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216B1 - 다목적 타일 시스템, 타일 커버링 및 타일 - Google Patents

다목적 타일 시스템, 타일 커버링 및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216B1
KR102574216B1 KR1020207037242A KR20207037242A KR102574216B1 KR 102574216 B1 KR102574216 B1 KR 102574216B1 KR 1020207037242 A KR1020207037242 A KR 1020207037242A KR 20207037242 A KR20207037242 A KR 20207037242A KR 102574216 B1 KR102574216 B1 KR 10257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tongue
edge
delete delet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564A (ko
Inventor
에디 알베릭 부케
제이코버스 제랄더스 니콜라스 로렌티우스 뷔컨
Original Assignee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타워 아이피씨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타워 아이피씨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Publication of KR2021001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3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2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grooves positioned on the rear-side of the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다목적 타일, 특히 바닥 타일, 벽 타일 또는 천장 타일을 포함하는 다목적 타일 시스템, 특히 바닥 타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호 결합된 타일로 구성된 타일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천장 커버링 또는 벽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타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타일 시스템, 타일 커버링 및 타일
본 발명은 복수의 다목적 타일, 특히 바닥 타일, 벽 타일 또는 천장 타일을 포함하는 다목적 타일 시스템, 특히 바닥 타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호 결합된 타일로 구성된 타일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천장 커버링 또는 벽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타일에 관한 것이다.
셰브런 패턴(Chevron pattern)은 고대 그리스, 크레타에서 발견된 복원된 도자기에서, 약 4,000년 전에 디자인으로 예술 분야에서 나타났었다. 셰브런은 후에 예술, 건축 및 바닥을 위한 주요 패턴 디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셰브런은 프랑스어 chevre(염소)에서 비롯된 것으로, 라틴어 'capra'에서 온 것인데, 황도 십이궁의 유명한 V형 염소자리(horned goat)를 가리킨다. 확실히, 이러한 V형은 오늘날 여전히 알려진 V형 셰브런 패턴 바닥의 영감의 원천이 되어 왔다. 셰브런 패턴은 전형적으로 파케이(parquet) 나무 바닥의 분야에서 사용되는데, 파케이 패널은 하위바닥에 접착되거나 못으로 고정된다. 셰브런 바닥 타일은 평행사변형을 갖는데, 이는 셰브런 패턴을 통상적인 직사각형 파케이 플랭크로부터 잘리며, 대개 패널의 두 종단 표면이 타일의 길이 방향 축과 45°의 각을 둘러싸도록 잘린다. 설치 후, 셰브런 패턴은 형성된 V형 (헤링본) 레이아웃을 두 개의 동일한 레이아웃 부분으로 분할하는 곧은 분리를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우아하고 넓고 심지어 고급스러운 외형을 보인다. 알려진 셰브런 바닥 타일의 단점은 이들 타일이 (두 에지를 함께 연결하는) 그 뾰족한 정점에서 꽤 취약하다는 것이다. 다만,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상호 연결 가능한 셰브런 바닥 패널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제1 목적은 셰브런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상호 연결 가능한 타일을 포함하는 다목적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2 목적은 셰브런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호 연결 가능한 타일을 포함하는 다목적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 중 적어도 하나는 전제부에 따른 다목적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타일은 셰브런 패턴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각 타일은 제1 에지 및 반대되는 제2 에지로 구성된 제1 마주하는 에지 쌍, 제3 에지 및 반대되는 제4 에지로 구성된 제2 마주하는 에지 쌍을 포함하며, 제1 에지와 제3 에지는 제1 예각을 둘러싸고, 제2 에지와 제4 에지는 상기 제1 예각을 마주하는 제2 예각을 둘러싸며, 제2 에지와 제3 에지는 제1 둔각을 둘러싸고, 제1 에지와 제4 에지는 상기 제1 둔각을 마주하는 제2 둔각을 둘러싸고, 제1 쌍의 마주하는 에지는 적어도 수직으로, 바람직하게는 또한 수평으로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기 위한 쌍들의 마주하는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을 갖고,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은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옆쪽 텅을 포함하는 제1 결합 프로필 및 다른 타일의 옆쪽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부 립과 하부 립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1 기계적 결합 프로필은 안쪽 앵글링으로 옆쪽 텅의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에 의해 수용됨으로써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는 것을 허용하는 마주하는 제2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며, 제2 쌍의 마주하는 에지는 수직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기 위한 쌍들의 마주하는 제2 기계적 결합 수단을 갖고, 제2 기계적 결합 수단은 위쪽 텅, 위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쪽 플랭크 및 위쪽 텅과 위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위쪽 그루브를 포함하고, 위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위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며, 위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인) 제1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위쪽 텅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3 결합 프로필 및 아래쪽 텅, 아래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래쪽 플랭크 및 아래쪽 텅과 아래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아래쪽 그루브를 포함하는 제4 결합 프로필로서, 아래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고, 아래쪽 플랭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선택적인) 제2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쪽 플랭크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적용된다면) 또 다른 타일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와 상호 작용을 위해 형성되고, 제2 기계적 결합 프로필은 한 타일의 제1 결합 프로필 및 다른 타일의 제2 결합 프로필의 안쪽 앵글링 동안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는 것을 허용하고, 결합될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은 또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을 향해 시저링 운동을 형성하여, 제3 결합 프로필과 제4 결합 프로필의 잠금을 유발하는 제4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고, 각 타일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발포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를 포함하고, 합성물 및/또는 플라스틱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클로즈드 셀 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스템은 평행사변형, 바람직하게는 장사방형 또는 마름모꼴의 형상을 갖는 타일을 포함하는데, 이는 연결 상태에서, 셰브런 패턴을 형성한다. 타일 커버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타일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타일 시스템의 설치는 이미 설치된 제2 타일의 리세스로 설치될 제1 타일의 옆쪽 텅의 안쪽 앵글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전형적으로 이미 설치된 타일에 대해 설치될 타일을 앵글링 다운함으로써 구현되며, 이는 적어도 수직 방향, 바람직하게는 또한 수평 방향으로 제1 타일과 제2 타일을 잠근다. 제1 타일과 제2 타일의 이러한 안쪽 앵글링 동안, 흔히 설치될 제1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은 다른 이미 설치된 제3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에 (동시에) 연결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제3 타일에 대해 제1 타일을 내림으로써 구현되며, 그 동안 제3 결합 프로필과 제4 결합 프로필은 서로 시저링되고(잠기고), 이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제3 타일에 대한 제1 타일의 잠금을 야기한다. 타일의 평행사변형으로 인해, 셰프런 패턴은 종래 파케이 우드 타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스템의 다목적 타일은 제조하기에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취급하거나 설치하기에 특수한 기술이나 훈련을 요하지 않는데, 이는 타일을 설치하는 이전 경험이 없는 DIY 개인들에게 매력적이다. 각 타일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발포 합성물, 바람직하게는 클로즈드 셀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취약한 뾰족한 정점을 포함하여 타일 그 자체에 충분한 강성과 충격 강도를 제공한다. 이는 심지어 숙련되지 않은 사람에 의해 내구성 있고 손상되지 않은 셰브런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된 타일에 적용되기에 이상적으로 적합한 합성물을 만든다. HDF와 MDF와 같은 종래 소재는 전술한 발포 합성물보다 약하고, 뾰족한 정점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유발하기 쉬운데, 이는 이들 종래 소재가 셰브런 패턴을 구현하는 목적에 적합하지 않게 한다. 이에, 베이스 레이어에서 발포 합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강성인 플라스틱 소재, 바람직하게는 클로즈드 셀 폼은 타일 그 자체에 원하는 강성과 견고함을 제공하여, (통상적인 사용 동안) 뾰족한 정점 및/또는 결합 프로필의 손상, 특히 파손을 방지한다. 폼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추가적인 이점은 기존 클로즈드 셀이 개선된 강성과 개선된 충격 저항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치수적으로 유사한 논폼 플라스틱 소재(non-foam plastic material)와 비교하여, 그리고 HDF와 MDF와 같은 종래 소재와 비교하여, 더 낮은 밀도와 더 가벼운 무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베이스 레이어의 합성물의 강성은 강화제를 적용함으로써 더 개선될 수 있는데, 클로즈드 셀 폼 플라스틱 소재의 베이스 레이어는 예컨대 3% 내지 9% 중량의 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프로필은 특정한 형태가 주어지기 때문에, 이웃한 타일의 실질적으로 상보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 프로필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으로 형성된 제3 및 제4 결합 프로필은 서로 단순하게, 그러나 내구성 있고 효율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웃한 타일의 결합 동안, 한 또는 두 상보적인 제3 및 제4 결합 프로필에 힘이 가해지는데, 이로써 한 또는 두 결합 프로필은 어느 정도 약간 일시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그 결과 아래쪽 그루브 및/또는 위쪽 그루브에 의해 차지된 부피가 증가하여, 위쪽 텅과 아래쪽 텅이 아래쪽 그루브와 위쪽 그루브에 각각 비교적 단순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후 강제된 결합 프로필이 원래 위치로 (탄성적으로) 되돌아가게 허용함으로써, 제3 및 제4 결합 프로필 사이에, 그리고 이로써 두 타일 사이에 신뢰성 있는 잠긴 결합이 구현된다. 이에, 제3 결합 프로필 및/또는 제4 결합 프로필은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 제한된 정도의 탄성을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결합 프로필로 간주될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의 강성으로 인해, 그리고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결합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전형적으로 상기 베이스 레이어와 통합된다는 점으로 인해, 결합 부분의 탄성은 흔히 매우 제한적이되, 타일이 결합 및 분리되기 위해 충분하다. 두 결합 부분이 비교적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상호 맞물리는, 그리고 흔히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두 타일 사이에 잠금 효과를 야기하는 이러한 잠금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여유 공간 없는데, 이는 삐걱거리는 소음의 발생의 위험에 대응한다. 이에, 윤활제가 적용되지 않더라도 상기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의 위험이 감소되도록, 결합 부분의 프로필의 적절한 설계에 의해 이러한 위험을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다만 윤활제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결합 부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더욱이, 베이스 레이어의 발포 합성물의 추가적인 이점은 이러한 합성물이 방수 특성을 갖는다는 것인데, 이는 실내 및 실외용에 적합한 타일을 제공한다. 종래 HDF/MDF는 물을 흡수하여, 젖은 동안 더 약해지는데, 이는 타일의 강성, 특히 (더욱더) 취약한 뾰족한 정점의 강성을 더 감소시킨다. 발포 합성물의 추가적인 특성은 종래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인데, 이는 경량 타일을 제공하며, 이는 경제적인 관점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비행기, 차량 및 선박, 특히 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시스템의 적용성을 확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스템은 따라서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경량 다목적 타일은 천장 커버링, 벽 커버링 및/또는 바닥 커버링을 구현하기 위해, 또는 예컨대 가구의 커버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스템의 타일은 패널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는 코어 레이어라고도 불릴 수 있다. 결합 프로필은 결합 부분 또는 연결 프로필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상보적인" 결합 프로필은 이들 결합 프로필이 서로 함께 협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이를 위해, 상보적인 결합 프로필은 반드시 완벽히 상보적인 형태를 가져야 할 필요는 없다. "수직 방향"으로 잠그는 것은 타일의 평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잠그는 것을 의미한다. "수평 방향"으로 잠그는 것은 타일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일치하는 또는 그와 평행한, 그리고 두 타일의 각각 결합된 에지에 직각인 방향으로 잠그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헌에서 "바닥 타일"이나 "바닥 패널"이 언급될 경우, 이들 표현은 "타일", "벽 타일", "천장 타일", "커버링 타일"과 같은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문헌의 맥락에서, "발포 합성물"과 "발포 플라스틱 소재" (또는 "폼 플라스틱 소재")라는 표현은 호환될 수 있는데, 실제로 발포 합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발포 혼합물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는 기술적으로 폼이 형성되게 허용하는데, 형성된 폼 그 자체는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폼 매트릭스에 의해 형성된다.
셰브런 패턴을 구현할 때, 시스템이 두 서로 다른 타입의 타일(A, B)을 포함하면 유리한데,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를 따라서 있는 한 타입의 타일의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은 다른 타입의 타일의 동일한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 부분을 따라서 있는 대응되는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에 대해 거울 대칭 방식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될 동일한, 그리고 거울 대칭적인 타일의 이점은 타일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두 A 및 B 타입 타일의 제2 기계적 결합 프로필은 예컨대 제1 기계에서 기계 가공될 수 있다. 이에 A 타입 타일은 다른 기계 가공이 진행되어,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이 기계 가공된다. 거울 대칭적인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이 제공될 보드, 예컨대 B 타입 타일은 다만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의 기계 가공 전에 동일한 평면에서 180° 회전한다. 따라서 두 타입의 보드(A, B)는 동일한 기계 및 동일한 세트의 기구를 이용해 제작될 수 있다. 구별되는 시각적 표시, 예컨대 색상 라벨, 심볼 라벨, (미리 부착된) 다른 색상의 배킹 레이어 및/또는 텍스트 라벨이 서로 다른 타일 타입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설치 동안 서로 다른 타일 타입을 용이하게 인식하게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각적 표시는 예컨대 아래쪽 그루브 내측 및/또는 위쪽 그루브 내측 및/또는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타입의 타일을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제1 결합 프로필이 제1 에지에 배열되고, 제2 결합 프로필이 제2 에지에 배열되며, 제3 결합 프로필이 제3 에지에 결합되고, 제4 결합 프로필이 제4 에지에 배열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타일은 예컨대 A 타입 타일이라고 불릴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제1 결합 프로필이 제2 에지에 배열되고, 제2 결합 프로필이 제1 에지에 결합되며, 제3 결합 프로필이 제3 에지에 배열되고, 제4 결합 프로필이 제4 에지에 배열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타일은 예컨대 B 타입 타일이라고 불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결합 프로필은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옆쪽 텅을 포함하고, 상기 옆쪽 텅의 바닥 전방 영역, 상기 텅의 바닥 후방 영역은 지지 영역으로 형성되는데, 바닥 후방 영역은 바닥 전방 영역의 가장 낮은 부분보다 타일의 상부 사이드의 높이에 더 가까이 배치되고, 제2 결합 프로필은 다른 타일의 옆쪽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리세스는 상부 립과 하부 립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하부 립은 옆쪽 텅의 지지 영역을 바라보는 및/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해 옆쪽으로 돌출된 숄더가 제공되며, 옆쪽 텅은 다른 타일 옆쪽 텅의 리세스로 도입 운동 및 제1 결합 프로필에 평행한 축에 대한 앵글링 다운 운동에 의해 잠금이 일어나도록 형성되고, 그 결과 옆쪽 텅의 상단 사이드가 상부 립과 맞물리며, 옆쪽 텅의 지지 영역은 하부 립의 숄더를 바라보고 및/또는 이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제1 및 제2 에지에서 이웃한 타일의 잠금을 유발한다. 제1 및 제2 에지에서, 두 타일 사이의 수평 방향으로 잠금은 위쪽으로 돌출된 숄더의 존재에 의해 확립되는데, 이는 옆쪽 텅(수 부분)의 바닥 전방 영역이 위쪽으로 돌출된 숄더 및 상보적인 리세스(암 부분)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숄더는 제자리에 옆쪽 텅의 바닥 전방 영역을 잠근다. 바람직하게는 숄더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을 갖는다. 숄더의 상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향되는데, 또한 이러한 상부 평면이 하부 립을 마주하도록 또는 이러한 상부 표면이 하부 립으로부터 멀리 바라보도록 경사질 수 있다. 코어를 향해 지향하거나 바라보는 숄더 (사이드) 벽은 바람직하게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타일을 잠그기 위한 잠금 표면으로 작용하기 위해 충분히 경사지다(가파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숄더 표면을 연결하는 상기 (내부) 숄더 벽의 상부 종단 부분은 수평 평면에 대해 적어도 4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수평 방향으로 견고한 잠금을 보장한다. 상기 숄더는 평평할 수 있는데, 커브형 숄더 벽이 제2 타일의 제2 에지의 리세스로 제1 타일의 옆쪽 텅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커브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숄더와 코어 사이에서 연장된 하부 립의 바닥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브형(라운드형)인데, 더 바람직하게는 하부 립의 상기 바닥 영역의 형상은 옆쪽 텅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형인 바닥 전방 영역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이다. 상보적인 라운드형인 표면은 타일의 결합 동안 슬라이딩 표면으로 작용한다. 상부 표면은 하부 립의 대응되는 바닥 영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보적이다. 두 타일의 제1 및 제2 에지에서 수직 방향으로 잠금은 잠금 표면으로 작용하는 상부 립의 바닥 표면에 옆쪽 텅의 상단 표면의 맞물림에 의해 확립된다. 실제로, 상부 립은 삽입된 옆쪽 텅이 수직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 후, 옆쪽 텅의 상단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립의 바닥 표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결합 후, 옆쪽 텅의 상단 표면은 상부 립의 전체 바닥 표면에 맞물린다. 이러한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맞물림은 결합된 타일 사이에 여유 공간을 방지한다. 이에, 타일은 제1 에지와 제2 에지에서 여유 공간 없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스템의 타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3 결합 프로필은 위쪽 텅, 위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쪽 플랭크 및 위쪽 텅과 위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위쪽 그루브를 포함하는데, 위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위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고, 위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요소를 포함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위쪽 텅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제4 결합 프로필은 아래쪽 텅, 아래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래쪽 플랭크 및 아래쪽 텅과 아래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아래쪽 그루브를 포함하며, 아래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고, 아래쪽 플랭크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쪽 플랭크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또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와 상호 작용을 위해 형성되고, 결합될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은 또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을 향해 시저링 운동을 형성하여, 결합될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의 아래쪽 텅이 상기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의 위쪽 그루브로 강제되고, 상기 다른 타일의 위쪽 텅이 결합 프로필 에지 및/또는 제3 결합 프로필의 변형에 의해, 결합될 타일의 아래쪽 그루브로 강제되도록 하여,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제3 및 제4 결합 프로필에서 이웃한 타일의 잠금을 유발한다.
