo Ultimate 3000
Column SUPERSIL COLUMN ODS-I, 4.6 × 250nm, 5um
Mobile phase A B A B
5% formic acid in DW 5% formic acid with 10% DW in ACN 1% Acetic acid in MEoH DW
Gradient, 20min A: B (8: 2), 20min
Oven temp. 35℃ 40℃
Flow 1.0 ml/min 1.5 ml/min
Injection 10 ul 20 ul
UV 292 nm 365 nm
구분 Chalcone 함유량(mg/g)
Chalcone
(트랜스 칼콘)
4-hydorxyderricin Xanthoangelol
비교예 1 E1 ND 1.583 9.84
비교예 2 B-1 ND 0.0022 0.0008
비교예 3 BE-1 ND 0.0427 4.833
신선초 제조예 1 SC-1 0.87 0.4906 0.0508
신선초 제조예 2 SC-2 1.01 4.8652 4.6467
신선초 제조예 3 SC-3 1.30 27.903 155.56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신선초의 초임계 추출물은 트랜스 칼콘이 검출되었으며, 4-hydorxyderricin 및 Xanthoangelol의 함량이 신선초의 에탄올 추출물 및 아임계 추출물에 비하여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쉐이크 파우더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결과에 따라 유속 20 cm/s의 흐르는 물에서 4시간 수침한 쌀을 50℃ 유동층 건조한 후 밀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한 쌀 분말을 준비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4의 신선초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신선초 초임계 추출물을 고형분 60% 이상이 되도록 연속 감압농축(500 내지 700 mmHg)한 다음 90 ± 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하였다. 그 살균된 농축물을 분무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분말화하였다.
참마 및 비트 각각을 시장에서 구매하고 60℃에서 2시간 동안 열풍건조한 후 밀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여 참마 분말 및 비트 분말을 제조하였다.
분리유청단백, 분말유크림, 비타민 믹스, 비타민 D, 및 소금(천일염)은 구매하였으며, 상기 비타민 믹스는 8종의 비타민 B 복합체와 비타민 C의 혼합 분말로 된 것을 구매하였다.
상기 준비된 분말들을 하기 표 6의 조성비(단위: 중량부)에 따라 혼합하고 쉐이크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원료 제조예 1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분리유청단백 100 100 100 100 100
분말유크림 51 51 51 51 51
MCT 오일 분말 100 110 120 100 100
쌀 분말 221 221 221 200 221
참마 분말 3.3 3.3 3.3 3.3 3.3
신선초 추출물 분말 2.0 2.0 2.0 2.0 1.0
비타민 믹스 1.3 1.3 1.3 1.3 1.3
비타민 D 0.00007 0.00007 0.00007 0.00007 0.00007
소금 0.3 0.3 0.3 0.3 0.3
비트 분말 0.6 0.6 0.6 0.6 0.6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쉐이크 파우더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쉐이크 파우더(제조예 1 및 비교예 4 내지 7)에 대하여 신부전증 환자로 투석을 하고 있는 환자 10명(30 ~ 60대, 남여 각 5명)을 대상으로 매일 3회씩 7일 동안 음용하도록 한 후 외관(침전), 맛, 향, 포만감, 설사 여부, 및 전체 기호도를 7점 척도로 평가하도혹 하였다. 음용 시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쉐이크 파우더(제조예 1 및 비교예 4 내지 7) 144.30 g을 깨끗한 정제수 500 mL에 넣고 4회 흔들어 쉐이크 파우더를 용해한 후 1분이 경과한 후 음용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7의 관능평가항목에서 외관은 침전이 음용 중에 발생하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판단하도록 하였으며, 맛과 향은 음용하는데 거부감이 있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판단하도록 하였으며, 포만감은 음용 후 3시간 경과 후에 배고픔을 느겼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판단하도록 하였으며, 설사는 음용 후 설사 여부를 중심으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또한, 전체 기호도 및 재구매 의사를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외관 포만감 설사 전체 기호도 재구매
의사
제조예 1 6.7 6.5 6.6 6.2 없음 6.5 9명
비교예 4 6.2 6.4 6.5 6.1 3명 있음 5.4 3명
비교예 5 6.0 6.2 6.6 6.1 4명 있음 4.6 2명
비교예 6 6.6 6.1 6.6 6.5 없음 6.1 8명
비교예 7 6.7 5.3 5.4 6.2 1명 있음 5.8 6명
상기 표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MCT 오일이 많이 함유될수록 외관이 좋지 않고 설사가 발생한 환자가 증가하였으며, 쌀 분말이 많이 함유될수록 포만감은 증가하였으나 맛에 있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신선초 추출물 분말이 적게 함유될수록 맛과 향이 감소하였으며 설사 환자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중량비로 제조한 쉐이크 파우더가 외관, 맛, 향, 및 포만감을 포함한 전체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설사 환자도 발생하지 않아 신장 투석 환자에게 적합한 식사 대용식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재구매 의사 항목에서 본 발명의 쉐이크 파우더는 10명 중 9명이 재구매 의사가 있음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6)

