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419B1 -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이 배치된 기기 - Google Patents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이 배치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419B1
KR102573419B1 KR1020217025135A KR20217025135A KR102573419B1 KR 102573419 B1 KR102573419 B1 KR 102573419B1 KR 1020217025135 A KR1020217025135 A KR 1020217025135A KR 20217025135 A KR20217025135 A KR 20217025135A KR 102573419 B1 KR102573419 B1 KR 102573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encapsulated
roller
alo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156A (ko
Inventor
루이스 에이. 원틀랜드
바가와트쿠마르 첼라판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하이엘 유에스 어플라이언스 솔루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하이엘 유에스 어플라이언스 솔루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얼 리프리저레이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Drawers with castors, rollers or wheels, supported directly on a surface below, e.g. on a floor, shelf or des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47B88/75Coupled drawers the secondary drawer being in or above the primary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2088/4015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magnets holding the drawer in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이 배치된 기기(100)를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성 측면에서, 해당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은, 도어(130)에 연결되고 해당 도어와 함께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바스켓(210); 해당 제1 바스켓(210) 상방에 위치하는 제2 바스켓(310)과; 해당 제2 바스켓(310) 상방에 위치하는 제3 바스켓(410);을 포함한다. 해당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도어(130)를 앞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스켓을 단일 유닛으로 사용해 캐스케이딩 방식으로 당겨 꺼내도록 하용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례에서 제1, 제2 바스켓(210, 310)은 봉지형 오목부를 한정할 수 있고, 해당 봉지형 오목부는 각각 제2, 제3 바스켓(310, 410)의 롤러를 수용하여 바스켓과 접합하도록 배치된다. 또 다른 하나의 실례에서 제1, 제2 바스켓(210, 310)은 돌출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돌출 리브는 각각 제2, 제3 바스켓(310, 410)의 단턱을 수용하여 바스켓과 접합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례에서, 바스켓은 자석을 포함하여 바스켓이 단일 유닛으로서 함께 앞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이 배치된 기기
본 주제는 총체적으로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이 배치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부 기기는 물품을 기기에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챔버 또는 저장용 칸막이 공간 중의 바스켓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냉장고 기기는 냉동실 도어를 통해 진입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저부 장착식 냉장고 기기는 냉동실 도어를 앞 방향으로 당기거나 뒷방향으로 밀어 냉동실에 대한 선택성 진입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다수 개의 바스켓 또는 팔레트는 냉동하는 칸막이 공간에 하나하나 쌓아 올릴 수 있다. 하부 바스켓은 통상적으로 냉동실 도어와 연결하고, 또한, 냉동실 도어를 앞 방향으로 당길 때 슬라이딩해 나간다. 하지만, 냉동실에서, 하부 바스켓의 상방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바스켓은 진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바스켓의 상방에 위치하는 바스켓을 당겨 내기 위하여 사용자는 허리를 굽혀 냉동실에 닿은 후, 손으로 바스켓을 잡아 앞 방향으로 당겨 움직이거나 또는 바스켓을 슬라이딩시켜야 한다. 일부 상황에서는 바스켓을 앞 방향으로 당겨 움직이거나 또는 슬라이딩시켜야 한다. 일부 상황에서는 바스켓에 식물이 가득 담겨져 있어 사용자가 그를 끌어내는 데 아주 큰 어려움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편안하게 유리한 위치에서 하부 바스켓의 상방에 위치한 바스켓을 관찰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바스켓에 놓아둔 식물 및/또는 바스켓의 존재를 잊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도전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바스켓 시스템의 기기를 개선하는 것은 유용성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측면과 장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일부 기재하거나 또는 기재 중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천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면에서, 기기(appliance)를 제공한다. 상기 기기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챔버를 한정한다. 상기 기기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해 상기 챔버에 대한 선택성 진입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기기는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은 제1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스켓은 상기 도어에 연결하여 조작가능하게 상기 도어와 함께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바스켓은 제1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제1 봉지형 오목부를 한정한다. 더 나아가, 상기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은 제2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스켓은 조작가능하게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봉지형 오목부를 한정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2 바스켓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는 조작가능하게 상기 제1 바스켓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굴러가고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상기 도어가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바스켓이 상기 도어 및 상기 제1 바스켓과 함께 제1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상기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은 제3 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바스켓은 조작가능하게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고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는 조작가능하게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굴러가고 상기 제2 봉지형 오목부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상기 도어가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3 바스켓이 상기 도어, 상기 제1 바스켓 및 상기 제2 바스켓과 함께 제2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한다.
다른 일 측면에서,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기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챔버를 한정한다. 상기 기기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해 상기 챔버에 대한 선택성 진입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기기는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은 제1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스켓은 상기 도어에 연결하고 조작가능하게 상기 도어와 함께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바스켓은 제1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제1 롤러 베드(roller bed)를 한정하고 상기 제1 롤러 테이블부터 편향하는 돌출 리브를 구비한다. 이외에도, 상기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은 제2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스켓은 조작가능하게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바스켓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는 제2 단턱을 통해 상기 제2 바스켓에 연결하고,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롤러는 조작가능하게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상기 제1 롤러 테이블을 따라 굴러가고, 또한,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제2 단턱은 조작가능하게 상기 제1 돌출 리브와 접합하여 상기 도어가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바스켓이 상기 도어 및 상기 제1 바스켓과 함께 제1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한다.
또 다른 일 측면에서,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기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챔버를 한정한다. 상기 기기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해 상기 챔버에 대한 선택성 진입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기기는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은 제1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스켓은 상기 도어에 연결하고 조작가능하게 상기 도어와 함께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바스켓은 제1 자석과 제1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제1 롤러 테이블을 한정한다. 이외에도, 상기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은 제2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스켓은 조작가능하게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2 바스켓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는 조작가능하게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상기 제1 롤러 테이블을 따라 굴러가고, 또한, 여기에서, 상기 제2 바스켓은 제2 자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자석의 방향은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이 상반되는 극성으로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바스켓이 앞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래의 설명과 부가한 청구항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해당 및 기타 특징, 측면과 장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중에 결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는 데 사용한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설명서 중에는 그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을 포함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이 본 발명에 대한 전면적이고 실행가능한 공개를 기재하였으며, 여기에서,
도 1은 본 주제의 예시성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기기의 전방 해부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 기기의 전방 해부도로서, 그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을 도시하였고;
도 3은 도 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좌측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우측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제1 바스켓의 해부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바스켓의 클로즈업 해부도이고;
도 7은 도 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좌측 설명도로서, 저장위치에 놓여 있는 시스템의 바스켓을 도시하였고;
도 8은 도 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좌측 설명도로서, 바스켓이 수축할 때 제1 바스켓이 제2 바스켓과 접합하고 제2 바스켓이 제3 바스켓과 접함하는 것을 도시하였고;
도 9는 도 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제1 바스켓의 봉지형 오목부 내부에 수용되는 제2 바스켓의 롤러의 해부도이고;
도 10은 본 주제의 예시성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좌측 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우측 설명도이고;
도 12는 본 주제의 예시성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좌측 설명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우측 설명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또 다른 하나의 바스켓의 돌출 리브의 봉지 내부에 수용되는 바스켓의 단턱의 클로즈업 해부도이고;
도 15는 본 주제의 예시성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좌측 설명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우측 설명도이고; 또한,
도 17은 도 15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좌측 설명도이고, 여기에서, 해당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바스켓은 저장위치에 놓여져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참조하여 그 하나 또는 다수 개를 예로 들어 도면 중에 도시한다. 실례마다 본 발명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제적으로,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본 발명에 대해 다앙한 수정과 변형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 실시예의 일부로서 도시하거나 또는 기재하는 특징은 다른 하나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하여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가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주제를 합병시킬 수 있는 각 발명 측면의 예시성 기기의 해부도이다. 상세하게, 도 1은 냉장고 기기(100)의 해부도이다. 냉장고 기기(100)는 케이스 또는 하우징(120)을 포함하며, 이는 수직방향 V을 따라 꼭대기부 또는 상부 부분(101)에서 저부 또는 저부 부분(102) 사이에서 연장한다. 하우징(120)은 또한 측방향L을 따라 제1 측(105)과 제2 측(106) 사이에서 연장하고 횡방향T을 따라 전부(前部))(108)와 후부(後部)(110) 사이에서 연장한다. 해당 예시에서, 제1 측(105)은 냉장고 기기(100)의 좌측이고 제2 측(106)은 냉장고 기기(100)의 우측이다. 수직방향V, 측방향L과 횡방향T은 서로 수직되어 직교방향시스템을 형성한다.