전형적으로, 타일의 제1 에지의 길이와 제2 에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타일의 제3 에지의 길이와 제4 에지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전형적이다. 타일의 제1 에지의 길이와 제2 에지의 길이가 상기 타일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마름모꼴 형상의 타일을 제공한다. 다만, 흔히 타일의 제1 에지의 길이와 제2 에지의 길이가 상기 타일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의 길이보다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평행사변형을 갖는 길쭉한 타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스템의 각 타일의 제1 예각과 제2 예각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45°(+/- 1° 또는 2°)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스템의 각 타일의 제1 둔각과 제2 둔각은 120° 내지 150°, 더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40°,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135°(+/- 1° 또는 2°)이다.
각 타일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 상부 사이드에 부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장식 레이어를 포함한다. 상부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합금, 비닐모노머코폴리머 및/또는 호모폴리머와 같은 고분자 소재,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에폭시레진, 페놀포름알데히드레진, 유레아포름알데히드레진과 같은 축합 폴리머, 식물성 파이버, 동물성 파이버, 미네랄파이버, 세라믹파이버 및 카본파이버와 같은 천연 고분자 소재 또는 그 변형 파생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비닐모노머코폴리머 및/또는 호모폴리머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코폴리머, 폴리포르필렌, 에틸렌포르필렌코폴리머,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펜 및 스티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코폴리머 및 그 파생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초고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부 기판 레이어는 또한 물리적 특성 및/또는 화학적 특성 및/또는 제품의 가공성을 개선하는 첨가물 및 필러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물은 알려진 강화제, 가소제, 보강제, 향균(소독)제, 내염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부 기판의 장식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 또는 베이스 레이어에 적용된 프라이머 레이어와 같은 지지 레이어에 디지털식으로 인쇄된 잉크 레이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부 기판의 장식 레이어가 인쇄 PET 필름이나 인쇄 PVC 필름과 같은 인쇄 합성 필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 상부 사이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평면에서 나란하게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상부 기판이 평행한 구성을 가지며, 적어도 두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의 마주보는 길이 방향 에지는 상단 사이드 근처에 베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상부 기판, 바람직하게는 각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은 장식 레이어 및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내마모성 웨어 레이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웨어 레이어의 상단 표면은 상기 타일의 상단 표면이고, 웨어 레이어는 장식 레이어가 투명한 웨어 레이어를 통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및/또는 반투명한 소재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의 마주보는 길이 방향 에지는 상단 사이드에 베벨이 (각각) 제공된다. 베벨은 시각적인 이음매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어, 이웃한 상부 기판의 이음매 없는 맞물림을 보장한다. 상기 베벨은 바람직하게는 장식 레이어를 덮는 웨어 레이어의 챔퍼링된 부분 및/또는 각인된 부분 및/또는 잘린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베벨은 장식 레이어 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베벨은 장식 레이어를 온전히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피니싱 레이어가 장식 레이어와 웨어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피니싱 레이어는 PVC나 PET와 같은 열가소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은 베이스 레이어와 장식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 백 레이어를 포함한다. 백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PVC나 PET와 같은 열가소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백 레이어 두께는 상부 기판의 두께의 적어도 50%이다. 백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표면에 부착된 프라이머 레이어와 같은 중간 레이어나 베이스 레이어에 접착, 용단 또는 용접된다. 바람직하게는 백 레이어의 상단 부분의 너비는 전형적으로 단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백 레이어의 바닥 부분의 너비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에지의 상기 바닥 부분을 절삭(트리밍) 및/또는 변형함으로써, 이웃한 상부 기판의 개선된 이음매 없고 긴밀한 맞물림이 적어도 상단 표면(들) 근처에서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백 레이어의 마주하는 길이 방향 에지의 바닥 부분은 챔퍼링된다. 상기 챔퍼링은 바람직하게는 타일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평행한 (수평) 평면을 향하기 보다는 타일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직각인 (수직) 평면을 향해 더 경사진다. 챔퍼링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를 향해) 아래쪽 방향으로 안쪽으로 경사진다. 제조 동안, 상부 기판은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데, 상부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웃하여 꽤 긴밀하게 배치된다. 상부 기판(들)의 바닥 부분의 상기 좁은 너비가 적용될 경우, 상기 상부 기판의 바닥 사이드에 또는 그 근처에, 이웃한 상부 기판 사이에 작은 공기 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상부 기판의 짧은 에지가 한 쌍의 마주하는 에지, 바람직하게는 타일의 한 쌍의 긴 에지를 함께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기판(들)의 짧은 에지는 또한 상단 표면 근처에 베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웃한 타일이 서로 이음매 없이 맞물리게 허용하거나 이를 가능하게 한다.
상부 기판은 전형적으로 장식 레이어 및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내마모성 웨어 레이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웨어 레이어의 상단 표면은 상기 타일의 상단 표면이고, 웨어 레이어는 장식 레이어가 투명한 웨어 레이어를 통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이다.
상부 기판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0.1 내지 3.5 mm,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3.2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2.5 mm이다. 상부 기판에 대한 폼 베이스 레이어의 두께 비는 흔히 약 1 내지 15 : 0.1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10 : 0.5 내지 3.2,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8 : 1 내지 3,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8 : 2 내지 2.5이다.
각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부 기판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레이어는 폼 베이스 레이어와 상부 기판을 함께 접착할 수 있는 알려진 접착제 또는 바인더, 예컨대 폴리우레탄, 에폭시레진,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산코폴리머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 레이어는 핫멜트 접착제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상부 기판의 일부일 수 있는 장식 레이어나 디자인 레이어는 알려진 형태의 PVC 레진과 같은 적절한 알려진 플라스틱 소재, 안정제, 가소제 및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그밖에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레이어는 우드 그레인, 금속 또는 암석 디자인 및 파이버형 패턴 또는 삼차원 형상과 같은 인쇄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레이어는 화강암, 암석 또는 금속과 같이 무거운 제품을 모방하는 삼차원 외형을 갖는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디자인 레이어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0.01 내지 0.1 mm, 바람직하게는 약 0.015 내지 0.08 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0.7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5 mm이다. 전형적으로 타일의 상부 표면을 형성하는 웨어 레이어는 그 아래에 레이버(laver)가 코팅된 내마모성 고분자 물질 또는 알려진 세라믹 비드 코팅과 같은 적절한 알려진 내마모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웨어 레이어가 레이어 형태로 제공되면, 이는 그 아래에 있는 레이어에 접착될 수 있다. 웨어 레이어는 또한 자외선 코팅과 다른 유기 폴리머 레이어의 조합 또는 자외선 코팅과 같이, 무기 소재 레이어 및/또는 유기 폴리머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페인트가 표면 긁힘 저항성, 광택, 미생물 저항성 및 그밖에 제품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비닐레진과 같은 폴리머 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레진을 포함하는 다른 유기 폴리머 및 적절한 양의 가소제와 그밖에 공정 첨가물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 상부 사이드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기판은 동일한 평면에 나란하게 배열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상부 기판은 평행한 구성으로 배향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두 상부 기판은 직각인 배향으로 배향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기판은 상기 상부 기판의 길이 방향 축이 타일의 한 쌍의 마주하는 에지에 대해 평행하도록,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사이드에 부착된다. 여기서, 복수의 상부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표면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고, 더 바람직하게는 타일의 제1 에지로부터 제2 에지로 연장된다. 복수의 상부 기판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장식 레이어를 포함하는데, 적어도 두 이웃하게 배열된 상부 기판의 장식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외형을 갖는다. 동일한 평면에 나란하게 배열되며 베이스 레이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의 적용은 셰브런 패턴이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 그 자체에 의해 정의되는 매력적인 심미적 효과를 만들어 내는 한편, 설치 동안 시간이 많이 들고 비싼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이 아니라, 단지 타일 그 자체가 설치되어야 하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포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기포제는 베이스 레이어의 형성을 처리하는데, 이는 베이스 레이어의 밀도를 줄인다. 이는 경량 타일을 제공하는데, 이는 비발포 베이스 레이어를 가지며 치수적으로 비슷한 타일과 비교하여 더 경량이다. 바람직한 기포제는 베이스 레이어에 사용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소재뿐만 아니라, 원하는 폼 비, 폼 구조, 바람직하게는 또한 원하는 폼 비 및/또는 폼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원하는 (또는 요구되는) 폼 온도에 의존한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온도에서 베이스 레이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기포제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는 발포 베이스 레이어가 더 점진적으로, 그리고 제어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게 허용한다. 베이스 레이어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두 서로 다른 기포제의 예는 아조다이카본아미드(ADCA)와 탄산수소나트륨이다. 이들 기포제는 그 시너지로 인해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성분은 매우 다른 분해 거동을 보인다. ADCA는 발열성으로 분해되고, 190℃ 내지 210℃의 좁은,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범위에 걸쳐 주요 질량을 잃는다. 이러한 분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키커(kicker)라고도 불리는 활성제와 함께 ADCA를 사용함으로써 ADCA를 활성화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ADCA를 위해 적절한 활성제는 예컨대 다이베이직리드포스파이트, 징크옥사이드, 징크스테아레이트, 칼슘카보네이트, 마그네슘옥사이드, 실리가 및 그밖에 미네랄 화합물이다. 중탄산나트륨은 100℃ 내지 140℃의 넓은, 그러나 비교적 낮은 온도 범위에 걸쳐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분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활성제로 예컨대 시트르산, 바람직하게는 무수시트르산을 사용함으로써 낮아질 수 있다. 두 기포제 사이의 시너지는 ADVA와 중탄산나트륨이 정밀하고 균일한 셀 구조를 갖는 비교적 낮은 폼 밀도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야기한다. 이러한 셀 구조의 발생은 ADCA의 분해로부터 생성된 가스 버블, 특히 질소 가스가 분해로부터 야기된 이산화탄소 버블의 핵 형성을 위한 사이트로 작용하는 결과를 유발한다.
이와 관련하여, 또한 흔히 폼 구조를 베이스 레이어에 걸쳐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또는 부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BAMMA)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개질제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개질제, 바람직하게는 MMA나 BAMMA의 중량 함량은 2% 내지 5%,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이다.
폼 베이스 레이어를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폼 플라스틱 소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코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발포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모두 우수한 몰딩 가공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염소 처리된 PVC(CPVC) 및/또는 염소 처리된 폴리에틸렌(CPE) 및/또는 다른 염소 처리된 열가소성 소재가 베이스 레이어 및 타일 그 자체의 경도와 강도를 더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어, 각 타일의 뾰족한 정점의 취약성을 줄이는데, 이는 타일이 셰브런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평행사변형/마름모꼴 타일로 사용되기에 훨씬 더 적합하게 만든다.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폼 소재는 폼 베이스 레이어를 형성하기에 특히 적합한데, 이는 이들이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부식 저항성이 있으며, 우수한 내염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베이스 레이어에서 폼 플라스틱 소재로 사용된 플라스틱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원하는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소제가 없는데, 이는 더욱이 환경의 관점에서 선호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합성물은 35% 내지 5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의 열가소성 소재, 특히 PVC를 포함한다.
