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731A -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731A
KR20230081731A KR1020210166340A KR20210166340A KR20230081731A KR 20230081731 A KR20230081731 A KR 20230081731A KR 1020210166340 A KR1020210166340 A KR 1020210166340A KR 20210166340 A KR20210166340 A KR 20210166340A KR 20230081731 A KR20230081731 A KR 20230081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angover
coffee
relie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형섭
Original Assignee
엄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형섭 filed Critical 엄형섭
Priority to KR1020210166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731A/ko
Publication of KR2023008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7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4Coffee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7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using additives, specific extraction media or specific coffee ble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6Argi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4Taur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커피 고유의 맛을 포함하여 향(풍미) 및 색감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숙취해소 성분을 최적의 비율로 포함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극대화된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은, 현대인들이 가장 흔하게 접하는 커피에 숙취 해소능의 기능성을 부여하되, 상기 숙취 해소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숙취해소 성분들에 대한 최적의 혼합 비율을 가지고 추출물 형태로 포함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숙취해소 이외에도 커피 본연의 맛, 향 및 색감 등의 수요자 기호도도 충족시킬 수 있어, 커피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FUNCTIONAL COFFEE COMPOSITION FOR RELIEVING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커피 고유의 맛을 포함하여 향(풍미) 및 색감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숙취해소 성분을 최적의 비율로 포함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극대화된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숙취는 술에 몹시 취한 뒤의 수면에서 깬 후에 특이한 불쾌감이나 두통, 또는 심신의 작업능력감퇴 등이 1∼2일간 지속하는 현상으로서, 원인은 분명하지 않으나 아세트알데히드설이나 불순물설 등이 있다.
숙취에 대한 치료는 먼저 체내의 알코올분을 없애야 하고, 토기가 있으면 적극적으로 토하고, 또 비타민 B1이나 수분을 보급하여 분해를 촉진하거나 커피, 차, 과즙 등과 같이 이뇨작용이 있는 것을 마시는 것도 좋다.
한편, 커피는 오늘날 가장 애용되고 있는 기호식품의 하나로서, 커피나무 열매의 과육은 폐기하고, 커피나무 열매의 종자인 커피 생두를 선별하여 정제, 볶음, 배합, 분쇄 및 추출의 과정을 거쳐 제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커피는 이미 9C 이전부터 인류와 함께 하고 있는 것으로 그 종류만도 약 40 여종에 이르는 것으로, 커피의 생두에는 주성분인 조당분 외에 수분, 회분, 지방, 조섬유, 조단백 및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커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카페인은 강심작용과 이뇨작용 및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각성작용을 가져 적당량의 커피를 마시면 스트레스 해소하고, 각성 정도가 향상되어 사고의 수행능력이 향상되며 피로가 줄어드는 느낌을 갖게 하여 애용되고 있다. 또한, 커피에는 카페스톨(cafestol)과 카월(kahweol)이라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들 성분이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촉진에 의한 숙취 해소의 효과 및 간의 독성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이어트,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현대인에게 사랑받고 있는 음료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커피에 기능성 추출물들을 혼합하여 음료로 마시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특허문헌 1은, 이와 관련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제안된 기술은, 1) 생두를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생두를 건조하여 100-200℃로 로스팅한 다음, 분쇄하는 로스팅,분쇄단계와; 분쇄된 원두커피가루 중량대비 설탕 5%, 식용 이엠복합균사체분말 3%, 정제수 50%를 혼합하는 혼합단계와; 혼합된 원료를 30-4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하는 발효단계와; 발효된 원두커피가루를 건조기를 이용하여 수분 7-10%로 건조하여 이엠발효원두커피가루를 조성하는 단계와; 2) 야관문분말 중량대비 헛개나무열매분말, 오리나무분말, 갈근분말, 사상자분말, 오미자분말, 토사자분말, 구기자분말, 복분자분말, 대추분말 중 3-4종류를 선택하여 각각 5-10%, 설탕 5%, 이엠복합균사체분말 3%를 혼합하여 부직포 자루에 담아 정제수 150%에 침지하는 침지단계와; 침지된 원료들을 30-40℃에서 72시간 발효하며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는 추출, 발효단계와; 발효액의 건더기를 걸러내는 정제 단계와; 정제된 발효액을 5-10℃로 냉각하는 냉각단계로 이루어지는 야관문발효액 조성단계와; 3)냉각된 야관문발효액 중량대비 이엠발효 원두커피가루 10%를 부직포 자루에 담아 12시간 침지하여 커피를 추출,발효하는 추출,발효단계와; 커피자루를 건져내고 잔존 건더기를 걸러내는 