하우징(120)은 저장하려는 식품을 받아들이는 냉각실을 한정한다. 상세하게, 냉장고 기기(100)는 냉장고 기기(100)의 상부 부분(101) 중의 신선 식품실(122)과 수직방향V을 따라 신선 식품실(122) 하방(예를 들어, 냉장고 기기(100)의 저부 부분(102) 지점)에 배치된 냉동실(124)에 한정한다. 이와 같이, 냉장고 기기(100)는 통상적으로 저부 장착식 냉장고 기기라고 불리운다. 하지만, 본문이 공개한 교시를 이용하여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공개의 교시가 기타 유형의 냉장고 기기(예를 들어, 듀얼 도어식 또는 꼭대기부 장착식) 또는 냉동기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공개의 교시가 저장용 칸막이 공간 또는 챔버를 구비하는 모든 기기와 함께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문이 기재한 설명은 설명의 목적으로만 이용되고 모든 측면에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냉장고 도어(126, 128)는 신선 식품용 칸막이 공간(122)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의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로 연결한다. 상세하게, 냉장고 도어(126, 128)는 케이스(1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신선 식품실(122)에 선택적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냉동실 도어(130)는 수직방향V을 따라 냉장고 도어(126, 128)의 하방에 배치한다. 냉동실 도어(130)는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여 냉동실(124)에 대한 선택적 진입을 제공한다. 즉, 냉동실 도어(130)는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냉동실 도어(130)는 닫힘 위치(도 1)와 열림 위치(도 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냉동실 도어(130)는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당겨 냉동실 도어(130)를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횡방향T을 따라 뒷방향으로 밀어 움직여 냉동실 도어(130)를 열림 위치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냉동실 도어(130)는 하우징(12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한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 기기(100)의 전방 해부도로서, 그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목적에 의하여 하우징(120)이 투명한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은 다수 개의 바스켓을 포함하고, 바스켓마다 모두 조작이 가능하고, 저장하려는 식물을 냉동실(124) 내부에 보관한다.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은 제1 바스켓(210), 제2 바스켓(310)과 제3 바스켓(410)을 포함한다. 제1 바스켓(210)은 저부 바스켓이고, 제2 바스켓(310)은 수직방향V을 따라 제1 바스켓(210) (저부 바스켓)의 상방에 위치하는 중간 바스켓이고, 제3 바스켓(410)은 수직방향V을 따라 제2 바스켓(310)(중간 바스켓)의 상방에 위치하는 꼭대기부 바스켓이다.
각각의 바스켓(210, 310, 410)은 모두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에서, 앞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은“F”로 표기된 화살표로 표시하고 뒷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은“B”로 표기된 화살표로 표시한다. 제1 바스켓(210)은 냉동실 도어(130)에 연결하고 조작이 가능한 데, 예를 들어,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이동하거나 또는 뒷방향으로 밀어지어 이동할 때 냉동실 도어(130)와 함께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한다. 냉동실 도어(130)와 제1 바스켓(210)이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일정 구간의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제1 바스켓(210)이 제2 바스켓(310)과 접합한다. 제1 바스켓(210)과 접합하기만 하면 제2 바스켓(310)은 냉동실 도어(130) 및 제1 바스켓(210)과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한다.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과 제2 바스켓(310)이 앞을 향해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 제2 바스켓(310)이 제3 바스켓(410)과 접합한다. 제2 바스켓(310)과 접합하기만 하면 제3 바스켓(410)은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 및 제2 바스켓(310)과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냉동실 도어(130)가 닫힘 위치(도 1)에서 횡방향T을 따라 앞을 향해 열림 위치(도 2)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바스켓(210), 제2 바스켓(310)과 제3 바스켓(410)은 단일 유닛으로서, 함께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냉동실 도어(130)의 횡방향 행정의 적어도 일부에 도달한다.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진일보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이동하는 경우, 제3 바스켓(410)은 최종적으로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완전히 수축되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3 바스켓(410)이 완전히 수축하는 경우, 제2 바스켓(310)은 최종적으로 제3 바스켓(410)과 분리하고 제2 바스켓(310)이 최종적으로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완전히 수축되는 위치로 이동할 때 까지 계속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제2 바스켓(310)이 완전히 수축되는 경우, 제1 바스켓(210)은 최종적으로 제2 바스켓(310)과 분리하고 제1 바스켓(210)이 최종적으로 뒷방향으로 밀어지어 완전히 수축되는 위치로 이동할 때 까지 계속 냉동실 도어(130)와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제1 바스켓(210), 제2 바스켓(310)과 제3 바스켓(410)이 각각 그에 상응되는 완전 수축위치(retracted position)(도 3과 도 4)에 놓여지는 경우, 제1 바스켓(210)은 예를 들어 횡방향T을 따라 제2 바스켓(310)의 전방에 놓여지고, 제2 바스켓(310)은 예를 들어 횡방향T을 따라 제3 바스켓(410)의 전방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각 바스켓(210, 310, 410)의 내용물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즉, 바스켓(210, 310, 410)은 그의 완전 수축위치 중에 캐스케이딩을 배치하고 개선되어 유리한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바스켓(210, 310, 410) 내부의 내용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바스켓(210, 310, 410)이 단일 유닛으로서 당겨지어 나오므로, 사용자는 직접 손으로 바스켓 중 어느 하나를 당겨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냉동실 도어(130)만 당겨 이동시키면 바스켓(210, 310, 410) 내부의 모든 내용물을 관찰할 수 있다.
바스켓(210, 310, 410)은 그의 냉동실(124) 내부에서의 상응되는 저장위치로 리턴하도록 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130)를 횡방향T으로 밀거나 또는 기타 방식에 의해 뒷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냉동실 도어(130)는 각 바스켓(210, 310, 410)의 전부와 접합하고 바스켓(210, 310, 410)을 그의 냉동실(124) 중에서의 상응되는 저장위치로 이동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좌측과 우측 설명도로서,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각 특징을 도시하였으며, 해당 특징은 횡방향으로 앞을 향해 이동하는 기간에 바스켓(210, 310, 410)을 접합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바스켓(210, 310, 410)이 단일 유닛으로서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이동하거나 또는 꺼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바스켓(210)은 예를 들어 횡방향T을 따라 전부(212)와 후부(214) 사이에서 연장하고, 예를 들어 측방향L을 따라 좌측(216)(도 3)과 우측(218)(도 4) 사이에서 연장한다. 제1 바스켓(210)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지지대 어셈블리를 경유하여 전부(212) 지점에서 냉동실 도어(130)에 연결한다. 제1 바스켓(210)은 또한 예를 들어 수직방향V을 따라 꼭대기부(220)와 저부(222) 사이에서 연장한다. 유사하게, 제2 바스켓(310)은 예를 들어 횡방향T을 따라 전부(312)와 후부(314) 사이에서 연장하고, 예를 들어 측방향L을 따라 좌측(316)(도 3)과 우측(318)(도 4) 사이에서 연장한다. 제2 바스켓(310)은 또한 예를 들어 수직방향V을 따라 꼭대기부(320)와 저부(322) 사이에서 연장한다. 더 나아가, 제3 바스켓(410)은 예를 들어 횡방향T을 따라 전부(412)와 후부(414) 사이에서 연장하고, 예를 들어 측방향L을 따라 좌측(416)(도 3)과 우측(418)(도 4) 사이에서 연장한다. 제3 바스켓(410)은 또한 예를 들어 수직방향V을 따라 꼭대기부(420)와 저부(422) 사이에서 연장한다.
도 5는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제1 바스켓(210)의 해부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바스켓(210)은, 전벽(前壁)(224); 횡방향T을 따라 전벽(224) 사이에서 이격되는 후벽(後壁)(226); 전벽(224)과 후벽(226) 사이에서 연장하고 전벽과 후벽을 좌측(216) 지점에서 연결하는 좌측 벽(228); 전벽(224)과 후벽(226) 사이에서 연장하고 전벽과 후벽을 우측(218) 지점에서 연결하는 우측 벽(230);을 구비한다. 좌측 벽(228)은 측방향L을 따라 우측 벽(230) 사이에서 이격된다.