베이스 레이어는 또한 (PVC 없는) 열가소성 구성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구성은 (a) 적어도 하나의 이오노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액시드코폴리머 및 (b) 적어도 하나의 스티레닉 열가소성 폴리머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러를 포함하는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오노머는 전기적으로 중립적인 반복 유닛과 이온화된 유닛를 포함하는 코폴리머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오노머의 이온화된 유닛은 특히 금속 양이온으로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카르복실액시드 그룹일 수 있다. 대개 적은 양(전형적으로 구성 유닛의 15 mol% 미만)으로 있는 이온성 그룹은 연속적인 폴리머 상으로부터 이온성 도메인의 마이크로 상 분리를 야기하며, 물리적인 크로스링크로 작용한다. 그 결과는 종래 플라스틱에 비해 개선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이온적으로 강화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베이스 레이어의 합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필러를 포함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필러는 탤크, 초크, 우드, 칼슘카보네이트, 티타늄다이옥사이드, 하소 점토, 도자기, (다른) 미네랄 필러 및 (다른) 천연 필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필러는 파이버에 의해 형성될 수 및/또는 더스트형 입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더스트(dust)"는 우드 더스트, 코르크 더스트 또는 미네랄 더스트, 암석 파우더, 특히 시멘트와 같은 우드 아닌 더스트와 같이 작은 더스트형 입자(파우더)로 이해된다. 더스트의 평균 입자 사이즈는 14 내지 20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 미크론이다. (이러한 종류의) 필러의 주요 역할은 본 단락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베이스 레이어 및 평행사변형/마름모꼴 타일(들) 그 자체에 충분한 경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흔히 비교적 취약한 뾰족한 정점을 포함해 타일이 신뢰성 있고 내구성 있는 방식으로 셰브런 패턴을 구현하게 허용한다. 더욱이, 이러한 종류의 필러는 전형적으로 또한 베이스 레이어 및 타일(들) 그 자체의 충격 강도를 개선한다. 합성물에서 이러한 종류의 필러의 중량 함량은 합성물이 발포 합성물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5%,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8%, 가장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48%이며, 합성물이 비발포 (솔리드) 합성물인 경우 더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0%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레이어의 합성물은 40% 내지 45% 중량의 PVC 및 45% 내지 48% 중량의 미네랄 필러, 특히 탄산칼슘(초크)을 포함한다. 연구는 이러한 소재의 조합 및 소재 범위가 연성과 경도(견고함/강성)의 측면에서 베이스 레이어에 우수한 특성을 제공하여, 사용 동안, 특히 결합 동안 패널의 파손의 위험을 더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높은 함량(> 48%)의 탄산칼슘은 전형적으로 꽤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취약한 구성을 유발하는 한편, 더 낮은 함량(< 45%)의 탄산칼슘은 전형적으로 너무 유연하고 패널이 적절한 방식으로 기능하게 허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강도(강성)를 갖는 합성물을 유발한다. 더 낮은 함량(< 40%)의 PVC는 전형적으로 패널이 적절하게 기능하게 허용하기에 너무 강성인 합성물을 유발하며, 더욱이 PVC가 결합제(바인딩 매트릭스)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교적 낮은 함량은 전형적으로 합성물 그 자체의 적절하고 적합한 결합에 영향을 준다. 바람직하게는 합성물에 있는 개질제, 바람직하게는 MMA의 중량 함량은 2% 내지 5%,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시스템의 대안적인 구성에서, 각 타일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비발포 (솔리드)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를 포함한다. 솔리드 베이스 레이어는 개선된 타일 강도 및 뾰족한 정점의 낮은 취약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셰브런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타일을 사용하기 위한 적절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에 발포 합성물 대신 베이스 레이어에 솔리드 합성물을 적용하는 것의 단점은 (동일한 두께의 베이스 레이어가 적용될 경우) 타일 무게가 증가한다는 것인데, 이는 더 높은 취급 비용과 더 높은 소재 비용을 유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합성물은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필러가 염, 스테아르산염, 스테아르산칼슘 및 스테아르산아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스테아르산은 안정제의 기능을 가지며, 기포제 활성제로 작용할 수 있고, 더 유리한 공정 온도를 유발하며, 공정 동안 그리고 공정 후 합성물의 화합물의 분해에 대응하는데, 이는 따라서 장기간 안정성을 제공한다. 스테아르산 대신 또는 그에 더하여, 예컨대 칼슘징크나 징크옥사이드가 또한 안정제로 사용될 수 있다. 합성물에서 안정제(들), 특히 스테아르산아연의 중량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이다.
베이스 레이어의 합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임팩트 모디파이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임팩트 모디파이어는 전형적으로 제품 성능, 특히 충격 내구성을 개선한다. 더욱이, 임팩트 모디파이어는 전형적으로 베이스 레이어를 강화하고, 따라서 강화제로 보일 수 있는데, 이는 파손의 위험을 더 줄인다. 흔히, 모디파이어는 또한 예컨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일관된 (연속적인) 폼 구조를 갖는 폼의 형성을 제어하기 위해, 제조 공정을 촉진한다. 합성물에서 임팩트 모디파이어의 중량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베이스 레이어는 발포 합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 레이어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원하는 강성을 높이기 위해 가소제 없는데, 이는 더욱이 또한 환경의 관점에서 선호된다.
폼 베이스 레이어의 밀도는 전형적으로 약 0.1 내지 1.5 g/cm3,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1.4 g/cm3, 더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1.3 g/cm3,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1.2 g/cm3,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2 g/cm3,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6 내지 1.2 g/cm3이다. 바람직하게는 폼은 적어도 그 중앙 부분에서, 가능하게는 또한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에서, 비교적 균일한 (클로즈드 또는 오픈) 셀 분포를 갖는다. 폼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은 폼 베이스 레이어의 중앙 부분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에 사용된 플라스틱 폼은 바람직하게는 (23℃의 높이 및 50%의 상대 습도에서) 700 MPa보다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다. 이는 베이스 레이어에 대해, 그리고 평행사변형/마름모꼴 타일 그 자체에 대해 흔히 충분한 강성이다.
베이스 레이어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타일 그 자체의 어쿠스틱 (흡음) 특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포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섹션(상단 부분) 및/또는 바닥 섹션(바닥 부분)에서, 크러스트 레이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크러스트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섹션과 바닥 섹션은 폼 구조를 둘러싸는 크러스트 레이어를 형성한다. 크러스트 레이어는 비교적 클로즈드 (감소된 공극 또는 심지어 버블 (셀) 없는 상태) 상태이며, 이에 다공성 폼 구조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인 (서브)레이어를 형성한다.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흔히, 크러스트 레이어는 코어 레이어의 상단 표면과 바닥을 밀폐(시어링)함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크러스트 레이어의 두께는 0.01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 mm, 더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6 mm이다. 너무 두꺼운 크러스트는 코어 레이어의 높은 평균 밀도를 유발하는데, 이는 코어 레이어의 강성과 비용을 증가시킨다. 발포 베이스 레이어의 중앙 섹션(중앙 부분)은 양 크러스트 레이어에 의해 둘러싸인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섹션의 두께는 크러스트 레이어의 두께의 적어도 4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이다. 일반적으로, 발포 베이스 레이어의 평균 셀 사이즈 또는 (예컨대 베이스 레이어의 중앙 부분 내에서) 적어도 그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 미크론, 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미크론인 것으로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 베이스 레이어의 셀 사이즈 또는 (예컨대 베이스 레이어의 중앙 부분 내에서) 적어도 그 일부는 60 내지 140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미크론의 비교적 좁은 셀 분포를 갖는다. 이러한 좁은 셀 분포는 예컨대 기포제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데, 기포제의 분해 온도는 상호 다르다.
베이스 레이어 (코어 레이어) 그 자체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mm,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mm이며, 전형적으로 대략 4 또는 5 mm이다. 바람직하게는 (합성)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섹션 및/또는 바닥 섹션은 베이스 레이어의 클로즈드 셀 폼 플라스틱 소재의 공극보다 작은 공극을 갖는 크러스트 레이어를 형성하는데, 각 크러스트 레이어의 두께는 0.01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 mm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배킹 레이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킹 레이어는 연성 소재,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배킹 레이어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0.1 내지 2.5 mm이다. 소재의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 배킹 레이어는 폴리에틸렌, 코르크,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에틸렌 배킹 레이어의 두께는 예컨대 전형적으로 2 mm 이하이다. 배킹 레이어는 흔히 각 타일 그 자체에 충격 내구성과 추가적인 견고함을 제공하는데, 이는 타일의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연성) 배킹 레이어는 타일의 어쿠스틱 (흡음)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레이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레이어 세그먼트가 상호 힌지 가능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킹 레이어에 부착된 복수의 별개의 베이스 레이어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타일의 경량 특성은 수직 벽 표면에 타일을 설치할 때 확실한 고정을 얻기 위해 유리하다. 또한 특히 입구 통로와 같은 외부 코너, 가구, 교차하는 벽의 내부 코너와 같은 수직 코너에 타일을 설치하기 쉽다. 내부 또는 외부 코너 설치는 타일의 벤딩이나 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타일의 폼 베이스 레이어에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보강 레이어가 상부 기판과 베이스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다. 이는 타일 그 자체의 강성의 추가적인 개선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또한 타일의 어쿠스틱 (흡음) 특성의 개선을 유발할 수 있다. 보강 레이어는 직포 또는 부직포 파이버 소재, 예컨대 글라스 파이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0.2 내지 0.4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타일이 서로 위아래로 쌓인 복수의 (흔히 얇은) 베이스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레이어는 두 이웃한 베이스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 레이어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kg/m3, 바람직하게는 1,400 내지 1,900 kg/m3, 더 바람직하게는 1,400 내지 1,700 kg/m3이다.
또한 베이스 레이어가 서로 위아래로 쌓인 합성 레이어의 적층을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다층 베이스 레이어는 예컨대 공유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의 서로 다른 합성 레이어는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또한 베이스 레이어의 서로 다른 레이어의 구성이 동일한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서로 다른 레이어의 구조는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합성 레이어가 (상대적으로) 중실(solid) 구조를 갖는 한편, 베이스 레이어의 다른 합성 레이어는 폼 구조를 갖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다층 베이스 레이어가 적어도 하나의 폼 합성 레이어를 둘러싸는 적어도 두 중실 합성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제1 기계적 결합 수단 및/또는 전체 제2 기계적 결합 수단이 베이스 레이어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는 또한 제1 기계적 결합 수단 및/또는 전체 제2 기계적 결합 수단이 베이스 레이어 내에 일체로 형성 및/또는 그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3 결합 프로필 및/또는 제4 결합 프로필이 주로 강성이지만, 제3 결합 프로필 및/또는 제4 결합 프로필은 결합 및 분리 동안 (약간의) 변형을 허용하는데, 이는 결합 및 분리를 상당히 용이하게 한다.
결합 및 분리 동안 결합 부분은 흔히 가장 약한 섹션에서 또는 그 안에서 변형되도록 경사진다. 이를 위해, 제1 결합 부분과 제2 결합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분은 베이스 레이어에 상기 결합 요소의 텅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는데, 브리지의 최소 두께는 텅의 최대 너비보다 작다. 이는 텅 그 자체라기 보다는 브리지(들)이 결합 및 분리 동안 약간 변형되게 강제하는데, 이는 흔히 텅의 내구성 (및 형상 안정성) 및 두 타일 사이에 구현된 결합의 내구성과 신뢰성에 유리하다.
아래쪽 그루브의 상부 사이드(상부 표면)를 정의하는 제2 결합 부분의 상부 브리지의 하부 사이드(하부 표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타일의 코어를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상부 표면)는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질 수 있는데,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의 경사와 제2 결합 부분의 상부 브리지의 경사는 동일할 수 있으나, 또한 두 경사가 예컨대 0 내지 5°의 각을 상호 둘러싸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2 결합 부분의 브리지 부분의 경사는 브리지 부분의 자연스러운 약해진 영역을 형성하는데, 이는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아래쪽 텅과 위쪽 텅 각각은 실질적으로 강성인데, 이는 텅이 변형을 받게 구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텅 그 자체는 비교적 뻣뻣하며, 유연하지 않다. 더욱이, 텅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실이며, 이는 텅이 실질적으로 중량감이 있으며, 소재로 완전히 충전되지 않고, 텅 및 구현될 타일 연결의 구성을 약화하는 상부 표면의 그루브가 제공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강성인 중실 텅을 적용함으로써, 비교적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텅이 얻어지며, 이에 의해 내구성 있고 신뢰성 있는 타일 연결이 내구성 있는 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을 이용함 없이 구현될 수 있다.
타일의 실시예에서, 타일의 상부 사이드를 연결하는 위쪽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이들 타일의 결합 상태에서 다른 타일의 상부 사이드를 연결하는 아래쪽 텅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들 표면의 맞물림은 결합 부분 사이의 유효 접촉 표면의 증가 및 두 타일 사이의 연결의 안정성과 견고함의 증가를 유발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타일의 상부 사이드는 다른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실질적으로 이음매 없이 맞물리도록 형성되는데, 그 결과 두 타일, 특히 그 상부 표면 사이에 이음매 없는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잠금 요소는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는 흔히 제1 잠금 요소가 타일의 위쪽 정렬 에지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야기하며, 제2 결합 부분의 최대 변형이 감소될 수 있는 한편, 연결 과정과 변형 과정이 연속적인 단계로 실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적은 변형은 적은 소재 응력을 유발하는데, 이는 결합 부분(들) 및 타일(들)의 수명에 유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잠금 요소는 아래쪽 그루브의 상부 사이드로부터 이격되어 상보적으로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아래쪽 정렬 에지의 유효 높이는 위쪽 텅의 유효 높이보다 크다. 이는 흔히 타일의 아래쪽 정렬 에지가 사전 정렬된 상태(중간 상태)의 경우에 다른 타일에 맞물리지 않는 상황을 야기한다. 위치 선택적인 접촉 없는 사전 정렬은 다른 타일의 상부 표면을 따라 타일의 아래쪽 정렬 에지를 강제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에 대항하는데, 이는 타일을 손상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위쪽 플랭크(및/또는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사이드의 법선)와 위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호 각은 아래쪽 플랭크(및/또는 베이스 레이어의 하부 사이드의 법선)와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호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서로에 대한 두 텅 부분의 긴밀한 맞춤 연결은 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으로 두 타일 사이의 결합의 견고함을 개선한다. 실시예 변경에서 한편으로는 위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사이드의 법선 및/또는 위쪽 플랭크에 의해 둘러싸인 각은 0 내지 60°, 특히 0 내지 45°, 더욱 특히 0 내지 10°이다. 다른 실시예 변경에서 한편으로는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레이어의 하부 사이드의 법선 및/또는 아래쪽 플랭크에 의해 둘러싸인 각은 0 내지 60°, 특히 0 내지 45°, 더욱 특히 0 내지 10°이다.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텅 사이드의 결과적인 경사는 흔히 또한 타일을 제조하기 위해 적용된 제조 수단에 의존한다. 실시예에서 아래쪽 정렬 에지의 경사는 적어도 위쪽 플랭크의 상부 부분의 경사보다 작은데, 그 결과 확장 챔버가 두 표면 사이에 형성되며, 이는 여유 공간을 허용하여 예컨대 타일에 의한 수분 흡수로 인한 확장을 보상한다.
변경에서,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사이드의 법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위쪽 텅의 두께가 위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텅의 사이드의 방향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갖는다. 아래쪽 그루브가 본 발명에 따른 두 타일의 결합 위치에서,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에 실질적으로 연결되게 하여, 아래쪽 그루브의 상부 사이드가 베이스 레이어의 하부 사이드의 법선의 방향으로 연장되게 함으로써, 한편으로는 비교적 강하고 중실인, 다른 한편으로는 이웃한 타일의 제1 결합 부분에 구현될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분한 탄성을 보장하는 제2 결합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정렬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표면에 의해 형성되어, 두 타일을 결합하는 과정 동안 다른 결합 부분의 가이드가 전체적으로 가능한 제어된 방식으로 진행되게 허용한다. 둥근 정렬 에지의 적용이 다만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변경에서 제2 결합 부분의 정렬 에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결합 부분의 위쪽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보다 실질적으로 더 평평한 배향을 갖는다. 이러한 조치를 적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제1 결합 부분의 플랭크와 제2 결합 부분의 정렬 에지 사이에 공기 갭이 결합 위치에서 형성된다. 두 결합 부분 사이에 의도적으로 형성된 이러한 간격은 흔히 이러한 간격이 결합 부분의 일시적인 변형을 방지하지 않기 때문에 이웃한 타일의 결합 동안 유리한데, 이는 결합 부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나아가, 형성된 간격은 예컨대 환경적인 온도 변화로부터 야기된 타일의 확장을 흡수하는 목적을 위해 유리하다.