정제단계와; 정제된 야관문발효액상커피를 150-500ml 용기에 포장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야관문발효액상커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제안된 기술의 경우, 여러 기능성 성분들을 분말 형태로 포함함으로써 커피 본연의 맛, 향(풍미) 및 색감 등의 기호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숙취해소능이 포함된 성분들에 비하여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평상시 수요자들이 자주 접하는 커피에 있어서, 숙취 해소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숙취해소 성분들에 대한 최적의 혼합 비율을 가지고 추출물 형태로 포함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숙취해소 이외에도 커피 본연의 맛, 향 및 색감 등의 수요자 기호도도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5628호 (2016.10.06. 공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수요자들이 자주 접하는 커피에 숙취 해소능의 기능성을 부여하되, 상기 숙취 해소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숙취해소 성분들에 대한 최적의 혼합 비율을 가지고 추출물 형태로 포함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숙취해소 이외에도 커피 본연의 맛, 향 및 색감 등의 수요자 기호도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커피 원두 및 숙취 해소용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주추출물 1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부추출물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추출물은, 벌꿀,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추출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벌꿀 5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 대추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생강 5 중량부 내지 1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추출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감초, 녹차엽, 톳, 미역, 구연산, 타우린 및 아르기닌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추출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감초 1.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녹차엽 1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톳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미역 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구연산 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타우린 1.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및 아르기닌산 1.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은, 현대인들이 가장 흔하게 접하는 커피에 숙취 해소능의 기능성을 부여하되, 상기 숙취 해소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숙취해소 성분들에 대한 최적의 혼합 비율을 가지고 추출물 형태로 포함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숙취해소 이외에도 커피 본연의 맛, 향 및 색감 등의 수요자 기호도도 충족시킬 수 있어, 커피 관련된 다양한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상기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의 권리범위는 하기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은, 커피 원두 및 숙취 해소용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커피 원두"는, 인스턴트 커피가 아닌 원두 커피 제조에 사용되는 커피 원두를 통칭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커피 원산지에서 수확하여 로스팅하지 않은 생두(green bean)에서부터, 이를 증숙시키거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로스팅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여 가공한 커피 콩까지를 이르는 용어로서, 커피콩 그 자체를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용어 "커피 원두"는, 분쇄하기 전의 온전한 커피 콩을 말하는 것이며, 문맥에 따라 상기 용어 "커피 원두"는 커피 생두를 가리키기도 하고, 또는 로스팅 방법에 따라 배전된 커피 콩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러한 "커피 원두"는 원산지를 불문하고, 다양한 시판원을 통하여 시중에서 판매되는 것이라면 쉽게 구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피 원두는 그 원산지나 시판원에 제한이 없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숙취’라 함은, 음주 후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불쾌감을 총칭하는 것으로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메스꺼움, 구토, 졸음, 운동능력저하, 혈액학적 변화, 호르몬의 변화 등의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원두는, 사용자 개인의 취향에 따라 종류를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냐산 생두, 브라질산 생두, 콜롬비아산 생두, 과테말라산 생두, 인도네시아산 생두, 베트남 생두, 에티오피아 생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커피 원두의 경우, 오래 보관하거나 상처가 있는 원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원두는 고온에서 단시간 로스팅을 진행하면 시큼한 맛에 가까운 산미가 나기 때문에, 고소한 맛을 내기 위하여 저온 로스팅을 진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신선도가 떨어지는 원두는 저온 로스팅을 진행하더라도 고소함과 단맛의 균형이 있는 커피 맛을 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은, 전술한 커피 원두 이외에 