제1 바스켓(210)은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을 구비하는 데, 해당 제1 좌측 가이드 레일은 제1 바스켓(210)의 좌측(216) 지점에서 횡방향T(예를 들어, 좌측 벽(228)을 따르는 꼭대기부 부분)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은 롤러 베드(roller bed)를 한정하고 제2 바스켓(310)의 롤러는 해당 롤러 베드를 따라 굴러갈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바스켓(210)은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을 구비하는 데, 해당 제1 우측 가이드 레일은 제1 바스켓(210)의 우측(218) 지점에서 횡방향T(예를 들어, 우측 벽(230)을 따르는 꼭대기부 부분)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은 롤러 베드를 한정하고, 제2 바스켓(310)의 롤러는 해당 롤러 베드를 따라 굴러갈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제1 바스켓(210)의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과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은 각각 봉지형 오목부를 한정한다. 상세하게, 좌측 가이드 레일(232)은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를 한정하고 우측 가이드 레일(234)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를 한정한다. 이하에서 해석하는 바와 같이, 제2 바스켓(310)의 롤러(도 3과 도 4)는 제1 봉지형 오목부(236, 238)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앞을 향해 이동할 때에 제2 바스켓(310)이 냉동실 도어(130) 및 제1 바스켓(210)과 함께 제1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한다.
도 6은 제1 바스켓(210)의 클로즈업 해부도이며, 더 상세하게, 도 6은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에 의해 한정된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의 클로즈업 투시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은 롤러 표면(240)을 포함하고, 롤러는 해당 롤러 표면을 따라 굴러갈 수 있다.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은 대향 가장자리(242, 244)를 더 포함하는 데, 해당 가장자리는 롤러가 롤러 표면(240)을 이탈하거나 또는 롤러 표면으로부터 탈선하는 것을 방지한다. 롤러 표면(240)은 대향 가장자리(242, 244)의 꼭대기 가장자리에 상대되게 수직방향V을 따라 함몰되어 들어간다. 롤러 표면(240)과 대향 가장자리(242, 244)은 롤러 베드를 공동으로 한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도 5)은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과 유사하게 배치한다.
더 나아가,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는 통상적으로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의 롤러 표면(240)의 직사각형 절개구로 한정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는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의 전부 지점으로 한정된다.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의 사이즈는 그 중에 롤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데 적절하다. 상세하게,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에 의해 한정된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의 횡방향 길이L1는 제2 바스켓(310)의 우측 전방 롤러(352)(도 9)의 직경D1(도 9)보다 작다. 이와 같이, 제2 바스켓(310)의 우측 전방 롤러(352)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 내부에 “조립해 들어”가거나 또는 수용되는 경우, 우측 전방 롤러(352)는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를 관통해 탈락하지 않는다. 우측 전방 롤러(352)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 내부에 조립해 들어가거나 또는 수용되는 깊이와, 그 때문에 롤러가 봉지형 오목부로부터 이동 또는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은 봉지형 오목부의 횡방향 길이L1와 롤러의 직경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도 5)는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와 유사하게 한정된다.
현재 도 3과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제2 바스켓(310)은, 전벽(324); 횡방향T을 따라 전벽(324) 사이에서 이격되는 후벽(326); 전벽(324)과 후벽(326) 사이에서 연장하고 전벽과 후벽을 좌측(316) 지점에서 연결하는 좌측 벽(328)(도 3); 전벽(324)과 후벽(326) 사이에서 연장하고 전벽과 후벽이 우측(318) 지점에서 연결하는 우측 벽(330)(도 4);을 구비한다. 좌측 벽(328)은 측방향L과 우측 벽(330) 사이에서 이격된다.
제2 바스켓(310)은 다수 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제2 바스켓(310)은 좌측 전방 롤러(350)(도 3), 우측 전방 롤러(352)(도 4), 좌측 후방 롤러(354)(도 3)와 우측 후방 롤러(356)(도 4)를 포함한다. 좌측 전방 롤러(350)는 횡방향T을 따라 좌측 후방 롤러(354)의 전방에 위치하고 우측 전방 롤러(352)는 횡방향T을 따라 우측 후방 롤러(356)의 전방에 위치한다. 또한, 좌측 전방 롤러(350)는 횡방향T을 따라 우측 전방 롤러(352)와 맞추어지고, 좌측 후방 롤러(354)는 횡방향T을 따라 우측 후방 롤러(356)와 맞추어 진다. 또한, 좌측 전방 롤러(350)는 측방향L을 따라 좌측 후방 롤러(354)와 맞추어지고, 우측 전방 롤러(352)는 측방향L을 따라 우측 후방 롤러(356)와 맞추어 진다. 좌측 후방 롤러(354)와 우측 후방 롤러(356)는 제2 바스켓(310)의 꼭대기부(320)와 저부(322)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단 블록(358)은 좌측(316)과 우측(318) 지점에서 제2 바스켓(310)의 후부(314) 지점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차단 블록(358)은 하우징(120)의 라이너(liner)에 의해 한정된 상응되는 가이드 레일(도 2)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스켓(310)을 한정해 앞 방향으로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제2 바스켓(310)이 냉동실(124) 내부의 저장위치(도 2)로 이동하였을 때 제2 바스켓(310)이 하우징(120)의 후벽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좌측 후방 롤러(354)와 우측 후방 롤러(356)는 제2 바스켓(310)과 하우징(120)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한다(도 2). 예를 들어, 좌측 후방 롤러(354)와 우측 후방 롤러(356)는 하우징(120)의 라이너에 의해 한정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좌측 전방 롤러(350)는 제1 바스켓(210)의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을 따라 굴러가도록 조작될 수 있고, 우측 전방 롤러(352)는 제1 바스켓(210)의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을 따라 굴러가도록 조작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좌측 전방 롤러(350)가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우측 전방 롤러(352)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냉동실 도어(130)와 제1 바스켓(210)이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바스켓(310)이 냉동실 도어(130) 및 제1 바스켓(210)과 함께 제1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바스켓(210)과도 같이, 제2 바스켓(310)은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제2 바스켓(310)은 제2 좌측 봉지형 오목부(336)를 한정하는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과 제2 우측 봉지형 오목부(338)를 한정하는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을 구비한다.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과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은 제1 바스켓(210)의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 및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와 유사하게 배치할 수 있다. 차이점이라면,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과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은 그들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336, 338)를 제2 바스켓(310)의 전부(312)와 후부(314) 사이의 대략 중점 지점에 한정한다. 이외에 무엇보다도, 제2 좌측 봉지형 오목부(336)는 횡방향T을 따라 좌측 전방 롤러(350)와 좌측 후방 롤러(354)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에 의해 한정되고, 제2 우측 봉지형 오목부(338)는 횡방향T을 따라 우측 전방 롤러(352)와 우측 후방 롤러(356)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에 의해 한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바스켓(310)에게 증강된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제2 봉지형 오목부(336, 338)의 방향을 채택한다.
또한, 각 제2 봉지형 오목부(336, 338)의 사이즈는 그 중에 롤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데 적절하다. 상세하게, 각각의 제2 봉지형 오목부(336, 338)가 구비하는 횡방향 길이L1는 그 중에 수용하는 제3 바스켓(410)의 롤러의 직경보다 작다. 이와 같이, 제3 바스켓(410)의 롤러가 그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336, 338) 내부에“조립해 들어”가거나 또는 수용되는 경우, 롤러는 봉지형 오목부(336, 338)를 관통해 탈락하지 않는다.
도 3과 도 4에서 진일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바스켓(410)은, 전벽(424); 횡방향T을 따라 전벽(424) 사이에서 이격되는 후벽(426); 전벽(424)과 후벽(426) 사이에서 연장하고 전벽과 후벽을 좌측(416) 지점에서 연결하는 좌측 벽(428); 전벽(424)과 후벽(426) 사이에서 연장하고 전벽과 후벽을 우측(418) 지점에서 연결하는 우측 벽(430);을 구비한다. 이외에도, 해당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바스켓(410)은 슬라이딩 어셈블리(470)를 경유하여 조작가능하게 하우징(120)과 연결한다(도 2). 상세하게, 제3 바스켓(410)은 제3 바스켓(410)의 좌측(416) 지점에 위치하는 좌측 슬라이드 블록(472)과 제3 바스켓의 우측(418)에 위치하는 우측 슬라이드 블록(474)을 통해 하우징(120)과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한다. 좌측 슬라이드 블록(472)은 냉장고 기기(100)(도 1)의 제1 측(105)(예를 들어, 좌측) 지점에서 하우징(120)의 라이너에 연결하고, 우측 슬라이드 블록(474)은 냉장고 기기(100)의 제2 측(106)(예를 들어, 우측) 지점에서 하우징(120)의 라이너에 연결한다. 슬라이딩 어셈블리(470)는 제3 바스켓(410)의 앞 방향 방향과 뒷방향 이동에 도움이 되고 제3 바스켓(410)을 그의 전체적인 전후 행정 중에서 수평면(즉, 수직방향V에 직교하는 평면) 중에 유지시킨다.