실시예 변경에서 베이스 레이어를 연결하는 제1 결합 부분의 위쪽 플랭크는 아래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위한 멈춤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타일의 상부 사이드의 긴밀한 맞춤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흔히 사용자의 관점으로부터 유리하다. 베이스 레이어를 연결하는 제1 결합 부분의 위쪽 플랭크의 일부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아래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두 결합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멈춤 표면을 적용하는 것은 결합 위치에서 결합 부분이 상대적으로 긴밀한 맞춤으로 그리고 견고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위쪽 그루브가 이웃한 타일의 아래쪽 텅을 클램핑 맞춤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아래쪽 텅에 클램핑 맞춤으로 위쪽 그루브 또는 적어도 그 일부를 수용하는 것은 아래쪽 텅이 위쪽 그루브에 의해 비교적 긴밀하게 맞춰져 둘러싸이는 이점을 갖는데, 이는 대개 결합 구조의 견고함을 개선한다. 이는 아래쪽 그루브가 이웃한 타일의 위쪽 텅을 클램핑 맞춤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실시예 변경도 마찬가지다.
실시예 변경에서 위쪽 플랭크와 아래쪽 프랭크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플랭크뿐만 아니라 잠금 요소를 서로 비교적 긴밀하게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전체적으로 잠금 요소에 의해 구현된 잠금 효과를 개선한다.
다른 실시예 변경에서, 적용될 경우, 제1 잠금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바깥쪽 벌지를 포함하고, 적용될 경우, 제2 잠금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데, 바깥쪽 벌지는 잠금 결합을 구현하는 목적을 위해 이웃한 결합된 타일의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 변경은 일반적으로 제조 공학의 관점으로부터 유리하다. 제1 잠금 요소와 제2 잠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보적인 형태를 취하는데, 이에 의해 서로 이웃한 타일의 잠금 요소의 형상 맞춤 연결이 구현되며, 이는 잠금의 효과를 개선한다. 대안적으로, 제2 잠금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바깥쪽 벌지를 포함하고, 제1 잠금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는데, 바깥쪽 벌지는 잠금 결합을 구현하는 목적을 위해 이웃한 결합된 타일의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잠금 요소는 벌지 리세스 조합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고마찰 접촉 표면 및/또는 상호 작용 프로필 표면의 다른 조합에 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실시예에서, 제1 잠금 요소 및/또는 제2 잠금 요소는 맞물린 (결합된) 조건에서 다른 타일의 다른 잠금 요소와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한, 선택적으로는 별도의,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 (다른 형상의 평평한) 접촉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해 적합한 플라스틱의 예는
- 아세탈(POM); 우수한 크리프 저항을 가지며 강성이고 강함; 이는 낮은 마찰 계수를 갖고, 높은 온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온수에 우수한 저항성을 제공함;
- 나일론(PA); 대부분 폴리머보다 더 수분을 흡수함; 충격 강도와 전체적인 에너지 흡수 성능은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실제로 향상됨; 나일론은 또한 낮은 마찰 계수를 갖고,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우수한 화학적 저항성을 가짐;
- 폴리프탈아미트(PPA); 이러한 고성능 나일론은 개선된 온도 저항성 및 낮은 수분 흡수를 가짐; 이는 또한 우수한 화학적 저항성을 가짐;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높은 강도를 갖고 우수한 화학적 및 화염 저항성을 가지며 고온 열가소성임; PEEK는 항공우주 산업에서 선호됨;
-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화학적 및 고온 저항성, 난연성, 유동성, 치수적 안정성 및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포함하는 특성의 밸런스를 제공함;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치수적으로 안정적이고,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며 고열 및 화학적 저항성을 가짐;
- 열가소성 폴리이미드(TPI);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및 내마모 특성을 가지며 본질적으로 난연성임;
- 폴리카보네이트(PC); 우수한 충격 강도, 높은 열 저항성 및 우수한 치수적 안정성을 가짐; PC는 또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미네랄 및 유기산과 물에서 안정적임; 및
-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높아진 온도에서 강도와 강성을 유지함; 이는 또한 우수한 장시간 열 저항성, 치수적 안정성, 본질적인 난연성 및 탄화수소, 알코올 및 할로겐화 솔벤트에 대한 저항성을 가짐;을 포함한다.
위 폴리머의 대부분의 성능은 또한 (필요시) 마찰을 줄이는 특정한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고마찰 폴리머 소재는 예컨대 (별도의) 소재적 스트립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고마찰 폴리머 소재의 적용은 아래쪽 플랭크와 위쪽 텅의 먼 사이드(외부 사이드)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설계를 갖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실시예에서, 제1 잠금 요소는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로부터 이격되게 제1 잠금 요소를 배치하는 것은 다양한 이점을 갖는다. 제1 이점은 제1 잠금 요소가 위쪽 텅의 정렬 에지(의 하부 부분)보다 낮게 배치됨으로써, 두 결합 부분 사이의 결합이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잠금 요소의 이러한 배치가 이웃한 타일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합 과정 동안 연관된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텅 사이드는 먼저 서로 맞물리고, 그 후 잠금 요소가 서로 맞물리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제1 정렬 에지와 제1 잠금 요소가 동일한 높이 정도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더 적은 최대 회전 (크기) 및 이웃한 타일의 제2 결합 부분의 변형을 요구한다.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로부터 이격되게 제1 잠금 요소를 배치하는 것의 다른 이점은 각 결합 부분의 탄성 브리지에 의해 일반적으로 형성된 베이스 레이어와 각 결합 부분 사이의 탄성 연결에 대한 거리가 증가함으로써, 결합 부분에 가해진 토크가 잠금 요소에 의해 비교적 신속하게 보상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잠금의 신뢰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제1 잠금 요소와 제2 잠금 요소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 위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가 이웃한 타일의 결합 조건에서 아래쪽 텅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래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는 제3 잠금 요소가 제공되는데, 위쪽 플랭크는 제4 잠금 요소가 제공되고, 상기 제3 잠금 요소는 다른 타일의 제4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추가적인 내부 잠금 메커니즘을 야기하는데, 이는 결합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3 (또는 제4) 잠금 요소는 하나 이상의 벌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제4 (또는 제3) 잠금 요소는 이웃한 타일의 결합 조건에서 상기 벌지와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상보적인 리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타일의 결합 조건에서 제3 잠금 요소와 제4 잠금 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은 타일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각(A1)을 둘러싸는 접선(T1)을 정의하는데, 각(A1)은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과 위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정의된 접선(T2)과 타일에 의해 정의된 상기 평면에 의해 둘러싸인 각(A2)보다 작다. 더 바람직하게는 각(A1)과 각(A2) 사이의 가장 큰 차는 5° 내지 10°이다. 베이스 레이어의 하부 사이드와 아래쪽 텅의 상부 에지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는 평면을 정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제3 잠금 요소와 아래쪽 텅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평면의 반대되는 사이드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3 잠금 요소는 타일의 상부 표면 또는 상부 섹션에 의해 정의된 타일 에지에 대해 돌출된다. 여기서, 제3 잠금 요소는 결합 조건에서 이웃한 타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이는 타일 결합을 더 개선할 수 있다. 타일의 상부 사이드와 상기 잠금 표면 사이의 최소 거리가 타일의 상기 상부 사이드와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 사이의 최소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 유리하다. 이는 제2 (또는 제1) 결합 부분의 최대 변형을 줄이는 한편, 연결 과정과 변형 과정이 연속적인 단계로 실행될 수 있다. 적은 변형은 적은 소재적 응력을 유발하는데, 이는 결합 부분(들) 및 타일(들)의 수명에 유리하다.
"제1", "제2", "제3" 및 "제4"와 같이 본 문헌에서 사용된 순번은 구분 목적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제3 잠금 요소"와 "제4 잠금 요소"라는 표현의 사용은 따라서 반드시 "제1 잠금 요소"와 "제2 잠금 요소"의 공동 존재를 요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호 결합된 타일로 구성된 타일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벽 커버링, 천장 커버링 및/또는 가구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 제한적이지 않은 조항으로 제시된다.
조항
1. 복수의 다목적 타일, 특히 바닥 타일을 포함하는 다목적 타일 시스템, 특히 바닥 타일 시스템으로서, 상기 타일은 셰브런 패턴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각 타일은
- 제1 에지 및 반대되는 제2 에지로 구성된 제1 마주하는 에지 쌍,
- 제3 에지 및 반대되는 제4 에지로 구성된 제2 마주하는 에지 쌍을 포함하며,
- 제1 에지와 제3 에지는 제1 예각을 둘러싸고, 제2 에지와 제4 에지는 상기 제1 예각을 마주하는 제2 예각을 둘러싸며, 제2 에지와 제3 에지는 제1 둔각을 둘러싸고, 제1 에지와 제4 에지는 상기 제1 둔각을 마주하는 제2 둔각을 둘러싸고,
- 제1 쌍의 마주하는 에지는 적어도 수직으로, 바람직하게는 또한 수평으로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기 위한 쌍들의 마주하는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을 갖고,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은
-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옆쪽 텅을 포함하는 제1 결합 프로필 및
- 타일 다른 타일의 옆쪽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부 립과 하부 립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1 기계적 결합 프로필은 안쪽 앵글링으로 옆쪽 텅의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에 의해 수용됨으로써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는 것을 허용하는 제2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며,
- 제2 쌍의 마주하는 에지는 수직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기 위한 쌍들의 마주하는 제2 기계적 결합 수단을 갖고, 제2 기계적 결합 수단은
- 위쪽 텅, 위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쪽 플랭크 및 위쪽 텅과 위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위쪽 그루브를 포함하고, 위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위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며, 위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위쪽 텅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제3 결합 프로필 및
- 아래쪽 텅, 아래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래쪽 플랭크 및 아래쪽 텅과 아래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아래쪽 그루브를 포함하는 제4 결합 프로필로서, 아래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고, 아래쪽 플랭크는 아래쪽 플랭크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또 다른 타일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와 상호 작용을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제2 기계적 결합 프로필은 한 타일의 제1 결합 프로필 및 다른 타일의 제2 결합 프로필의 안쪽 앵글링 동안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는 것을 허용하고, 결합될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은 또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을 향해 시저링 운동을 형성하여, 제3 결합 프로필과 제4 결합 프로필의 잠금을 유발하는 제4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고,
각 타일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발포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2. 제1조에 있어서, 시스템은 두 서로 다른 타입의 타일(A, B)을 포함하고,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를 따라서 있는 한 타입의 타일의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은 다른 타입의 타일의 동일한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 부분을 따라서 있는 대응되는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에 대해 거울 대칭 방식으로 배열되는 타일 시스템.
3. 제1조 또는 제2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 제1 결합 프로필이 제1 에지에 배열되고,
- 제2 결합 프로필이 제2 에지에 배열되며,
- 제3 결합 프로필이 제3 에지에 배열되고,
- 제4 결합 프로필이 제4 에지에 배열되는 구성을 갖는 타일 시스템.
4.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 제1 결합 프로필이 제2 에지에 배열되고,
- 제2 결합 프로필이 제1 에지에 배열되며,
- 제3 결합 프로필이 제3 에지에 배열되고,
- 제4 결합 프로필이 제4 에지에 배열되는 구성을 갖는 타일 시스템.
5.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 제1 결합 프로필은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옆쪽 텅을 포함하고, 상기 옆쪽 텅의 바닥 전방 영역, 상기 텅의 바닥 후방 영역은 지지 영역으로 구성되며, 바닥 후방 영역은 바닥 전방 영역의 가장 낮은 부분보다 타일의 상부 사이드의 높이에 더 가까이 배치되고,
- 제2 결합 프로필은 다른 타일의 옆쪽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부 립과 하부 립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하부 립은 옆쪽 텅의 지지 영역을 바라보는 및/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위쪽으로 돌출된 숄더가 제공되고, 옆쪽 텅은 다른 타일 옆쪽 텅의 리세스로 도입 운동 및 제1 결합 프로필에 평행한 축에 대한 앵글링 다운 운동에 의해 잠금이 일어나도록 설계되며, 그 결과 옆쪽 텅의 상단 사이드는 상부 립에 맞물리고, 옆쪽 텅의 지지 영역은 하부 립의 숄더를 바라보며 및/또는 그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제1 및 제2 에지에 이웃한 타일의 잠금을 유발하는 타일 시스템.
6.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 제3 결합 프로필은 위쪽 텅, 위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쪽 플랭크 및 위쪽 텅과 위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위쪽 그루브를 포함하고, 위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위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며, 위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위쪽 텅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 제4 결합 프로필은 아래쪽 텅, 아래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래쪽 플랭크 및 아래쪽 텅과 아래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아래쪽 그루브를 포함하고, 아래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며, 아래쪽 플랭크는 바람직하게는 아래쪽 플랭크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또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와 상호 작용을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 제3 및 제4 결합 프로필은 다른 타일의 제2 결합 프로필에 제1 결합 프로필에서 결합될 타일의 앵글링 다운 동안 잠금이 일어나도록 설계되고, 결합될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은 또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을 향해 시저링 운동을 형성하여, 결합될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의 아래쪽 텅이 상기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의 위쪽 그루브로 강제되며, 상기 다른 타일의 위쪽 텅이 제3 결합 프로필 및/또는 결합 프로필 에지의 변형에 의해, 결합될 타일의 아래쪽 그루브로 강제되도록 하여,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제3 및 제4 결합 프로필에서 이웃한 타일의 잠금을 유발하는 타일 시스템.
7.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타일의 제1 에지의 길이와 제2 에지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타일 시스템.
8.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타일의 제1 에지의 길이와 제2 에지의 길이는 상기 타일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의 길이보다 큰 타일 시스템.
9.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제1 예각과 제2 예각은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45°인 타일 시스템.
10.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제1 둔각과 제2 둔각은 1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35°인 타일 시스템.
11.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 상부 사이드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장식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12. 제11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기판은
- 장식 레이어 및
-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내마모성 웨어 레이어로서, 상기 웨어 레이어의 상단 표면은 상기 타일의 상단 표면이고, 웨어 레이어는 장식 레이어가 투명한 웨어 레이어를 통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및/또는 반투명한 소재인 웨어 레이어,
- 선택적으로, 장식 레이어와 웨어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 투명한 피니싱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13.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기판은 베이스 레이어와 장식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 백 레이어,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백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14. 제11조 내지 제13조 중 하나에 있어서, 상부 기판은 금속, 합금, 비닐모노머코폴리머 및/또는 호모폴리머와 같은 고분자 소재,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에폭시레진, 페놀포름알데히드레진, 유레아포름알데히드레진과 같은 축합 폴리머, 식물성 파이버, 동물성 파이버, 미네랄파이버, 세라믹파이버 및 카본파이버와 같은 천연 고분자 소재 또는 그 변형 파생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타일 시스템.