기능성 부여를 위하여, 숙취 해소용 혼합 추출물(이하, "혼합 추출물"이라 약칭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2종 이상의 추출물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단독 추출물의 경우, 숙취해소를 위한 기능성 부여가 어려워 2종 이상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추출물 성분간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보다 극대화된 숙취해소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합 추출물은 주추출물 및 부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주추출물" 및 "부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가진 기능성, 즉 숙취해소능을 부여하기 위해 주된 역할을 하는 성분을 "주추출물"이라고 지칭하였고, "부추출물"은 숙취해소능과 함께 커피와의 조화를 고려하여 부수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주추출물은 벌꿀,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꿀은 꿀벌이 자연의 밀원으로부터 화밀을 채집하여 밀위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뱉어 벌집에 저장하는 과정 중에 인버테이즈(invertase) 등을 포함한 다량의 소화액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벌꿀은 밀원의 자당이 과당과 포도당으로 전화되고 이후 농축, 숙성되면서 특유의 단맛을 나타내게 되며, 밀원으로부터 유래하는 다양한 유기산, 아미노산, 무기질, 폴리페놀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주추출물에 벌꿀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커피 조성물은, 상기 벌꿀 속에 포함된 숙취해소 성분, 즉 당분을 사용자에게 공급해주고, 이 경우 숙취에 가장 주된 원인인 수분 부족 및 포도당 부족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숙취 해소능이 매우 뛰어나다.
상기 대추는 대추나무(Zizyphusjujuba MILL)의 열매로, 대추를 작게 썰어 건조시킨 형태로 요리에 첨가하거나 차로 가공하여 소비하고 있는데, 다양한 약리효과(기침 해소, 이뇨 효과, 해열, 진정, 정장 작용, 신경쇠약 및 과민증 해소, 간 기능 활성화 등) 때문에 한약재로도 사용하고 있다.
상기 대추의 경우, 비타민류나 식이성 섬유,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등 노화방지와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식이성 섬유를 많이 먹으면 장내 여분의 담즙산을 줄이므로 담즙산의 독성을 줄이는 효과가 나타난다. 담즙은 지방분을 많이 섭취하면 그 분비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증가한 담즙산은 장내세균에 의해 발암물질로 변하므로 장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 암의 위험성이 커지는 것이다. 대추는 그러한 발암물질을 흡착배출하는 좋은 식이성 섬유를 가지고 있고, 뿐만 아니라 체내 유해 활성산소를 제독하는 베타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장수에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생강(Zingiberofficinale)은 생강과 여러해살이풀의 뿌리로, 한약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향신료 및 음식 첨가물로 사용되어 왔다. 전통 의약으로서 생강은 일반적인 감기, 기침, 위장 경직, 구토, 소화불량증, 설사, 두통 및 통증을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생강의 경우,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및 인도 등의 전통의학에서 소화기계, 중추신경계, 골관절계,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약초로 이용되어 왔으며 그 외에도 혈중 지질 및 당 수치를 낮추고 항산화, 항염증, 항균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커피 조성물에 포함된 주추출물은, 전술한 벌꿀 이외에도 상기 대추 및 생강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숙취 개선 효과는 극대화시키고, 맛의 조화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 형태로 다른 제품에 적용 시, 커피 본연의 맛과 향(풍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추출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벌꿀 5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 대추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생강 5 중량부 내지 1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추출물의 혼합 함량 비율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해소능이 미미하거나,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변질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특히 대추 및 생강을 과량 투입할 경우 전신 반응으로 인한 말초순화 장해 등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합 추출물은 전술한 주추출물 이외에도 부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추출물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숙취해소능을 갖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감초, 녹차엽, 톳, 미역, 구연산, 타우린 및 아르기닌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헛개나무 열매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의 헛개나무(HoveniadulisThunb.)의 열매로,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는 이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헛개나무 열매는 열병으로 인한 번열, 구갈, 딸꾹질, 구토 등에 쓰며 이뇨를 돕고, 알코올 중독으로 상한 간장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장을 조절하여 대사를 원할하게 하고 신경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위궤양 신경증에 효과적이며, 통증과 경련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져져 있다.