제3 바스켓(410)은 다수 개의 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 해당 실시예에있어서, 제3 바스켓(410)은 좌측 전방 롤러(450)(도 3)와 우측 전방 롤러(452)(도 4)를 포함한다. 좌측 전방 롤러(450)는 제2 바스켓(310)의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의 롤러 표면을 따라 굴러가도록 조작할 수 있고, 우측 전방 롤러(452)는 제2 바스켓(310)의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의 롤러 표면을 따라 굴러가도록 조작할 수있다. 무엇보다도, 좌측 전방 롤러(450)는 제2 좌측 봉지형 오목부(336)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우측 전방 롤러(452)는 제2 우측 봉지형 오목부(338)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과 제2 바스켓(310)이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3 바스켓(410)이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 및 제2 바스켓(310)과 함께 제2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해당 실시예에서, 좌측 전방 롤러(450)는 제2 바스켓(310)의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과 접촉하는 스프링 적재 롤러로 바이어스되고, 우측 전방 롤러(452) 또한 제2 바스켓(310)의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과 접촉하는 스프링 적재 롤러로 바이어스된다. 상세하게, 전벽(424)에 의해 한정되는 챔버에 수용하는 스프링은 좌측 전방 롤러(450)를 바이어스하여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에 밀착시킬 수 있고 전벽(424)에 의해 한정되는 챔버에 수용하는 스프링은 우측 전방 롤러(452)를 바이어스하여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에 밀착시킬 수 있다. 스프링 적재 롤러(450, 452)는 제3 바스켓(410)과 제2 바스켓(310) 간의 수직 고도의 변화를 결정한다. 즉, 제2 바스켓(310)이 횡방향T을 따라 이동할 때에 특히, 제2 바스켓(310)이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바스켓(310)의 전부(312)는 수직방향V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3 바스켓(410)과 하우징(120)은 슬라이딩 어셈블리(470)를 경유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하며(도2), 이에 따라, 수평면 중에서 이동할 때에 제3 바스켓(410)과 제2 바스켓(310) 간의 수직거리가 횡방향T을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적재 롤러(450, 452)는 해당 수직고도차를 결정하고 바스켓(310, 410)의 횡방향 이동을 통해 롤러(450, 452)에서 그에 상응되는 가이드 레일(332, 334) 간과 지속적인 접촉을 실현하도록 보장한다.
현재 도 3, 4, 7과 8을 전면적으로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시피,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은 단일 유닛으로서,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하의 예시성 방식을 통해 캐스케이딩을 배치하여 수축한다. 도 7은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좌측 설명도로서, 바스켓(210, 310, 410)이 그의 냉동실(124)(도 2) 내부에서의 상응되는 저장위치 중에 놓여져 있는 것을 도시한다. 바스켓(210, 310, 410)을 그에 상응되는 저장위치로부터 수축하는 것을 시작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130)는 그의 닫힘 위치(도 1)부터 앞 방향으로 이동한다(예를 들어, 당겨 꺼냄). 제1 바스켓(210)은 냉동실 도어(130)(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지지대 어셈블리를 경유하여)와 연결하고, 제1 바스켓(210)은 냉동실 도어(130)와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과 도 8 중에서 앞으로 향하는 방향은“F”로 표기된 화살표로 표시한다.
제1 바스켓(210)과 냉동실 도어(130)이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단거리 이동한 후, 제1 바스켓(210)은 제2 바스켓(310)과 접합한다. 즉, 제2 바스켓(310)의 좌측 전방 롤러(350)는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에 의해 한정되는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에 떨어져 들어가거나 또는 기타 방식으로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에 의해 수용되는 동시에, 제2 바스켓(310)의 우측 전방 롤러(352)(도 4)가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도 4)에 의해 한정되는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도 4)에 떨어져 들어가거나 또는 기타 방식으로 해당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에 의해 수용된다. 예를 들어, 도 9는 제1 바스켓(210)의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바스켓(310)의 우측 전방 롤러(352)의 해부도이다. 도시하다 시피, 우측 전방 롤러(352)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 내부에 수용하는 경우, 우측 전방 롤러(352)는 수직방향V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봉지형 오목부(238)의 전부와 봉지형 오목부(238)의 후부 지점에서 롤러 표면(240)과 접합한다. 도면에서 도시하다 시피, 우측 전방 롤러(352)의 일부만 봉지형 오목부(238) 내부에 수용한다. 좌측 전방 롤러(350)는 유사방식을 통해 봉지형 오목부(236)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롤러(350, 352)가 그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236, 238)에 떨어져 들어갈 때 제1 바스켓(210)이 제2 바스켓(310)과 접합하며, 그 결과,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바스켓(310)이 냉동실 도어(130) 및 제1 바스켓(210)과 함께 제1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한다.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과 제2 바스켓(310)이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바스켓(310)이 제3 바스켓(410)과 접합한다. 더 상세하게, 도 8은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좌측 설명도로서, 그는 제2 바스켓(310)과 접합하는 제1 바스켓(210)과; 제3 바스켓(410)에 접합하는 제2 바스켓(310)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바스켓(310)이 제3 바스켓(410)과 접합할 때에 제3 바스켓(410)의 좌측 롤러(450)가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에 의해 한정되는 제2 좌측 봉지형 오목부(336)에 떨어져 들어가거나 또는 기타 방식으로 해당 제2 좌측 봉지형 오목부에 수용되고, 이와 동시에, 제3 바스켓(410)의 우측 롤러(452)(도 4)가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도 4)에 의해 한정되는 제2 우측 봉지형 오목부(338)(도 4)에 떨어져 들어가거나 또는 기타 방식으로 해당 제2 우측 봉지형 오목부에 수용된다. 좌측 롤러(450)와 우측 롤러(4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350, 352)를 그들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236, 238) 내부에 수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336, 338) 내부에 수용된다. 롤러(450, 452)가 그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336, 338)에 떨어져 들어갈 때에 제2 바스켓(310)이 제3 바스켓(410)과 접합하며, 그 결과,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3 바스켓(410)이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 및 제2 바스켓(310)과 함께 제2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한다.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진일보 앞 방향으로 당겨져 이동할 때에 제3 바스켓(410)은 최종적으로 제2 바스켓(210)과 분리한다. 즉, 제3 바스켓(410)이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완전히 수축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에 좌측 롤러(450)와 우측 롤러(452)는 그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336, 338)와 분리한다. 따라서,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과 제2 바스켓(310)이 계속 횡방향T을 따라 함께 앞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제3 바스켓(410)은 앞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좌측 롤러(450)와 우측 롤러(452)는 그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336, 338)와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과 제2 바스켓(310)이 제3 바스켓(410)에 상대되게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계속 그에 상응되는 가이드 레일(332, 334)의 롤러 표면을 따라 굴러간다.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더 진일보 앞 방향으로 당겨져 이동할 때에 제2 바스켓(310)은 최종적으로 제1 바스켓(210)과 분리한다. 제2 바스켓(310)이 제1 바스켓(210)과 분리할 경우, 제2 바스켓(310)이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완전히 수축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에 좌측 전방 롤러(350)와 우측 전방 롤러(352)는 그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236, 238)와 분리한다. 따라서, 냉동실 도어(130)와 제1 바스켓(210)이 계속 횡방향T을 따라 함께 앞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제2 바스켓(310) 또는 제3 바스켓(410)은 앞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좌측 롤러(350)와 우측 롤러(352)는 그에 상응되는 봉지형 오목부(236, 238)와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냉동실 도어(130)와 제1 바스켓(210)이 제2 바스켓(310)에 상대되게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계속 그에 상응되는 가이드 레일(232, 234)의 롤러 표면을 따라 굴러갈 수 있다.