15. 제14조에 있어서, 비닐모노머코폴리머 및/또는 호모폴리머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코폴리머, 폴리포르필렌, 에틸렌포르필렌코폴리머,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펜 및 스티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코폴리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타일 시스템.
16. 제11조 내지 제15조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기판은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사이드에 부착되는 타일 시스템.
17. 제11조 내지 제16조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 상부 사이드에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구성으로 동일한 평면에 나란하게 배열되는 타일 시스템.
18. 제17조에 있어서, 복수의 상부 기판은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기판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는 타일 시스템.
19. 제17조 또는 제18조에 있어서, 복수의 상부 기판 각각은 타일의 제1 에지로부터 제2 에지로 연장되는 타일 시스템.
20. 제17조 내지 제19조 중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상부 기판 각각은 장식 레이어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이웃하게 배열된 상부 기판의 장식 레이어는 서로 다른 외형을 갖는 타일 시스템.
21. 제17조 내지 제20조 중 하나에 있어서, 각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은 베이스 레이어와 장식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 백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22. 제21조에 있어서, 백 레이어의 상단 부분의 너비는 백 레이어의 바닥 부분의 너비보다 큰 타일 시스템.
23. 제21조 또는 제22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의 마주하는 길이 방향 에지는 아래쪽 방향으로 봤을 때, 안쪽으로 경사진 타일 시스템.
24. 제17조 내지 제23조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두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의 마주보는 길이 방향 에지는 상단 사이드 근처에 베벨이 제공되는 타일 시스템.
25. 제24조에 있어서, 각 베벨은 장식 레이어를 덮는 웨어 레이어의 잘린 부분 및/또는 각인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타일 시스템.
26.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각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은 상기 인쇄 레이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삼차원 엠보싱 구조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27.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에서 플라스틱 소재의 중량 퍼센트는 40% 내지 45%인 타일 시스템.
28.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러는 칼슘카보네이트이고, 베이스 레이어에서 칼슘카보네이트의 중량 퍼센트는 45% 내지 48%인 타일 시스템.
29.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는 복수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30. 제29조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는 서로 다른 분해 온도에서 분해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서로 다른 발포제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31. 제29조 또는 제30조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 발포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활성 발포제, 더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분해 온도에서 분해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서로 다른 활성 발포제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32. 제29조 내지 제31조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흡열성 발포제, 바람직하게는 중탄산나트륨 및 적어도 하나의 발열성 발포제, 바람직하게는 아조디카본아미드(ACDA)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33.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의 발포 합성물의 플라스틱 소재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인 타일 시스템.
34.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의 발포 합성물의 플라스틱 소재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인 타일 시스템.
35.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필러는 탤크, 초크, 우드, 칼슘카보네이트 및 미네랄 필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타일 시스템.
36.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필러는 염, 스테아르산염, 스테아르산칼슘 및 스테아르산아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타일 시스템.
37.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임팩트 모디파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타일 시스템.
38.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는 클로즈드 셀 폼 플라스틱 소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플라스틱 소재는 가소제가 없는 타일 시스템.
39.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발포 합성물은 0.1 내지 1.5 g/cm3의 밀도를 갖는 타일 시스템.
40.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발포 합성물은 대략 3 내지 9% 중량의 강화제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41.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발포 합성물은 700MPa보다 큰 탄성 계수를 갖는 타일 시스템.
42.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의 밀도는 베이스 레이어의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타일 시스템.
43.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의 상단 섹션 및/또는 바닥 섹션은 베이스 레이어의 중앙 영역의 공극보다 작은 공극을 갖는 크러스트 레이어를 형성하고, 각 크러스트 레이어의 두께는 0.01 내지 1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 mm인 타일 시스템.
44.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각 타일은 베이스 레이어의 바닥 사이드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배킹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킹 레이어는 연성 소재,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타일 시스템.
45. 제42조에 있어서, 배킹 레이어의 두께는 적어도 0.5 mm인 타일 시스템.
46.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각 타일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레이어를 포함하고, 보강 레이어의 밀도는 1000 내지 2000 kg/m3, 바람직하게는 1400 내지 1900 kg/m3, 더 바람직하게는 1400 내지 1700 kg/m3인 타일 시스템.
47.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각 타일의 제1 결합 부분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2 결합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레이어에 일체로 연결되는 타일 시스템.
48.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제1 결합 부분 및/또는 제2 결합 부분은 결합 및 분리 동안 변형을 허용하는 타일 시스템.
49.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제1 결합 부분과 제2 결합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분은 베이스 레이어에 상기 결합 요소의 텅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고, 브리지의 최소 두께는 텅의 최소 너비보다 작은 타일 시스템.
50.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제2 결합 부분은 베이스 레이어에 아래쪽 텅을 연결하는 상부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부 브리지는 이웃한 타일의 결합 동안 변형되어, 아래쪽 그루브를 넓히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 부분의 상부 브리지의 하부 사이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진 타일 시스템.
51. 제50조에 있어서,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지고,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의 경사와 제2 결합 부분의 브리지 부분의 경사는 실질적으로 비슷하며, 양 경사는 예컨대 0° 내지 5°의 각을 상호 둘러싸는 타일 시스템.
52.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인접한 위쪽 플랭크의 적어도 일부는 이들 타일의 결합 상태에서 다른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인접한 아래쪽 텅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타일 시스템.
53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타일의 상부 사이드는 다른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실질적으로 이음매 없이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타일 시스템.
54.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제1 잠금 요소는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타일 시스템.
55.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제2 잠금 요소는 아래쪽 그루브의 상부 사이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타일 시스템.
56.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아래쪽 정렬 에지의 유효 높이는 위쪽 텅의 유효 높이보다 큰 타일 시스템.
57.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위쪽 플랭크와 위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상호 각은 적어도 아래쪽 플랭크와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상호 각과 실질적으로 같은 타일 시스템.
58.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위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사이드의 법선에 의해 둘러싸인 각은 0° 내지 60°, 특히 0° 내지 45°인 타일 시스템.
59.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레이어의 하부 사이드의 법선에 의해 둘러싸인 각은 0° 내지 60°, 특히 0° 내지 45°인 타일 시스템.
60.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제1 잠금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바깥쪽 벌지를 포함하고, 제2 잠금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포함하며, 바깥쪽 벌지는 잠금 결합을 구현하는 목적을 위해 이웃한 결합된 타일의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타일 시스템.
61.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제1 잠금 요소는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타일 시스템.
62.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아래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는 제3 잠금 요소가 제공되고, 위쪽 플랭크는 제4 잠금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제3 잠금 요소는 다른 타일의 제4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형성되는 타일 시스템.
63. 제62조에 있어서, 두 타일의 결합 조건에서, 제2 잠금 요소와 제4 잠금 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은 타일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각(A1)을 둘러싸는 접선(T1)을 정의하고, 각(A1)은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과 위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정의된 접선(T2)과 타일에 의해 정의된 상기 평면에 의해 둘러싸인 각(A2)보다 작은 타일 시스템.
64. 제63조에 있어서, 각(A1)과 각(A2) 사이의 가장 큰 차는 5° 내지 10°인 타일 시스템.
65. 제62조 내지 제64조 중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의 하부 사이드와 아래쪽 텅의 상부 에지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는 평면을 정의하고, 제3 잠금 요소와 아래쪽 텅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평면의 반대되는 사이드에 배치되는 타일 시스템.
66. 제62조 내지 제65조 중 하나에 있어서, 타일의 상부 사이드와 상기 제3 잠금 요소 사이의 최소 거리는 타일의 상기 상부 사이드와 위쪽 텅의 상부 사이드 사이의 최소 거리보다 작은 타일 시스템.
67.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위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는 이웃한 타일의 결합 조건에서, 아래쪽 플랭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타일 시스템.
68.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다수의 타일은 동일한 타일 시스템.
69.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타일 시스템은 서로 다른 타입의 타일(A, B)을 포함하고, 제1 타입의 타일(A)의 사이즈는 제2 타입의 타일(B)의 사이즈와 다른 타일 시스템.
70.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구별되는 시각적 표시가 바람직하게는 설치 목적을 위해, 서로 다른 타일 타입에 적용되는 타일 시스템.
71.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구별되는 시각적 표시가 각 타일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 요소의 위쪽 텅에 적용되는 타일 시스템.
72.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타일, 바람직하게는 각 타일의 적어도 한 쌍의 마주하는 에지는 상단 사이드 근처에 베벨이 제공되는 타일 시스템.
73.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장식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에 적용된 프라이머 레이어 또는 베이스 레이어와 같은 지지 레이어에 디지털식으로 직접 인쇄된 잉크 레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타일 시스템.
74. 전술한 조항 중 하나에 있어서, 장식 레이어는 인쇄된 합성 필름에 의해 형성되는 타일 시스템.
75. 제1조 내지 제74조 중 하나에 따른 타일 시스템의 상호 결합된 타일로 구성된 타일 커버링, 특히 바닥 커버링, 천장 커버링 및 벽 커버링.
76. 제1조 내지 제74조 중 하나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타일.
본 발명은 다음 도면에 나타난 제한적이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타일의 개략적인 묘사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난 타일의 제1 단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는 두 타일의 결합 위치이다.
도 2c는 도 2a에 나타난 타일의 대안적인 구성이다.
도 2d는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는 두 타일의 결합 위치이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타일의 제2 단면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은 두 타일의 결합 위치이다.
도 3c-g는 도 3a와 3b에 나타난 타일의 결합 프로필의 대안적인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제1 가능한 실시예의 적층 상세의 측면의 개략적인 묘사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제2 가능한 실시예의 적층 상세의 측면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타일의 제1 타입의 개략적인 묘사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타일의 제2 타입의 개략적인 묘사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의 제1 예의 개략적인 묘사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의 제2 예의 개략적인 묘사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의 제3 예의 개략적인 묘사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의 제4 예의 개략적인 묘사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개략적인 단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타일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상부 기판의 상세한 단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타일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에서 사용을 위한 다층 베이스 레이어의 단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에서 사용을 위한 발포 베이스 레이어의 상세한 단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타일(101)의 일반적인 구성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도면은 제1 에지(101) 및 반대되는 제2 에지(102)로 구성된 제1 쌍의 마주하는 에지 및 제3 에지(103) 및 마주하는 제4 에지(104)로 구성된 제2 쌍의 마주하는 에지를 포함하는 타일(100)을 나타낸다. 제1 에지(101)와 제3 에지(103)는 제1 예각(105)을 둘러싸고, 제2 에지(102)와 제4 에지(104)는 상기 제1 예각(105)을 마주하는 제2 예각(106)을 둘러싼다. 제2 에지(102)와 제3 에지(103)는 제1 둔각(107)을 둘러싸고, 제1 에지(101)와 제4 에지(104)는 상기 제1 둔각(107)을 마주하는 제2 둔각(108)을 둘러싼다. 두 제1 쌍의 마주하는 에지(101, 102)와 제2 쌍의 마주하는 에지(103, 104)는 잠금 목적을 위해 마주하는 기계적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타일(100)의 기계적 결합 수단의 구성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나타낸다. 제1 에지(101)는 제1 결합 프로필(109)을 포함하고, 제2 에지(102)는 제2 결합 프로필(110)을 포함한다. 제1 결합 프로필(109)과 제2 결합 프로필(110)은 도 3a와 3b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3 에지(103)는 제3 결합 프로필(111)을 포함하고, 제4 에지(104)는 제4 결합 프로필(112)을 포함한다. 제3 결합 프로필(111)과 제4 결합 프로필(112)은 도 2a와 도 2b에서, 그 대안은 도 2c와 2d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타일(100)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클로즈드 셀 폼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발포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113)를 포함한다. A-A' 및 B-B' 선의 단면 및 그 대안이 도 2a-3g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타일(100)은 복수의 타일(100)이 연결된 상태에서 셰브런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평행사변형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 쌍의 마주하는 에지(101, 102) 및/또는 제2 쌍의 마주하는 에지(103, 104)는 상단 표면 근처에 경사면(bevel)이 제공될 수 있다. 아래 설명된 도면에서,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타일(101)은 예컨대 도 5, 6a 및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일의 베이스 레이어(코어 레이어)의 상단 사이드에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두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의 길이 방향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상단 표면 근처에 경사면이 제공된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난 타일(100)의 A-A' 선의 단면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도면은 제3 결합 프로필(111)을 포함하는 제3 에지(103) 및 제4 결합 프로필(112)을 포함하는 제4 에지(104)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합 프로필(111, 112)을 포함하는 두 타일(100a, 100b)의 결합 위치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제3 결합 프로필은 위쪽 텅(113), 위쪽 텅(113)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위쪽 플랭크(114) 및 위쪽 텅(113)과 위쪽 플랭크(114) 사이에 형성된 위쪽 그루브(115)를 포함한다. 제4 결합 프로필(112)은 아래쪽 텅(116), 아래쪽 텅(116)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아래쪽 플랭크(117) 및 아래쪽 텅(116)과 아래쪽 플랭크(117) 사이에 형성된 아래쪽 그루브(118)를 포함한다. 아래쪽 플랭크(117)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사이드(116b)는 대각선으로 배향된다. 사이드(116b)는 실질적으로 곧은 설계를 갖는데, 위쪽 플랭크(114)의 상보적인 사이드(114a)는 둥근 설계를 갖는다. 에어 갭(119)은 도 2b에 나타난 결합 위치에 형성된다. 제3 결합 프로필(111)은 제4 결합 프로필(112)의 플랭크(117)에 제공되는 제2 잠금 요소(121)와 상호 작용을 위해 형성되는 제1 잠금 요소(120)를 포함한다. 제1 잠금 요소(120)는 바깥쪽 벌지를 포함하고, 제2 잠금 요소(121)는 리세스를 포함하는데, 바깥쪽 벌지는 잠금 결합을 구현하는 목적을 위해 이웃한 결합된 타일의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도 2b는 이웃한 타일(100a)과 결합되어, 제3 결합 프로필(111)과 제4 결합 프로필(112)의 잠금을 유발하는 타일(100b)을 나타낸다. 도 2a-b에 나타난 실시예의 텅(113, 116), 플랭크(114, 117) 및 그루브(115, 118)는 실질적으로 둥근 설계를 갖는다. 다만, 또한 텅(113, 116), 플랭크(114, 117) 및/또는 그루브(115, 118)가 더 직선적인 설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2c는 도 2a와 2b에 나타난 타일(100)과 대등한 타일(100)의 대안적 구성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내는데, 도면은 도 1에 나타난 타일(100)의 A-A' 선의 가능한 단면을 나타낸다. 유사한 도면 번호는 유사하거나 대등한 기술적 구성을 나타낸다. 제3 에지(103)는 제3 결합 프로필(111)을 포함하고, 제4 에지(104)는 제4 결합 프로필(112)을 포함한다. 도 2d는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합 프로필(111, 112)을 포함하는 두 타일(100a, 100b)의 결합 위치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제3 결합 프로필은 위쪽 텅(113), 위쪽 텅(113)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위쪽 플랭크(114) 및 위쪽 텅(113)과 위쪽 플랭크(114) 사이에 형성된 위쪽 그루브(115)를 포함한다. 제4 결합 프로필(112)은 아래쪽 텅(116), 아래쪽 텅(116)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아래쪽 플랭크(117) 및 아래쪽 텅(116)과 아래쪽 플랭크(117) 사이에 형성된 아래쪽 그루브(118)를 포함한다. 나타난 실시예에서, 아래쪽 플랭크(117)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아래쪽 텅(116)의 사이드는 제3 잠금 요소(126)가 제공되고, 위쪽 플랭크(114)는 제4 잠금 요소(127)가 제공되며, 상기 제3 잠금 요소(126)는 다른 타일(100)의 제4 잠금 요소(127)와 협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추가적인 내부 잠금 메커니즘을 야기하는데, 이는 결합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두 타일의 결합 조건에서, 제3 잠금 요소(126)와 제4 잠금 요소(127) 사이의 상호 작용은 타일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각(A1)을 둘러싸는 접선(T1)을 정의하는데, 각(A1)은 아래쪽 플랭크(117)를 향해 바라보는 아래쪽 텅(116)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과 위쪽 플랭크(114)를 향해 바라보는 위쪽 텅(113)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정의된 접선(T2)과 타일에 의해 정의된 상기 평면에 의해 둘러싸인 각(A2)보다 작다. 일반적으로, 각(A1)과 각(A2) 사이의 가장 큰 차이는 5° 내지 10°이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난 타일(100)의 제2 단면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도면은 특히 B-B' 선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은 제1 결합 프로필(109)을 포함하는 제1 에지(101) 및 제2 결합 프로필(110)을 포함하는 제2 에지(102)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합 프로필(109, 110)을 포함하는 두 타일(100a, 100b)의 결합 위치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제1 결합 프로필(109)은 타일(100)의 상부 사이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옆쪽 텅(122)을 포함한다. 제2 결합 프로필(110)은 다른 타일의 옆쪽 텅(12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리세스(123)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123)는 상부 립(124)과 하부 립(125)에 의해 정의되는데, 제1 기계적 결합 프로필(109, 110)은 안쪽 기울임(앵글링, angling)에 의해 옆쪽 텅(122)의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123)에 의해 수용됨으로써 이웃한 타일(100)의 잠금을 허용한다. 제1 결합 프로필(109)의 옆쪽 텅(122)의 바닥 후방 영역은 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 제2 결합 프로필(110)의 하부 립(125)은 옆쪽 텅(122)의 지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해 및/또는 이를 바라보기 위해 위쪽으로 돌출된 숄더가 제공된다. 옆쪽 텅(122)은 다른 타일의 리세스(123)로 도입 운동 및 제1 결합 프로필(109)에 평행한 축에 대한 하향 기울임 운동(앵글링 다운 운동, angling down movement)에 의해 잠금이 일어나도록 설계되며, 그 결과 옆쪽 텅(122)의 상단 사이드가 상부 립(124)에 맞물리고, 옆쪽 텅의 지지 영역이 하부 립(125)의 숄더에 의해 지지되며 및/또는 이를 바라보며,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제1 및 제2 에지(101, 102)에서 이웃한 타일(100a, 100b)의 잠금을 유발한다.