상기 녹차엽은, 녹차 추출물 형태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물의 추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녹차엽에 물을 가하고, 100℃에서 15분간 열수 추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녹차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이 경우, 분무 건조하면 상기 녹차 추출액은 녹차 분말이 될 수 있으나, 분말 형태로 포함할 경우, 커피의 본연의 맛과 향(풍미)에 변질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톳 (Hizikia fusiforme)은 모자반과에 속하는 갈조류로, 뿌리는 나뭇가지 모양이고 줄기는 원주형이며 잎은 베 짜는 북 또는 방망이 모양으로, 곁가지는 엽액에 붙어서 난다.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에 분포하고 특히 제주도와 서남해안에서 많이 생산되며, 칼슘, 요오드, 철 등의 무기염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미역은 갈조식물인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바닷말로서 많은 미네랄과 비타민 A, B1, B2, C 등 우리 몸에 꼭 필요하지만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혈압강하, 변비해소, 동맥경화 예방 등의 효과가 입증된 알긴산 등의 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 불균형이 심각한 현대인에게 영양의 균형을 제공하는 이상적인 식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미역에는 우유의 약 10배, 시금치의 약 25배, 쌀의 약 200배에 달하는 칼슘이 함유되어 있으며, 더구나 미역 속의 칼슘은, 그 흡수량이 분말화했을 때 거의 80%에 이를 정도로 흡수력이 뛰어난 양질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칼슘은 골격과 치아 형성에 필요한 성분이며, 산후에 자궁수축과 지혈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요오드도 많아 미역 100g당 100mg이나 들어 있는데, 이것은 갑상선 호르몬을 만드는 데 필요한 성분이다.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은 심장과 혈관의 활동, 체온과 땀의 조절, 신진 대사를 증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신진 대사가 왕성한 임산부에게는 요오드가 많이 필요하다. 요오드의 공급이 부족하면 신진 대사가 완만해져서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산후에 갑자기 뚱뚱해지는 부인들이 있는데 이 증상은 산후에 필요한 요오드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 되는 수도 있다. 미역이 함유하고 있는 알긴산은, 다이어트라 화이버(Dietary fiber)라 불리며 거의 소화되지 않는 성분이나 해조류에서 채취되어 공업용 풀, 아이스크림이나 면류, 과자, 잼 등에 끈기를 주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점성이 높은 섬유질 성분으로서 위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비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숙변을 쉽게 제거한다. 대장이나 소장 등에 머물면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콜레스테롤 침착 예방 효과와 농약 등 공해물질과 결합해 몸밖으로 배출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알긴산은 또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해산소의 생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이를 제거하는 효소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역은 또한, 혈전증을 막아 주고, 고혈압을 치료해 주며, 콜레스테롤을 낮춰 주는 등 성인병 예방에 매우 좋은 식품으로, 최근에는 항암 효능을 갖고 있는 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구연산의 경우, 함수 구연산 또는 구연산나트륨일 수 있으며, 이를 적정 함량 비율로 포함하여 맛과 숙취해소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타우린은 소의 담즙 중에 다량으로 존재하며, 오징어와 낙지 등의 신경섬유에도 많이 존재한다. 타우린은 쓸개즙을 만드는 것 외에도 근골격계를 만들고 심혈관계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며, 피로 회복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아르기닌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L-아르기닌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상기 아르기닌산을 포함할 경우 숙취해소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부추출물은, 각 성분의 기능 및 커피 맛이나 향에 대한 영향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혼합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부추출물은, 커피 원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감초 1.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녹차엽 1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톳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미역 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구연산 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타우린 1.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및 아르기닌산 1.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범위를 벗어난 혼합 비율로 부추출물이 포함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은, 숙취해소능이 미미한 문제점이나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변질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은, 전술한 주추출물 및 부추출물과의 사이에서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주추출물 1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부추출물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추출물이 부추출물과 비교하여 더 높은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숙취해소능 및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유지하는 효과 구현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숙취해소용 커피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커피 조성물은 하기 표 1 및 2의 성분들을 각각의 함량에 맞추어 혼합하여 각각 제조하였다.