냉동실 도어(130)는 최종적으로 제1 바스켓(210)이 앞 방향으로 당겨지어 완전히 수축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횡방향T을 따라 진일보 앞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바스켓(210), 제2 바스켓(310)과 제3 바스켓(410)은 캐스케이딩 배치 중에서 그에 상응되는 완전한 수축위치에 놓여질 때, 예를 들어,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 바스켓(210, 310, 410)의 내용물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바스켓(210, 310, 410)이 단일 유닛으로서 당겨지어 나오므로, 사용자는 직접 손으로 바스켓 중 어느 하나를 당겨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냉동실 도어(130)만 당겨 이동시키면 바스켓(210, 310, 410) 내부의 모든 내용물을 관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과 도 4를 전면적으로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시피,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캐스케이딩 특징은 폐쇄되거나 또는 기타 방식으로 그가 조작할 수 없도록 할 수 있으며, 바스켓(210, 310, 410)이 횡방향T을 따라 서로 독립되게 앞 방향 또는 뒷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3 바스켓(410)의 캐스케이딩 특징이 조작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스프링 적재 롤러(450, 452)는 분리위치 중에 잠금 고정되어져 스프링 적재 롤러(450, 452)가 제2 봉지형 오목부(336, 338)에 각각 수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프링의 장력을 변경하여 롤러(450, 452)가 수직방향V을 따라 약간 위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그들이 봉지형 오목부(336, 338)와 접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스켓(310)이 제1 바스켓(210) 및 냉동실 도어(130)와 함께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3 바스켓(410)이 제2 바스켓(310)과 접합하지 않기 때문에, 제3 바스켓(410)은 냉동실 도어(130)와 기타 바스켓(210, 310)에서 독립되어 저장위치 중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모든 캐스케이딩 특징이 모두 조작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유형의 실시예에서, 제1 바스켓(210)은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0)(도 3)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2)(도 4)를 포함한다.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0)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2)는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그들이 그에 상응되는 제1 봉지형 오목부(236, 238)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실례에서,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0)는 커버하는 위치와 커버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커버하는 위치에서, 제1 봉지형 오목부 덮개(260)는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를 커버하여 제2 바스켓(310)의 좌측 전방 롤러(350)가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 내부에 수용될 수 없도록 한다. 상세하게,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0)는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를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측 전방 롤러(350)는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0) 상방에서 굴러가고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와 접합하지 않는다. 때문에 캐스케이딩 특징은 조작할 수 없는 것이다. 커버하지 않는 위치에서,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0)는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를 커버하지 않아 좌측 전방 롤러(350)가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때문에 캐스케이딩 특징은 조작이 가능한 것이다.
유사하게,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2)는 커버하는 위치와 커버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커버하는 위치에서,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2)는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를 커버하여 제2 바스켓(310)의 우측 전방 롤러(352)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 내부에 수용될 수 없도록 한다. 상세하게,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2)는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를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측 전방 롤러(352)는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2) 상방에서 굴러가고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와 접합하지 않는다. 때문에 캐스케이딩 특징은 조작할 수 없는 것이다. 커버하지 않는 위치에서,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2)는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를 커버하지 않아 우측 전방 롤러(352)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때문에 캐스케이딩 특징은 조작이 가능한 것이다.
일부 실시에에서, 제2 바스켓(310)은 제2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360)(도 3)와 제2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362)(도 4)를 포함한다. 제2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360)와 제2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362)는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그들이 그에 상응하는 제2 봉지형 오목부(336, 338)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 제2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360)는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0)가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236)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을 통해 제2 좌측 봉지형 오목부(336)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고, 제2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362)는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 덮개(262)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238)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을 통해 제2 우측 봉지형 오목부(338)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바스켓(310)과 제3 바스켓(410) 사이의 캐스케이딩 특징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 하에 조작할 수 있거나 또는 조작할 수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주제의 예시성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상세하게, 도 10은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좌측 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우측 설명도이다. 도 10과 도 11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은 도 3 내지 도 9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하며, 아래 문장이 제공하는 측면은 제외한다.
도 10과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170)(도 3과 도 4)를 대체하여 제3 바스켓(410)과 하우징(120)을 조작가능하게 연결(도 2)시키는 것은, 제3 바스켓(410)이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롤러를 경유하여 하우징(120)과 조작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상세하게, 해당 실시예에서, 제3 바스켓(310)은 좌측 롤러(450)와 우측 롤러(452)(도면에 도시된 스프링 적재 롤러일 필요는 없음) 외에도, 좌측 후방 롤러(454)(도 10)와 우측 후방 롤러(456)(도 11)를 더 포함한다. 좌측 롤러(450)는 횡방향T을 따라 좌측 후방 롤러(454)의 전방에 위치하고 우측 롤러(452)는 횡방향T을 따라 우측 후방 롤러(456)의 전방에 위치한다. 이외에도, 좌측 롤러(450)는 횡방향T을 따라 우측 롤러(452)와 맞추어 질 수 있고 좌측 후방 롤러(454)는 횡방향T을 따라 우측 후방 롤러(456)와 맞추어 질 수 있다. 이외에도, 좌측 롤러(450)는 측방향L을 따라 좌측 후방 롤러(454)와 맞추어 질 수 있고 우측 롤러(452)는 측방향L을 따라 우측 후방 롤러(456)와 맞추어 질 수 있다. 좌측 후방 롤러(454)와 우측 후방 롤러(456)는 제3 바스켓(410)의 꼭대기부(420)와 저부(422)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0과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단 블록(458)는 좌측(416)과 우측(418) 지점에서의 제3 바스켓(410)의 후부(414)에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차단 블록(458)은 하우징(120)의 라이너에 의해 한정된 상응되는 가이드 레일(도 2)에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바스켓(410)을 한정해 앞 방향으로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제3 바스켓(410)이 냉동실(124) 내부의 저장위치(도 2)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3 바스켓(410)이 하우징(120)의 후벽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좌측 후방 롤러(454)와 우측 후방 롤러(456)는 제3 바스켓(410)과 하우징(120)을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한다(도 2). 예를 들어, 좌측 후방 롤러(454)와 우측 후방 롤러(456)는 하우징(120)의 라이너에 의해 한정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2, 13, 14는 본 주제의 예시성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상세하게, 도 12는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좌측 설명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우측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2와 도 13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제2 바스켓(310)의 돌출 리브가 수용하는 제1 바스켓(210)의 단턱의 클로즈업 해부도이다. 도 12, 13, 14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은 도 3 내지 도 9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하며, 차이점은 아래 문장에서 제공하는 측면이다.
도 12와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232, 234, 332, 334)에 의해 한정되는 봉지형 오목부를 대체하는 것은, 제1 바스켓(210)의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이 구비하는 좌측 돌출 리브(280)(도 12)이고 제1 바스켓(210)의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이 구비하는 우측 돌출 리브(282)(도 13)이다. 더 나아가, 제2 바스켓(310)의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은 좌측 돌출 리브(380)(도 12)를 구비하고 제2 바스켓(310)의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은 우측 돌출 리브(382)(도 13)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과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은 전부 롤러 베드를 한정하며, 롤러는 해당 롤러 베드를 따라 굴러가 바스켓(210, 310, 410)이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좌측 돌출 리브(280)는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이 한정하는 롤러 베드(233)(도 12)에서 편향하고, 우측 돌출 리브(282)는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이 한정하는 롤러 베드(235)(도 13)에서 편항하고, 좌측 돌출 리브(380)는 제2 좌측 가이드 레일(332)이 한정하는 롤러 베드(333)(도 12)에서 편향하고, 우측 돌출 리브(382)는 제2 우측 가이드 레일(334)이 한정하는 롤러 베드(335)(도 13)에서 편향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돌출 리브(280, 282, 380, 382)는 측방향L을 따라 그에 상응하는 롤러 베드(233, 235, 333, 335)에서 편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례를 제공한다.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우측 돌출 리브(282)는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의 롤러 표면(240)부터 수직방향V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된다. 해당 실례에서, 제1 우측 돌출 리브(282)는 롤러 베드(235)에서 측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편향한다. 즉, 제1 우측 돌출 리브(282)는 측방향L을 따라 제2 바스켓(310)과,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에 의해 한정되는 롤러 베드(235) 사이에 위치한다. 제1 우측 돌출 리브(282)는 제1 우측 돌출 리브(282)의 꼭대기(288) 지점에서 연결하는 경사표면(284)과 굴곡표면(286)을 구비한다. 더 나아가, 제1 우측 돌출 리브(282)와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의 차단 블록(246)은 봉지(248)를 한정하고 단턱은 해당 봉지에 수용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아래에서 진일보 해석한다. 도 1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좌측 돌출 리브(280)는 제1 우측 돌출 리브(282)와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좌측 돌출 리브(380)와 제2 우측 돌출 리브(382)는 제1 우측 돌출 리브(282)와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는 데, 차이점이라면, 제2 돌출 리브(380, 382)가 그에 상응되는 전단에 차단 블록이 아닌 사면을 포함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도 13과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외에도, 제2 돌출 리브(380, 382)는 각각 횡방향T을 따라 제2 바스켓(310)의 횡방향 중점과 후방 롤러(354, 356) 사이에 위치한다.