도 3c-g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100c-g)의 제1 에지(101c-g)와 제2 에지(102c-g)에 있을 수 있는 제1 결합 프로필(109c-g)과 제2 결합 프로필(110c-g)의 서로 다른 대안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결합 프로필(109c-g, 110c-g) 중 하나 이상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일(101)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c는 제1 결합 프로필(109c)의 옆쪽 텅(122c)의 전방 영역에 둥근 바닥 표면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둥근 바닥 표면의 외부 종단은 경사진 잠금 표면에 이웃한다. 둥근 바닥 표면의 반대되는 종단은 옆쪽 텅(122c)의 후방 영역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 표면에 이웃한다. 제2 결합 프로필(110c)은 리세스(123c)를 정의하는 하부 립(125c)과 상부 립(124c)을 포함한다. 두 립(124c, 125c)은 타일(100c)의 베이스 레이어에 일체로 연결된다. 도 3d는 타일(100d)의 제1 및 제2 결합 프로필(109d, 110d)을 나타내는데, 완만하게 둥근 바닥 부분 대신 더 훅 형상의 (분할된 둥근) 바닥 부분이 나타나 있다. 도 3e에서, 타일(100e)의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이는 도 3c에 나타난 타일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다만 제1 및 제2 결합 프로필(109e, 110e)은 경사진 잠금 표면 대신 수평 잠금 표면이 제공된다. 도 3f에서, 타일(100f)의 대안적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제1 및 제2 결합 프로필(109f, 110f)은 두 결합 프로필(109f, 110f) 사이의 바닥 접촉 부분이 부분적으로 완만하게 둥글고 부분적으로 불연속적으로 둥글도록 (분할되어 둥글도록) 형성된다. 제2 결합 프로필(110f)의 상부 립(124f) 및 제1 결합 프로필(109f)의 옆쪽 텅(122f)의 잠금 표면은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을 갖는다. 도 3g에서,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은 타일(100f)과 거의 동일한 타일(100g)의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옆쪽 텅(122g)의 전방 바닥 부분이 완만하게 둥글지 않고 평평하여, 분할된 둥근 형상(훅 형상)으로 옆쪽 텅(122g)의 바닥 부분을 제공하는 차이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200)의 제1 가능한 실시예의 적층 상세의 측면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타일(200)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클로즈드 셀 폼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발포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201)를 포함한다. 베이스 레이어(201)는 상부 사이드(201a)와 하부 사이드 또는 바닥 표면(201b)을 포함한다. 결합 프로필은 일반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201)에 제공된다. 타일(100)은 베이스 레이어(201)의 상부 사이드(201a)에 부착된 상부 기판(202)을 포함한다. 레이어 또는 코팅일 수 있는 접착제(203)가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201)와 상부 기판 레이어(202)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 상부 기판 레이어(202)의 하부 표면(202b)과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201)의 상부 표면(201a) 사이에 제공된다. 타일(200)은 가능하게는 기판 레이어(202)의 상부 표면(202a)에 또는 그 위에 선택된 타입의 장식 외형 또는 디자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패턴은 몇몇 가능한 디자인을 예로 들자면 우드 그레인 디자인, 대리석, 화강암 또는 그밖에 천연 암석 그레인을 모방한 미네랄 그레인 디자인 또는 컬러 패턴, 컬러 블렌드 또는 단일 컬러일 수 있다. 장식 또는 디자인 패턴은 상부 기판 레이어(202)의 상부 표면(202a)에 인쇄되거나 그밖에 달리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알려진 플라스틱 소재의 별도의 인쇄 필름 또는 장식 레이어(204)에 제공된다. 장식 레이어(204)는 디자인 레이어(204)가 보일수 있는 알려진 소재와 구성의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내마모성 마모 레이어(wear layer)(205)에 의해 덮인다. 마모 레이어(205)의 상단은 타일(100)의 상단 표면이다. 가능하게는 투명한 피니싱 레이어(미도시)가 장식 레이어(204)와 마모 레이어(20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일(100)은 이전 도면에 나타난 결합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상부 기판 레이어(202), 디자인 레이어(204) 및 마모 레이어(205)는 상부 기판 적층 서브조립체(206)를 형성하기 위해 초기에 함께 적층될 수 있다. 적층 서브조립체(206)와 베이스 레이어(201)는 타일(200)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적층될 수 있다. 결합 프로필은 전형적으로는 타일(200)의 한 쌍 또는 두 쌍의 마주하는 에지에 적용되는데, 이들 결합 프로필의 예는 도 1-3g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도 4에 나타난 타일(200)은 도 1-3g 중 하나에 나타난 것과 같은 타일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300)의 제2 가능한 실시예의 적층 상세의 측면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타일(300)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의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301)를 포함하는데, 합성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는 클로즈드 셀 폼을 포함 및/또는 그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301)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비발포 (중실)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타일(300)은 베이스 레이어(301)의 상부 사이드(301a)에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302a-e)을 포함한다.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302a-e)은 이들이 베이스 레이어(301)에 부착되기 전에 미리 조립될 수 있다. 상부 기판(302a-e)은 접착제(303)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301)의 상부 사이드(301a)에 부착된다. 다만, 또한 상부 기판(302a-e)이 높은 압력과 높은 압력 처리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301)의 상부 사이드(301a)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기판(302a-e)은 알려진 소재와 구성의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내마모성 마모 레이어(305)에 의해 덮인다. 상부 기판(302a-e)은 평행한 배향을 갖는다. 타일(300)의 프로필을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타일(300)의 적층 후에 수행된다. 결합 프로필은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301)에 제공될 것이다. 만약 깔판(306)이나 배킹(306)(점선으로 도시)이 사용되면, 깔판(306)은 프로필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베이스 레이어(301)의 하부 사이드(301b)에 부착된다. 깔판(306)은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우레탄 또는 코르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와 6b는 타일 구성의 두 서로 다른 타입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내는데,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를 따라 있는 한 타입의 타일(A)의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은 다른 타입의 타일(B)의 동일한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 부분을 따라 있는 대응되는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에 대해 거울 대칭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면은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타일(600A)을 나타내는데, 제1 결합 프로필(609)은 제1 에지(601))에 배열되고, 제2 결합 프로필(610)은 제2 에지(602)에 배열되며, 제3 결합 프로필(611)은 제3 에지(603)에 배열되고, 제4 결합 프로필(612)은 제4 에지(604)에 배열된다. 도 6b는 다만 제1 결합 프로필(609)이 제2 에지(602)에 배열되고, 제2 결합 프로필(610)이 제1 에지(601)에 배열되며, 제3 결합 프로필(611)이 제3 에지(603)에 배열되고, 제4 결합 프로필(612)이 제4 에지(604)에 배열되는 구성을 갖는 타일(600B)을 나타낸다. 결합 프로필(609, 610, 611, 612)은 도 1-3g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합 프로필일 수 있다. 두 타입의 타일(A, B)과 관련하여, 제1 에지(601)와 제3 에지(603)는 제1 예각(605)을 둘러싸고, 제2 에지(602)와 제4 에지(604)는 상기 제1 예각(605)을 마주하는 제2 예각(606)을 둘러싸며, 제2 에지(602)와 제3 에지(603)는 제1 둔각(607)을 둘러싸고, 제1 에지(601)와 제4 에지(604)는 상기 제1 둔각(607)을 마주하는 제2 둔각(608)을 둘러싼다. 각 타일(600A, 600B)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클로즈드 셀 폼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를 포함한다. 각 타일(600A, 600B)은 나아가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사이드에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620a-f)을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기판(620a-f)은 평행한 구성으로 동일한 평면에 나란히 배열된다. 두 타일(600A, 600B)과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620a-f)은 평행사변형을 갖는다. 도 6a와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러 타일(600A, 600B)을 상호 연결할 때, 상부 기판(620a-f)은 셰브런 패턴을 형성한다. 이는 도 8에 더 상세하게 나타난다. 상부 기판(620a-f)은 장식 레이어 및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내마모성 마모 레이어를 포함한다. 심미적 관점에서, 적어도 두 이웃하게 배열된 상부 기판(620a-f)의 장식 레이어가 서로 다른 외형을 갖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셰브런 패턴을 보일 수 있다. 복수의 상부 기판(620a-f)은 타일(600A, 600B)의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표면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는다. 복수의 상부 기판(620a-f) 각각은 따라서 타일(600A, 600B)의 제1 에지(601)로부터 제2 에지(602)로 연장된다. 상부 기판(620a-e)은 평행한 배향을 갖는데, 각 상부 기판(620a-e)의 길이 방향은 타일(600A, 600B)의 제3 에지(603) 및 제4 에지(604)와 나란하다. 상부 기판(620a-f)의 이상적인 개수와 치수는 특히 타일(600A, 600B)의 치수에 종속적이다. 타일(600A, 600B)의 나타난 실시예에서, 타일(600A, 600B)의 제1 에지(601)의 길이는 타일(600A, 600B)의 제2 에지(602)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길이는 상기 타일(600A, 600B)의 제3 에지(603) 및 제4 에지(604)의 길이보다 크다. 제1 예각(605)과 제2 예각(606)은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45°이다. 제1 둔각(607)과 제2 둔각(608)은 1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135°이다.
도 7은 복수의 다목적 타일(700A, 700B)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770)의 제1 예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도면은 평면도를 나타낸다. 시스템(770)은 서로 다른 타입의 타일(700A, 700B)을 포함한다. 타일(700A, 700B)의 나타난 실시예에서, 타일(700A, 700B)의 제1 에지(701) 및 제2 에지(702)의 길이(L1)는 상기 타일(700A, 700B)의 제3 에지(703) 및 제4 에지(704)의 길이(L2)보다 현저하게 크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 제1 에지(701)와 제2 에지(702)가 이웃한 타일(700A, 700B)의 안쪽 기울임을 위해 배열된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고, 제3 에지(703)와 제4 에지(704)가 타일(700A, 700B)의 추가적인 잠금을 위해 배열된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면 유리하다. 적용될 수 있는 가능한 결합 프로필의 예는 도 1-3g에 나타나 있다.