  1.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 분말유크림 50 내지 52 중량부, MCT 오일 분말 99 내지 101 중량부, 쌀 분말 220 내지 222 중량부, 참마 분말 3.0 내지 3.5 중량부, 신선초 추출물 분말 1.9 내지 2.1 중량부, 비타민 믹스 1.2 내지 1.4 중량부, 비타민 D 0.00007 중량부, 소금 0.3 내지 0.4 중량부, 및 비트 분말 0.6 내지 0.7 중량부로 이루어진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로서,
    상기 신선초 추출물 분말은 건조된 신선초의 잎, 줄기, 또는 이의 혼합을 분쇄하고 초임계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신장 투석 환자의 1일 열량 및 영양소 권장량인 열량 2,000 ~ 2,200 Kcal, 단백질 72 내지 84 g, 나트륨 2,000 ~ 2,500 mg, 칼륨 2,340 mg 이하, 칼슘 1,200 ~ 1,600 mg, 인 800 mg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 분말은 도정된 쌀을 유속이 10 내지 30 cm/s인 흐르는 물에 3.5 내지 4.5 시간 동안 수침한 후 45 내지 55℃ 열풍으로 유동층 건조한 다음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는 MCT 오일 분말과 분리유청단백이 1: 0.99 내지 1.01의 중량비를 나타내고, MCT 오일 분말과 분말유지크림이 1: 1.9 내지 2.1의 중량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6. 분리유청단백, 분말유크림, MCT 오일 분말, 쌀 분말, 참마 분말, 신천초 추출물 분말, 비타민 믹스, 비타민 D, 소금, 및 비트 분말로 이루어진 쉐이크 파우더 구성품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쉐이크 파우더 구성품으로 분리유청단백 100 중량부, 분말유크림 50 내지 52 중량부, MCT 오일 분말 99 내지 101 중량부, 쌀 분말 220 내지 222 중량부, 참마 분말 3.0 내지 3.5 중량부, 신선초 추출물 분말 1.9 내지 2.1 중량부, 비타민 믹스 1.2 내지 1.4 중량부, 비타민 D 0.00007 중량부, 소금 0.3 내지 0.4 중량부, 및 비트 분말 0.6 내지 0.7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쌀 분말은 도정된 쌀을 유속이 10 내지 30 cm/s인 흐르는 물에 3.5 내지 4.5 시간 동안 수침한 후 45 내지 55℃ 열풍으로 유동층 건조한 다음 분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신선초 추출물 분말은 건조된 신선초의 잎, 줄기, 또는 이의 혼합을 분쇄하고 초임계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분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의 제조 방법.
KR1020210008164A 2021-01-20 2021-01-20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KR102574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64A KR102574938B1 (ko) 2021-01-20 2021-01-20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64A KR102574938B1 (ko) 2021-01-20 2021-01-20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09A KR20220105709A (ko) 2022-07-28
KR102574938B1 true KR102574938B1 (ko) 2023-09-07

Family

ID=8260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164A KR102574938B1 (ko) 2021-01-20 2021-01-20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9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9396A (ja) 2003-09-30 2013-10-10 Kibow Biotech Inc 腎臓機能を増大させ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CN105519961A (zh) 2014-09-29 2016-04-27 华仁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透析患者的肠内营养制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8678A (en) * 1995-06-06 1998-03-17 Nestec Ltd.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oviding nutrition to a renal failure patient
KR20060100136A (ko) * 2005-03-16 2006-09-20 김종국 저단백식이를 위한 기능성 선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9396A (ja) 2003-09-30 2013-10-10 Kibow Biotech Inc 腎臓機能を増大させ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CN105519961A (zh) 2014-09-29 2016-04-27 华仁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透析患者的肠内营养制剂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레보밀 프리미엄 식사대용쉐이크 건강라이프, HTTPS://BLOG.NAVER.COM/EVER9472/221235939975, 2018.03.23.)
네이버블로그(HTTPS://BLOG.NAVER.COM/HOPEFREEDOM/2220431852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09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07744B (zh) 一种山药枸杞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US6171635B1 (en) Coffee substitute
CN105995995A (zh) 一种多口味彩虹燕麦代餐粉及其制备方法
CN103999996A (zh) 一种保健板栗及其制备方法
KR20090044840A (ko) 야생초를 이용한 선식과 이를 이용한 선식음료
CN101297685A (zh) 功能豆腐脑粉及其制作方法
CN107334046A (zh) 一种婴幼儿谷物辅食营养餐配方及其加工方法
CN102550956B (zh) 一种粗粮炒面保健食品
KR102574938B1 (ko) 신장 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CN111184111A (zh) 一种速溶五谷杂粮咖啡及其生产工艺
KR102574939B1 (ko) 신장 비투석 환자용 쉐이크 파우더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0468B1 (ko) 천연혼합물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제조방법
CN108606242A (zh) 一种降血糖保健调理食品及其制备方法
JP2000189123A (ja) コ―ヒ―様飲食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749152A (zh) 一种健康养生强身饮品及其制备方法
KR100376942B1 (ko) 항비만 녹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05233B1 (ko) 기호성이 좋은 녹차 혼합차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17578B1 (ko) 이눌린과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CN107836528A (zh) 一种新型复合蛋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379258B1 (ko) 햄프씨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8850380A (zh) 一种枸杞咖啡的配方及制备方法
CN106262558A (zh) 一种乳茄蜂蜜板栗仁及其制作方法
CN108782903A (zh) 一种荞麦解酒护肝茶制品及其制备方法
KR20220072099A (ko) 신선초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1731A (ko)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