도 14에서 진일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전방 롤러(352)는 제2 우측 단턱(388)을 통해 제2 바스켓(310)에 연결한다. 제2 우측 단턱(388)은 측방향L을 따라 우측 벽(330)에서 외측으로 연장 또는 돌출된다. 우측 전방 롤러(352)는 제2 우측 단턱(388)의 원위단에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전방 롤러(352)는 조작가능하게 제1 우측 가이드 레일(234)의 롤러 베드(235)를 따라 굴러가며, 예를 들어, 롤러 표면(240)을 따라 굴러간다. 도 1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측 전방 롤러(350)는 제2 좌측 단턱(386)(도 12)를 통해 제2 바스켓(310)에 연결한다. 제2 좌측 단턱(386)은 측방향L을 따라 좌측 벽(328)에서 외측으로 연장 또는 돌출되며, 예를 들어, 측방향L을 따라 제2 우측 단턱(388)과 상반되는 방향에서 외측으로 연장 또는 돌출된다. 좌측 전방 롤러(350)는 제2 좌측 단턱(386)의 원위단에 연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전방 롤러(350)는 조작가능하게 제1 좌측 가이드 레일(232)의 롤러 베드(233)를 따라 굴러갈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그 롤러 표면을 따라 굴러간다. 더 나아가, 도 1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좌측 전방 롤러(450)는 제3 좌측 단턱(486)을 통해(도 12), 우측 전방 롤러(352)가 제2 우측 단턱(388)을 통해 제2 바스켓(310)에 연결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3 바스켓(410)에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좌측 전방 롤러(452)는 제3 우측 단턱(488)(도 13)을 통해, 우측 전방 롤러(352)가 제2 우측 단턱(388)을 통해 제2 바스켓(310)에 연결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3 바스켓(410)에 연결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냉동실 도어(130)(도 13과 도 14)가 제1 바스켓(210)과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바스켓(310)의 제2 좌측 단턱(386)은 조작가능하게 제1 좌측 돌출 리브(280)와 접합하고, 또한 제2 바스켓(310)의 제2 우측 단턱(388)이 조작가능하게 제1 우측 돌출 리브(282)와 접합함으로써,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바스켓(310)이 냉동실 도어(130) 및 제1 바스켓(210)과 함께 제1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냉동실 도어(130)가 제1 바스켓(210) 및 제2 바스켓(310)과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진일보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3 바스켓(410)의 제3 좌측 단턱(486)이 조작가능하게 제2 좌측 돌출 리브(380)와 접합하고, 제3 바스켓(410)의 제3 우측 단턱(488)이 조작가능하게 제2 우측 돌출 리브(382)와 접합함으로써,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3 바스켓(410)이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 및 제2 바스켓(310)과 함께 제2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바스켓(210, 310, 410)가 그에 상응되는 저장위치에 놓여 질 때, 제2 좌측 단턱(386)과 제2 좌측 단턱(388)은 그에 상응되는 제1 돌출 리브(280, 282)의 봉지 내부에 잠금 고정되거나 또는 접합될 수 있다. 냉동실 도어(130)가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1 바스켓(210)과 제2 바스켓(310)은 냉동실 도어(120)와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제1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한다. 제2 바스켓(310)이 최종적으로 제1 바스켓(210)과 분리할 때, 제2 바스켓(310)의 제2 좌측 단턱(386)과 제2 우측 단턱(388)은 수직방향V으로 그에 상응되는 제1 돌출 리브(280, 282)의 굴곡표면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하고, 그 다음, 수직방향V으로 그에 상응되는 제1 돌출 리브(280, 282)의 경사표면을 따라 점점 아래 방향으로 하강한다. 단턱(386, 388)의 상향과 하향 이동, 그로 인한 제3 바스켓(410)의 경사는 사용자에게 제1 바스켓(210)과 제2 바스켓(310)이 분리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돌출 리브(280, 282)의 경사표면은 사용자에게 매끄럽고 점진적인 느낌을 준다.
유사하게, 냉동실 도어(130)가 제1 바스켓(210) 및 제2 바스켓(310)과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진일보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3 바스켓(410)의 제3 좌측 단턱(486)과 제3 우측 단턱(488)이 각각 그에 상응되는 제2 돌출 리브(380, 382)와 접합하고, 단턱(486, 488)이 그에 상응되는 제2 돌출 리브(380, 382)의 앞 방향 방향 경사표면과 접합함으로써, 단턱(486, 488)이 수직방향V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 꼭대기에 도달한 후, 상응되는 굴곡표면을 따라 그에 상응되는 봉지에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3 바스켓(410)이 제2 바스켓(310)과 접함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제3 바스켓(410)이 최종적으로 제2 바스켓(310)과 분리할 때, 제3 바스켓(410)의 제3 좌측 단턱(486)과 제3 우측 단턱(488)은 수직방향V으로 그에 상응되는 제2 돌출 리브(380, 382)의 굴곡표면을 따라 상향으로 슬라이딩하고, 그 다음, 수직방향V으로 그에 상응되는 제2 돌출 리브(380, 382)의 경사표면을 따라 점점 아래 방향으로 하강한다. 단턱(486, 488)의 상향과 하향 이동은 사용자에게 제3 바스켓(410)과 제2 바스켓(310)이 분리되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돌출 리브(380, 382)의 경사표면은 사용자에게 매끄럽고 점진적인 느낌을 준다.
도 15, 16, 17은 본 주제의 예시성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상세하게, 도 15는 본 주제의 예시성 실시예에 따른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좌측 설명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우측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좌측 설명도이고, 여기에서, 해당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바스켓은 저장위치에 놓여진 것으로 도시된다. 도 15, 16, 17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은 도 3 내지 도 9의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하며, 차이점이라면 아래 문장에서 제공하는 측면이다.
도 15와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실시예에서, 제1 바스켓(210)은 제1 좌측 자석(290)(도 15)와 제1 우측 자석(292)(도 16)을 구비한다. 제1 좌측 자석(290)은 제1 바스켓(210)의 좌측 벽(228)에 부가적으로 접착되거나 또는 감입될 수 있고, 제1 우측 자석(292)은 제1 바스켓(210)의 우측 벽(230)에 부가적으로 접착되거나 또는 감입될 수 있다. 제1 좌측 자석(290)과 제1 우측 자석(292)은 제1 바스켓(210)의 꼭대기부(220) 지점 또는 근처 및 제1 바스켓(210)의 후부(214) 지점 또는 근처에 위치한다. 이외에도, 제2 바스켓(310)은 제2 좌측 자석(390)(도 15)과 제2 우측 자석(392)(도 16)을 구비한다. 제2 좌측 자석(390)은 제2 바스켓(310)의 좌측 벽(328)에 부가적으로 접착되거나 또는 감입될 수 있고, 제2 우측 자석(392)은 제2 바스켓(310)의 우측 벽(330)에 부가적으로 접착되거나 또는 감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3 바스켓(410)은 제3 좌측 자석(490)(도 15)와 제3 우측 자석(492)(도 16)을 구비한다. 제3 좌측 자석(490)은 제3 바스켓(410)의 좌측 벽(428)에 부가적으로 접착되거나 또는 감입될 수 있고, 제3 우측 자석(492)은 제3 바스켓(410)의 우측 벽(430)에 부가적으로 접착되거나 또는 감입될 수 있다. 제3 좌측 자석(490)과 제3 우측 자석(492)은 제3 바스켓(410)의 저부(422) 지점 또는 근처 및 제3 바스켓(410)의 전부(412) 지점 또는 근처에 위치한다.