특히, 각 성분 중 "추출물"에 대한 추출은, 해당 성분의 원재료에 물을 가하고, 100℃에서 15분 내지 30분간 열수 추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수득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커피 원두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추출물
벌꿀 5 6 6.5 7 7.5 4 8 5 7.5 5
대추
추출물
5 6 7.5 9 10 5 10 4 11 5
생강
추출물
5 7 9 11 12.5 5 12.5 5 12.5 4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 1.2 1.4 1.6 2 1 2 1 2 1
감초
추출물
1.5 1.6 1.7 1.8 2 1.5 2 1.5 2 1.5
녹차엽
추출물
1 1.25 1.5 2 2.5 1 2.5 1 2.5 1

추출물
1.5 1.75 2 2.25 2.5 1.5 2.5 1.5 2.5 1.5
미역
추출물
1 1.2 1.4 1.6 2 1 2 1 2 1
구연산 1 1.2 1.4 1.6 2 1 2 1 2 1
타우린 1.5 1.6 1.7 1.8 2 1.5 2 1.5 2 1.5
아르기닌산 1.5 2.5 3.5 4.5 5 1.5 5 1.5 5 1.5
구분 비교예
6 7 8 9 10 11 12 13 14 15
커피 원두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추출물
벌꿀 7.5 4 5 8.5 7.5 5 5 7.5 7.5 -
대추
추출물
10 4 5 11 10 5 5 10 10 7.5
생강
추출물
13 4 5 13.5 12.5 5 5 12.5 12.5 7.5

추출물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2 1 0.5 2 2.5 1 1 2 2 1
감초
추출물
2 1.5 1.0 2 2.5 1.5 1.5 2 2 1.5
녹차엽
추출물
2.5 1 0.5 2.5 3 1 1 2.5 2.5 1

추출물
2.5 1.5 1.5 2.5 2.5 1 3 2.5 2.5 1.5
미역
추출물
2 1 1 2 2.5 1 1 0.5 2.5 1
구연산 2 1 1 2 2 1 1 2 2 1
타우린 2 1.5 1.0 2 2 1.5 1.5 2 2 1.5
아르기닌산 5 1.5 1.0 5 5 1.5 1.5 5 5 1.5
[실험예 1] 숙취해소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숙취해소용 커피 조성물의 숙취해소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코올 분해효소의 활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코올 분해효소인 알데히드탈수소효소(ALDH) 및 아세트알데히드(ADH)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5의 각 조성물을 각 성분이 골고루 혼합되도록 DMSO(dimethyl sulfoxide)에 희석하여 100㎎/㎖의 농도로 준비하고 이를 사용하여 각 실험을 수행하였다.