도 8은 복수의 다목적 타일(800A, 800B)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880)의 제2 예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도면은 평면도를 나타낸다. 타일(800A, 800B)은 도 6a와 6b에 나타난 타일(600A, 600B)과 대등하며, 그 예가 또한 도 1-3g에 나타나 있는 대등한 결합 프로필을 갖는다. 타일(800A, 800B)은 사다리꼴의 형상을 갖는데, 마주하는 에지(801, 802, 803, 804)는 비슷한 길이를 갖고, 이웃하는 에지는 길이가 다르다. 각 타일(800A, 800B)은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사이드에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820a-f)을 포함한다. 상부 기판(820a-f)은 평행하게 배향된다. 타일(800A, 800B)의 각 상부 기판(820a-f)의 길이 방향은 타일(800A, 800B)의 짧은 에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타일(800A, 800B)의 길이 방향은 따라서 그에 부착된 상부 기판(820a-e)의 길이 방향과 다르다. 타일(800A, 800B)이 연결된 구성에 있을 때, 예컨대 도면의 좌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일의 복수의 상부 기판(820a-e)은 타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한 타일의 상부 기판(820a-e)의 연속을 형성한다. 이는 A 타입의 타일(800A)의 상부 기판(820a-e)이 이웃한 A 타입의 타일(800A)의 상부 기판과 실질적으로 평행함을 의미한다. 이는 B 타입의 타일(800B)도 마찬가지이다. 상부 기판(820a-e)의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부 기판(820a-e)이 타일 시스템의 형성 동안 상호 연결되는 개별적인 타일이 아닌 것을 보기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하다. 이는 셰브런 패턴을 시각화하는 모든 상부 기판(820a-e)이 상호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 구성의 이점이다.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발포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800A, 800B)로 인해, 타일(800A, 800B)은 충분한 강성을 가져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갖는다. 제1 에지(801)와 제2 에지(802)는 길이(L)가 예컨대 최대 2 m일 수 있다. 타일의 너비(W)은 예컨대 30-50 cm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시각적으로 보이는 종래 시스템이 유사하게 보이는 상부 기판(820a-e)의 치수로 있는 종래 타일을 포함하는 시스템과 비교할 때 타일 시스템(800)의 설치를 위해 필요한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다목적 타일(900A, 900B)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990)의 제3 예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도면은 평면도를 나타낸다. 타일(900A, 900B)은 도 7에 나타난 타일(700A, 700B)과 대등한데, 타일(900A, 900B)은 타일 시스템(990)의 다른 타일 패턴을 야기하는 다른 방식으로 연결된다. 에지(901, 902, 903, 904)는 이전 도면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결합 프로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타일(900A, 900B)이 장사방형 또는 마름모꼴의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타일 시스템(990)의 설치는 이미 설치된 제2 타일(900A, 900B)의 리세스에 설치될 제1 타일(900A, 900B)의 옆쪽 텅의 안쪽 기울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미 설치된 타일(900A, 900B)에 대해 설치될 타일(900A, 900B)을 하향 기울임함으로써 구현되며, 이는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또한 수평 방향으로 제1 타일(900A, 900B)과 제2 타일(900A, 900B)을 잠근다. 제1 타일(900A, 900B)과 제2 타일(900A, 900B)의 이러한 안쪽 기울임 동안, 보통 설치될 제1 타일(900A, 900B)의 제4 결합 프로필은 다른 이미 설치된 제3 타일(900A, 900B)의 제3 결합 프로필에 (동시에) 연결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제3 타일(900A, 900B)에 대해 제1 타일(900A, 900B)을 내림으로써 구현되며, 그 동안 제3 결합 프로필과 제4 결합 프로필이 서로 시저링 되며(scissored)(잠기며), 이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제3 타일(900A, 900B)에 대한 제1 타일(900A, 900B)의 잠금을 야기한다.
도 10은 복수의 다목적 타일(1000A, 1000B)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1100)의 제4 예의 개략적인 묘사를 나타낸다. 도면은 평면도를 나타낸다. 타일(1000A, 1000B)은 그 예가 또한 도 1-3g에 나타나 있는 제1, 제2, 제3 및 제4 에지(1001, 1002, 1003, 1004)의 대등한 결합 프로필을 갖는 도 6a와 6b에 나타난 타일과 대등하다. 이러한 도면에 나타난 다목적 타일 시스템(1100)은 도 7과 8에 나타난 바와 같은 시스템(770, 880)과 유사성을 갖는다. 주요 차이는 타일(1000A, 1000B)의 상부 기판(10a, 10b, 10c)의 불균일성에서 찾을 수 있다. 각 타일(1000A, 1000B)은 베이스 레이어의 상부 사이드에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10a-c)을 포함한다. 상부 기판(10a-c)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상부 기판(10a-c)의 개수는 상부 기판의 너비(Wa, Wb, Wc)가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타일(1000A, 1000B)마다 달라질 수 있다. 너비(Wa, Wb, Wc)는 타일(1000A, 1000B)의 길이 방향(L)으로 정의된다. 타일(1000A, 1000B)이 연결된 구성에 있을 때, 예컨대 도면의 좌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상부 기판(10a-c)은 상부 기판(10a-c)의 불균일한 패턴을 형성한다. 나타난 상부 기판(10a-7c)이 모두 평행사변형을 갖지만, 또한 상부 기판의 형상이 그와 다른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11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단면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타일(100)의 A-A' 선의 단면에 상응한다. 결합 프로필(1111, 1112)은 도 2a와 2b에 나타난 결합 프로필과 대등한데, 사용될 수 있는 결합 프로필의 다른 가능한 예는 도 1-3g에 나타나 있다. 타일(1100)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의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1101)를 포함하는데, 합성물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는 클로즈드 셀 발포체를 포함 및/또는 그에 의해 형성된다. 타일(1100)은 베이스 레이어(1101)의 상부 사이드(1101a)에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1102a, 1102b)을 포함한다.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1102a, 1102b)은 이들이 베이스 레이어(1101)에 부착되기 전에 미리 조립될 수 있다. 상부 기판(1102a, 1102b)은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 레이어(1101)의 상부 사이드(1101a)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 기판(1102a, 1102b)은 전형적으로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내마모성 마모 레이어에 의해 덮인다. 배킹 레이어(1106)는 프로필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베이스 레이어(1101)의 하부 사이드(1101b)에 부착된다. 상부 기판(1102a, 1102b)은 평행한 구성을 가지며, 이웃한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1102a, 1102b)의 마주보는 길이 방향 에지는 상단 사이드 근처에 경사면(1170)이 제공된다. 각 경사면(1170)은 한 형상의 상부 기판(1102a, 1102b)의 마주보는 길이 방향 에지에 제공되며, 마모 레이어의 잘린 부분 및/또는 각인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경사면(1170)은 시각적인 이음매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이웃한 상부 기판(1102a, 1102b)의 이음매 없는 맞물림을 보장한다. 각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1102a, 1102b)은 전형적으로 상기 상부 기판(1102a, 1102b)의 장식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1101) 사이에 배치된 백 레이어를 포함한다. 백 레이어의 상단 부분의 너비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형적으로 단면에서 봤을 때, 또한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백 레이어의 바닥 부분의 너비보다 크다. 이는 이웃한 상부 기판(1102a, 1102b)의 개선된 이음매 없는 그리고 긴밀한 맞물림을 야기할 수 있다. 백 레이어의 마주하는 길이 방향 에지의 바닥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챔퍼링된다. 도 11은 상부 기판(1102a, 1102b)이 서로 꽤 긴밀하게 배치되며, 상부 기판(1102a, 1102b)의 바닥 부분의 좁은 너비가 적용되기 때문에, 작은 공기 채널(1171)이 상기 상부 기판의 바닥 사이드에서 이웃한 상부 기판(1102a, 1102b)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타일(1100)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상부 기판(1102)의 상세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은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1102)이 장식 레이어(1104) 및 상기 장식 레이어(1104)를 덮는 내마모성 마모 레이어(1105)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마모 레이어(1105)의 상단 표면은 타일(1100)의 상단 표면이다. 마모 레이어(1105)는 전형적으로 장식 레이어(1104)가 투명한 마모 레이어(1105)를 통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및/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1102)의 길이 방향 에지는 경사면(1170)이 제공된다. 경사면(1170)은 시각적인 이음매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이웃한 상부 기판(1102)의 이음매 없는 맞물림을 보장한다. 경사면(1170)은 마모 레이어(1105)의 잘린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경사면(1170)은 장식 레이어(1104) 위에 배치되는데, 경사면(1170)은 장식 레이어(1104)를 온전하게 유지한다. 경사면(1170)은 전형적으로 타일의 상단 표면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수평 표면 아래로 10° 내지 30°의 각(α)을 갖는다. 나타난 실시예에서 경사면(1170)의 각은 약 15°이다. 투명한 피니싱 레이어가 장식 레이어(1104)와 마모 레이어(1105)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1102)은 장식 레이어(1104)와 타일의 베이스 레이어(미도시) 사이에 배치된 백 레이어(1180)를 포함한다. 백 레이어(1180)는 바람직하게는 PVC나 PET와 같은 열가소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백 레이어(1180) 두께는 상부 기판의 두께의 적어도 50%이다. 백 레이어(1180)의 상단 부분의 너비(W)가 백 레이어(1180)의 바닥 부분의 너비보다 큰 것을 볼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타일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다. 단면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타일(100)의 B-B' 선의 단면에 상응한다. 결합 프로필(1111, 1112)은 도 3a와 3b에 나타난 결합 프로필과 대등한데, 사용될 수 있는 결합 프로필의 다른 가능한 예는 도 1-3g에 나타나 있다. 상부 기판(1102)의 짧은 에지는 또한 상단 표면 근처에 경사면(1170s)이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이웃한 타일이 서로 이음매 없이 맞물리게 허용하거나 이를 가능하게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에서 사용을 위한 다층 베이스 레이어(1401)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면은 베이스 레이어(1401)가 기본적으로 세 레이어(1401a, 1401b, 1401c)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부 레이어(1401)와 바닥 레이어(1401c)는 발포 중간 레이어(1401b)를 둘러싼다. 이에, 서로 위아래에 쌓인 합성 레이어(1401a, 1401b, 1401c)의 적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다층 베이스 레이어(1401)는 예컨대 공유압출(co-extrus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1401)의 서로 다른 합성 레이어(1401a, 1401b, 1401c)가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상부 레이어(1401a)와 바닥 레이어(1401c)는 (상대적으로) 중실 구조를 갖는 한편, 중간 레이어(1401)는 발포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두 실질적으로 중실의 합성 레이어(1401a, 1401c)가 발포 합성 레이어(1401b)를 둘러싸는 샌드위치식 구조가 얻어진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에서 사용을 위한 발포 베이스 레이어(1501)의 다른 예의 상세한 단면을 나타낸다. 크러스트 레이어(C)가 발포 베이스 레이어(1501)의 바닥 섹션(바닥 부분)과 상단 섹선(상단 부분)에서 발포 베이스 레이어(1501) 내에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크러스트 레이어는 베이스 레이어(1501)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나아가, 베이스 레이어(1501)의 바닥 섹션과 상단 섹션의 크러스트 레이어는 폼 구조(F)를 둘러싼다. 각 크러스트 레이어는 상대적으로 클로즈드 셀 구조를 갖는다. 크러스트 레이어(C)는 다공성 발포 구조(F)에 비해 적은 공극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발포 베이스 레이어(1501)의 중앙 섹션은 두 크러스트 레이어에 의해 둘러싸인다. 발포 중앙 섹션은 크러스트 레이어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다. 중앙 섹션은 실질적으로 균질한 셀 사이즈를 갖는다. 발포 베이스 레이어(1501)의 발포 섹션(F)의 평균 셀 사이즈는 전형적으로 60 내지 140 미크론, 특히 80 내지 120 미크론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고 나타난 작용 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일의 다양한 실시예의 위 설명에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상세와 기술적 특징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그리고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은 타일에 통합될 수 있다. 이에, 앞서 설명된 발명 컨셉은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개별적인 발명 컨셉이 설명된 예의 다른 상세 없이, 그렇게 하여, 또한 이를 적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특정한 응용에 이르기 위해 다양한 발명 컨셉이 (재)조합될 수 있다고 이해할 것이므로, 앞서 설명된 발명 컨셉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다.
본 특허출원에서 사용된 "포함한다"는 동사 및 그 활용형은 "~를 포함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뿐만 아니라, "~를 갖는다", "실질적으로 ~로 구성된다", "~에 의해 형성된다"는 의미로도 이해된다.