무엇보다도, 제1 좌측 자석(290)과 제2 좌측 자석(390)의 방향은 제1 좌측 자석(290)과 제2 좌측 자석(390)이 상반되는 극성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유사하게, 제1 우측 자석(292)과 제2 우측 자석(392)의 방향은 제1 우측 자석(292)과 제2 우측 자석(392)이 상반되는 극성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15 중에서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좌측 자석(290)과 제2 좌측 자석(390)은 자석의 음극(도 15 중에서 마이너스 부호“-”로 표시)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도 16 중에서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우측 자석(292)과 제2 우측 자석(392)은 자석의 음극(도 16 중에서 마이너스 부호“-”로 표시)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유사한 방식에 의하여, 제2 좌측 자석(390)과 제3 좌측 자석(490)의 방향은 제2 좌측 자석(390)과 제3 좌측 자석(490)이 상반되는 극성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유사하게, 제2 우측 자석(392)과 제3 우측 자석(492)의 방향은 제2 우측 자석(492)과 제3 우측 자석(492)이 상반되는 극성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15 중에서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좌측 자석(390)과 제3 좌측 자석(490)은 자석의 양극(도 15 중에서 플러스 부호“+”로 표시)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도 16 중에서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우측 자석(392)과 제3 우측 자석(492)은 자석의 양극(도 16 중에서 플러스 부호“+”로 표시)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더 나아가, 도 1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바스켓(210), 제2 바스켓(310)과 제3 바스켓(410)이 냉동실(124)(도 2) 내부의 저장위치에 위치할 때, 횡방향T을 따라, 제3 자석(490)이 제2 자석(390)의 전방에 위치하고 제2 자석(390)이 제1 자석(290)의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15와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동실 도어(130)와 제1 바스켓(210)이 횡방향T을 따라 함께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 자석(290, 292)은 제2 자석(390, 392)의 근처에 진입하고, 자석(290, 390)과 자석(292. 392)의 상반되는 극성은 제2 바스켓(210)을 냉동실 도어(130) 및 제1 바스켓(210)과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앞을 향해 밀려 이동하거나 밀려 움직이도록 한다 그 결과,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과 제2 바스켓(310)은 횡방향T을 따라 함께 앞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한다.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과 제2 바스켓(310)이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자석(390, 392)은 최종적으로 제3 자석(490, 492)의 근처에 진입한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한 경우, 자석(390, 490)과 자석(392, 492)의 상반되는 극성은 제3 바스켓(410)을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 및 제2 바스켓(310)과 함께 앞을 향해 밀려 이동하거나 밀려 움직이도록 한다. 따라서, 냉동실 도어(130), 제1 바스켓(210), 제2 바스켓(310)과 제3 바스켓(410)은 횡방향T을 따라 함께 앞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한다. 따라서, 모든 바스켓(210, 310, 410)은 단일 유닛으로서, 함께 횡방향T을 따라 앞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바스켓(310)의 차단 블록(358)과 제3 바스켓(410)의 차단 블록(458)은 그에 상응되는 바스켓이 앞 방향으로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한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바람직하게, 냉동실 도어(130)가 뒷방향으로(즉, 횡방향T을 따르는 앞 방향 방향과 상반되는 방향에서) 밀려 이동할 때, 자석은 바스켓(310, 410)을 그 저장위치(도 17)로 밀려 이동해 리턴하거나 또는 밀려 리턴하는 데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130)를 닫힘 위치로 미는 데 필요하는 힘을 줄일 수 있다.
일부 대체 실시예에서는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의 단일 측만 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바스켓(210)은 제1 바스켓(210)의 좌측 벽(228)에 부가적으로 접착하거나 또는 감입하는 제1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바스켓(310)은 제2 바스켓(310)의 좌측 벽(328) 내부에 부가적으로 접착하거나 또는 감입하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바스켓(410)은 제3 바스켓(410)의 우측 벽(428) 내부에 부가적으로 접착하거나 또는 감입하는 제3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유형의 실시예에서는 바스켓에 상응하는 우측 벽이 그 중에 부가적으로 접착하거나 감입하는 자석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기타 실시예에서, 모든 자석은 모두 바스켓(210, 310, 410)의 상응되는 우측 벽 내부에 부가적으로 접착하거나 또는 감입할 수 있고, 좌측 벽은 그 중에 부가적으로 접착하거나 또는 감입하는 자석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더 나아가, 본문에서 기재하고 도시한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200)은 3개의 바스켓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공개하였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문이 공개한 발명 측면이 3개보다 많거나 적은 바스켓을 구비하는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본문이 공개한 발명 측면은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의 바스켓의 단일 측에만 사용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바스켓은 바스켓의 일측에서만 봉지형 오목부를 한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부 실시예에서, 바스켓은 바스켓의 일측에서만 돌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일부 실시예에서, 바스켓은 바스켓의 일측에서만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바람직한 방식을 포함하는 사용 실례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공개하며, 또한, 본 기술분야의 모든 기술자들이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에 대한 제조와 사용 및 임의의 통합 도입 방법이 포함되는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특허권을 부여받을 수 있는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도출해 낼 수 있는 기타 실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기타 실례가 청구항의 문자 언어와 다르지 않은 구조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들이 청구항의 문자 언어와 실질적인 차이점이 없는 등가적 구조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들은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기기(appliance)에 있어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챔버를 한정하고;
    도어를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해 상기 챔버에 대한 선택성 진입을 제공할 수 있고;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은,
    제1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스켓은 상기 도어에 연결하여 조작가능하게 상기 도어와 함께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바스켓은 제1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제1 봉지형 오목부를 한정하고;
    제2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스켓은 조작가능하게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봉지형 오목부를 한정하는 제2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2 바스켓은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는 조작가능하게 상기 제1 바스켓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굴러가고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상기 도어가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바스켓이 상기 도어 및 상기 제1 바스켓과 함께 제1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하고; 및,
    제3 바스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바스켓은 조작가능하게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고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롤러는 조작가능하게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굴러가고 상기 제2 봉지형 오목부 내부에 수용할 수 있어 상기 도어가 앞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3 바스켓이 상기 도어, 상기 제1 바스켓 및 상기 제2 바스켓과 함께 제2 미리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도록 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의 롤러 표면에 직사각형 절개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봉지형 오목부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와 상기 제2 봉지형 오목부의 사이즈는 그 중에 대응하는 롤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데 적절하고, 이들의 횡방향 길이는 그 중에 수용하는 롤러의 직경보다 작고;
    여기에서 상기 제3 바스켓은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과 조작 가능하게 연결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3 바스켓의 상기 롤러는 스프링 적재 롤러이고, 상기 스프링 적재 롤러는 바이어스되어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제2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고,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 적재 롤러는 분리 위치에 잠금 고정되어 질 수 있어 상기 스프링 적재 롤러가 상기 제2 봉지형 오목부에 수용될 수 없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수직방향을 한정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바스켓은 저부 바스켓이고, 상기 제2 바스켓은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저부 바스켓 상방에 위치하는 중간 바스켓이고, 상기 제3 바스켓은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상기 중간 바스켓 상방에 위치하는 꼭대기부 바스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횡방향을 한정하고 상기 도어, 상기 제1 바스켓, 상기 제2 바스켓과 상기 제3 바스켓은 상기 횡방향을 따라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제2 바스켓은 좌측 후방 롤러와 우측 후방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좌측 후방 롤러와 상기 우측 후방 롤러는 상기 횡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롤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좌측 후방 롤러와 상기 우측 후방 롤러는 라이너 가이드 레일(liner guide rail)을 따라 굴러가도록 조작할 수 있고, 상기 라이너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라이너(liner)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라이너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여기에서, 상기 제2 봉지형 오목부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횡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롤러와 상기 좌측 후방 롤러와 상기 우측 후방 롤러 사이에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바스켓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하우징과 조작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측방향과 횡방향을 한정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바스켓, 상기 제2 바스켓과 상기 제3 바스켓은 각각 상기 측방향을 따라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도어, 상기 제1 바스켓, 상기 제2 바스켓과 상기 제3 바스켓은 각각 조작가능하게 상기 횡방향을 따라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여기에서, 상기 제1 바스켓의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은 좌측 가이드 레일이고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는 제1 좌측 봉지형 오목부이며, 여기에서, 상기 좌측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바스켓의 좌측에서 상기 횡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바스켓은 우측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우측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바스켓의 우측에서 상기 횡방향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우측 가이드 레일은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를 한정하며, 또한,