ALDH의 활성 측정은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 (BioVision, catalog #K731-100)를 사용하여 BioVision protocol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시료의 ALDH의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활성(%)으로 나타내었다.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 후 하기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ADH 활성 측정은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colorimetric assay kit (BioVision, catalog #K787-100)를 사용하여 BioVision protocol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시료의 ADH의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활성(%)으로 나타내어 하기의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대조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ALDH 활성(%) 153 155 161 162 170 134 140 120 120 128
ADL 활성(%) 158 155 161 162 171 134 141 144 145 148
구분 비교예
6 7 8 9 10 11 12 13 14 15
대조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ALDH 활성(%) 134 130 125 131 129 127 125 120 120 129
ADL 활성(%) 134 131 134 141 147 144 141 144 141 145
[실험예 2] 혈중 알코올농도 측정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숙취해소용 커피 조성물의 실제 숙취해소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혈중 알코올농도 측정 평가를 진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으로부터 제조된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보통의 주량을 갖는 성인 남자 50명을 대상으로 혈중알콜농도 측정실험을 하였다. 100명을 실시예 투여군(50명), 각 비교예 투여군(50명씩)으로 나누고, 각 360ml의 소주 한 병을 음주하게 한 후, 실시예와 비교예의 커피를 200ml 마시게 하였다. 음주 직후, 1시간 후, 2시간 후, 3시간 후의 혈중 알콜농도를 음주측정기로 측정하여 평균치를 계산한 결과는 표 5 및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음주직후 0.118 0.119 0.107 0.128 0.116 0.115 0.118 0.120 0.125 0.128
1시간 후 0.056 0.052 0.064 0.055 0.045 0.066 0.062 0.074 0.065 0.065
2시간 후 0.028 0.027 0.030 0.031 0.020 0.038 0.037 0.0380 0.041 0.031
3시간 후 0.010 0.009 0.012 0.011 0.004 0.030 0.019 0.022 0.031 0.014
구분 비교예
6 7 8 9 10 11 12 13 14 15
음주직후 0.128 0.116 0.115 0.118 0.118 0.120 0.125 0.128 0.118 0.119
1시간 후 0.066 0.072 0.074 0.075 0.065 0.076 0.076 0.083 0.076 0.099
2시간 후 0.048 0.047 0.050 0.041 0.040 0.038 0.035 0.039 0.044 0.060
3시간 후 0.030 0.029 0.022 0.021 0.024 0.019 0.019 0.019 0.021 0.044
[실험예 3] 숙취해소능에 대한 관능성 측정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숙취해소용 커피 조성물의 실제 숙취해소능에 대한 사용자들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능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2의 동일한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실험예 2과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을 섭취하고 음주 후 5시간 후의 숙취해소에 대한 관능검사를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7 및 8에 나타내었다(증상 정도에 따라 5: 매우 심함, 4: 심함, 3: 보통, 2: 완화, 1: 미약 및 0: 없음으로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두통 0 0.1 0.2 0.2 0.1 0.7 0.6 1 1.2 0.8
속쓰림 0 0 0 0 0 0 0 0 0 0
피로감 0.2 0.3 0.5 0.2 0.3 0.7 1 1.2 0.8 0.7
구토감 0 0 0 0 0.1 0.1 0.1 0 0 0.1
구분 비교예
6 7 8 9 10 11 12 13 14 15
두통 0.3 0.5 0.8 0.7 0.6 1 1.2 1.4 0.9 1.5
속쓰림 0 0 0 0 0 0 0 0 0 0
피로감 0.7 0.8 0.7 0.7 1 1.2 0.8 0.7 0.8 1.5
구토감 0.1 0.1 0.1 0 0 0 0 0.1 0.1 0.2
[실험예 4] 숙취해소용 커피 조성물의 관능성 측정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숙취해소용 커피 조성물의 커피로서의 맛과 향을 유지하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관능성 측정 평가를 진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으로부터 제조된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의 맛과 향 등의 관능 평가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 직장인 성인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는 맛, 향(풍미), 색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 순으로 각각 평가하였다.
이 경우, 각 평가 항목당 구분하여 1점 매우 나쁘다, 2점 나쁘다, 3점 보통이다, 4점 좋다, 5점 매우 좋음으로 나타내는 5점 척도법을 사용하였다.