Claims (63)

  1. 복수의 다목적 타일을 포함하는 다목적 타일 시스템으로서, 상기 타일은 셰브런 패턴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각 타일은
    - 제1 에지 및 반대되는 제2 에지로 구성된 제1 마주하는 에지 쌍,
    - 제3 에지 및 반대되는 제4 에지로 구성된 제2 마주하는 에지 쌍을 포함하며,
    - 제1 에지와 제3 에지는 제1 예각을 둘러싸고, 제2 에지와 제4 에지는 상기 제1 예각을 마주하는 제2 예각을 둘러싸며, 제2 에지와 제3 에지는 제1 둔각을 둘러싸고, 제1 에지와 제4 에지는 상기 제1 둔각을 마주하는 제2 둔각을 둘러싸고,
    - 제1 쌍의 마주하는 에지는 적어도 수직으로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기 위한 쌍들의 마주하는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을 갖고,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은
    -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옆쪽 텅을 포함하는 제1 결합 프로필 및
    - 다른 타일의 옆쪽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부 립과 하부 립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은 안쪽 기울임(앵글링, angling)으로 옆쪽 텅의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에 의해 수용됨으로써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는 것을 허용하는 제2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며,
    - 제2 쌍의 마주하는 에지는 수직으로 그리고 수평으로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기 위한 쌍들의 마주하는 제2 기계적 결합 수단을 갖고, 제2 기계적 결합 수단은
    - 위쪽 텅, 위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쪽 플랭크 및 위쪽 텅과 위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위쪽 그루브를 포함하고, 위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위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는 제3 결합 프로필 및
    - 아래쪽 텅, 아래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래쪽 플랭크 및 아래쪽 텅과 아래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아래쪽 그루브를 포함하는 제4 결합 프로필로서, 제2 기계적 결합 수단은 한 타일의 제1 결합 프로필 및 다른 타일의 제2 결합 프로필의 안쪽 기울임 동안 상기 타일을 함께 잠그는 것을 허용하고, 결합될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은 또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을 향해 가위 운동(시저링 운동, scissoring movement)을 형성하여, 제3 결합 프로필과 제4 결합 프로필의 잠금을 유발하는 제4 결합 프로필을 포함하고,
    각 타일은 적어도 하나의 필러와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는 발포 합성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강성인 베이스 레이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상부 사이드 베이스 레이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판은 장식 레이어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상부 사이드 베이스 레이어에 부착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기판은 동일한 평면에서 나란하게 배열되며, 적어도 두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의 마주보는 길이 방향 에지는 상단 사이드 근처에 경사면(bevel)이 제공되고, 시스템은 두 서로 다른 타입의 타일(A, B)을 포함하고,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를 따라서 있는 한 타입의 타일의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은 다른 타입의 타일의 동일한 제1 쌍의 반대되는 에지 부분을 따라서 있는 대응되는 제1 기계적 결합 수단에 대해 거울 대칭 방식으로 배열되는 타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 제1 결합 프로필이 제1 에지에 배열되고,
    - 제2 결합 프로필이 제2 에지에 배열되며,
    - 제3 결합 프로필이 제3 에지에 배열되고,
    - 제4 결합 프로필이 제4 에지에 배열되는 구성을 갖는 타일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일은
    - 제1 결합 프로필이 제2 에지에 배열되고,
    - 제2 결합 프로필이 제1 에지에 배열되며,
    - 제3 결합 프로필이 제3 에지에 배열되고,
    - 제4 결합 프로필이 제4 에지에 배열되는 구성을 갖는 타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 제1 결합 프로필은 타일의 상부 사이드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옆쪽 텅을 포함하고, 상기 옆쪽 텅의 바닥 전방 영역, 상기 텅의 바닥 후방 영역은 지지 영역으로 구성되며, 바닥 후방 영역은 바닥 전방 영역의 가장 낮은 부분보다 타일의 상부 사이드의 높이에 더 가까이 배치되고,
    - 제2 결합 프로필은 다른 타일의 옆쪽 텅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는 상부 립과 하부 립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하부 립은 옆쪽 텅의 지지 영역을 바라보는 또는 이를 지지하기 위한 위쪽으로 돌출된 숄더가 제공되고, 옆쪽 텅은 다른 타일 옆쪽 텅의 리세스로 도입 운동 및 제1 결합 프로필에 평행한 축에 대한 하향 기울임 운동(앵글링 다운 운동, angling down movement)에 의해 잠금이 일어나도록 설계되며, 그 결과 옆쪽 텅의 상단 사이드는 상부 립에 맞물리고, 옆쪽 텅의 지지 영역은 하부 립의 숄더를 바라보며 또는 그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제1 및 제2 에지에 이웃한 타일의 잠금을 유발하는 타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 제3 결합 프로필은 위쪽 텅, 위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쪽 플랭크 및 위쪽 텅과 위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위쪽 그루브를 포함하고, 위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위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며, 위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위쪽 텅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를 포함하고,
    - 제4 결합 프로필은 아래쪽 텅, 아래쪽 텅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래쪽 플랭크 및 아래쪽 텅과 아래쪽 플랭크 사이에 형성된 아래쪽 그루브를 포함하고, 아래쪽 플랭크를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경사지며, 아래쪽 플랭크는 아래쪽 플랭크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또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잠금 요소와 상호 작용을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잠금 요소를 포함하며,
    - 제3 및 제4 결합 프로필은 다른 타일의 제2 결합 프로필에 제1 결합 프로필에서 결합될 타일의 하향 기울임 동안 잠금이 일어나도록 설계되고, 결합될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은 또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을 향해 가위 운동을 형성하여, 결합될 타일의 제4 결합 프로필의 아래쪽 텅이 상기 다른 타일의 제3 결합 프로필의 위쪽 그루브로 강제되며, 상기 다른 타일의 위쪽 텅이 제3 결합 프로필 또는 결합 프로필 에지의 변형에 의해, 결합될 타일의 아래쪽 그루브로 강제되도록 하여,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제3 및 제4 결합 프로필에서 이웃한 타일의 잠금을 유발하는 타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타일의 제1 에지의 길이와 제2 에지의 길이는 동일한 타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타일의 제1 에지의 길이와 제2 에지의 길이는 상기 타일의 제3 에지 및 제4 에지의 길이보다 큰 타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예각과 제2 예각은 30° 내지 60°인 타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제1 둔각과 제2 둔각은 120° 내지 150°인 타일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타일의 적어도 한 쌍의 마주하는 에지는 상단 사이드 근처에 경사면이 제공되는 타일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각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은
    - 장식 레이어 및
    - 상기 장식 레이어를 덮는 내마모성 마모 레이어(wear layer)로서, 상기 마모 레이어의 상단 표면은 상기 타일의 상단 표면이고, 마모 레이어는 장식 레이어가 투명한 마모 레이어를 통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소재이며, 적어도 두 스트립 형상의 상부 기판의 마주보는 길이 방향 에지에 제공된 각 경사면은 상기 마모 레이어의 잘린 부분 및/또는 각인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마모 레이어,
    - 장식 레이어와 마모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 투명한 피니싱 레이어, 및
    - 베이스 레이어와 장식 레이어 사이에 배치된 백 레이어를 포함하는 타일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 기판은 금속, 합금, 비닐모노머코폴리머 및/또는 호모폴리머와 같은 고분자 소재, 폴리에스터,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에폭시레진, 페놀포름알데히드레진, 유레아포름알데히드레진과 같은 축합 폴리머, 식물성 파이버, 동물성 파이버, 미네랄파이버, 세라믹파이버 및 카본파이버와 같은 천연 고분자 소재 또는 그 변형 파생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하나 이상의 비닐모노머코폴리머 및/또는 호모폴리머가 적용될 경우, 상기 비닐모노머코폴리머 및/또는 호모폴리머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코폴리머, 폴리포르필렌, 에틸렌포르필렌코폴리머,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펜 및 스티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코폴리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타일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의 발포 합성물의 플라스틱 소재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우레탄(PU),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인 타일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필러는 탤크, 초크, 우드, 칼슘카보네이트 및 미네랄 필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타일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아래쪽 플랭크로부터 멀리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는 제3 잠금 요소가 제공되고, 위쪽 플랭크는 제4 잠금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제3 잠금 요소는 다른 타일의 제4 잠금 요소와 협력하도록 형성되고,
    두 타일의 결합 조건에서, 제2 잠금 요소와 제4 잠금 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은 타일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각(A1)을 둘러싸는 접선(T1)을 정의하고, 각(A1)은 아래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아래쪽 텅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과 위쪽 플랭크를 향해 바라보는 위쪽 텅의 사이드의 경사진 부분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정의된 접선(T2)과 타일에 의해 정의된 상기 평면에 의해 둘러싸인 각(A2)보다 작은 타일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타일 시스템은 서로 다른 타입의 타일(A, B)을 포함하고, 제1 타입의 타일(A)의 사이즈는 제2 타입의 타일(B)의 사이즈와 다른 타일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구별되는 시각적 표시가 설치 목적을 위해, 서로 다른 타일 타입에 적용되고,
    구별되는 시각적 표시가 각 타일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 요소의 위쪽 텅에 적용되는 타일 시스템.
  18. 제1항에 따른 타일 시스템의 상호 결합된 타일로 구성된 타일 커버링.
  19. 제1항에 따른 다목적 타일 시스템에서 사용을 위한 타일.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KR1020207037242A 2018-05-23 2019-05-16 다목적 타일 시스템, 타일 커버링 및 타일 KR102574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0972A NL2020972B1 (en) 2018-05-23 2018-05-23 Multi-purpose tile system, tile covering, and tile
NL2020972 2018-05-23
PCT/EP2019/062703 WO2019224107A1 (en) 2018-05-23 2019-05-16 Multi-purpose tile system, tile covering, and t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564A KR20210016564A (ko) 2021-02-16
KR102574216B1 true KR102574216B1 (ko) 2023-09-04

Family

ID=6268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242A KR102574216B1 (ko) 2018-05-23 2019-05-16 다목적 타일 시스템, 타일 커버링 및 타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11326354B2 (ko)
EP (2) EP4063584A1 (ko)
JP (1) JP2021532291A (ko)
KR (1) KR102574216B1 (ko)
CN (1) CN112543835A (ko)
AU (1) AU2019272629A1 (ko)
BR (1) BR112020023856A2 (ko)
CA (1) CA3100741A1 (ko)
CL (1) CL2020003020A1 (ko)
CO (1) CO2020015867A2 (ko)
EA (1) EA202092838A1 (ko)
ES (1) ES2911494T3 (ko)
HR (1) HRP20220471T1 (ko)
MA (1) MA52703A (ko)
MX (1) MX2020012455A (ko)
NL (1) NL2020972B1 (ko)
PL (1) PL3797196T3 (ko)
WO (1) WO2019224107A1 (ko)
ZA (1) ZA2020073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6494B (zh) * 2019-03-25 2024-04-26 塞拉洛克创新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矿物的地板镶板
SE544438C2 (en) * 2019-12-13 2022-05-31 Vilox Ab Releasable joining system for floor panels, a floor panel, a floor system, a method for laying and a method for releasing a floor panel
FR3115306B1 (fr) * 2020-10-16 2023-12-01 Etablissements Huot Kit pour poser un tapis de parquet selon un motif en point de Hongrie
JP7407216B2 (ja) * 2022-03-10 2023-12-28 大建工業株式会社 高意匠建築材及び天井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4521Y (zh) 1993-11-09 1994-08-17 梁铁华 组合式地板块
US6505452B1 (en) 1999-06-30 2003-01-14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l and fastening system for panels
WO2005098163A1 (de) 2004-04-02 2005-10-20 Hülsta-Werke Hüls Gmbh & Co. Kg Paneelelement
WO2016113706A1 (en) 2015-01-15 2016-07-21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WO2017115202A1 (en) 2015-12-31 2017-07-06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WO2017187298A2 (en) 2016-04-25 2017-11-02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Set of floor panel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is set of floor panels
US20180029407A1 (en) 2016-07-29 2018-02-01 Shanghai Jinka Flooring Technology Co., Ltd. Herringbone surface decora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9945A (en) * 1997-11-25 2000-10-31 Premark Rwp Holdings, Inc. Polymeric foam substrate and its use as in combination with decorative surfaces
KR100409016B1 (ko) * 1999-06-26 2003-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층에 폴리에티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을 포함하는바닥장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PT1676720E (pt) * 2000-06-13 2011-02-28 Flooring Ind Ltd Revestimento de pavimentos
DE20122032U1 (de) * 2001-12-04 2003-12-18 Kronospan Technical Company Ltd., Engomi Feuchtigkeitsschutzmittel für Paneele
DE10230818B3 (de) * 2002-07-08 2004-03-04 Kronotec Ag Fussbodenpaneel und Verfahren zum Verlegen eines Fussbodenpaneels
WO2004063491A1 (en) * 2003-01-08 2004-07-29 Flooring Industries Ltd. Floor panel, its laying and manufacturing methods
US7886497B2 (en) * 2003-12-02 2011-02-15 Valinge Innovation Ab Floorboard,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flooring, and a flooring formed thereof
DE202005004537U1 (de) * 2005-03-17 2005-06-16 Schulte, Johannes Paneele für Fußboden-, Wand- oder Deckenbeläge
GB0522750D0 (en) * 2005-11-08 2005-12-14 Timber Sound Insulation Ltd Structural member
BE1017157A3 (nl) * 2006-06-02 2008-03-04 Flooring Ind Ltd Vloerbekleding, vloerelemen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elementen.
WO2009065768A1 (en) * 2007-11-19 2009-05-28 Välinge Innovation Belgium BVBA Recycling of laminate floorings
NL2003019C2 (nl) * 2009-06-12 2010-12-15 4Sight Innovation Bv Vloerpaneel en vloerbedekking bestaande uit meerdere van dergelijke vloerpanelen.
CN101881076B (zh) * 2010-06-09 2014-07-09 黄焕文 一种方便铺的组合式地板
CA3209449A1 (en) * 2010-01-11 2011-07-14 Valinge Innovation Ab Floor covering with interlocking design
DE102010018452A1 (de) * 2010-04-27 2011-10-27 Jörg R. Bauer Flächige Bauteile zur Herstellung eines Belags sowie Bela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lags
BE1019331A5 (nl) * 2010-05-10 2012-06-05 Flooring Ind Ltd Sarl Vloerpaneel en werkwijzen voor het vervaardigen van vloerpanelen.
DE102011086846A1 (de) * 2011-01-28 2012-08-02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el
WO2012136021A1 (zh) * 2011-04-03 2012-10-11 Ge Yuejin Pvc锁扣地板和锁扣地板块
KR101239366B1 (ko) * 2011-11-03 2013-03-05 동화자연마루 주식회사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WO2014043756A1 (en) * 2012-09-19 2014-03-27 Inotec International Pty Ltd A panel for covering a surface or support and an associated joint system
CN202672612U (zh) * 2012-09-20 2013-01-16 黑龙江远东木业有限公司 拼接式平行四边形地板
CN103950267A (zh) * 2013-05-02 2014-07-30 张家港爱丽塑料有限公司 Pvc发泡塑料复合板及其生产方法和应用
EP3725973B1 (en) 2014-02-26 2023-01-18 I4F Licensing Nv Panel interconnectable with similar panels for forming a covering
LT3031998T (lt) * 2014-12-08 2018-02-26 Innovations4Flooring Holding N.V. Plokštė su kablio pavidalo tvirtinimo sistema
WO2017013501A1 (en) * 2015-07-23 2017-01-26 Floover World S.L. Prefabricated element for flooring
AU2015249146B2 (en) * 2015-09-04 2017-07-13 Tower Ipco Company Limited Floor member with foam core
ITUB20159747A1 (it) 2015-12-30 2017-06-30 Fondazione St Italiano Tecnologia Metodo per l?opto-iniezione di materiale esogeno in una cellula ricevente.
BE1023818B1 (nl) * 2016-01-15 2017-08-01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Vloerpaneel voor het vormen van een vloerbekleding
BE1024723B1 (nl) * 2016-11-10 2018-06-11 Ivc Bvba Vloer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vloerpaneel.
EP3489431B1 (de) * 2017-11-24 2022-04-13 Surface Technologies GmbH & Co. KG Paneel
NL2021886B1 (en) * 2018-10-26 2020-05-13 I4F Licensing Nv Panel, in particular a floor panel or wall panel, and panel covering
NL2021885B1 (en) * 2018-10-26 2020-05-13 I4F Licensing Nv Multi-purpose tile system, tile covering, and tile
NL2022114B1 (en) * 2018-12-03 2020-06-30 I4F Licensing Nv Decorative panel, and decorative floor covering consisting of said panels
KR20220074883A (ko) * 2019-09-06 2022-06-03 아이4에프 라이센싱 엔뷔 바닥 패널 및 바닥
CN111042477A (zh) * 2019-11-25 2020-04-21 董烈群 一种地板固定组件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4521Y (zh) 1993-11-09 1994-08-17 梁铁华 组合式地板块
US6505452B1 (en) 1999-06-30 2003-01-14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l and fastening system for panels
WO2005098163A1 (de) 2004-04-02 2005-10-20 Hülsta-Werke Hüls Gmbh & Co. Kg Paneelelement
WO2016113706A1 (en) 2015-01-15 2016-07-21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WO2017115202A1 (en) 2015-12-31 2017-07-06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Floor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WO2017187298A2 (en) 2016-04-25 2017-11-02 Flooring Industries Limited, Sarl Set of floor panel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is set of floor panels
US20180029407A1 (en) 2016-07-29 2018-02-01 Shanghai Jinka Flooring Technology Co., Ltd. Herringbone surface decorat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23856A2 (pt) 2021-04-13
CL2020003020A1 (es) 2021-06-04
ES2911494T3 (es) 2022-05-19
CA3100741A1 (en) 2019-11-28
US20210123244A1 (en) 2021-04-29
CN112543835A (zh) 2021-03-23
JP2021532291A (ja) 2021-11-25
NL2020972B1 (en) 2019-12-02
US11326354B2 (en) 2022-05-10
ZA202007302B (en) 2021-08-25
HRP20220471T1 (hr) 2022-06-24
US20220259870A1 (en) 2022-08-18
EP3797196A1 (en) 2021-03-31
EP3797196B1 (en) 2022-03-23
EP4063584A1 (en) 2022-09-28
PL3797196T3 (pl) 2022-07-04
WO2019224107A1 (en) 2019-11-28
AU2019272629A1 (en) 2021-01-14
MA52703A (fr) 2021-03-31
EA202092838A1 (ru) 2021-04-02
MX2020012455A (es) 2021-04-13
KR20210016564A (ko) 2021-02-16
CO2020015867A2 (es)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3602B2 (en) Multi-purpose tile system
US11639605B2 (en) Multi-purpose tile system, tile covering, and tile
KR102574216B1 (ko) 다목적 타일 시스템, 타일 커버링 및 타일
KR102649955B1 (ko) 패널, 특히 바닥 패널 또는 벽 패널
JP7434310B2 (ja) パネル、特に床パネルまたは壁パネル、およびパネル被覆材
KR20240035411A (ko) 다목적 타일 시스템, 타일 커버링, 및 타일
EA040784B1 (ru) Плиточная система, плиточное покрытие и плитка многоцелевого назначения
EA042993B1 (ru) Многоцелевая плиточная система, плиточное покрытие и плитка
EA040750B1 (ru) Многоцелевая плиточная система, плиточное покрытие и пли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