    여기에서,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롤러는 조작가능하게 상기 좌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굴러가는 좌측 롤러이며, 여기에서, 상기 제2 바스켓은 조작가능하게 상기 우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굴러가는 우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우측 봉지형 오목부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스켓은 제1 수축위치(retracted position)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 수축위치에서, 상기 제1 바스켓은 상기 챔버로부터 완전히 수축하며; 상기 제2 바스켓은 제2 수축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2 수축위치에서, 상기 제2 바스켓은 상기 챔버로부터 완전히 수축하며; 또한, 상기 제3 바스켓은 제3 수축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3 수축위치에서, 상기 제3 바스켓은 상기 챔버로부터 완전히 수축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제2와 제3 바스켓 중의 각자가 각각 그에 상응되는 제1, 제2와 제3 수축위치에 놓여질 때에 상기 제1 바스켓이 상기 제2 바스켓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바스켓이 상기 제3 바스켓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스켓은 제1 봉지형 오목부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 덮개는 커버하는 위치와 커버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커버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 덮개는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를 커버하여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롤러가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 내부에 수용될 수 없도록 하고, 상기 커버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 덮개는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를 커버하지 않아 상기 제2 바스켓의 상기 롤러가 상기 제1 봉지형 오목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횡방향을 한정하며, 상기 도어,상기 제1 바스켓, 상기 제2 바스켓과 상기 제3 바스켓은 상기 횡방향을 따라 앞 방향과 뒷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냉장고 기기이며, 또한, 여기에서, 상기 챔버는 냉동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17025135A 2019-01-18 2020-01-13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이 배치된 기기 KR102573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51,201 US10551113B1 (en) 2019-01-18 2019-01-18 Appliance equipped with a cascading basket system
US16/251,201 2019-01-18
PCT/CN2020/071830 WO2020147692A1 (en) 2019-01-18 2020-01-13 Appliance equipped with a cascading baske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156A KR20210127156A (ko) 2021-10-21
KR102573419B1 true KR102573419B1 (ko) 2023-09-01

Family

ID=6923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135A KR102573419B1 (ko) 2019-01-18 2020-01-13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이 배치된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51113B1 (ko)
EP (1) EP3877710B1 (ko)
JP (1) JP7253059B2 (ko)
KR (1) KR102573419B1 (ko)
CN (1) CN113302442B (ko)
WO (1) WO20201476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93A (ko) * 2016-12-29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9708418A (zh) * 2018-11-20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796A (ja) 2004-11-22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引出し装置
JP2008000156A (ja) 2006-06-20 2008-01-10 Yamaha Livingtec Corp 引出し構造
JP2008309450A (ja) 2007-06-18 2008-12-25 Toshiba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7043A (en) * 1939-12-22 1941-12-23 Owen D Premo Pulley slide
US2955441A (en) * 1959-03-02 1960-10-11 Gen Electric Freezing tray and ice storage container arrangement for refrigerators
JPS6434251A (en) * 1987-07-28 1989-02-03 Aibisu Kk Production of ice candy containing ingredient
DE3836473C2 (de) * 1988-10-26 1996-11-28 Grass Ag Schubladenführung mit Schließ- und Öffnungsautomatik
JP3974125B2 (ja) 1998-03-13 2007-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DE19858387A1 (de) * 1998-12-17 2000-06-2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ältegerät
DE10126841A1 (de) * 2001-06-01 2002-12-0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ühlgutbehälter für ein Kältegerät
KR100578604B1 (ko) * 2003-12-16 2006-05-10 장명택 서랍식 도어용 토글힌지
GB2417671B (en) 2004-09-07 2007-08-08 Lg Electronics Inc Double drawer of refrigerator
US7380410B2 (en) * 2005-03-31 2008-06-03 U-Line Corporation Pull-out access cooler unit
CN100541086C (zh) * 2005-07-15 2009-09-1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冰箱双重抽屉
US8220886B2 (en) 2007-02-21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auxiliary basket
MX2007008018A (es) * 2007-06-28 2009-01-07 Mabe Mexico S De R L De C V Sistema de corredera para cajon o anaquel.
US7950756B2 (en) 2007-08-28 2011-05-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op-down shelf
DE102007048575A1 (de) 2007-10-10 2009-04-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S7950754B2 (en) 2008-01-25 2011-05-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Magnetic freezer basket pull
KR101380557B1 (ko) 2008-03-26 201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드로어 구동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080084782A (ko) 2008-07-03 2008-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 개폐 장치
KR20100085268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서랍식 냉장고
US8333447B2 (en) 2009-02-27 2012-12-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Basket kick-out
EP2267386A3 (en) * 2009-06-22 2014-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787095B1 (ko) 2009-07-07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06145A (ko) * 2009-07-13 201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5354467B2 (ja) * 2009-09-18 2013-11-27 Toto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WO2012000270A1 (zh) 2010-06-28 2012-01-05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US8424693B1 (en) 2011-04-11 2013-04-23 James A. Hoover Rollout drop down shelves
KR20130071011A (ko) * 2011-12-20 2013-06-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GB201200617D0 (en) 2012-01-16 2012-02-29 Samsung Electronics Uk Ltd Appliance
KR101944106B1 (ko) * 2012-04-10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962138B1 (ko) 2012-11-05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34293B1 (ko) 2012-12-10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3162506A (zh) * 2013-03-29 2013-06-19 海尔集团公司 组合抽屉及应用此组合抽屉的制冷设备
CN103292562B (zh) * 2013-05-28 2015-09-02 海尔集团公司 冰箱抽屉
US20150145393A1 (en) 2013-09-12 2015-05-28 Josh Young Ceiling Mounted Tray Storage System
KR102186243B1 (ko) 2014-02-28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4107692A1 (de) 2014-06-02 2015-12-03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anordnung
JP6434251B2 (ja) * 2014-08-13 2018-12-05 株式会社ノーリツ 引出しおよび該引出し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US20160153704A1 (en) 2014-12-02 2016-06-02 Whirlpool Corporation Multi-level drawer organization system for a refrigerating appliance
KR101641263B1 (ko) 2014-12-23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17529B1 (ko) * 2015-01-21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71266B1 (ko) 2015-02-13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634422B2 (en) 2015-02-13 2020-04-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59037B1 (ko) * 2015-02-13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0262B1 (ko) * 2016-02-05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196867B (zh) * 2016-06-30 2018-12-1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DE102016219883A1 (de) * 2016-10-12 2018-04-1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aufeinander bewegbaren Schalen, wobei eine Schale zumindest drei Rollenanordnungen aufweist
KR20170001698A (ko) * 2016-12-23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19784A (ko) * 2018-04-13 2019-10-23 (주)문주하드웨어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CN109696029A (zh) * 2018-05-18 2019-04-3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冷间室及具有其的冰箱
JP7164355B2 (ja) 2018-08-21 2022-11-0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9744769B (zh) * 2018-11-30 2020-12-25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可联动的抽屉组件及冰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1796A (ja) 2004-11-22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引出し装置
JP2008000156A (ja) 2006-06-20 2008-01-10 Yamaha Livingtec Corp 引出し構造
JP2008309450A (ja) 2007-06-18 2008-12-25 Toshiba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02442B (zh) 2022-09-20
EP3877710A4 (en) 2021-12-29
JP7253059B2 (ja) 2023-04-05
EP3877710B1 (en) 2022-09-28
WO2020147692A1 (en) 2020-07-23
JP2022523619A (ja) 2022-04-26
EP3877710A1 (en) 2021-09-15
KR20210127156A (ko) 2021-10-21
US10551113B1 (en) 2020-02-04
CN113302442A (zh)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110B1 (ko) 냉장고
CN101929785B (zh) 制冷机
KR102573419B1 (ko) 캐스케이딩 바스켓 시스템이 배치된 기기
KR101639135B1 (ko)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230151969A (ko) 냉장고
KR101627935B1 (ko) 냉장고
KR101695808B1 (ko) 냉장고
EP2913609A1 (en) Refrigerator
CN103575015B (zh) 冰箱
CN106440605A (zh) 冰箱
MXPA06009188A (es) Receptaculo de refrigerador.
KR101859037B1 (ko) 냉장고
CN105783372B (zh) 冰箱
CN105627681A (zh) 冰箱
CN106662392A (zh) 冰箱
CN106871534A (zh) 冰箱
KR101508384B1 (ko)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00008104A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US8162422B2 (en) Refrigerator
CN104344669B (zh) 具有抽屉的冰箱
KR101167734B1 (ko) 냉장고용 트레이
CN209893792U (zh) 冰箱
KR100766112B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밀폐구조
KR101845289B1 (ko) 냉장고
JP3927983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