관능성 평가에 대한 결과는 표 9 및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4.6 4.5 4.7 4.2 4.4 3.7 3.6 3.1 3.2 3.8
향(풍미) 4.5 4.7 4.2 4.8 4.7 3.7 3.8 3.9 3.6 3.7
색감 4.6 4.5 4.7 4.9 4.3 3.7 3.6 3.1 3.2 3.8
전반적인 기호도 4.7 4.9 4.5 4.7 4.9 3.7 3.6 3.1 3.7 3.1
구분 비교예
6 7 8 9 10 11 12 13 14 15
3.5 3.7 3.8 3.9 3.6 3.1 3.2 3.4 3.9 3.5
향(풍미) 3.7 3.8 3.9 3.1 3.2 3.4 3.9 3.9 3.1 3.2
색감 3.7 3.5 3.7 3.8 3.8 3.9 3.1 3.2 3.8 3.5
전반적인 기호도 3.7 3.8 3.9 3.6 3.8 3.4 3.9 3.1 3.1 3.2
전술한 바와 같이, 실험예 1 내지 4와 그에 대한 결과인 표 3 내지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은, 커피에 숙취해소능의 기능성을 부여하되, 상기 숙취 해소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숙취해소 성분들에 대한 최적의 혼합 비율을 가지고 추출물 형태로 포함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숙취해소 이외에도 커피 본연의 맛, 향 및 색감 등의 수요자 기호도도 충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커피 원두 및 숙취 해소용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주추출물 1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및 부추출물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추출물은, 벌꿀,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추출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벌꿀 5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 대추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생강 5 중량부 내지 1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추출물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감초, 녹차엽, 톳, 미역, 구연산, 타우린 및 아르기닌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추출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 기준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감초 1.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녹차엽 1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톳 1.5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미역 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구연산 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타우린 1.5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및 아르기닌산 1.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KR1020210166340A 2021-11-29 2021-11-29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KR20230081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340A KR20230081731A (ko) 2021-11-29 2021-11-29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340A KR20230081731A (ko) 2021-11-29 2021-11-29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731A true KR20230081731A (ko) 2023-06-08

Family

ID=8676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340A KR20230081731A (ko) 2021-11-29 2021-11-29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7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628A (ko) 2015-03-27 2016-10-06 김기선 이엠발효 기능성 커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628A (ko) 2015-03-27 2016-10-06 김기선 이엠발효 기능성 커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44B1 (ko)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차의 제조방법
CN103999996A (zh) 一种保健板栗及其制备方法
CN105995995A (zh) 一种多口味彩虹燕麦代餐粉及其制备方法
KR102257307B1 (ko) 니파야자 꽃봉오리를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기능성 차
JP2003334046A (ja) 大麦若葉及び/又はケールを含有する粉末飲料並びに飲料
KR101312491B1 (ko)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음료의 제조방법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20110056901A (ko) 인진쑥, 헛개열매, 오리나무, 감초, 갈근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6297B1 (ko) 생약성분이 함유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KR101033142B1 (ko) 차와 죽의 기능이 함께하는 일회용 시리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87524B1 (ko) 인삼, 맥문동, 오미자 추출물 및 사과즙과 금산인삼1뿌리를 포함하는 고영양 잡곡밥 및 그 제조방법
JPH11221060A (ja) 大麦の若葉及び/又はアルファルファの微粉末含有飲料
KR20230081731A (ko) 숙취해소용 기능성 커피 조성물
CN106398998A (zh) 一种山楂甜玉米酒
JP3592528B2 (ja) ケール含有飲料
KR20170114387A (ko) 산양삼 연잎밥의 제조방법
KR101003463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능을 갖는 청국장 환(丸)의 제조방법
KR101152272B1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5463B1 (ko) 건강보조식품용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KR102379258B1 (ko) 햄프씨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055300B1 (ko) 건강기능성 음료용 액상 조성물
KR102491108B1 (ko) 홍삼 조청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홍삼 조청
KR102632334B1 (ko) 기능성이 증진된 귀리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KR102390431B1 (ko) 순무를 이용한 식혜
KR102390434B1 (ko) 가을무를 이용한 식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